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1969B1 - 속기키보드 - Google Patents

속기키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1969B1
KR100341969B1 KR1019990057449A KR19990057449A KR100341969B1 KR 100341969 B1 KR100341969 B1 KR 100341969B1 KR 1019990057449 A KR1019990057449 A KR 1019990057449A KR 19990057449 A KR19990057449 A KR 19990057449A KR 100341969 B1 KR100341969 B1 KR 100341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button
group
key button
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7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6048A (ko
Inventor
정상덕
Original Assignee
정상덕
주식회사 한국스테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상덕, 주식회사 한국스테노 filed Critical 정상덕
Priority to KR1019990057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1969B1/ko
Publication of KR20010056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6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1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19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6Arrangements for ergonomically adjusting the disposition of keys of a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사람의 양손 사이의 거리와 손가락 길이에 맞게 키버튼을 배치하고, 여러 키를 한꺼번에 누를 때에도 손가락의 힘이 적게 드는 인체공학적인 자판구조를 갖는 속기키보드에 관한 것이다. 출원인은 종래의 키스위치 일변도의 키버튼 구조에서 탈피하여, 문자키버튼으로서 특수한 구조의 기구를 개발함으로써, 모든 키버튼의 타력을 일정하게, 특히 2이상 키 동시 누를 때 필요한 타력이 감소하도록 하였으며, 손가락의 구조에 적합한 형태로 자판을 배열하고 키버튼을 설계하여 인체공학적인 속기키보드가 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케이스에 키버튼이 배치되는 속기키보드로서, 주로 문자를 입력하는 키버튼의 그룹인 문자키그룹이 케이스의 중앙부에 집중적으로 배치되고, 각종 기능을 실행하는 키버튼의 그룹인 기능키그룹이 문자키그룹의 주변에 배치되되, 문자키그룹의 키버튼들이 케이스의 경사도와 다르게 수평으로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속기키보드{Stenography keyboard}
본 발명은 속기키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사람의 양손 사이의 거리와 손가락 길이에 맞게 키버튼을 배치하고, 여러 키를 한꺼번에 누를 때에도 손가락의 힘이 적게 드는 인체공학적인 자판구조를 갖는 속기키보드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를 이용한 속기가 보편화되면서 다양한 속기키보드가 개발되고 있다. 속기키보드는 일반적인 컴퓨터용 키보드와 달리, 특수하게 자판 배열이 되어 있고, 키스위치(37)의 숫자가 적다. 속기키보드의 설계에서 중요한 고려사항은 고속의 타이핑속도, 적은 오타율, 적은 소음, 적은 피로도 등이다. 이 사항들을 최대한 수용하기 위해, 대부분의 속기키보드는 자판을 독특하게 배열하고 그 구조를 인체공학적으로 설계하고 있다. 속기키보드는 일반인들이 사용하기 보다는 전문적으로 훈련된 속기사들이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키보드의 자판배열은 속도를 위해서라면 임의적으로 변경할 수도 있는 것이다. 물론, 교육적 효율성과 사용상 용이성을 함께 고려하여야 한다.
그러나, 구조적으로 볼 때에, 종래에 개발된 모든 속기키보드는 타이핑 속도의 향상을 위해서 특별히 고안된 자판배열을 갖거나 약자기능을 추가하는 등의 방법을 취하고 있었을 뿐, 키보드 자체의 구조는 일반적인 타자기나 키보드의 구조에서 크게 다르지 않았다. 즉, 일반키보드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의 외관에 일반키보드에 사용되고 있는 기계식 개별 키스위치(37)를 조합하여, 자판 배열을 바꾸거나 일부 자판을 생략하는 등의 방법을 쓰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속기키보드에서는 구조상 여러가지 단점이 나타난다. 기계식 키스위치(37)는 누를 때마다 '따각따각'하는 소리가 나기 때문에 속기타이핑시 소음이 크게 발생하고, 모든 자판에 대해서 동일한 키스위치(37)를 사용하기 때문에 길이가 서로 다른 손가락으로 키스위치(37)를 누르는 타력이 일정치 않는 관계로 오타가능성이 커진다. 특히, 속기키보드에서 흔히 이용되는 '복수키 동시누름' 방식인 경우에는 두세 손가락이 해당 키스위치(37)를 누르는 압력이 모두 일정치 이상 되어야 오타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단순히 자판배열을 변경하여 타이핑 속도를 향상시킬 수는 있지만, 사람의 양 손은 서로 떨어져 있고 손가락 길이가 모두 다른 것을 커버해 줄 정도로 인체공학적이지는 않다.
이에, 본 출원인은 종래의 키스위치 일변도의 키버튼 구조에서 탈피하여, 문자키버튼으로서 특수한 구조의 기구를 개발함으로써, 모든 키버튼의 타력을 일정하게, 특히 2이상 키 동시 누를 때 필요한 타력이 감소하도록 하였으며, 손가락의 구조에 적합한 형태로 자판을 배열하고 키버튼을 설계하여 인체공학적인 속기키보드가 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별 키스위치를 사용하지 않고, 독특한 메카니즘으로 구성되며, 자판배열과 형태가 사람의 손 구조에 적합한 인체공학적인 속기키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속기키보드의 외관도.
도1a는 본 발명에 따른 속기키보드의 전체 분해사시도.
도2는 본 속기키보드의 문자키그룹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키 메카니즘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키 메카니즘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5는 도4의 키버튼을 누른 경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6은 스위치로서 택트스위치를 사용함을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
도7은 스위치로서 광센서를 사용함을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속기키보드의 자판배열의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9는 도8의 A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10은 도8과 같은 자판배열의 경우에 이 자판입력의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면 주요부분의 설명>
상판 케이스(T), 하판 케이스(B), 문자키그룹(10), 기능키그룹(20), 키버튼(35), 키막대축(31), 키막대(33), 스위치(37), 스위치작동부(39), 키막대용수철(41), 훅(40), 용수철판(42), 가로대축(43), 가로대(45), 가로대멈치(47), 가로대 용수철(49), 제1가이드판(51), 제2가이드판(53), 가이드판의 슬릿(52, 54), 충격흡수재(44)(48)(38), 광센서(37'), 왼손키그룹(100), 오른손키그룹(200)
기술적 구성
본 발명에 따른 속기키보드의 기술적 사상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케이스에 키버튼이 배치되는 속기키보드로서,
주로 문자를 입력하는 키버튼의 그룹인 문자키그룹이 케이스의 중앙부에 집중적으로 배치되고,
각종 기능을 실행하는 키버튼의 그룹인 기능키그룹이 문자키그룹의 주변에 배치되되,
문자키그룹의 키버튼들이 케이스의 경사도와 다르게 수평으로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문자키그룹은 왼손이 담당하는 왼손키그룹과 오른손이 담당하는 오른손키그룹으로 구성된다. 왼손키그룹은 왼손의 검지.중지.약지.소지가 담당하는 키버튼들과, 엄지손가락이 담당하는 키버튼으로 구성되어, 검지.중지.약지.소지로 치는 키버튼에는 초성자음을 할당하고, 엄지손가락으로 치는 키버튼에는 중성모음을 할당하며, 오른손키그룹은 오른손의 검지.중지.약지.소지가 담당하는 키버튼들과, 엄지손가락이 담당하는 키버튼으로 구성되어, 검지.중지.약지.소지로 치는 키버튼에는 종성받침을 할당하고, 엄지손가락으로 치는 키버튼에는 중성모음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왼손키그룹에는 각 키버튼이 행렬로 배열되는데, 각 열의 키버튼을 잇는 선과, 왼손키그룹 및 오른손키그룹 사이의 중심선이 이루는 각이 약 10~20°를 이루고, 오른손키그룹에는 각 키버튼이 행렬로 배열되는데, 각 열의 키버튼을 잇는 선과, 왼손키그룹 및 오른손키그룹 사이의 중심선이 이루는 각이 약 10~20°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 각도는 약 12~14°인 것이 바람직하다.
왼손키그룹의 키버튼들 중, 왼손의 검지가 담당하는 키버튼은 'ㅈ, ㄴ, ㅂ, ㄹ'이고, 중지가 담당하는 키버튼은 'ㄱ, ㅅ'이고, 약지가 담당하는 키버튼은 'ㅁ, ㅇ'이고, 소지가 담당하는 키버튼은 'ㅎ, ㄷ'이고, 엄지손가락이 담당하는 키버튼은 'ㅗ, ㅏ, ㅜ'이며,
오른손키그룹의 키버튼들 중, 오른손의 검지가 담당하는 키버튼은 'ㅎ, ㅂ, ㅇ, ㄴ'이고, 중지가 담당하는 키버튼은 'ㄹ, ㅅ'이고, 약지가 담당하는 키버튼은 'ㄱ, ㅈ'이고, 소지가 담당하는 키버튼은 'ㄷ, ㅁ'이고, 엄지손가락이 담당하는 키버튼은 'ㅓ, ㅣ'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외관 구조를 보면, 왼손키그룹의 중지가 담당하는 키버튼과 약지가 담당하는 키버튼이 평면상에서 가장 위에 위치하고, 엄지가 담당하는 키버튼이평면상에서 가장 아래에 위치하며, 오른손키그룹의 중지가 담당하는 키버튼과 약지가 담당하는 키버튼이 평면상에서 가장 위에 위치하고, 엄지가 담당하는 키버튼이 평면상에서 가장 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왼손키그룹의 소지가 담당하는 키버튼의 수직 높이가 가장 높고, 엄지손가락이 담당하는 키버튼의 수직높이가 가장 낮으며, 오른손키그룹의 소지가 담당하는 키버튼의 수직 높이가 가장 높고, 엄지손가락이 담당하는 키버튼의 수직높이가 가장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자판구조를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기구적 구성을 갖는다.
키막대축이 속기키보드의 가로 방향으로 길게 위치하고,
다수의 키막대가 상기 키막대축을 회전축으로 회전되도록 결합되는데, 각 키막대의 일측에는 문자가 인쇄된 키버튼이 부착되고, 키막대축을 기준으로 했을 때 키버튼과의 반대측에는 키버튼을 누를 때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스위치작동부가 형성되어 있고,
키막대에는, 평상시에 키버튼이 정위치에 위치하도록 키막대 용수철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키막대축과 평행하게 가로대축이 설치되고,
판형의 가로대가 가로로 길게 상기 가로대축에 회전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키막대와 접촉하고 있다가 키버튼을 누르면 키막대와 함께 가로대축을 중심으로 하여 아래로 내려가고,
가로대에는 가로대 용수철이 부착되어 평상시에 가로대가 키막대와 접촉하도록 하고,
가로대의 아래에는 가로대멈치가 설치되어, 키막대에 의해 가로대가 내려오는 한계점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키막대의 키막대축과 키버튼 사이에는, 다수의 키막대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고 키막대가 좌우로 유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제1가이드판과, 상기 키막대의 키막대축과 스위치작동부 사이에 위치하여 다수의 키막대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고 키막대가 좌우로 유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제2가이드판이 추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 전체적 외관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자판구조를 갖는 속기키보드의 전체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중앙의 문자키그룹(10)과 주변에 배치된 기능키그룹(20)(도1~도12, Esc, Enter, Del, Ins, Num 등)을 모두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은 특히 속기키보드의 문자판 구조에 특징이 있는 것으로, 도1을 보면, 문자키그룹(10)의 형상과 기능키그룹(20)의 형상이 서로 다름을 알 수 있다. 기능키그룹(20)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개별 키스위치(37)를 배열하였고, 문자키그룹(10)은 본 발명에 특수한 배열과 메카니즘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문자키그룹(10)은 상판 케이스의 경사도와 별도로 양손을 편안하게 올려놓을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돌출되어 독자적인 평면을 이루고 있다. 이하에서 계속 설명된다.
2. 속기키보드의 메카니즘
도1a는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 전체의 분해사시도이다. 상판 케이스(T)와 하판 케이스(B) 사이에 본 발명의 자판 메카니즘이 위치하는데, 도1에서 보였던 기능키그룹(20)은 상판 케이스(T)에 부착된 채로 분리되고, 하판 케이스(B)에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키그룹(10)만이 부착됨을 알 수 있다.
도2는 도1a에서 하판 케이스(B)에 자판 메카니즘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본 발명에서는 각 키가 특수한 메카니즘에 의해 작동된다. 즉, 종래에서와 같이, 또는 도1의 기능키그룹(20)과 같이 개별 키스위치(37)를 배열하는 것이 아니라, 특수한 구조가 각 키마다 적용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자판구조의 기본 개념에 대해 설명하고,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자판구조의 기본개념을 나타내기 위해, 문자 키버튼(35) 중 일부만 나타낸 그림이고, 도4와 도5는 각각 문자 키버튼(35)이 정위치인 때와 손가락으로 눌렸을 때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3과 도4,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속기키보드의 구성과 작용을 설명한다. 가로 방향으로 '키막대축(31)'이 길게 위치해 있다. 상기 키막대축(31)을 회전축으로 하여 '키막대(33)'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각 키막대(33)의 일측에는 문자가 표시된 키버튼(35)이 부착되고, 키버튼(35)으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지점은 상기 키막대축(31)에 회전가능토록 결합되며, 키막대(33)의 키버튼(35) 반대쪽에는 스위치를 누를 수 있도록 스위치작동부(39)가 형성되어 있다. 이 스위치작동부(39)에 대해서는 나중에 자세히 설명한다.
키막대(33)의 스위치작동부(39) 아래쪽에는 '키막대 용수철(41)'이 키막대(33)에 형성된 '훅(40)'과, 별도로 설치된 '용수철판(42)' 사이에 걸려, 평상시에 키막대(33)를 아래쪽으로 당기고 있다. 즉, 키막대 용수철(41)에 의해 키막대(33)의 키버튼(35) 쪽은 평상시에 올라가 있고 키막대(33)의 스위치작동부(39) 쪽은 용수철판(42)과 접촉되어 있다.
상기 키막대축(31)과 평행하게 '가로대축(43)'이 위치한다. 이 가로대축(43)에는 평평한 판형의 '가로대(45)'가 연결간(46)을 통해 회전가능토록 결합된다. 이 가로대(45)는 각 키막대(33)의 키버튼(35)쪽 아래면에 접촉되어 있다가, 키버튼(35)을 눌러 키막대(33)가 아래로 내려오면 함께 내려가 '가로대멈치(47)'에 의해 멈춘다. 가로대(45)는 평상시에 가로대 용수철(49)에 의해 위쪽으로 당겨져 있지만, 키막대(33)의 키버튼(35)을 아래로 누르면 키막대(33)가 내려옴과 함께 가로대(45)가 내려왔다가, 키버튼(35)을 놓을 때 가로대 용수철(49)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한다.
상기 키막대(33)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판이 두 곳 설치된다. '제1가이드판(51)'은 키막대축(31)과 키버튼(35) 사이에 위치하여 키막대(33)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고, '제2가이드판(53)'은 키막대축(31)과 스위치작동부(39) 사이에 위치하여 키막대(33)의 위치를 가이드한다. 각 가이드판은 키막대(33)가 들어갈 수 있는 슬릿(52, 54)이 형성되어 많은 수의 키막대(33)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해 주면서 키막대(33)가 좌우로 유동하지 못하도록 한다. 키막대(33)가 가이드판의 슬릿(52, 54)에서 상하 운동을 하기 때문에 각 슬릿(52, 54)에는 그리스 등의 윤활유를 바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가로대(45)의 키막대(33)와의 접촉부에는 금속끼리의 충격음을 완화시키기 위해 '충격흡수재(44)'가 부착된다. 이 충격흡수재는 직물, 합성수지, 또는 가죽류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 이유로, 금속끼리 접촉하는 다른 곳에도 충격흡수재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가로대멈치(47)와 가로대(45)와의 접촉부인 가로대 하면 또는 가로대멈치 상면(48)에, 키막대(33)의 스위치작동부(39) 쪽 하면과 용수철판(42) 사이의 접촉면인 용수철판 상면(38)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키막대(33)의 스위치작동부(39)에 대해서 설명한다. 키버튼(35)을 아래로 누르면, 키막대(33)는 키막대축(3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스위치작동부(39)가 위로 올라간다. 따라서, 스위치작동부(39) 상부에 스위치(37)를 고정해 두면 각 키버튼(35)을 누를 때마다 스위치(37)가 온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도6과 도7에 표현되어 있다.
도6은 키막대(33)의 스위치작동부(39)에 의해 택트스위치(37)를 누르는 구조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7은 스위치작동부(39)가 차단식 광센서(37')(photo-interrupter)의 차단판 역할을 함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6과 도7은 본 발명의 메카니즘을 아래쪽에서 바라본 것으로, 가로대축(43)에 회전되도록 결합된 가로대(45)와, 가로대멈치(47)와, 제1가이드판(51)과, 용수철(41, 49)을 볼 수 있다. 택트스위치(37)(tact switch)는 스위치온에 필요한 누름압력이 매우 작기 때문에 전자기기의 조작부나 리모콘, 컴퓨터 등에 널리 쓰이는 기계식 스위치이다. 여기서, 어떠한 스위치를 사용할 것인지는 임의적이다. 즉, 당업자라면 임의의 것을 선택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을 적절하게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자판구조의 작용에 대해 도4와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4에서 평상시에는 키막대(33)의 키버튼(35) 쪽 하부에 가로대(45)가 접촉된 채로 키막대(33)가 올라가 있고, 키막대(33)의 스위치작동부(39) 쪽 하부는 용수철판(42)과 접촉되어 있다. 도5에서와 같이, 특정키버튼을 누르면 키막대(33)의 키버튼(35) 쪽이 키막대축(31)을 중심으로 내려오는데, 가로대(45)가 가로대멈치(47)에 걸릴 때까지 내려온다. 이때 키막대(33)의 스위치작동부(39) 하부쪽은 키막대 용수철(41)의 당김힘을 이기며 용수철판(42)과 떨어진다. 이때, 키막대(33)의 스위치작동부(39)가 택트스위치(37) 또는 광센서(37')를 작동시킨다. 가로대(45)가 내려와 가로대멈치(47)에 접촉하더라도 이들 사이에는 충격흡수재(44)가 있기 때문에 금속 접촉에 의한 소음은 발생하지 않는다.
다시, 눌렀던 키버튼(35)을 놓으면 키막대 용수철(41)이 키막대(33)를 아래로 잡아당김과 동시에, 가로대 용수철(49)이 가로대(45)를 위로 잡아당겨 키막대(33)의 키버튼(35)쪽이 위로 원위치되며, 키막대(33)의 스위치작동부(39)가 스위치(37)를 오프시킨다. 이때에도, 용수철판(42)과 키막대(33) 사이에는 충격흡수재(38)가 있기 때문에 금속접촉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동시에 여러 개의 키버튼(35)을 누를 때(속기키보드에서는 타자속도를 높이기 위하여, 동시에 여러 개의 키버튼(35)을 눌러서 문자를 입력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종래에는 각 키버튼(35)을 누른 손가락의 힘이 일정치 이상 되어야 했지만, 위와 같은 구조에서는 그렇지 않다. 즉, 하나의 키버튼(35)으로 가로대(45)를 눌러 내린 다음이라면 다른 키버튼(35)으로는 가로대(45)를 누르는 힘이 필요치 않고, 오직 키막대 용수철(41)의 탄성력을 이기는 힘만 필요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손가락에 부과되는 평균힘이 종래의 개별 스위치 방식보다 현저히 줄어든다.
예를 들어, 종래에 각 키스위치의 누름힘이 200gf라면 3개의 스위치를 동시에 누르면 손 전체로 600gf의 힘이 필요하였지만, 본 발명에서는, 가로대(45)의 누름힘을 200gf로 각 키막대(33)의 누름힘을 50gf로 설정한다 하더라도(택트스위치의 누름압력은 무시함), 3개의 키를 동시에 누를 경우 손 전체로 200gf+3x50gf=350gf의 힘만 필요로 한다. 실제로는, 각 키막대(33)의 누름힘을 50gf보다도 적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누름압력은 훨씬 더 작아질 수 있다.
3. 키버튼 배열구조의 예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속기키보드의 문자키그룹(10) 자판의 배열과 형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9는 도8의 A방향에서 바라본 키배열 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8에서 문자키그룹(10)은 왼손키그룹(100)과 오른손키그룹(200)으로 분리되어 있고, 각 키들은 종래와는 달리 2차원적 위치가 서로 어긋나도록 배열되어 있다. 또한, 도9를 보면, 각 키의 높낮이가 다르게 배열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8과 도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키버튼의 배열구조를 설명한다. 본 키버튼 배열은 왼손이 담당하는 왼손키그룹(100)과 오른손키그룹(200)으로 크게 구성된다.
왼손키그룹(100)은 왼손의 검지.중지.약지.소지가 담당하는 키버튼이 3행 5열로 배열되고 가장 아래에 엄지손가락이 담당하는 키버튼이 1행 3열로 배열된다. 구체적으로, 제1행에는 1~5까지의 숫자를 입력하는 제1숫자 키버튼(101, 102, 103, 104, 105)이 왼쪽부터 나란히 배열되고, 제2행에는 초성자음 중 'ㅎ'(106), 'ㅁ'(107), 'ㄱ'(108), 'ㅈ'(109), 'ㄴ'(110)를 입력하는 키버튼이 왼쪽부터 차례대로 배열되고, 제3행에는 초성자음 중 'ㄷ'(111), 'ㅇ'(112), 'ㅅ'(113), 'ㅂ'(114), 'ㄹ'(115)을 입력하는 키버튼이 왼쪽부터 차례대로 배열된다. 제4행에는 중성모음 중 'ㅗ'(116), 'ㅏ'(117), 'ㅜ'(118)를 입력하는 키버튼이 위치하는데, 손의 구조에 맞추어 전체적으로 오른쪽으로 치우쳐서 배열된다.
오른손키그룹(200)은 오른손의 검지.중지.약지.소지가 담당하는 키버튼이 3행 5열로 배열되고 가장 아래줄에 엄지손가락이 담당하는 키버튼이 1행 3열로 배열된다. 구체적으로, 제1행에는 6~0까지의 숫자를 입력하는 제2숫자 키버튼(201, 202, 203, 204, 205)이 왼쪽부터 나란히 배열되고, 제2행에는 종성받침 중'ㅎ'(206), 'ㅇ'(207), 'ㄹ'(208), 'ㄱ'(209), 'ㄷ'(210)을 입력하는 키버튼이 배열되고, 제3행에는 종성받침 중 'ㅂ'(211), 'ㄴ'(212), 'ㅅ'(213), 'ㅈ'(214), 'ㅁ'(215)을 입력하는 키버튼이 배열되고, 제4행에는 중성모음 중 'ㅓ'(217)와 'ㅣ'(218)가 배치되는데, 제4행의 제1열에는 특수한 기능키인 ''(216)을 입력하는 키버튼이 위치하고, 이들 ''(216), 'ㅓ'(217), 'ㅣ'(218) 키버튼은 이 순서대로 왼쪽에 치우쳐서 배치된다. 이는 오른손 엄지손가락의 위치를 반영하는 것이다. ''(216) 키버튼은 복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특수키로서, 나중에 설명할 것이다.
위의 구성에서, 1, 2, 3, ..., 0의 제1, 제2숫자 키버튼은 특수문자(!, @, #, $, %, ^, &, *, (, ))를 겸해서 입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들 특수문자는 일반적인 키보드의 표준자판 순서와 같다.
위와 같은 키버튼 배열 구조를 나타낸 도면중에서, 도9는 왼손키그룹(100)을 위주로 표현되어 있어 왼손키그룹(100)의 형태에 대해서는 확연히 알 수 있지만, 오른손키그룹(200)의 형태는 그렇지 않다. 따라서, 본 설명에서는 왼손키그룹(100)을 위주로 설명을 하겠다. 그러나, 오른손키그룹(200)은 왼손키그룹(100)과 대칭적이기 때문에, 왼손키그룹(100)의 설명이 그대로 오른손키그룹(200)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키보드에서는 엄지손가락이 스페이스바를 누르는 역할을 주로 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엄지손가락도 적극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엄지손가락이담당하는 문자키버튼(116, 117, 118)을 별도로 두었다(오른손키그룹에서도 마찬가지임, 216, 217, 218). 또한 도8에서, 왼손의 검지는 104, 105, 109, 110, 114, 115번 키버튼을 담당하고, 중지는 103, 108, 113번 키버튼을 담당하고, 약지는 102, 107, 112번 키버튼을 담당하고, 소지(새끼손가락)는 101, 106, 111번 키버튼을 담당하도록 설계되어 있다(오른손키그룹에서도 마찬가지임).
위의 구성에서, 왼손키그룹(100)의 각 키버튼의 세로열로 배열된 키버튼(즉, 101-106-111, 102-107-112, 103-108-113, 104-109-114, 105-110-115)을 잇는 직선은 키보드의 세로 중심선(Y)로부터 약 10~20°각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최적치로는 양손의 사잇각이 약 25°가 되도록 약 13°인 것이 바람직하다. 오른손키그룹(200)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한편, 왼손키그룹(100)과 오른손키그룹(200)의 가장 가까운 키버튼 사이의 간격(d)은 각 키버튼의 가로나비 정도로 떨어져 있다. 이는 일정한 수치를 요하는 거리는 아니지만, 양손의 사이를 떨어뜨려서 인체공학적인 구조로 설계한다는 관점에서 상당한 거리로 떨어질 것을 요한다.
위와 같이, 문자키그룹을 왼손키그룹(100)과 오른손키그룹(200)으로 분리하되, 일정한 간격과 각도로 분리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키보드를 사용하는 사람의 양손이 평행 상태로 나란하지는 않다. 즉, 사람의 어깨넓이와 자판넓이를 감안할 때 양손의 각도가 25°가량이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를 고려하여 이 각도대로 왼손과 오른손으로 치는 자판을 각각 배치한 것이다.
앞의 구성에서, 왼손키그룹(100)의 제1,2,3행 제1열에 위치하는 키버튼(1,ㅎ, ㄷ)은 왼손의 소지(새끼손가락)가 담당하고, 제1,2,3행의 제2열에 위치하는 키버튼(2, ㅁ, ㅇ)은 약지가 담당하고, 제1,2,3행의 제3열에 위치하는 키버튼(3, ㄱ, ㅅ)은 중지가 담당하고, 제1,2,3행의 제4,5열에 위치하는 키버튼(4, ㅈ, ㅂ, 5, ㄴ, ㄹ)은 검지가 담당한다. 또한, 제4행의 키버튼 세 개(ㅗ, ㅏ, ㅜ)는 왼손의 엄지손가락이 담당한다.
오른손키그룹(200)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즉, 오른손키그룹(200)의 제1,2,3행 제1,2열에 위치하는 키버튼(6, ㅎ, ㅂ, 7, ㅇ, ㄴ)은 오른손의 검지가 담당하고, 제1,2,3행의 제3열에 위치하는 키버튼(8, ㄹ, ㅅ)은 중지가 담당하고, 제1,2,3행의 제4열에 위치하는 키버튼(9, ㄱ, ㅈ)은 약지가 담당하고, 제1,2,3행의 제5열에 위치하는 키버튼(0, ㄷ, ㅁ)은 소지가 담당한다. 또한, 제4행의 키버튼 세개(, ㅓ, ㅣ)는 오른손의 엄지손가락이 담당한다.
도8을 보면, 각 키버튼의 배열이 각 손의 형태와 유사하게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왼손키그룹(100)에 대해서만 설명을 하면, 중지가 담당하는 키버튼(3, ㄱ, ㅅ)과 약지가 담당하는 키버튼(2, ㅁ, ㅇ)이 평면상에서 같은 수평선 상에 위치하고, 소지가 담당하는 키버튼(1, ㅎ, ㄷ)이 검지가 담당하는 키버튼(5, ㄴ, ㄹ)보다 약간 더 수평 높이가 높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도8에 표시한 손의 모양으로부터 쉽게 알 수 있다. 마찬가지 이유로, 엄지손가락이 담당하는 키버튼(ㅗ, ㅏ, ㅜ)은 가장 아래줄 오른쪽으로 치우쳐 있는 것이다. 이러한, 배열 형상은 오른손키그룹(200)에서도 동일하다.
평면적 위치 뿐만 아니라, 수직 높이의 차이도 있다. 도9를 참조하면, 가장짧은 소지가 담당하는 키버튼(1, ㅎ, ㄷ)의 높이를 가장 높게 하고, 약지와 중지가 담당하는 키버튼(2, ㅁ, ㅇ; 3, ㄱ, ㅅ)의 높이를 가장 아래로 내렸다. 물론, 엄지손가락이 담당하는 키버튼(ㅗ, ㅏ, ㅜ)은 그 길이와 위치상 수직높이가 가장 아래로 되도록 하였다. 물론 이는 오른손키그룹(200)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4. 자판 배열의 설명
한글은 그 체계상 초성, 중성, 종성으로 이루어진다. 초성과 종성에는 자음이 들어가고, 중성에는 모음이 들어간다.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왼손키그룹(100)의 엄지손가락 키버튼을 제외한 키버튼에 초성자음을 배치하되, 19개의 초성자음 중 'ㅊ', 'ㅋ', 'ㅌ', 'ㅍ', 'ㄲ', 'ㄸ', 'ㅃ', 'ㅆ', 'ㅉ'를 제외한 10개로써 모든 자음을 표현하게 하여, 손가락이 움직이는 범위가 넓어지지 않도록 최소화 시켰다.
또한, 오른손키그룹(200)의 엄지손가락 키버튼을 제외한 키버튼에 종성받침을 배치하되, 27개의 종성받침을 10개의 키('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ㅎ')로써 처리하도록 하였다.
중성모음의 경우에도 6개의 키로써 모든 중성을 표현할 수 있게 하였다. 왼손키그룹(100)과 오른손키그룹(200)의 엄지손가락이 담당하는 키버튼에 중성모음을 배치하되, 5개의 모음('ㅗ', 'ㅏ', 'ㅜ', 'ㅓ', 'ㅣ')과 1개의 특수 기능키('')로써 처리하도록 하였다. 이로써, 적은 수의 키버튼으로써 모든 글자를 표현하여 타자속도의 향상이 극대화된다.
초성자음은 윗줄에 'ㅎ,ㅁ,ㄱ,ㅈ,ㄴ'가 있고 그 아래는 'ㄷ,ㅇ,ㅅ,ㅂ,ㄹ'이 배치되어 있다. 나머지 자음중, 격음의 경우에는 'ㅎ'을 함께 치도록 하였고, 경음의 경우에는 'ㅇ'을 함께 치도록 하였다. 예를 들어 'ㅋ'의 경우에는 'ㅎ+ㄱ'을 치면 되고, 'ㄲ'의 경우는 'ㅇ+ㄱ'을 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모든 자음과 모음과 받침을 조합하여 한번에 한글자를 칠 수 있도록 하였다.
초성의 빈도수를 살펴보면 'ㅇ, ㄱ, ㅈ, ㅎ, ㄷ, ㅅ, ㄴ, ㄹ, ㅂ, ㅁ'순이며, 여기에 경음과 격음을 더하면 순위가 좀더 확고해진다. 단, 본 발명에서는 초성 'ㅇ'을 생략하여 입력하도록 구성이 되어 있으므로 초성 'ㅇ'이 가장 빈도수가 적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빈도수를 고려한 배치에서 윗자판의 배치인 'ㅎ,ㅁ,ㄱ,ㅈ,ㄴ'의 순서를 정할 때 가장 빈도수가 많은 글자를 검지로 쳐야 하지만 검지로는 2개의 초성을 담당하도록 하면서, 중지로써 가장 많이 쓰이는 'ㄱ'을 치도록 배치하였으며, 두 번째로 많이 쓰이는 'ㅈ'을 검지로 치도록 하였다. 그리고 소지로는 그 다음으로 많이 쓰이는 'ㅎ'을 치도록 배치하고 가장 치기가 힘든 손가락인 약지는 가장 사용 빈도수가 적은 'ㅁ'을 치도록 배치하였다. 그리고 검지를 옮겨서 쳐야만 하는 위치에는 'ㄴ'을 배치하였다.
아래자판의 'ㄷ,ㅇ,ㅅ,ㅂ,ㄹ'도, 한 단어에서 'ㄷ'이 위치하는 곳이 주로 뒷글자에 많이 위치하게 되므로 첫글자로는 빈도수가 적은 것임을 전제로, 중지로 가장 빈도수가 많은 'ㅅ'을, 검지로 'ㅂ'을, 소지로 'ㄷ'을 치며, 초성 'ㅇ'을 생략함에 따라 가장 빈도수가 적어져서 'ㅇ'을 약지로 치도록 하였다. 그리고 검지를 옮겨서 치는 곳에는 빈도수가 적으면서 첫글자로는 별로 사용되지 않는 'ㄹ'을 배치하였다.
중성에는 'ㅗ,ㅏ,ㅜ,,ㅓ,ㅣ'순으로 배치하였으며, 빈도수보다는 조합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것에 비중을 두어 배치를 하였다. 6개의 자음으로 18개의 자음을 조합하려면 빈도수를 무시할 수밖에 없었다.
만약에 많이 사용되는 'ㅣ'를 앞쪽에 배치를 하면 'ㅔ,ㅐ,ㅟ,ㅚ,ㅞ' 등을 조합하기가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빈도수보다는 조합의 편리성에 중점을 두었다. 즉, 'ㅘ'는 'ㅗ+ㅏ', 'ㅝ'는 'ㅜ+ㅓ' 식으로 조합하며 'ㅑ,ㅕ,ㅛ,ㅠ'는 'ㅏ,ㅓ,ㅗ,ㅜ'에 ''을 조합하여 치면 되도록 하였으며, 이러한 단순한 조합이 아닌 조합으로는 'ㅡ, ㅢ, ㅒ, ㅖ'가 있다. 이 경우에 'ㅡ'는 'ㅏ+ㅓ'로 치며, 'ㅢ'는 'ㅏ+ㅓ+ㅣ'로 치고 'ㅒ'는 'ㅏ++ㅓ'로 'ㅖ'는 'ㅗ+ㅓ+ㅣ'로 조합하여 치도록 하였다.
종성받침은 빈도수가 'ㄹ,ㅇ,ㅅ,ㄴ,ㄱ,ㅁ,ㅂ,ㅈ,ㄷ,ㅎ'순으로 되어 있는데 본 발명의 자판배열은 윗자판이 'ㅎ,ㅇ,ㄹ,ㄱ,ㄷ'이며, 아래자판이 'ㅂ,ㄴ,ㅅ,ㅈ,ㅁ'으로서 가장 많이 쓰이는 'ㄹ'받침을 윗자판의 중지에 배치하였고 그 다음을 검지에 배치하였다. 그리고 다음 순위인 'ㅅ'과 'ㄴ'을 아래자판의 중지와 검지로 치도록 배치하였으며, 나머지는 꼭 빈도수대로 한 것이 아니라 겹받침이나 쌍받침을 치기가 편하도록 배치하였다. 예를 들어, 'ㄺ'받침은 'ㄹ'과 'ㄱ'을 조합하여 치며, 'ㄻ'받침은 'ㄹ'과 'ㅁ'을 조합하여 치도록 하였고, 나머지도 전부 이렇게 조합하여 받침을 만들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키버튼의 개수를 표준 자판보다 줄이기 위하여 도10의 흐름도로 설명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였다. 도10에서, 키입력을 하면 먼저 그 키입력이 초성인지(S10) 중성인지(S30) 종성인지(S50)를 판정한다.
입력된 키가 초성이라면, 한개의 키버튼이 입력된 것인지를 판정하여(S11) 그 단일 키에 대한 키코드를 출력하여 PC본체의 CPU로 보낸다(S12). 만일, 한개의 키버튼이 입력된 것이 아니라면, 그 입력이 'ㅎ'과 함께 입력된 것인지를 판정한다(S13). 이 경우에 'ㅎ'과 'ㅈ'이 동시에 입력된 것이라면(S14) 'ㅊ'에 해당하는 키코드를 출력하고, 'ㅎ'과 'ㄱ'이 동시에 입력된 것이라면(S15) 'ㅋ'에 해당하는 키코드를 출력하고, 'ㅎ'과 'ㄷ'이 동시에 입력된 것이라면(S16) 'ㅌ'에 해당하는 키코드를 출력하고, 'ㅎ'과 'ㅂ'이 동시에 입력된 것이라면(S17) 'ㅍ'에 해당하는 키코드를 출력한다. 만일, 입력된 키가 단계 S13 판정결과 'ㅎ'과 동시에 입력된 것이 아니라, 'ㅇ'과 동시에 입력된 것일 때에는(S18), 'ㅇ'과 'ㄱ'이 동시에 입력된 것이라면(S19) 'ㄲ'에 해당하는 키코드를 출력하고, 'ㅇ'과 'ㄷ'이 동시에 입력된 것이라면(S20) 'ㄸ'에 해당하는 키코드를 출력하고, 'ㅇ'과 'ㅂ'이 동시에 입력된 것이라면(S21) 'ㅃ'에 해당하는 키코드를 출력하고, 'ㅇ'과 'ㅅ'이 동시에 입력된 것이라면(S22) 'ㅆ'에 해당하는 키코드를 출력하고, 'ㅇ'과 'ㅈ'이 동시에 입력된 것이라면(S23) 'ㅉ'에 해당하는 키코드를 출력한다.
한편, 입력된 키입력이 초성자음이 아니고 중성모음인 것으로 판단되면(S30), 한개의 키만 입력된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31). 판단결과, 한 개의 키만 입력된 것이라면 그 키에 해당하는 키코드를 출력한다. 본 발명에서 중성모음으로서 단일 키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도8에서 보듯이 'ㅗ, ㅏ, ㅜ, ㅓ, ㅣ' 5개 뿐이다. 중성모음으로서 단일키를 사용한 것이 아닐 때에는, 그 입력된 키가 'ㅏ'와 ''인지를 판정하여(S32) 'ㅑ'에 해당하는 키코드를 출력하고, 입력된 키가 'ㅓ'와 ''라면(S33) 'ㅕ'에 해당하는 키코드를 출력하고, 입력된 키가 'ㅓ'와 ''라면(S33) 'ㅕ'에 해당하는 키코드를 출력하고, 입력된 키가 'ㅓ'와 ''라면(S33) 'ㅕ'에 해당하는 키코드를 출력하고, 입력된 키가 'ㅗ'와 ''라면(S34) 'ㅛ'에 해당하는 키코드를 출력하고, 입력된 키가 'ㅜ'와 ''라면(S35) 'ㅠ'에 해당하는 키코드를 출력하고, 입력된 키가 'ㅓ'와 ''라면(S33) 'ㅕ'에 해당하는 키코드를 출력하고, 입력된 키가 'ㅓ'와 ''라면(S33) 'ㅕ'에 해당하는 키코드를 출력하고, 입력된 키가 'ㅏ'와 'ㅓ'라면(S36) 'ㅡ'에 해당하는 키코드를 출력하고, 입력된 키가 'ㅏ'와 'ㅓ'와 'ㅣ'라면(S37) 'ㅢ'에 해당하는 키코드를 출력하고, 입력된 키가 'ㅏ'와 ''와 'ㅓ'라면(S38) 'ㅒ'에 해당하는 키코드를 출력하고, 입력된 키가 'ㅗ'와 'ㅓ'와 'ㅣ''라면(S39) 'ㅖ'에 해당하는 키코드를 출력한다. 그리고, 위에서 열거한 조합이외의 키조합이 입력되면(S40), 해당 키의 조합에 의한 표준 복모음 코드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ㅏ'와 'ㅣ'가 입력되었다면 'ㅐ'에 해당하는 키코드를 출력하고, 'ㅜ'와 'ㅓ'가 입력되었다면 'ㅝ'에 해당하는 키코드를 출력하고, 'ㅗ'와 'ㅏ'가 입력되었다면 'ㅘ'에 해당하는 키코드를 출력한다.
입력된 키가 초성자음도 아니고 중성모음도 아니고 종성받침이라면(50), 한 개의 키만 입력된 것인지를 판정하여(S51) 그 키에 해당하는 키코드를 출력한다. 단일키가 입력된 경우가 아니라면, 해당 입력키가 이루는 받침이 한글 맞춤법상의 표준 맞춤법에 맞는지를 판정한다(S52). 표준받침이 맞다면 해당 키조합에 의한 받침을 출력하고, 그렇지 않다면, 에러메시지를 출력하거나 확인요 경고를 한다(S53).
이와 같이, 초성자음이 격음인 경우에는 ㅎ과 자음을 함께 입력하고 경음인 경우에는 ㅇ과 자음을 함께 입력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초성자음에 필요한 키버튼의 수가 10개만 있으면 된다. 또한, 중성모음 5개와 특수기능키 1개를 이용하여 모든 중성모음을 입력할 수 있다.
한편, 종성받침에 대한 알고리즘은 종래의 방식과 유사하지만, 왼손으로는 초성자음만을, 오른손으로는 종성받침만을 취급하고, 양손의 엄지손가락으로는 중성모음을 담당할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종래에 비해 한층 손가락의 역할분담이 확실해진다. 따라서, 한글의 구조에 맞게 손가락을 사용하기 때문에 속기키보드의 숙달도 빨라질 수 있고 타자속도도 빨라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속기키보드에 따르면, 키버튼의 높이를 키보드 케이스와는별도로 수평으로 유지하면서, 각 손가락의 길이를 반영하여 각 키버튼의 높낮이와 평면적 위치를 다르게 배열하였기 때문에, 인체공학적인 키보드가 되어 타자속도와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각 키버튼마다 개별 키스위치를 사용하지 않고, 하나의 키버튼으로 가로대를 누른 상태라면 나머지 키버튼은 매우 약한 힘으로도 누를 수 있는 메카니즘을 적용하여 여러 키를 동시에 누르는 경우에도 전체적인 누름압력이 작아져, 오타율이 감소하며 타이핑이 편안해지고, 타자 소음을 줄일 수 있다.

Claims (22)

  1. 케이스에 키버튼이 배치되는 속기키보드로서,
    주로 문자를 입력하는 키버튼의 그룹인 문자키그룹(10)이 케이스의 중앙부에 집중적으로 배치되고, 각종 기능을 실행하는 키버튼의 그룹인 기능키그룹(20)이 문자키그룹(10)의 주변에 배치되되, 문자키그룹(10)의 키버튼들이 케이스의 경사도와 다르게 수평으로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문자키그룹(10)은
    왼손의 검지.중지.약지.소지가 담당하는 키버튼들과 엄지손가락이 담당하는 키버튼으로 구성되어, 검지.중지.약지.소지로 치는 키버튼에는 초성자음을 할당하고, 엄지손가락으로 치는 키버튼에는 중성모음을 할당하며, 각 열의 키버튼을 잇는 선과, 왼손키그룹(100) 및 오른손키그룹(200) 사이의 중심선이 이루는 각이 약 10~20°를 이루는 왼손키그룹(100)과,
    오른손의 검지.중지.약지.소지가 담당하는 키버튼들과 엄지손가락이 담당하는 키버튼으로 구성되어, 검지.중지.약지.소지로 치는 키버튼에는 종성받침을 할당하고, 엄지손가락으로 치는 키버튼에는 중성모음을 할당하며, 각 열의 키버튼을 잇는 선과, 왼손키그룹(100) 및 오른손키그룹(200) 사이의 중심선이 이루는 각이 약 10~20°를 이루는 오른손키그룹(2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기키보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서,
    왼손키그룹(100)의 키버튼들 중, 왼손의 검지가 담당하는 키버튼은 'ㅈ, ㄴ, ㅂ, ㄹ'이고, 중지가 담당하는 키버튼은 'ㄱ, ㅅ'이고, 약지가 담당하는 키버튼은 'ㅁ, ㅇ'이고, 소지가 담당하는 키버튼은 'ㅎ, ㄷ'이고, 엄지손가락이 담당하는 키버튼은 'ㅗ, ㅏ, ㅜ'이며,
    오른손키그룹(200)의 키버튼들 중, 오른손의 검지가 담당하는 키버튼은 'ㅎ, ㅂ, ㅇ, ㄴ'이고, 중지가 담당하는 키버튼은 'ㄹ, ㅅ'이고, 약지가 담당하는 키버튼은 'ㄱ, ㅈ'이고, 소지가 담당하는 키버튼은 'ㄷ, ㅁ'이고, 엄지손가락이 담당하는 키버튼은 'ㅓ, ㅣ'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기키보드.
  5. 청구항 4에서,
    왼손키그룹(100)의 중지가 담당하는 키버튼과 약지가 담당하는 키버튼이 평면상에서 가장 위에 위치하고, 엄지가 담당하는 키버튼이 평면상에서 가장 아래에 위치하며,
    오른손키그룹(200)의 중지가 담당하는 키버튼과 약지가 담당하는 키버튼이 평면상에서 가장 위에 위치하고, 엄지가 담당하는 키버튼이 평면상에서 가장 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기키보드.
  6. 청구항 5에서,
    왼손키그룹(100)의 소지가 담당하는 키버튼의 수직 높이가 가장 높고, 엄지손가락이 담당하는 키버튼의 수직높이가 가장 낮으며,
    오른손키그룹(200)의 소지가 담당하는 키버튼의 수직 높이가 가장 높고, 엄지손가락이 담당하는 키버튼의 수직높이가 가장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기키보드.
  7. 각종 문자가 인쇄되어 있는 키버튼을 눌러서 PC에 키신호를 입력하는 속기키보드에서,
    키막대축(31)이 속기키보드의 가로 방향으로 길게 위치하고,
    다수의 키막대(33)가 상기 키막대축을 회전축으로 회전되도록 결합되는데, 각 키막대의 일측에는 문자가 인쇄된 키버튼(35)이 부착되고, 키막대축을 기준으로 했을 때 키버튼과의 반대측에는 키버튼을 누를 때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스위치작동부(39)가 형성되어 있고,
    키막대(33)에는, 평상시에 키버튼(35)이 정위치에 위치하도록 키막대 용수철(41)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키막대축(31)과 평행하게 가로대축(43)이 설치되고,
    판형의 가로대(45)가 가로로 길게 상기 가로대축(43)에 회전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키막대(33)와 접촉하고 있다가 키버튼(35)을 누르면 키막대(33)와 함께 가로대축(43)을 중심으로 하여 아래로 내려가고,
    가로대(45)에는 가로대 용수철(49)이 부착되어 평상시에 가로대(45)가 키막대(33)와 접촉하도록 하고,
    가로대(45)의 아래에는 가로대멈치(47)가 설치되어, 키막대(33)에 의해 가로대(45)가 내려오는 한계점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기키보드.
  8. 청구항 7에서, 상기 키막대(33)의 키막대축(31)과 키버튼(35) 사이에 위치하여 다수의 키막대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고 키막대가 좌우로 유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제1가이드판(51)과, 상기 키막대(33)의 키막대축(31)과 스위치작동부(39) 사이에 위치하여 다수의 키막대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고 키막대가 좌우로 유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제2가이드판(53)이 추가로 포함되는 속기키보드.
  9. 청구항 7 또는 8에서, 상기 키막대(33)의 키막대축(31)과 스위치작동부(39) 사이에는 키막대의 키버튼(35)을 눌렀다가 놓을 때 키막대(33)의 원위치 복귀 한계점을 규제하는 용수철판(42)이 설치되어, 키막대(33)의 스위치작동부(39) 부근에 형성된 훅(40)과 용수철판(42) 사이에 상기 키막대 용수철(41)이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기키보드.
  10. 청구항 9에서, 상기 가로대(45)와 키막대(33)와의 접촉부에는 충격흡수재(44)가 부착되어, 키막대(33)와 가로대(45) 사이의 접촉음을 완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기키보드.
  11. 청구항 10에서, 가로대멈치(47)와 가로대(45)와의 접촉부에 충격흡수재(48)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기키보드.
  12. 청구항 11에서, 키막대(33)와 용수철판(42) 사이의 접촉부에 충격흡수재(38)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기키보드.
  13. 청구항 12에서, 키막대(33)의 스위치작동부(39)에 인접하여 택트스위치(37)가 설치되어, 키버튼(35)을 누를 때에 스위치작동부(39)에 의해 택트스위치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기키보드.
  14. 청구항 12에서, 키막대(33)의 스위치작동부(39)에 인접하여 광센서(37')가 설치되어, 키버튼(35)을 누를 때에 스위치작동부(39)에 의해 광센서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기키보드.
  15. 청구항 10에서,
    상기 다수의 키버튼(35)은 전체적으로 수평으로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기키보드.
  16. 청구항 15에서,
    상기 다수의 키버튼(35)은 왼손이 담당하는 왼손키그룹(100)과 오른손이 담당하는 오른손키그룹(200)으로 구성되며,
    왼손키그룹(100)은 왼손의 검지.중지.약지.소지가 담당하는 키버튼들과, 엄지손가락이 담당하는 키버튼으로 구성되어, 검지.중지.약지.소지로 치는 키버튼에는 초성자음을 할당하고, 엄지손가락으로 치는 키버튼에는 중성모음을 할당하며,
    오른손키그룹(200)은 오른손의 검지.중지.약지.소지가 담당하는 키버튼들과, 엄지손가락이 담당하는 키버튼으로 구성되어, 검지.중지.약지.소지로 치는 키버튼에는 종성받침을 할당하고, 엄지손가락으로 치는 키버튼에는 중성모음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기키보드.
  17. 청구항 16에서,
    왼손키그룹(100)에는 각 키버튼이 행렬로 배열되는데, 각 열의 키버튼을 잇는 선과, 왼손키그룹(100) 및 오른손키그룹(200) 사이의 중심선이 이루는 각이 약10~20°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오른손키그룹(200)에는 각 키버튼이 행렬로 배열되는데, 각 열의 키버튼을 잇는 선과, 왼손키그룹(100) 및 오른손키그룹(200) 사이의 중심선이 이루는 각이 약 10~20°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기키보드.
  18. 청구항 17에서,
    왼손키그룹(100)의 키버튼들 중, 왼손의 검지가 담당하는 키버튼은 'ㅈ, ㄴ, ㅂ, ㄹ'이고, 중지가 담당하는 키버튼은 'ㄱ, ㅅ'이고, 약지가 담당하는 키버튼은 'ㅁ, ㅇ'이고, 소지가 담당하는 키버튼은 'ㅎ, ㄷ'이고, 엄지손가락이 담당하는 키버튼은 'ㅗ, ㅏ, ㅜ'이며,
    오른손키그룹(200)의 키버튼들 중, 오른손의 검지가 담당하는 키버튼은 'ㅎ, ㅂ, ㅇ, ㄴ'이고, 중지가 담당하는 키버튼은 'ㄹ, ㅅ'이고, 약지가 담당하는 키버튼은 'ㄱ, ㅈ'이고, 소지가 담당하는 키버튼은 'ㄷ, ㅁ'이고, 엄지손가락이 담당하는 키버튼은 'ㅓ, ㅣ'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기키보드.
  19. 청구항 18에서,
    왼손키그룹(100)의 중지가 담당하는 키버튼과 약지가 담당하는 키버튼이 평면상에서 가장 위에 위치하고, 엄지가 담당하는 키버튼이 평면상에서 가장 아래에 위치하며,
    오른손키그룹(200)의 중지가 담당하는 키버튼과 약지가 담당하는 키버튼이평면상에서 가장 위에 위치하고, 엄지가 담당하는 키버튼이 평면상에서 가장 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기키보드.
  20. 청구항 19에서,
    왼손키그룹(100)의 소지가 담당하는 키버튼의 수직 높이가 가장 높고, 엄지손가락이 담당하는 키버튼의 수직높이가 가장 낮으며,
    오른손키그룹(200)의 소지가 담당하는 키버튼의 수직 높이가 가장 높고, 엄지손가락이 담당하는 키버튼의 수직높이가 가장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기키보드.
  21. 삭제
  22. 삭제
KR1019990057449A 1999-12-14 1999-12-14 속기키보드 KR100341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7449A KR100341969B1 (ko) 1999-12-14 1999-12-14 속기키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7449A KR100341969B1 (ko) 1999-12-14 1999-12-14 속기키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6048A KR20010056048A (ko) 2001-07-04
KR100341969B1 true KR100341969B1 (ko) 2002-06-26

Family

ID=19625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7449A KR100341969B1 (ko) 1999-12-14 1999-12-14 속기키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19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882Y1 (ko) * 2001-08-08 2001-12-01 홍우표 유니버살 단축자판
US8096714B2 (en) * 2006-10-31 2012-01-17 Advantage Technology And Innovations, Inc. Stenographic keyboard device providing extended set of keys and method for electronically adjusting key depth sensitivity
KR100796276B1 (ko) * 2005-12-15 2008-01-21 주식회사 한국스테노 백스페이스기능이 부가된 속기키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6048A (ko) 2001-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8474B1 (en) Computer keyboard having full-sized keys suitable for touch typing and thumb operable space key also acting as a shift key
CA1336418C (en) One-handed keyboard
US5661505A (en) Single hand-controlled computer input device
US6541715B2 (en) Alphanumeric keyboard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CN101196779B (zh) 具有波浪形键高度变化以适应自然手指位置的弯曲键盘
EP0045307B1 (en) Keyboards and methods of operating keyboards
US20060012574A1 (en) Data entry device
CA2466891A1 (en) Rounded keypad
US20010013859A1 (en) Palm top computer keyboard having full-sized keys suitable for touch-typing
US7928963B2 (en) Input device
JPH08137593A (ja) キーボード装置
US6142687A (en) One handed sequential alpha numerical keyboard
KR20040101560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KR100341969B1 (ko) 속기키보드
WO2009076527A1 (en) Telephone keypad based on tripods
US9666390B2 (en) Keyboard containing keys having sequential switching capacities
US5626427A (en) Keyboard with transverse thumb activated cursor control
JP4713681B1 (ja) 足用入力装置
GB2071578A (en) Keyboards and methods of operating keyboards
KR100404752B1 (ko) 다접점스위치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다접점스위치의문자배열방법
JPH075965A (ja) 片手で操作できる文字入力装置
CN1070300C (zh) 中式103键计算机键盘
KR200419119Y1 (ko) 한글 입력용 키패드
US20090289816A1 (en) One-handed computer input device comprising finger array input controls
KR200193867Y1 (ko) 편리한 컴퓨터 키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0321

Effective date: 20081008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