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3219B1 - A rotatable senser for controlling ignition timing of automobile - Google Patents

A rotatable senser for controlling ignition timing of automobi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3219B1
KR100353219B1 KR1020000050952A KR20000050952A KR100353219B1 KR 100353219 B1 KR100353219 B1 KR 100353219B1 KR 1020000050952 A KR1020000050952 A KR 1020000050952A KR 20000050952 A KR20000050952 A KR 20000050952A KR 100353219 B1 KR100353219 B1 KR 100353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blade
vehicle
magnet
ignition ti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09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20017551A (en
Inventor
권대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Priority to KR1020000050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3219B1/en
Publication of KR20020017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75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3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3219B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5/00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 F02P5/04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automatically, as a function of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engine or vehicle or of the atmospheric conditions
    • F02P5/145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automatically, as a function of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engine or vehicle or of the atmospheric conditions using electrical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gnition Installation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점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점화 장치의 점화 시기를 제어하는 회전 센서의 구조를 단면인 백 바이어스 타입으로 구성함으로써, 엔진 조립 및 실제 차량에서의 센서 파손 불량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점화 시기 제어용 회전 센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gnition device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by configuring the structure of the rotation sensor for controlling the ignition timing of the ignition device in a back bias type, which is a cross section, to improve the failure of sensor assembly in an engine assembly and an actual vehicle. It relates to a rotation sensor for controlling the vehicle ignition timing.

종래의 점화 시기 제어용 센서는 "ㄷ"자 모양의 센서 사이에 블레이드를 조립함으로써 엔진 조립시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ㄷ"자 모양의 센서와 블레이드 간의 간격이 1mm 밖에 되지 않아 엔진 조립시 조립 누적 공차가 발생하면 센서와 블레이드가 터치(Touch)되어 센서의 불량이 발생하게 되고, 실제 차량이 장시간 운행되면 차량의 진동 및 마모에 의해 블레이드가 센서에 터치되는 불량이 다량 발생하게 되며, 상측에 자석이 있고 하측에 홀 IC 및 이와 관련된 제어 회로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블레이드와 자석이 가까워서 엔진 조립시 자석의 파손이 발생하게 되고, 블레이드와 센서간의 간격 조정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Conventional ignition timing control sensor has a difficult problem when assembling the engine by assembling the blade between the "c" shaped sensor, the gap between the "c" shaped sensor and the blade is only 1mm, accumulate assembly during engine assembly When a tolerance occurs, the sensor and the blade are touched to cause a sensor defect. If the vehicle is operated for a long time, the blade is touched to the sensor by vibration and abrasion of the vehicle. Since the lower part is composed of a hall IC and a control circuit associated with the lower side, the blade and the magnet are close to each other, thereby causing breakage of the magnet when assembling the engine and making it impossible to adjust the gap between the blade and the sensor.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내연 기관을 이용하는 모든 자동차의 점화 장치에서 점화 시기를 제어하기 위한 회전 센서에 있어서,In the rotation sensor for controlling the ignition timing in the ignition device of all cars using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ㄴ"자 모양의 센서 상단에 블레이드를 위치시켜 회전축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이 회전 타이밍(Timing)을 감지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lade is placed on top of the "b" shaped sensor to detect the rotation timing (Timing) as it rotates by the rotation axis.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백 바이어스 구조로 자석이 홀 IC 뒤에 위치함으로써 조립시 자석의 파손 불량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자석의 파손 불량 방지로 부품의 신뢰성이 향상됨으로써 자동차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자동차의 성능 및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블레이드와 센서간의 간격을 자유로이 조종할 수 있으므로 자동차의 엔진 조립시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gnet is located behind the Hall IC in the back bias structure, thereby preventing the failure of the magnet during assembly, and the reliability of the parts is improved by preventing the failure of the magnet, thereby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automobile. As a result, the performance and lifespan of the vehicle can be improved, and the gap between the blade and the sensor can be freely manipulated, thereby improving the assemblability when assembling the engine of the vehicle.

Description

자동차 점화 시기 제어용 회전 센서{A rotatable senser for controlling ignition timing of automobile}A rotatable senser for controlling ignition timing of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점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점화 장치의 점화 시기를 제어하는 회전 센서의 구조를 단면인 백 바이어스 타입으로 구성함으로써, 엔진 조립 및 실제 차량에서의 센서 파손 불량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점화 시기 제어용 회전 센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gnition device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by configuring the structure of the rotation sensor for controlling the ignition timing of the ignition device in a back bias type, which is a cross section, to improve the failure of sensor assembly in an engine assembly and an actual vehicle. It relates to a rotation sensor for controlling the vehicle ignition timing.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굉장히 복잡한 구조로 되어 있지만 크게 나누면 새시(Chassis)와 바디(Body)로 나누어진다.In general, the car is a very complex structure, but the car is divided into a chassis and a body.

상기 새시는 자동차에서 바디를 떼어 낸 나머지 부분의 총칭이며 부품과 장치로써 프레임, 엔진, 동력 전달 장치, 현가 장치, 조향 장치, 브레이크 장치로 이루어진다.The chassis is a generic term for the rest of the body removed from the vehicle and consists of a frame, an engine, a power transmission device, a suspension device, a steering device and a brake device as parts and devices.

상기 엔진은 자동차를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장치로써, 실린더 블록 등 기관 주요부를 비롯하여 밸브 장치, 윤활 장치, 냉각 장치, 연료 장치, 점화 장치, 시동 장치 등의 여러 장치로 구성된다.The engine is a device for generating power for driving an automobile, and is composed of various devices such as a valve device, a lubrication device, a cooling device, a fuel device, an ignition device, a starter device, as well as an engine main part such as a cylinder block.

상기 점화 장치(Ignition System)는 연소실 내에 압축된 혼합기에 전기적 불꽃으로 점화하여 연소를 일으키게 하는 장치로써, 그 종류에는 축전지 점화식(Battery Ignition System), 자석 점화식(Magneto Ignition System), 트랜지스터 점화식 등이 있다.The ignition system is an apparatus that causes combustion by igniting an electric spark in a mixer compressed in a combustion chamber, and includes a battery ignition system, a magnet ignition system, a transistor ignition system, and the like. .

축전지 점화식 점화 장치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전지(1), 점화 스위치(2), 점화 코일(Ignition Coil)(3), 배전기(Distributor)(4), 점화 플러그(5)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battery ignition type ignition device includes a battery 1, an ignition switch 2, an ignition coil 3, a distributor 4, a spark plug 5, and the like. It is.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점화 장치의 작동을 살펴보면, 먼저 점화 스위치(2)를 닫으면 1차 전류는 축전지(1)에서 점화 스위치(2)를 거쳐 점화 코일(3)의 1차 코일(3a)에 흐른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ignition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ignition switch 2 is first closed, the primary current flows from the storage battery 1 to the primary coil 3a of the ignition coil 3 via the ignition switch 2.

이때, 전류는 단속기 접점(Break Point)(4a)이 닫히면 접지쪽으로 흐르고, 상기 단속기 접점(4a)이 열리면 1차 전류가 차단된다.At this time, the current flows toward the ground when the breaker contact point 4a is closed, and the primary current is blocked when the interrupter contact point 4a is opened.

한편, 점화 코일(3)의 2차 코일(3b)에는 자기 유도 작용(Self-Induction)에 의하여 높은 전압을 발생한다.On the other hand, a high voltage is generated in the secondary coil 3b of the ignition coil 3 by self-induction.

이렇게 발생된 높은 전압은 배전기(4)를 통하여 점화 플러그(5)에 가해져서 불꽃 방전을 일으켜 혼합 가스를 연소시킨다.The high voltage thus generated is applied to the spark plug 5 through the distributor 4 to cause a spark discharge to burn the mixed gas.

여기서, 점화 코일(3)은 20,000 ~ 30,000V 높은 전압의 전류를 발생시키는 승압 변압기로, 전자 유도 작용(Electro Magnetic Induction)과 상호 유도 작용(Mutual Induction)을 이용하여 철심(Core)에 감겨 있는 2개의 코일에서 입력쪽을 2차 코일(Secondary Coil)(3b)이라 부른다.Here, the ignition coil 3 is a step-up transformer for generating a current of a voltage of 20,000 ~ 30,000V high, 2 is wound on the core by using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Electro Magnetic Induction) and mutual induction (Mutual Induction) In the four coils, the input side is called a secondary coil 3b.

1차 전류는 직류이기 때문에 유도 전압은 나타나지 않는다.Since the primary current is direct current, no induced voltage appears.

그러나, 단속기로 1차 전류를 차단하면 자기 유도 작용으로 1차 코일(3a)에 전원 전압(축전지 전압)보다 높은 전압(E1)이 발생된다.However, when the primary current is interrupted by the interrupter, a voltage E 1 higher than the power supply voltage (battery voltage) is generated in the primary coil 3a by the magnetic induction action.

이 1차 코일(3a)쪽에 발생된 전압(E1)은 1차 코일(3a)의 권수, 전류의 크기, 전류의 변화 속도 및 철심의 재질에 따라 달라진다.The voltage E 1 generated on the primary coil 3a side depends on the number of turns of the primary coil 3a,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the rate of change of the current, and the material of the iron core.

또, 2차 코일(3b)에는 상호 유도 작용으로 거의 권수비에 비례하는 전압(E2)이 발생된다.In addition, the secondary coil 3b generates a voltage E 2 which is almost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turns by the mutual induction action.

즉, In other words,

여기서 N1: 1차 코일의 권수 N2: 2차 코일의 권수Where N 1 : number of turns of primary coil N 2 : number of turns of primary coil

상기와 같은 점화 코일(3)의 구조는 개자로 철심형과 폐자로 철심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개자로 철심형에는 피치 컴파운드형, 오일 주입형의 케이스형과 저압 철심형, 고압 철심형의 콜드형이 있고, 상기 폐자로 철심형에는 저압 철심형의 콜드형이 있다.The structure of the ignition coil (3) as described above is composed of iron core type and iron core type of the individual, the iron core type of the pitch compound, oil-filled case type and low pressure iron core, cold of high-pressure iron core type There is a type, and there is a cold type of low pressure iron core in the iron core type.

상기 폐자로 철심형은 일체형이라고도 하며, 1차 단자, 2차 단자 등이 절연성이 높은 합성수지로 코일 몸체와 일체로 되어 소형이고 가벼운 장점은 있으나, 방열성이 떨어지므로 이륜차에 많이 쓰인다.The closed core type is also called an integrated type, and the primary terminal, the secondary terminal, etc. are synthetic resins having high insulation, and are integrated with the coil body, so that they have a compact and light advantage, but are widely used in two-wheeled vehicles because they are inferior in heat dissipation.

한편, 개자로 철심형은 분리형이라고도 하며, 자동차에 많이 사용되는 것은 개자로 철심형의 케이스형으로서 코일과 케이스간의 절연을 위하여 피치 컴파운드를 충전시킨 것과 절연유를 주입한 오일 주입형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ron core type is a separate type, also known as a separate type, the car type is often used in automobiles are a case type of the iron core type is filled with a pitch compound for the insulation between the coil and the case and oil injection type injecting insulating oil.

피치 컴파운드형은 오래 전부터 사용하여 왔고, 오일 주입형은 냉각 효과가 우수하고 소형화가 가능하다.The pitch compound type has been used for a long time, and the oil injection type has excellent cooling effect and can be miniaturized.

상기 점화 코일은 성능상 중요한 특성 즉, 속도 특성과 온도 특성이 있으며, 상기 속도 특성은 엔진의 회전 속도가 증가됨에 따라 방전 간극이 좁아져 규정 회전속도에서 6mm 이상 유지해야 한다.The ignition coil has important performance characteristics, that is, speed characteristics and temperature characteristics, and the speed characteristics should be maintained at 6 mm or more at a prescribed rotation speed as the discharge gap becomes narrower as the rotation speed of the engine increases.

또한, 온도 특성은 고전압을 발생하기 때문에 전장품 가운데서 가장 그 절연성이 중요시되고 있으며, 절연 저항과 내압은 온도의 상승에 따라 저하되나 80℃에서 10MΩ 이상이어야 한다.In addition, since the thermal characteristics generate high voltage, the insulation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important among electrical appliances, and the insulation resistance and the breakdown voltage decrease with increasing temperature, but should be 10 MΩ or more at 80 ° C.

온도가 상승되면 1차 코일의 저항이 증가되어 1차 전류가 감소되고, 이에 따라 2차쪽의 방전 간극이 작게 되기 때문에 80℃에서의 성능을 규정하고 있다.When the temperature rises, the resistance of the primary coil is increased to decrease the primary current, and accordingly, the discharge gap on the secondary side is reduced, thereby defining performance at 80 ° C.

상기 배전기(4)는 점화 코일(3)에 유도된 고압의 전류를 엔진의 점화 순서에 따라 각 실린더의 점화 플러그(5)에 분배하고 그 내부에 점화 코일(3)의 1차 전류를 단속하는 단속기, 단속기 접점의 소손을 방지하는 축전지(1) 및 점화 시기(Ignition Timing)를 알맞게 조정하는 점화 진각 장치 등이 캠축 또는 크랭크축에 의하여 구동되며, 4사이클 엔진에서는 크랭크축의 1/2 회전 속도, 2사이클 엔진에서는 크랭크축에 의해 1:1로 구동된다.The distributor 4 distributes the high-pressure current induced in the ignition coil 3 to the spark plug 5 of each cylinder according to the ignition order of the engine, and interrupts the primary current of the ignition coil 3 therein. The camshaft or crankshaft is driven by the camshaft or crankshaft to adjust the chopper, the battery 1 to prevent burnout of the contactor contacts, and the ignition timing. In a two-cycle engine, it is driven 1: 1 by the crankshaft.

상기 배전기(4)의 주요 기능은, 기관의 회전 속도에 따라 점화 시기를 조정하고, 점화 순서에 따라 고압의 전기를 점화 플러그(5)에 보내며, 1차 전류를 단속하여 2차 코일에 고압 전기를 유도케 한다.The main function of the distributor 4 is to adjust the ignition timing according to the rotational speed of the engine, to send the high-voltage electricity to the spark plug 5 according to the ignition order, to interrupt the primary current to the secondary coil To induce.

상기와 같이 내연 기관을 이용하는 모든 자동차의 점화 장치에서 점화 시기를 제어하기 위한 회전 센서 즉, 캠 위치 센서(Cam Position Sensor 이하 CPS 라 칭함), 크랭크 각 센서(Crank Angle Sensor 이하 CAS 라 칭함) 및 회전 블레이드(Blade)가 도 2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모양의 센서(10) 사이에 블레이드(20)가 들어가서 회전축(30)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이 회전 타이밍(Timing)을 감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rotation sensor for controlling the ignition timing in all the ignition apparatuses using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that is, the cam position sens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CPS or below), the crank angle sensor (hereafter referred to as CAS or below) and the rotation The blade is configured to detect the timing of the rotation (Timing) as the blade 20 enters between the "c" shaped sensor 10 as shown in Figure 2a and rotated by the rotation axis 30 have.

상기 센서(10)는 도 2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a)의 내부 상측에 자석(10c)이 있고, 상기 케이스(10a)의 내부 하측에 홀 IC(10b) 및 이와 관련된 제어 회로(10d)를 위치시킨 양면 타입의 인터럽트(Interrupt) 형으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B, the sensor 10 includes a magnet 10c inside the case 10a and a hall IC 10b and a related control circuit 10d below the case 10a. It consists of a double-sided interrupt type with).

이때, 상기 센서(10)와 블레이드(20)는 도 2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1mm의 간격을 두고 고정되도록 "ㄷ"자 모양의 센서(10) 사이에 블레이드(20)가 삽입 고정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sensor 10 and the blade 20, as shown in Figure 2c, the blade 20 is inserted and fixed between the "c" shaped sensor 10 to be fixed at intervals of 1mm.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점화 시기 제어용 센서는, 상기 "ㄷ"자 모양의 센서(10) 내부에 위치된 자석(10c)과 홀 IC(10b) 사이를 금속 자성체인 블레이드(20)가 지나감에 따라 상기 자석(10c)의해 흐르는 자속을 차단하고, 반면에 상기 "ㄷ"자 모양의 센서(10) 내부에 위치된 자석(10c)과 홀 IC(10b) 사이를 금속 자성체인 블레이드(20)가 지나가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자석(10c)의해 흐르는 자속을 통과시키는 동작을 반복하여 신호를 출력시키게 된다.The ignition timing control senso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s the blade 20, which is a magnetic metal, passes between the magnet 10c and the hall IC 10b located inside the "c" shaped sensor 10, The magnetic flux flowing by the magnet 10c is blocked, while the blade 20, which is a magnetic metal, passes between the magnet 10c and the hole IC 10b located inside the “c” shaped sensor 10. If not, the operation of passing the magnetic flux flowing through the magnet 10c is repeated to output a signal.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점화 시기 제어용 센서는 "ㄷ"자 모양의 센서 사이에 블레이드를 조립함으로써 엔진 조립시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ㄷ"자 모양의 센서와 블레이드 간의 간격이 1mm 밖에 되지 않아 엔진 조립시 조립 누적 공차가 발생하면 센서와 블레이드가 터치(Touch)되어 센서의 불량이 발생하게 되고, 실제 차량이 장시간 운행되면 차량의 진동 및 마모에 의해 블레이드가 센서에 터치되는 불량이 다량 발생하게 된다.However, the conventional ignition timing control sensor as described above has a difficult problem when assembling the engine by assembling the blade between the "c" shaped sensor, the distance between the "c" shaped sensor and the blade is only 1mm. If the accumulated accumulation tolerance occurs when assembling the engine, the sensor and the blade are touched to cause the sensor to be defective.If the actual vehicle runs for a long time, the blade is touched to the sensor due to the vibration and wear of the vehicle. do.

또한, 상측에 자석이 있고 하측에 홀 IC 및 이와 관련된 제어 회로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블레이드와 자석이 가까워서 엔진 조립시 자석의 파손이 발생하게 되며, 블레이드와 센서간의 간격 조정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re is a magnet on the upper side and the hall IC and the related control circuit on the lower side, the blade and the magnet are close to each other, so that the breakage of the magnet occurs when the engine is assembled, and the gap between the blade and the sensor cannot be adjusted.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점화 장치의 점화 시기를 제어하는 회전 센서의 구조를 단면인 백 바이어스 타입으로 구성함으로써, 엔진 조립 및 실제 차량에서의 센서 파손 불량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점화 시기 제어용 회전 센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by configuring the rotation sensor for controlling the ignition timing of the ignition device in a back bias type, which is a cross section, sensor breakdown in an engine assembly and an actual vehicl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otation sensor for controlling a vehicle ignition timing to improve the defec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차 점화 시기 제어용 회전 센서는,Rotation sensor for controlling the vehicle ignition timing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내연 기관을 이용하는 모든 자동차의 점화 장치에서 점화 시기를 제어하기 위한 회전 센서에 있어서,In the rotation sensor for controlling the ignition timing in the ignition device of all cars using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ㄴ"자 모양의 센서 상단에 블레이드를 위치시켜 회전축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이 회전 타이밍(Timing)을 감지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lade is placed on top of the "b" shaped sensor to detect the rotation timing (Timing) as it rotates by the rotation axis.

도 1 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점화 장치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ignition device of a typical vehicle;

도 2a 내지 도 2c 는 일반적인 점화 시기 제어용 회전 센서의 구성도,2a to 2c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rotation sensor for general ignition timing control,

도 3a 내지 도 3c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점화 시기 제어용 회전 센서의 구성도,3a to 3c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rotation sensor for controlling the vehicle ignition tim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도 3 의 홀 IC 에 대한 내부 회로 구성도이다.4 is an internal circuit diagram of the hall IC of FIG. 3.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축전지 2 : 점화 스위치1: storage battery 2: ignition switch

3 : 점화 코일 4 : 배전기3: ignition coil 4: distributor

5 : 점화 플러그 15 : 센서5: spark plug 15: sensor

20 : 블레이드 30 : 회전축20: blade 30: rotation axis

15a : 케이스 15b : 홀 IC15a: Case 15b: Hall IC

15c : 자석 15d : 제어 회로15c: magnet 15d: control circuit

15e : 케이블15e: cab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점화 시기 제어용 회전 센서는 도 3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연 기관을 이용하는 모든 자동차의 점화 장치에서 점화 시기를 제어하기 위한 회전 센서에 있어서,As shown in FIG. 3A, the rotation sensor for controlling the ignition timing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tation sensor for controlling the ignition timing in all the ignition apparatuses of the automobile using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ㄴ"자 모양의 센서(15) 상단에 블레이드(20)를 위치시켜 회전축(30)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이 회전 타이밍(Timing)을 감지하도록 구성한다.The blade 20 is placed on top of the “b” shaped sensor 15 and configured to detect the timing of rotation as it is rotated by the rotation shaft 30.

상기 센서(15)는 도 3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5a)의 내부 상단에 홀 IC(15b)가 있고, 상기 홀 IC(15b)의 하단에 자석(15c)을 위치시킨 백 바이어스(Back Bias) 구조로 구성하며, 상기 케이스(15a)의 내부 하측에는 이와 관련된 제어 회로(15d)를 포함하여 구성한다.As shown in FIG. 3B, the sensor 15 has a Hall IC 15b at the upper end of the case 15a, and a back bias having the magnet 15c positioned at the lower end of the Hall IC 15b. Bias) structure, and includes a control circuit (15d) associated with the lower side of the case (15a).

이때, 상기 센서(15)와 블레이드(20)는 도 3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고 3mm의 간격까지 자유로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ㄴ"자 모양의 센서(15) 사이에 블레이드(20)를 위치시켜 고정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sensor 15 and the blade 20, as shown in Figure 3c, by positioning the blade 20 between the "b" shaped sensor 15 to be freely adjustable up to a gap of up to 3mm It is fixed.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자동차 점화 시기 제어용 회전 센서는, 회전축(30)을 중심으로 강자성체 금속인 블레이드(20)가 회전하면, 상기 블레이드(20)의 회전에 따라 센서(15)의 케이스(15a) 내부에 위치한 자석(15c)에 의해 홀 IC(15b)의 전면부에 형성된 자속이 변하게 된다.The rotation sensor for controlling the vehicle ignition tim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case 15a of the sensor 15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blade 20 when the blade 20 made of ferromagnetic metal rotates around the rotation shaft 30. The magnetic flux formed in the front part of the hall IC 15b is changed by the magnet 15c located inside the N-axis.

상기와 같이 홀 IC(15b)의 전면부에 형성된 자속이 변함에 따라서 상기 홀 IC(15b) 내부의 전류와 전압이 변하게 됨으로써, 상기 센서(15)는 오픈 콜렉터(Open Collector) 방식으로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As the magnetic flux formed in the front part of the hall IC 15b is changed as described above, the current and voltage inside the hall IC 15b are changed, so that the sensor 15 outputs a signal in an open collector method. Done.

즉, 상기 블레이드(20)가 회전하여 상기 센서(15)에 접촉되면 상기 센서(15)의 내부에 위치된 홀 IC(15b)는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 회로(15b-1)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 전압(Vcc)이 홀 소자(15b-2)를 통하여 증폭기(15b-3)에서 증폭되고, 상기 증폭기(15b-3)를 통하여 증폭된 전원은 슈미트 트리거(15b-4)를 통하여 출력 트랜지스터(15b-5)로 "하이" 레벨을 출력시킨다.That is, when the blade 20 rotates to contact the sensor 15, the hall IC 15b located inside the sensor 15 may turn off the power supply circuit 15b-1 as shown in FIG. 4. The power supply voltage Vcc supplied through the amplifier 15b-3 is amplified by the Hall element 15b-2, and the power amplified through the amplifier 15b-3 is supplied through the Schmitt trigger 15b-4. The "high" level is output to the output transistor 15b-5.

반면에, 상기 블레이드(20)가 회전하여 상기 센서(15)에서 멀어지면 상기 센서(15)의 내부에 위치된 홀 IC(15b)는, 전원 회로(15b-1)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 전압(Vcc)이 홀 소자(15b-2)를 통하여 증폭기(15b-3)에서 증폭되고, 상기 증폭기(15b-3)를 통하여 증폭된 전원은 슈미트 트리거(15b-4)를 통하여 출력 트랜지스터(15b-5)로 "로우" 레벨을 출력시킨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blade 20 rotates and moves away from the sensor 15, the hall IC 15b located inside the sensor 15 may receive a power supply voltage supplied through the power supply circuit 15b-1. Vcc is amplified in the amplifier 15b-3 through the hall element 15b-2, and the power amplified through the amplifier 15b-3 is output through the Schmitt trigger 15b-4. Outputs a "low" level.

따라서, 상기와 같이 "하이" 레벨과 "로우" 레벨을 반복하여 출력시키는 홀 IC(15b)에 의해 상기 센서(15)가 점화 장치의 점화 시기를 제어하게 된다.Therefore, the sensor 15 controls the ignition timing of the ignition device by the hall IC 15b which repeatedly outputs the "high" level and the "low" level as described above.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점화 시기 제어용 회전 센서는, 백 바이어스 구조로 자석이 홀 IC 뒤에 위치함으로써 조립시 자석의 파손 불량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자석의 파손 불량 방지로 부품의 신뢰성이 향상됨으로써 자동차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자동차의 성능 및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블레이드와 센서간의 간격을 자유로이 조종할 수 있으므로 자동차의 엔진 조립시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rotation sensor for controlling the vehicle ignition tim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ack bias structure, and the magnet is located behind the hall IC, thereby preventing the failure of the magnet during assembly. This improves the quality of the car, thereby improving the performance and life of the car, and can freely control the gap between the blade and the sensor, thereby improving the assemblability when assembling the engine of the car. have.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Although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only with respect to the specific examples describe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belong to the appended claims.

Claims (3)

내연 기관을 이용하는 모든 자동차의 점화 장치에서 점화 시기를 제어하기 위한 회전 센서에 있어서,In the rotation sensor for controlling the ignition timing in the ignition device of all cars using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ㄴ"자 모양의 센서(15) 상단에 블레이드(20)를 위치시켜 회전축(30)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이 회전 타이밍(Timing)을 감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점화 시기 제어용 회전 센서.Rotation sensor for controlling the vehicle ignition timing,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sense the rotation timing (Timing) as the blade 20 is positioned on the top of the "b" shaped sensor (15) to rotate by the rotary shaft (30).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센서(15)는,The sensor 15, 케이스(15a)의 내부 상단에 홀 IC(15b)가 있고,There is a Hall IC 15b at the upper inside of the case 15a, 상기 홀 IC(15b)의 하단에 자석(15c)을 위치시킨 백 바이어스(Back Bias) 구조로 구성하며,It has a back bias structure in which the magnet 15c is placed at the lower end of the hall IC 15b, 상기 케이스(15a)의 내부 하측에는 이와 관련된 제어 회로(15d)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점화 시기 제어용 회전 센서.Rotation sensor for controlling the vehicle ignition tim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circuit (15d) associated with the lower side inside the case (15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센서(15)는,The sensor 15, 블레이드(20)와 최고 3mm의 간격까지 자유로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점화 시기 제어용 회전 센서.Rotation sensor for controlling the vehicle ignition timing,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freely adjustable up to a blade 20 and the interval of up to 3mm.
KR1020000050952A 2000-08-31 2000-08-31 A rotatable senser for controlling ignition timing of automobile KR1003532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0952A KR100353219B1 (en) 2000-08-31 2000-08-31 A rotatable senser for controlling ignition timing of automob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0952A KR100353219B1 (en) 2000-08-31 2000-08-31 A rotatable senser for controlling ignition timing of automobi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7551A KR20020017551A (en) 2002-03-07
KR100353219B1 true KR100353219B1 (en) 2002-09-18

Family

ID=19686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0952A KR100353219B1 (en) 2000-08-31 2000-08-31 A rotatable senser for controlling ignition timing of automobi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3219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7551A (en) 2002-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07348A (en) Breakerless magneto device
JPH03154311A (en) Ignition coil
US4337408A (en) Plasma jet ignition plug
US6255930B1 (en) Ignition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890001736B1 (en) Electronic ignition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3370190A (en) Electromagnetic pickup device
KR100353219B1 (en) A rotatable senser for controlling ignition timing of automobile
US6422225B1 (en) Ignition coil and method of making
US3087000A (en) Ignition system for combustion engines
US2382808A (en) Magneto ignition device with inter
US6292082B1 (en) Ignition devic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3028524A (en) Ignition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4757788A (en) Ignition system
US3362389A (en) Ignition system
US6222435B1 (en) Stick coil for igntion systems
JPH0311876Y2 (en)
JP2003017342A (en) Ignition coil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RU2216808C2 (en) Ignition coil
US20020078926A1 (en) Magnetically energized ignition system for a small engine
EP0018217B1 (en) Apparatus for supplying high voltage pulses
US2124528A (en) Electric ignition system
KR19990053670A (en) Spark plug
Lerchenmüller et al. Ignition coils
JP4410196B2 (en) Ignition coil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1482192A (en) Igni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