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2876B1 - Plate for heat exchanger having enhanced evaporating performance and heat exchanger using it - Google Patents

Plate for heat exchanger having enhanced evaporating performance and heat exchanger using 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2876B1
KR100352876B1 KR1020000000767A KR20000000767A KR100352876B1 KR 100352876 B1 KR100352876 B1 KR 100352876B1 KR 1020000000767 A KR1020000000767 A KR 1020000000767A KR 20000000767 A KR20000000767 A KR 20000000767A KR 100352876 B1 KR100352876 B1 KR 100352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ds
plate
heat exchanger
refrigerant
s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07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00062444A (en
Inventor
신승학
김용호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00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2876B1/en
Publication of KR20000062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2444A/en
Priority to JP2001000858A priority patent/JP3911574B2/en
Priority to US09/757,077 priority patent/US6520251B2/en
Priority to EP01100450A priority patent/EP1114974B1/en
Priority to DE60104730T priority patent/DE60104730T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2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2876B1/en
Priority to US10/330,467 priority patent/US6786277B2/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s
    • F28D1/0308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s the conduits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 F28D1/0325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s the conduits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plates having lateral openings therein for circulation of the heat-exchange medium from one conduit to another
    • F28D1/033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s the conduits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plates having lateral openings therein for circulation of the heat-exchange medium from one conduit to another the plates having integrated connecting members
    • F28D1/0341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s the conduits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plates having lateral openings therein for circulation of the heat-exchange medium from one conduit to another the plates having integrated connecting members with U-flow or serpentine-flow inside the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 F28F3/04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 F28F3/04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in the form of local deformations of the element
    • F28F3/044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in the form of local deformations of the element the deformations being pontual, e.g. dimp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46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der boxes with flow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층형 열교환기용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냉매유동성을 높이고, 열교환기의 소형화를 구현하면서 최적의 열교환성능을 도모하며, 또한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te for a laminated heat exchanger and a heat exchanger using the same, and aims to increase the refrigerant fluidity, achieve the miniaturization of the heat exchanger, achieve an optimum heat exchange performance, and improve durability.

본 발명에 따르면, 플레이트의 열교환부(23)에 형성된 비드(25)들이 규칙적으로 배열된다. 이 비드들중 폭방향으로 인접하는 두 비드열을 연결하는 중심선이 형성하는 면적(S)과 열교환부의 폭과의 비율(S/L)은 0.89mm≤S/L≤1.5mm이다. 열교환부의 냉매배출측 플랜지(29)와 이와 폭방향으로 인접하는 비드 사이의 유로간격(Gs)은 0.15mm≤Gs≤1.6mm이다. 열교환부를 좌우로 반분하는 구획비드(24)의 하단 연장선상에 다수의 비드가 형성되고, 구획비드와 인접하는 2개의 비드는 다른 비드들보다 크게 형성된다. U턴부(27)의 양쪽 모서리부에는 대각선방향으로 보강비드(28)가 길게 형성된다. 블랭크 플레이트쪽의 매니폴드 플레이트에 있어서 냉매유입관측 제1슬로트(22a)의 길이 및 폭은 다른 것들보다 짧다. 반원형 매니폴드(131)와 연결되는 컵(21)의 하부에 3개의 수직비드(26)가 형성되고, 이들중 양쪽 수직비드 바깥쪽 유로는 막힌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eads 25 formed in the heat exchange part 23 of the plate are regularly arranged. Among these beads, the ratio S / L of the area S formed by the center line connecting two adjacent rows of beads in the width direction to the width of the heat exchanger portion is 0.89 mm ≤ S / L ≤ 1.5 mm. The flow path spacing Gs between the refrigerant discharge side flange 29 of the heat exchange part and the beads adjacent in the width direction is 0.15 mm ≤ Gs ≤ 1.6 mm. A plurality of beads are formed on the bottom extension of the partition bead 24 that splits the heat exchange part left and right, and two beads adjacent to the partition bead are formed larger than the other beads. Reinforcing beads 28 are formed in both corners of the U-turn part 27 in a diagonal direction. In the manifold plate on the blank plate side, the length and width of the refrigerant inlet side first slot 22a are shorter than others. Three vertical beads 26 ar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up 21 connected to the semi-circular manifold 131, and both of these vertical bead outer passages are blocked.

Description

열교환성능을 향상시킨 적층형 열교환기용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열교환기{PLATE FOR HEAT EXCHANGER HAVING ENHANCED EVAPORATING PERFORMANCE AND HEAT EXCHANGER USING IT}Plate for heat exchanger with improved heat exchange performance and heat exchanger using same {PLATE FOR HEAT EXCHANGER HAVING ENHANCED EVAPORATING PERFORMANCE AND HEAT EXCHANGER USING IT}

본 발명은 에컨대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에 사용되는 열교환기를 구성하는 열교환성능을 향상시킨 적층형 열교환기용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냉매흐름의 편류를 방지하고 냉매의 난류효과를 높여 냉매유동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열교환성능을 높일 수 있고, 플레이트의 폭과 비드의 배열관계에 있어서 일정한 규칙을 갖도록 함으로써 열교환기의 소형화를 구현할 수 있으며, 두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플랫튜브에 있어서 압력이 높은 냉매의 곡선유동부분에서의 접착 강성을 확보함으로써 조립성 및 내구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열교환성능을 향상시킨 적층형 열교환기용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minated heat exchanger plate having improved heat exchange performance constituting a heat exchanger used in an automobile air conditioner, and a heat exchanger using the same.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flow of refrigerant and improves the turbulence effect of the refrigerant. The heat exchange performance can be improved 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heat exchanger, and the heat exchanger can be miniaturized by having a certain rule in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width of the plate and the bead, and the curved flow portion of the high pressure refrigerant in the flat tube composed of two plat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te for a laminated heat exchanger and a heat exchanger using the same, which has improved heat exchange performance, which can improve assembly and durability by securing adhesive rigidity.

열교환기는 그 내부에 냉매가 흐를 수 있는 통로를 구비함으로써 냉매와 외기가 열교환되도록 이루어진 장치로서 각종 공기조화장치에 사용되며 특히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는 적층형 열교환기가 주로 사용된다.The heat exchanger is a device configured to exchange heat between the refrigerant and the outside air by providing a passage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s, and is used in various air conditioners, and in particular, a laminated heat exchanger is mainly used in an automobile air conditioner.

이러한 적층형 열교환기는,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 슬로트(912)를 가진 한 쌍의 컵(911,911)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컵(911,911)과 통하는 중앙부에는 다수의 비드(915)들이 엠보싱 가공에 의하여 내면으로 돌출형성되며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된 구획비드(917)에 의하여 하단부에는 U턴부(919)가 형성된 1-탱크 플레이트(91) 2개가 서로 접합됨으로써 한 쌍의 탱크(93,93) 및 전체적으로 U자형 통로를 가지는 플랫튜브(90)군과, 상기 플랫튜브(90)들 사이에 적층되는 핀(94)군과, 상기 플랫튜브(90)군 및 핀(94)군의 보강을 위하여 이들의 최외측에 설치되는 두 엔드 플레이트(95,9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플랫튜브(90)군중 소정의 설정유로에 따라 어느 두 플랫튜브(90,90)의 어느 한 탱크(93)에는 냉매유입관(미도시) 및 냉매배출관(미도시)과 연결되는 매니폴드(96)가 각각 돌출설치되어 있다. 예컨대 이러한 열교환기로서 증발기가 채용된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는 팽창밸브(미도시) 및 냉매유입관을 거쳐 매니폴드(96)를 통하여 냉매가 냉매유입관측 튜브(90)의 한 탱크(93)에 유입되면 슬로트(912)들을 통하여 인접 플랫튜브(90)의 탱크(93)들로 냉매가 유동함과 아울러 이 인접 플랫튜브(90)의 탱크(93) 및 매니폴드 튜브(90)의 탱크(93)에서 U자형 통로를 통하여 각 튜브(90)의 다른 쪽 탱크(93)군으로 냉매가 유동하는 과정에서 냉매과 송풍공기와 열교환되고, 다음에 다시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쳐 냉매배출관측의 매니폴드(96)과 연결된 탱크(93)로 냉매가 유동하여 매니폴드(96) 및 냉매배출관을 통하여 압축기로 냉매가 배출된다. 열교환된 냉매는 증발되어 가스 상태로 압축기로 공급된다. 한편, 2-탱크 플레이트의 경우에는 상단부의 두 컵(911,911) 이외에 하단부에도 한쌍의 컵이 더 형성되어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 및 작용이 전술한 1-탱크 플레이트와 모두 동일하므로 이하 편의상 1-탱크 플레이트만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15 to 17, the stacked heat exchanger has a pair of cups 911 and 911 having a slot 912 at the top thereof, and a plurality of beads in a central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pair of cups 911 and 911. 915 are projected into the inner surface by the embossing process, and the two-piece tank plate 91 formed with the U-turn 919 at the lower end is joined to each other by a partition bead 917 formed vertically in the center of the pair of tanks. (93,93) and a group of flat tubes (90) having a U-shaped passage as a whole, a group of pins (94) stacked between the flat tubes (90), the group of flat tubes (90) and the pin (94) It comprises two end plates 95 and 95 installed on their outermost side for reinforcement of the group. In addition, the tank 93 of any one of the two flat tubes 90 and 90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flow path among the flat tube 90 groups has a manifold connected to a refrigerant inlet pipe (not shown) and a refrigerant discharge pipe (not shown). 96 are projected respectively. For example, in an air conditioner employing an evaporator as the heat exchanger, a refrigerant flows into a tank 93 of the refrigerant inlet tube 90 through a manifold 96 through an expansion valve (not shown) and a refrigerant inlet tube. When the refrigerant flows through the slots 912 into the tanks 93 of the adjacent flat tube 90, the tank 93 of the adjacent flat tube 90 and the tank 93 of the manifold tube 90. Heat exchange with the refrigerant and the blowing air in the process of flowing the refrigerant through the U-shaped passage to the other tank 93 group of each tube 90, and then again through the process as described above to the manifold on the refrigerant discharge pipe side The refrigerant flows into the tank 93 connected to the 96, and the refrigerant is discharged to the compressor through the manifold 96 and the refrigerant discharge pipe. The heat exchanged refrigerant is evaporated and supplied to the compressor in a gaseous state.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two-tank plate, except that two cups (911,911) in the upper portion, a pair of cups ar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except that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1-tank plate all 1-tank for convenience Only the plate will be described by way of example.

송풍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켜 자동차 실내로 제공하는 증발기의 성능은 열전달율과 면적의 곱의 값에 의하여 좌우되며, 저온의 냉매가 흐르는 플랫튜브(90)군 사이에 적층되는 핀(94)군을 매개로 냉매의 냉열과 송풍공기의 고열의 열교환에 의하여 나타난다. 즉, 냉매가 증발하기 위해서는 열매체보다 큰 열량을 갖는 외부열을 필요로 하며, 열매체의 증발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결과적으로 핀(94)과 접촉하는 플레이트(91)의 열교환면적은 넓힘과 동시에 열전달율을 높여야 한다. 하지만,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용으로 사용되는 열교환기는 자동차의 중량감소, 소음저감, 풍량증대 및 자동차의 장착성 확보라는 측면에서 열교환성능이 높은 반면에 소형화될 것이 요구되고 있으므로 플레이트의 열교환면적을 무한정 늘이기는 어렵다.The performance of the evaporator that heats the blower air with the refrigerant and provides it to the vehicle interior depends on the value of the product of the heat transfer rate and the area, and mediates the group of fins 94 that are stacked between the groups of flat tubes 90 where low temperature refrigerant flows. This is caused by the heat exchange between the cold heat of the refrigerant and the high heat of the blowing air. That is, in order for the refrigerant to evaporate, an external heat having a larger amount of heat than that of the heat medium is required, and in order to increase the evaporation effect of the heat medium, the heat exchange area of the plate 91 in contact with the fin 94 is increased, and at the same time, the heat transfer rate is increased. It should be elevated. However, the heat exchanger used for automobile air conditioner is required to be miniaturized due to its high heat exchange performance in terms of weight reduction, noise reduction, air volume increase, and securing of vehicle mounting. it's difficult.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핀(94)의 높이를 낮춤과 아울러 핀(94)의 조밀도를 높이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지만, 이 방법은 열교환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의 배수문제, 송풍공기의 압력 강하 및 풍량 감소의 문제 때문에 어떤 경우에는 오히려 열교환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method of lowering the height of the fin 94 and increasing the density of the fin 94 has been proposed, but this method has a problem of drainage of condensate from the heat exchanger, pressure drop in the blower air, and air volume. In some cases, the heat exchange performance may be lowered due to the problem of reduction.

또한, 열교환 성능에 중요한 요인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 보면 플레이트(91)에 형성되는 비드(915)의 수, 크기, 형상, 배열 또는 비드(915)들 사이의 간격이 냉매의 유로 면적에 큰 영향을 미친다. 즉, 용량이 큰 열교환기의 경우에는 비드(915)의 배열에 따른 영향이 다소 작을 수 있지만 플레이트(91)의 폭이 작은콤팩트형 열교환기에 있어서는 비드(915)의 영향이 크게 작용한다. 즉, 비드(915)의 크기가 플레이트(91) 폭에 비하여 어떤 비례치 이상으로 크고 비드(915)의 배열이 조밀하지 않을 경우에는 냉매의 유동저항은 작지만 냉매가 편류함과 아울러 비드(915)에 의한 냉매의 난류효과가 감소하고, 핀(94)과의 열적 접촉율도 감소함으로써 열교환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비드(915)의 크기가 플레이트(91) 폭에 비하여 크고 비드(915)의 배열도 조밀할 경우에는 냉매의 유동저항이 크기 때문에 냉매의 증발효과가 크게 저하된다. 이러한 경우 비드의 크기를 작게 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지만 비드의 크기를 소정의 크기 이하로 만드는 것은 제조기술상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두 플레이트간의 접합문제가 발생하는 문제 때문에 제약이 따른다.In additi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heat exchange performance, the number, size, shape, arrangement or spacing of the beads 915 formed in the plate 91 has a large effect on the flow path area of the refrigerant. Crazy That is, in the case of a heat exchanger having a large capacity, the influence of the arrangement of the beads 915 may be somewhat small, but in the compact heat exchanger having a small width of the plate 91, the influence of the beads 915 is large. That is, when the size of the beads 915 is greater than a certain proportional value compared to the width of the plate 91 and the arrangement of the beads 915 is not dense, the flow resistance of the refrigerant is small but the refrigerant flows and the beads 915 By reducing the turbulent flow effect of the refrigerant, and also the thermal contact rate with the fin 94 can be reduced heat exchange efficiency. In addition, when the size of the beads 915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plate 91 and the arrangement of the beads 915 is dense, the evaporation effect of the refrigerant is greatly reduced because the flow resistance of the refrigerant is large. In this case, it may be considered to reduce the size of the beads, but it is not possible to make the size of the beads below a predetermined size, which is impossible due to manufacturing technology, and there are limitations due to the problem of bonding between the two plates.

플레이트(91)는 일반적으로 클래드 처리된 브레이징 시트에 의하여 성형되어 이루어지며, 상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컵(911,911)과, 다수의 비드(915)가 형성된 열교환부(913)와, 구획비드(917)와, 그리고 U턴부(919)를 가진다. 두 플레이트(91,91)의 접합에 의하여 플랫튜브(90)가 이루어지며, 이 플랫튜브(90)는 한 쌍의 컵(911,911)이 접합되어 이루어지는 한 쌍의 탱크(93)를 가진다. 따라서, 플랫튜브(90)의 한 쪽 탱크(93)로부터 다른 한 쪽 탱크(93)로 냉매가 유동하는 과정에서 냉매는 U턴부(919)를 거치게 되는데, U턴부(919)를 거치면서 냉매는 곡선유동하므로 냉매의 유동방향이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반대방향으로 바뀌고 이 때문에 U턴부(919)에는 플랫튜브(90)의 다른 유로 부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압력이 작용한다. 하지만, 이 U턴부(919)에는 두 플레이트(91,91)의 서로 대응하는 비드(915,915)들만이 접합되어 있고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구획비드(917)는 U턴부(919)의 아래쪽 끝까지 연장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U턴부(919) 영역은 구획비드(917)가 위치하는 영역보다 상대적으로 취약하다. 따라서 냉매의 높은 유동압력에 의하여 서로 접합된 비드(915,915)들이 분리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U턴부(919) 영역의 비드(915)들이 분리되면 냉매의 높은 유동압력이 분산되지 못하고 곧바로 U턴부(919) 영역의 서로 접합되어 플랫튜브(90)의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플랜지(916,916)에 작용함으로써 고압을 이기지 못하고 플랜지(916,916)이 벌어져 냉매가 누설될 우려가 있다.The plate 91 is generally formed by cladding a brazing sheet, and as described above, a pair of cups 911 and 911, a heat exchanger 913 in which a plurality of beads 915 are formed, and a partition bead ( 917 and a U-turn 919. The flat tube 90 is formed by the joining of two plates 91 and 91, and the flat tube 90 has a pair of tanks 93 in which a pair of cups 911 and 911 are joined. Therefore, during the flow of the refrigerant from one tank 93 of the flat tube 90 to the other tank 93, the refrigerant passes through the U-turn part 919, while the refrigerant passes through the U-turn part 919. Because of the flow of the curve, the flow direction of the refrigerant is changed from the bottom to the opposite direction. Therefore, a relatively large pressure is applied to the U-turn portion 919 as compared to other flow path portions of the flat tube 90. However, only the beads 915 and 915 corresponding to each other of the two plates 91 and 91 are joined to the U-turn part 919 and the partition bead 917 formed vertically in the center extends to the lower end of the U-turn part 919. The U-turn portion 919 region is relatively weaker than the region where the partition bead 917 is located because it is not. Therefore, the beads 915 and 915 bonded to each other may be separated by the high flow pressure of the refrigerant. When the beads 915 in the U-turn 919 region are separated in this way, the high flow pressure of the refrigerant cannot be dispersed, and the flanges 916 and 916 are joined directly to each other in the U-turn 919 region to form the edges of the flat tube 90. By acting on the flange, the flanges 916 and 916 can be opened without overcoming the high pressure, and the refrigerant may leak.

이와 같은 U턴부(919)에서의 현상은 도 22 내지 도 25를 통하여 잘 알 수 있다. 도 22 내지 도 25는 종래 플레이트가 적용된 증발기를 바텀 마운팅 방식으로 설치하여 나타나는 냉매 유동분포를 플루언트(Fluent)라는 씨에프디(CFD) 소프트웨를 사용하여 1997년에 측정하여 최근 인쇄한 것이다.This phenomenon in the U-turn portion 919 can be seen well through FIGS. 22 to 25. 22 to 25 are recently printed by measuring in 1997 using a CFD software called Fluent (Fluent) the refrigerant flow distribution is shown by installing the evaporator to which the plate is applied in a bottom mounting method.

이러한 냉매 유동분포 결과를 통하여 나타나는 문제점은 냉매의 유동이 플레이트 외곽측에 치우쳐 있다는 점이다. 즉, 냉매가 플레이트 전체 내부를 균일하게 분포되지 않고 플레이트 외곽측에 치우쳐 유동한다면 다수의 플레이트들이 적층되어 이루어진 증발기 전체의 열교환효율은 심각한 영향을 받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U턴부(919)는 다른 유로 부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압력이 작용하는데, 수직으로 형성된 구획비드(917)는 U턴부(919)의 아래쪽 끝까지 연장되지 않아(도 16 참조) 취약하므로 냉매 유동압력이 U턴부(919) 영역의 플랫튜브(90)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플랜지(916)에 작용한다. 이 때문에 도 22 내지 도 25에서 적색으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냉매의 유동이 구획비드(917)의 냉매유입측과,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플랜지(916)에 치우쳐 분포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냉매유동분포가 고르지 않게 되는 것이다.The problem that results from the refrigerant flow distribution results is that the flow of the refrigerant is biased on the outer plate side. In other words, if the refrigerant flows to the plate outer side without uniform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plate,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of the entire evaporator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plates is severely affected. As described above, the U-turn portion 919 has a relatively large pressure than the other flow path portion, the vertically formed compartment bead 917 does not extend to the lower end of the U-turn portion 919 (see Fig. 16) fragile Therefore, the refrigerant flow pressure acts on the flange 916 forming the edge of the flat tube 90 in the U-turn 919 region. Therefore, as shown in red in FIGS. 22 to 25, the flow of the coolant is distributed to the coolant inlet side of the partition bead 917 and the flange 916 forming the edge of the plate, resulting in uneven coolant flow distribution. will be.

한편, 열교환기중 냉매유입관과 냉매배출관과 연결되는 플랫튜브(90)들의 어느 하나의 탱크(93)에 돌출설치되는 매니폴드(96)들은 반원형 매니폴드를 가진 두 플레이트의 접합에 의하여 파이프 형태로 이루진다.Meanwhile, the manifolds 96 protruding from one of the tanks 93 of the flat tubes 90 connected to the refrigerant inlet pipe and the refrigerant discharge pipe of the heat exchanger are in the form of pipes by joining two plates having a semicircular manifold. Is done.

열교환기를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에 설치할 때에는 탱크(93)군이 위를 향하는(즉, 냉매유입관 및 냉매배출관이 위를 향하는) 탑 마운팅(top mounting) 설치방식과, 탱크(93)들이 아래를 향하는 바텀 마운팅(bottom mounting) 설치방식을 사용하고 있고, 이와 같은 증발기 설치방식, 튜브(90)의 개수, 냉매유입관 및 냉매배출관의 설치위치 등에 따라 열교환용량 등의 특성에 다소 차이가 있다. 실제로 이러한 차이는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는 그 성능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When the heat exchanger is installed in the vehicle air conditioner, the tank 93 group faces upwardly (ie, the refrigerant inlet pipe and the refrigerant discharge pipe face upward), and the tank 93 faces downward. Bottom mounting (bottom mounting) is used, there is a slight difference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heat exchange capacity, such as the evaporator installation method, the number of tubes 90, the location of the refrigerant inlet pipe and the refrigerant discharge pipe. Indeed, this difference can seriously affect the performance of a car air conditioner.

예컨데, 24열형 증발기라 함은 24쌍의 플레이트(91), 즉 24개의 튜브(90)가 적층되어 이루어진 증발기를 말한다. 또한, 24열형 4/7-4/7패스(pass) 증발기라 함은 24개의 튜브(90)가 적층되고, 이 튜브(90)들의 배열이 4쌍의 플레이트(91) - 냉매유입관이 연결된 1쌍의 매니폴드 플레이트(91)(즉, 매니폴드 튜브(90)) - 7쌍의 플레이트(91), 4쌍의 플레이트(91) - 냉매배출관이 연결된 1쌍의 매니폴드 플레이트(91)(즉, 매니폴드 튜브(90)) - 7쌍의 플레이트(91)의 순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진 증발기를 말한다. 그리고, 이 플레이트(91)들의 최외측 또는 핀(94)군들의 최외측에 보강용 엔드 플레이트(95)가 각각 설치되며, 증발기의 중앙 경계부의플레이트(91)(컵이 막혀 있어 배플 역할을 함으로써 냉매가 인접 플레이트로 유동하지 못하도록 차단하고 있는 플레이트)를 블랭크 플레이트라 한다(즉, 4/7-4/7패스중 "-"표시는 4/7의 끝 플레이트가 블랭크 플레이트임을 의미한다).For example, the 24-row evaporator refers to an evaporator in which 24 pairs of plates 91, that is, 24 tubes 90 are stacked. In addition, a 24-column 4 / 7-4 / 7 pass evaporator means that 24 tubes 90 are stacked, and the arrangement of the tubes 90 is connected to four pairs of plates 91-refrigerant inlet pipes. 1 pair of manifold plates 91 (i.e. manifold tube 90)-7 pairs of plates 91, 4 pairs of plates 91-1 pair of manifold plates 91 to which refrigerant discharge conduits are connected ( That is, the evaporator is arranged in the order of the manifold tube (90)-seven pairs of plates (91). Then, the reinforcing end plates 95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outermost sides of the plates 91 or the outermost groups of the fin 94 groups, and the plates 91 (cups of the cups are blocked to serve as baffles). The plate blocking the refrigerant from flowing to the adjacent plate) is called a blank plate (ie, the "-" mark in 4 / 7-4 / 7 passes means that the end plate of 4/7 is the blank plate).

다음의 표 1은 콤팩트형 증발기의 탑 마운팅 및 바텀 마운팅 설치방식에 따른 성능 데이터를 나타낸 것으로서, 표 1에 기재된 패스로 구성된 증발기들을 바텀 마운팅 및 탑 마운팅 설치방식으로 설치하여 예컨데 A사의 증발기의 경우 다른 것에 비하여 바텀 마운팅과 탑 마운팅에서 대략 9%의 성능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성능 데이터는 통상 열교환기 제조회사에서 열교환기 성능을 판별하기 위하여 보유하고 있는 증발기 칼로리미터에서 테스트한 데이터이다.The following Table 1 shows the performance data according to the top mounting and bottom mounting installation method of the compact evaporator, and the evaporators composed of the paths shown in Table 1 are installed by the bottom mounting and top mounting installation method. Compared to the bottom mounting and top mounting, there is a difference of approximately 9%. This performance data is typically tested on an evaporator calorimeter held by a heat exchanger manufacturer to determine heat exchanger performance.

바텀 마운팅Bottom mounting 탑 마운팅Top mounting 패스pass Q(kcal/h)Q (kcal / h) Δpa(mmAq)Δpa (mmAq) ΔPr(kg/㎠)ΔPr (kg / ㎠) 열량 Q(kcal/h)Calories Q (kcal / h) Δpa(mmAq)Δpa (mmAq) ΔPr(kg/㎠)ΔPr (kg / ㎠) 13-13A사13-13A company 4,0494,049 8.688.68 0.330.33 3,7153,715 9.289.28 0.270.27 5-7-10B사5-7-10B company 4,1904,190 13.4213.42 0.510.51 4,3514,351 13.7513.75 0.530.53 4/7-4/74 / 7-4 / 7 4,2384,238 9.559.55 0.400.40 4,0564,056 10.4110.41 0.370.37 3/8-4/73 / 8-4 / 7 4,0914,091 9.709.70 0.370.37 4,1404,140 10.0210.02 0.370.37

상기한 바와 같은 성능 차이는, 본 발명자들이 냉매의 유량 및 냉매 압력, 온도 등을 조정하여 공기조화장치 및 열교환기 단품 개발을 목적으로 실제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도록 만든 "에어컨디셔너 테스트 스탠드"라는 실험장치를 사용하여 증발기 전면에서 대략 1미터 떨어진 곳에서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하여 전면 온도분포를 찍어봄으로써 도 18 내지 도 2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냉매의 유동 균일성 정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As described above, the performance difference of the "air conditioner test stand" is that the inventors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actual vehicle air conditioner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the air conditioner and the heat exchanger unit by adjusting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the refrigerant pressure, the temperature, and the like. By using the experimental apparatus "to take a front temperature distribution using an infrared camera at about 1 meter away from the front of the evaporator,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degree of flow uniformity of the refrigerant as shown in Figures 18 to 21.

즉, 24열형 4/7-4/7패스 증발기의 경우에는 특히 탑 마운팅 설치방식(도 19 참조)에서 냉매가 냉매유입관측 매니폴드 튜브(90)로 유입된 후 블랭크 플레이트 쪽으로 냉매가 더 많이 유동됨으로써 엔드 플레이트(95) 쪽으로 냉매가 잘 유동되지 않아 증발기 전체적으로 냉매유동분포가 고르지 않고, 이에 따라 냉방성능이 저하되며, 두 설치방식에 따른 냉매유동분포 차이가 큰 것을 알 수 있다.That is, in the case of the 24-row 4 / 7-4 / 7-pass evaporator, the refrigerant flows more toward the blank plate after the refrigerant flows into the refrigerant inlet manifold tube 90 in the top mounting method (see FIG. 19). As a result, the refrigerant does not flow well toward the end plate 95, and thus the refrigerant flow distribution is uneven throughout the evaporator. Accordingly, the cooling performance is lowered, and the difference in the refrigerant flow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two installation methods is large.

또한,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4열형 3/8-4/7패스 증발기의 경우 바텀 마운팅 설치방식(도 20 참조) 및 탑 마운팅 설치방식(도 21 참조)에 의하여 각각 설치된 두 경우에서의 냉매유동분포 차이가 아주 큰 것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0 and FIG. 21, in the case of the 24-row type 3 / 8-4 / 7 pass evaporator, two installed by the bottom mounting method (see FIG. 20) and the top mounting method (see FIG. 21), respectively. It can be seen that the difference in refrigerant flow distribution in the case is very large.

이와 같이 냉매유동분포가 고르지 못하고 바텀 마운팅 설치방식 및 탑 마운팅 설치방식에 따른 냉매유동분포 차이가 크면, 하나의 증발기를 탑 마운팅 또는 바텀 마운팅 설치방식으로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없다. 따라서 설치방식에 따라 각각 별도의 사양을 가진 열교환기를 별개로 제작할 필요가 있고, 이는 열교환기의 공용화를 저해함과 아울러 생산성 향상 및 제조원가 절감을 저해하는 요인이 된다.As such, if the refrigerant flow distribution is uneven and the difference in the refrigerant flow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bottom mounting installation method and the top mounting installation method is large, one evaporator cannot be selectively installed by the top mounting or bottom mounting installation metho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nufacture a heat exchanger having a separate specification separately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method, which hinders the common use of the heat exchanger, and also increases the productivity and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또한 냉매 유동 분포가 고르지 않아 열교환 성능이 떨어지면 자동차 실내의 냉방효과가 떨어져 승객에게 불쾌감을 초래한다.In addition, if the refrigerant flow distribution is uneven, the heat exchange performance is reduced, the cooling effect of the interior of the car is reduced, causing discomfort to the passengers.

상기한 바와 같이, 냉매유입관측 매니폴드 튜브(90) 내부로 유입된 냉매가 엔드 플레이트(95) 쪽보다 블랭크 플레이트 쪽으로 더 많이 유동하는 이유는 냉매유입관측의 두 매니폴드 플레이트(91,91)중 엔드 플레이트(95) 쪽 매니폴드 플레이트(91)의 냉매유입관쪽 컵(911)의 슬로트(912)에는 버링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블랭크 플레이트 쪽 매니폴드 플레이트(91)의 냉매유입관쪽 컵(911)의 슬로트(912)에는 버링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As described above, the reason that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refrigerant inlet side manifold tube 90 flows more toward the blank plate than the end plate 95 side is because of the two manifold plates 91 and 91 on the refrigerant inlet side. No slot is formed in the slot 912 of the refrigerant inlet pipe side cup 911 of the manifold plate 91 side of the end plate 95, and the refrigerant inlet pipe side cup 911 of the manifold plate 91 of the blank plate side. This is because the burring portion is formed in the slot 912 of the.

상기한 버링부는 플레이트(91)들을 적층할 때 플레이트(91)들 간의 접합불량을 방지함과 아울러 적층상태에서 브레이징을 위한 이동시 플레이트(91)들이 한 쪽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엔드 플레이트(95) 쪽 매니폴드 플레이트(91) 외측에 적층되는 플랫 플레이트(91)에는 상기 매니폴드 플레이트(91)의 슬로트(912)에 삽입되는 버링부가 형성되어 있고 블랭크 플레이트 쪽 매니폴드 플레이트(91)의 슬로트(912)에는 플랫 플레이트(91)의 슬로트(912)에 삽입되어 접합되는 버링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냉매유입관을 통하여 매니폴드 튜브(90)의 탱크(93)내로 유입된 냉매가 블랭크 플레이트 쪽으로 유동할 때 블랭크 플레이트 쪽 매니폴드 플레이트(91)의 버링부가 냉매의 유동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관계로 냉매가 쉽게 유동할 수 있다. 반면에, 냉매가 엔드 플레이트(95)쪽으로 유동할 때에는 엔드 플레이트(95)쪽 매니폴드 플레이트(91)의 외측에 적층되는 플랫 플레이트(91)의 버링부가 매니폴드 플레이트(91)의 슬로트(912)에 삽입되어 냉매의 유동방향과는 반대쪽으로 컵(911) 내부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플랫 플레이트(91)의 버링부에 의하여 유동저항을 받게 되어 엔드 플레이트(95) 쪽으로는 블랭크 플레이트 쪽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냉매가 유동하게 된다.The burring part prevents a poor bonding between the plates 91 when the plates 91 are stacked, and prevents the plates 91 from falling to one side when moving for brazing in the stacked state, but as described above. A flat plate 91 stacked outside the manifold plate 91 on the end plate 95 side has a burring portion inserted into the slot 912 of the manifold plate 91 and a blank plate side manifold plate ( The slot 912 of the 91 is provided with a burring portion inserted into the slot 912 of the flat plate 91 and joined to the slot 912. The slot 912 is introduced into the tank 93 of the manifold tube 90 through the refrigerant inlet tube. When the coolant flows toward the blank plate, the burring portion of the manifold plate 91 on the blank plate side is formed in the flow direction of the coolant so that the coolant can easily flow. have. On the other hand, when the refrigerant flows toward the end plate 95, the burring portion of the flat plate 91 stacked outside the manifold plate 91 on the end plate 95 side slot 912 of the manifold plate 91. ) Is projected into the cup 911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refrigerant, so that the resistance is flowed by the burring portion of the flat plate 91, so that the end plate 95 is relatively closer to the blank plate side. A small amount of refrigerant will flow.

따라서, 엔드 플레이트(95)쪽으로 유동하는 냉매보다 블랭크 플레이트 쪽으로 유동하는 냉매의 유량이 더 많아짐으로써 증발기 전체에 고른 냉매 분배가 일어나지 않고, 이와 같이 냉매유동분포에 차이가 발생함에 따라 냉방성능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탑 마운팅 설치방식 및 바텀 마운팅 설치방식에 따라 냉매유동분포차이가 커지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flowing toward the blank plate is greater than the refrigerant flowing toward the end plate 95 so that evenly distributed refrigerant does not occur throughout the evaporator. As such, a difference in the refrigerant flow distribution causes cooling performance to decrease. In addition, the refrigerant flow distribution difference is increased according to the top mounting method and the bottom mounting method.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냉매유동성을 높임으로써 열교환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improve heat exchange performance by increasing refrigerant flowabilit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냉매의 유동분포를 고르게 함으로써, 풍량 증대나 감소시에도 거의 균일한 온도를 느낄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나 승객이 시원하고 편안한 느낌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venly distribute the flow of the refrigerant, so that even when the air volume increases or decreases to feel almost uniform temperature so that the driver or passengers feel cool and comfortabl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플레이트의 폭과 비드의 배열관계에 있어서 일정한 규칙을 갖도록 함으로써 열교환기의 소형화를 구현하면서 최적의 열교환성능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an optimal heat exchange performance while miniaturizing the heat exchanger by having a predetermined ru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idth of the plate and the bead arrangemen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열교환기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heat exchang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적층형 열교환기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정면도이다.1 is a schematic front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tacked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적층형 열교환기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tacked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3 is a front view showing a heat exchange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 플레이트들이 접합되어 플랫튜브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4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heat exchange plates are bonded to each other to form a flat tub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 플레이트를 구성하는 열교환부중 냉매유입측을 나타내는 일부 확대 정면도이다.5 is a partially enlarged front view showing a refrigerant inflow side of the heat exchange parts constituting the heat exchange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 플레이트를 구성하는 열교환부중 냉매배출측을 나타내는 일부 정면도이다.6 is a partial front view showing the refrigerant discharge side of the heat exchange part constituting the heat exchange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 플레이트의 두 비드열이 이루는 면적(S)과 플레이트의 폭방향 길이(L)와의 설정비율에 따른 열교환성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7 is a graph showing heat exchange performance according to a set ratio between an area S formed by two bead rows of a heat exchange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length L in a width direction of the plate.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매니폴드 플레이트를 이용한 열교환기의 요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a heat exchanger using a manifold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매니폴드 플레이트를 이용한 열교환기의 요부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portion of a heat exchanger using a manifold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도 9이 평단면도이다.10 is a plan sectional view of FIG.

도 11은 도 9의 정단면도이다.FIG. 11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FIG. 9.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매니폴드 플레이트를 이용한 열교환기의 예로서, 24열형 3/8-4/7패스 증발기를 바텀 마운팅 설치방식으로 설치하여 이에 대한 냉매유동분포를 적외선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한 사진이다.12 is an example of a heat exchanger using a manifold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24-row type 3 / 8-4 / 7 pass evaporator is installed in a bottom mounting method and a refrigerant flow distribution thereof is photographed by an infrared camera. to be.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매니폴드 플레이트를 이용한 열교환기의 예로서, 24열형 3/8-4/7패스 증발기를 탑 마운팅 설치방식으로 설치하여 이에 대한 냉매유동분포를 적외선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한 사진이다.13 is an example of a heat exchanger using a manifold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24-row type 3 / 8-4 / 7 pass evaporator is installed in a top mounting method and a refrigerant flow distribution thereof is photographed by an infrared camera. to be.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매니폴드 플레이트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14 is a front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manifold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종래 일반적인 적층형 열교환기의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15 is a front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general laminated heat exchanger.

도 16은 종래 일반적인 열교환 플레이트의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16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general heat exchange plate.

도 17은 종래 일반적인 열교환 플레이트 2개를 접합하여 플랫튜브를 형성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1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wo conventional heat exchange plates are joined to form a flat tube.

도 18은 종래 매니폴드 플레이트를 이용한 열교환기의 예로서, 24열형 4/7-4/7패스 증발기를 바텀 마운팅 설치방식으로 설치하여 이에 대한 냉매유동분포를 적외선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한 사진이다.18 is an example of a heat exchanger using a conventional manifold plate, a 24-row type 4 / 7-4 / 7 pass evaporator is installed in a bottom mounting method, and a refrigerant flow distribution thereof is photographed by an infrared camera.

도 19는 종래 매니폴드 플레이트를 이용한 열교환기의 예로서, 24열형 4/7-4/7패스 증발기를 탑 마운팅 설치방식으로 설치하여 이에 대한 냉매유동분포를 적외선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한 사진이다.19 is an example of a heat exchanger using a conventional manifold plate, and a 24-row type 4 / 7-4 / 7 pass evaporator is installed in a top mounting method, and a refrigerant flow distribution thereof is photographed by an infrared camera.

도 20은 종래 매니폴드 플레이트를 이용한 열교환기의 다른 예로서, 24열형 3/8-4/7패스 증발기를 바텀 마운팅 설치방식으로 설치하여 이에 대한 냉매유동분포를 적외선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한 사진이다.20 is another example of a heat exchanger using a conventional manifold plate, a 24-row type 3 / 8-4 / 7 pass evaporator is installed in a bottom mounting method, and a refrigerant flow distribution thereof is photographed by an infrared camera.

도 21은 종래 매니폴드 플레이트를 이용한 열교환기의 다른 예로서, 24열형 3/8-4/7패스 증발기를 탑 마운팅 설치방식으로 설치하여 이에 대한 냉매유동분포를 적외선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한 사진이다.21 is another example of a heat exchanger using a conventional manifold plate, a 24-row type 3 / 8-4 / 7 pass evaporator is installed in a top mounting method, and a refrigerant flow distribution thereof is photographed by an infrared camera.

도 22는 종래 플레이트가 적용된 증발기를 바텀 마운팅 방식으로 설치하여 플레이트에서 나타나는 냉매 유동분포의 해석도이다.22 is an analysis diagram of a refrigerant flow distribution shown in a plate by installing an evaporator to which a conventional plate is applied by a bottom mounting method.

도 23은 도 22에서 플레이트의 입구부를 확대한 것이다.FIG. 23 is an enlarged view of the inlet of the plate in FIG. 22.

도 24는 도 22에서 플레이트의 열교환부를 확대한 것이다.24 is an enlarged view of the heat exchanger of the plate in FIG. 22.

도 25는 도 22에서 플레이트의 U턴부를 확대한 것이다.FIG. 25 is an enlarged view of the U turn portion of the plate in FIG. 22.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1a : 튜브, 2, 2a, 2b : 플레이트,1, 1a: tube, 2, 2a, 2b: plate,

4 : 핀, 5 : 엔드 플레이트,4: pin, 5: end plate,

6 : 냉매유입관, 7 : 냉매배출관,6: refrigerant inlet pipe, 7: refrigerant discharge pipe,

11 : 탱크, 13 : 매니폴드,11: tank, 13: manifold,

21 : 컵, 22, 22a, 22b : 슬로트,21: cup, 22, 22a, 22b: slot,

23 : 열교환부, 24 : 구획비드,23: heat exchanger, 24: compartment bead,

25 : 비드, 26 : 수직비드,25: bead, 26: vertical bead,

27 : U턴부, 28 : 보강비드,27: U turn part, 28: reinforcement bead,

29 : 플랜지, 131 : 반원형 매니폴드,29: flange, 131: semi-circular manifold,

221 : 버링부221: burring part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단부에 나란하게 형성됨과 아울러 각각 슬로트를 가진 한 쌍의 컵과,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된 구획비드에 의하여 상기 한 쌍의 컵과 구획되어 통함과 아울러 다수의 비드들이 엠보싱 가공에 의하여 형성된 열교환부와, 상기 비드들과 동형의 비드들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구획비드에 의하여 형성되는 U턴부와, 그리고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비드들과 동일 높이로 형성된 플랜지를 가짐으로써, 2개가 서로 접합되면 한 쌍의 탱크가 형성됨과 아울러 전체적으로 한 쌍의 탱크와 통하는 U자형 통로를 가지는 플랫튜브를 이루는 적층형 열교환기용 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비드들은 사선방향으로 격자를이루도록 배열되고, 이 비드들중 폭방향으로 일직선으로 배열된 비드열을 연결하는 중심선 및 그 상부 또는 하부에 인접하는 비드열을 연결하는 중심선이 형성하는 면적과 상기 열교환부의 폭과의 비율(S/L)이 0.89mm≤S/L≤1.5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비드들의 규칙적인 배열과 상기 비율(S/L)에 의하여 냉매의 유동성 및 난류효과가 향상됨으로써 열교환효율을 높일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ide by side with a pair of cups each having a slot, and a partition bead and the plurality of cups by the partition bead vertically formed in the center and a plurality of By having a heat exchange portion formed by the embossing of the beads, beads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beads, U-turn portion formed by the partition bead, and a flange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beads along an edge, In the laminated heat exchanger plate, in which a pair of tanks are formed when two are joined to each other, and a flat tube having a U-shaped passageway communicating with the pair of tanks as a whole, the beads are arranged to form a lattice in an oblique direction. Center line connecting the bead rows arranged in a line in the width direction, The ratio (S / L) of the area and the heat exchange section width which forms the center line connecting the bead column adjacent to the bottom characterized in that the 0.89mm≤S / L≤1.5mm. Due to the regular arrangement of the beads and the ratio (S / L), the fluidity and turbulence effect of the refrigerant may be improved, thereby increasing heat exchange efficiency.

상기 U턴부의 비드들중 구획비드의 아래쪽에 적어도 3개의 비드가 소정의 배열로 차례로 배열되고, 이 비드들중 구획비드와 인접하는 2개의 비드는 다른 비드들보다 크기가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U턴부의 양쪽 모서리부에는 냉매유동방향인 대각선방향으로 슬로트형 보강비드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획비드의 아래쪽 연장선상에 놓인 3개의 비드중 2개의 비드가 다른 비드들보다 크게 형성되고 또한 보강비드들이 더 형성됨으로써 두 플레이트를 접합하여 플랫튜브가 형성되면 높은 압력이 작용하는 U턴부에서 고압을 견딜 수 있는 강성이 확보되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Among the beads of the U-turn part, at least three beads are sequentially arranged in a predetermined arrangement below the partition beads, and two beads adjacent to the partition beads among the beads are larger in size than other beads.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slotted reinforcement bead is further formed at both corners of the U-turn part in a diagonal direction in the refrigerant flow direction. In this way, two of the three beads placed on the lower side of the partition bead are formed larger than the other beads, and further reinforcement beads are formed to join the two plates to form a flat tube in the U-turn portion where high pressure is applied. Rigidity that can withstand high pressure is secured and durability can be improved.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의 냉매유출측 플랜지와 이것과 폭방향으로 인접하는 비드와의 사이의 유로간격(Gs)이 0.15mm≤Gs≤1.6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범위로 유로간격(Gs)이 설정되면 플랜지와 폭방향으로 인접하는 비드가 냉매유출측 플랜지쪽으로 냉매가 편류되지 않도록 냉매를 분산시킴으로써 양호한 냉매유동성을 얻을 수 있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flow path interval Gs between the refrigerant flow-out flange of the plate and the beads adjacent in the width direction is 0.15 mm ≤ Gs ≤ 1.6 mm. If the flow path interval Gs is set in such a range, good refrigerant fluidity can be obtained by dispersing the refrigerant such that beads adjacent to the flange in the width direction do not flow into the refrigerant outflow flang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플레이트를 이용한 적층형 열교환기로서, 한 쌍의 플레이트를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다수의 플랫튜브들과, 이들 사이에 적층되는 다수의핀과, 그리고 상기 플랫튜브들 및 이들의 최외측에 적층되는 두 엔드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laminated heat exchanger using the plate, a plurality of flat tubes formed by joining a pair of plates, a plurality of fins stacked between them, and the flat tubes and the outermost thereof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wo end plates are stacked.

또한, 본 발명은, 상단에 한 쌍의 컵이 나란하게 형성됨과 아울러 일측 컵으로부터 연장돌출되어 냉매유입관과 접합연결되는 반원형 매니폴드를 가지고, 상기 두 컵에는 차례로 각각 슬로트가 형성됨과 아울러 냉매유입관측의 블랭크 플레이트쪽 슬로트의 가장자리를 따라 바깥쪽으로 버링부가 형성된 열교환기용 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냉매유입관측의 블랭크 플레이트쪽에 형성된 슬로트의 길이 및 폭과, 다른 슬로트의 길이 및 폭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cups are formed side by side at the top and has a semi-circular manifold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cup and connected to the refrigerant inlet pipe, the slots are formed in each of the two cups in turn and the refrigerant A heat exchanger plate having a burring portion outwardly along an edge of a blank plate side slot of an inflow pipe side, wherein the length and width of the slot formed on the blank plate side of the refrigerant inlet pipe side and shorter than the length and width of another slot It features.

본 발명에 따르면, 냉매유입관측의 블랭크 플레이트쪽 슬로트의 길이×폭은 15mm×9mm이고, 다른 슬로트의 길이×폭은 16.6mm×10.8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원형 매니폴드와 연결되는 컵의 하부에 3개의 수직비드가 형성되고, 이 수직비드들중 양쪽의 두 수직비드와, 플랜지 및 구획비드와의 사이의 유로는 막히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x width of the blank plate side slot on the refrigerant inlet pipe side is 15 mm x 9 mm, and the length x width of the other slots is 16.6 mm x 10.8 mm. In addition, three vertical beads ar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up connected to the semi-circular manifold, and the flow path between the two vertical beads on both sides of the vertical beads and the flange and the partition bead is preferably blocked.

이와 같이, 매니폴드 플레이트에 있어서의 냉매유입관쪽 슬로트의 길이 및 폭이 다른 슬로트의 길이 및 폭보다 짧게 형성되면,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블랭크 플레이트 쪽보다 엔드 플레이트 쪽으로 냉매가 좀 더 많이 유동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지만, 실제로는 작은 크기의 슬로트에 형성되는 버링부가 다른 슬로트와는 달라 냉매유동방향쪽으로 형성됨으로써 블랭크 플레이트쪽으로 흐르는 냉매의 유동저항이 감소되어 결과적으로 엔드 플레이트 쪽으로 흐르는 냉매의 유량과 블랭크 플레이트 쪽으로 흐르는 냉매의 유량은 서로 균형을 이루게 되어 열교환기 전체적인 냉매 분포가 균일하게 된다. 이에 따라 열교환기를 바텀 마운팅 설치방식 및 탑 마운팅 설치방식중 어느 설치방식으로 설치하더라도 냉매유동분포의 차이가 나지 않는다.As such, when the length and width of the refrigerant inlet pipe side slot in the manifold plate are shorter than the length and width of the other slots, the refrigerant flows more toward the end plate than the blank plate side in the heat exchanger. In reality, the burring portion formed in the small size slot is formed in the direction of refrigerant flow unlike other slots, so that the flow resistance of the refrigerant flowing toward the blank plate decreases, and consequently, The flow rates of the refrigerant flowing toward the blank plate are balanc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entire refrigerant distribution of the heat exchanger is uniform. Accordingly, even if the heat exchanger is installed in any of the bottom mounting method and the top mounting method,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refrigerant flow distributi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매니폴드 플레이트가 적용된 적층형 열교환기로서, 다수 쌍의 플레이트, 냉매유입관이 연결되는 엔드 플레이트쪽의 제2매니폴드 플레이트 및 블랭크 플레이트쪽의 제1매니폴드 플레이트, 다수 쌍의 플레이트, 냉매배출관이 연결되는 1쌍의 매니폴드 플레이트들, 다수 쌍의 플레이트의 순으로 배열되고, 최외측이 두 엔드 플레이트에 의하여 보강되며, 상기 제1매니폴드 플레이트의 냉매유입관쪽 제1슬로트에 버링부가 바깥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제1매니폴드 플레이트 외측에 적층되는 플레이트의 슬로트에 삽입되어 접합되고, 제2매니폴드 플레이트의 냉매유입관쪽 제2슬로트에 제2매니폴드 플레이트의 외측에 적층되는 플레이트의 버링부가 삽입되어 접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슬로트의 길이 및 폭과, 상기 제1슬로트에 바깥방향으로 형성된 버링부가 삽입되는 인접 플레이트의 슬로트의 길이 및 폭이, 상기 제2슬로트의 길이 및 폭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laminated heat exchanger to which the manifold plate is applied, a plurality of pairs of plates, a second manifold plate on the end plate side to which the refrigerant inlet pipe is connected, and a first manifold plate on the blank plate side, many pairs Plates, one pair of manifold plates to which the refrigerant discharge pipes are connected, and a plurality of pairs of plates are arranged in this order, and the outermost side is reinforced by two end plates, and the first slot toward the refrigerant inlet pipe of the first manifold plate. The burring portion protrudes outwardly and is inserted into a slot of a plate stacked outside the first manifold plate, and is joined to the second slot of the refrigerant inlet pipe side of the second manifold plate. The burring part of the plate to be stacked on the plate is inserted and joined to each other, and the bar and the length and width of the first slot and the first slot The length and width of the burring part formed in the direction of an adjacent plate to be inserted into slotted, characterized in that is less than the length and width of the second slotted.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된 다수의 플랫튜브(1)를 포함하며, 이 플랫튜브(1)들은 각각 두 장의 플레이트(2)(도 3 참조)가 브레이징 접합되어 이루어진다. 플랫튜브(1)는 상단부 또는 하단부에 한 쌍의 탱크(11,11)를 갖거나 상, 하단부에 각각 한 쌍의 탱크를 가진것이 사용되지만 탱크(11)의 개수만 다르고 나머지 구조는 모두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상단부에 한 쌍의 탱크만을 갖는 것에 대해서만 도시하고 설명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flat tubes 1 of aluminum alloy, each of which has two plates 2 (see FIG. 3). ) Is made by brazing bonding. The flat tube 1 has a pair of tanks 11 and 11 at the upper end or the lower end, or a pair of tanks at the upper and lower ends, respectively, but only the number of tanks 11 is different and the rest of the structure is the same. Only the one having a pair of tanks in the upper end is shown and described here.

플랫튜브(1)들 사이에는 핀(4)이 차례로 적층되고, 이들의 최외측에는 두 엔드 플레이트(5,5)로 보강된다. 플랫튜브(1)들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플레이트(2,2)가 서로 접합되어 이루어지며, 이 플랫튜브(1)들 중에는 팽창밸브(미도시)와 연결되는 냉매유입관(6)과 압축기(미도시)와 연결되는 냉매배출관(7)이 각각 접속되는 매니폴드(13)(도 2 참조)를 가진 2개의 플랫튜브가 사용되는데, 이것들을 여기서는 편의상 다른 플랫튜브(1)와는 달리 다른 부호를 붙여 매니폴드 튜브(1a)라 칭하고, 또한 이 매니폴드 튜브(1a)를 이루는 플레이트(도 8 및 도 9 참조)들도 편의상 다른 플레이트(2)와는 달리 다른 부호를 붙여 제1 및 제2매니폴드 플레이트(2a, 2b)라 칭한다.The fins 4 are sequentially stacked between the flat tubes 1, and on the outermost side thereof are reinforced with two end plates 5, 5. As shown in FIG. 3, the flat tubes 1 are formed by joining two plates 2 and 2 to each other, and among the flat tubes 1, a refrigerant inlet pipe 6 connected to an expansion valve (not shown). And two flat tubes having a manifold 13 (see FIG. 2) to which a refrigerant discharge pipe 7 connected to a compressor (not shown) are connected, respectively. The manifold tube 1a is referred to by a different designation, and the plates constituting the manifold tube 1a (see FIGS. 8 and 9) are also labeled with different reference numerals for convenience in the first and the first. The two manifold plates 2a and 2b are called.

플랫튜브(1)를 형성하는 플레이트(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에 한 쌍의 컵(21,21)을 가지며, 이 컵(21)들에는 슬로트(2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두 플레이트(2,2)를 접합하면 서로 대응하여 접합되는 두 컵(21)에 의하여 탱크(11)들이 형성되고, 플랫튜브(1)들이 차례로 적층됨에 따라 상기 슬로트(22)들을 통하여 탱크(11)들이 서로 통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plate 2 forming the flat tube 1 has a pair of cups 21 and 21 at its upper end, and slots 22 are formed in the cups 21, respectively. It is. Therefore, when the two plates 2 and 2 are joined, the tanks 11 are formed by the two cups 21 correspondingly joined to each other, and the flat tubes 1 are sequentially stacked, and thus, through the slots 22. The tanks 11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플레이트(2)의 상기 컵(21)들 아래쪽에는 중앙에 수직으로 구획비드(24)가 형성되고, 이 구획비드(24)를 중심으로 그 양쪽은 다수의 비드(25)들이 형성된 열교환부(23)로 이루어진다. 구획비드(24)는 플레이트(2)의 하단부까지 완전히 연장되는 것이 아니라 플레이트(2)의 하단부를 일부 남겨놓고 연장된다. 예컨대 구획비드(24)는 플레이트(2) 길이의 대략 1/8정도를 남겨놓고 연장된다. 그리고, 열교환부(23)의 아래쪽, 즉 구획비드(24)의 아래쪽은 상기 구획비드(24)의 아래쪽을 돌아서 냉매가 유동(도 5 및 도 6 참조)하도록 U턴부(27)로 형성되며 여기에도 상기 비드(25)와 동일한 배열로 다수의 비드(25)가 소정의 배열로 형성되어 있다.Under the cups 21 of the plate 2, a bead 24 is formed perpendicularly to the center, and the heat exchanger 23 has a plurality of beads 25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ead 24. ) The partition bead 24 does not extend completely to the lower end of the plate 2 but extends leaving some lower end of the plate 2. For example, the compartment beads 24 extend about 1/8 of the length of the plate 2. 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heat exchange part 23, that is, the lower portion of the compartment bead 24, is formed of the U-turn part 27 so that the refrigerant flows (see FIGS. 5 and 6) by turning down the compartment bead 24. A plurality of beads 25 are formed in a predetermined arrangement in the same arrangement as the beads 25.

상기 비드(25)들은 엠보싱 성형방법에 의하여 안쪽면으로 돌출되도록 간단하게 형성될 수 있고, 원형 또는 타원형 단면을 가지며, 냉매의 유동성 향상과 난류를 유도하도록 사선방향으로 규칙적으로 격자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플레이트(2)의 가장자리 둘레는 비드(25)들과 동일한 돌출높이를 갖는 플랜지(29)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두 플레이트(2,2)를 서로 접촉시키면 두 플레이트(2,2)의 서로 대응하는 플랜지(29,29), 비드(25,25)들 및 구획비드(24,24)가 접촉하고 이와 같이 접촉된 상태에서 브레이징 처리하면 서로 접촉하고 있는 부위가 접합됨으로써 플랫튜브(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플랫튜브(1)는 플랫튜브(1)의 한 쪽 탱크(11)(냉매유입측 탱크(11)), 접합된 구획비드(24)들을 중심으로 한 열교환부(23)들의 절반부 공간(냉매유입측 통로), U턴부(27)들 사이의 공간, 구획비드(24)들을 중심으로 한 열교환부(23)들의 다른 쪽 절반부 공간(냉매유출측 통로) 및 다른 쪽 탱크(11)(냉매유출측 탱크(11))가 차례로 통함으로써 전체적으로 U자형 통로를 가지게 된다. 즉, 서로 접합된 구획비드(24)들이 격벽 역할을 함으로써 전체적으로 U자형 통로가 형성되는 것이다. 구획비드(24)들 및 비드(25)들은 플레이트(2)의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아울러 하게 된다.The beads 25 may be simply formed to protrude to the inner surface by an embossing molding method, have a circular or elliptical cross section, and are preferably lattice-arranged regularly in an oblique direction to improve flowability and turbulence of the refrigerant. . In addition, the periphery of the edge of the plate 2 is preferably formed of a flange 29 having the same projected height as the beads 25. Thus, when the two plates 2 and 2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flanges 29 and 29, the beads 25 and 25 and the partition beads 24 and 24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n the two plates 2 and 2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brazing process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flat tube 1 may be formed by joining portions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flat tube 1 is a half space of the heat exchangers 23 centered on one tank 11 (refrigerant inlet side tank 11) and joined compartment beads 24 of the flat tube 1. (Refrigerant inlet side passage), space between U-turn portions 27, the other half space (refrigerant outlet side passage) of the heat exchangers 23 around the compartment beads 24, and the other tank 11 (Refrigerant outflow side tank 11) passes in order to have a U-shaped passageway as a whole. That is, the partition beads 24 joined to each other serve as a partition wall, thereby forming a U-shaped passage as a whole. The compartment beads 24 and the beads 25 also serve to increase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plate 2.

서로 대응하는 구획비드(24,24) 및 비드(25,25)들의 접합에 의하여 두 플레이트(2,2)의 접합상태가 양호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비드(25)들의 선단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평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시되지 않았지만 이와는 달리 서로 대응하는 비드(25)들중 한 쪽 비드(25)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다른 쪽 비드(25)의 선단부가 이 구멍에 삽입되어 브레이징됨으로써 두 비드(25,25)가 서로 접합되어도 좋다. 냉매는 이와 같이 접합된 비드(25,25)들에 의하여 형성되는 유로들을 통하여 유동하게 되며, 이 비드(25)들이 규칙적으로 격자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비드(25)들 사이를 냉매가 지날 때 난류를 일으키며 유동하게 된다.The tips of the beads 25 are shown in FIG. 4 so that the joining state of the two plates 2 and 2 can be maintained satisfactorily by joining the partition beads 24 and 24 and the beads 25 and 25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t is preferable to make it flat, and although not shown, otherwise, one of the beads 25 corresponding to each other has a hole formed so that the tip of the other bead 25 is inserted into this hole and brazed. The two beads 25 and 25 may be joined together. The coolant flows through the flow paths formed by the beads 25 and 25 bonded in this way, and since the beads 25 are regularly lattice-arranged, turbulence flows when the coolant passes between the beads 25. And it flows.

본 발명에 따르면, U턴부(27)에는 냉매의 유동방향이 바뀌어 냉매의 유동압력이 크게 작용하기 때문에 이 U턴부(27)의 접합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U턴부(27) 영역에서의 구획비드(24)의 하단 연장선상 위치에는 다수(바람직하게는 3개)의 비드(25)가 차례로 다른 비드(25)들과 함께 소정의 배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 구획비드(24)의 하단 연장선상에 위치하는 비드(25)들중 구획비드(24)와 인접하는 두 개의 비드(25)는 다른 하나의 비드(25)들보다 크기가 큰 것이 바람직하며, 나머지(바람직하게는 하나) 비드(25)는 구획비드(24)의 연장선상을 제외한 영역에 형성된 다른 비드(25)들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바람직하다. 또한, U턴부(27)의 양쪽 모서리부에는 U턴부(27)를 유동하는 냉매의 유동저항 및 압력을 줄임과 아울러 냉매의 유동을 잘 안내할 수 있도록 냉매유동방향인 대각선방향으로 슬로트형 보강비드(28)가 각각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improve the bonding strength of the U-turn part 27, since the flow direction of the coolant is changed to the U-turn part 27, the flow direction of the coolant is large, as shown in FIG. In the position of the lower end extension line of the partition bead 24 in the area (27), a plurality of (preferably three) beads 25 are formed so as to form a predetermined arrangement with the other beads 25 in turn. Among the beads 25 positioned on the bottom extension of the partition beads 24, two beads 25 adjacent to the partition beads 24 are preferably larger than the other beads 25. The remaining (preferably one) beads 25 are preferably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other beads 25 formed in the region other than the extension line of the partition beads 24. In addition, at both corners of the U-turn part 27, slotted reinforcement beads in a diagonal direction in the refrigerant flow direction can reduce the flow resistance and pressure of the refrigerant flowing in the U-turn part 27 and guide the flow of the refrigerant well. It is preferable that 28 are each formed further.

플레이트(2)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비드(24)를 중심으로 어느 한 쪽에 형성된 폭방향의 두 인접 비드열을 잇는 두 중심선(C1,C2),플랜지(29) 및 구획비드(24)에 의하여 형성되는 면적과 플레이트(2)의 폭방향 길이(L)에 대한 소정의 비율을 결정함으로써 최적의 열교환효율을 얻을 수 있다. 즉, 어느 한 비드열을 잇는 중심선(C1)과 상기 비드열의 상부 또는 하부에 인접하는 비드열을 잇는 중심선(C2)를 연결하면 구획비드(24) 및 플랜지(29)에 의하여 사각형의 면적(S)가 구획형성된다. 면적(S)은 비드열을 이루는 비드(25)들의 면적은 고려하지 않은 플레이트(2)의 저면의 면적(S)으로 산정한다. 이 면적(S)과 플레이트(2)의 폭방향 길이(L)와의 비율을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최적의 열교환효율을 얻을 수 있음을 실험결과 확인할 수 있었다. 즉, 플레이트(2)의 폭방향 길이(L)를 60mm로 설정하고 중심선(C1) 및 중심선(C2)에 의하여 형성되는 면적(S)를 76.2㎟로 설정한 관계에서 면적(S)과 플레이트(2)의 폭방향 길이(L)의 비율(S/L)은 1.27mm임을 알 수 있고, 이 비율이 실험에 의하여 확인된 결과 최적의 열교환효율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도 7의 그래프에 의하여 알 수 있듯이 이 비율(S/L)이 0.89mm≤S/L≤1.5mm의 범위일 때도 양호한 열교환효율을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한 비율(S/L)은 외부의 환경을 고려하지 않은 것으로, 예컨대 대기중의 온도 또는 냉동사이클의 성능 기타 환경 등을 고려할 때 변할 수 있고, 따라서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비율(S/L)을 정확하게 1.27mm로 고정할 것이 아니라 0.89mm≤S/L≤1.5mm의 범위에서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S. 5 and 6, the plate 2 includes two centerlines C1 and C2 and a flange 29 connecting two adjacent bead rows in the width direction formed on either side of the partition bead 24. Optimum heat exchange efficiency can be obtained by determining a predetermined ratio with respect to the area formed by the partition beads 24 and the width direction length L of the plate 2. That is, when the center line C1 connecting one bead row and the center line C2 connecting the bead row adjacent to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bead row are connected, the area S of the quadrangle S is divided by the partition bead 24 and the flange 29. ) Is compartmentalized. The area S is calculated as the area 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plate 2 without considering the areas of the beads 25 constituting the bead row.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optimum heat exchange efficiency can be obtained by appropriately setting the ratio between the area S and the width direction length L of the plate 2. That is, the area S and the plat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tting the width direction length L of the plate 2 to 60 mm and setting the area S formed by the center line C1 and the center line C2 to 76.2 mm 2. It can be seen that the ratio (S / L) of the width L in the width direction 2) is 1.27 mm, and the ratio shows the optimum heat exchange efficiency. As can be seen from the graph of Fig. 7, it can be seen that even when the ratio (S / L) is in the range of 0.89 mm &lt; S / L &lt; 1.5 mm, good heat exchange efficiency can be obtained. The above ratio (S / L) does not take into account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may change, for example, in consideration of the temperature of the air, the performance of the refrigeration cycle, or other environment, and thus the ratio (S / L) It is preferable not to fix X to 1.27 mm exactly but to set appropriately in the range of 0.89 mm ≤ S / L ≤ 1.5 mm.

비율(S/L)이 0.89mm보다 작을 경우에는 냉매의 유동저항이 커서 플랫튜브(1)의 내부압력이 증가함으로써 냉매의 유동성이 저하되어 열교환효율이 나빠진다. 이 때문에 냉매가 완전히 증발되어 가스상태로 압축기에 공급되지 못하고 액냉매가 일부 압축기에 공급되어 압축기를 손상시킨다. 반대로 비율(S/L)이 1.5mm보다 클 경우에는 냉매의 유동저항은 감소하여 냉매의 유동성은 양호하지만 비드(25)들에 의한 난류효과가 감소되어 오히려 열교환효율은 저하되므로 이 경우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결과를 초래한다.When the ratio S / L is smaller than 0.89 mm, the flow resistance of the refrigerant is large, so that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lat tube 1 is increased, thereby decreasing the fluidity of the refrigerant and deteriorating heat exchange efficiency. Because of this, the refrigerant is completely evaporated and cannot be supplied to the compressor in a gaseous state, and the liquid refrigerant is supplied to some compressors to damage the compressor. On the contrary, when the ratio S / L is larger than 1.5 mm, the flow resistance of the refrigerant decreases, so that the flowability of the refrigerant is good, but the turbulence effect caused by the beads 25 is reduced, so that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is lowered. As a result.

다음의 표 2는 칼로리미터를 측정한 데이터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2)를 적용한 열교환기와 종래 플레이트(2)를 적용한 열교환기의 성능을 비교한 것이다.The following Table 2 compares the performance of the heat exchanger to which the plate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heat exchanger to which the conventional plate 2 is applied through the calorimeter measurement data.

탱크부 상향(탑 마운팅)Tank section up (top mounting) 탱크부 하향(바텀 마운팅)Tank section downward (bottom mounting) 비율(S/L)Rate (S / L) 칼로리(kcal/h)Calories (kcal / h) 압력(kg/㎠)Pressure (kg / ㎠) 칼로리(kcal/h)Calories (kcal / h) 압력(kg/㎠)Pressure (kg / ㎠) 실시예(1.27mm)Example (1.27mm) 4.2384.238 0.400.40 4.0564.056 0.370.37 비교예(1.66mm)Comparative Example (1.66mm) 4.0494.049 0.330.33 3.7153.715 0.270.27

표 2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2)에 대하여 상기 비율(S/L)을 1.27mm 적용한 열교환기(실시예)의 경우 종래 플레이트(2)에 대하여 1.66mm의 비율(S/L)이 적용된 열교환기(비교예)보다 열교환기의 마운팅 방식에 관계없이 우수한 성능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According to Table 2, in the case of the heat exchanger (example) in which the above-mentioned ratio (S / L) is applied to the plate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1.27 mm, the ratio (S / L) of the conventional plate 2 is 1.66 mm. It can be seen that better performance is achieved regardless of the mounting method of the heat exchanger than the applied heat exchanger (comparative example).

냉매의 유동성이 열교환효율에 미치는 영향은 상당히 크기 때문에 탱크(11)에서의 냉매유동성도 중요한 요인이지만 특히 플레이트(2)에서의 냉매유동성이 열교환효율에 크게 미친다. 따라서, 여기서는 상기 비율(S/L)이 열교환효율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만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외에 비드(25)들의 높이, 이에 따른 체적관계도 상기 비율(S/L)에 의하여 고려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이러한 비드(25)들의 높이 및 체적관계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Refrigerant fluidity in the tank 11 is also an important factor because the influence of the fluidity of the refrigerant on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is significant, but the refrigerant fluidity in the plate 2 greatly affects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Therefore, although only the ratio (S / L)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it is shown and described here, but in addition to the height of the beads 25, and thus the volume relationship can also be considered by the ratio (S / L) Accordingly, the height and volume relationship of these beads 25 should also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위에서는 플레이트(2)의 폭방향 길이(L)를 60mm로 한정하여 실험한 것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길이(L)에 한정되지 않고 45mm∼63mm의 범위의 폭방향 길이(L)를 가지는 플레이트(2)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즉, 짧은 폭방향 길이(L)를 가지는 플레이트(2)의 경우에는 비드(25)들이 차지하는 면적을 감소시키고, 반대로 긴 폭방향 길이(L)를 가지는 플레이트(2)의 경우에는 비드(25)들이 차지하는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본 발명이 의도하는 바를 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experiment was explained above by limiting the width direction length L of the plate 2 to 60 mm,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dth direction length L in the range of 45 mm to 63 mm is not limited to the length L. All may be applied to the plate (2) having. That is, in the case of the plate 2 having the short width direction L, the area occupied by the beads 25 is reduced, and conversely, in the case of the plate 2 having the long width direction L, the beads 25 are reduced. By increasing the area they occupy,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inten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가 U턴부(27)를 유동할 때 냉매의 유동방향이 바뀌기 때문에 원심력에 의하여 플레이트(2)의 유동방향이 바뀌는 측(냉매 유출부측) 플랜지(29)쪽으로 냉매가 편중되어 유동함으로써 냉매가 플레이트(2) 내부를 고르게 유동하지 못함에 따라 열교환효율이 저하된다. 이와 같이 냉매 유동이 원심력에 의하여 편중되는 것은 전술한 종래 플레이트에 대한 도 22 내지 도 25의 결과에 의하여 잘 알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6, since the flow direction of the refrigerant is changed when the refrigerant flows through the U-turn portion 27, the flange 29 of the side (refrigerant outlet side) in which the flow direction of the plate 2 is changed by centrifugal force. As the refrigerant is biased and flows toward the refrigerant, the refrigerant does not flow evenly inside the plate 2, thereby degrading heat exchange efficiency. As described above, it is well understood that the refrigerant flow is biased by centrifugal force by the results of FIGS. 22 to 25 for the conventional plate described above.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냉매의 편류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플레이트(2)의 냉매유출부측 플랜지(29)와 이 플랜지(29)와 폭방향으로 인접하는 비드(25)(바람직하게는 열교환부(23)와 U턴부(27)의 경계부에 위치하는 비드(25) 사이의 유로간격(Gs)을 소정의 범위로 제한하고 있다. 즉, 플랜지(29)쪽에 인접하는 비드(25)에 의하여 냉매가 플랜지(29)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U자형 통로의 중심부로 안내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 유로간격(Gs)은 0.15mm≤Gs≤1.6mm가 바람직하다.In view of the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revent the drift of the refrigerant, the refrigerant outlet side flange 29 of the plate 2 and the beads 25 adjacent to the flange 29 in the width direction (preferably a heat exchanger) The flow path gap Gs between the 23 and the beads 25 locat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U-turns 27 is limited to a predetermined range, that is, the refrigerant 25 is adjacent to the flange 29 toward the refrigerant. Is guided to the center of the U-shaped passage without biasing toward the flange 29. The flow path spacing Gs is preferably 0.15 mm?

한편, 열교환기에 있어서는 팽창밸브와 연결되는 냉매유입관(6)을 통하여 냉매가 유입되고, 압축기와 연결되는 냉매배출관(7)을 통하여 냉매를 배출하게 되는데,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유입관(6)을 통하여 매니폴드 튜브(1a)의 한 쪽(냉매유입측) 탱크(11)에 냉매가 유입되면, 탱크(11)에 형성된 제1슬로트(22a)를 통하여 인접 플랫튜브(1)로 냉매가 유동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매니폴드 튜브(1a) 및 플랫튜브(1)들의 각 U자형 통로들을 통하여 다른 쪽 탱크(11)군으로 냉매가 유동하고, 이와 같이 다른 쪽 탱크(11)군으로 유입된 냉매는 마찬가지로 슬로트(22)들을 통하여 인접 탱크(11)군으로 냉매가 유동하여 다시 U자형 통로들을 통하여 냉매배출관(7)측 매니폴드 튜브(1a)의 냉매배출관(7)과 연결된 탱크(11)로 유동하여, 최종적으로 매니폴드(13) 및 냉매배출관(7)을 통하여 압축기로 공급된다.Meanwhile, in the heat exchanger, the refrigerant is introduced through the refrigerant inlet pipe 6 connected to the expansion valve and the refrigerant is discharged through the refrigerant discharge pipe 7 connected to the compressor, as shown in FIGS. 8 to 11. When refrigerant flows into the tank 11 of the manifold tube 1a (refrigerant inlet side) through the refrigerant inlet pipe 6, the adjacent flat tube is formed through the first slot 22a formed in the tank 11. Refrigerant flows to (1) and the refrigerant flows to the other tank 11 group through the U-shaped passages of the manifold tube 1a and the flat tubes 1 as described above, and thus the other tank ( 11) The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group is likewise flowed into the adjacent tank 11 through the slots 22, and again through the U-shaped passages. The refrigerant discharge pipe 7 of the manifold tube 1a on the refrigerant discharge pipe 7 side. Flows into the tank (11) connected to the manifold (13) and cold It is supplied to the compressor via the discharge pipe 7.

이와 같은 냉매유동과정에서 종래 열교환기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냉매유입관쪽 매니폴드 튜브의 탱크에 냉매가 유입되면 엔드 플레이트 쪽보다 블랭크 플레이트 쪽으로 냉매가 더 많이 유동함으로써 냉매의 유동분포가 고르지 못한 현상이 유발되는데, 그 이유는 종래 냉매유입관측 매니폴드 튜브를 이루는 두 매니폴드 플레이트중 엔드 플레이트 쪽 매니폴드 플레이트의 냉매유입관쪽 컵의 슬로트에는 버링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블랭크 플레이트 쪽 매니폴드 플레이트의 냉매유입관쪽 컵의 슬로트에는 버링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냉매유동분포가 불균일하게 되는 현상은 탑 마운팅 설치방식 및 바텀 마운팅 설치방식에 따라 더욱 커진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nventional heat exchanger, when the refrigerant flows into the tank of the manifold tube of the refrigerant inlet pipe side, the refrigerant flows more toward the blank plate than the end plate side, causing uneven distribution of the refrigerant. The reason is that, among the two manifold plates constituting the refrigerant inlet tube side manifold tube, a burring portion is not formed in the slot of the refrigerant inlet tube side cup of the end plate side manifold plate, and the refrigerant inlet tube side of the manifold plate of the blank plate side is not provided. It is because the burring part is formed in the slot of a cup. As such, the unevenness of the refrigerant flow distribution becomes larger according to the top mounting installation method and the bottom mounting installation method.

본 발명에서는 냉매유입관(6)측 매니폴드 튜브(1a)를 이루는 플레이트중 특히 블랭크 플레이트쪽 플레이트인 제1매니폴드 플레이트(2a)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균일한 냉매유동분포를 얻을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uniform refrigerant flow distribution can be obtained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first manifold plate 2a, which is a blank plate side plate, among the plates constituting the refrigerant inlet pipe 6 side manifold tube 1a.

도 1, 도 2,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유입관(6)과 연결되는 매니폴드 튜브(1a)는 일측 탱크(11)의 내부와 통하도록 일측 탱크(11)로 부터 연장돌출된 원형 파이프 형태의 매니폴드(13)를 가지고 있고, 이 매니폴드(13)가 브레이징에 의하여 냉매유입관(6)과 연결됨으로써 냉매유입관(6)과 매니폴드 튜브(1a)가 연결될 수 있다. 이 매니폴드 튜브(1a)들의 매니폴드(13)들은 반원형 매니폴드(131)를 가진 제1매니폴드 플레이트(2a) 및 제2매니폴드 플레이트(2b)가 서로 접합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1, 2, and 8 to 11, the manifold tube (1a) is connected to the refrigerant inlet pipe (6) from one tank 11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one tank (11) It has an extended protruding manifold 13 in the form of a circular pipe, and the manifold 13 is connected to the refrigerant inlet pipe 6 by brazing so that the refrigerant inlet pipe 6 and the manifold tube 1a can be connected. Can be. The manifolds 13 of the manifold tubes 1a may be formed by joining the first manifold plate 2a and the second manifold plate 2b with the semicircular manifold 131 to each other.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매니폴드 플레이트(2a)는 블랭크 플레이트쪽(화살표 A방향)에 위치하며, 제2매니폴드 플레이트(2b)는 엔드 플레이트(5)쪽(화살표 B방향)에 위치하는 것으로 정의한다.As shown in Fig. 10, the first manifold plate 2a is located on the blank plate side (arrow A direction), and the second manifold plate 2b is on the end plate 5 side (arrow B direction). Defined as being located.

그리고, 제1매니폴드 플레이트(2a)의 냉매유입관(6)쪽 컵(21)에 형성된 제1슬로트(22a)에는 그 가장자리를 따라 버링부(221)가 바깥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이 버링부(221)는 제1매니폴드 플레이트(2a) 외측에 인접하여 적층되는 플레이트(2)의 슬로트(22)에 삽입된다. 또한, 제2매니폴드 플레이트(2b)의 냉매유입관(6)쪽에 형성된 제2슬로트(22b)에는 제1매니폴드 플레이트(2a)의 제1슬로트(22a)와는 달리 버링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제2매니폴드 플레이트(2b)의 외측에 접합되는 플레이트(2)의 슬로트(22)에 형성된 버링부(221)가 삽입되어 접합된다.A burring portion 221 protrudes outward along the edge of the first slot 22a formed in the cup 21 on the refrigerant inlet pipe 6 of the first manifold plate 2a. The burring portion 221 is inserted into the slot 22 of the plate 2 stacked adjacent to the outside of the first manifold plate 2a. Also, unlike the first slot 22a of the first manifold plate 2a, a burring portion is not formed in the second slot 22b formed on the refrigerant inlet pipe 6 side of the second manifold plate 2b. The burring part 221 formed in the slot 22 of the plate 2 joined to the outer side of the 2nd manifold plate 2b is inserted and joined.

본 발명에 따르면, 도 8,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슬로트(22a)의 길이 및 폭과, 제1매니폴드 플레이트(2a)의 외측에 적층되는 플레이트(2)에 형성되어 상기 제1슬로트(22a)에 형성된 버링부(221)가 삽입되는 슬로트(22)의 길이 및 폭은 제2매니폴드 플레이트(2b)에 형성된 제2슬로트(22b)의 길이 및 폭보다 짧다. 제2슬로트(22b)의 길이×폭은 16.6mm×10.8mm이고, 제1슬로트(22a) 및 버링부(221)가 삽입접합되는 슬로트(22)의 길이×폭은 15mm×9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제1매니폴드 플레이트(2a)에 형성된 제1슬로트(22a) 및 제1매니폴드 플레이트(2a)의 외측에 적층되는 플레이트(2)에 형성되어 상기 제1슬로트(22a)와 결합되는 슬로트(22)를 제외한 다른 플레이트(2)에 형성되는 슬로트(22)들의 크기도 모두 제2슬로트(22b)의 크기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8, 10, and 11, the length and width of the first slot 22a and the plate 2 laminated outside the first manifold plate 2a are provided. The length and width of the slot 22 formed to insert the burring portion 221 formed in the first slot 22a is the length of the second slot 22b formed in the second manifold plate 2b and Shorter than width The length x width of the second slot 22b is 16.6 mm x 10.8 mm, and the length x width of the slot 22 into which the first slot 22a and the burring portion 221 are inserted and joined is 15 mm x 9 mm. It is preferable. Of course, the first slot 22a formed on the first manifold plate 2a and the plate 2 stacked on the outer side of the first manifold plate 2a are combined with the first slot 22a. It is preferable that the sizes of the slots 22 formed on the plate 2 other than the slot 22 are all the same as the size of the second slot 22b.

상기한 바와 같이, 제1슬로트(22a)의 크기가 제2슬로트(22b)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면, 냉매유입관(6)을 통하여 매니폴드 튜브(1a)의 냉매유입관(6)측 탱크(11)로 냉매가 유입될 경우,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제2슬로트(22b)를 통하여 엔드 플레이트(5) 쪽으로 냉매가 유동함과 아울러 제2슬로트(22b)보다 크기가 작은 제1슬로트(22a)를 통하여 블랭크 플레이트 쪽으로도 냉매가 유동한다. 이 때, 제2슬로트(22b)의 크기가 제1슬로트(22a)보다 커 엔드 플레이트(5) 쪽으로 냉매가 좀 더 많이 유동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실제로는 제2매니폴드 플레이트(2b)의 외측에 적층되는 플레이트(2)에 형성되어 제2매니폴드 플레이트(2b)의 제2슬로트(22b)에 삽입되는 버링부(221)에 의하여 유동저항을 받아 냉매의 유량이 줄어든다. 따라서, 엔드 플레이트(5) 쪽으로 흐르는 냉매의 유량과 블랭크 플레이트 쪽으로 흐르는 냉매의 유량은 서로 균형을 이루게 되어 열교환기의 전체적인 냉매 분포가 균일하게 되고, 열교환기를 바텀 마운팅 및 탑 마운팅 설치방식중 어느 설치방식으로 설치하더라도 냉매유동분포의 차이가 나지 않는다. 이와 같은 냉매유동분포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3/8-4/7배열로 이루어진 열교환기를 바텀 마운팅 설치방식 및 탑 마운팅 설치방식에 따라 설치하여 앞쪽 1미터 지점에서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하여 온도분포를 촬영한 결과를 통하여 잘 확인할 수 있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size of the first slot 22a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second slot 22b, the coolant inlet pipe 6 of the manifold tube 1a is provided through the coolant inlet pipe 6. When the refrigerant flows into the side tank 11, the refrigerant flows toward the end plate 5 through the second slot 22b, which is relatively large, and is smaller than the second slot 22b. The coolant also flows toward the blank plate through the one slot 22a. At this time, although the size of the second slot 22b is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slot 22a, the refrigerant flows more toward the end plate 5, but in reality, the second manifold plate 2b is used.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is reduced by flow resistance by the burring portion 221 formed on the plate 2 stacked on the outer side of the second manifold plate 2b and inserted into the second slot 22b of the second manifold plate 2b. Therefore,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flowing toward the end plate 5 and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flowing toward the blank plate are balanc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overall refrigerant distribution of the heat exchanger is uniform, and any of the installation methods of the bottom mounting and top mounting installation methods Even if it is installed, the refrigerant flow distribution does not differ. 12 and 13, the refrigerant flow distribution is installed in accordance with the bottom mounting installation method and the top mounting installation method of the heat exchanger consisting of 3 / 8-4 / 7 array to install the infrared camera at the front 1 meter point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was used to confirm the results.

그리고, 균일한 냉매유동분포를 얻을 수 있다면 종래와 같이 냉매유입관(6)측의 블랭크 플레이트쪽 슬로트(22)의 가장자리를 따라 버링부(221)가 형성되지 않고, 이 냉매유입관(6)측의 블랭크 플레이트쪽 슬로트(22)의 길이 및 폭을 엔드 플레이트(5)쪽 슬로트(22)의 길이 및 폭보다 짧게 형성하여도 좋다.Then, if a uniform refrigerant flow distribution can be obtained, the burring portion 221 is not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blank plate side slot 22 on the refrigerant inlet pipe 6 side as in the prior art, and this refrigerant inlet pipe 6 The length and width of the blank plate side slot 22 on the side of) may be formed shorter than the length and width of the slot 22 side slot 22.

한편, 이러한 구조의 매니폴드 플레이트(2a,2b)가 적용된 매니폴드 튜브(1a)에 있어서, 탱크(11)에 냉매가 유입되면 제1슬로트(22a)들을 통하여 인접탱크(11)들 쪽으로 흐르는 냉매와, 매니폴드 튜브(1a)의 냉매유입관(6)측 탱크(11)로부터 열교환부(23)쪽으로 흐르는 냉매의 유동분포에 있어 차이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즉, 열교환부(23)쪽으로 더 많이 냉매가 유동할 우려가 있다.Meanwhile, in the manifold tube 1a to which the manifold plates 2a and 2b having such a structure are applied, when the refrigerant flows into the tank 11, the manifold plates 2a and 2b flow toward the adjacent tanks 11 through the first slots 22a. Differences may arise in the flow distribution of the refrigerant and the refrigerant flowing from the tank 11 on the refrigerant inlet pipe 6 side of the manifold tube 1a toward the heat exchange unit 23. That is, there is a fear that the refrigerant flows more toward the heat exchange unit 23.

플레이트(2a,2b)의 각 컵(21) 하부에는 탱크(11)로부터 냉매가 열교환부(23)쪽으로 유동하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 3개의 수직비드(26,26,26)이 안쪽으로 돌출형성됨으로써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 매니폴드(131)와 연결된 컵(21)의 하부에 형성된 3개의 수직비드(26,26,26)의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냉매유동분포의 균일화를 달성하고 있다. 즉, 반원형 매니폴드(131)와 연결된 컵(21)의 하부에 형성된 3개의 수직비드(26,26,26)중 양쪽의 두 수직비드(26,26)와 플랜지(29) 사이의 유로를 막아, 슬로트들(22, 22a, 22b)을 통하여 인접탱크(11)들 쪽으로 흐르는 냉매와 상기 수직비드(26)들 사이의 유로를 통하여 열교환부(23)쪽으로 흐르는 냉매의 유동분포를 고르게 하고 있다. 따라서, 냉매의 유동이 더욱 고르게 분포되므로 열교환성능이 더욱 높아진다.Under each cup 21 of the plates 2a and 2b, three vertical beads 26, 26 and 26 are generally inward as shown in FIG. 3 so that the refrigerant flows from the tank 11 toward the heat exchanger 23. The flow path is formed by protruding into the shape.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4, the structure of the three vertical beads 26, 26, 26 formed under the cup 21 connected to the semicircular manifold 131 is shown. The uniformity of the refrigerant flow distribution is achieved by changing. That is, of the three vertical beads 26, 26, 26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up 21 connected to the semicircular manifold 131, the flow path between the two vertical beads 26, 26 and the flange 29 is blocked. The flow distribution of the coolant flowing toward the heat exchanger 23 through the flow path between the vertical beads 26 and the coolant flowing toward the adjacent tanks 11 through the slots 22, 22a and 22b is uniform. . Therefore, the heat exchange performance is further increased because the flow of the refrigerant is more evenly distributed.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성능을 향상시킨 적층형 열교환기용 플레이트(2) 및 이를 이용한 열교환기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Effects of the heat exchanger plate 2 and the laminated heat exchanger plate 2 having improved heat exchang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첫째, 열교환부(23)의 냉매유입부측 또는 냉매유출부측에 플레이트(2)의 폭방향으로 일직선상에 배열된 서로 인접하는 비드열을 각각 잇는 두 중심선(C1,C2)에 의하여 형성되는 면적(S)과 플레이트(2)의 폭방향 길이(L)와의 비율(S/L)이 0.89mm≤S/L≤1.5mm의 범위가 되도록 비드(25)들을 배열함으로써 비드(25)들 사이를 흐르는 냉매유동성이 향상됨과 아울로 냉매의 난류유동이 잘 유도됨에 따라 최적의 열교환효율을 도모할 수 있다.First, an area formed by two center lines C1 and C2 connecting adjacent bead rows arranged in a straight lin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late 2 on the refrigerant inlet side or the refrigerant outlet side of the heat exchange unit 23 ( Flowing between the beads 25 by arranging the beads 25 so that the ratio S / L of S) to the widthwise length L of the plate 2 is in the range of 0.89 mm S / L ≤ 1.5 mm As the refrigerant fluidity is improved and turbulent flow of the refrigerant is well induced, the optimum heat exchange efficiency can be achieved.

둘째, 플레이트(2)의 냉매유출측 플랜지(29)와 이것과 폭방향으로 인접하는 비드(25)와의 사이의 유로간격(Gs)을 0.15mm≤Gs≤1.6mm의 범위가 되도록 설정함으로써, 냉매유출측 플랜지(29) 쪽으로 냉매가 몰려 편류되는 것을 상기 플랜지(29)와 인접하는 비드(25)에 의하여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음에 따라 양호한 냉매유동성을 얻을 수 있으므로, 열교환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Second, by setting the flow path interval Gs between the refrigerant outlet side flange 29 of the plate 2 and the beads 25 adjacent in the width direction so as to be in the range of 0.15 mm? As the coolant flows toward the outlet side flange 29 and can be evenly dispersed by the beads 25 adjacent to the flange 29, good refrigerant fluidity can be obtained, thereby further increasing heat exchange efficiency.

셋째, 제2슬로트(22b)를 통하여 냉매가 엔드 플레이트(5) 쪽으로 유동할 때 제2매니폴드 플레이트(2b)의 외측에 적층되는 플레이트(2)의 버링부(221)에 의하여 유동저항을 받는 것을 감안하여, 상대적으로 블랭크 플레이트 쪽의 냉매유동을 위하여 형성되는 제1매니폴드 플레이트(2a)의 제1슬로트(22a)의 크기를 제2매니폴드 플레이트(2b)의 제2슬로트(22b)의 크기보다 줄임으로써 냉매가 엔드 플레이트(5) 및 블랭크 플레이트 쪽으로 균일하게 흐르도록 하였으므로, 탑 마운팅 설치방식 및 바텀 마운팅 설치방식 중 어느 설치방식으로 열교환기를 설치하여도 냉매유동분포 차이가 거의 없어 열교환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열교환기의 공용화가 가능하여 설치방식에 따라 열교환기의 규격을 다르게 하였던 일을 배제할 수 있다.Third, when the refrigerant flows toward the end plate 5 through the second slot 22b, the flow resistance is caused by the burring portion 221 of the plate 2 stacked on the outside of the second manifold plate 2b.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the size of the first slot 22a of the first manifold plate 2a, which is formed for the refrigerant flow on the blank plate side,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at of the second slot (2b) of the second manifold plate 2b. Since the refrigerant is uniformly flowed to the end plate 5 and the blank plate by reducing the size of 22b), there is almost no difference in the refrigerant flow distribution even if the heat exchanger is installed by any of the top mounting method and the bottom mounting method. The heat exchange performance can be improved, and the heat exchanger can be used in common, so that the standard of the heat exchanger can be exclud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method.

넷째, 반원형 매니폴드(131)와 연결된 컵(21)의 하부에 형성되는 3개의 수직비드(26,26,26)중 양쪽의 두 수직비드(26,26)와, 구획비드(24) 및 플랜지(29) 사이의 유로를 막아 슬로트(22a,22b)를 통하여 인접탱크(11)들 쪽으로 흐르는 냉매와 메니폴드(13)쪽 탱크(11)로부터 상기 수직비드(26)들 사이의 유로를 통하여 열교환부(23)쪽으로 흐르는 냉매의 유동분포를 고르게 함으로써 냉매유동분포를 더욱 균일화할 수 있으므로 열교환성능은 더욱 향상된다.Fourth, two vertical beads (26, 26) on both sides of the three vertical beads (26, 26, 26)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up (21) connected to the semi-circular manifold (131), partition bead (24) and flange Refrigerant flows through the slots 22a and 22b to the adjacent tanks 11 and through the flow path between the vertical beads 26 from the tank 11 on the manifold 13 side. By uniformizing the flow distribution of the refrigerant flowing toward the portion 23, the refrigerant flow distribution can be made more uniform, so that the heat exchange performance is further improved.

다섯째, 구획비드(24)의 하단 연장선상에 구획비드(24)에 인접하여 놓이는 두 비드(25,25)의 크기를 다른 비드(25)들 보다 크게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큰 압력이 작용하는 U턴부(27)가 보강되어 플랫튜브(1)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이에 따라 플랫튜브(1)를 구성하는 두 플레이트(2,2)가 분리되지 않아 냉매가 누설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Fifth, the size of the two beads (25, 25) placed adjacent to the partition bead 24 on the lower extension of the partition bead (24) larger than the other beads (25) U-turn portion that a relatively large pressure acts ( 27 is reinforced to improve durability of the flat tube 1, and thus, two plates 2 and 2 constituting the flat tube 1 are not separated, thereby preventing the leakage of the refrigerant.

여섯째, U턴부(27)의 양쪽 모서리부에 냉매유동방향인 대각선방향으로 슬로트형 보강비드(28)가 각각 형성됨으로써 U턴부(27)가 더욱 보강되어 플랫튜브(1) 및 매니폴드 튜브(1a)의 내구성이 더욱 향상되고, 또한 보강비드(28)들에 의하여 냉매의 유동이 원활하게 안내됨으로써 냉매의 유동저항을 줄일 수 있어 냉매의 유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에 따라 열교환성능을 더욱 높일 수 있다.Sixth, the slot-type reinforcement beads 28 are formed at both corners of the U-turn part 27 in the diagonal direction in the refrigerant flow direction, thereby further reinforcing the U-turn part 27 to flat tube 1 and manifold tube 1a. ) Durability is further improved, and the flow of the refrigerant is smoothly guided by the reinforcing beads 28 to reduce the flow resistance of the refrigerant, thereby improving the fluidity of the refrigerant, thereby further increasing heat exchange performance. .

Claims (10)

(1회 정정) 상단부에 나란하게 형성됨과 아울러 각각 슬로트를 가진 한 쌍의 컵과,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된 구획비드에 의하여 상기 한 쌍의 컵과 구획되어 통함과 아울러 다수의 비드들이 엠보싱 가공에 의하여 형성된 열교환부와, 상기 비드들과 동형의 비드들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구획비드에 의하여 형성되는 U턴부와, 그리고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비드들과 동일 높이로 형성된 플랜지를 가짐으로써, 2개가 서로 접합되면 한 쌍의 탱크가 형성됨과 아울러 전체적으로 한 쌍의 탱크와 통하는 U자형 통로를 가지는 플랫튜브를 이루는 적층형 열교환기용 플레이트에 있어서,(Single correction) A pair of cups formed side by side at the top and each slot having a slot and a partition bead vertically formed in the center are partitioned from the pair of cups and a plurality of beads are used for embossing. When the two are joined to each other by having a heat exchanger formed by the formed, beads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beads and a U-turn formed by the partition bead, and a flange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beads along an edge thereof, In the laminated heat exchanger plate forming a flat tube having a pair of tanks and having a U-shaped passage that communicates with the pair of tanks as a whole, 상기 비드들은 사선방향으로 격자를 이루도록 규칙적으로 배열되고,The beads are arranged regularly so as to form a grid in an oblique direction, 이 비드들중 폭방향으로 일직선으로 배열된 비드열을 연결하는 중심선 및 그 상부 또는 하부에 인접하는 비드열을 연결하는 중심선이 형성하는 면적과 상기 열교환부의 폭과의 비율(S/L)이 0.89mm≤S/L≤1.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성능을 향상시킨 적층형 열교환기용 플레이트.The ratio (S / L) between the area formed by the center line connecting the bead rows arranged in a straight line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center line connecting the bead rows adjacent to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beads and the width of the heat exchanger portion is 0.89. Laminated heat exchanger plate with improved heat exchange performance, characterized in that mm≤S / L≤1.5m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의 냉매배출측 플랜지와 이와 폭방향으로 인접하는 비드 사이의 유로간격(Gs)은 0.15mm≤Gs≤1.6mm임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성능을 향상시킨 적층형 열교환기용 플레이트.The plate type heat exchanger plate of claim 1, wherein a flow path gap Gs between the refrigerant discharge side flange of the heat exchange part and the beads adjacent in the width direction is 0.15 mm ≤ Gs ≤ 1.6 mm.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U턴부의 비드들중 구획비드의 아래쪽연장선상에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의 비드가 형성되고, 이 비드들중 구획비드와 인접하는 2개의 비드는 다른 비드들보다 크기가 크게 형성되며, 상기 U턴부의 양쪽 모서리부에는 냉매유동방향인 대각선방향으로 슬로트형 보강비드가 각각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성능을 향상시킨 적층형 열교환기용 플레이트.The bea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 plurality of beads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a lower extension line of the partition bead among the beads of the U-turn portion, and two of the beads adjacent to the partition bead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is formed larger in size, and both sides of the U-turn portion of the laminated heat exchanger plate is improved heat exchange performa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lot type reinforcement beads are further formed in the diagonal direction of the refrigerant flow direction. 상단부에 나란하게 형성됨과 아울러 각각 슬로트를 가진 한 쌍의 컵과,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된 구획비드에 의하여 상기 한 쌍의 컵과 구획되어 통함과 아울러 다수의 비드들이 엠보싱 가공에 의하여 형성된 열교환부와, 상기 비드들과 동형의 비드들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구획비드에 의하여 형성되는 U턴부와, 그리고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비드들과 동일 높이로 형성된 플랜지를 가짐으로써, 2개가 서로 접합되면 한 쌍의 탱크가 형성됨과 아울러 전체적으로 한 쌍의 탱크와 통하는 U자형 통로를 가지는 플랫튜브를 이루는 적층형 열교환기용 플레이트에 있어서,A pair of cups formed side by side at the top and each slot having a slot, and partitioned with the pair of cups by partition beads vertically formed at the center, and a plurality of beads formed by embossing, The bead of the same type as the beads and the U-turn portion formed by the partition bead, and has a flange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beads along the edge, so that when the two are bonded to each other a pair of tanks In the laminated heat exchanger plate which is formed and forms a flat tube having a U-shaped passage communicating with a pair of tanks as a whole, 상기 열교환부의 냉매배출측 플랜지와 이와 폭방향으로 인접하는 비드 사이의 유로간격(Gs)은 0.15mm≤Gs≤1.6mm임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성능을 향상시킨 적층형 열교환기용 플레이트.The flow path gap (Gs) between the refrigerant discharge side flange of the heat exchange part and the beads adjacent in the width direction is 0.15 mm ≤ Gs ≤ 1.6 mm. 상단부에 나란하게 형성됨과 아울러 각각 슬로트를 가진 한 쌍의 컵과, 일측 컵으로부터 연장돌출되어 냉매유입관과 접합연결되는 반원형 매니폴드와, 냉매유입관측의 블랭크 플레이트쪽 슬로트의 가장자리를 따라 바깥쪽으로 돌출형성된 버링부와,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된 구획비드에 의하여 상기 한 쌍의 컵과 구획되어 통함과 아울러 다수의 비드들이 형성된 열교환부와, 상기 비드들과 동형의 비드들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구획비드에 의하여 형성되는 U턴부와, 그리고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비드들과 동일 높이로 형성된 플랜지를 가짐으로써, 2개가 서로 접합되면 한 쌍의 탱크가 형성됨과 아울러 전체적으로 한 쌍의 탱크와 통하는 U자형 통로를 가지는 매니폴드 튜브를 이루는 적층형 열교환기용 플레이트에 있어서,A pair of cups formed side by side at the top and each slot having a slot, a semi-circular manifold extending from one cup and joined to the refrigerant inlet pipe, and an outer side along the edge of the blank plate side slot on the refrigerant inlet pipe side. Burr portion protruded toward the side, a partition bead vertically formed in the center and the heat exchanger is partitioned with the pair of cups and formed with a plurality of beads, bead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beads and the partition beads By having a U-turn portion formed by and a flange formed along the edge and the same height as the beads, when the two are joined to each other, a pair of tanks are formed and a U-shaped passageway in communication with the pair of tanks as a whole In the plate for laminated heat exchanger forming a manifold tube, 상기 냉매유입관측의 블랭크 플레이트쪽 슬로트의 길이 및 폭이 다른 슬로트의 길이 및 폭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성능을 향상시킨 적층형 열교환기용 플레이트.The length and width of the slot on the blank plate side of the refrigerant inlet pipe side is shorter than the length and width of the other slot,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t exchanger plate with improved heat exchange performanc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유입관측의 블랭크 플레이트쪽 슬로트의 길이×폭은 대략 15mm×9mm이고, 다른 슬로트의 길이×폭은 대략 16.6mm×10.8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성능을 향상시킨 적층형 열교환기용 플레이트.6. The heat exchange performance of claim 5, wherein the length × width of the blank plate side slot on the refrigerant inlet pipe side is approximately 15 mm × 9 mm, and the length × width of the other slots is approximately 16.6 mm × 10.8 mm. Laminated heat exchanger plate.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반원형 매니폴드와 연결되는 컵의 하부에 열교환부로 통하는 유로를 형성하도록 3개의 수직비드가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고, 이 3개의 수직비드중 양쪽의 두 수직비드와, 구획비드 및 플랜지와의 사이의 유로는 막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성능을 향상시킨 적층형 열교환기용 플레이트.7. The three vertical beads of claim 5 or 6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so as to form a flow passage through the heat exchange portion at a lower portion of the cup connected to the semi-circular manifold, and two vertical ones of both of the three vertical beads are formed. A plate for laminated heat exchangers having improved heat exchange performa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low path between the beads, the compartment beads, and the flange is blocked. (1회 정정)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유입관측의 블랭크 플레이트쪽 슬로트의 길이×폭은 대략 15mm×9mm이고, 다른 슬로트의 길이×폭은 대략 16.6mm×10.8mm이며, 블랭크 플레이트쪽 슬로트의 가장자리를 따라 바깥쪽으로 버링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성능을 향상시킨 적층형 열교환기용 플레이트.(Single correction) The length X width of the blank plate side slot on the refrigerant inlet tube side is approximately 15 mm x 9 mm, and the length x width of the other slots is approximately 16.6 mm x 10.8 mm, and the blank plate Laminated heat exchanger plate with improved heat exchange performance, characterized in that no burring portion is formed outward along the edge of the side slot. 상단부에 형성된 한 쌍의 컵과,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된 구획비드에 의하여 상기 한 쌍의 컵과 구획되어 통함과 아울러 다수의 비드들이 형성된 열교환부와, 상기 비드들과 동형의 비드들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구획비드에 의하여 형성되는 U턴부와, 그리고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비드들과 동일 높이로 형성된 플랜지를 가진 2개가 플레이트가 서로 접합된 다수의 플랫튜브들과; 한 쌍의 플레이트를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이들 사이에 적층되는 다수의 핀과; 그리고 상기 플랫튜브들 및 이들의 최외측에 적층되는 두 엔드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적층형 열교환기에 있어서,A pair of cups formed at an upper end portion, a heat exchanger partitioned with the pair of cups by a partition bead formed perpendicularly to the center, and having a plurality of beads formed thereon, and beads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beads A plurality of flat tubes in which two plates having a U-turn portion formed by the partition beads and a flange formed along the edge and flush with the beads are joined to each other; A plurality of pins stacked between them formed by joining a pair of plates; And a flat heat exchanger and two end plates stacked on the outermost side thereof. 상기 비드들은 사선방향으로 격자를 이루도록 규칙적으로 배열되고,The beads are arranged regularly so as to form a grid in an oblique direction, 이 비드들중 폭방향으로 일직선으로 배열된 비드열을 연결하는 중심선 및 그 상부 또는 하부에 인접하는 비드열을 연결하는 중심선이 형성하는 면적과 상기 열교환부의 폭과의 비율(S/L)이 0.89mm≤S/L≤1.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열교환기.The ratio (S / L) between the area formed by the center line connecting the bead rows arranged in a straight line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center line connecting the bead rows adjacent to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beads and the width of the heat exchanger portion is 0.89. Multilayer heat exchanger, characterized in that mm≤S / L≤1.5mm. (1회 정정) 다수 쌍의 플레이트, 냉매유입관이 연결되는 블랭크 플레이트쪽 제1매니폴드 플레이트 및 엔드 플레이트쪽 제2매니폴드 플레이트, 다수 쌍의 플레이트, 냉매배출관이 연결되는 1쌍의 매니폴드 플레이트, 다수 쌍의 플레이트의 순으로 배열되고, 최외측이 두 엔드 플레이트에 의하여 보강되며, 상기 제1매니폴드 플레이트의 냉매유입관쪽 제1슬로트에 버링부가 바깥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제1매니폴드 플레이트 외측에 적층되는 플레이트의 슬로트에 삽입되어 접합되며, 제2매니폴드 플레이트의 냉매유입관쪽 제2슬로트에 제2매니폴드 플레이트의 외측에 적층되는 플레이트의 버링부가 삽입되어 접합된 적층형 열교환기에 있어서,(Once corrected) Multiple pairs of plates, blank plate side manifold plate to which refrigerant inlet pipe is connected and second manifold plate to end plate, multiple pair of plates, one pair of manifold plate to which refrigerant outlet pipe is connected The outermost side is reinforced by the two end plates, and a burring portion protrudes outward from the first slot toward the refrigerant inlet pipe of the first manifold plate, thereby forming the first manifold plate. In the stack type heat exchanger which is inserted into the slot of the plate to be laminated to the outside and joined, the burring portion of the plate to be laminat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manifold plate is inserted into the second slot of the refrigerant inlet pipe side of the second manifold plate. , 상기 제1슬로트의 길이 및 폭과, 상기 제1슬로트에 바깥방향으로 형성된 버링부가 삽입접합되는 인접 플레이트의 슬로트의 길이 및 폭이, 제2슬로트의 길이 및 폭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열교환기.The length and width of the first slot, and the length and width of the slot of the adjacent plate to which the burring portion formed outwardly formed in the first slot is bonded, is shorter than the length and width of the second slot Stacked heat exchanger.
KR1020000000767A 1999-03-31 2000-01-08 Plate for heat exchanger having enhanced evaporating performance and heat exchanger using it KR1003528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0767A KR100352876B1 (en) 1999-03-31 2000-01-08 Plate for heat exchanger having enhanced evaporating performance and heat exchanger using it
JP2001000858A JP3911574B2 (en) 2000-01-08 2001-01-05 Plate for laminated heat exchanger with improved heat exchange performance and heat exchanger using the same
US09/757,077 US6520251B2 (en) 2000-01-08 2001-01-08 Plate for stack type heat exchangers and heat exchanger using such plates
EP01100450A EP1114974B1 (en) 2000-01-08 2001-01-08 Plate for stack type heat exchangers and heat exchanger using such plates
DE60104730T DE60104730T2 (en) 2000-01-08 2001-01-08 Plate for stack plate heat exchanger and heat exchanger with such plates
US10/330,467 US6786277B2 (en) 2000-01-08 2002-12-26 Heat exchanger having a manifold plate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1313 1999-03-31
KR19990011313 1999-03-31
KR1020000000767A KR100352876B1 (en) 1999-03-31 2000-01-08 Plate for heat exchanger having enhanced evaporating performance and heat exchanger using 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2444A KR20000062444A (en) 2000-10-25
KR100352876B1 true KR100352876B1 (en) 2002-09-16

Family

ID=26634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0767A KR100352876B1 (en) 1999-03-31 2000-01-08 Plate for heat exchanger having enhanced evaporating performance and heat exchanger using 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287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7637B1 (en) * 2002-07-11 2007-02-27 한라공조주식회사 Heat exchanger
KR100718262B1 (en) * 2002-12-30 2007-05-15 한라공조주식회사 Manifold plate for heat exchanger
KR102148712B1 (en) * 2014-10-07 2020-08-2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Regenerator for vehicle
CN108489155A (en) * 2018-05-31 2018-09-04 上海朗旦制冷技术有限公司 A kind of novel dividing wall type micro heat exchanger
CN109813174A (en) * 2019-01-25 2019-05-28 江苏通盛换热器有限公司 A kind of heat exchanger intermediate pl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2444A (en) 2000-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1761B2 (en) Heat exchanger
US7523781B2 (en) Heat exchanger
US20090166017A1 (en) Heat exchanger
JP3911574B2 (en) Plate for laminated heat exchanger with improved heat exchange performance and heat exchanger using the same
JP5142109B2 (en) Evaporator
US20030188857A1 (en) Heat exchanger for exchanging heat between internal fluid and external flui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6863120B2 (en) Laminated heat exchanger
US20090151918A1 (en) Heat Exchanger for Automobil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JP2001074388A (en) Refrigerant evaporator
JPH0735439A (en) Laminated type heat exchanger
US6431264B2 (en) Heat exchanger with fluid-phase change
US20110220336A1 (en) Heat exchanger
JP3965901B2 (en) Evaporator
KR100352876B1 (en) Plate for heat exchanger having enhanced evaporating performance and heat exchanger using it
JP3661275B2 (en) Stacked evaporator
WO2019207838A1 (en) Refrigerant distributor,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KR100528997B1 (en) Multilayer Heat Exchanger
JP4095818B2 (en) Heat exchanger
KR100531016B1 (en) Heat exchanger manifold plate and heat exchanger using the same to improve refrigerant flow
JP2003148833A (en) Heat exchanger
KR102196959B1 (en) Heat-exchanger
KR101104278B1 (en) Plate for heat exchanger
JP2001012883A (en) Heat exchanger
KR101082472B1 (en) Plate of evaporator
KR20010063075A (en) Heat exchan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