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2866B1 - 연마패드 컨디셔닝 방법 - Google Patents

연마패드 컨디셔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2866B1
KR100342866B1 KR1019990014387A KR19990014387A KR100342866B1 KR 100342866 B1 KR100342866 B1 KR 100342866B1 KR 1019990014387 A KR1019990014387 A KR 1019990014387A KR 19990014387 A KR19990014387 A KR 19990014387A KR 100342866 B1 KR100342866 B1 KR 100342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ishing
conditioning
polishing pad
time
wa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4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6948A (ko
Inventor
권병호
권성수
Original Assignee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박종섭
Priority to KR1019990014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2866B1/ko
Publication of KR20000066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6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2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28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3/00Devices or means for dressing or conditioning abrasive surfaces
    • B24B53/017Devices or means for dressing, cleaning or otherwise conditioning lapp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7/00Lapping machines or devices; Accessories
    • B24B37/11Lapping tools
    • B24B37/20Lapping pads for working plane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 Grinding-Machine Dressing And Accessory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연마패드 컨디셔닝방법을 이용하여 연마패드가 쉽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동수단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판에 설치된 연마패드의 다이아몬드 컨디셔닝툴로 연마패드를 컨디셔닝하면서 웨이퍼를 연마할 때, 연마패드의 표면을 펄스 형태의 부분 컨디셔닝하면서 웨이퍼를 연마하는 공정을 진행하므로 연마패드와 컨디셔닝자재의 수명을 2배 이상 늘려주어 화학기계적연마공정의 공정 단가를 현저하게 줄여주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즉, 종래의 풀 타임 연마방식에 비하여 소모품 교체시간을 절반으로 줄여주므로 장비활용시간을 늘려주어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Description

연마패드 컨디셔닝 방법 { Method For Conditioning The Polishing Pad }
본 발명은 CMP용 연마패드 컨디셔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마패드의 표면을 펄스 형태의 부분 컨디셔닝하여 웨이퍼를 연마하는 공정을 진행하므로 연마패드와 컨디셔닝 자재의 수명을 2배 이상 늘려주어 화학기계적연마공정의 공정 단가를 현저하게 줄여주는 연마패드 컨디셔닝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집적회로의 집적도가 증가함과 더불어 다층배선 공정이 실용화됨에 따라, 층간절연막의 글로벌(Global) 평탄화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이런 가운데 새로운 평탄화 기술로서 주목받기 시작한 것이 CMP공정(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Process)이다.
이러한 CMP장비는, 연마패드에 의한 물리적 연마와 연마제에 의한 화학적 연마에 의해서 반도체 기판 상의 구조물 표면을 화학 물리적으로 연마한다. 이 때문에, 당초에는 청정(Clean)도 문제 등 실용성에 의문을 갖기도 했으나, 종래 방법에 비해 수직방향의 형상 제어성이 뛰어나서 실용화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반도체장비 제조업자들도 초고집적 반도체 집적회로의 양산단계에 대응할 수 있는 CMP장비의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CMP공정을 진행하면서 연마패드(Polishing Pad)의 표면에 연마된 물질 혹은 연마된 이물질이 끼게 되는 데 이 이물질등을 제거하여 항상 깨끗한 연마패드 표면을 유지하기 위하여 연마패드 표면을 다이아몬드 디스크등의 컨디셔닝툴로 조금씩 갈아내는 컨디셔닝 (Conditioning)이라고 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 컨디셔닝은 연마패드의 표면을 계속하여 갈아내게 때문에 결과적으로는 연마패드의 두께가 얇아지게 되고 너무 얇아진 연마패드는 더 이상 사용할 수 없어서 교체를 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연마패드 컨디셔너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연마패드 컨디셔너는, 구동수단(10)과, 이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판(20)과, 이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연마패드를 최적화시키는 연마정반(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연마정반(30)에는 연마패드를 최적화하기 위해 하부에 다이아몬드(40)가 형성되어 있다. 이 다이아몬드(40)는 163㎛정도의 크기이다.
그런데, 기존에는 웨이퍼를 연마하면서 계속하여 함께 컨디셔닝(이를 인시튜-컨디셔닝(In-Situ Conditioning)이라 함)을 진행하게 되는 데, 이 처럼 웨이퍼를 연마하는 도중에 계속하여 컨디셔닝을 하게 되면, 웨이퍼의 연마속도와 연마균일도는 유지되지만 결과적으로 연마패드의 수명을 짧게 하고, 사용하는 다이아몬드 디스크의 수명도 짧아지게 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또한, CMP 공정 단가의 40% 이상을 차지하는 연마패드와 다이아몬드 디스크의 수명이 짧아지므로 반도체소자의 제조단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구동수단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판에 설치된 다이아몬드 컨디셔닝툴로 연마패드를 컨디셔닝하면서웨이퍼를 연마할 때, 연마패드의 표면을 펄스 형태의 부분 컨디셔닝하면서 웨이퍼를 연마하는 공정을 진행하므로 연마패드의 수명을 2배 이상 늘려주어 화학기계적연마공정의 공정 단가를 현저하게 줄여주는 것이 목적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연마패드 컨디셔너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고,
도 2(a) 내지 도 2(d)는 일반적인 각종의 컨디셔닝 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각종의 컨디셔닝에 따른 연마속도가 변화하는 상태를 보인 그래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펄스형 부분 컨디셔닝 방식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펄스형 부분 컨디셔닝 방식을 종래의 방식과 비교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구동수단 20 : 회전판
30 : 디스크 40 : 다이아몬드
50 : 연마패드
이러한 목적은 웨이퍼를 연마하는 연마패드를 컨디셔닝하는 컨디셔너에서, 상기 연마패드 컨디셔닝하는 공정은 인시튜방식으로 진행하되, 연마패드의 컨디셔닝시간을 부분적으로 진행하는 부분 컨디셔닝으로 진행하는 연마패드 컨디셔닝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부분 컨디셔닝은 연마공정시간의 절반만 진행하되, 연마공정의 시점과 종점사이의 연마공정시간동안 컨디셔닝을 주기적으로 온(On)/오프(Off)를 반복하는 펄스방식(Pulse Type)으로 진행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연마패드로 웨이퍼를 연마할 때, 연마패드의 연마압력은 5 ∼ 7psi이고, 회전속도는 30 ∼ 50 rpm으로 하며, 연마액의 공급유량은 120 ∼ 200ml/min으로 유지한다.
또한, 상기 연마패드를 컨디셔닝할 때, 디스크의 압력은 5 ∼ 10ℓbs이고, 디스크의 회전속도는 30 ∼ 50 rpm이며, 컨디셔닝 온시간은 8 ∼ 10 초이고, 컨디셔닝 오프시간은 5 ∼ 10 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a) 내지 도 2(d)는 일반적인 각종의 컨디셔닝 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인도면이고, 도 3은 각종의 컨디셔닝에 따른 연마속도가 변화하는 상태를 보인 그래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펄스형 부분 컨디셔닝 방식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펄스형 부분 컨디셔닝 방식을 종래의 방식과 비교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 2(a)는 종래의 방식인 풀타임 컨디셔닝방식(Full Time Conditioning Type)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b)는 3/4 컨디셔닝방식을 보인 도면이며, 도 2(c)는 1/2 컨디셔닝방식을 보인 도면이며, 도 2(d)는 1/4 컨디셔닝방식을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각종의 컨디셔닝에 따른 연마속도가 변화하는 상태를 보인 그래프로서, X축은 연마되는 횟수(Polishing Order)이고, Y축은 연마속도 비율(Normalized Removal Rate)을 나타낸 것으로서, 1/2이상의 컨디셔닝방식을 적용하면, 연마를 진행하면서 연마속도의 변화가 거의 없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컨디셔닝조건을 살펴 보면, 웨이퍼를 연마하는 연마패드를 컨디셔닝하는 컨디셔너에서, 상기 연마패드를 컨디셔닝하는 공정은 인시튜방식(In-Situ Type)으로 진행하되, 연마 공정시간을 부분적으로 진행하는 부분 컨디셔닝으로 진행하도록 한다.
특히, 상기 부분 컨디셔닝은 연마공정시간의 절반만 진행하는 1/2 컨디셔닝방식을 채택하되, 연마공정의 시점과 종점사이의 연마공정시간동안 연마를 주기적으로 온/오프를 반복하는 펄스방식(Pulse Type)으로 진행하도록 한다.
상기 연마패드로 웨이퍼를 연마할 때, 연마패드의 연마압력은 5 ∼ 7psi이고, 회전속도는 30 ∼ 50 rpm으로 하며, 연마액의 공급유량은 120 ∼ 200ml/min으로 유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연마패드를 컨디셔닝할 때, 디스크의 압력은 5 ∼ 10ℓbs이고, 디스크의 회전속도는 30 ∼ 50 rpm이며, 컨디셔닝 온시간은 8 ∼ 10 초이고, 컨디셔닝 오프시간은 5 ∼ 10 초를 유지하여 진행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펄스폭의 주기는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고 단지, 전체적으로 펄스 온/오프 상태가 연마시점으로 부터 연마종점까지 연마공정의 1/2정도를 차지하면 된다.
이것은 연마공정시간에 대하여 정확하게 1/2을 유지하여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풀타임공정시간과 1/2 공정시간사이에 연마공정 시간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지 1/2이 가장 좋은 조건이라 하는 이유는 1/2연마 컨디셔닝 상태에서는 풀타임에 비하여 연마속도에 큰 차이가 없으면서 컨디셔너 및 연마패드의 마모를 가장 줄여줄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마패드 컨디셔닝방법을 이용하게 되면, 구동수단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판에 설치된 다이아몬드 컨디셔닝툴로 연마패드를 컨디셔닝하면서 웨이퍼를 연마할 때, 연마패드의 표면을 펄스 형태의 부분 컨디셔닝하면서 웨이퍼를 연마하는 공정을 진행하므로 연마패드의 수명을 2배 이상 늘려주어 화학기계적연마공정의 공정 단가(20%정도 이상 임)를 현저하게 줄여주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즉, 종래의 풀 타임 연마방식에 비하여 소모품 교체시간을 절반으로 줄여주므로 장비활용시간을 늘려주어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Claims (4)

  1. 웨이퍼를 연마하는 연마패드를 컨디셔닝하는 컨디셔너에 있어서,
    상기 연마패드 컨디셔닝하는 공정은 인시튜방식으로 진행하되, 연마 공정시간을 부분적으로 진행하는 부분 컨디셔닝으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패드 컨디셔닝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컨디셔닝은 연마공정시간의 절반만 진행하되, 연마공정의 시점과 종점사이의 연마공정시간동안 연마를 주기적으로 온/오프를 반복하는 펄스방식으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패드 컨디셔닝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패드로 웨이퍼를 연마할 때, 연마패드의 연마압력은 5 ∼ 7psi이고, 회전속도는 30 ∼ 50 rpm으로 하며, 연마액의 공급유량은 120 ∼ 200ml/min으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패드 컨디셔닝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패드를 컨디셔닝할 때, 디스크의 압력은 5 ∼ 10ℓbs이고, 디스크의 회전속도는 30 ∼ 50 rpm이며, 컨디셔닝 온시간은 8 ∼ 10초이고, 컨디셔닝 오프시간은 5 ∼ 10 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패드 컨디셔닝방법.
KR1019990014387A 1999-04-22 1999-04-22 연마패드 컨디셔닝 방법 KR100342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4387A KR100342866B1 (ko) 1999-04-22 1999-04-22 연마패드 컨디셔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4387A KR100342866B1 (ko) 1999-04-22 1999-04-22 연마패드 컨디셔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6948A KR20000066948A (ko) 2000-11-15
KR100342866B1 true KR100342866B1 (ko) 2002-07-02

Family

ID=19581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4387A KR100342866B1 (ko) 1999-04-22 1999-04-22 연마패드 컨디셔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286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6948A (ko) 2000-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52371B2 (en) Vacuum-assisted pad 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utilizing an apertured conditioning disk
US7544113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forces applied to a vacuum-assisted pad conditioning system
JPH1158217A (ja) 化学的/機械的な研磨装置のための研磨布コンディショナ、化学的/機械的な研磨装置のための研磨布をコンディショニング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半導体ウェーハを研磨するための改良された化学的/機械的な研磨装置
WO1999055493A1 (fr) Disque a polir et meuler et procede de polissage d&#39;un substrat avec ce disque a meuler
JPH11156711A (ja) 研磨装置
JP3770752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及び加工装置
KR20020044737A (ko) 컨디셔닝 클리너를 포함하는 씨엠피 설비
JP2007266547A (ja) Cmp装置及びcmp装置の研磨パッドコンディショニング処理方法
US722934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KR100342866B1 (ko) 연마패드 컨디셔닝 방법
JP3829878B2 (ja) 半導体ウエハの加工方法
CN1855380A (zh) 一种化学机械抛光机
US6439981B1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polishing a surface of a semiconductor wafer
JP3528501B2 (ja) 半導体の製造方法
KR20070078439A (ko) 연마 패드 컨디셔너 및 이를 갖는 화학적 기계적 연마 장치
KR101088031B1 (ko) 화학 기계적 연마 장치
KR200288678Y1 (ko) 웨이퍼 연마장치의 휠 체결구조
KR200201955Y1 (ko) 대구경용 화학 기계적 연마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화학기계적 연마 방법
KR20050008051A (ko) 연마 패드
US6676496B2 (en) Apparatus for processing semiconductor wafers
KR20050070418A (ko) 화학기계적연마 장비용 다층구조의 폴리싱패드
KR200260932Y1 (ko) 연마패드의 연마홈 형성구조
KR20030093725A (ko) 반도체 웨이퍼 폴리싱장치의 패드콘디셔너 구조
KR20070024145A (ko) 반도체 디바이스 제조를 위한 씨엠피 장치
KR20010001003U (ko) 연마패드의 연마홈 커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