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2745B1 - 블럭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블럭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2745B1
KR100352745B1 KR1019990002146A KR19990002146A KR100352745B1 KR 100352745 B1 KR100352745 B1 KR 100352745B1 KR 1019990002146 A KR1019990002146 A KR 1019990002146A KR 19990002146 A KR19990002146 A KR 19990002146A KR 100352745 B1 KR100352745 B1 KR 100352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mold
cement milk
concrete
crushed sto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2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1604A (ko
Inventor
박인호
Original Assignee
박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호 filed Critical 박인호
Priority to KR1019990002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2745B1/ko
Publication of KR20000051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1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2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27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4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tamping or ramming
    • B28B1/045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tamping or ramming combined with vibrating or jol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oating or applying engobing layers
    • B28B11/048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oating or applying engobing layers by spraying or proje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oating or applying engobing layers
    • B28B11/06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oating or applying engobing layers with powdered or granular material, e.g. sanding of shap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8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reshaping the surface, e.g. smoothing, roughening, corrugating, making screw-thr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9/00Machines or methods for applying the material to surfaces to form a permanent layer thereon
    • B28B19/0015Machines or methods for applying the material to surfaces to form a permanent layer thereon on multilaye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97Press moulds; Press-mould and press-ram assembl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 Press-Shaping Or Shaping Using Conve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럭이 제조되는 과정에서 시멘트 밀크 분사공정을 거친 후 그 상면을 연마토록 함으로써 완제품으로서의 블럭에 기공이 발생되는 것을 막고 그 표면을 매끄럽게 유지할 수 있게 하여 미려한 외관을 갖는 특정형태의 블럭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소재를 형틀내에 투입한 후 투입된 소재에 대해 1차 가압하는 제1공정과, 상기 1차 가압된 소재의 상면에 쇄석을 투여한 후 2차 가압하는 제2공정과, 상기 2차가압된 소재를 탈형한 후 시멘트밀크를 분사하는 제3공정과, 시멘트밀크가 분사된 소재를 증기양생시킨 후 소재의 상면을 연마하는 제4공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제조방법이다.

Description

블럭제조방법 { manufacture method of block }
본 발명은 블럭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블럭이 제조되는 과정에서 시멘트 밀크 분사공정을 거친 후 그 상면을 연마토록 함으로써 완제품으로서의 블럭에 기공이 발생되는 것을 막고 그 표면을 매끄럽게 유지할 수 있게 하여 미려한 외관을 갖는 특정형태의 블럭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수홀덮개용 받침블럭등과 같이 외부에 그대로 그 외관이 드러나는 블럭의 경우, 지금까지의 제조방법은 일반블럭과 마찬가지로 단순히 형틀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상태에서 일정시간 경과후 탈형하여 양생시켜 하나의 블록제품으로서 제작완료하여 가로수홀덮개용 받침블럭으로 사용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가로수홀덮개용 받침블럭의 경우는 일반 건축용 블럭과는 달리 받침블럭의 표면이 외부로 그대로 노출되는 설치특성상, 블럭의 강도와 와관의 미려함도 강조되어야 하는 것인바, 지금까지의 종래 가로수홀덮개용받침블럭은 강도만 강조되고 그 외관은 무시된 채 받침블럭을 형틀로부터 탈형시켜 양생시킨 상태그대로 제품으로서 출하되는 것이어서, 가로수홀덮개와 함께 도로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받침블럭의 표면은 투박한 외관을 지닐 수 밖에 없어 제품으로서의 받침블럭의 상품성을 현저히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가로수가 설치되는 가로수홀가장자리의 미관도 해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이 가로수홀덮개용 받침블럭의 경우에서 처럼 외부로 그 외관이 그대로 노출되는 종래의 블럭이 지닌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블럭제조시 가압된 소재를 시멘트 밀크 분사공정을 거치도록 하여 블럭에 기공이 생기는 것을 방지되게한 상태에서 양생완료된 블럭에 대해서 다시 연마공정을 거치게 하여 그 상면을 연마함으로써 습식제조공정을 거쳤음에도 불구하고 마치 건식제조공정을 거친것과 같이 제조완료된 블럭의 표면을 매끄럽게 유지할 수 있게 하여 적정 강도를 유지함과 동시에 미려한 외관을 갖는 블럭을 얻을 수 있게한 블럭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정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블럭제조방법은, 소재를 형틀내에 투입한 후 투입된 소재에 대해 1차 가압하는 제1공정(10)과, 상기 1차 가압된 소재의 상면에 쇄석을 투여한 후 2차 가압하는 제2공정(20)과, 상기 2차가압된 소재를 탈형한 후 시멘트밀크를 분사하는 제3공정(30)과, 시멘트밀크가 분사된 소재를 증기양생시킨 후 소재의 상면을 연마하는 제4공정(40)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블럭제조방법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상기와 같은 제조공정을 거치면서 제조되는 본 발명의 블럭은,다수의 형틀내에 블럭의 적정강도유지를 위한 골조로서의 심재와 함께 일정량의 콘크리트를 투입한 상태에서 타설된 소재를 다진 후 형틀 직상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된 상형을 하강시켜 형틀내에 타설된 소재를 1차 가압하여 그 조직을 치밀하게 하는 제1공정(10)과;
이렇게 1차 가압되어 조직이 치밀해진 소재의 상면에 다수의 쇄석을 투여하여 콘크리트소재상부에 쇄석들이 얹혀져 위치되게 한 상태에서 다시 상형을 하강시켜 상면에 다수의 쇄석들이 위치된 소재를 2차로 가압하여 일정두께의 콘크리트층상부에 쇄석층이 일정두께만큼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는 제2공정(20)과;
이후 2차에 걸쳐 가압완료된 소재를 가두고 있는 형틀을 풀어 소재를 탈형,분리해 낸 후 탈형된 소재에 대해 시멘트밀크를 분사 도포하여 소재에 형성되는 다수의 기공들은 메움과 동시에 가압완료된 소재의 표면이 고운입자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제3공정(30)과;
이렇게 표면에 시멘트밀크가 분사도포된 소재를 증기양생실로 옮겨 증기양생 시킨 후 소재의 상면을 연마처리하는 제4공정(40)을;거치게 되면서 소재상면의 시멘트밀크와 쇄석의 일부가 연마되면서 특이한 질감의 표면을 갖는 완제품으로서의 하나의 블럭을 얻을 수 있게 되어 블럭제조를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일련의 제조공정이 모두 완료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완제품으로서의 블럭을 비록 가로수홀덮개용 받침블럭을 대표적인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블럭제조방법에 의하면, 다수회에 걸쳐 소정의 블럭형태로 가압완료된 소재를 별도의 시멘트밀크도포공정을 거치도록 한 후 양생시켜 그 표면을 연마함으로써, 블럭에 기공이 형성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함과 동시에 블럭의 표면을 대리석 질감을 갖도록 매끈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하여 표면이 외부로 그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가로수홀덮개용 받침블럭의 상품성을 높이는 동시에 블럭이 설치된 가로수홀 가장자리의 미관을 더욱 아름답게 유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다수의 형틀내에 블럭의 적정강도유지를 위한 골조로서의 심재와 함께 일정량의 콘크리트를 투입한 상태에서 타설된 소재를 다진 후 형틀 직상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된 상형을 하강시켜 형틀내에 타설된 소재를 1차 가압하여 그 조직을 치밀하게 하는 제1공정(10)과;
    이렇게 1차 가압되어 조직이 치밀해진 소재의 상면에 다수의 쇄석을 투여하여 콘크리트소재상부에 쇄석들이 얹혀져 위치되게 한 상태에서 다시 상형을 하강시켜 상면에 다수의 쇄석들이 위치된 소재를 2차로 가압하여 일정두께의 콘크리트중 상부에 쇄석층이 일정두께만큼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는 제2공정(20)과;
    이후 2차에 걸쳐 가압완료된 소재를 가두고 있는 형틀을 풀어 소재를 탈형, 분리해 낸 후 탈형된 소재에 대해 시멘트밀크를 분사 도포하여 소재에 형성되는 다수의 기공들은 메움과 동시에 가압완료된 소재의 표면이 고운입자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제3공정(30)과;
    이렇게 표면에 시멘트밀크가 분사도포된 소재를 증기양생실로 옮겨 증기양생 시킨 후 소재의 상면을 연마처리하는 제4공정(40)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제조방법.
KR1019990002146A 1999-01-23 1999-01-23 블럭제조방법 KR100352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2146A KR100352745B1 (ko) 1999-01-23 1999-01-23 블럭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2146A KR100352745B1 (ko) 1999-01-23 1999-01-23 블럭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1604A KR20000051604A (ko) 2000-08-16
KR100352745B1 true KR100352745B1 (ko) 2002-09-16

Family

ID=19572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2146A KR100352745B1 (ko) 1999-01-23 1999-01-23 블럭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274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0554A (ko) * 1996-11-29 1998-08-17 황익현 세립자 고압 투수블록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0554A (ko) * 1996-11-29 1998-08-17 황익현 세립자 고압 투수블록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1604A (ko) 2000-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54077A (en) Method for making decorative inlaid concrete blocks
CN106965358A (zh) 应用于预制和现浇混凝土的弹性造型模板的制造方法
CN1034161A (zh) 一种再造石装饰品的制造方法
KR101032321B1 (ko) 성형블록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성형블록
CN102216043A (zh) 块体模具及方法
KR100352745B1 (ko) 블럭제조방법
KR100750857B1 (ko) 자연석 질감을 갖는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방법
US2305126A (en) Process of molding imitation terrazza tile
US20090255211A1 (en) Method and means for producing a concrete block
KR100500575B1 (ko) 자연석 투수 평판 블록 및 그 제조방법
JPH11226931A (ja) 路面用透水性ブロッ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900005969B1 (ko) 세척콘크리트 제품의 제조방법
JP3565523B2 (ja) コンクリート製化粧板の製造方法
KR20010016566A (ko) 자연석을 이용한 경계석 및 그 제조방법
JP3196959B2 (ja) 水硬性材料の成形法
JP2511745B2 (ja) 即時脱型コンクリ―トブロックの製造方法
JP2842092B2 (ja) 即時脱型によるpc製品の表面処理方法
JPH091516A (ja) 化粧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製造方法
US718890A (en) Process of making sculptural reliefs, &c.
KR20020093780A (ko) 유사화석 및 그 제조방법
JPS60920B2 (ja) 模様入テラゾ板の製造方法
KR20020090766A (ko) 건축용 벽돌의 표면처리방법
JPH0330481B2 (ko)
JPH0214162B2 (ko)
JPH08218399A (ja) 装飾パネル成形用の雌型製作方法及び装飾パネル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10903

Effective date: 2002073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