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2361B1 - Hit determination device - Google Patents

Hit determina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2361B1
KR100342361B1 KR1019940019346A KR19940019346A KR100342361B1 KR 100342361 B1 KR100342361 B1 KR 100342361B1 KR 1019940019346 A KR1019940019346 A KR 1019940019346A KR 19940019346 A KR19940019346 A KR 19940019346A KR 100342361 B1 KR100342361 B1 KR 100342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unit data
comparison table
hit
hit determ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93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60006965A (en
Inventor
호다니마코도
오카도후미히로
다케도미다쓰노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산요붓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산요붓산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산요붓산
Priority to KR1019940019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2361B1/en
Publication of KR960006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69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2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2361B1/en

Links

Landscapes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빠찡코기등의 유기기에 있어서 무늬의 합침에 의한 적중판정에 사용되는 호적한 적중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itable hit determination apparatus for use in hit determination by combining patterns in organic groups such as pachinkogi.

소정수의 비트열를 일군의 단위데이타로서 연산처리를 행하는 경우에, 2개의 단위데이타를 상위와 하위로서 하나의 수치를 나타내고, 이 수치가 미리 정해진 수치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로 적중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적중판정장치에 있어서, 상위 또는 하위의 단위데이타가 나타내는 수치만의 비교테이블을 구비함과 동시에, 각 비교 테이블에 적중을 판정하기 위한 판정테이타를 기억시킨 적중데이타기억수단과, 적중판정을 행하는 상위와 하위의 2개의 단위데이타를 취득하고, 상위와 하위의 단위데이타중, 비교테이블의 수에 대응하는 쪽의 단위데이타가 나타내는 수치로 상기 데이타기억수단에서 하나의 비교데이타를 특정함과 동시에, 당해 비교테이블의 판정데이타와 나머지 단위데이타가 나타내는 수치에 근거하여 적중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이다.In the case of performing arithmetic processing on a predetermined number of bit strings as a group of unit data, two units of data are represented as upper and lower ones, and a judgment is made as to whether or not the numerical value matches a predetermined number. A hit determination apparatus comprising a comparison table of only numerical values indicated by upper or lower unit data, and hit data storage means for storing judgment data for determining hits in each comparison table, and a high rank for performing hit determination. Acquisition of two unit data of and and lower, and one comparison data by the data storage means by the numerical value indicated by the unit data of the upper and lower unit data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comparison table, and at the same time, Based on the judgment data of the comparison table and the numerical value indicated by the remaining unit data,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it is hit. It is having been made in the determination means.

Description

적중판정장치Hit determination device

본 발명은, 적중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친코기 등의 유기기에 있어서 무늬의 합침에 의한 적중판정에 사용되는 적절한 적중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t determination device.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itable hit determination apparatus used for hit determination by combining patterns in organic groups such as pachinko groups.

파친코기 등의 유기기에서는, 난수(亂數)를 발생시켜 적중인기 아닌지를 판정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In organic groups, such as a pachinko group, it is known to generate a random number and to determine whether it is a target group.

컴퓨터에서는, 연산 처리 시에 8개의 비트 열을 일군으로 한 1바이트를 단위데이터로서 사용한다. 1바이트의 단위데이터는, 8개의 비트 열의 각 비트를 합쳐서 10진법으로 256개의 값을 나타내게 하였다.The computer uses 1 byte as a unit data in which eight bit strings are grouped at the time of arithmetic processing. The unit data of 1 byte combined 256 bits of each bit of 8 bit strings.

파친코기에 있어서는, 특정의 입상구에 유기구가 들어갔을 때에 난수를 발생시키고, 그 난수의 수치와 미리 결정되어 있는 판정치를 비교하여 대적중의 판정을행한다.In pachinkogi, random numbers are generated when an organic sphere enters a specific granular sphere, and the target value is determined by comparing the random number with a predetermined determination value.

판정치가 복수 개 필요할 때에는, 부정방지를 위해, 소수(素數)를 이용하는것이 바람직하다. 또, 소수만으로 이루어지는 판정치를 많이 사용할 경우, 발생시키는 난수를 얻을 수 있는 범위가 넓어야 한다.When a plurality of judgment values are required, it is preferable to use a decimal number for preventing the false. In addition, when using a large number of judgment values consisting of only a few, the range for obtaining the random number to be generated should be wide.

이로 인해, 종래, 이 종류의 적중판정장치에서는, 2바이트로 나타내어지는 수치로 이루어지는 난수를 기억하고, 이 난수와 미리 정해져 있는 2바이트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판정치를 차례로 비교하고, 일치했을 때에 대 적중으로 판정하고 있다.For this reason, conventionally, this type of hit determination apparatus stores a random number consisting of numerical values represented by two bytes, compares this random number with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decision values consisting of two bytes predetermined in advance, and matches when a match is made. Judging by

상술한 종래의 적중판정장치에 있이서는, 2바이트의 수치 판정을 행하고 있으나, 종래 사용되고 있는 8비트 컴퓨터에서는 데이터가 2바이트로 구성되어 있으면 판정하는 처리시간이 대폭적으로 증가하며, 다른 처리에 지장을 일으킨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특히, 파친코기 등에 있어서는, 적중 판정과 함께 무늬 합치의처리도 행해지지 않으면 안되고, 처리시간이 걸리면 원활한 무늬의 합치를 행할 수없게 된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hit determination apparatus described above, two-byte numerical determination is performed. However, in an 8-bit computer used in the prior art, if the data is composed of two bytes, the processing time for determining greatly increases, which impedes other processing. There was problem to raise. Particularly, in the pachinko corgi etc.,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the matching of the patterns must be performed together with the hit determination, and that the matching of the seamless patterns cannot be performed when the processing time is taken.

본 발명은, 상기 과제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처리시간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한 적중판정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view of the said subject, and an object of this invention is to provide the hit determination apparatus which can reduce processing tim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과 관련된 발명은, 소정수의 비트 열을일군의 단위데이터로서 연산처리를 행하는 경우에, 2개의 단위데이터를 상위와 하위로서 하나의 수치를 나타내고, 이 수치로 이루어진 난수가 미리 정해진 수치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로 적중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적중판정장치에 있어서, 상위 또는 하위의 단위데이터가 나타내는 수치와 대응하는 비교테이블을 갖되, 비교테이블에는 1개의 단위데이터를 나타내는 수치보다 적은 수의 판정데이터를 기억시킨 영역을 갖춘 적중 데이터 기억수단과, 적중 판정을 행하는 상위와 하위의 2개의 단위데이터를 취득하고, 상위와 하위의 단위데이터 중, 비교테이블의 수에 대응하는 쪽의 단위데이터가 나타내는 수치로 상기 데이터 기억수단에서 하나의 비교데이터를특정함과 동시에, 당해 비교테이블의 판정데이터와 나머지 단위데이터의 값을 비교하여 적중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 indicates that when a predetermined number of bit strings are subjected to arithmetic processing as a group of unit data, two units of data are represented as a high value and a low value, A hit determination apparatus for judging whether or not a random number has been made by matching a predetermined number, having a comparison table corresponding to the value indicated by the upper or lower unit data, wherein the comparison table indicates one unit data. A hit data storage means having an area storing a smaller number of judgment data than a numerical value, and two unit data of upper and lower positions for performing the hit determination, an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comparison tables among upper and lower unit data; The comparison data is specified by the data storage means at the numerical value indicated by the unit data of the And a judging means for judging whether or not it is hit by comparing the judgment data of the comparison table with the values of the remaining unit data.

또, 청구항 2와 관련된 발명은, 소정수의 비트 열을 일군의 단위데이터로서연산처리를 행하는 경우에, 2개의 단위데이터를 상위와 하위로서 하나의 수치를 나타내고, 이 수치로 이루어진 난수가 미리 정해진 수치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로 적중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적중판정장치에 있어서, 상위 또는 하위의 단위데이터가 나타내는 수치와 대응하는 비교테이블을 갖되, 비교테이블에는 l개의 단위데이터를나타내는 수치와 같은 만큼의 영역을 구비하고 소정의 영역에 판정데이터를 기억시킨 적중 데이터 기억수단과, 적중 판정을 행하는 상위와 하위의 2개의 단위데이터를 취득하고, 상위와 하위의 단위데이터 중, 비교테이블의 수에 대응하는 쪽의 단위데이터가 나타내는 수치로 상기 데이터 기억수단에서의 비교테이블의 영역을 특정하고, 그와 동시에 비교테이블의 당해 영역내의 판정데이터의 유무에 따라 적중인기 아닌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2, when a predetermined number of bit strings are computed as a group of unit data, two unit data are represented as upper and lower ones, and a random number consisting of these numerical values is predetermined. A hit determination apparatus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hit is made by matching a numerical value, the hit determination device having a comparison table corresponding to the numerical value indicated by the upper or lower unit data, wherein the comparison table is equal to the numerical value representing l unit data. A hit data storage means having an area and storing judgment data in a predetermined area, and two unit data of upper and lower positions for performing hit determination, an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comparison tables among upper and lower unit data; The area of the comparison table in the data storage means is specified by the numerical value indicated by the unit data of the same page. And a judging means for judging whether or not the target is hi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judging data in the corresponding area of the comparison tabl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있어서, 적중 데이터 기억수단이, 상위 또는하위의 단위데이터가 나타내는 수치만의 비교테이블을 갖추고 있고, 각 비교테이블에 적중을 판정하기 위한 판정데이터를 기억하고 있기 때문에, 판정수단은, 적중판정을 행하는 상위와 하위의 2개의 단위데이터를 취득하면, 상위와 하위의 단위데이터 중 비교테이블의 수에 대응하는 쪽의 단위데이터가 나타내는 수치로 상기 데이터 기억수단에 있어서의 하나의 비교테이블을 특정하고, 당해 비교테이블이 판정데이터와 나머지 단위데이터가 나타내는 수치에 의거하여 적중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hit data storing means has a comparison table only of numerical values indicated by the upper or lower unit data, and stores the judgment data for determining the hit in each comparison table, the determination is made. The means is a numerical value indicated by the unit data of the one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comparison table among the upper and lower unit data, when one unit data of the upper and lower unit data for hit determination is acquired. A comparison table is specified,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comparison table is hit based on the numerical values indicated by the judgment data and the remaining unit data.

청구항 1에서는, 각 비교테이블이 하나의 단위데이터가 나타내는 수치보다도적은 수의 판정데이터를 기억하는 영역을 갖춘 경우로, 한편의 단위데이터에 의거하여 하나의 비교테이블을 특정한 후, 다른 편의 단위데이터와 이 각 영역에 기억된 판정데이터를 비교한다.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each comparison table has an area for storing a smaller number of judgment data than one unit data indicates, and one comparison table is specified based on one unit data, and then the other unit data is set. The judgment data stored in each of these areas is compared.

청구항 2에서는, 비교테이블을 하나의 단위데이터가 나타내는 수치와 같은 정도의 영역을 갖춘 경우로, 소정의 영역에 판정데이터를 기억하고, 단위데이터의값으로 영역을 특정하여 그 영역내의 판정데이터의 유무에 의거하여 판정한다.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comparison table has an area equal to the numerical value represented by one unit data, wherein the judgment data is stored in a predetermined area, the area is specified by the value of the unit data,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judgment data in the area It judges based 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단위데이터로 비교테이블을 특정하는 처리와, 하나의 단위데이터와 비교테이블내의 판정데이터를 판정하는 처리를행하기 위해, 실질적으로는 하나의 단위데이터와 비교테이블내의 판정데이터와의 판정이 되어 연산이 극히 간단해 지고, 연산시간도 단축시키는 것이 가능한 적중판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substantially one unit data and comparison table in order to perform a process for specifying a comparison table with one unit data and a process for determining one unit data and determination data in the comparison tabl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it determination apparatus that can be judged with the judgment data therein and the calculation becomes extremely simple and the calculation time can be shortened.

또, 각 비교테이블이 하나의 단위데이터가 나타내는 수치보다도 적은 수의 판정데이터를 기억하는 영역을 갖춘 경우에는, 적은 영역에 기억한 판정데이터와 하나의 단위데이터를 비교하므로, 연산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If each comparison table has an area for storing fewer judgment data than the value indicated by one unit data, the operation time can be shortened because the judgment data stored in a small area is compared with one unit data. have.

더욱, 비교테이블을 하나의 단위데이터가 나타내는 수치와 같은 정도의 영역을 갖춘 경우에는, 단위데이터는 영역의 특정에 만 사용되므로, 판정데이터의 유무만을 판정하면 되므로, 연산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Further, when the comparison table has an area equal to the numerical value indicated by one unit data, since the unit data is used only for specifying the area, it is only necessary to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determination data, so that the computation time can be shortened.

이하,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겠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based on drawing,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제 1 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적중판정장치가 적용되는 파친코기의 정면도다.1 is a front view of a pachinkogi to which the hit determination device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동 도면에서, 유기판(10)의 중앙에는 특별 도안표시기(11)가 배설되어 있고, 이 특별 도안표시기(11)는 각각 15개의 도안을 표시하는 표시기(11L), (11M), (11R)를 좌우로 3개 나란히 구성되어 있다. 제 2 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표시기(11L),(11M),(11R)는, 각각 [0-14]의 값을 유지하는 도안카운터(12L), (12M),(12R)에 접속되어, 각 도안카운터(12L),(12M),(12R)에 기억된 값에 대응하는 도안을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In the same figure, a special drawing indicator 11 is arranged at the center of the organic plate 10, and the special drawing indicator 11 has indicators 11L, 11M, and 11R that display fifteen different designs, respectively. It is composed of three side by side. As shown in FIG. 2, each of the indicators 11L, 11M, and 11R is connected to the design counters 12L, 12M, and 12R, each of which maintains a value of [0-14]. Thus, the drawings corresponding to the values stored in the respective design counters 12L, 12M, and 12R are displayed.

도안카운터(12L),(12M),(12R)는 판정수단인 연산처리 장치(20)에 접속되어 있고, 동 연산처리장치(20)에는, 유기판(10)의 시동구(始動口)(13)에 유기구가 들어갔는지 아닌지를 검지 하는 시동구검지(始動口檢知)스위치(13a)와, 대적중일 때에 대입상구(大人賞口)(l4)를 개방시키는 조건장치(14a)가 접속되어 있다. 또, 연산처리상치(20)에는, [0-1700]의 값을 랜덤(random)으로 발생하는 내부난수카운터 (21)와, 누락도안을 특정시키는 누락도안영역(22)과, 리치도안을 특정시키는 리치도안영역(23)과, 적중도안을 기억해 두는 적중도안영역(24)과, 대 적중의 판정에 사용하는 판정치를 기억하는 적중 데이터 기억수단인 비교테이블영역(25)과, 4개의 메모리(26a)-(26d)가 구비되어 있다.The design counters 12L, 12M, and 12R are connected to an arithmetic processing unit 20 serving as a determination means, and the arithmetic opening 20 of the organic plate 10 is connected to the arithmetic processing unit 20. The starter detection switch 13a, which detects whether or not the organic sphere has entered 13, and the conditioner 14a, which opens the entrance mouth l4 when it is hit, are connected. It is. In addition, the arithmetic processing phase 20 specifies an internal random number counter 21 which randomly generates a value of [0-1700], a missing drawing area 22 for specifying a missing drawing, and a rich drawing. A rich design area 23 to be stored, a hit design area 24 storing a hit design, a comparison table area 25 which is a hit data storage means for storing a determination value used for determination of a large hit, and four memories. (26a)-(26d) are provided.

내부난수카운터(21)는 [0-17000]의 값을 랜덤으로 발생하는 것이며, 전원 투입 시부터 소정시간마다 1씩 가산하고 있다. 여기에서 10진수의 [0-1700]을 16진수로 나타내면 [000OH-06A4H]가 된다. 2바이트로 나타내면 상위데이터는 [0OH-06H]의 7개의 값을 얻는다. 비교테이블영역(25)은 이 상위데이터에 대응하여 7개의 비교테이블(25a)-(25g)를 확보하고 있다. 비교테이블(25a)-(25f)는 5개의 영역을 갖추고,비교테이블(25g)은 4개의 영역을 갖추고, 합계 34개의 영역에 각각 1바이트의 판정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다.The internal random number counter 21 randomly generates a value of [0-17000] and adds one by one every predetermined time since the power is turned on. Here, [0-1700] of decimal number is expressed as hexadecimal number to become [000OH-06A4H]. In two bytes, the upper data gets seven values of [0OH-06H]. The comparison table area 25 secures seven comparison tables 25a to 25g corresponding to the upper data. The comparison tables 25a to 25f each have five areas, and the comparison table 25g has four areas, each storing one byte of determination data in 34 areas.

연산처리장치(20)에서는, 시동구검지스위치(13a)에서 시동구(13)에 유기구가입상한 것을 검지 하면, 그 시점에서 회전하고 있는 내부난수카운터(2l)의 값과 누락도안영역(22)과 리치도안영역(23)과 적중도안영역(24)의 값을 읽어 내어, 메모리(26a)에서 차례로 메모리(26d)까지 각각 격납한다.In the arithmetic processing unit 20, when the start switch detecting switch 13a detects that the organic opening is attached to the start port 13, the value of the internal random number counter 2l rotating at that time and the missing design area 22 are detected. ), The values of the rich design region 23 and the hit design region 24 are read out and stored from the memory 26a to the memory 26d in turn.

도안의 변동을 개시시킴과 동시에, 메모리(26a)-(26d)에 격납하여 둔 내부난수카운터(21)의 값을 읽어 내어 대적중의 판정을 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대적중이 되는 확률을 2개의 경우에 따라서 변화시키고, 제 3 도에 나타나 있듯이, 저확률시에는 판정데이터가 5개이며, 고확률시에는 판정데이터가 34개로 되어 있다.At the same time as the design changes, the value of the internal random number counter 21 stored in the memory 26a to 26d is read out to determine the hit. In this embodiment, the probability of hitting is changed according to two cases, and as shown in FIG. 3, five judgment data are shown at low probability and 34 judgment data are at high probability.

제 4 도는 대적중의 판정처리의 플로차트를 나타내고 있고, 제 5 도 및 제 6도는 구체적인 프로그래밍 예를 나타내고 있다.FIG. 4 shows a flowchart of the determination processing of the hit, and FIG. 5 and FIG. 6 show specific programming examples.

고확률시이면, 연산처리장치는 스텝(100)에 메모리(26a)로부터 난수데이터를취득하고, 스텝(120)에 2바이트의 난수데이터의 상위데이터에 근거하여 비교테이블 (25a)-(25g)의 어느 하나를 특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위데이터가 [0OH-06H]중 어느 하나의 값으로 되어 있고, 그 값의 차례로 대응하는 비교데이블(25a)-(25g)가 특정된다. 그리고, 스텝(130)에서 비교테이블(25a)-(25g)중, 특정된 비교테이블에 기억되어 있는 판정데이터의 읽음과 함께, 하나씩 영역의 판정데이터와 난수데이터의 하위데이터를 비교한다. 비교하여 일치하였으면 스텝(140)의 대적중의 처리를 실행하는데, 일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한다.In the case of high probability, the arithmetic processing unit acquires random number data from the memory 26a at step 100, and compares the tables 25a to 25g based on the upper data of the two-byte random number data at step 120. Specifies any one of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pper data is a value of any of [0OH-06H], and corresponding comparison tables 25a to 25g are specified in order of the values. Then, in step 130, the judgment data stored in the specified comparison table among the comparison tables 25a to 25g is read, and the judgment data of the area and the lower data of the random number data are compared one by one. If the comparison is matched, the processing of the hit of step 140 is executed. If not, the processing ends.

이와 같이 난수데이터와 34개의 판정데이터를 비교하는 데 있어서, 상위데이터로 비교테이블(25a)-(25g)를 특정하면, 실질적으로는 1바이트의 데이터 비교를 5회 반복하는 정도가 되고, 연산시간은 단축된다.In comparing the random number data with the 34 judgment data in this way, if the comparison tables 25a to 25g are specified as the upper data, the data comparison of one byte is substantially repeated five times. Is shortened.

한편, 저확률시이면, 스텝(l50)에서 2바이트의 난수데이터를 2바이트인 채 5개의 판정데이터와 차례로 비교하고, 일치한 경우에는 스텝(140)에서 대적중 처리를 실행한다. 저확률의 경우에는 판정데이터의 수가 적고, 5회 비교를 행한 정도이므로 2바이트인 채 반복하여 실행한다. 물론, 이 경우에도 비교테이블을 특정하여참조하도록 하여도 좋다.On the other hand, at low probability time, in step 1150, two bytes of random number data are compared with five pieces of judgment data while being two bytes, and if they match, in step 140, the hit processing is executed. In the case of the low probability, since the number of judgment data is small and it is about five comparisons, it repeats with 2 bytes. Of course, in this case, the comparison table may be specified and referred to.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위데이터는 비교테이블을 특정하는 것에 이용되고, 하위테이블은 비교테이블내의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와의 비교에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비교테이블의 영역 수를 하위데이터가 얻을 수 있는 값의 수만큼준비하여 어느 하나의 영역에 대적중 판정데이터를 기억시킴과 동시에, 하위데이터의 값에 따라 영역을 특정하고, 그 영역에 대적중의판정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근거하여 판정을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pper data is used for specifying the comparison table, and the lower table is used for comparison with the data stored in the area in the comparison table. However, the number of areas of the comparison table is prepared by the number of values that can be obtained by the lower data, the hit determination data is stored in any one area, and the area is specified according to the value of the lower data. The determination may be made based on whether or not the determination data is stored.

이와 같이, 실시예에서는, 2바이트의 난수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소수의 판정데이터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함에 있어서, 상위와 하위로 분리하여 각각을 단위데이터로서 판정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연산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또, 상위와 하위의 비트 길이는 엄밀하게는 동일하지 않아도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embodiment, in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two-byte random number data matches the predetermined small number of determination data, the operation time can be shortened because each of them is determined as unit data separately from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Can be. 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bit lengths do not have to be exactly the same.

제 1 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적중판정장치가 적용되는 파친코기의 정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of a pachinkogi to which the hit determin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제 2 도는 판정을 행하는 제어회로의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circuit for making a judgment.

제 3 도는 판정데이터를 나타내는 도표이다.3 is a table showing judgment data.

제 4 도는 판정처리의 플로차트이다.4 is a flowchart of the determination process.

제 5 도는 판정프로그램의 구체예를 나타낸 코드도이다.5 is a code diagram showing a specific example of the determination program.

제 6 도는 판정프로그램의 구체예를 나타낸 코드도이다.6 is a code diagram showing a specific example of the determination program.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연산처리장치20 ....... Operation Processing Equipment

21.......내부난수카운터21 ....... Internal random counter

25.......비교테이블영역25 ....... Compare table area

25a-25g..비교테이블25a-25g..Comparison Table

26a-26d..메모리26a-26d..memory

Claims (2)

소정수의 비트 열을 일군의 단위 데이터로서 연산처리를 행하는 경우에 2개의 단위 데이터를 상위와 하위로서 하나의 수치를 나타내고, 이 수치로 이루어진 난수가 미리 정해진 수치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로 적중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적중판정장치에 있어서,In the case of performing arithmetic processing on a predetermined number of bit strings as a group of unit data, two units of data are represented as a high value and a low value, and whether or not the random number consisting of these numbers is matched by a predetermined number In the hit determination apparatus for determining 상위 또는 하위의 단위 데이터가 나타내는 수치와 대응하는 비교테이블을 갖되, 비교테이블은 하나의 단위 데이터를 나타내는 수치보다도 적은 수의 판정데이터를 기억시킨 영역을 갖춘 적중 데이터 기억수단과,A comparison table having a comparison table corresponding to the numerical value indicated by the upper or lower unit data, wherein the comparison table includes hit data storage means having an area storing a smaller number of judgment data than a numerical value representing one unit data; 적중판정을 행하는 상위와 하위의 2개의 단위 데이터를 취득하고, 상위와 하위의 단위데이터 중, 비교테이블의 수에 대응하는 쪽의 단위 데이터가 나타내는 수치로 상기 데이터 기억수단에서의 하나의 비교테이블을 특정함과 동시에, 당해 비교테이블의 판정데이터와 나머지 단위데이터의 값을 비교하여 적중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중판정장치.Acquisition of two unit data of the upper and lower unit to perform the hit determination, and one of the comparison table in the data storage means by the numerical value indicated by the unit data of the upper and lower unit data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comparison tables And determining means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be hit by comparing the judgment data of the comparison table with the values of the remaining unit data. 소정수의 비트 열을 일군의 단위 데이터로서 연산처리를 행하는 경우에 2개의 단위 데이터를 상위와 하위로서 하나의 수치를 나타내고, 이 수치로 이루어진 난수가 미리 정해진 수치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로 적중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적중판정장치에 있어서,In the case of performing arithmetic processing on a predetermined number of bit strings as a group of unit data, two units of data are represented as a high value and a low value, and whether or not the random number consisting of these numbers is matched by a predetermined number or not. In the hit determination apparatus for determining 상위 또는 하위의 단위데이터가 나타내는 수치와 대응하는 비교테이블을 갖되, 비교테이블은 하나의 단위 데이터가 나타내는 수치와 같은 정도의 영역을 구비하고 소정의 영역에 판정데이터를 기억시킨 적중 데이터 기억수단과,A hit data storage means having a comparison table corresponding to the numerical value indicated by the upper or lower unit data, the comparison table having an area equal to the numerical value indicated by one unit data, and storing judgment data in a predetermined area; 적중 판정을 행하는 상위와 하위의 2개의 단위 데이터를 취득하고, 상위와 하위의 단위데이터 중, 비교테이블의 수에 대응하는 쪽의 단위 데이터가 나타내는수치로 상기 데이터 기억수단에서의 비교테이블의 영역을 특정하고, 그와 동시에 비교테이블의 당해 영역내의 판정데이터의 유무에 따라 적중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중판정장치.Acquisition of the upper and lower unit data for the hit determination is performed, and the area of the comparison table in the data storage means is a numerical value indicated by the unit data of the upper and lower unit data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comparison tables. And determining means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user is hi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ce or absence of determination data in the corresponding area of the comparison table at the same time.
KR1019940019346A 1994-08-05 1994-08-05 Hit determination device KR1003423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9346A KR100342361B1 (en) 1994-08-05 1994-08-05 Hit determin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9346A KR100342361B1 (en) 1994-08-05 1994-08-05 Hit determinati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6965A KR960006965A (en) 1996-03-22
KR100342361B1 true KR100342361B1 (en) 2002-11-30

Family

ID=66698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9346A KR100342361B1 (en) 1994-08-05 1994-08-05 Hit determinat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236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0871B1 (en) * 2000-10-10 2003-10-08 김영애 remote dermal diagnos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6965A (en) 199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60121A (en) Sort apparatus and data processing system
US5249294A (en) Determination of time of execution of predetermined data processing routing in relation to occurrence of prior externally observable event
EP0402067B1 (en) Interfacing device and method for a computer games system
FI99250C (en) System for preventing unauthorized use of external memory
US4922248A (en) Key output method for keyboards
JPH07303736A (en) Winning deciding device
CA2037857C (en) Prevention of determination of time of execution of predetermined data processing routine in relation to occurrence of prior observable external event
KR20020086200A (en) Table management technique
US6101254A (en) Security method for making secure an authentication method that uses a secret key algorithm
KR100342361B1 (en) Hit determination device
JPH09503327A (en) Processor for variable-length character strings
US5671394A (en) Microcomputer having ROM data protection function
CA1211858A (en) Address transformation system having an address shuffler
US5625560A (en) Production contro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US6578132B1 (en)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and program authenticity determining system
JPS6310249A (en) Computer device with abnormality retrieving function
KR100342362B1 (en) Hit determination device
CA1246713A (en) Fail-safe apparatus and method for reading switches
JPH07303737A (en) Winning deciding device
US7484069B2 (en) Watchpointing unaligned data accesses
JPH06202849A (en) Information processor
JPS58200345A (en) One-chip microcomputer
JPH064582A (en) Central processing unit
CA1216370A (en) Set association memory system
JPH08164U (en) Amusement machine maintenance monitor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