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2427B1 - 파장분할다중화시스템의출력레벨조절장치 - Google Patents

파장분할다중화시스템의출력레벨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2427B1
KR100352427B1 KR1019970082180A KR19970082180A KR100352427B1 KR 100352427 B1 KR100352427 B1 KR 100352427B1 KR 1019970082180 A KR1019970082180 A KR 1019970082180A KR 19970082180 A KR19970082180 A KR 19970082180A KR 100352427 B1 KR100352427 B1 KR 100352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signal
output level
optical signal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82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1887A (ko
Inventor
박승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70082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2427B1/ko
Publication of KR19990061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1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2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2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07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 H04B10/075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using an in-service signal
    • H04B10/079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using an in-service signal using measurements of the data signal
    • H04B10/0795Performance monitoring; Measurement of transmission parameters
    • H04B10/07955Monitoring or measuring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01Add-and-drop multiplexing
    • H04J14/0202Arrangements therefor
    • H04J14/0213Groups of channels or wave bands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2203/00Aspects of optical multiplex systems other than those covered by H04J14/05 and H04J14/07
    • H04J2203/0001Provisions for broadband connections i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using frames of the Optical Transport Network [OTN] or using synchronous transfer mode [STM], e.g. SONET, SDH
    • H04J2203/0064Admission Control
    • H04J2203/0067Resource management and allocation
    • H04J2203/0071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장 분할 다중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장 분할 다중화 시스템에서 출력되는 신호들의 입력 채널수 변화에 관련 없이 동일한 출력 레벨을 유지하도록 하는 파장 분할 다중화시스템의 출력레벨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파장 분할 다중화 시스템에서의 출력레벨 조절장치는 입력채널 수가 변동되는 경우 제어 레이저 다이오드에 의해 광신호의 출력 레벨을 조절하고는 있지만 완벽한 보상을 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파장 분할 다중화 시스템에서 출력되는 신호들의 입력 채널수 변화에 관련 없이 동일한 출력 레벨을 유지하도록 보다 정밀히 조절하므로, 파장 분할다중화 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된 광신호가 여러개의 광중계기를 거치더라도 출력레벨의 변동이 없어서 전송품질을 양호히 유지할 수 있어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운용할수 있게된다.

Description

파장 분할 다중화시스템의 출력레벨 조절장치
본 발명은 파장 분할 다중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장 분할 다중화 시스템에서 출력되는 신호들의 입력 채널수 변화에 관련 없이 동일한 출력 레벨을 유지하도록 하는 파장 분할 다중화시스템의 출력레벨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장 분할 다중화 시스템은 여러 채널의 신호를 다중화하여 전송하는 전송수단으로 사용되는데, 여러 채널의 신호를 다중화하여 광(光) 신호 형태로 전송하고 있다. 이와같은 파장 분할 다중화 시스템에서는 입력 채널수에 관련없이 동일 출력레벨을 유지해야 만이 양호한 전송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종래 파장 분할 다중화 시스템에서의 출력레벨 조절장치는 도1에 도시된 바와같은 출력 조절부(20)를 이용하고 있는데, 해당 출력 조절부(20)는 애드필터(21; ADD FILTER), 탭 커플러(22; TAP COUPLER), 포토다이오드(23), 자동 전력 제어회로(24) 및 제어 레이저 다이오드(25)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다중화부(10)가 다수의 입력 채널(CH1∼CH7)을 다중화기(11)에 의해 다중화하여 광신호 형태로 출력하는 경우, 다중화기(11)로부터 출력되는 광신호의 출력레벨은 입력채널의 수에 따라 변동된다. 다중화기(11)로부터 출력된 광신호는 애드필터(21)와 탭 커플러(22)를 경유하여 증폭부(30)측으로 인가되는데, 이때 포토다이오드(23)가 탭 커플러(22)로부터 출력되는 광신호의 변화를 감지하여 전기신호로 변환시켜 자동 전력 제어회로(24)측에 출력하고, 자동 전력 제어회로(24)가 해당 전기신호에 대응하는 전력 제어신호를 제어 레이저 다이오드(25)측에 인가하여 제어 레이저 다이오드(25)에 의해 발생한 광신호를 애드필터(21)에 인가함으로써 입력채널수의 변화에 대응되게 광신호의 출력레벨을 조절한다.
즉, 포토다이오드(23)는 탭 커플러(22)를 통과하는 광신호의 출력레벨 변화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자동 전력 제어회로(24)에 인가하고, 자동 전력 제어회로(24)는 해당 전기신호에 대응하는 전력 제어신호를 제어 레이저 다이오드(25)측에 인가함으로써 제어 레이저 다이오드(25)에 의해 발생한 광신호를 애드필터(21)에 인가하여 입력채널수의 변화에 대응되게 광신호의 출력레벨을 조절하는데, 예를들어 입력채널 8개 모두가 온(ON)상태 이면 자동 전력 제어회로(24)는 제어 레이저 다이오드(25)를 동작시키 않고, 입력채널 7개가 온상태이고 1개가 오프상태이면 포토다이오드(23)가 탭 커플러(22)에서 입력채널 8개일때와 비교해서 1개양 만큼 부족한 레벨의 광신호를 검출하므로 자동 전력 제어회로(24)는 전력 제어신호를 제어 레이저 다이오드(25)에 출력하여 제어 레이저 다이오드(25)에 의해 부족한 1개양 만큼의 광을 더 발생하여 애드필터(21)측에 공급함으로써 출력레벨을 조절하고, 입력채널 1개가 온상태이고 7개가 오프상태이면 포토다이오드(23)가 탭 커플러(22)에서 입력채널 8개일때와 비교해서 7개양 만큼 부족한 레벨의 광신호를 검출하므로 자동 전력 제어회로(24)는 전력 제어신호를 제어 레이저 다이오드(25)에 출력하여 제어 레이저 다이오드(25)에 의해 부족한 7개양 만큼의 광을 더 발생하여 애드필터(21)측에 공급함으로써 출력레벨을 조절한다.
이상과 같은 종래 파장 분할 다중화 시스템에서의 출력레벨 조절장치는 입력채널 수가 변동되는 경우 제어 레이저 다이오드(25)에 의해 광신호의 출력 레벨을 조절하고는 있지만 완벽한 보상을 하지 못하고 있다. 즉, 1개의 입력채널이 온상태로 있다가 8개의 입력채널이 온상태로 되는 경우 출력레벨에 변동이 없어야하나 실험상 약 0.6∼1.5dB 정도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러한 출력레벨의 차이는 광중계기를 여러단 거칠수록 더욱 커지기 때문에 전송품질이 저하되어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운용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파장 분할 다중화 시스템에서 출력되는 신호들의 입력 채널수 변화에 관련 없이 동일한 출력 레벨을 유지하도록 보다 정밀히 조절하는 파장 분할 다중화시스템의 출력레벨조절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다수의 입력채널을 다중화하여 다중화부로부터 출력되는 광신호의 출력레벨을 감시하여, 상기 입력채널 수의 변화에 따른 광신호 출력레벨의 변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광신호의 출력을 조절하는 출력조절부를 구비하는 파장 분할 다중화시스템의 출력레벨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중화부로부터 상기 출력조절부측에 출력되는 광신호를 탭 커플러를 통해 포토다이오드에 인가하여 상기 광신호의 출력레벨 변화를 포토다이오드에 의해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비교회로가 상기 포토다이오드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신호의 전압과 미리 설정된 전압을 비교하여 생성한 제어신호를 상기 출력조절부측에 출력하는 감시/보상부를 더 구비하되; 상기 비교회로는 상기 포토다이오드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신호의 전위와 자신에게 설정된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비교기와, 상기 비교기의 출력단에 개별로 대응되게 접속되어 상기 비교기의 출력을 미세 조절하는 다수의 가변저항과, 상기 비교기로부터 가변저항을 통해 인가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출력조절부측에 출력하는 증폭기를 구비하는데 있다.
도1은 종래 파장 분할 다중화시스템의 출력레벨 조절장치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장 분할 다중화시스템의 출력레벨 조절장치 구성도.
도3은 도2에 도시된 감시/보상부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다중화부 20 : 출력조절부
30 : 증폭부 40 : 감시/보상부
본 발명에 따른 파장 분할 다중화시스템의 출력레벨 조절장치는 도2에 도시된 바와같이 다중화부(10)와 출력조절부(20) 사이에 감시/보상부(40)를 더 설치하여 이루어지는데, 감시/보정부(40)는 탭 커플러(41), 포토다이오드(42) 및 비교회로(43)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감시/보상부(40)는 다중화부(10)로부터출력조절부(20)측에 출력되는 광신호의 레벨 변동을 감시하여 해당 레벨변동에 대응되는 보상신호를 출력조절부(20)측에 인가함으로써 출력조절부(20)에 의해 광신호의 출력레벨을 더욱 정확히 조절하게 한다.
감시/보상부(40)에서, 탭 커플러(41)는 다중화부(10)의 다중화기(11)로부터 출력조절부(20)측에 인가되는 광신호를 포토다이오드(42)가 감지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주고, 포토다이오드(42)는 탭 커플러(41)를 통과하는 광신호의 출력레벨 변화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비교회로(43)에 인가하고, 비교회로(43)는 포토다이오드(42)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신호의 전압과 설정된 전압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신호를 제어신호로서 출력조절부(20)의 자동 전력 제어회로(24)로 부터의 제어신호와 함께 제어 레이저 다이오드(25)측에 인가함으로써 제어 레이저 다이오드(25)에 의해 발생한 광신호를 애드필터(21)에 인가하여 입력채널수의 변화에 대응되게 광신호의 출력 레벨을 조절한다.
한편, 감시/보상부(40)의 비교회로(43)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비교기(CP1∼CP7), 다수의 저항(Rl∼R14), 다수의 가변저항(VR1∼VR7) 및 증폭기(AP)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각 비교기(CP1∼CP7)의 제1입력단에는 포토다이오드(42)의 전기신호가 인가되고, 각 비교기(CP1∼CP7)의 제2입력단에는 저항(Rl∼R14)에 의해 설정된 기준전압이 인가된다. 또한, 각 비교기(CP1∼CP7)의 제2입력단에 설정되는 기준전압은 서로 상이하게 설정되는데, 예를들어 비교기(CP1)에는 기준전압을 10V로 설정하고, 비교기(CP2)에는 기준전압을 9V로 설정하고, 비교기(CP3)에는 기준전압을 8V로 설정하고, 비교기(CP4)에는 기준전압을 7V로 설정하고, 비교기(CP5)에는 기준전압을 6V로 설정하고, 비교기(CP6)에는 기준전압을 5V로 설정하고, 비교기(CP7)에는 기준전압을 4V로 설정하는 식으로하여 기준전압을 설정한다. 그리고, 비교기(CP1∼CP7)는 자신에게 설정된 기준전압 보다 높은 전위의 전기신호가 포토다이오드(42)로부터 인가되면 오프되어 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자신에게 설정된 기준전압 보다 낮은 전위의 전기신호가 포토다이오드(42)로부터 인가되면 온되어 신호를 출력한다.
다중화부(10)가 다수의 입력 채널(CH1∼CH7)을 다중화기(11)에 의해 다중화하여 광신호 형태로 출력하는 경우, 다중화기(11)로부터 출력되는 광신호의 출력레벨은 입력채널의 수에 따라 변동되는데, 입력채널의 수가 많을수록 다중화기(11)로부터 인가되는 광신호의 출력레벨이 증가되므로 포토다이오드(42)가 높은 전위의 전기신호를 비교기(CP1∼CP7)측에 인가하고, 입력채널의 수가 적을수록 다중화기(11)로부터 인가되는 광신호의 출력레벨이 감소되므로 포토다이오드(42)가 낮은 전위의 전기신호를 비교기(CP1-CP7)측에 인가한다. 그에따라, 각 비교기(CP1∼CP7)는 포토다이오드(42)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신호의 전위가 자신에게 설정된 기준전압 보다 높은지의 여부를 비교하여, 포토다이오드(42)의 전기신호 전위가 자신의 기준전압보다 높으면 오프되어 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포토다이오드(42)의 전기신호 전위가 자신의 기준전압 보다 낮으면 온되어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광신호의 출력레벨을 보상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예를들어, 다중화기(11)에 입력되는 입력채널 7개가 온상태이고 1개가 오프상태인 경우 포토다이오드(42)가 탭 커플러(41)를 통해 광신호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전기신호의 전위가 9.5V라고 하면, 비교기(CP1)의 기준전압이 10V이므로 비교기(CP1)만이 온상태를 유지하고 나머지 비교기(CP2∼CP7)는 오프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다중화기(11)에 입력되는 입력채널 6개가 온상태이고 2개가 오프상태인 경우 포토다이오드(42)가 탭 커플러(41)를 통해 광신호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전기신호의 전위가 8.5V라고 하면, 비교기(CP1)의 기준전압이 10V이고 비교기(CP2)의 기준전압이 9V이므로 비교기(CP1),(CP2)만이 온 상태를 유지하고 나머지 비교기(CP3∼CP7)는 오프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다중화기(11)에 입력되는 입력채널 1개가 온상태이고 7개가 오프상태인 경우 포토다이오드(42)가 탭 커플러(41)를 통해 광신호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전기신호의 전위가 3.5V라고 하면, 비교기(CP1∼CP7)의 기준전압이 포토다이오드(42)의 전기신호 전위 보다 높으므로 비교기(CP1∼CP7) 모두가 온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비교기(CP1∼CP7)의 출력을 자동 전력 제어회로(24)의 출력과 함께 제어 레이저 다이오드(25)에 인가함으로써 제어 레이저 다이오드(25)에 의해 그에 대응되는 광신호를 발생하여 애드필터(21)에 인가해서 입력채널의 수가 변동되더라도 광신호의 출력레벨을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각 비교기(CP1∼CP7)의 출력단에는 가변저항(VR1∼VR7)이 접속되어 있는데, 이들은 비교기(CP1∼CP7)의 출력을 미세 조정하기 위한 것으로 운용자가 초기에 한 번만 저항값을 조절해 놓으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파장 분할 다중화 시스템에서 출력되는 신호들의 입력 채널수 변화에 관련 없이 동일한 출력 레벨을 유지하도록 보다 정밀히조절하므로, 파장 분할 다중화 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된 광신호가 여러개의 광중계기를 거치더라도. 출력레벨의 변동이 없어서 전송품질을 양호히 유지할 수 있어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운용할 수 있게된다.

Claims (1)

  1. 다수의 입력채널을 다중화하여 다중화부로부터 출력되는 광신호의 출력레벨을 감시하여, 상기 입력채널 수의 변화에 따른 광신호 출력레벨의 변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광신호의 출력을 조절하는 출력조절부를 구비하는 파장 분할 다중화시스템의 출력레벨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중화부로부터 상기 출력조절부측에 출력되는 광신호를 탭 커플러를 통해 포토다이오드에 인가하여 상기 광신호의 출력레벨 변화를 포토다이오드에 의해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비교회로가 상기 포토다이오드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신호의 전압과 미리 설정된 전압을 비교하여 생성한 제어신호를 상기 출력조절부측에 출력하는 감시/보상부를 더 구비하되;
    상기 비교회로는 상기 포토다이오드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신호의 전위와 자신에게 설정된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비교기와, 상기 비교기의 출력단에 개별로 대응되게 접속되어 상기 비교기의 출력을 미세 조절하는 다수의 가변저항과, 상기 비교기로부터 가변저항을 통해 인가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출력조절부측에 출력하는 증폭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 분할 다중화 시스템의 출력레벨 조절장치.
KR1019970082180A 1997-12-31 1997-12-31 파장분할다중화시스템의출력레벨조절장치 KR100352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2180A KR100352427B1 (ko) 1997-12-31 1997-12-31 파장분할다중화시스템의출력레벨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2180A KR100352427B1 (ko) 1997-12-31 1997-12-31 파장분할다중화시스템의출력레벨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1887A KR19990061887A (ko) 1999-07-26
KR100352427B1 true KR100352427B1 (ko) 2003-01-15

Family

ID=37489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82180A KR100352427B1 (ko) 1997-12-31 1997-12-31 파장분할다중화시스템의출력레벨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24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7625B1 (ko) * 2000-07-06 2002-10-25 삼성전자 주식회사 파장분할다중 광전송시스템 트랜스폰더의 파장 안정화 및출력 조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1887A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39378E1 (en) Optical channel regulator and method
US6417965B1 (en) Optical amplifier control system
US6583910B1 (en) Optical transmitter and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US6483625B2 (en) WDM optical transmission apparatus
KR100909044B1 (ko) 광 세기 및 소광비 조절 장치 및 방법
US6341034B1 (en) Optical amplifier system with transient control using spectrally filtered input
US6498677B1 (en) Optical amplifier systems with transient control
US6400475B1 (e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and optical communications device
US5838488A (en) Optical amplifier gain control circuitry using a variable reference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multiplexed wavelengths
JP4765669B2 (ja) 光送信機
JP2010136195A (ja) 光受信モジュールの制御方法
US6633430B1 (en) Booster amplifier with spectral control for optical communications systems
US7860409B2 (en) Optical receiver, optical receiving apparatus using the optical receiver and optical receiving method thereof
CA2342101C (en) Optical amplifiers and optical transmission path
US10594405B2 (en) Optical receiver and method of controlling optical receiver
US569908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provisioning power on a per channel basis in a communications transmission system
KR100352427B1 (ko) 파장분할다중화시스템의출력레벨조절장치
US8064771B2 (en) Active control loop for power control of optical channel groups
US6947458B2 (en) Power control circuit for laser diode having wavelength compensation
US6469823B2 (en) Optical wavelength converter and optical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KR100305757B1 (ko) 파장분할다중화시스템용이득평탄유지형광증폭기
KR100328128B1 (ko) 파장분할다중 광전송시스템에서 광전력 증폭기의 동적이득제어장치
JPH10107740A (ja) 光素子電力制御システム
WO1999017485A1 (en) Optical channel regulator and method
JP2002368693A (ja) 光送信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10413

Effective date: 20020528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5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