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5279B1 - 조절가능한야구배팅티 - Google Patents

조절가능한야구배팅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5279B1
KR100345279B1 KR1019960705601A KR19960705601A KR100345279B1 KR 100345279 B1 KR100345279 B1 KR 100345279B1 KR 1019960705601 A KR1019960705601 A KR 1019960705601A KR 19960705601 A KR19960705601 A KR 19960705601A KR 100345279 B1 KR100345279 B1 KR 100345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ongated
elongate
plate
adjustable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5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2092A (ko
Inventor
지. 프리에토 로날드
Original Assignee
베이스-아이씨에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스-아이씨에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베이스-아이씨에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970702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2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5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52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73Means for releasably holding a ball in position; Balls constrained to move around a fixed point, e.g. by tethering
    • A63B69/0075Means for releasably holding a ball in position prior to kicking, striking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 A63B2069/00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raining aspects
    • A63B2069/0008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raining aspects for bat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ys (AREA)
  • Pressure Welding/Diffusion-Bonding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배팅티는 플레이트 부재에 부착된 기다란 제1 부재를 포함한다. 기다란 제2 부재는 기다란 제1 부재 상에 미끄러지도록 위치한다. 기다란 제2 부재는 기다란 제1 부재에 대해 교차되게 위치되고 기다란 제1 부재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기다란 제2 부재는 적어도 제1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으며, 볼을 지지하는 상부부재는 기다란 제2 부재상에서 미끄러지게 위치한다. 회전하는 기다란 제2 부재와 결합된 각각의 이동이 가능한 부재들이 상부 부재상에 제공된 볼의 위치를 스트라이크존 내의 다양한 위치가 되도록 함으로써 좌우타자의 타격기술을 적절하게 교육시키는 훈련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조절 가능한 야구 배팅티{Adjustable Baseball Batting Tee}
배팅티는 야구선수 및 야구경기를 배우는 어린 선수의 타격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종래의 배팅티는 홈 플레이트 모양의 지지부재의 중심으로부터 상부로 직접 연장되는 조절 가능한 상부부재를 이용한다. 이러한 형태의 배팅티는 볼이 홈 플레이트의 중심에 지지되므로 배팅티가 야구공을 스트라이크존 내에 다양하게 위치시킬 수 없다는 단점을 지닌다. 따라서, 이러한 형태의 야구 배팅티는 볼이 플레이트의 바로 위에만 있기 때문에 볼이 플레이트의 전방에 있는 경우에 볼을 칠 수 있게 어린 선수를 교육시킬 수 없다.
그밖의 공지된 조절 가능한 배팅티는 홈 플레이트에 대해서 볼-지지 상부부재의 위치조절 범위가 제한된다는 단점이 있다. 즉, 종래의 배팅티는 홈 플레이트에 대해서 또한 좌타자 및 우타자에 대해서, 인사이드 피치(pitch) 및 아웃사이드 피치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없다. 또한, 종래의 조절 가능한 배팅티는 홈 플레이트로부터 볼의 거리에 대한 볼의 위치를 기준으로 한 인사이드 피치, 아웃사이드 피치 및 홈플레이트 중간의 피치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야구공을 지지하는 미끄럼 상부부재, 및 기다란 제1 및 제2 부재를 지니고, 상기 상부부재와 그에 지지된 야구공을 스트라이크존 내의 다양한 위치에 위치시키도록 기다란 제1 및 제2 부재 중 하나가 다른 기다란 부재에 대해 미끄러지며 회전되는 조절 가능한 야구 배팅티(batting tee)에 관한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된 상세한 설명을 보다 잘 이해함으로써 본 발명을 보다 완벽하게 이해하고 보다 많은 본 발명의 이점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절 가능한 배팅티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좌타자를 트레이닝하도록 조절된 본 발명의 조절 가능한 야구 배팅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우타자를 트레이닝하도록 조절된 본 발명의 조절 가능한 야구 배팅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추가의 양태의 조절 가능한 야구 배팅티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추가의 양태의 조절 가능한 야구 배팅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양태의 또다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볼의 위치를 스트라이크존 내의 다양한 위치에 있게 할 수 있는 신규의 조절 가능한 야구 배팅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볼을 바람직한 타격존에 위치시키고 타자, 볼 및 홈 플레이트 사이의 적절한 관계를 교육시키는 트레이닝 장치로 작용할 수 있는 조절 가능한 야구 배팅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선수에게 적합한 자세, 발 사이의 거리, 및 스윙을 교육시키는 트레이너로 사용될 수 있는 조절 가능한 야구 배팅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조절 가능한 배팅티는 플레이트부재; 플레이트부재로부터 연장된 기다란 제1 부재; 기다란 제1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끄러질 수 있으며 적어도 제1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기다란 제1 부재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 기다란 제1 부재 상에서 미끄러지며 회전될 수 있도록 위치하고 기다란 제1 부재에 대하여 교차되어 연장되는 기다란 제2 부재; 제1 및 제2 위치에서 기다란 제2 부재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잠금수단; 및 기다란 제2 부재 상에 미끄러질 수 있도록 설치되어 기다란 제2 부재의 길이방향에 따라 미끄러질 수 있고, 볼을 지지하는 상부부재를 포함한다.
(발명을 수행하는 최상의 방법)
도면을 참조하자면, 유사한 참조번호는 몇몇의 도면들 사이에서 동일한 부분 또는 상응하는 부분을 나타내며, 특히 도 1에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도면에서 플레이트 부재(1)은 야구의 홈 플레이트 모양으로 형성되고 그라운드 또는 어떠한 평탄면에 위치할 수 있다. 플레이트 부재(1)의 전단(1a)의 중심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것은 제1 유도 막대 수단(5)를 지닌 기다란 제1 부재(3)이다. 기다란 제1 부재(3) 상에 미끄러질 수 있도록 위치한 것은 구멍(7a)(도 2 및 도 3)을 지닌 미끄럼 부재(7)이고, 상기 구멍은 기다란 제1 부재(3)의 제1 유도 막대 수단(5)에 상응하여 미끄럼 부재(7)이 화살표 A 및 B로 도시된 방향으로 상기 유도 막대 수단을 따라 미끄러지게 한다. 따라서, 미끄럼 부재(7)은 기다란 제1 부재(3)의 길이방향으로 미끄러져 플레이트 부재(1)의 전단(1a)로부터 멀어지거나 전단(1a)를 향하여 이동한다. 기다란 제1 부재(3)에 관하여 교차방법으로 회전되도록 미끄럼 부재(7)상에 위치된 것은 기다란 제2 부재(9)이며, 기다란 제2 부재(9)는 화살표 D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점(31)에서 회전할 수 있다. 기다란 제2 부재(9)는 기다란 제2 부재(9)의 길이방향으로 교차하여 연장된 제2 유도 막대 수단(11)을 포함한다. 기다란 제2 부재(9)는 제1 단부(9a) 및 제2 단부(9b)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자면, 이중화살표 C로 도시된 방향으로 제1 단부(9a)와 제2 단부(9b) 사이에서 미끄러지도록 기다란 제2 부재(9) 상에 위치하는 것은 야구공을 지지하는 지지면(17)을 지니는 상부부재(15)이다. 상부부재(15)는 굽혀질 수 있는 조절 가능한 텔레스코핑형(telescoping) 부분(19)를 포함하며, 텔레스코핑형 부분(19)는 튜브부(25)에 미끄러질 수 있도록 위치한다. 튜브부(25)상의 조절 가능한 고정부재(21)이 사용되어 텔레스코핑형 부분(19)의 높이가 선택적으로 설정되고 공의 수직위치를 조절한다. 기다란 제2 부재(9)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부부재(15)의 미끄러짐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상부부재(15)의 베이스부(15a)는 기다란 제2 부재(9)의 제2 유도 막대 수단(11)과 함께 작용하는 구멍(23)을 포함한다. 상부부재(15)의 튜브부(25)는 베이스부(15a) 상에 스크류형 방법으로 설치되어 자체의 세로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부부재(15)의 튜브부(25)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튜브부(25)와 베이스부(15a) 사이의 접속이 제2유도 막대 수단(11)의 베이스부(15a)를 누르도록 단단하게 고정되어 기다란 제2 부재(9) 상에 상부부재(15)의 위치를 고정한다. 기다란 제2 부재(9)를 따라 상부부재(15)를 미끄러지게 하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 튜브부(25)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기다란 제2 부재(9)의 제2 유도 막대 수단(11)을 따라 상부부재(15)가 미끄러지도록 튜브부(25)와 베이스부(15a) 사이의 상호접속을 느슨하게 한다.
제1 구멍(27a) 및 제2 구멍(27b)를 지니는 평판(27)이 기다란 제2 부재(9) 상에 설치된다. 제1 구멍(27a) 및 제2 구멍(27b)는 미끄럼 부재(7) 상에 위치한 조절 가능한 잠금부재(29)와 함께 작용하여, 기다란 제2 부재(9)를 제1 및 제2 잠금위치에서 선택적으로 고정한다. 제1 잠금위치가 도 2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 1에서는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2 잠금위치는 도 3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 1에서는 파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기다란 제2 부재(9)는 도 1의 화살표 D 및 D'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점(31)에서 선택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조절 가능한 잠금부재(29)는 기다란 제2 부재(9)를 잠그도록 회전할 수 있는 회전 가능한 스크류형 장치이거나, 기다란 제2 부재(9)를 잠그도록 압박할 수 있는 스프링 탑재 플라스틱, 고무 또는 유연한 버튼형의 장치일 수 있다.
도 1 의 실선 및 도 2 는 일반적으로 위치(35)에 있는 좌타자에 대해서 플레이트 부재(1)의 아웃사이드부 상에 있는 볼을 좌타자가 치도록 트레이닝하는 배팅티의 조절위치를 도시하는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다란 제2 부재(9)가 부착된 미끄럼 부재(7)은 플레이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의 위치까지 미끄러질 수 있으며, 기다란 제2 부재(9)는 평판(27)의 제1 구멍(27a)에 조절 가능한 잠금부재(29)가 맞물리도록 점(31)에서 회전한다. 이어서, 조절 가능한 잠금부재(29)는 도 2에 도시된 위치에서 기다란 제2 부재(9)를 고정하도록 조여진다. 상부부재의 튜브부(25)는 자체의 세로축에서 회전하여 튜브부(25)와 베이스부(15a) 사이의 접속을 느슨하게 한다. 상부부재(1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다란 제2 부재(9)를 따라 기다란 제2 부재(9)의 제1 단부(9a)에 인접한 위치로 미끄러진다. 튜브부(25)는 반대 방향으로 자체의 세로축에 대해 회전하여 튜브부재(25)를 상기된 위치에 고정한다. 상부부재(15)의 높이는 텔레스코핑형 부분(19) 및 고정부재(21)을 조작하여 원하는 높이로 조절된다. 야구볼은 볼-지지면(17) 상에 놓일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이, 특정의 위치가 이용되어 좌타자가 아웃사이드 피치를 치도록 훈련할 수 있다.
좌타자가 플레이트 부재(1)의 중간에서 피치를 치도록 훈련되는 경우에는, 기다란 제2 부재(9)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잠금위치에 유지되며, 튜브부(25)가 상기와 같이 느슨해지고 단부(9b)를 향한 방향에서 기다란 제2 부재(9)를 따라 플레이트 부재(1)의 중간의 피치인 기다란 제1 부재(3) 위의 위치로 미끄러진다. 이어서 튜브부재(25)는 상기와 같이 고정된다. 플레이트 부재(1)로부터 특정의 거리에서 플레이트 부재(1)의 중간의 피치를 치는 것이 요구되므로, 본 발명의 배열에 있어서, 제1 단부(9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부부재(15)가 미끄러져 플레이트 부재(1)의 중심에 상부부재(15)를 위치시키고, 플레이트 부재(1)의 중간에서 피치를 치기에 적합한 플레이트 부재(1)의 전방(1a)으로부터 떨어진 특정의 거리에 상부부재(15)를 위치시킨다.
좌타자가 인사이드 피치를 치도록 훈련되는 경우에는, 기다란 제2 부재(9)가 도 2 에 도시된 제1 잠금위치에 유지되며, 상부부재(25)가 상기와 같이 느슨해져 기다란 제2 부재(9)의 반대 단부(9b)에 위치되도록 제2 단부(9b)를 향해 미끄러진다. 이어서 튜브부는 상기와 같이 고정된다. 좌타자가 인사이드 피치를 치는 경우, 볼이 플레이트 부재(1)의 아웃사이드 또는 중간에서의 피치보다 홈 플레이트 부재(1)로부터 보다 먼거리에 위치되는 것이 중요하다. 상부부재(15)가 제2 단부(9b)로 미끄러지는 것은 상부부재(15)가 인사이드 피치가 되게 위치시킬 뿐만 아니라, 상부부재(15)가 인사이드 피치를 치기에 적합한 홈 플레이트 부재(1)의 전방으로부터 특정의 거리로 멀어지게 한다.
또한, 기다란 제1 부재(3)의 길이 방향을 따라 홈 플레이트 부재(1)을 향해 또는 홈 플레이트 부재(1)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할 수 있는 미끄럼 부재(7) 및 이에 부착된 기다란 제2 부재(9)를 지니는 것은 플레이트 부재(1)의 전방(1a)에 인접하여 자세를 취하거나 플레이트 부재(1)의 후방(1b)에서 자세를 취하는 타자를 트레이닝하게 한다. 그러한 이유는 기다란 제1 부재(3)을 따라 미끄럼 부재(7)의 이동이 상기된 타자가 플레이트 부재(1)의 전방 또는 플레이트 부재(1)의 후방에 인접하여 자세를 취하도록 보완하기 때문이다.
도 1의 파선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위치(37)에서 자세를 취하는 우타자가 아웃사이드 피치를 치는 트레이닝을 하기 위해서, 기다란 제2 부재(9)는 점(31)에서 도 2의 회전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플레이트 평판(27)의 제2 구멍(27b)를 조절 가능한 잠금부재(29)와 맞물리게 한다. 이어서조절 가능한 잠금부재(29)가 고정되어 도 3에 도시된 위치에 기다란 제2 부재(9)를 고정시킨다. 상부부재(15)의 튜브부재(25)는 상기된 바와 같이 회전하고, 이어서 상부부재(15)가 기다란 제2 부재(9)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기다란 제2 부재(9)의 제2 단부(9b)에 인접한 위치로 미끄러진다. 이어서 상부부재(15)의 높이가 소정의 높이로 상기와 같이 조절되고, 볼이 볼-지지면(17)상에 놓인다.
좌타자에 관한 상기된 설명에서와 같이, 우타자도 인사이드 피치, 플레이트 중간의 피치 및 아웃사이드 피치를 치도록 트레이닝할 수 있다. 타자가 볼을 적절하게 치도록 스윙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홈 플레이트 부재(1)에 대한 기다란 제2 부재(9)의 위치를 조절하여, 우타자는 피치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 부재(1)에 인접하는 위치의 아웃사이드 피치, 볼이 아웃사이드 피치 보다 플레이트로부터 더 멀어지는 위치에서의 플레이트 중간의 피치, 및 볼이 플레이트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서의 인사이드 피치를 치도록 트레이닝할 수 있다. 이러한 트레이닝은 상부부재를 기다란 제2 부재(9)의 단부(9a)를 향한 방향으로 미끄러지게 함으로써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홈 플레이트 부재(1)에 대해 볼의 위치를 다양하게 하여, 볼이 홈 플레이트 부재(1)의 어떠한 위치에 오든지 타자가 치도록 적절하게 트레이닝할 수 있게 한다. 예를들어, 미끄럼 부재(7)은 홈 플레이트 부재(1)을 향해 또는 홈 플레이트 부재(1)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여, 플레이트 부재(1)의 전방(1a)에 인접하거나 플레이트 부재(1)의 후방(1b)에서 자세를 취하는 타자를 보충할 수 있다. 기다란 제2 부재(9)는 타자가 좌타자 또는 우타자인 경우에 따라 제1 방향 또는제2 방향으로 점(31)에서 회전한다. 상부부재(15)는 타자가 좌타자인지 우타자인지에 따라 기다란 제2 부재(9)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끄러질 수 있다. 또한 기다란 제1 부재(3)에 대한 기다란 제2 부재(9)의 각도는 기다란 제2 부재(9)를 따라 미끄러질 수 있는 상부부재(15)와 결합하여, 볼이 플레이트에 인접한 경우의 아웃사이드 피치, 볼이 플레이트에서 보다 먼 인사이드피치를 타자가 칠 수 있도록 적절히 트레이닝한다.
기다란 제2 부재(9)는 상부부재(15)가 야구에서 스트라이크존의 폭과 같은 거리를 따라 미끄러지게 하는 길이를 지닌다. 따라서, 기다란 제1 부재(3)에 대한 기다란 제2 부재(9)의 위치에 관계없이, 본 발명은 적절하게 스트라이크존이 되게 하여 선수가 스트라이크존 내의 어떠한 위치의 볼이라도 칠 수 있도록 양호하게 트레이닝할 수 있다.
기다란 제2 부재(9)가 회전하여 도 1의 실선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잠금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기다란 제2 부재(9)와 기다란 제1 부재(3)에 수직인 선으로 정의되는 각도(??)(도 1)는 38 내지 40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다란 제2 부재(9)가 도 3의 제2 잠금위치에 고정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러한 각도 및 위치는 요구되는 타격존이 되게 하여 볼이 타격존 내의 다양한 위치에 놓이게 할 수 있다.
플레이트 부재(1), 기다란 제1 부재(3), 기다란 제2 부재(9) 및 상부부재(15)는 알루미늄 또는 경플라스틱과 같은 단단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으며, 텔레스코핑형 부분(19)는 타자가 너무 낮게 스윙을 하여 텔레스코핑형부분(19)를 우발적으로 치는 경우에도 파괴되지 않고 구부러지는, 휘어지기 쉬운 수지 또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또다른 양태에서와 같이, 기다란 제1 부재(3) 및 기다란 제2 부재(9)는 서로 회전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 기다란 제1 부재(3)은 미끄럼 접속(45)의 방법으로 플레이트 부재(1)상에서 미끄러질 수 있게 위치한다. 또한,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텔레스코핑형 부분(9) 대신에 타자가 굽힘부를 치는 경우 굽혀질 수 있는 얇은 위프(whip)-유사부(85)가 사용될 수 있다. 위프-유사부는 볼 지지부(17)의 크기를 최소화하고 피칭볼과 유사하게 하므로 어린 선수를 트레이닝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이는 또한 타자가 볼에만 집중할 수 있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 5 및 도 6의 실시양태는 볼을 지지하고 볼의 수직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튜브부(25) 및 텔레스코핑형 부재(19)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 대신에, 텔레스코핑형 부재(85a 내지 85e)상에 미끄러지게 설치된 굽혀질 수 있는 얇은 위프-유사부(85)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3의 양태와 유사하다. 텔레스코핑형 부재(85a 내지 85e)는 서로 미끄러지게 위치하여 도 6의 낮은 위치에서 도 5의 높은 위치로 미끄러지거나 또는 그 역으로 될 수 있다. 굽혀질 수 있는 얇은 위프-유사부(85)는 타자가 너무 낮게 스윙을 하여 지지부(17)상에 설치된 볼이 아닌 텔레스코핑형 부재(19)를 우발적으로 치는 경우에도 파괴되지 않는 굽힘 가능한 수지성 플라스틱 재료 또는 그밖의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텔레스코핑형 부재(85a 내지 85e)는 플라스틱재료 또는 금속재료로 제조될 수 있으며 근본적으로는 디자인에 좌우된다.
도 5 및 도 6 의 양태에 의하여, 굽혀질 수 있는 얇은 위프-유사부(85)의 크기는 타자가 볼 지지면(17)상에 설치되는 볼을 양호하게 집중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구조에 의하여, 일단 기다란 제2 부재(9)를 좌우타자가 각각 트레이닝할 수 있게 도 2 및 도 3의 제1 및 제2 잠금위치 중 하나에 위치시키면, 상부부재(15)는 기다란 제2 부재(9)를 따라 아웃사이드 또는 인사이드 피치가되도록 요구되는 모든 곳으로 미끄러질 수 있다. 기다란 제1 부재(3)에 대한 기다란 제2 부재(9)의 경도는 볼이 타자에 대하여 인사이드에 위치하는지 아웃사이드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플레이트 부재(1)의 전방에서 볼의 적절한 간격을 자동적으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 및 변화가 상기된 설명으로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된 특정 양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서 그밖의 변형 및 변화된 양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전방부 및 후방부가 있는 플레이트 부재;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상기 전방부의 중심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기다란 제1 부재;
    상기 기다란 제1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도록 상기 기다란 제1 부재상에 위치하는 미끄럼 부재;
    상기 기다란 제1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끄러질 수 있으며 상기 기다란 제1 부재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미끄럼 부재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대향하여 형성되는 제1 및 제2의 단부를 지니는 기다란 제 2부재로서,
    기다란 상기 제1 부재에 대해 교차되어 연장되고, 상기 기다란 제 1부재에 대하여, 상기 기다란 제2 부재의 상기 제1 단부가 상기 제2 단부보다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상기 전방부에 인접한 제1 위치로부터, 상기 기다란 제2 부재의 상기 제2 단부가 제1 단부보다 상기 플레이트 부재에 인접한 제2 위치로 회전할 수 있는 기다란 제 2부재;
    상기 제1 및 제2 위치에서 상기 기다란 제 2부재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잠금수단; 및
    상기 기다란 제2 부재상에 미끄러질 수 있도록 설치되어, 상기 기다란 제2 부재의 상기 제1 및 제2 단부 사이에서 상기 기다란 제2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끄러질 수 있는, 볼을 지지하는 상부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가능한배팅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다란 제1 부재가 제1 유도 막대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미끄럼 부재가 상기 제1 유도 막대 수단을 따라 미끄러질 수 있도록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가능한 배팅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다란 제2 부재가 제2 유도 막대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부재가 상기 제2 유도 막대 수단을 따라 미끄러질 수 있도록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가능한 배팅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이,
    상기 기다란 제2 부재에 부착되어 제1 및 제2 구멍을 지니는 평판; 및
    상기 기다란 제2 부재를 상기 제1 위치에서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기다란 제2 부재를 상기 제1 위치에 위치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평판의 상기 제1 구멍으로 삽입되고, 상기 기다란 제2 부재를 상기 제2 위치에서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기다란 제2 부재를 상기 제2 위치에 위치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평판의 상기 제2 구멍으로 삽입될 수 있는, 미끄럼 부재에 부착되는 조절 가능한 잠금부재;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가능한 배팅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부재는 튜브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부재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튜브부에 미끄러질 수 있게 위치된 텔레스코핑형 부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가능한 배팅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부재가 베이스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상부부재의 상기 튜브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될 수 있게 접속되어, 상기 튜브부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상부부재가 상기 기다란 제2 부재상의 선택된 위치에 고정되도록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튜브부 사이의 접속을 고정하고, 상기 튜브부가 제2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상부부재가 상기 기다란 제2 부재를 따라 미끄러지도록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튜브부 사이의 접속을 느슨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가능한 배팅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부재가 텔레스코핑형 부분상에 설치된 굽혀질 수 있는 얇은 위프-유사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가능한 배팅티.
  8. 플레이트 부재;
    제1 세로축을 지니며 상기 플레이트 부재로부터 연장되는 기다란 제1 부재;
    상기 기다란 제1 부재상에서 미끄러지고 회전할 수 있게 위치된 기다란 제2 부재로서,
    상기 기다란 제1 부재의 상기 제1 세로축에 교차되는 제2 세로축를 지니며, 상기 기다란 제1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끄러질 수 있고, 적어도 제1 및 제2위치 사이에서 상기 기다란 제1 부재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기다란 제2 부재;
    상기 제1 및 제2 위치에서 상기 기다란 제2 부재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잠금수단; 및
    상기 기다란 제2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끄러질 수 있도록 상기 기다란 제2 부재상에 미끄러질 수 있게 설치되는, 볼을 지지하는 상부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가능한 배팅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부재가 상기 상부부재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가능한 배팅티.
  10. 플레이트 부재;
    제1 세로축을 지니며, 상기 플레이트 부재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플레이트 부재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기다란 제1 부재;
    상기 기다란 제1 부재의 상기 제1 세로축에 교차되는 제2 세로축를 지니며, 적어도 제1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기다란 제1 부재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기다란 제1 부재상에서 회전할 수 있게 위치된 기다란 제2 부재;
    상기 제1 및 제2 위치에서 상기 기다란 제2 부재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잠금수단; 및
    상기 기다란 제2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끄러질 수 있도록 상기 기다란 제2 부재상에 미끄러질 수 있게 설치되는, 볼을 지지하는 상부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가능한 배팅티.
KR1019960705601A 1994-04-07 1995-03-15 조절가능한야구배팅티 KR1003452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224,299 US5388823A (en) 1994-04-07 1994-04-07 Adjustable baseball batting tee
US224,299 1994-04-07
PCT/US1995/002975 WO1995027540A1 (en) 1994-04-07 1995-03-15 Adjustable baseball batting te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2092A KR970702092A (ko) 1997-05-13
KR100345279B1 true KR100345279B1 (ko) 2002-09-18

Family

ID=22840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5601A KR100345279B1 (ko) 1994-04-07 1995-03-15 조절가능한야구배팅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388823A (ko)
JP (1) JP3592716B2 (ko)
KR (1) KR100345279B1 (ko)
CN (1) CN1078085C (ko)
AU (1) AU680756B2 (ko)
CA (1) CA2186240C (ko)
MX (1) MX9604571A (ko)
TW (1) TW338964U (ko)
WO (1) WO199502754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691Y1 (ko) * 2009-08-24 2012-03-07 김경숙 배팅볼 지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48945A (en) * 1997-01-03 1998-12-15 Miller; Joseph M. Powered moveable batting tee
US6146289A (en) * 1997-01-03 2000-11-14 Miller; Joseph M. Powered movable hitting tee
US5916045A (en) * 1997-07-28 1999-06-29 Busch; Thomas S. Batting tee
US6238307B1 (en) 1997-10-01 2001-05-29 James Owen Batting tee for maximizing bat to ball contact
US6099418A (en) * 1997-10-01 2000-08-08 Owen; James Batting tee for maximizing bat to ball contact
US5928092A (en) * 1998-01-02 1999-07-27 Keeter; Lonnie William Batting tee for baseball and softball
US6413175B1 (en) 1998-03-19 2002-07-02 Charles Wallace Mooney, Jr. Batting tee
US6884185B2 (en) * 2001-08-06 2005-04-26 Enor Corporation T-ball playing kit
US7354360B1 (en) 2003-08-21 2008-04-08 Ecksport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teaching a user how to hit a ball with a bat
US7641573B2 (en) * 2003-09-22 2010-01-05 Frederick Cech Articulating batting tee
US6979273B2 (en) * 2003-12-16 2005-12-27 Peter Tsai Rotary baseball batting practice device
US20050143196A1 (en) * 2003-12-29 2005-06-30 Peter Tsai Baseball batting practice device
US7214147B2 (en) * 2004-05-26 2007-05-08 Gregory Gutierrez Batting training apparatus
US20060148597A1 (en) * 2005-01-06 2006-07-06 Pope Lawrence K Practice, exercise, and strengthening device for batting and similar swinging motions
US7479074B1 (en) 2005-10-04 2009-01-20 Ron Pierce Batting tee
US20070082762A1 (en) * 2005-10-12 2007-04-12 Falgoust Paul N Baseball batting practice tee
US7303494B1 (en) * 2005-10-28 2007-12-04 Daniels David D Ball hitting training device
JP2007190320A (ja) * 2006-01-23 2007-08-02 Masahito Suzuki 野球の素振り練習器具
US7744496B2 (en) * 2007-02-22 2010-06-29 Chisena Michael P Batting practice tee
US20090305824A1 (en) * 2008-05-23 2009-12-10 Adam Sanders Special Baseball Training Device called BASEx
US8075424B1 (en) 2008-10-29 2011-12-13 Hostetler John E Sports training device
US8535178B2 (en) * 2009-12-09 2013-09-17 Steve Keller Batting tee system for bat-and-ball games
US8568254B2 (en) * 2009-12-09 2013-10-29 Steve Keller Batting tee system for bat-and-ball games
US20110190079A1 (en) * 2010-01-29 2011-08-04 Guevara Rich S Batting tee and method of use
US8597143B2 (en) 2010-07-01 2013-12-03 Todd H. Newman Batting tee and training system
US8747258B2 (en) * 2010-12-27 2014-06-10 Jerry DURHAM Batting tee
US10471326B2 (en) 2010-12-27 2019-11-12 The Hitting Tee Llc Batting tee
US8734274B1 (en) 2012-03-29 2014-05-27 Franklin Sports, Inc. Collapsible, tip resistant tee ball stand
US9220965B1 (en) 2014-02-27 2015-12-29 Franklin Sports Inc. Rolled tee ball holder
US9486684B2 (en) * 2015-01-28 2016-11-08 Charles S. Howerton Batting training device and methods
US11161024B1 (en) 2016-08-12 2021-11-02 Franklin Sports, Inc. Collapsible, weighted tee ball stand
US10112097B2 (en) * 2016-08-23 2018-10-30 Robosport Technologies LLC Robotic batting tee system
USD839979S1 (en) * 2017-10-23 2019-02-05 John H. Tepe Reversible baseball training plate
US10639533B2 (en) 2018-02-23 2020-05-05 Robosport Technologies LLC Robotic batting tee system having a rollable neck
US11027185B1 (en) 2020-09-04 2021-06-08 Robosport Technologies, Llc Robotic batting tee system
US11541293B1 (en) * 2022-09-10 2023-01-03 Gerardo Montesino Pinera Batting te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39282A (en) * 1962-11-20 1964-06-30 Leon A Lande Multiple batting tee
US4227691A (en) * 1978-09-28 1980-10-14 Lefebvre, Inc. Batting tee
US4709924A (en) * 1984-07-02 1987-12-01 Robert L. Wright Adjustable batting tee
US4664374A (en) * 1986-01-10 1987-05-12 Groves Keith N Adjustable practice batting tee
US4796885A (en) * 1986-06-16 1989-01-10 Wright Robert L Insert for batting tee and method of repairing a batting tee
US4819937A (en) * 1988-07-12 1989-04-11 James Gordon Combined batting tee and strike indicator
US4962924A (en) * 1989-11-24 1990-10-16 James William J Batting tee
US4989866A (en) * 1990-02-05 1991-02-05 Dill David N Adjustable batting tee
US5004234A (en) * 1990-06-06 1991-04-02 Hollis Ray A Adjustable batting te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691Y1 (ko) * 2009-08-24 2012-03-07 김경숙 배팅볼 지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5038A (zh) 1997-03-12
AU2158095A (en) 1995-10-30
AU680756B2 (en) 1997-08-07
CA2186240C (en) 2005-01-25
US5388823A (en) 1995-02-14
TW338964U (en) 1998-08-21
WO1995027540A1 (en) 1995-10-19
MX9604571A (es) 1997-12-31
CN1078085C (zh) 2002-01-23
KR970702092A (ko) 1997-05-13
JPH10502260A (ja) 1998-03-03
CA2186240A1 (en) 1995-10-19
JP3592716B2 (ja) 2004-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5279B1 (ko) 조절가능한야구배팅티
US4681318A (en) Ball hitting practice device
US6666781B1 (en) Baseball training device
US4830371A (en) Ball hitting practice device
US8535178B2 (en) Batting tee system for bat-and-ball games
US5238251A (en) Volleyball training and monitoring apparatus
US5897444A (en) Ball support batting tee
US8568254B2 (en) Batting tee system for bat-and-ball games
US6461255B1 (en) Powertube
US8696485B2 (en) Golf plane training devices
US8088027B2 (en) Swing training device
US20080146383A1 (en) Golf Tee and Adapter
US20110077109A1 (en) Ball swinging training device
US4407503A (en) Golf practice device
US5375836A (en) Sports training equipment
US7641573B2 (en) Articulating batting tee
US5433445A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US5951413A (en) Practice batting tee and a method thereof
US9623312B2 (en) Tennis training aids
US4786057A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US4040633A (en) Golf swing training machine
KR100991487B1 (ko) 골프 스윙자세 교정장치
US6863059B1 (en) Three-axis adjustment ball pitching machine
KR200400777Y1 (ko) 휴대용 골프 스윙 연습기
KR200259041Y1 (ko) 골프자세 교정 및 연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