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1199B1 - 흼미스트리커버리용습식전기집진기 - Google Patents

흼미스트리커버리용습식전기집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1199B1
KR100351199B1 KR1019950000865A KR19950000865A KR100351199B1 KR 100351199 B1 KR100351199 B1 KR 100351199B1 KR 1019950000865 A KR1019950000865 A KR 1019950000865A KR 19950000865 A KR19950000865 A KR 19950000865A KR 100351199 B1 KR100351199 B1 KR 100351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tube
plate
dust collector
dust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0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8977A (ko
Inventor
이근우
Original Assignee
서울샤프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샤프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샤프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50000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1199B1/ko
Publication of KR960028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8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1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11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16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wet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electrical effects other than those provided for in group B01D61/00
    • B01D53/323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electrical effects other than those provided for in group B01D61/00 by electrostatic effects or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82Hous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장등의 굴뚝에서 배출되는 유해가스를 정화시키는 습식전기 집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흡입되는 배출가스가 기름성분과 습기등이 함유된 가스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현재 유해가스를 정화시키는 방식으로는 본 출원인이 선등록한 집진판과 전극봉으로 되어 있는 습식전기 집진기가 있으나 이러한 습식전기 집진기는 습기가 없는 가스나 먼지등을 처리하는 데에는 효과가 있으나 기름이나 습기가 함유한 가스등을 처리하는 데에는 집진판에 적층되는 이물질로 인하여 과부하가 걸리게 되므로 집진의 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등이 발생되는 것이었다.
따라서 집진의 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집진판을 관으로 형성하여 기름이나 습기를 함유한 가스가 집진관을 통과토록 하여 관을 통과하면서 집진관의 내벽에 모두 집진토록 하여 집진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집진관에 형성되는 전극봉도 관으로 형성하고 관의 외측면으로는 일정한 간격으로,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전극판을 형성함으로서 흄미스트에 대한 집진의 효율을 향상시킨 것이다.

Description

휨미스트(FUME MIST) 리커버리(RECOVERY)용 습식전기집진기
본 발명은 공장등의 굴뚝에서 배출되는 유해가스를 정화시키는 습식전기 집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흡입되는 배출가스가 기름성분과 습기등이 함유된 가스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현재 유해가스를 정화시키는 방식으로는 본 출원인이 선등록한 습식전기 집진기가 있으나 이러한 습식전기 집진기는 습기가 없는 가스나 먼지등을 처리하는 데에는 효과가 있으나 기름이나 습기가 함유한 가스등을 처리하는 데에는 집전판에 적층되는 이물질로 인하여 과부하가 걸리게 되므로 집진의 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등이 발생되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집진의 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집진판을 관으로 형성하여 기름이나 습기를 함유한 가스가 집진관을 통과토록 하여 관을 통과하면서 집진관의 내벽에 모두 집진토록 하여 집진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집진관에 형성되는 전극봉도 관으로 형성하고 관의 외측면으로는 일정한 간격으로,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전극판을 형성함으로서 흄미스트에 대한 집진의 효율을 향상시킨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은 몸체(21)의 일측하부에 고온의 유해가스가 유입되는 가스입구관(22)이 형성되고 하부 저면에는, 분사기(23)에서 분사된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관(24)이 형성되고 그 상부에는 일정한 배열로 하방으로 길게 집진관(1)이 형성되며, 집진판(1)의 내부로는 일정한 간격으로 전극판(4)이 형성된 전극관(2)이 형성되어 전극관지지대(6)에 의하여 고정되어 지는 것이다.
이때 전극판(4)의 중앙부로는 분사기(23)에서 분사된 물이 배수되도록 개구부(3)가 형성되어 있고 전극판(4)의 직경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커지도록 하여 하부에서 상승되는 가스의 유입이 용이토록 하였다.
또한 일정한 배열로 형성되어 있는 집진관(1)은 고정판(7)에 의하여 상승하는 가스가 집진관(1)으로만 상승토록 하였고 전극관(2)의 하단도 밀봉하여 전극관(2)의 내부로 어떠한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였다.
또한 전극관(1)이 전극관지지대(6)에 연결되는 구성은 전극관지지대(6)의 하단으로 삼각판(5)을 형성하여 삼각판(5)의 꼭지점에 하방으로 연결돌기(8)를 형성하여 연결돌기(8)에 전극관(2)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연결판(10)을 끼운후 고정너트(9)로 고정하거나 길이를 약간씩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전극관(2)으로는 애자박스(25)에서 전극관지지대(6)를 통하여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일정한 배열상태로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전원이 공급되는 방법은 공지의 기술이다.
또한 상기 집진관(1)의 상부에는 분사기(23)가 형성되고 분사기(23)에서 분사되는 물은 냉수가 아닌 온수를 사용하고 상기 분사기(23)의 상부에는 습기를 함유한 정화된 가스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공지의 패킹층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이때 전극관(2)에는 (-)전원이 인가되고, 집진관(1)에는 (+)전원이 인가되는 것이다.
따라서 가스입구관(22)으로 유입되는 가스는 집진관(1)을 통과하면서 이온화가 되지 않는 것은 자연적으로 상승하는 가스가 좁은 공간을 통과하게 되므로 집진관(1)의 내벽에 손쉽게 접착이 되어지고 이온화가 되는 것도 집진관(1)의 내벽에 접착이 되어져 집진이 되고 이와 같이 집진되어진 것은 분사기(23)에서 온수로 분무되는 물로 인해 집진관(1)에 부착되어 있는 기름기의 가스가 쉽게 세척이 되고 이러한 물은 배수관(24)으로 배출되고, 정화된 유해가스는 몸체(21)의 패킹층을 통과하면서 습기가 제거되면서 대기로는 정화된 가스만이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전극관(1)의 일정간격으로 고정되어 있는 전극판(4)의 중앙부에는 개구부(3)가 형성되어 분사기(23)에서 분사되는 물이 전극판(4)이 모여 있지 않고 바로 흘러내리도록 되어 있고 이러한 전극판(4)은 일정한 직경을 갖는 것이 아니고 상부와 하부로 약각의 직경이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 유체의 흐름을 변화시켰고 고정되어 있는 전극관(2)의 길이가 차이가 생길 경우에는 고정너트(9)를 사용하여 전극관(2)의 길이를 약간씩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정화된 상태의 가스에는 습기를 함유하게 되므로 습기제거를 위하여 패킹층(26)에서 완전하게 걸러져서 대기로 배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인체에 유해한 가스를 완전히 정화시킬 수 있으며, 집진관(1)에 접착되는 가스를 온수로 세척하기 때문에 기름기일 경우에도 쉽게 세척이 가능하고 이로 인하여 집진관(1)의 집진효율이 떨어지지 않고 고장이 없이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전체 결합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
제 2도는 본 발명의 전체 결합구성을 나타낸 횡단면도
제 3도는 집진관에 전극관이 고정바에 의하여 배열된 상태의 평면도
제 4도는 전극관에 전극판이 배열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제 5도는 고정바의 결합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제6A도는 삼각판과 연결판이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
제6B도는 삼각판의 연결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제6C도는 삼각판과 연결판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제6D도는 삼각판과 연결판이 결합된 상태의 저면도
제7A 내지 7C도는 직경이 서로 다른 전극판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제8도는 전극판의 또다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명칭
1 : 집진관 2 : 전극관
3 : 개구부 4 : 전극판
5 : 삼각판 6 : 전극관지지대
7 : 고정판 8 : 연결돌기
9 : 고정너트 10 : 전극관연결판

Claims (3)

  1. 몸체(21)의 일측 하부에 고온의 유해가스가 유입되는 가스입구관(22)이 형성되고, 하부 저면에는 분사기(23)에서 분사된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관(24)이 형성되는 공지의 구성에 있어서,
    상부에는 일정한 배열로 하방으로 길게 집진관(1)이 형성되며,
    상기 집진관(1)의 내부로는 일정한 간격으로 전극판(4)이 형성된 전극관(2)이 형성되어 전극관 지지대(6)애 의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휨미스트 리커버리용 습식전기 집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판(4)의 중앙부로는 개구부(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극판(4)의 직경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커지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휨미스트 리커버리용 습식전기 집진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극관지지대(6)의 하단으로 삼각판(5)을 형성하여 상기 삼각판(5)의 꼭지점에 하방으로 연결돌기(8)를 형성하여 상기 연결돌기(8)에 전극관(2)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연결판(10)을 끼운 후 고정너트(9)로 고정하거나 길이를 약간씩 조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휨미스트 리커버리용 습식전기 집진기.
KR1019950000865A 1995-01-19 1995-01-19 흼미스트리커버리용습식전기집진기 KR100351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0865A KR100351199B1 (ko) 1995-01-19 1995-01-19 흼미스트리커버리용습식전기집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0865A KR100351199B1 (ko) 1995-01-19 1995-01-19 흼미스트리커버리용습식전기집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8977A KR960028977A (ko) 1996-08-17
KR100351199B1 true KR100351199B1 (ko) 2002-12-06

Family

ID=37489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0865A KR100351199B1 (ko) 1995-01-19 1995-01-19 흼미스트리커버리용습식전기집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11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8155B1 (ko) * 2009-03-26 2012-12-04 판 퍼시픽 카파 가부시끼가이샤 슬래그 수쇄 시의 배기 가스 처리 방법 및 처리 설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8155B1 (ko) * 2009-03-26 2012-12-04 판 퍼시픽 카파 가부시끼가이샤 슬래그 수쇄 시의 배기 가스 처리 방법 및 처리 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8977A (ko) 199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8900B1 (ko) 공기 또는 송기관 가스통의 기체정화방법 및 장치
KR920000359A (ko) 더스트 및 오염 물질 함유 배기 가스를 정제시키기 위한 방법 및 기구
US6508861B1 (en) Integrated single-pass dual-field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method
US20050241485A1 (en) Aerosol separator
KR910004255A (ko) 다중-장 집진기 내에서의 분진 및 오염물-함유 배기가스의 정전 정제 방법 및 기구
JP3508827B2 (ja) 排煙処理システム
KR960033520A (ko) 전기 싸이클론 집진장치
CN110116050A (zh) 一种复合净化器
KR100351199B1 (ko) 흼미스트리커버리용습식전기집진기
JP3495482B2 (ja) ダクト型湿式電気集塵装置
KR20080083785A (ko) 습식 전기집진기 및 이를 이용한 공기 정화장치
KR100893771B1 (ko) 습식 전기집진기 및 이를 이용한 공기 정화장치
JP4447314B2 (ja) 空気清浄装置
CN205392024U (zh) 高效冷凝横膜湿式除尘装置
KR940001416B1 (ko) 밴츄리형 습식전기 집진기
WO2000062936A1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purification of flowing gas
CN210058618U (zh) 一种静电除油烟装置
CN220531899U (zh) 一种带雾帘的静电除尘器
CN218065044U (zh) 一种集流模块及油烟净化器
KR102534111B1 (ko) 전기 집진기
JPS6475022A (en) Eliminator for use in wet type flue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CN211359195U (zh) 一种静电净化装置
KR102287037B1 (ko) 응축기형 백연 및 미세먼지 저감용 전기집진기
CN210994775U (zh) 一种组合式湿式静电除尘设备
KR940001415B1 (ko) 패키드형(packing type)습식전기집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1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