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2683B1 - 음료수 캔 - Google Patents

음료수 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2683B1
KR100352683B1 KR1020000030710A KR20000030710A KR100352683B1 KR 100352683 B1 KR100352683 B1 KR 100352683B1 KR 1020000030710 A KR1020000030710 A KR 1020000030710A KR 20000030710 A KR20000030710 A KR 20000030710A KR 100352683 B1 KR100352683 B1 KR 100352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beverage
coupled
installation
coupl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0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7485A (ko
Inventor
김정수
Original Assignee
김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수 filed Critical 김정수
Priority to KR1020000030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2683B1/ko
Publication of KR20010107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7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2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26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of curved cross-section, e.g. cans of circular or elliptical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0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of polygonal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1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02Location of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음료수 캔은 상측면에 공지의 개방수단을 각각 보유하고 음료수를 각각 내장하는 제1캔본체(2)와 제2캔본체(3)가 원기둥과 다각형기둥 중의 하나의 형상을 높이 방향으로 분할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2캔본체(2,3)를 접촉한 부위의 양쪽에 부착되는 결합수단이 제1,2캔본체(2,3)를 결합 고정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결합수단은 손잡이부(11a)를 일체로 형성한 띠형상의 부착지(11)를 상기 제1,2캔본체(2,3)의 접촉부의 양측면에 부착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음료수를 내장한 제1캔본체와 제2캔본체를 상호 결합하여 하나의 제품으로 구성하기 때문에, 하나의 제품으로 두 종류의 음료수를 용이하게 음미할 수 있으며, 하나의 제품을 두 개의 캔본체로 분리하여 다른 사람과 나눠 마실 수 있어 음료수를 위생적으로 나눠 마실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음료수 캔{CAN DRINKING WATER}
본 발명은 음료수를 내장하여 사용자가 내장된 음료수를 쉽게 마실 수 있는음료수 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두 종류의 음료수를 각각 내장하여 하나로 묶어서 제품화함으로써 하나의 제품으로 두 종류의 음료수를 용이하게 마실 수 있고 음료수를 위생적으로 각각 나눠 마실 수 있도록 하는 음료수 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수는 탄산을 함유한 탄산수, 과일의 즙을 함유한 쥬스, 그리고 유산균을 함유한 유산균음료 등으로 대별된다.
상기 탄산수는 탄산에 의한 압력이 밀폐된 공간에 형성되므로 유리로 만든 병이나 금속으로 만든 캔에 내장 보관하게 되며, 상기 쥬스 또는 유산균음료는 종이로 만든 팩이나 합성수지로 만든 캔 등에 내장 보관하게 된다,
예컨대 종래의 캔은 얇은 금속이나 합성수지로 만들어 탄산수나 쥬스 등을 내장하는 것으로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측면에 개방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개방수단은 한쪽 단부를 잡고 들어올리면 다른쪽 단부가 캔의 상측면을 개방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캔에 내장된 음료수를 마시기 위해 상측면을 개방하여 내장된 음료수를 마실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하나의 제품에 하나의 음료수만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다양한 종류의 음료수를 즐기기 위해 다른 제품을 별도로 구입해야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하나의 제품에는 하나의 개방수단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하나의 제품을 다른 사람과 나눠 마실 경우에 동일한 위치에 입을 접촉하게 되어 매우 비위생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두 종류의 음료수를 각각 내장하여 하나로 묶어서 기둥 형상으로 제품화함으로써 하나의 제품으로 두 가지의 음료수를 용이하게 마실 수 있고 음료수를 위생적으로 각각 나눠 마실 수 있는 음료수 캔을 제공하는 데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얇은 금속이나 합성수지로 구성되고 상측면을 개방하는 개방수단이 상측면에 설치되며 음료수를 밀봉 내장하는 공지의 캔에 있어서, 상측면에 공지의 개방수단을 각각 보유하고 음료수를 각각 내장하는 두 개의 캔본체가 원기둥과 다각형기둥 중의 하나의 형상을 높이 방향으로 분할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두 개의 캔본체를 접촉한 부위에 부착되는 결합수단이 두 개의 캔본체를 결합 고정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음료수 캔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음료수 캔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 - 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음료수 캔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B - B선 단면도,
도 5는 도 3의 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음료수 캔의 또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6의 C - C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음료수 캔 11 : 부착지
21 : 고리부재 22 : 고리고정부재
23,33 : 이탈방지뚜껑 31 : 둘레홈
32 : 벤드부재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음료수 캔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면 부호 1은 음료수 캔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음료수 캔(1)은 원기둥 형상을 높이 방향으로 분할한 반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캔본체(2)와 제2캔본체(3)를 접촉함과 더불어, 접촉된 제1,2캔본체(2,3)를 결합수단으로 결합 고정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결합수단은 손잡이부(11a)를 일체로 형성한 띠형상의 부착지 (11)를 상기 제1,2캔본체(2,3)의 접촉부의 양측면에 접착제(12)로 부착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제1,2캔본체(2,3)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얇은 금속와 합성수지 중의 하나 또는 두 가지를 혼용하여 구성되고, 상측면에 개방수단을 보유하고 있으며, 음료수를 내장한 것이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1,제2캔본체(2,3)가 다각형기둥 형상을 높이 방향으로 분할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개방수단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손잡이부재(2a,3a)의 한쪽 단부를 잡고 들어올리면 다른쪽 단부가 제1,2캔본체(2,3)의 상측면을 개방하게 되며, 다른 예로써 도시하지 않았지만 통상의 병뚜껑과 같은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예의 음료수 캔(1)은 제1캔본체(2)와 제2캔본체(3)에 다른 종류의 음료수를 내장하고, 상기 제1,2캔본체(2,3)를 접촉한 뒤, 접촉한 부위의 양측에 부착지(11)를 접착제(12)로 부착하여 도 1과 같은 원기둥 형상으로 완성된다.
그래서 사용자는 두 가지 종류의 음료수를 내장한 하나의 제품을 구입하여 제1,2캔본체(2,3)에 부착된 부착지(11)의 손잡이부(11a)를 잡고 떼어내면 제1,2캔본체(2,3)를 분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두 종류의 음료수를 각각 음미할 수 있고, 다른 사람과 위생적으로 나눠 마실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음료수 캔(1)은 다른 예로써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으며, 상기 결합수단은 선단부에 고리부(21a)를 보유한 고리부재(21)가 상기 제1캔본체(2)의 한쪽 측면과 상기 제2캔본체(3)의 다른쪽 측면에 부착되고, 상기 고리부재(21)와 결합되는 고리고정부재(22)가 상기 제1캔본체(2)의 다른쪽 측면과 상기 제2캔본체(3)의 한쪽 측면에 부착되며, 고리고정부재(22)에 설치된 고리부재(21)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뚜껑(23)이 상기 고리고정부재(22)와 힌지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고리고정부재(22)에는 상기 고리부재(21)의 고리부(21a)와 결합되는 설치홈(22a)이 형성되고, 설치홈(22a)의 중앙부에 설치관(22b)이 돌출 형성되고, 설치관(22b)의 내경부에 걸림턱(22c)이 형성된다.
상기 이탈방지뚜껑(23)은 상기 고리부재(21)의 고리부(21a)를 관통하여 상기 고리고정부재(22)의 설치관(22b)에 착탈되는 돌기부(23a)를 중앙부에 돌출 형성하고, 돌기부(23a)의 선단에 턱(23b)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예의 음료수 캔(1)은 제1캔본체(2)와 제2캔본체(3)에 다른 종류의 음료수를 내장하고, 상기 제1,2캔본체(2,3)를 접촉한 뒤, 고리고정부재(22)의 설치홈(22a)에 고리부재(21)의 고리부(21a)를 설치함과 더불어 이탈방지뚜껑(23)의 돌기부(23a)를 고리고정부재(22)의 설치관(22b)에 삽입하여 설치관(22b)에 형성된 걸림턱(22c)에 돌기부(23a)에 형성된 턱(23b)을 걸리게 하여 더욱 용이하게 고정하게 되며, 제1,2캔본체(2,3)에 결합에 의하여 도 1과 같은 원기둥 형상으로 완성된다.
그래서 사용자는 두 가지 종류의 음료수를 내장한 하나의 제품을 구입하여 이탈방지뚜껑(23)을 회전한 뒤에 고리부재(21)의 고리부(21a)를 고리고정부재(22)의 설치홈(22a)으로부터 이탈하여 제1,2캔본체(2,3)를 분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두 종류의 음료수를 각각 음미할 수 있고, 다른 사람과 위생적으로 나눠 마실 수 있게 된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음료수 캔(1)은 또다른 예로써 도 6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으며, 본 실시예의 결합수단은 상호 결합된 제1캔본체(2)와 제2캔본체(3)의 중앙부 둘레면에 둘레홈(31)을 형성하고, 상기 둘레홈(31)을 감싸는 벤드부재(32)의 한쪽 단부가 상기 제1,2캔본체(2,3) 중의 하나에 결합되면서 양단부가 상호 결합되며, 양단부가 상호 결합된 벤드부재(32)의 고리부(32a)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뚜껑(33)이 상기 고리고정부재(32)와 힌지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벤드부재(32)의 한쪽 단부에는 상기 고리부(32a)와 결합되는 설치홈(32b)이 형성되고, 설치홈(32b)의 중앙부에 설치관(32c)이 돌출 형성되고, 설치관(32c)의 내경부에 걸림턱(32d)이 형성되며, 다른쪽 단부에는 고리부(32a)가 일체로 형성되어 양단부가 상호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이탈방지뚜껑(33)은 상기 벤드부재(32)의 한쪽 단부와 힌지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벤드부재(32)의 고리부(32a)를 관통하여 설치관(32c)에 착탈되는 돌기부(33a)를 중앙부에 돌출 형성하고, 돌기부(33a)의 선단에 턱(33b)을 형성하며, 양단부가 결합된 벤드부재(32)의 고리부(32a)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예의 음료수 캔(1)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작용되므로 이에 작용 설명을 생략한다.
이렇게 본 발명의 음료수 캔은 분할된 원기둥 또는 다각형 기둥 형상을 조합한 제1,2캔본체를 다른 종류의 음료수를 내장하여 하나의 제품으로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더우기 제1캔본체(2)와 제2캔본체(3)는 뚜껑이 씌워진 유리재질의 병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다양한 실시예의 결합수단으로 두개의 캔본체(2,3)를 묶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음료수 캔은 음료수를 내장한 제1캔본체와 제2캔본체를 상호 결합하여 하나의 제품으로 구성하기 때문에, 하나의 제품으로 두 종류의 음료수를 용이하게 음미할 수 있으며, 하나의 제품을 두 개의 캔본체로 분리하여 다른 사람과 나눠 마실 수 있어 음료수를 위생적으로 나눠 마실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얇은 금속이나 합성수지로 구성되고 상측면을 개방하는 개방수단이 상측면에 설치되며 음료수를 밀봉 내장하는 공지의 캔의 상측면에 공지의 개방수단을 각각 보유하고 음료수를 각각 내장하는 제1캔본체(2)와 제2캔본체(3)가 원기둥과 다각형기둥 중의 하나의 형상을 높이 방향으로 분할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2 캔본체(2,3)를 접촉한 부위의 양쪽에 부착되는 결합수단이 제1,2 캔본체(2,3)를 결합 고정하며,
    상기 결합수단은 손잡이부(11a)를 일체로 형성한 띠형상의 부착지(11)를 상기 제1,2캔본체(2,3)의 접촉부의 양측면에 부착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음료수 캔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제1캔본체(2)의 한쪽 측면과 상기 제2캔본체(3)의 다른쪽 측면에 부착되고 선단부에 고리부(21a)를 보유한 고리부재(21)와,
    상기 고리부재(21)의 고리부(21a)와 결합되는 설치홈(22a)이 형성되고 설치홈(22a)의 중앙부에 설치관(22b)이 돌출 형성되고 설치관(22b)의 내경부에 걸림턱(22c)이 형성되며 상기 제1캔본체(2)의 다른쪽 측면과 상기 제2캔본체(3)의 한쪽 측면에 부착되는 고리고정부재(22),
    그리고, 상기 고리고정부재(22)와 힌지 결합되고 상기 고리부재(21)의 고리부(21a)를 관통하여 상기 고리고정부재(22)의 설치관(22b)에 착탈되는 돌기부(23a)를 중앙부에 돌출 형성하고 돌기부(23a)의 선단에 턱(23b)을 형성하며 고리고정부재(22)에 설치된 고리부재(21)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뚜껑(2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캔.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호 결합된 제1캔본체(2)와 제2캔본체(3)의 중앙부 둘레면에 형성되는 둘레홈(31),
    상기 둘레홈(31)을 감싸고 한쪽 단부가 상기 제1,2캔본체(2,3) 중의 하나에 결합되고 다른쪽 단부가 고리부(32a)로 형성되며 한쪽 단부에 상기 고리부(32a)와 결합되는 설치홈(32b)이 형성되고 설치홈(32b)의 중앙부에 설치관(32c)이 돌출 형성되고 설치관(32c)의 내경부에 걸림턱(32d)이 형성되어 양단부가 상호 결합되는 벤드부재(32),
    그리고 상기 벤드부재(32)의 한쪽 단부와 힌지 결합되고 상기 벤드부재(32)의 고리부(32a)를 관통하여 설치관(32c)에 착탈되는 돌기부(33a)를 중앙부에 돌출 형성하고 돌기부(33a)의 선단에 턱(33b)을 형성하며 양단부가 결합된 벤드부재(32)의 고리부(32a)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뚜껑(33)으로 이루어지는 음료수 캔.
KR1020000030710A 2000-06-05 2000-06-05 음료수 캔 KR100352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0710A KR100352683B1 (ko) 2000-06-05 2000-06-05 음료수 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0710A KR100352683B1 (ko) 2000-06-05 2000-06-05 음료수 캔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4436U Division KR200202804Y1 (ko) 2000-04-12 2000-05-22 음료수 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7485A KR20010107485A (ko) 2001-12-07
KR100352683B1 true KR100352683B1 (ko) 2002-09-16

Family

ID=19671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0710A KR100352683B1 (ko) 2000-06-05 2000-06-05 음료수 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268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7485A (ko) 200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48709A (en) Straw-containing cover attachment and assembly for a beverage container
ES2249582T3 (es) Dispositivo de cierre inviolable.
US6382438B1 (en) Container and flexible tube manufactured with a detachable cover that is reusable as a cap
JP2014500832A (ja) 取り外し可能な底部を有するボトル
WO1999037190A1 (en) Bottle convertible into drinking utensil
JP4955988B2 (ja) ピルファープルーフキャップおよびこれを備えた容器
US11174087B2 (en) Drinking glass and combination of a beverage bottle and a drinking glass
MXPA03009842A (es) Cubierta sanitaria para lata de bebida, con extremo superior destapable.
KR100352683B1 (ko) 음료수 캔
KR200202804Y1 (ko) 음료수 캔
EP2027036A1 (fr) Bouteille comportant un col équipé d&#39;un bouchon
WO1992012901A1 (en) Beverage bottle with grip
EP0485559A1 (en) A soft drink bottle
US20080197157A1 (en) Dispensing Device for Consumption of a Fluid with an Outwardly Movable Straw
JP2009007065A (ja) ペットボトル用キャップ
JP4041682B2 (ja) 市販ボトル用アダプタ
KR200171247Y1 (ko) 캔 결합체
EP0600647A1 (en) Mouthpiece for drinking liquid containing cans
KR200169033Y1 (ko) 캔 결합체
KR100367872B1 (ko) 음료수 캔
WO2003013977A1 (en) Drink can lid with straw folded therein
KR200237745Y1 (ko)
JPH03256861A (ja) 飲料用容器
KR200204276Y1 (ko) 병뚜껑과 결합된 위생컵이 부착되어 있는 페트병
KR19990083824A (ko) 캔 결합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