KR100354179B1 - Apparatus and method for terminal matching in switching system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terminal matching in switch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4179B1
KR100354179B1 KR1020000033923A KR20000033923A KR100354179B1 KR 100354179 B1 KR100354179 B1 KR 100354179B1 KR 1020000033923 A KR1020000033923 A KR 1020000033923A KR 20000033923 A KR20000033923 A KR 20000033923A KR 100354179 B1 KR100354179 B1 KR 100354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unit
type
voice channe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39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20000034A (en
Inventor
김대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33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4179B1/en
Publication of KR20020000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00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4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4179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26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with means for applying test signals or for measuring
    • H04M3/28Automatic routine testing ; Fault testing; Installation testing; Test methods, test equipment or test arrangements therefor
    • H04M3/30Automatic routine testing ; Fault testing; Installation testing; Test methods, test equipment or test arrangements therefor for subscriber's lines, for the local lo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08Indicating faults in circuits or apparatus
    • H04M3/10Providing fault- or trouble-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18Compa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기종 디지털 단말기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해당 단말기에 맞게 초기값을 설정하여 서비스할 수 있도록 하는 교환기의 단말기 접속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access device and a method of an exchange for automatically recognizing a heterogeneous digital terminal and setting an initial value for the terminal.

종래에는 A형 단말기와 B형 단말기가 각각 별도로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소정 단말기를 단말기 접속부에 접속시킬 때 사용자가 단말기 접속부의 종류를 확인한 후에 해당 단말기를 접속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In the related art, since the A-type terminal and the B-type terminal are configured to be separately connected,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hat the user needs to connect the terminal after checking the type of the terminal connection part when connecting the predetermined terminal to the terminal connection part.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전원 및 임피던스,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이기종 디지털 단말기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해당 단말기에 맞게 초기값을 설정함으로써, 서로 다른 이기종 디지털 단말기를 하나의 접속 보드에서 수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recognizes heterogeneous digital terminals using different power supplies, impedances, and protocols, and sets initial values for the corresponding terminals, thereby allowing different heterogeneous digital terminals to be accommodated and used in one access board.

Description

교환기의 단말기 접속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erminal matching in switching system}Apparatus and method for terminal matching in switching system

본 발명은 교환기의 단말기 접속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기종 디지털 단말기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해당 단말기에 맞게 초기값을 설정하여 서비스할 수 있도록 하는 교환기의 단말기 접속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access device and method of the exchang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rminal access device and method of the exchange to be able to automatically recognize the heterogeneous digital terminal to set the initial value for the terminal.

일반적으로 교환기에는 서로 다른 전원 및 임피던스,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단말기들이 접속되는 데, 교환기에 접속되는 단말기는 사용 전원이 24 볼트(V)이며 A값 임피던스가 적용되는 A형 단말기와, 사용 전원이 -48 볼트(V)이며 B값 임피던스가 적용되는 B형 단말기로 구분된다.In general, terminals using different power, impedance and protocols are connected to the exchange. Terminals connected to the exchange have a power supply of 24 volts (V) and an A-value terminal to which an A-value impedance is applied. It is divided into type B terminal with 48V (V) and B value impedance applied.

도 1은 종래 교환기에서 디지털 단말기 접속 장치를 나타내는 도로, 종래 교환기에서 디지털 단말기 접속 장치는 단말 접속부(10)와, 단말 접속 제어부(20)와, 로컬 제어부(30)와, 로컬 제어 버스 인터페이스부(40)와, 버퍼(50)와, 메인 제어부(6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1 is a road showing a digital terminal connection device in a conventional exchange, and a digital terminal connection device in a conventional exchange includes a terminal connection unit 10, a terminal connection control unit 20, a local control unit 30, and a local control bus interface unit ( 40, a buffer 50, and a main control unit 60.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단말 접속부(10)는 A형 단말기와 B형 단말기가 각각 별도로 접속되도록 구성하되, A형 단말기가 접속되는 단말 접속부(10)는 인가 전원이 24 볼트(V)이고 임피던스는 A값을 갖는 A형 임피던스가 적용되도록 구성되며, B형 단말기가 접속되는 단말 접속부(10)는 인가 전원이 -48 볼트(V)이고 임피던스는 B값을 갖는 B형 임피던스가 적용되도록 구성된다.In such a configuration, the terminal connection unit 1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A type terminal and the B type terminal are separately connected, but the terminal connection unit 10 to which the A type terminal is connected has an applied power of 24 volts (V) and an impedance A type impedance having an A value is configured to be applied, and the terminal connection portion 10 to which the B type terminal is connected is configured such that an applied power source is -48 volts (V) and the B type impedance having an B value is applied.

단말 접속 제어부(20)는 단말 접속부(10)로부터 인가받은 직렬 데이터를 병렬 데이터로 변경하고, 로컬 제어부(30)에서 인가받은 병렬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변경하는 데, 메모리 방식으로 데이터를 변경한다.The terminal connection control unit 20 changes the serial data received from the terminal connection unit 10 into parallel data, and changes the parallel data received from the local control unit 30 into serial data.

로컬 제어부(3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와 ROM(Read Only Memory)와 RAM(Random Access Memory)로 구성되며, 단말 접속 제어부(20)와 단말 접속부(10)의 기능을 제어한다.The local controller 30 includes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read only memory (ROM), and a random access memory (RAM), and controls the functions of the terminal connection control unit 20 and the terminal connection unit 10.

로컬 제어 버스 인터페이스부(40)는 메인 제어부(60)와 로컬 제어부(30)가 제어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로컬 제어 버스 인터페이스이다.The local control bus interface unit 40 is a local control bus interface that allows the main control unit 60 and the local control unit 30 to send and receive control messages.

버퍼(50)는 메인 제어부(60)에서 공급하는 제어 클럭을 각 단말 접속부(10)에 공급하고, 단말 접속부(10)와 메인 제어부(60)가 PCM(Pulse Code Modulation)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한다.The buffer 50 supplies a control clock supplied from the main control unit 60 to each terminal connection unit 10, and allows the terminal connection unit 10 and the main control unit 60 to transmit and receive Pulse Code Modulation (PCM) data. do.

메인 제어부(60)는 로컬 제어 버스 인터페이스부(40)를 통해 로컬 제어부(30)와 메시지를 주고 받으며, 제어 클럭을 공급하고, 각 호에 대하여 PCM 데이터 스위칭을 수행하여 호를 제어하고 유지한다.The main controller 60 exchanges messages with the local controller 30 through the local control bus interface 40, supplies a control clock, and performs PCM data switching on each call to control and maintain the call.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 교환기의 단말기 접속 장치에서 단말기 접속부(10)는 A형 단말기와 B형 단말기가 각각 별도로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소정 단말기를 단말기 접속부(10)에 접속시킬 때 사용자가 단말기 접속부(10)의 종류를 확인한 후에 해당 단말기를 접속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소형 시스템인 경우에는 용도별 많은 포트가 불필요하여 경제적으로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terminal connection unit 1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A-type terminal and the B-type terminal are separately connected in the terminal connection apparatus of the conventional exchange, when the user connects the predetermined terminal to the terminal connection portion 10, the terminal connection portion After confirming the type of (10), there was an inconvenience in that the terminal should be connect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small system,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loss occurs economically because many ports for each use are unnecessary.

그리고, 단말 접속 제어부(20)가 메모리 제어 방식으로 데이터를 변경하기때문에 많은 단말기를 접속하여 사용할 경우에 서비스가 안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erminal connection control unit 20 changes data in a memory control scheme,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service is not available when many terminals are connected and used.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서로 다른 전원 및 임피던스,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이기종 디지털 단말기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해당 단말기에 맞게 초기값을 설정하여 서비스 할 수 있도록 하는 교환기의 단말 접속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terminal connection of the exchange to automatically recognize the heterogeneous digital terminal using different power, impedance, protocols to set the initial value to service the corresponding terminal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도 1은 종래 교환기에서 디지털 단말기 접속 장치를 나타내는 도.1 is a diagram showing a digital terminal connection device in a conventional exchang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의 단말기 접속 장치를 나타내는 도.2 shows a terminal connection device of an exchan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의 단말기 접속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terminal connection method of an exchan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및 도 4b는 단말기 데이터 포맷 구조를 보인 도.4A and 4B show a terminal data format structure.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10. 단말 접속부, 111.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부,110. terminal connection unit, 111. hardware interface unit,

113. 임피던스 매칭부, 115. 균형 및 전원 공급부,113. impedance matching, 115. balance and power supply;

117. 선로 보호부, 119. 데이터 인터페이스부,117. line protection, 119. data interface,

120. 단말 접속 제어부, 130. 로컬 제어부,120. terminal access control unit, 130. local control unit,

140. 로컬 제어 버스 인터페이스부, 150. 버퍼,140. Local control bus interface, 150. Buffer,

160. 메인 제어부,160. Main control unit,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의 단말기 접속 장치는, 접속되는 단말기 종류에 대응하여 접속하기 위한 다수개의 임피던스를 구비하고 해당 임피던스를 제1릴레이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선택 접속시켜 상기 단말기를 임피던스 매칭시켜주는 임피던스 매칭부와, 상기 접속되는 단말기 종류에 대응하여 인가하기 위한 다수개의 전원 라인을 구비하고 해당 전원 라인을 제2릴레이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선택 접속시켜 상기 단말기에 인가되는 전원을 매칭시켜주는 전원 공급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와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접속되는 단말기에 대하여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는 데이터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단말 접속부와; 상기 접속된 단말기의 데이터 포맷을 비교하여 상기 접속된 단말기의 종류를 파악하고, 파악된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제1릴레이 구동부와 제2릴레이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말 접속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erminal connecting apparatus of the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has a plurality of impedances for connection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type to be connected, and by selectively connecting the impedances by driving of the first relay driver, And an impedance matching unit for impedance matching, and a plurality of power lines for applying corresponding types of terminals to be connected, and selectively connecting the corresponding power lines by driving the second relay driver to supply power to the terminal. A terminal connection unit including a hardware interface unit including a power supply unit for matching and a data interface unit for interfacing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respect to a terminal connected through the impedance matching unit and the hardware interface unit; And a terminal connection control unit which compares the data format of the connected terminal to determine the type of the connected terminal and controls driving of the first relay driving unit and the second relay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identified type of terminal. It is done.

그리고, 상기 단말기의 데이터 포맷은, 프레임의 시작을 표시하는 시작 비트부와, 프레임의 종료를 표시하는 종료 비트부와, 상기 시작 비트부와 종료 비트부 사이에 정보 데이터가 들어있는 데이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ata format of the terminal includes a start bit unit for indicating the start of the frame, an end bit unit for indicating the end of the frame, and a data unit containing information data between the start bit unit and the end bit unit.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상기 단말기의 데이터 포맷은, 상기 데이터부의 내용이 오류가 없이 전송 되는가를 확인하기 위한 패리티 비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ata format of th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parity bit unit for checking whether the contents of the data unit are transmitted without error.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의 단말기 접속 방법은, 단말 접속부에 접속되어 있는 단말기의 데이터 포맷을 비교하여 상기 단말 접속부에 접속되어 있는 단말기의 종류를 파악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기의 종류를 파악한 결과, 제1단말기이면 제1임피던스와 제1사용 전원을 상기 단말기에게 접속시키는 과정과; 상기 단말기의 종류를 파악한 결과, 제2단말기이면 제2임피던스와 제2사용 전원을 상기 단말기에게 접속시키는 과정과; 음성 채널의 셋업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음성 채널의 셋업 여부를 확인한 결과, 제1 및 제2음성 채널이 셋업되어 있으면 상기 제1 및 제2음성 채널이 사용중임을 해당 포트의 레지스터에 등록한 후 서비스 루틴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음성 채널의 셋업 여부를 확인한 결과, 제1음성 채널이 셋업되어 있으면 상기 제1음성 채널이 사용중임을 해당 포트의 레지스터에 등록한 후 서비스 루틴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음성 채널의 셋업 여부를 확인한 결과, 제2음성 채널이 셋업되어 있으면 상기 제2음성 채널이 사용중임을 해당 포트의 레지스터에 등록한 후 서비스 루틴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terminal connection method of the exchan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comparing the data format of the terminal connected to the terminal connection portion to determine the type of the terminal connected to the terminal connection portion; As a result of determining the type of the terminal, connecting a first impedance and a first power supply to the terminal if the terminal is a first terminal; As a result of determining the type of the terminal, connecting a second impedance and a second power supply to the terminal if it is a second terminal; Checking whether a voice channel is set up; Checking whether the voice channel is set up, and if the first and second voice channels are set up, registering the first and second voice channels in use in a register of a corresponding port and performing a service routine; Checking whether the voice channel is set up, and if a first voice channel is set up, registering the first voice channel in use in a register of a corresponding port and performing a service routine; As a result of checking whether the voice channel is set up, if the second voice channel is set up, registering the second voice channel in use in a register of a corresponding port and then performing a service routine.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환기의 단말기 접속 장치 및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connection device and method of the exchang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의 단말기 접속 장치를 나타내는 도로,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의 단말기 접속 장치는 단말 접속부(110)와, 단말 접속 제어부(120)와, 로컬 제어부(130)와, 로컬 제어 버스 인터페이스부(140)와, 버퍼(150)와, 메인 제어부(16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2 is a road showing a terminal connection device of the exchan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rminal connection device of the exchan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rminal connection unit 110, a terminal connection control unit 120, a local control unit 130, and a local control. The bus interface unit 140 includes a buffer 150 and a main controller 160.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단말 접속부(110)는 A형 단말기와 B형 단말기가 모두 접속되도록 구성된다.In such a configuration, the terminal connection unit 110 is configured such that both the A-type terminal and the B-type terminal are connected.

이러한, 단말 접속부(110)는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부(111)와 데이터 인터페이스부(119)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The terminal connection unit 110 includes a hardware interface unit 111 and a data interface unit 119.

여기서,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부(111)는 임피던스 매칭부(113)와, 균형 및 전원 공급부(115)와, 선로 보호부(117)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데, 임피던스 매칭부(113)는 접속되는 단말기 종류에 따라 각각 적용되는 임피던스와, 해당 임피던스를 접속시켜 주는 릴레이 구동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져 접속되는 단말기에 임피던스를 매칭시켜준다. 예를 들어, 접속되는 단말기가 A형 단말기인 경우에는 A값을 갖는 A형 임피던스에 접속시키고, 접속되는 단말기가 B형 단말기인 경우에는 B값을 갖는 B형 임피던스에 접속시킨다. 그리고, 균형 및 전원 공급부(115)는 접속되는 단말기 종류에 따라 각각 적용되는 전원 라인과, 해당 전원 라인을 접속시켜 주는 릴레이 구동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져 접속되는 단말기에 적합한 전원을 인가하는 데, 접속되는 단말기가 A형 단말기인 경우에는 접속되는 단말기에 24 볼트(V)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24 볼트(V) 전원 라인에 접속시키고, 접속되는 단말기가 B형 단말기인 경우에는 접속되는 단말기에 -48볼트(V)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48 볼트(V) 전원 라인에 접속시킨다. 그리고, 선로 보호부(117)는 단말기 접속 선로를 통해 입력되는 과전류 및 과전압으로부터 선로를 보호한다.Here, the hardware interface unit 111 includes an impedance matching unit 113, a balance and power supply unit 115, and a line protection unit 117. The impedance matching unit 113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type to be connected. Accordingly, the impedance is matched to the terminal to be connected is made up of a relay driver for connecting the impedance and the corresponding impedance, respectively. For example, when the terminal to be connected is an A type terminal, it is connected to an A type impedance having an A value, and when the terminal to be connected is a B type terminal, it is connected to a B type impedance having a B value. In addition, the balance and power supply unit 115 is provided with a power line to be applied to each of the terminal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relay driver for connecting the power line is applied to apply a suitable power to the terminal to be connected, the terminal connected Is a type A terminal, it is connected to a 24 volt (V) power line to supply a 24 volt (V) power supply to the terminal to be connected, and -48 volt to a terminal to be connected if the terminal is connected to a type B terminal. Connect to -48 volt (V) power line to supply (V) power. The line protection unit 117 protects the line from overcurrent and overvoltage input through the terminal connection line.

데이터 인터페이스부(119)는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부(111)를 통해 인가받은 AMI(Alternative Mark Inversion) 라인 코드 파형을 시스템 동기 클럭에 동기시켜144bps 데이터로 처리하여 단말 접속 제어부(120)로 전달해 주고, 단말 접속 제어부(120)에서 전송받은 직렬 데이터를 AMI 파형으로 변경하여 하드웨어 임피던스 정합부(111)를 통해 단말기쪽으로 전달해 준다.The data interface unit 119 processes an AMI (Alternative Mark Inversion) line code waveform received through the hardware interface unit 111 in synchronization with the system synchronization clock to process 144bps data,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terminal connection control unit 120. The serial data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120 is converted into an AMI waveform and transferred to the terminal through the hardware impedance matching unit 111.

단말 접속 제어부(120)는 단말 접속부(110)로부터 인가받은 직렬 데이터를 하드웨어적으로 병렬 데이터로 변경하여 로컬 제어부(130)로 인가하고, 로컬 제어부(130)로부터 인가받은 병렬 데이터를 하드웨어적으로 직렬 데이터로 변경하여 단말 접속부(110) 측으로 인가하는 데, 하드웨어적으로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동시에 많은 단말기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terminal connection control unit 120 converts the serial data received from the terminal connection unit 110 into parallel data in hardware and applies it to the local control unit 130, and serially applies the parallel data received from the local control unit 130 in hardware. The data is converted into data and applied to the terminal connection unit 110. By processing the data in hardware, a service can be provided to many terminals at the same time.

그리고, 초기화시 해당 포트에 접속된 단말기의 데이터 포맷을 비교하여 단말 접속부(110)에 접속된 단말기의 종류를 파악하고, 파악된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임피던스 매칭부(113)와 균형 및 전원 공급부(115)에 구비되어 있는 릴레이 구동부를 제어하여 임피던스와 공급 전원을 매칭시킨다. 그리고, 단말기가 접속된 해당 포트의 레지스터 값을 셋업(Set-up)한다.When the initialization is performed, the data format of the terminal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port is compared to determine the type of the terminal connected to the terminal connection unit 110, and the impedance matching unit 113 and the balance and power supply unit according to the identified terminal type are determined. Control the relay driver provided in 115 to match the impedance and the power supply. Then, the register value of the corresponding port to which the terminal is connected is set up.

전술한 임피던스 매칭부(113)와 균형 및 전원 공급부(115)에 구비되어 있는 릴레이 구동부는 단말 접속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릴레이에 전원을 인가 또는 차단하여 임피던스 스위치를 A형 임피던스 또는 B형 임피던스에 접속시키고, 전원 인가 스위치를 24 볼트(V) 전원 라인 또는 -48 볼트(V) 전원 라인에 접속시킨다.The relay driver provided in the above-described impedance matching unit 113 and the balance and power supply unit 115 applies or cuts power to the relay under the control of the terminal connection control unit 120 to switch the impedance switch to the A type impedance or the B type. Connect to the impedance and connect the power supply switch to the 24 volt (V) power line or -48 volt (V) power line.

로컬 제어부(13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와 ROM(Read Only Memory)와 RAM(Random Access Memory)로 구성되며, 단말 접속 제어부(120)와 단말 접속부(110)의 기능을 제어한다.The local controller 130 includes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read only memory (ROM), and a random access memory (RAM), and controls the functions of the terminal access control unit 120 and the terminal connection unit 110.

로컬 제어 버스 인터페이스부(140)는 메인 제어부(160)와 로컬 제어부(130)가 제어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로컬 제어 버스 인터페이스이다.The local control bus interface unit 140 is a local control bus interface that allows the main controller 160 and the local controller 130 to exchange control messages.

버퍼(150)는 메인 제어부(160)에서 공급하는 제어 클럭을 각 단말 접속부(110)에 공급하고, 단말 접속부(110)와 메인 제어부(160)가 PCM(Pulse Code Modulation)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한다.The buffer 150 supplies a control clock supplied from the main controller 160 to each terminal connection unit 110, and allows the terminal connection unit 110 and the main control unit 160 to transmit and receive Pulse Code Modulation (PCM) data. do.

메인 제어부(160)는 로컬 제어 버스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해 로컬 제어부(130)와 메시지를 주고 받으며, 제어 클럭을 공급하고, 각 호에 대하여 PCM 데이터 스위칭을 수행하여 호를 제어하고 유지한다.The main controller 160 exchanges messages with the local controller 130 through the local control bus interface 140, supplies a control clock, and performs PCM data switching on each call to control and maintain the call.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의 단말기 접속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terminal connection method of an exchan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시스템 전체에 전원이 인가되면, 해당 단말 접속부(110)에 접속되어 있는 단말기가 A형 단말기인 지를 판단한다(S10, S12). 상기한 과정 S12에서 해당 단말 접속부(110)에 접속되어 있는 단말기가 A형 단말기인 지는 단말 접속부(110)에 접속된 단말기의 데이터 포맷을 비교하여 알 수 있는 데, A형 단말기의 데이터 포맷 구조는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개의 프레임은 3바이트로 되어 있으며, 프레임의 시작과 종료를 표시하는 시작 비트부 및 종료 비트부와, 정보 데이터가 들어 있는 데이터부와, 데이터부의 내용이 오류가 없이 정확히 전송되는 가를 확인하기 위한 패리티 비트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B형 단말기의 데이터 포맷 구조는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해당 포트 ID를 포함하여 2바이트로 되어 있으며, 프레임의 시작과 종료를 표시하는 시작 비트부 및 종료 비트부와, 정보 데이터가 들어 있는 데이터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First,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entire system,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erminal connected to the terminal connection unit 110 is an A-type terminal (S10 and S12). It can be seen by comparing the data format of the terminal connected to the terminal connection unit 110 whether the terminal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connection unit 110 in the step S12 described above, the data format structure of the type A terminal As shown in Fig. 4A, one frame has three bytes, and an error occurs between the start bit section and the end bit section indicating the start and end of the frame, the data section containing information data, and the contents of the data section. And a parity bit unit for confirming whether the data is correctly transmitted. The data format structure of the B-type terminal is 2 bytes including the corresponding port ID as shown in FIG. 4B. And a start bit section and an end bit section to be displayed, and a data section containing information data.

전술한 바와 같이, A형 단말기의 데이터 포맷 구조와 B형 단말기의 데이터 포맷 구조가 서로 다르므로, 단말 접속부(110)에 접속된 단말기로부터 올라오는 데이터 포맷을 비교하여 단말 접속부(110)에 접속된 단말기의 종류를 파악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data format structure of the A-type terminal and the data format structure of the B-type terminal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data format coming from the terminal connected to the terminal connection unit 110 is compared and connected to the terminal connection unit 110. The type of terminal can be identified.

상기한 과정 S12의 판단결과 해당 단말 접속부(110)에 접속되어 있는 단말기가 A형 단말기인 경우에는 임피던스 매칭부(113)와 균형 및 전원 공급부(115)에 각각 구비되어 있는 릴레이 구동부를 제어하여 전원은 24 볼트(V)가 인가되도록 스위치를 24 볼트(V) 전원 라인에 접속시키고, 임피던스는 A형 임피던스가 적용될 수 있도록 스위치를 A형 임피던스에 접속시킨다(S14).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step S12, when the terminal connected to the terminal connection unit 110 is an A-type terminal, the power supply is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impedance matching unit 113 and the relay driver provided in the balance and power supply unit 115, respectively. The switch connects the switch to the 24 volt (V) power line so that 24 volt (V) is applied, and the switch is connected to the type A impedance so that the impedance can be applied to the A type impedance (S14).

한편, 상기한 과정 S12의 판단결과 해당 단말 접속부(110)에 접속되어 있는 단말기가 B형 단말기인 경우에는 임피던스 매칭부(113)와 균형 및 전원 공급부(115)에 각각 구비되어 있는 릴레이 구동부를 제어하여 전원은 -48 볼트(V)가 인가되도록 스위치를 -48 볼트(V) 전원 라인에 접속시키고, 임피던스는 B형 임피던스가 적용될 수 있도록 스위치를 B형 임피던스에 접속시킨다(S16).On the other hand, if the terminal connected to the terminal connection unit 110 is a B-type terminal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12 described above, the impedance matching unit 113, the balance and the power supply unit 115 is provided with a relay driver Thus, the power supply is connected to the -48 volt (V) power line so that -48 volt (V) is applied, and the impedance is connected to the B-type impedance so that the B-type impedance can be applied (S16).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 접속부(110)의 임피던스 및 사용 전원이 접속된 단말기에 맞게 세팅된 후에는 제 1 음성 채널이 셋업(set-up)되어 있는 지를 판단한다(S18). 상기한 과정 S18의 판단결과 제 1 음성 채널이 셋업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 2 음성 채널이 셋업되어 있는 지를 판단한다(S20). 상기한 과정 S20의 판단결과 제 2 음성 채널이 셋업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 1 및 제 2 음성 채널이 모두 사용중임을 해당 포트 레지스터에 등록하고(S22), 제 2 음성 채널이 셋업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 1 음성 채널이 사용중임을 해당 포트 레지스터에 등록한다(S24).As described above, after the impedance of the terminal connection unit 110 and the power supply used are set according to the connected terminal,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first voice channel is set-up (S18). When the first voice channel is set up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step S18,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econd voice channel is set up (S20).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20, when the second voice channel is set up, the first and second voice channels are registered in the corresponding port registers in use (S22), and when the second voice channel is not set up, the second voice channel is set up. 1 Register in the corresponding port register that the voice channel is in use (S24).

한편, 상기한 과정 S18의 판단결과 제 1 음성 채널이 셋업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 2 음성 채널이 셋업되어 있는 지를 판단한다(S26). 상기한 과정 S26의 판단결과 제 2 음성 채널이 셋업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 2 음성 채널이 사용중임을 해당 포트 레지스터에 등록한다(S28).On the other hand, if the first voice channel is not set up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18,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econd voice channel is set up (S26). If the second voice channel is set up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step S26, the second voice channel is registered in the corresponding port register (S28).

전술한 바와 같이, 음성 채널이 셋업되면 서비스 루틴이 자동으로 수행된다(S30).As described above, the service routine is automatically performed when the voice channel is set up (S30).

본 발명의 교환기의 단말기 접속 장치 및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The terminal connection device and method of the exchang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within the range permitt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교환기의 단말기 접속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서로 다른 전원 및 임피던스,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이기종 디지털 단말기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해당 단말기에 맞게 초기값을 설정함으로써, 서로 다른 이기종 디지털 단말기를 하나의 접속 보드에서 수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terminal connection apparatus and method of the exchang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heterogeneous digital terminal using a different power source, impedance, and protocol automatically recognized and set the initial value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different heterogeneous digital There is an effect that the terminal can be accommodated and used in one access board.

Claims (5)

교환기의 단말기 접속 장치에 있어서,In the terminal connection device of the exchange, 접속되는 단말기 종류에 대응하여 접속하기 위한 다수개의 임피던스를 구비하고 해당 임피던스를 제1릴레이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선택 접속시켜 상기 단말기를 임피던스 매칭시켜주는 임피던스 매칭부와, 상기 접속되는 단말기 종류에 대응하여 인가하기 위한 다수개의 전원 라인을 구비하고 해당 전원 라인을 제2릴레이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선택 접속시켜 상기 단말기에 인가되는 전원을 매칭시켜주는 전원 공급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와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접속되는 단말기에 대하여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는 데이터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단말 접속부와;An impedance matching unit having a plurality of impedances for connection in correspondence with the terminal type to be connected, the impedance matching unit for impedance matching of the terminal by selectively connecting the impedance by driving of the first relay driving unit, and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type to be connected A hardware interface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power lines for applying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electing and connecting the corresponding power lines by driving the second relay driving unit to match the power applied to the terminal, and the impedance matching unit And a data connection unit configured to interface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respect to a terminal connected through a hardware interface unit. 상기 접속된 단말기의 데이터 포맷을 비교하여 상기 접속된 단말기의 종류를 파악하고, 파악된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제1릴레이 구동부와 제2릴레이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말 접속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의 단말기 접속 장치.And a terminal connection control unit which compares the data format of the connected terminal to determine the type of the connected terminal and controls driving of the first relay driving unit and the second relay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identified type of terminal. Terminal connection device of the exchan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데이터 포맷은,According to claim 1, The data format of the terminal, 프레임의 시작을 표시하는 시작 비트부와, 프레임의 종료를 표시하는 종료 비트부와, 상기 시작 비트부와 종료 비트부 사이에 정보 데이터가 들어있는 데이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의 단말기 접속 장치.And a start bit section for indicating the start of the frame, an end bit section for indicating the end of the frame, and a data section containing information data between the start bit section and the end bit section.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데이터 포맷은,The data format of claim 2, wherein the data format of the terminal comprises: 상기 데이터부의 내용이 오류가 없이 전송 되는가를 확인하기 위한 패리티 비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의 단말기 접속 장치.And a parity bit section for checking whether the contents of the data section are transmitted without error. 삭제delete 단말 접속부에 접속되어 있는 단말기의 데이터 포맷을 비교하여 상기 단말 접속부에 접속되어 있는 단말기의 종류를 파악하는 과정과;Comparing the data format of the terminal connected to the terminal connection unit to determine the type of the terminal connected to the terminal connection unit; 상기 단말기의 종류를 파악한 결과, 제1단말기이면 제1임피던스와 제1사용 전원을 상기 단말기에게 접속시키는 과정과;As a result of determining the type of the terminal, connecting a first impedance and a first power supply to the terminal if the terminal is a first terminal; 상기 단말기의 종류를 파악한 결과, 제2단말기이면 제2임피던스와 제2사용 전원을 상기 단말기에게 접속시키는 과정과;As a result of determining the type of the terminal, connecting a second impedance and a second power supply to the terminal if it is a second terminal; 음성 채널의 셋업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Checking whether a voice channel is set up; 상기 음성 채널의 셋업 여부를 확인한 결과, 제1 및 제2음성 채널이 셋업되어 있으면 상기 제1 및 제2음성 채널이 사용중임을 해당 포트의 레지스터에 등록한 후 서비스 루틴을 수행하는 과정과;Checking whether the voice channel is set up, and if the first and second voice channels are set up, registering the first and second voice channels in use in a register of a corresponding port and performing a service routine; 상기 음성 채널의 셋업 여부를 확인한 결과, 제1음성 채널이 셋업되어 있으면 상기 제1음성 채널이 사용중임을 해당 포트의 레지스터에 등록한 후 서비스 루틴을 수행하는 과정과;Checking whether the voice channel is set up, and if a first voice channel is set up, registering the first voice channel in use in a register of a corresponding port and performing a service routine; 상기 음성 채널의 셋업 여부를 확인한 결과, 제2음성 채널이 셋업되어 있으면 상기 제2음성 채널이 사용중임을 해당 포트의 레지스터에 등록한 후 서비스 루틴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의 단말기 접속 방법.And checking that the voice channel is set up, if the second voice channel is set up, registering the second voice channel in use in a register of a corresponding port and performing a service routine. Way.
KR1020000033923A 2000-06-20 2000-06-20 Apparatus and method for terminal matching in switching system KR1003541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3923A KR100354179B1 (en) 2000-06-20 2000-06-20 Apparatus and method for terminal matching in switch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3923A KR100354179B1 (en) 2000-06-20 2000-06-20 Apparatus and method for terminal matching in switch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0034A KR20020000034A (en) 2002-01-04
KR100354179B1 true KR100354179B1 (en) 2002-09-27

Family

ID=19672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3923A KR100354179B1 (en) 2000-06-20 2000-06-20 Apparatus and method for terminal matching in switch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417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622B1 (en) * 2005-07-13 2007-08-30 문인술 Jar type's double kett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3087A (en) * 1992-11-13 1994-06-25 정용문 Selective power supply method of terminal equipm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3087A (en) * 1992-11-13 1994-06-25 정용문 Selective power supply method of terminal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0034A (en) 2002-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02999A (en) Interface apparatus and method between a selector and a plurality of vocoder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35417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erminal matching in switching system
EP0167590B1 (en) Communication system having reconfigurable data terminals
JPH0870335A (en) Data communication controller
JP2972581B2 (en) PC compatible wireless modem card device
KR100297289B1 (en) Apparatus for union subscriber interfa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206745B1 (en) Method for controlling multi-trunk type signals between exchange stations
KR100222403B1 (en) Method of determining interface mode of key telephone system
KR100295831B1 (en) Integrated E1 trunk function and No.7 protocol function subsystem in switching system
JP3688900B2 (en) Exchange device, ISDN interface unit
US5881052A (en) Line signal analyzing method for use in an electronic switching system
JP3212221B2 (en) Slot interrupt device
JPS61184948A (en) Attribute information registration system for exchange
KR960016537B1 (en) Packet interface system in the isdn
FI109074B (en) Abonnentmultiplexeringsanordning
KR100492961B1 (en) DMP sending device and method in private exchange system
KR970000393B1 (en) A circuit for matching line of digital telephone system
JP3700480B2 (en) Voice response system
JPH05260183A (en) Isdn circuit state display system
JPS59114629A (en) Chain data controlling system
KR950023150A (en) Multi-terminal Interface Device of Integrated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JPH10257534A (en) Housing system for subscriber circuit
JP2003032378A (en) Bulk communication device and channel bulk communication system
JPH04183047A (en) Remote maintenance system
JPH0198395A (en) Terminal accommoda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