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5054B1 - 상토일괄조제기 - Google Patents
상토일괄조제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45054B1 KR100345054B1 KR1020000025114A KR20000025114A KR100345054B1 KR 100345054 B1 KR100345054 B1 KR 100345054B1 KR 1020000025114 A KR1020000025114 A KR 1020000025114A KR 20000025114 A KR20000025114 A KR 20000025114A KR 100345054 B1 KR100345054 B1 KR 1003450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il
- hopper
- pulley
- separating member
- rotating shaft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Fertiliz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질의 상토를 조제하기 위하여 흙을 분쇄하고, 벼의 성장에 필요한 비료나 약품을 투입하는 상토 일괄 조제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상토 일괄 조제기는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한 본체의 일측단부에서 고정되어 흙이 투입되는 제1 호퍼와, 상기한 제1 호퍼가 설치되는 본체의 반대쪽에 설치되는 배출구와, 상기한 본체의 내부에서 배출구와 제1 호퍼 사이에 소정의 각으로 기울어져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분리부재와, 상기한 분리부재의 중심에서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한 회전축 일측단부에 형성되어 제1 호퍼로 투입되는 흙을 분쇄하는 제1 분쇄날과, 상기한 제1 분쇄날이 일측단부에 형성된 회전축에서 회전축과 직각되게 고정되는 제2 분쇄날과, 상기한 회전축과 분리부재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클러치와, 상기한 분리부재에서 선별된 흙을 섞으면서 이송시키는 혼합이송부재와, 분리부재에서 낙하되는 상토를 안내하는 제2 호퍼와, 상기한 제2 호퍼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낙하 감지부재와, 상기한 혼합이송부재의 상부에 형성되어 낙하 감지부재에 감지되는 양에 따라 첨가제 투입구로 첨가제를 배출시키는 첨가제 보관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양육묘를 하기 위하여 못자리에 사용되는 양질의 상토를 조제하기 위하여 흙을 분쇄하고, 벼의 성장에 필요한 비료와 도열병이나 입고병 등을 방지하기 위한 토양소독재 및 산도(PH)조정재를 투입하는 상토 일괄 조제기에 관한 것이다.
모판에 사용되고 있는 흙인 상토는 배수성과 보수성을 동시에 지닌 적당한 굵기(5mm 채의 눈)입자를 지닌 양질의 상토만을 사용해야 모판에서 자라는 벼의 성장이 좋아지기 때문에 지면에 덩어리로 뭉쳐저 있는 상토를 삽이나 중장비로 퍼올려 덩어리로 형성된 상토를 삽이나 발로 밟아 덩어리를 해체하고 삽을 이용하여 채로쳐 고운입자로 형성된 양질의 상토는 채를 통과해 반대쪽으로 빠져나가게 하고 채를 통과하지 못한 덩어리는 채의 하부로 떨어지게 하여 다시 채를 통과시키거나 폐기하고, 채를 통과한 양질의 상토는 다시 모아 벼의 성장에 필요한 비료나 요소 또는 병충해를 막기 위한 약품이나 토양살균제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모판에 사용되는 상토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방법은 사람의 수작업으로 상토를 채에걸러 양질의 상토를 분리해야만하기 때문에 인력이 많이 필요로 소모되고 있으나, 최근 농촌인구의 노령화와 부족한 인력을 가중시켜 농가에 부담이 커지고 있으며, 채로 걸러진 상토에 다시 첨가제나 약품을 첨가하여 혼합하여야 하나 약품의 양을 정확히 측정하지 못하고 사용자가 임의로 첨가제의 양을 조절해서 혼합하기 때문에 상토에 일정하게 혼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번에 많은 양질의 상토를 자동으로 걸르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토의 양에 따라 혼합되는 첨가제의 양을 조절하여 일정한 양의 첨가제가 상토에 혼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상토 일괄 조제기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상토 일괄 조제기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분리부재와 동력전달방법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단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클러치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낙하 감지부재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낙하 감지부재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혼합이송부재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이 적용되는 상토 일괄 조제기는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에 덮개가 개폐가능하게 고정되는 본체와,
상기한 본체의 일측단부에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흙이 투입되는 제1 호퍼와,
상기한 제1 호퍼가 설치되는 본체의 반대쪽에 설치되어 상기한 제1 호퍼로 투입되는 흙이 배출되는 배출구와,
상기한 본체의 내부에서 배출구와 제1 호퍼 사이에 소정의 각으로 기울어져 회전가능하게 형성되어 제1 호퍼로 투입되는 상토를 분리하는 철망이 둘레에 고정된 분리부재와,
상기한 분리부재의 중심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한 회전축에서 제1 호퍼쪽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의 단부에 형성되어 제1 호퍼로 투입되는 흙을 분쇄하는 제1 분쇄날과,
상기한 제1 분쇄날이 일측단부에 형성된 회전축에서 분리부재에 고정된 철망부분에 회전축과 직각되게 고정되는 고정구에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분쇄날에의하여 제1ㅍ분쇄날로 1차 분쇄된 흙을 다시 분쇄하는 제2 분쇄날과,
상기한 제1 분쇄날과 제2 분쇄날이 형성된 회전축과 분리부재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클러치와,
상기한 분리부재에서 선별되어 낙하하는 흙을 섞으면서 이송시키는 혼합이송부재와,
분리부재에서 낙하되는 상토를 상기한 혼합이송부재로 안내하는 제2 호퍼와,
상기한 제2 호퍼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낙하하는 흙의 양을 감지하는 다수개의 낙하 감지부재와,
상기한 혼합이송부재의 상부에 형성되어 낙하 감지부재에 감지되는 양에 따라 첨가제 투입구로 첨가제를 배출시키는 첨가제 보관함을 포함한다.
회전축과 분리부재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클러치는,
분리부재와 회전축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제2 풀리와,
동력발생장치에 직접연결되는 제1 풀리와,
상기한 제1 풀리와 제2 풀리를 느슨하게 연결하는 제1 밸트와,
제1 풀리와 제2 풀리에 느슨하게 연결된 제1 밸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구를 구비한다.
제2 호퍼로 낙하하는 흙의 낙하량을 감지하는 낙하 감지부재는,
낙하하는 상토를 감지하며 흙이 떨어지는 쪽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감지봉과,
상기한 감지봉이 힌지로 연결되어 낙하하는 흙에 의해서 감지봉이 회전되는것을 감지하는 콘트롤부와,
상기한 콘트롤부에 힌지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감지봉이 낙하하는 흙에 의하여 회전되었을 때 감지봉을 원위치 시키는 균형추를 구비한다.
낙하하는 흙을 섞으면서 이송시키는 혼합이송부재는,
상기한 혼합이송부재 내부에서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이송축과,
상기한 이송축에 다수개 형성되어 상토와 첨가제를 섞으면서 이송시키는 이송날을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상토 일괄 조제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상토 일괄 조제기의 일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1)의 상부에 덮개가 회전되며 개폐가능하게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한 본체(1)의 일측에는 상토를 투입하는 제1 호퍼(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본체(1)는 트럭이나 자체내에 이동수단을 구비할 수 있지만 콤바인에 설치되어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제1 호퍼(11)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1)의 반대쪽에는 제1 호퍼(1)로 투입되는 상토의 덩어리가 배출되는 배출구(12)를 형성한다.
상기한 제1 호퍼(11)와 배출구(12)가 양측면에 대응되게 형성된 본체(1)의 내부에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제1 호퍼(11)와 배출구(12) 사이에는 제1 호퍼(11)로 투입되는 상토를 양질의 상토와 덩어리진 상토로 분리하는 철망(21)이둘레를 감싸고 있는 분리부재(2)를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본체(1)의 내부에서 제1 호퍼(11)와 배출구(12) 사이에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분리부재(2)는 본체(1)에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배출구(12)쪽에는 분리부재(2)의 둘레를 감싸는 체인(22)이 형성되며, 상기한 체인(22)은 스프로킷(47)의 동력을 받아 분리부재(2)를 회전시키며 스프로킷(47)은 제6 풀리(46)와 고정된다.
상기한 분리부재(2)의 기울기는 제1 호퍼(11)로 투입되는 상토가 회전하는 분리부재(2)를 통하여 배출구(12)로 천천히 밀려서 진행할 수 있는 정도의 기울기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분리부재(2)는 상토가 제1 호퍼(11)에서 투입되어 배출구(12)쪽으로 원활히 이동되기 위하여 원통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체(1) 내부에서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분리부재(2)의 중앙에는 분리부재(2)와 동일한 기울기로 기울어져 분리부재(2)와 같이 회전하는 회전축(3)을 형성한다.
상기한 분리부재(2)의 중심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축(3)의 제1 호퍼(11)쪽에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호퍼(11)에 투입되는 상토의 덩어리를 분리부재(2)로 들어가기 전에 분쇄하는 제1 분쇄날(31)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제1 호퍼(11)로 투입되는 상토를 분리부재(2)의 입구에서 분쇄하는 제1 분쇄날(31)이 형성된 회전축(3)에는 분리부재(2)의 철망(21)이 위치된 부분에 고정구(32)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 분쇄날(33)을 다수개 형성한다.
상기한 제2 분쇄날(33)은 회전축(3)의 길이방향에서 등간격으로 형성하며 회전축(3)에 일체로 고정되는 고정구(32)에 힌지로 제2 분쇄날(33)을 고정하여 돌이나 단단한 이물질에 제2 분쇄날(33)이 걸리면 회전되도록 하여 파손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제2 분쇄날(33)이 중앙에 형성되고 일측단부에 제1 분쇄날(31)이 형성된 회전축(3)의 제1 분쇄날(31) 반대쪽에는 제5 풀리(45)가 고정된다.
상기한 분리부재(2)의 체인(22)을 구동하는 스프로킷(47)이 고정된 제6 풀리(46)와 회전축(3)의 일측단부에 고정된 제5 풀리(45)는 도 1 및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에 형성된 제4 풀리(44)에 제3 밸트(53)와 제4 밸트(54)로 연결되어 제4 풀리(44)의 동력에 의하여 분리부재(2)와 회전축(3)이 회전한다.
상기한 제5 풀리(45)와 제6 풀리(46)를 구동하는 제4 풀리(44)는 모터 등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차단 및 연결하는 클러치(4)의 동력이 연결되는 제3 풀리(43)와 연결한다.
상기한 제3 풀리(43)에 동력을 전달하는 클러치(4)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등의 동력을 직접 전달받는(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제1 풀리(41)와 상기한 제1 풀리(41)의 동력을 제1 밸트(51)로 연결되는 제2 풀리(42)로 형성되며, 상기한 제2 풀리(42)는 제3 풀리(43)와 제2 밸트(52)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동력이 전달된다.
상기한 제1 풀리(41)에 전달되는 동력은 본체(1)에 모터를 구비하여 사용하거나 경운기의 동력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도 있지만, 콤바인 자체에서 발생되는동력을 제1 풀리(41)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콤바인 자체동력을 사용하면 별도의 모터 구입비나 경운기 등이 불필요하다.
상기한 제1 풀리(41)와 제2 풀리(42)를 연결하는 제1 밸트(51)는 느슨하게 연결되어 평상시에는 동력이 제2 풀리(42)로 전달되지 않으며, 동력을 연결하여 양질의 상토를 분리할 때는 와이어(49)와 연결된 손잡이(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을 당겨 와이어(49)와 연결된 장력조절구(48)를 제1 밸트(51)쪽으로 당겨 제1 밸트(51)가 제1 풀리(41)와 제2 풀리(42)에서 당겨져 접촉면이 많아지면서 제1 풀리(41)의 동력을 제2 풀리(42)로 연결한다.
상기와 같은 동력에 의해서 회전하는 분리부재(2)의 하부에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부재(2)에서 분리된 양질의 상토가 하부로 낙하되는 것을 모아서 안내하는 제2 호퍼(13)를 형성한다.
상기한 분리부재(2)의 철망(21)에서 걸러져 낙하되는 양질의 상토가 제2 호퍼(13)로 낙하될때 낙하되는 양을 감지하는 낙하 감지부재(6)를 제2 호퍼(13)의 단부에 다수개 형성한다.
상기한 분리부재(2)에서 제2 호퍼(13)로 낙하되는 양질의 상토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호퍼(13)의 한쪽면을 따라 낙하되기 때문에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제2 호퍼(13)의 단부에 고정된 낙하 감지부재(6)에 낙하되는 상토가 양에따라 낙하 감지부재(6)를 통과하는 갯수가 많아진다.
상기한 상토의 양에 따라 통과되는 낙하 감지부재(6)는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토가 낙하되면서 접촉되는 감지봉(61)이 힌지(63)에 의해서 낙하 감지부재(6)의 콘트롤부(6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낙하하는 상토의 무게에 의해서 감지봉(61)이 상토가 낙하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한 감지봉(61)의 회전은 낙하 감지부재(6)의 콘트롤부(62)에서 감지한다.
상기와 같이 낙하하는 상토에 의해서 회전하는 감지봉(61)에서 힌지(63)를 중심으로 상토가 낙하되면서 접촉되는 반대쪽에는 균형추(64)를 형성하여 콘트롤부(62)에 고정된 힌지(63)를 중심으로 감지봉(61)이 상토가 낙하되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토가 낙하하지 않으면 균형추(64)의 무게에 의해서 감지봉(61)이 힌지(63)를 중심으로 무게에 의하여 회전하여 다시 수평으로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제2 호퍼(13)의 단부에 고정되는 낙하 감지부재(6)를 통과하면서 낙하되는 상토는 상기한 제2 호퍼(13)의 하부에 형성되는 혼합이송부재(7)로 떨어진다.
상기한 제2 호퍼(13)에서 혼합이송부재(7)로 낙하되는 상토는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혼합이송부재(7)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되어 이송축(71)의 이송날(72)에 의해서 혼합되면서 혼합이송부재(7)의 일측으로 이송된다.
상기한 본체(1)의 내부에 일정한 기울기로 경사지게 형성된 분리부재(2)의 철망(21)에서 걸러진 양질의 상토가 제2 호퍼(13)를 통해 혼합이송부재(7)에 낙하되며, 상기한 혼합이송부재(7)에 낙하된 양질의 상토는 이송축(71)에 의해서 일측으로 이송될때 상기한 혼합이송부재(7)의 상부에는 상토에 첨가되는 살충제나 토양살균제 및 비료와 같이 벼의 성장에 도움을 주는 첨가제가 보관되어 있는 첨가제 보관함(8)이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첨가제보관함(8)에 보관되는 첨가제는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첨가제 투입구(81)를 통하여 혼합이송부재(7)로 낙하되어 혼합이송부재(7)의 이송축(71)에 형성된 이송날(72)에 의해서 상토와 혼합되면서 혼합이송부재(7)의 일측으로 이송된다.
상기와 같이 혼합이송부재(7)로 낙하되는 첨가제의 양은 제2 호퍼(13)의 단부에 형성된 낙하 낙하 감지부재(6)의 감지수에 따라 첨가제의 낙하량이 결정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원터치식으로 본체(1)에 고정하여 해체 및 조립이 쉽워 부품의 교체 및 수리가 쉽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상토 일괄 조제기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상토를 조제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본체(1)에 형성된 클러치(4)의 장력조절구(48)에 형성된 와이어(49)와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를 당겨 장력조절구(48)가 제1 풀리(41)와 제2 풀리(42)를 연결하는 제1 밸트(51)의 장력을 조절하여 동력이 제1 풀리(41)에서 제1 밸트(51)를 통해 제2 풀리(42)로 전달된다.
상기와 같이 제2 풀리(42)로 전달되는 동력을 다시 제3 풀리(43)로 제2 밸트(52)를 통해 전달되며, 상기한 제3 풀리(43)와 동일선상에 형성된 제4 풀리(44)는 제3 풀리(43)와 같이 회전한다.
제1 풀리(41)의 동력을 클러치(4)로 연결하여 제2 풀리(42)와 제3 풀리(43) 및 제4 풀리(44)로 전달되는 동력은 제4 풀리(44)와 제3 밸트(53) 및 제4 밸트(54)로 연결된 제5 풀리(45) 및 제6 풀리(46)로 연결된다.
상기한 동력을 전달받는 제5 풀리(45)에는 제1 분쇄날(31)과 제2 분쇄날(33)이 형성된 회전축(3)을 회전시키고, 제6 풀리(46)는 상기한 제6 풀리(6)와 동일선상에 형성된 스크로킷(47)을 회전시키며, 상기한 스프로킷(47)은 분리부재(2)에 형성된 체인(22)을 회전시키므로 제6 풀리(46)에 의하여 분리부재(2)가 회전한다.
상기와 같이 분리부재(2)와 회전축(3)이 회전하면 상토를 조제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삽이나 중장비를 이용하여 지면에 덩어리로 형성되어 있는 상토를 본체(1)의 일측에 형성된 제1 호퍼(11)로 투입한다.
상기와 같이 제1 호퍼(11)로 투입되는 상토는 회전축(3)의 일측단부에 형성된 제1 분쇄날(31)에 의해서 1차로 분쇄되어 분리부재(2)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제1 분쇄날(31)에 의해서 분쇄된 상토는 일정한 기울기로 경사진 분리부재(2)의 경사면을 따라 제1 호퍼(11)쪽에서 배출구(12)쪽으로 이동된다.
상기와 같이 분리부재(2)의 경사면을 따라 배출구(12)쪽으로 이동되는 상토는 분리부재(2)의 둘레에 형성된 철망(21) 부분에서 회전축(3)에 형성된 다수개의 제2 분쇄날(33)로 분쇄되면서 계속 이동되며, 상기와 같이 이동되면서 입자가 고운 양질의 상토는 분리부재(2)의 철망(21)을 통해 분리부재(2)의 하부로 낙하되며, 상기한 분리부재(2)의 철망(21)의 간격보다 큰 입자를 가진 상토는 분리부재(2)의 경사면을 따라 진행하여 배출구(12)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분리부재(2)의 철망(21)에서 낙하되는 입자가 고운 양질의 상토는 제2 호퍼(13)로 안내되어 혼합이송부재(7)로 떨어진다.
상기와 같이 제2 호퍼(13)에서 혼합이송부재(7)로 양질의 상토가 낙하될 때 상토의 무게에 의해서 다수개로 형성된 낙하 감지부재(6)의 감지봉(61)이 상토가낙하되는 방향으로 터치되면서 회전되며, 상기한 감지봉(61)의 회전을 콘트롤부(62)에서 감지하여 감지되는 낙하 감지부재(6)의 갯수에 따라 상토에 첨가되는 첨가제의 양을 첨가제 보관함(8)에서 조절하여 첨가제 투입구(81)로 첨가한다.
상기와 같이 제2 호퍼(13)의 단부에 형성된 낙하 감지부재(6)에 의해서 감지되며, 떨어지는 상토는 혼합이송부재(7)에 형성된 이송축(71)의 이송날(72)로 혼합되면 혼합이송부재(7)의 일측으로 이송되며, 상기와 같이 이송되는 중간에 낙하 감지부(6)의 콘트롤부(62)에 의해서 첨가제 보관함(8)에 보관되어 있는 첨가제가 첨가제 투입구(81)를 통하여 적당한 양을 혼합이송부재(7)로 첨가하여 이송축(71)이 이송날(72)에 의해 혼합되면서 이송된다.
상기와 같이 상토를 분리하고 벼의 성장에 필요한 첨가제를 첨가한 양질의 상토는 혼합이송부재의 일측으로 배출되며, 상기와 같이 배출된 양질의 상토는 모판에 사용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상토 일괄 조제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본 발명은 양질의 상토를 자동으로 선별하여 부족한 농가의 일손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체를 농번기가 끝난 콤바인에 설치하여 운반 및 동력을 전달받아 사용할 수 있어 별도의 동력이 구입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구입비가 저렴해지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체의 일측에 고정되는 클러치에 의해서 작업을 할때는 콤바인의 동력을 연결하고, 사용하지 않을때는 동력을 차단하여 효과적으로 작업을 할 수 있는것이다.
본 발명은 부품을 본체에 원터식으로 고정하여 조립과 분해가 용이하며, 수리 및 교체가 편리한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토의 양을 낙하 감지부재로 감지하여 자동으로 일정량의 첨가제를 투입하여 혼합하기 때문에 별도로 첨가제를 투입하는 공정을 줄이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첨가제와 상토를 자동으로 혼합하면서 이송하기 때문에 별도로 혼합하는 작업공정을 단축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4)
-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에 덮개가 개폐가능하게 고정되는 본체와,상기한 본체의 일측단부에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흙이 투입되는 제1 호퍼와,상기한 제1 호퍼가 설치되는 본체의 반대쪽에 설치되어 상기한 제1 호퍼로 투입되는 흙이 배출되는 배출구와,상기한 본체의 내부에서 배출구와 제1 호퍼 사이에 소정의 각으로 기울어져 회전가능하게 형성되어 제1 호퍼로 투입되는 상토를 분리하는 철망이 둘레에 고정된 분리부재와,상기한 분리부재의 중심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회전하는 회전축과,상기한 회전축에서 제1 호퍼쪽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의 단부에 형성되어 제1 호퍼로 투입되는 흙을 분쇄하는 제1 분쇄날과,상기한 제1 분쇄날이 일측단부에 형성된 회전축에서 분리부재에 고정된 철망부분에 회전축과 직각되게 고정되는 고정구에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분쇄날에 의하여 제1 분쇄날로 1차 분쇄된 흙을 다시 분쇄하는 제2 분쇄날과,상기한 제1 분쇄날과 제2 분쇄날이 형성된 회전축과 분리부재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클러치와,상기한 분리부재에서 선별되어 낙하하는 흙을 섞으면서 이송시키는 혼합이송부재와,분리부재에서 낙하되는 상토를 상기한 혼합이송부재로 안내하는 제2 호퍼와,상기한 제2 호퍼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낙하하는 흙의 양을 감지하는 다수개의 낙하 감지부재와,상기한 혼합이송부재의 상부에 형성되어 낙하 감지부재에 감지되는 양에 따라 첨가제 투입구로 첨가제를 배출시키는 첨가제 보관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토 일괄 조제기.
- 제 1항에 있어서, 회전축과 분리부재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클러치는,분리부재와 회전축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제2 풀리와,동력발생장치에 직접연결되는 제1 풀리와,상기한 제1 풀리와 제2 풀리를 느슨하게 연결하는 제1 밸트와,제1 풀리와 제2 풀리에 느슨하게 연결된 제1 밸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토 일괄 조제기.
- 제 1항에 있어서, 제2 호퍼로 낙하하는 흙의 낙하량을 감지하는 낙하 감지부재는,낙하하는 상토를 감지하며 흙이 떨어지는 쪽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감지봉과,상기한 감지봉이 힌지로 연결되어 낙하하는 흙에 의해서 감지봉이 회전되는 것을 감지하는 콘트롤부와,상기한 콘트롤부에 힌지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감지봉이 낙하하는 흙에 의하여 회전되었을 때 감지봉을 원위치 시키는 균형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토 일괄 조제기.
- 제 1항에 있어서, 낙하하는 흙을 섞으면서 이송시키는 혼합이송부재는,상기한 혼합이송부재 내부에서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이송축과,상기한 이송축에 다수개 형성되어 상토와 첨가제를 섞으면서 이송시키는 이송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토 일괄 조제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25114A KR100345054B1 (ko) | 2000-05-10 | 2000-05-10 | 상토일괄조제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25114A KR100345054B1 (ko) | 2000-05-10 | 2000-05-10 | 상토일괄조제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103513A KR20010103513A (ko) | 2001-11-23 |
KR100345054B1 true KR100345054B1 (ko) | 2002-07-20 |
Family
ID=45809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25114A KR100345054B1 (ko) | 2000-05-10 | 2000-05-10 | 상토일괄조제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34505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42777A (ko) * | 2001-11-23 | 2003-06-02 | 송용우 | 모래겸 상토 자동제조기 |
-
2000
- 2000-05-10 KR KR1020000025114A patent/KR10034505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103513A (ko) | 2001-11-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082188A (en) | Apparatus for processing material | |
US20020151336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harvesting crops | |
US5386943A (en) | All purpose V-shaped manure spreader | |
US5661961A (en) | Crop processor for round hay balers | |
CN111108833B (zh) | 一种用于农业生产的自动高效播种机 | |
US6199781B1 (en) | Animal feed processor | |
KR101702448B1 (ko) | 정량복토 기능을 갖는 건답용 피복 직파장치 | |
US6863433B2 (en) | Auger with forward angled leading edge | |
KR101573892B1 (ko) | 억새 분쇄물의 크기조절이 가능한 연속식 분쇄장치 | |
US3642254A (en) | Means for conveying, discharging and mixing livestock feeds | |
KR100345054B1 (ko) | 상토일괄조제기 | |
CN103814678B (zh) | 一种联合收割机的集粮卸粮装置及具有该装置的联合收割机 | |
EP3772893A2 (de) | Ballenauflöser und ballenauflöseverfahren | |
WO2010003012A2 (en) | System for distributing poultry litter below the soil surface | |
CN209597396U (zh) | 履带式有机肥翻拋、筛分、破碎、包装一体机 | |
RU2275005C1 (ru) | Измельчитель-смеситель-раздатчик стебельчатых кормов в рулонах и концентрированных кормов | |
CN203748254U (zh) | 一种联合收割机的集粮卸粮装置和具有该装置的联合收割机 | |
CA2311261C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harvesting crops | |
KR100259320B1 (ko) | 못자리용 상토장치 | |
KR101458765B1 (ko) | 조사료 절단, 압축 및 결속장치의 절단 커터 | |
KR200249489Y1 (ko) | 다기능 퇴비트레일러 | |
CA2282895C (en) | Animal feed processor | |
DE69914039T2 (de) | Verteilmaschine | |
CN203851483U (zh) | 一种联合收割机的集粮卸粮装置及具有该装置的联合收割机 | |
CN103828539B (zh) | 一种联合收割机的集粮卸粮装置及具有该装置的联合收割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