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8813B1 - 염소제거장치가 부착된 세면기 - Google Patents

염소제거장치가 부착된 세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8813B1
KR100348813B1 KR1019990032931A KR19990032931A KR100348813B1 KR 100348813 B1 KR100348813 B1 KR 100348813B1 KR 1019990032931 A KR1019990032931 A KR 1019990032931A KR 19990032931 A KR19990032931 A KR 19990032931A KR 100348813 B1 KR100348813 B1 KR 100348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lorine
supply pipe
water
water supply
tap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2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7424A (ko
Inventor
배경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워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워터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워터스
Priority to KR1019990032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8813B1/ko
Publication of KR20010017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7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8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88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6Adding soap, disinfectant, or the like in the supply line or at the water outle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11Taps specially designed for dispensing boiling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2Arrangements on taps for wash-basins or baths for connecting to the wal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06Mounted on or being part of a faucet, shower handle or showerhead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40Arrangement of water treatment devices in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염소제거장치가 부착된 세면기는 세면실의 일측 벽면에 설치되어 수돗물을 공급하는 급수배관과, 상기 급수배관의 일측에 설치되어 유입된 수돗물을 전달하는 연결호스와, 상기 급수배관과 연결호스의 사이에 설치되어 수돗물로부터 염소를 제거하는 염소제거수단과, 상기 연결호스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수도꼭지와, 상기 수도꼭지의 둘레에 설치되는 세면대 본체로 구성되어, 수돗물의 염소소독으로 인해 생성되는 암 유발물질을 제거하고, 염소처리에 의한 피부 탈색 현상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염소제거장치가 부착된 세면기{Washbowl with chlorine removing device}
본 발명은 염소제거장치가 부착된 세면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면기의 냉온수 공급밸브의 일측에 염소제거장치를 설치하므로, 수돗물의 염소소독으로 인해 생성되는 암 유발물질을 제거하고, 염소처리에 의한 피부 탈색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염소제거장치가 부착된 세면기에 관한 것이다.
공장폐수나 가정용 폐수등으로 인한 환경오염으로, 상수원수의 오염이 심각해지고 있으며 그에 따라 염소소독을 많이 행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염소소독은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으며 그에 대한 심각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염소소독은 트리할로메탄(THMs ; Trihalomethanes) 및 기타 염소화합물을 생성시킬 소지가 많다. 특히 염소소독의 결과로 나타나는 트리할로메탄중 크로로포름(CHCl3; Chloroform)은 동물 실험결과 발암성이 인정되었으며 인간에게도 발암가능성이 밝혀져 있고, 염소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암을 유발시키거나 유발시킬 수 있는 물질이라고 알려져 있어 밀폐된 공간에서 샤워시 인체에 매우 해로울 수 있다. 여러나라의 논문과 자료에 의하면 염소소독한 물로 샤워할 때에 발암물질의 하나인 크로로포름이 발생하는데 샤워시간이 길면 길수록 또한 물의 온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이런 발암성 물질에 대한 트리할로메탄들의 농도가 높아져 밀폐된 공간에서의 샤워는 인체에 위험할 수 있다고 하였다. 즉 피부와 폐를 통하여 몸안으로 침투되는데 특히 폐를 통하여 침투될 경우 혈액을 통하여 세포막까지 오염이 축적될 수 있다. 또한 미환경 보호청(EPA;Environmentaln Protection Agency)에서는 크로로포름의 발암 위험도는 섭취했을 경우보다 흡입할 경우가 훨씬 더 높으므로 암발생율이 높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다른 연구보고에 의하면 염색가공공장의 폐수 탈색에 펜톤(Fentons)약품의 사용에 대해서 언급하고 있는데, 일반공장은 염색폐수를 생물학적으로 처리한 후 염소처리를 하여 탈색을 하는데, 염소표백제는 공장의 폐수를 처리할 수 있을정도로 강력한 표백효과를 갖고 있어, 염소가 함유된 물로 목욕이나 세면, 샤워를 하게 되면, 피부를 탈색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와 같이 염소에 대한 인체에 미치는 영향들이 많은 연구보고서에서 보여주고 있듯이 목욕이나, 샤워, 세면, 화장실 비데에 사용하는 물들은 염소소독에 의해 만들어진 물로서 접촉시 또는 염소 흡입시 발암이나 표백효과를 일으킬 수 있는 성질이 있다. 특히 가정에서 매일 세면기에서 나오는 물로 세면시 표백효과는 물론 염소호흡으로 인체에 악영향을 끼칠 우려가 있다.
종래의 기술에 의한 세면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장실의 일측 벽면 하부에 수돗물이 공급되는 냉수공급배관(1)이 설치되고, 상기 냉수공급배관(1)의 일측에 냉수공급배관(1)으로 유입되는 냉수가 상부로 전달되도록 연결호스(3)가 설치되며, 상기 연결호스(3)의 상단부에 세면기의 수도꼭지(6)가 설치되어 냉수가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수도꼭지(6) 둘레로 세면대(7)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냉수공급배관(1)의 측근에 온수가 공급되는 온수공급배관(2)이 설치되고, 상기 온수공급배관(2)의 일측에 온수공급배관(2)으로 유입되는 온수가 상부로 전달되도록 연결호스(3)가 설치되며, 상기 연결호스(3)의 상단부는 세면기의 수도꼭지(6)와 연결되어 온수가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세면기의 하단 중심부에는 세면기내의 물을 배출하는 배수관(8)이 설치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1은 냉수조절밸브를 나타내고, 12는 온수조절밸브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기술에 의한 세면기는 염소소독에 의한 상수원수가 필터처리 없이 그대로 냉수공급배관(1)과 온수공급배관(2)을 통해 유입되므로, 세면기(10)를 이용해 세면 및 몸을 씻게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염소화합물에 의해 인체에 악영향을 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수돗물의 염소소독으로 인해 생성되는 암 유발물질을 제거하고, 염소처리에 의한 피부 탈색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염소제거장치가 부착된 세면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세면실의 일측 벽면에 설치되어 수돗물을 공급하는 급수배관과, 상기 급수배관의 일측에 설치되어 유입된 수돗물을 전달하는 연결호스와, 상기 급수배관과 연결호스의 사이에 설치되어 수돗물로부터 염소를 제거하는 염소제거수단과, 상기 연결호스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수도꼭지와, 상기 수도꼭지의 둘레에 설치되는 세면대 본체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염소제거수단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급수배관측에 형성되어 수돗물을 유입하는 입구부와, 상기 케이스의 연결호스측에 형성되어 염소를 제거한 수돗물을 유출하는 출구부와, 상기 케이스내부의 입구부와 출구부 사이에 배치되어 수돗물속에 함유된 염소를 걸러주는 필터여과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필터여과재는 수돗물속에 포함된 차아염소산이온(ClO-)을 환원시키고 자신은 산화되어 유산칼슘(CaSO4)으로 되는 다량의 아류산칼슘(CaSO3)성분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급수배관은 세면실의 일측 벽면에 설치되어 냉수를 공급하는 냉수공급배관과, 세면실의 타측 벽면에 설치되어 열교환기를 통한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배관으로 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세면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염소제거장치가 부착된 세면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염소제거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절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냉수공급배관 2 ; 온수공급배관
3 ; 연결호스 6 ; 수도꼭지
7 ; 세면대 본체 20 ; 염소제거장치
21 ; 케이스 22 ; 입구부
23 ; 출구부 24 ; 필터여과재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염소제거장치가 부착된 세면기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위해 예시적으로 기재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염소제거장치가 부착된 세면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염소제거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절개 사시도를 각각 보인 것으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염소제거장치가 부착된 세면기는 세면실의 일측 벽면에 설치되어 수돗물을 공급하는 급수배관(1)(2)과, 상기 급수배관의 일측에 설치되어 유입된 수돗물을 전달하는 연결호스(3)와, 상기 급수배관(1)(2)과 연결호스(3)의 사이에 설치되어 수돗물로부터 염소를 제거하는 염소제거수단과, 상기 연결호스(3)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수도꼭지(6)와, 상기 수도꼭지(6)의 둘레에 설치되는 세면대 본체(7)와, 상기 세면대 본체의 하단 중심부에 설치되어 세면대의 물을 배출하는 배수관(8)으로 구성된다.
상기 염소제거수단은 케이스(21)와, 상기 케이스(21)의 급수배관측에 형성되어 수돗물을 유입하는 입구부(22)와, 상기 케이스(21)의 연결호스측에 형성되어 염소를 제거한 수돗물을 유출하는 출구부(23)와, 상기 케이스(21)내부의 입구부(22)와 출구부(23) 사이에 배치되어 수돗물속에 함유된 염소를 걸러주는필터여과재(24)와, 상기 필터여과재(24)의 앞뒤로 설치되는 다공판(25)으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21)의 형상은 원통형이며, 케이스 내부의 필터여과재의 수명이 다하게 되면, 상기 케이스를 교체할 수 있도록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케이스의 입구부(22)와 출구부(23)에는 각각 급수배관(1)(2) 및 연결호스(3)에 결합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필터여과재(24)는 수돗물속에 포함된 차아염소산이온(ClO-)을 환원시키고 자신은 산화되어 유산칼슘(CaSO4)으로 되는 다량의 아류산칼슘(CaSO3)성분으로 이루어지며, 소량의 염화물과 철, 비소등이 포함된다.
필터여과재(24)의 함량은 수분을 포함한 아류산칼슘(CaSO3)이 75% 이상이며, 염화물(Cl)이 2.0% 이하이고, 건조감량은 10% 이하이며, 중금속(Pb)은 0.005% 이하이고, 철(Fe)은 0.005% 이하이며, 비소(AS)는 0.0001% 이하를 갖는다.
상기 급수배관은 세면실의 일측 벽면에 설치되어 냉수를 공급하는 냉수공급배관(1)과, 세면실의 타측 벽면에 설치되어 열교환기를 통한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배관(2)으로 구성되므로, 상기 염소제거장치는 냉수공급배관(1)과 온수공급배관(2)에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염소제거장치(20)는 연결호스(3)와 급수배관 (1)(2)사이에 설치할 수 있으나, 연결호스(3)의 상단부인 수도꼭지(6)와 연결호스(3) 사이에 설치하여도 무방하며, 세면대로 수돗물이 유입되는 곳이라면 어느곳이나 적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염소제거장치가 부착된 세면기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세면기에 설치된 수도꼭지(6)를 틀게 되면, 냉수공급배관(1) 또는 온수공급배관(2)을 통해서 수돗물이 공급되고, 공급되는 수돗물을 세면대 본체(7)에 받은 후 세면을 하거나 세수를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냉수공급배관(1)과 온수공급배관(2)의 일측에 분지되어 설치된 염소제거수단인 염소제거장치(20)를 통해 수돗물속에 포함된 염소를 제거한다.
상기 수돗물이 염소제거장치의 입구부(22)를 통해 케이스(21)내로 들어오면, 상기 케이스(21)내에 있는 필터여과재(24)에 의해 수돗물속의 차아염소산이온은 환원되는데, 이때 수돗물속에 차아염소산이온이 생성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수원인 수돗물을 염소소독하게 되면, 염소(Cl2)와 물(H2O)이 반응하여, 차아염소산(HClO)과 염화수소(HCl)가 생성되고, 상기 차아염소산(HClO)과 염화수소(HCl)는 다시 반응하여, 수소이온(2H+)과 차아염소산이온(ClO-)과 염소이온(Cl-)으로 분해되어, 차아염소산이온이 생성되게 된다. 이때, 상기 염소중에 포함되는 차아염소산이온(ClO-)은 물속의 유기물과 결합되어 트리할로메탄(THMs ; Trihalomethanes)이라는 화합물을 생성하게 되고, 상기 트리할로메탄중에 크로로포름(CHCl3; Chloroform)이라는 성분은 암을 유발시킬 수 있는 물질로 알려진 바,상기 염소제거장치의 필터여과재(24)를 통해 차아염소산이온(ClO-)을 산화환원시켜 잔류염소를 제거한다.
즉, 아류산칼슘(CaSO3)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케이스(21)내의 필터여과재(24)는 수돗물속의 차아염소산이온(ClO-)과 만나 반응하면서 자신은 산화되고 차아염소산이온(ClO-)은 환원시켜 유산칼슘과(CaSO4)과 염소이온(Cl-)을 생성시킨다. 상기 아류산칼슘 자체의 물에 대한 용해도는 극히 적어 차아염소산을 함유하지 않은 물에 대해서는 거의 용해되지 않는 반면, 차아염소산을 함유한 물과의 접촉에 의해 아류산칼슘은 산화되어(차아염소산을 환원) 유산칼슘이 되는 것이다. 이 산화환원반응에 의하여 생성된 아류산 칼슘은 물에 대한 용해성이 올라가 물에 용출하고, 새로운 아류산 칼슘의 반응면이 노출된다. 이러한 산화환원반응과 용출을 반복하여 계속적으로 수돗물중의 차아염소산 이온을 환원하여 잔류염소를 제거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산화환원반응과 용출을 반복하게 되면 필터여과재(24)의 아류산칼슘의 양은 줄어들게 되므로, 일정 기간을 사용한 후에는 상기 케이스(21)를 분리 교체한 다음 사용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염소제거장치가 부착된 세면기는 세면실의 일측 벽면에 설치되어 수돗물을 공급하는 급수배관과, 상기 급수배관의 일측에 설치되어 유입된 수돗물을 전달하는 연결호스와, 상기 급수배관과 연결호스의 사이에 설치되어 수돗물로부터 염소를 제거하는 염소제거수단과, 상기 연결호스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수도꼭지와, 상기 수도꼭지의 둘레에 설치되는 세면대 본체로 구성되어, 수돗물의 염소소독으로 인해 생성되는 암 유발물질을 제거하고, 염소처리에 의한 피부 탈색 현상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삭제
  2. 세면실의 일측 벽면에 설치되어 수돗물을 공급하는 급수배관;
    상기 급수배관의 일측에 설치되어 유입된 수돗물을 전달하는 연결호스;
    상기 급수배관과 연결호스의 사이에 설치되어 수돗물로부터 염소를 제거하는 염소제거수단;
    상기 연결호스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수도꼭지;
    상기 수도꼭지의 둘레에 설치되는 세면대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염소제거수단은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급수배관측에 형성되어 수돗물을 유입하는 입구부;
    상기 케이스의 연결호스측에 형성되어 염소를 제거한 수돗물을 유출하는 출구부;
    상기 케이스내부의 입구부와 출구부 사이에 배치되어 수돗물속에 함유된 염소를 걸러주는 필터여과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소제거장치가 부착된 세면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여과재는 수돗물속에 포함된 차아염소산이온(ClO-)을 환원시키고 자신은 산화되어 유산칼슘(CaSO4)으로 되는 다량의 아류산칼슘(CaSO3)성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소제거장치가 부착된 세면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배관은 세면실의 일측 벽면에 설치되어 냉수를 공급하는 냉수공급배관과, 세면실의 타측 벽면에 설치되어 열교환기를 통한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배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소제거장치가 부착된 세면기.
KR1019990032931A 1999-08-11 1999-08-11 염소제거장치가 부착된 세면기 KR100348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2931A KR100348813B1 (ko) 1999-08-11 1999-08-11 염소제거장치가 부착된 세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2931A KR100348813B1 (ko) 1999-08-11 1999-08-11 염소제거장치가 부착된 세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7424A KR20010017424A (ko) 2001-03-05
KR100348813B1 true KR100348813B1 (ko) 2002-08-14

Family

ID=19606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2931A KR100348813B1 (ko) 1999-08-11 1999-08-11 염소제거장치가 부착된 세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88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2751A (ko) * 2001-06-05 2002-12-12 노현범 동섬유를 염소제거및 살균 수도꼭지 어셈블리
KR20030033311A (ko) * 2001-10-20 2003-05-01 노현범 수도수 내의 염소 제거 및 살균용 필터 조립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1564U (ko) * 1996-08-20 1998-05-25 노성훈 살균 샤워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1564U (ko) * 1996-08-20 1998-05-25 노성훈 살균 샤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7424A (ko) 2001-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4778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urifying-water
US546070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purification of water
CA2475443C (en) Method for sterilisation and cleaning of water supply systems, in particular in swimming and bathing pool units and device for carrying out the same
Surpăţeanu et al. Advanced oxidation processes for decolorization of aqueous solution containing Acid Red G azo dye
KR100348813B1 (ko) 염소제거장치가 부착된 세면기
Paraskeva et al. Influence of ozonation conditions on the treatability of secondary effluents
Kishimoto et al. Effects of oxidation–reduction potential control and sequential use of biological treatment on the electrochemical Fenton-type process
JPH09182684A (ja) 薬剤徐放装置を備える水槽
JP3250175B2 (ja) 戸建て用排水再利用装置
Tang et al. Disinfection by-products in swimming pool water: formation, modeling, and control
US6551519B1 (en) Ozonation of pool water
KR20010038020A (ko) 염소제거장치가 부착된 세척용구
KR200287579Y1 (ko) 기능성 온천수기
Wyczarska-Kokot et al. Application of pre-ozonation process in swimming pool water treatment Technology
Culp Breakpoint chlorination for virus inactivation
Bataller et al. Ozone swimming pool water treatment under tropical conditions
KR200287852Y1 (ko) 세탁기용 정수기
JP2002136445A (ja) 塩素除去装置が取り付けられた洗浄用具
KR20010045414A (ko) 정, 배수지의 소독방법
EP1332112A2 (en) Air and water purification using continuous breakpoint halogenation and peroxygenation
JP3857071B2 (ja) 排水の消毒方法
JP3940065B2 (ja) 隔膜式電解水を用いたプール・浴槽衛生管理システム
JPH10314748A (ja) 殺菌装置
RU2208590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воды
KR200269457Y1 (ko) 수도수 내의 염소 제거 및 살균용 필터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6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