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7695B1 - 중탕기의 증기누설 방지구조를 갖는 증기 안내장치 - Google Patents

중탕기의 증기누설 방지구조를 갖는 증기 안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7695B1
KR100347695B1 KR1019990036487A KR19990036487A KR100347695B1 KR 100347695 B1 KR100347695 B1 KR 100347695B1 KR 1019990036487 A KR1019990036487 A KR 1019990036487A KR 19990036487 A KR19990036487 A KR 19990036487A KR 100347695 B1 KR100347695 B1 KR 100347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support shaft
guide
steam guide
heating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6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9845A (ko
Inventor
김용진
이병길
Original Assignee
대웅전기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웅전기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웅전기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36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7695B1/ko
Publication of KR20010019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9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7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76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0Cooking-vessels with water-bath arrangements for domestic 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405Warming devices for warming food contained in vessels immersed in a water bath, e.g. chafers or steam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for withdrawing or condensing cooking vapors from cooking utens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탕기의 증기누설 방지구조를 갖는 증기 안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약재를 달일시 가열용기로부터 발생된 증기를 증기 응결기로 안내하는 증기 안내수단에서 증기의 누설을 방지하여 중탕액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가열용기 내부의 증기와 증기 응결기 내부의 응결수를 안내하는 증기 안내공이 형성되어 증기 응결기의 하부면을 사이에 두고 나사 결합되는 상·하부측 지지부재; 가열용기 뚜껑에 형성된 증기공과 연통되는 증기 안내공이 형성되어 증기 및 응결수를 상하로 안내하는 증기 안내부; 상·하부측 지지부재의 증기 안내공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한편 그 하단에는 걸림편이 형성된 지지축; 지지축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편에 증기 안내부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매달리게 하는 수단; 지지축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편의 상부측에 결합되어 지지축의 상하 이동에 의해 증기 안내부를 개폐시키는 탄성체의 제 1 개폐부재; 지지축의 상단에 체결되어 상부측 지지부재의 증기 안내공 상부를 개폐시키는 한편 증기 안내부와 지지축을 매달리게 하는 제 2 개폐부재; 하부측 지지부재와 증기 안내부 사이의 지지축의 외주에 설치되어 증기 및 응결수를 상하로 안내하는 탄성체의 주름관; 및 주름관의 외주에 설치되어 증기 안내부를 상시 원위치시키는 방향으로 그 힘이 작용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중탕기의 증기누설 방지구조를 갖는 증기 안내장치{STEAM GUIDE APPARATUS OF STEAM LEAKAGE PREVENTING STRUCTURE DOUBLE BOILER}
본 발명은 가정용 중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열용기로부터 발생되는 증기를 증기 응결기로 포집할시 가열용기와 증기 응결기 사이에서 증기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중탕기의 증기누설 방지구조를 갖는 증기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양의 한의학에서는 예로부터 한약재를 달여 먹는 탕제(湯劑)가 발전하여 지금에 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이때, 한약재를 달이는 방법으로는 숯불을 이용하여 흙으로 구워 만든 탕기를 가열하여 달이는 방법이 이용되어져 왔다.
이처럼 흙으로 구워 만든 탕기를 이용하던 시대를 지나 기술이 발전한 작금에 이르러서는 전원을 이용한 히터를 통해 가열용기를 가열하여 달이는 전기 약탕기가 사용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전기 약탕기에는 여러 종류의 약재 또는 그 외의 조리물을 일정 용량의 가열용기에 넣은 상태에서 공급된 전원을 열원으로 하여 소정 시간 동안 물과 함께 끓여서 약재를 중탕시키는 중탕기(中湯器)도 있으며, 이러한 중탕기는 가정용으로 많이 보급되고 있다.
도 1 은 종래 가정용 중탕기를 보인 종단면도, 도 2 는 종래 가정용 중탕기에서 증기 응결기와 가열용기의 결합전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3 은 종래 가정용 중탕기에서 증기 응결기와 가열용기의 결합후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중탕기(10)는 본 출원인이 출원한 1998년 11월 18일자 특허출원 제 49470 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바와 같이 히터(22) 및 조작패널(24)이 구비된 본체(20), 약재(예를 들면, 수삼 또는 백삼)와 물을 저수하여 본체(20)의 히터(22)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용기(30), 약재를 달이는 과정에서 가열용기(30)로부터 발생되는 증기를 포집하는 증기 응결기(40), 증기 응결기(40)를 냉각수로 냉각시키는 수단, 가열용기(30)를 본체(20) 내에 안착시킬시 가열용기(30)와 증기 응결기(40)를 서로 연통되게 하여 가열용기(30) 내부의 증기를 증기 응결기(40)로 안내하는 한편, 증기 응결기(40)의 내부에서 응결된 응결수를 가열용기(30)로 안내하는 증기 안내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종래 가정용 중탕기(10)의 중탕과정은 본체(20)에 약재와 일정량의 물이 담겨진 가열용기(30)가 안착된 상태에서 히터(22)를 작동시키면, 히터(22)의 가열에 의해 가열용기(30) 내부의 약재는 달여지게 되고, 이 과정에서 가열용기(30) 내부에는 증기가 발생된다. 한편, 가열용기(30) 내부에 발생된 증기는 증기 안내수단에 의해 증기 응결기(40) 내부로 안내되어 포집되고, 증기 응결기(40) 내부로 포집된 증기는 증기 응결기 냉각수단의 냉각수에 의해 응결되어 증기 안내수단을 통해 다시 가열용기(30) 내부로 유입된다.
특히, 증기 안내수단은 증기 응결기(40)의 내부에서 하부로 관통되어 설치되는 상부측 지지부재(50), 증기 응결기(40)의 하부측에서 상부측 지지부재(50)에 나사 결합되는 하부측 지지부재(52), 가열용기(30)에서 발생한 증기를 하부측 지지부재(52)로 안내하는 증기 안내부(54), 증기 안내부(54)를 상·하부측 지지부재(50, 5)를 관통하여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지지축(56), 지지축(56)의 상단에 체결되어 상부측 지지부재(50)의 증기 안내공(50a) 상부를 개폐시키는 한편 증기 안내부(54)와 지지축(56)을 상·하부측 지지부재(50, 52)에 지지되게 하는 개폐부재(58) 및 지지축(56)의 외주에 설치되어 증기 안내부(54)를 탄성·지지하는 탄성스프링(60)으로 이루어져 가열용기(30)의 증기를 증기 응결기(40)로 안내하는 한편, 응결된 응결수를 다시 가열용기(30)로 안내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증기 안내수단에서 중탕기(10)의 히터(22)에 가열용기(30)를 안착시켜 증기 안내부(54)를 가열용기(30)의 뚜껑(32) 중심에 형성된 증기공(32a)에 맞추게 되면 증기 안내부(54)는 상부측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상부측 지지부재(50)의 증기 안내공(50a) 상부는 개방되어 가열용기(30)의 증기가 증기 안내부(54), 하부측 지지부재(52) 및 상부측 지지부재(50)의 증기 안내공(54a, 52a, 50a)을 통해 증기 응결기(40)로 유입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또한, 상부측 지지부재(50)의 증기 안내공(50a)이 개방되었다는 것은 증기 응결기(40)의 내부에서 응결된 응결수가 상부측 지지부재(50), 하부측 지지부재(52) 및 증기 안내부(54)의 증기 안내공(50a, 52a, 54a)을 통해 가열용기(3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상태이기도 하다.
반면, 가열용기(30)를 히터(22)로부터 분리하게 되면 증기 안내부(54)를 상부측으로 미는 힘이 사라지기 때문에 탄성스프링(60)의 탄성력에 의해 증기 안내부(54)는 원위치 된다. 이때, 상부측 지지부재(50)의 증기 안내공(50a)은 개폐부재(58)에 의해 폐쇄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가정용 중탕기는 약재를 달일시 가열용기 뚜껑과 증기 안내부 사이에서 증기가 누설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어 중탕액의 손실이 있게 된다. 또한, 하부측 지지부재와 증기 안내부 사이에서도 증기의 누설이 발생하여 중탕액의 손실이 있게 되는 문제가 있다.
다른 문제점으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약재를 달일시 가열용기 뚜껑과 증기 안내부 사이 및 하부측 지지부재와 증기 안내부 사이에서 증기의 누설이 발생하기 때문에 누설되는 증기가 닫는 표면에는 끈적한 중탕액이 묻어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어 시각적으로나 위생적으로 문제가 있게 된다.
또 다른 문제점으로는, 가정용 중탕기를 사용하면 할수록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이 취약해져 가열용기 뚜껑과 증기 안내수단과의 결합력이 약화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가열용기 뚜껑과 증기 안내부 사이에서 증기가 누설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약재를 달일시 가열용기로부터 발생된 증기를 증기 응결기로 안내하는 증기 안내수단에서 증기의 누설을 방지하여 중탕액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중탕기의 증기누설 방지구조를 갖는 증기 안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증기 안내수단에서의 증기 누설을 방지하여 증기로 인한 증기 안내수단의 더러워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취약한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을 보강하여 증기 안내수단과 가열용기 뚜껑과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증기 안내수단에 잔류된 중탕액이 낙수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 은 종래 가정용 중탕기를 보인 종단면도.
도 2 는 종래 가정용 중탕기에서 증기 응결기와 가열용기의 결합전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3 은 종래 가정용 중탕기에서 증기 응결기와 가열용기의 결합후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4a 는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중탕기의 증기누설 방지구조를 갖는 증기 안내수단을 도시한 종단면도.도 4b 는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중탕기에서 증기 안내부의 저면을 보인 저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중탕기에서 증기 응결기와 가열용기의 결합전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중탕기에서 증기 응결기와 가열용기의 결합후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중탕기를 설명하기 위해 보인 결합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중탕기를 보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중탕기 110. 본체
112. 히터 120. 가열용기
122. 뚜껑 122a. 증기공
130. 증기 응결기 140. 증기 안내수단
142. 상부측 지지부재 142a. 증기 안내공
144. 하부측 지지부재 144a. 증기 안내공
146. 증기 안내부 146a. 증기 안내공
146b. 밀봉홈 146c. 돌기
148. 지지축 148a. 걸림편
150. 지지축 고정캡 152. 제 1 개폐부재
154. 제 2 개폐부재 156. 주름관
158. 탄성스프링 160. 밀봉부재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가열용기 내부의 증기와 증기 응결기 내부의 응결수를 안내하는 증기 안내공이 형성되어 증기 응결기의 하부면을 사이에 두고 나사 결합되는 상·하부측 지지부재; 가열용기 뚜껑에 형성된 증기공과 연통되는 증기 안내공이 형성되어 증기 및 응결수를 상하로 안내하는 증기 안내부; 상·하부측 지지부재의 증기 안내공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한편 그 하단에는 걸림편이 형성된 지지축; 지지축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편에 증기 안내부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매달리게 하는 수단; 지지축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편의 상부측에 결합되어 지지축의 상하 이동에 의해 증기 안내부를 개폐시키는 탄성체의 제 1 개폐부재; 지지축의 상단에 체결되어 상부측 지지부재의 증기 안내공 상부를 개폐시키는 한편 증기 안내부와 지지축을 매달리게 하는 제 2 개폐부재; 하부측 지지부재와 증기 안내부 사이의 지지축의 외주에 설치되어 증기 및 응결수를 상하로 안내하는 탄성체의 주름관; 및 주름관의 외주에 설치되어 증기 안내부를 상시 원위치시키는 방향으로 그 힘이 작용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전술한 지지축의 하부측에 증기 안내부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매달리게 하는 수단은 증기 안내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증기 안내공의 상측으로 지지축의 지름보다 더 크게 연통·형성되어 증기 및 응결수를 상하로 안내하는 한편 지지축의 걸림편을 포함한 하단이 삽입되는 증기 및 응결수 안내로; 증기 및 응결수 안내로의 내주면에 나선형태로 형성된 암나사부; 및 증기 및 응결수 안내로의 암나사부에 관계하는 숫나사부가 외주면에 형성되어 증기 및 응결수 안내로에 나사 결합되는 한편 그 중심에는 지지축의 걸림편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어 지지축의 하단에 결합된 제 1 개폐부재에 의해 개폐되는 증기공이 형성된 지지축 고정캡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주름관의 탄성력은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을 보강시키는 기능이 있다.제 2 개폐부재가 면접촉하는 상부측 지지부재의 증기 안내공에 기밀 유지용 돌출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제 1 개폐부재가 지지축 고정캡의 하부에 면접촉할시 지지축 고정캡의 증기공과의 기밀을 유지시키는 돌출부가 제 1 개폐부재의 상부측 테두리에 더 형성될 수 있다.제 1 개폐부재의 상부측 테두리에 형성된 돌출부에 관계하여 지지축 고정캡의 증기공의 주위에 형성되는 절곡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증기 안내부의 하부측에는 가열용기 뚜껑의 증기공 테두리와 증기 안내부의 하부면 사이를 밀봉하여 증기의 누설을 방지하는 밀봉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밀봉부재는 증기 안내부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동심원상의 밀봉홈에 끼움 결합된다.전술한 밀봉부재를 밀봉홈에 끼움시 밀봉부재의 일부를 탄성변형시켜 밀봉부재의 끼움에 의해 밀봉홈에서 압축되는 공기가 탄성변형되는 밀봉부재와의 틈새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여 밀봉부재의 끼움을 용이하게 하는 돌기가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 예에 따른 중탕기의 증기누설 방지구조를 갖는 증기 안내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a 는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중탕기의 증기 누설 방지구조를 갖는 증기 안내수단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4b 는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중탕기에서 증기 안내부의 저면을 보인 저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중탕기에서 증기 응결기와 가열용기의 결합전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중탕기에서 증기 응결기와 가열용기의 결합후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열용기(도시하지 않음)를 히터(도시하지 않음)에 안착함과 동시에 가열용기와 증기 응결기(130)를 연통시켜 가열용기 내부의 증기를 증기 응결기(130)로, 증기 응결기(130)의 응결수를 가열용기 내부로 안내하는 증기 안내수단(140)을 개선하여 가열용기(120)와 증기 안내수단(140) 사이에 발생하는 증기의 누설 및 증기 안내수단(140) 자체에서의 증기 누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증기 안내수단(140)은 상·하부측 지지부재(142, 144), 증기 안내부(146), 지지축(148), 증기 안내부(146)를 지지축(148)에 매달리게 하는 수단, 제 1 개폐부재(152), 제 2 개폐부재(154), 주름관(156) 및 탄성스프링(158)으로 이루어지고, 이에 더하여 밀봉부재(160)가 더 구비된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상부측 지지부재(142)는 그 중심부에 상하로 증기 안내공(142a)이 관통·형성되고, 그 하부측에는 숫나사부(142b)가 형성되어 증기 응결기(130)의 내부 중심으로부터 하부 외측으로 관통되어 설치된다.
하부측 지지부재(144)는 상부측 지지부재(142)의 안내공(142a)에 관계하여상하로 증기 안내공(144a)이 관통·형성되고, 증기 안내공(144a)의 내주면에 상부측 지지부재(142)의 숫나사부(142b)에 관계하는 암나사부(144b)가 형성되어 증기 응결기(130)의 하부측에서 상부측 지지부재(142)에 나사 결합된다. 이처럼 상부측 지지부재(142)와 하부측 지지부재(144)를 증기 응결기(130)의 하부면을 사이에 두고 상하에서 나사 결합함으로써 두 부재(142, 144)의 증기 안내공(142a, 144a)은 상하로 연통된다. 즉, 증기 응결기(130)의 하부 중심은 상·하부측 지지부재(142, 144)의 증기 안내공(142a, 144a)을 통해 개방된 상태이다.
증기 안내부(146)는 증기 안내수단과 가열용기(120)의 뚜껑(122)을 연통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 증기 안내부(146)는 가열용기(120)의 뚜껑(122) 중심에 형성된 증기공(122a)에 면접촉되어 상하로 관통·형성된 증기 안내공(146a)을 통해 증기 및 응결수를 상하로 안내하게 된다. 이때, 증기 안내부(146)의 하부면에는 동심원상의 밀봉홈(146b)이 형성되고, 도 4b 에서와 같이 밀봉홈(146b) 내측의 외각 원주면에는 상하의 세로 방향으로 돌출되어 돌기(146c)가 형성된다. 즉, 밀봉홈(146b)에 밀봉부재(160)를 끼움시에는 밀봉홈(146b) 상에 공기가 압축되어 밀봉부재(160)의 끼움이 용이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밀봉홈(146b) 내측의 외각 원주면에 돌기(146c)를 형성함으로써 밀봉부재(160)를 끼울시 돌기(146c)에 의해 밀봉부재(160)의 일부분이 탄성변형되어 생기는 틈새를 통해 압축되는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여 밀봉부재(160)의 끼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증기 안내부(146)는 그 내측 상부면으로 삽입되는 지지축(148)에 의해 매달리게 된다.
지지축(148)은 전술한 바와 같이 증기 안내부(146)를 상·하부측 지지부재(142, 144)에 매달리게 하기 위한 것으로, 이 지지축(148)의 상부측은 상·하부측 지지부재(142, 144)의 증기 안내공(142a, 144a)에 관통·삽입되어 증기 안내부(146)가 증기 안내공(142a, 144a) 중심선상의 상하로만 일정길이 이동 가능하게 한다. 즉, 가열용기(120)의 유무에 의해 증기 안내부(146)가 상·하부측 지지부재(142, 144)의 증기 안내공(142a, 144a)에서 상하로 이동됨으로써 증기 안내부(146)를 증기 안내공(142a, 144a) 중심선상의 상하로만 안내하게 된다. 이때, 지지축(148)의 하단에는 지지축(148)의 지름보다 더 큰 지름으로 일정 크기의 걸림편(148a)이 형성된다.전술한 바와 같은 지지축(148)은 도 5 및 도 6 에서와 같이 가열용기(120)의 체결 및 분리에 의해 상하로 이동됨으로써 상·하부측 지지부재(142, 144)의 증기 안내공(142a, 144a)을 제 2 개폐부재(154)와 제 1 개폐부재(152)를 통해 개폐시키게 된다.
증기 안내부(146)를 지지축(148)에 매달리게 하는 수단은 지지축(148)을 매개체로 하여 상·하부측 지지부재(142, 144)에 증기 안내부(146)를 지지되게 하기 위한 수단이다.
전술한 증기 안내부(146)를 지지축(148)에 매달리게 하는 수단의 구성은 증기 안내부(146)의 하부에 형성되는 증기 안내공(146a)의 상측으로 지지축(148)의 지름보다 더 큰 지름으로 형성되어 증기 안내공(146a)과 연통되는 증기 및 응결수 안내로(146d), 증기 및 응결수 안내로(146d)의 내주면에 나선형태로 형성된 암나사부(146e), 증기 및 응결수 안내로(146d)의 암나사부(146e)에 관계하는 숫나사부(150a)가 외주면에 형성되어 증기 및 응결수 안내로(146d)에 나사 결합되는 한편 그 중심에는 지지축(148)의 걸림편(148a)보다는 작고 지지축(148)보다는 더 큰 지름으로 형성되어 지지축(148)의 하단에 결합된 후술할 제 1 개폐부재(152)에 의해 개폐되는 증기공(150b)이 형성된 지지축 고정캡(150)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증기 및 응결수 안내로(146d)는 가열용기 내부의 증기와 증기 응결기(130) 내부의 응결수를 상하로 안내하는 한편 지지축(148)의 걸림편(148a)을 포함한 하단이 삽입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증기 안내부(146)를 지지축(148)에 매달리게 하는 수단을 통해 지지축(148)의 하단에 증기 안내부(146)를 매달리게 하기 위한 결합을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증기 안내부(146)의 증기 및 응결수 안내로(146d)에 지지축(148)의 걸림편(148a)을 삽입한 상태에서 지지축 고정캡(150)을 지지축(148)의 상부를 통해 끼워 증기 및 응결수 안내로(146d)에 나사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지지축 고정캡(150)을 증기 및 응결수 안내로(146d)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증기 안내부(146)는 지지축(148)의 하단에 매달리게 된다.
제 1 개폐부재(152)는 지지축(148)의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증기 및 응결수 안내로(146d)를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이 제 1 개폐부재(152)는 지지축(148)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편(148a)의 상부측에 결합된다. 이러한 제 1 개폐부재(152)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제 1 개폐부재(152)는 지지축(148)과 증기 안내부(146)가 결합되기 전에 먼저 지지축(148)의 걸림편(148a) 상부에 체결된다. 이처럼 체결된 제 1 개폐부재(152)는 지지축(148)의 상하 이동에 의해 증기 및 응결수 안내로(146d)를 개폐시키게 된다.
한편, 제 1 개폐부재(152)의 상부면 테두리에는 지지축 고정캡(150)의 증기공(150b)과의 기밀을 유지시키기 위한 돌출부(152a)가 형성되고, 이 제 1 개폐부재(152)의 돌출부(152a)에 관계하여 지지축 고정캡(150)의 증기공(150b)의 하부면 테두리에 절곡부(150c)가 형성된다. 이처럼 형성된 제 1 개폐부재(152)의 돌출부(152a)와 지지축 고정캡(150)의 절곡부(150c)는 상호 작용에 의해 증기공(150b)의 기밀을 유지시킨다.
제 2 개폐부재(154)는 상·하부측 지지부재(142, 144)의 증기 안내공(142a,144a)을 관통하여 상부측 지지부재(142)의 증기 안내공(142a) 상부로 돌출된 지지축(148)의 상단에 체결하여 상·하부측 지지부재(142, 144)에 증기 안내부(146)와 지지축(148)이 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 제 2 개폐부재(154)는 탄성변형 가능한 고무재질로 이루어진다.
한편, 개폐부재(154)의 기능 중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증기 안내부(146)와 지지축(148)을 상·하부측 지지부재(142, 144)에 지지되도록 하는 기능 이외에 가열용기의 유무에 의해 상부측 지지부재(142)의 증기 안내공(142a) 상부를 개폐시키는 기능이 있다. 즉, 제 2 개폐부재(154)는 가열용기의 유무에 따른 증기 안내부(146)의 상하 이동에 의해 상부측 지지부재(142)의 상부측 증기 안내공(142a)을 개폐시키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작용 중 상부측 지지부재(142)의 증기 안내공(142a) 상부가 개방되었다는 것은 가열용기의 증기가 증기 응결기(130)로, 증기 응결기(130)의 응결수가 가열용기로 안내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하고, 상부측 지지부재(142)의 증기 안내공(142a) 상부가 폐쇄되었다는 것은 증기나 응결수가 안내될 수 없는 상태이다.
전술한 제 2 개폐부재(154)가 면접촉하는 상부측 지지부재(142)의 증기 안내공(142a)에는 제 2 개폐부재(154)와의 사이에 기밀을 유지시키기 위한 기밀 유지용 돌출부(142c)가 더 형성된다.
주름관(156)은 하부측 지지부재(144)의 하부면과 증기 안내부(146)의 내측 상부면에 상·하단면이 밀착되게 지지축(148)의 외주에 설치되어 가열용기 내부의증기를 증기 응결기(130)로 증기 응결기(130) 내부의 응결수를 가열용기로 안내하는 것으로, 이 주름관(156)은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전술한 주름관(156)은 그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상시 본래의 상태로 복원하려는 힘이 있다.
탄성스프링(158)은 주름관(156)의 외주에 설치되어 주름관(156)의 상·하단면이 하부측 지지부재(144)의 하부면과 증기 안내부(146)의 내측 상부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한편, 증기 안내부(146)를 상시 원위치시키는 방향으로 그 힘이 작용된다. 이때, 주름관(156)의 외주에 설치되는 탄성스프링(158)에는 주름관(156)의 탄성력이 더 보강된다.
즉, 탄성스프링(158)이 본래의 상태로 회복하려는 힘에 주름관(156)의 탄성력이 더하여진다.
탄성스프링(158)은 전술한 바와 같이 증기 안내부(146)를 상시 원위치시키는 방향으로 그 힘이 작용하여 증기 안내부(146)를 상향으로 밀어 올리는 힘이 사라지게 되면 그 즉시 증기 안내부(146)를 원위치시킨다. 또한, 탄성스프링(158)의 탄성력은 가열용기 뚜껑(122)의 상부면과 증기 안내부(146) 하부면의 밀착을 가능하게 한다.
밀봉부재(160)는 증기 안내부(146)와 가열용기 뚜껑(122) 사이를 밀봉하여 증기의 누설을 방지하는 것으로, 이 밀봉부재(160)는 증기 안내부(146)의 밀봉홈(146b)에 끼움되어 가열용기 뚜껑(122)의 증기공(122a) 테두리에 밀착된다.
한편, 증기 안내부(146)의 밀봉홈(146b) 내측의 외각 원주면에 형성된 돌기(146c)는 증기 안내부(146)의 밀봉홈(146b)에 밀봉부재(160)를 끼움시 밀봉부재(160)의 끼움에 의해 밀봉홈(146b)에서 압축되는 공기가 돌기(146c)에 의해 일부가 탄성변형되는 밀봉부재(160)와의 틈새로 배출되도록 하여 밀봉부재(160)의 끼움을 용이하게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증기 안내수단은 가열용기를 히터에 안착시킬 경우 가열용기 뚜껑(122)의 증기공(122a)이 증기 안내부(146)의 증기 안내공(146a)과 일치된 상태에서 일치된 증기공(122a)과 증기 안내공(146a)의 주위가 밀봉부재(160)에 의해 밀봉되어 가열용기 뚜껑(122)과 증기 안내공(146a) 하부면 사이에서의 증기 누설을 방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중탕기를 설명하기 위해 보인 결합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중탕기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8 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증기 누설 방지구조를 갖는 가정용 중탕기(100)는 히터(112)를 갖는 본체(110), 약재(수삼, 백삼 등)와 물을 저수하여 히터(112)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용기(120), 약재를 달이는 과정에서 가열용기(120)로부터 발생되는 증기를 포집하는 증기 응결기(130), 증기 응결기(130)에 포집된 증기를 냉각시키는 수단 및 가열용기(120)를 히터(112)에 안착함과 동시에 가열용기(120)와 증기 응결기(130)를 연통시켜 가열용기(120) 내부의 증기를 증기 응결기(130)로, 증기 응결기(130)의 응결수를 가열용기(120) 내부로 안내하는 증기 안내수단(140)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증기 누설 방지 구조를 갖는 증기 안내장치는 가열용기(120) 내부의증기와 증기 응결기 내부의 응결수를 안내하는 증기 안내공(142a, 144a)이 형성되어 증기 응결기(130)의 하부면을 사이에 두고 나사 결합되는 상·하부측 지지부재(142, 144), 가열용기(120) 뚜껑(122)에 형성된 증기공(122a)과 연통되는 증기 안내공(146a)이 형성되어 증기 및 응결수를 상하로 안내하는 증기 안내부(146), 상·하부측 지지부재(142, 144)의 증기 안내공(142a, 144a)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한편 그 하단에는 걸림편(148a)이 형성된 지지축(148), 지지축(148)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편(148a)에 증기 안내부(146)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매달리게 하는 수단, 지지축(148)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편(148a)의 상부측에 결합되어 지지축(148)의 상하 이동에 의해 증기 안내부(146)를 개폐시키는 탄성체의 제 1 개폐부재(152), 지지축(148)의 상단에 체결되어 상부측 지지부재(142)의 증기 안내공(142a) 상부를 개폐시키는 한편 증기 안내부(146)와 지지축(148)을 매달리게 하는 제 2 개폐부재(154), 하부측 지지부재(144)와 증기 안내부(146) 사이의 지지축(148) 외주에 설치되어 증기 및 응결수를 상하로 안내하는 탄성체의 주름관(156) 및 주름관(156)의 외주에 설치되어 증기 안내부(146)를 상시 원위치시키는 방향으로 그 힘이 작용하는 탄성스프링(15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지지축(148)의 하부측에 증기 안내부(146)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매달리게 하는 수단은 증기 안내부(146)의 하부에 형성되는 증기 안내공(146a)의 상측으로 지지축(148)의 지름보다 더 크게 연통·형성되어 증기 및 응결수를 상하로 안내하는 한편 지지축(148)의 걸림편(148a)을 포함한 하단이 삽입되는 증기 및 응결수 안내로(146d), 증기 및 응결수 안내로(146d)의 내주면에 나선형태로 형성된암나사부(146e), 증기 및 응결수 안내로(146d)의 암나사부(146e)에 관계하는 숫나사부(152a)가 외주면에 형성되어 증기 및 응결수 안내로(146d)에 나사 결합되는 한편 그 중심에는 지지축(148)의 걸림편(148a)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어 지지축(148)의 하단에 결합된 제 1 개폐부재(152)에 의해 개폐되는 증기공(150b)이 형성된 지지축 고정캡(15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 개폐부재(154)가 면접촉하는 상부측 지지부재(142)의 증기 안내공(142a)에 기밀 유지용 돌출부(142c)가 더 형성된다.
제 1 개폐부재(152)가 지지축 고정캡(150)의 하부에 면접촉할시 지지축 고정캡(150)의 증기 및 응결수 안내로(146d)와의 기밀을 유지시키는 돌출부(152a)가 제 1 개폐부재(152)의 상부측 테두리에 더 형성된다.
제 1 개폐부재(152)의 상부측 테두리에 형성된 돌출부(152a)에 관계하여 지지축 고정캡(150)의 증기공(150b)의 주위에 형성되는 절곡부(150c)가 더 구비된다.
한편, 증기 안내부(146)의 하부측에는 가열용기 뚜껑(122)의 증기공(122a) 테두리와 증기 안내부(146)의 하부면 사이를 밀봉하여 증기의 누설을 방지하는 밀봉부재(160)가 더 구비된다.
밀봉부재(160)는 증기 안내부(146)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동심원상의 밀봉홈(146b)에 끼움 결합된다.
밀봉부재(160)를 밀봉홈(146b)에 끼움시 용이하게 끼울 수 있도록 증기 안내부(146)의 밀봉홈(146b) 내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146c)가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중탕기(100) 본체(110)의 히터(112)에 가열용기(120)를 안착시켜 증기 안내부(146)를 가열용기(120)의 뚜껑(122) 중심에 형성된 증기공(122a)에 맞추게 되면 증기 안내부(146)는 상부측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증기 안내부(146)의 증기 및 응결수 안내로(146d)가 열리는 한편, 상부측 지지부재(142)의 증기 안내공(142a) 상부는 지지축(148)의 상향 이동에 의해 개방되어 가열용기(120)의 증기가 주름관(156)을 통해 증기 응결기(130)로 유입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즉, 가열용기(120) 내부의 증기는 증기 안내부(146)의 증기 안내공(146a)을 통해 증기 및 응결수 안내로(146d)로 유입되어 주름관(156)을 통해 증기 응결기(130)로 유입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또한, 증기 응결기(130)의 응결수가 상·하부측 지지부재(142, 144)의 증기 안내공(142a, 144a)과 주름관(156), 증기 및 응결수 안내로(146d) 및 증기 안내부(146)의 증기 안내공(146a)을 통해 가열용기(12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상태이기도 하다. 이처럼 증기를 안내할 수 있는 상태에서 주름관(156)과 밀봉부재(160)에 의해 증기의 누설이 발생하지 않는다.
반면, 가열용기(120)를 히터(112)로부터 분리하게 되면 증기 안내부(146)를 상부측으로 미는 힘이 사라지기 때문에 주름관(156) 및 탄성스프링(158)의 탄성력에 의해 증기 안내부(146)는 원위치 된다. 이때, 상부측 지지부재(142)의 증기 안내공(142a)은 지지축(148)의 하향 이동에 따라 제 2 개폐부재(154)에 의해 폐쇄되고, 지지축 고정캡(150)의 증기공(150b)은 제 1 개폐부재(152)에 의해 폐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개폐부재(152)에 의해 지지축 고정캡(150)의 증기공(150b)이 폐쇄됨으로써 증기 안내수단(140)의 내부에 잔류된 중탕액은 낙수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주름관의 상하단면에 하부측 지지부재와 증기 안내부 사이에 설치되기 때문에 가열용기 내부의 증기가 증기 응결기로 유입될 때 증기의 누설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증기 안내부와 가용용기 뚜껑과의 사이를 밀봉부재를 통해 밀봉함으로써 약재의 중탕시 증기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중탕액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휘된다.
다른 한편으로, 증기의 누설을 방지함으로써 누설증기로 인한 중탕기 표면의 더러워짐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증기 안내부의 하부측을 제 1 개폐부재를 통해 폐쇄시킴으로써 증기 안내수단에 잔류된 중탕액이 낙수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가열용기 내부의 증기와 증기 응결기 내부의 응결수를 안내하는 증기 안내공이 형성되어 상기 증기 응결기의 하부면을 사이에 두고 나사 결합되는 상·하부측 지지부재;
    상기 가열용기 뚜껑에 형성된 증기공과 연통되는 증기 안내공이 형성되어 증기 및 응결수를 상하로 안내하는 증기 안내부;
    상기 상·하부측 지지부재의 증기 안내공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한편, 그 하단에는 걸림편이 형성된 지지축;
    상기 지지축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편에 상기 증기 안내부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매달리게 하는 수단;
    상기 지지축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편의 상부측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축의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증기 안내부를 개폐시키는 탄성체의 제 1 개폐부재;
    상기 지지축의 상단에 체결되어 상기 상부측 지지부재의 증기 안내공 상부를 개폐시키는 한편, 상기 증기 안내부와 지지축을 매달리게 하는 제 2 개폐부재;
    상기 하부측 지지부재와 상기 증기 안내부 사이의 상기 지지축의 외주에 설치되어 증기 및 응결수를 상하로 안내하는 탄성체의 주름관; 및
    상기 주름관의 외주에 설치되어 상기 증기 안내부를 상시 원위치시키는 방향으로 그 힘이 작용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탕기의 증기누설 방지구조를 갖는 증기 안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의 하부측에 상기 증기 안내부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매달리게 하는 수단은 상기 증기 안내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증기 안내공의 상측으로 상기 지지축의 지름보다 더 크게 연통·형성되어 증기 및 응결수를 상하로 안내하는 한편, 상기 지지축의 걸림편을 포함한 하단이 삽입되는 증기 및 응결수 안내로;
    상기 증기 및 응결수 안내로의 내주면에 나선형태로 형성된 암나사부; 및
    상기 증기 및 응결수 안내로의 암나사부에 관계하는 숫나사부가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증기 및 응결수 안내로에 나사 결합되는 한편, 그 중심에는 상기 지지축의 걸림편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축의 하단에 결합된 제 1 개폐부재에 의해 개폐되는 증기공이 형성된 지지축 고정캡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탕기의 증기누설 방지구조를 갖는 증기 안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관의 탄성력은 상기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을 보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중탕기의 증기누설 방지구조를 갖는 증기 안내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개폐부재가 면접촉하는 상기 상부측 지지부재의 증기 안내공에 기밀 유지용 돌출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탕기의 증기누설 방지구조를 갖는 증기 안내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개폐부재가 상기 지지축 고정캡의 하부에 면접촉할시 상기 지지축 고정캡의 증기공과의 기밀을 유지시키는 돌출부가 상기 제 1 개폐부재의 상부측 테두리에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탕기의 증기누설 방지구조를 갖는 증기 안내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개폐부재의 상부측 테두리에 형성된 돌출부에 관계하여 상기 지지축 고정캡의 증기공의 주위에 형성되는 절곡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탕기의 증기누설 방지구조를 갖는 증기 안내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안내부의 하부측에는 상기 가열용기 뚜껑의 증기공 테두리와 증기 안내부의 하부면 사이를 밀봉하여 증기의 누설을 방지하는 밀봉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탕기의 증기누설 방지구조를 갖는 증기 안내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증기 안내부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동심원상의 밀봉홈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탕기의 증기누설 방지구조를 갖는 증기 안내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를 상기 밀봉홈에 끼움시 상기 밀봉부재의 일부를 탄성변형시켜 상기 밀봉부재의 끼움에 의해 상기 밀봉홈에서 압축되는 공기가 탄성변형되는 상기 밀봉부재와의 틈새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여 상기 밀봉부재의 끼움을 용이하게 하는 돌기가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탕기의 증기누설 방지구조를 갖는 증기 안내장치.
KR1019990036487A 1999-08-31 1999-08-31 중탕기의 증기누설 방지구조를 갖는 증기 안내장치 KR100347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6487A KR100347695B1 (ko) 1999-08-31 1999-08-31 중탕기의 증기누설 방지구조를 갖는 증기 안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6487A KR100347695B1 (ko) 1999-08-31 1999-08-31 중탕기의 증기누설 방지구조를 갖는 증기 안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9845A KR20010019845A (ko) 2001-03-15
KR100347695B1 true KR100347695B1 (ko) 2002-08-09

Family

ID=19609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6487A KR100347695B1 (ko) 1999-08-31 1999-08-31 중탕기의 증기누설 방지구조를 갖는 증기 안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769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9845A (ko) 2001-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13420B1 (en) Device for coupling a lid to pot
JPH05507008A (ja) 静水ドレン栓
KR0136370B1 (ko) 케그-끼움부 탭 헤드
CN211533944U (zh) 烹饪设备
KR100347695B1 (ko) 중탕기의 증기누설 방지구조를 갖는 증기 안내장치
SU1215606A3 (ru) Контейнер дл размещени предметов,предназначенных дл стерилизации и последующего их хранени
KR100912323B1 (ko) 정수기용 온수 코크 밸브
KR100347696B1 (ko) 중탕기의 증기 누설 방지장치
KR100316155B1 (ko) 중탕기의 증기 누설 방지장치
CN106628572A (zh) 防进水乳液泵
CN213447699U (zh) 一种衣物处理设备
DK0455583T3 (da) Lukkeanordning for en drikkebeholder
CN212465728U (zh) 一种杯盖的蒸汽排出装置
CN211632810U (zh) 一种电热水杯
CN213821035U (zh) 壶盖
CN220192755U (zh) 功能箱体和集成灶
KR19980070136A (ko) 전기포트
KR200208342Y1 (ko) 전기포트
KR200253622Y1 (ko) 압력조리기의뚜껑열림보조장치
KR890007997Y1 (ko) 진공보온병의 주수구 개폐장치
JPS5920851Y2 (ja) 空気圧液送式保温容器
KR920000221Y1 (ko) 한약 추출기의 뚜껑록킹 장치
KR0116574Y1 (ko) 삶는 기능을 구비한 세탁기의 삶는세탁조 고정장치
JPS6041857Y2 (ja) 安全装置を備えた圧力調理器
KR200346808Y1 (ko) 병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