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3505B1 - 조립식 커먼단자대 - Google Patents

조립식 커먼단자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3505B1
KR100343505B1 KR1019990011768A KR19990011768A KR100343505B1 KR 100343505 B1 KR100343505 B1 KR 100343505B1 KR 1019990011768 A KR1019990011768 A KR 1019990011768A KR 19990011768 A KR19990011768 A KR 19990011768A KR 100343505 B1 KR100343505 B1 KR 100343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lock
contact
common terminal
main body
block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1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5461A (ko
Inventor
윤흥식
Original Assignee
윤흥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흥식 filed Critical 윤흥식
Priority to KR1019990011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3505B1/ko
Publication of KR20000065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5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3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35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16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wires or cables connected to terminal b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든 단자대 본체를 관통하여 접속되는 접점부를 일체형으로하여 접촉저항을 줄임과 동시에 단자대 설치를 간편하게 하고 접점의 신뢰성을 높인 조립식 커먼단자대에 관한 것으로, 인입선(IP)과 인출선(OP1,OP2,…,OPn,OP11,OP12,…,OP1n)에 각각 접촉되는 복수의 접점부(F1,F2,…,Fn)를 갖는 조립식 커먼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접점부(F1,F2,…,Fn)들을 일체로 형성하여 일체형접점(200)을 구비하고, 단자대 본체(T1,T2,…,Tn)에는 상기 일체형접점(200)을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홀 (H1,H2,…,Hn)을 형성하여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커먼단자대{fold-up common terminal block}
본 발명은 조립식 커먼단자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든 단자대 본체를 관통하여 접속되는 접점부를 일체형으로하여 접촉저항을 줄임과 동시에 단자대 설치를 간편하게 하고 접점의 신뢰성을 높인 조립식 커먼단자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커먼단자대는 조립식으로하여 접점개수를 필요에 따라 늘릴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인입선으로부터 여러곳의 인출선으로 분배하는데 사용된다.
위와 같은 종래의 조립식 커먼단자대 중에 케이지 클램프방식으로 된 것이 있는데, 이를 첨부도면 도1에 나타내고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대 본체(10)의 양측에 두 개씩 형성된 해제용 구멍 (11)(12)(13)(14)으로 봉상의 공구(도시 안됨)를 삽입하게 되면, 단자대 본체(10)의 내부 양측에 두 개씩 설치되는 "α"자 형태로 엇갈리도록 형성되어 있는 탄성접점(21)(22)(23)(24)의 구멍(21a)(22a)(23a)(24a)을 확대한 후 단자대 본체(10)의 도선삽입홀(25)(26)(27)(28)로 도선(30)(32)의 심선(30a)(32a)을 삽입한 다음 봉상의 공구를 제거하게 되면, 탄성접점(21)(22)(23)(24)이 자체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복원되면서 도선(30)(32)의 심선(30a)(32a) 부분을 압박하여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케이지 클램프 방식으로 된 조립식 커먼단자대를 이용하여 일체형접점을 만드는 경우 첨부도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대 본체(10)를 옆으로 적층한 다음 이 단자대 본체(10)에 형성된 도선삽입홀(28)과 인접하는 다른 단자대 본체(40)에 형성되어 있는 도선삽입홀(46)로 양각(兩脚)을 갖는 점퍼 (J1,J2,…,Jn)를 양측에 걸치는 형태로 삽입하여 접점간을 단락(短絡)시킨 후에 단자대 본체(10)의 일측에 인입선(55)을 접속한 다음 반대편의 도선삽입홀 (48)에 다수의 인출선(56)을 각각 접속하게 되는데, 이는 인입선(55)으로부터 인출선(56) (58)까지 다수의 접점을 거치면서 직렬로 연결되는 방식으로 되어 있으므로, 접점간의 접촉저항이 누적되면서 접촉저항이 증대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는 전류용량의 저하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즉, 첨부도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된 단자대 본체의 수가 여러개인 경우 부호 부호 10으로 표기된 첫 번째 단자대 본체에 접속되어 있는 인입선(55)으로부터 부호 15로 표기된 맨 마지막의 단자대 본체에 접속되어 있는 인출선(58)로 흐르는 전류는 중간에 위치한 단자대 본체(40,…,49) 내의 접점을 비롯하여 이들을 연결하고 있는 다수의 점퍼(J1,J2,…,Jn)를 모두 직렬로 거치면서 도면중 파선 PL1으로 나타낸 통전경로를 형성하게 되므로, 단자대 본체의 접속개수를 늘리게 되면, 그 만큼 접속점이 증가되며, 이들에 의한 접촉저항의 누적으로 전류용량이 현저하게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의 케이지 클램프방식으로 된 조립식 커먼단자대는 인입선(55)으로부터 인출선(58)까지 여러개소의 접촉점이 직렬로 배열되는 형태로 연결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단자대 본체(10)(15)의 접속개수를 무한정 늘리지 못하고 접속개수(실용상 2∼10쪽까지 제한 됨)에 제한이 있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편, 첨부도면 도4 및 도5는 볼트조립방식으로 된 조립식 커먼단자대의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개방되어 일정한 방향으로 적층하여 조립하는 결합면적층형 단자대 본체(70)와, 상기 단자대 본체(70)의 양쪽 내측에 위치된 힌지핀(71)(72)에 회동운동이 자유롭도록 설치되는 역지편 (73)(74)과, 상기 역지편(73)(74)의 자유단 사이에 위치되어 이들과 접촉하거나 떨어지는 고정접점(75)과, 상기 역지편(73)(74)과 상기 단자대 본체(70)와의 사이에서 각각 반발하여 역지편(73)(74)을 상기 고정접점(75)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76) (77)과, 상기 역지편(73)(74)에 압력을 가하여 역지편(73)(74)과 고정접점(75)을 이격시키는 버튼(78)(79)과, 상기 적층된 맨 마지막 단자대 본체(70)의 개방된 끝부분에 부착되는 엔드플레이트(80)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리고, 상기 접점부(75)의 중앙에는 너트(82)를 고정하기 위한 연결편(75a)이 상측으로 절곡되어 있었으며, 이 연결편(75a)의 밑으로 너트(82)를 위치시킨 다음, 연결편(75a)의 상면에는 일렬로 연결되어 있는 역(逆) "U"자 모양의 일체형접점 (90)을 위에 얹고 이들을 일일이 볼트(92)로 조여서 조립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볼트조립방식으로 된 종래의 조립식 커먼단자대는 볼트 (92)와 너트(82)를 이용하여 조립하도록 구성되어 있었으므로, 조립작업이 매우 번거롭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으며, 외진에 의해 어느 한 곳의 볼트(92) 결합이 느슨해지는 경우 느슨해진 부분에서 접촉저항이 급격하게 증대되면서 과열되어 녹거나 화재발생 등의 막대한 재산상의 피해를 입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볼트(92)를 이용한 체결방식이기 때문에 작업자의 실수에 의한 접속불량의 확율이 높게 되며, 특히 첨부도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하지 않은 일체형접점(90)의 하단부 끝부분이 연결편(75a)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었으므로, 볼트(92)에 의해 강하게 체결되더라도 이 부분이 점접촉 또는 선접촉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접촉저항을 감소시키기 어렵다는 한계에 부딪치게 되었다.
도4 및 도5에서 미설명 부호 100은 커버를 나타낸 것이고, 102는 채널을 나타낸 것이며, 104는 브라켓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인입선으로부터 인출선까지의 접촉점을 줄임으로써 접촉저항을 보다 감소시킬 수 있고, 일체형접점의 저항을 무시한 상태에서 이론상 단자대 본체의 접속개수를 무한정 늘려도 인입선으로부터 인출선까지의 접촉저항이 더 이상 증가되지 않으며, 부품수를 보다 감소시킴으로써 조립을 간편하게 할 수 있고, 동시에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조립식 커먼단자대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인입선과 인출선에 각각 접촉되는 복수의 접점부를 갖는 조립식 커먼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접점부들을 일체로 형성하여 일체형접점을 구비하고, 단자대 본체에는 상기 일체형접점을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홀을 형성하여 조립식 커먼단자대가 제공된다.
도 1 은 종래 케이지 클램프 방식으로 된 조립식 커먼단자대가 단체로 떨어진 상태를 보이는 사시도
도 2 는 종래 케이지 클램프 방식으로 된 조립식 커먼단자대가 조립된 상태를 보이는 사시도
도 3 은 종래 볼트체결방식으로 된 조립식 커먼단자대의 통전경로를 보이는 회로도
도 4 는 종래 볼트체결방식으로 된 조립식 커먼단자대가 단체로 떨어진 상태를 보이는 분해사시도
도 5 는 종래 볼트체결방식으로 된 조립식 커먼단자대가 부분조립되어 있는 상태를 보이는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커먼단자대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커먼단자대의 구성을 보이는 배면분해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커먼단자대에 사용되는 일체형접점을 보이는 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커먼단자대에 사용되는 일체형접점의 다른 예를 보이는 사시도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커먼단자대에 사용되는 일체형접점에 의해 전류가 흐르는 경로를 나타낸 회로도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커먼단자대를 보이는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T1,T2,…,Tn : 단자대 본체 P1,P2,…,Pn,P11,P12,…,P1n : 힌지핀
F1,F2,…,Fn : 접점부 S1,S2,…,Sn,S11,S12,…,S1n : 스프링
E : 엔드플레이트 B1,B2,…,Bn,B11,B12,…,B1n : 버튼
200 : 일체형접점 TW1,TW2,…,TWn : 결합면
H1,H2,…,Hn : 관통홀 L1,L2,…,Ln : 절취라인
IP : 인입선 M1,M2,…,Mn,M11,M12,…,M1n : 역지편
OP1,OP2,…,OPn,OP11,OP12,…,OP1n : 인출선
BP1,BP2,…,BPn,BP11,BP12,…,BP1n : 버튼통과홀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6 내지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식 커먼단자대가 일측이 개방되어 일정한 방향으로 적층하여 조립하는 복수의 결합면적층형 단자대 본체(T1,T2,…, Tn)와, 상기 단자대 본체(T1,T2,…,Tn)의 양쪽 내측에 각각 위치된 힌지핀(P1,P2,…,Pn)(P11,P12,…,P1n)에 회동운동이 자유롭도록 설치되는역지편(M1,M2,…,Mn) (M11,M12,…,M1n)과, 상기 역지편(M1,M2,…,Mn)(M11,M12,…,M1n)의 자유단 사이에 위치되어 이들과 접촉하거나 떨어지는 접점부(F1,F2,…,Fn)와, 상기 역지편(M1,M2,…,Mn)(M11,M12,…,M1n)과 상기 단자대 본체(T1,T2,…,Tn)와의 사이에서 각각 반발하여 역지편(M1,M2,…,Mn)(M11,M12,…,M1n)을 상기 접점부(F1,F2,…,Fn)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S1,S2,…,Sn)(S11,S12,…,S1n)과, 상기 역지편(M1,M2,…,Mn)(M11,M12,…,M1n)에 압력을 가하여 이 역지편(M1,M2,…,Mn)(M11,M12,…,M1n)과 접점부(F1,F2,…,Fn)간을 이격시키는 버튼(B1,B2,…,Bn)(B11,B12,…,B1n)과, 상기 적층된 맨 마지막 단자대 본체(Tn)의 개방된 끝부분에 부착되는 엔드플레이트(E)로 구성되는 통상의 구조를 가지며 이에 상기 버튼(B1,B2,…,Bn)(B11,B12,…,B1n)이 통과되는 버튼통과홀(BP1,BP2,…,BPn)(BP11,BP12,…,BP1n)을 사이사이에 두고 일체로 형성되는 복수의 접점부 (F1,F2,…,Fn)를 갖는 일체형접점(200)과, 상기 단자대 본체(T1,T2,…,Tn)의 결합면 (TW1,TW2,…,TWn)에 형성되어 상기 일체형접점(200)을 통과시키는 관통홀(H1,H2, …,Hn)로 구성하였다.
상기 일체형접점(200)에 형성된 접점부(F1,F2,…,Fn)의 사이사이에 절취라인 (L1,L2,…,Ln)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일체형접점(200)은 첨부도면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모양은 "V"자 모양으로 형성되며, 일체형접점(200)에 형성되어 있는 접점부(F1,F2,…,Fn)의 양단을 다시 상측으로 절곡하여 단자대 본체(T1,T2,…,Tn)에 걸리는 걸림턱(N1,N2,…,Nn)(N11,N12,…,N1n)을 만든 것이며, 첨부도면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모양을 일자형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다시 그 끝부분을 상측으로 약간 절곡하였다.
상기 여러 접점부(F1,F2,…,Fn) 중에 하나의 접점부(F1,F2,…,Fn)에 인입선(IP)을 접속하고, 나머지 접점부(F1,F2,…,Fn)에는 인출선(OP1,OP2,…,OPn, OP11,OP12,…,OP1n)을 접속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조립식 커먼단자대를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6 내지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대 본체(T1,T2,…,Tn)에 형성된 힌지핀(P1,P2,…,Pn)(P11,P12,…,P1n)에 스프링(S1,S2,…,Sn)(S11,S12,…,S1n)에 의해 지지되는 역지편(M1,M2,…,Mn)(M11,M12,…,M1n)과 버튼(B1,B2,…,Bn)(B11,B12,…,B1n)이 조립된 상태에서 버튼(B1,B2,…,Bn)(B11,B12,…,B1n)에 압력을 가하면서 동시에 단자대 본체(T1,T2,…,Tn)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홀(H1,H2,…,Hn)로 일체형접점(200)을 삽입하게 되면, 일체형접점(20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접점부(F1,F2,…,Fn)가 역지편(M1,M2,…,Mn)(M11,M12,…,M1n)의 자유단과 단자대 본체(T1,T2,…,Tn)에 위치된다.
이때 누르고 있던 버튼(B1,B2,…,Bn)(B11,B12,…,B1n)으로부터 외력을 제거하게 되면, 역지편(M1,M2,…,Mn)(M11,M12,…,M1n)이 일체형접점(200)의접점부(F1,F2, …,Fn) 밑에 접촉된다.
그리고, 접점부(F1,F2,…,Fn)의 양단을 상측으로 절곡하여 형성된 걸림턱(N1,N2,…,Nn)(N11,N12,…,N1n)은 일체형접점(200)이 측방향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다른 단자대 본체(T1,T2,…,Tn)를 앞에서 설명한 방법에 의해 일체형접점(200)의 끝으로부터 끼우게 되면, 단자대 본체(T1,T2,…,Tn) 끼리 측방향으로 적층된다.
한편, 단자대 본체(T1,T2,…,Tn)에 예컨대, 하나의 인입선(IP)이 삽입되어 있고, 복수의 인출선(OP1,OP1,…,OPn)이 접속되어 있는 경우 인입선(IP)으로부터 인출선(OP1,OP1,…,OPn)까지 통전경로는 도10의 도면중 화살표 PL2로 나타낸 바와 같이 단자대 본체(T1,T2,…,Tn)의 접속개수가 늘어나거나 멀고 가까움에 상관없이 항상 접속점이 2개로 고정되므로, 접촉저항이 항상일정하게 되고, 통전전류용량이 증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모든 접점으로 직접접속되는 일체형접점이 아무런 접속수단의 도움 없이 역지편에 직접 접촉되는 일체형으로 되어 있으므로, 접속점이 직렬로 되는 것을 피할 수 있게 되어 접촉저항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통전전류용량을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일체형접점의 고정에 볼트나 너트와 같은 고정체의 도움을 빌리지 않아도 되므로, 부품수가 줄어들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볼트를 조이는 작업이 없어지므로,조립 및 설치가 간편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인입선(IP)과 인출선(OP1, OP2···OPn, OP11, OP12···OP1n)에 각각 접촉되는 복수의 접점부(F1, F2···Fn)가 구비되고, 각 접점부(F1, F2···Fn)들이 일체로 형성되어 일체형 접점(200)을 이루며, 이 일체형 접점(200)이 다수로 분할 가능한 단자대 본체(T1, T2···Tn)에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단자대 본체(T1, T2···Tn)에 일체형 접점(200)을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홀(H1, H2···Hn)을 형성하는 한편, 일체형 접점(200)에 형성된 각 접점부(F1, F2···Fn)의 사이에 절취라인(L1, L2···Ln)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커먼단자대.
  2. 삭제
KR1019990011768A 1999-04-03 1999-04-03 조립식 커먼단자대 KR100343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1768A KR100343505B1 (ko) 1999-04-03 1999-04-03 조립식 커먼단자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1768A KR100343505B1 (ko) 1999-04-03 1999-04-03 조립식 커먼단자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5461A KR20000065461A (ko) 2000-11-15
KR100343505B1 true KR100343505B1 (ko) 2002-07-18

Family

ID=19578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1768A KR100343505B1 (ko) 1999-04-03 1999-04-03 조립식 커먼단자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350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0676U (ko) * 1985-05-20 1986-11-27
JPH01100379A (ja) * 1987-10-09 1989-04-18 Daihatsu Motor Co Ltd エンジンのサージ防止方法
JPH097664A (ja) * 1995-06-21 1997-01-10 Fuji Electric Co Ltd 外線端子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0676U (ko) * 1985-05-20 1986-11-27
JPH01100379A (ja) * 1987-10-09 1989-04-18 Daihatsu Motor Co Ltd エンジンのサージ防止方法
JPH097664A (ja) * 1995-06-21 1997-01-10 Fuji Electric Co Ltd 外線端子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5461A (ko) 2000-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99105A (en) Conductive shroud for electrical connectors
CN114586232B (zh) 用于车辆的电池
KR100556007B1 (ko) 전기도체에 대한 접속단자
KR20110076897A (ko) 터미널 부품
US6719573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US20030040202A1 (en) Interconnect chassis and module
US20050059295A1 (en) Multiport RJ connector
US20040033717A1 (en) Connecting device for connecting electrically a flexible printed board to a circuit board
US5227759A (en) Plug-in fuse
EP0838101A1 (en) Electrical connectors
JPS5983510A (ja) 開閉装置用断路接点機構
CN111211020B (zh) 配电盘的触头组件
US6420655B1 (en) Structure of bus bar assembly for power supply
EP1174311A1 (en) Junction box
GB2268843A (en) A connecting clamp
KR100343505B1 (ko) 조립식 커먼단자대
US6743061B2 (en) Electrical connection or junction device
US6067710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memory card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tacts having a ground terminal
CN111384614B (zh) 端子组件和电源连接器
CN113474949B (zh) 汇流条用连接器
KR102088888B1 (ko) 조인트 커넥터
EP0707325A2 (en) Improved fuse holder assembly having improved fuse clips for mounting on a printed circuit board
CN101345145A (zh) 包括绝缘材料壳体的安装开关装置
US11721918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tacked conductive sheet terminals
US3138417A (en) Intercept strapping brid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3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