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9054B1 - 식품위해 세균들에 대해 탁월한 살균효과를 갖는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로 된 살균제 및 그 살균제가 첨가된 세제 - Google Patents

식품위해 세균들에 대해 탁월한 살균효과를 갖는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로 된 살균제 및 그 살균제가 첨가된 세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9054B1
KR100339054B1 KR1019990040419A KR19990040419A KR100339054B1 KR 100339054 B1 KR100339054 B1 KR 100339054B1 KR 1019990040419 A KR1019990040419 A KR 1019990040419A KR 19990040419 A KR19990040419 A KR 19990040419A KR 100339054 B1 KR100339054 B1 KR 100339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teria
cetylpyridinium chloride
food
bactericidal effect
ad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0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5405A (ko
Inventor
김용철
이재현
박홍양
Original Assignee
김용철 박홍양
(주)지텍 바이오 메디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철 박홍양, (주)지텍 바이오 메디컬 filed Critical 김용철 박홍양
Priority to KR1019990040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9054B1/ko
Publication of KR20000075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5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9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90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3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01N43/4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six-membered ring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14Preserv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4/02 or A23B4/12
    • A23B4/18Preserv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4/02 or A23B4/12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B4/20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s;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5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L3/3463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s; Enzymes
    • A23L3/352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48Medical, disinfecting agents, disinfecting, antibacterial, germicidal or antimicrobial composi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Preservation Except Freezing, Refrigeration, And Drying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식품의 위생상태를 나타내는 오염지표 세균 및 식중독 원인균들에 대해 탁월한 살균효과를 갖는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로 된 살균제와 그 살균제가 첨가된 세제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로 된 살균제는 먹는 샘물, 젖소의 원유, 동물성 및 식물성 식품 및 식품원료 등에 존재하는 저온 세균, 중온 세균, 내열성 세균, 대장균, 장 구균, 포도상 구균 등 식품의 오염지표 세균과 장염 비브리오, 살모넬라, 대장균 O157:H7, 황색 포도상 구균, 클로스트리디움, 리스테리아 등의 식중독 원인균에 대해 탁월한 살균효과를 가진다. 또한,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로 된 살균제를 광범위한 분야에 응용할 목적으로 세제 등에 첨가함으로써 상술한 모든 세균들에 대해 살균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식품위해 세균들에 대해 탁월한 살균효과를 갖는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로 된 살균제 및 그 살균제가 첨가된 세제 {Cetylpyridinium chloride bactericide having excellent bactericidal effect on food-born pathogens and detergent containing the bactericide}
본 발명은 식품위해 세균에 대해 탁월한 살균효과를 갖는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cetylpyridinium chloride)로 된 살균제와 그 살균제가 첨가된 세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먹는 샘물, 젖소의 원유, 동물성 및 식물성 식품 및 이들 식품의 원료 등에 존재하는 저온세균, 중온세균, 내열성세균, 대장균, 장 구균, 포도상 구균 등의 식품의 오염지표세균과 장염 비브리오, 살모넬라, 대장균 O157:H7, 황색 포도상 구균, 클로스트리디움, 리스테리아 등의 식중독 원인균에 대해 탁월한 살균효과를 나타내는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로 된 살균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로 된 살균제를 광범위한 분야에 응용할 목적으로 세제 등에 첨가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는 4원소 암모늄 화합물이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물질로서 국내외적으로 30년 이상 치아에 생성되는 프라그 및 입냄새 제거를 위한 구강 청결제로 이용되어 인체에 무해한 화학물질로 널리 알려져 있다. 현재까지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의 구강내 존재하는 미생물에 대한 살균효과는 알려져 있으나 구강내 존재하는 미생물과 상이한 식품내의 오염지표 세균 및 식중독 원인균에 대한 연구는 알려져 있지 않다.
다양한 식품을 안전하게 공급받고자 하는 인간의 욕구는 건강한 생활을 지속적으로 영위하고자 하는 것이며 따라서 위생적인 식품생산을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소득의 증가와 함께 소비가 증가되는 동물성 식품은 풍부한 영양소를 포함하고 있어 미생물들의 증식이 매우 활발하며 따라서 인체에 유해한 세균들이 존재할 수 있는 기회가 매우 높다. 식물성 식품의 경우 동물성 식품에 비해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인체에 유해한 세균들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식물성 식품은 가열이나 특별한 조리과정 없이 원료식품이 그대로 섭취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직접적으로 인체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비록 식물성 식품이 인체에 유해한 세균들에 의해 오염되지 않았다 하더라도 유해한 세균에 오염된 동물성 식품을 다룬 칼, 도마, 작업자의 손 등을 살균하지 않고 식물성 식품을 처리시 식물성 식품을 오염시키며 이러한 식물성 식품을 가열이나 조리과정을 거치지 않고 섭취할 경우 사람의 건강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식품에 있어 오염지표 세균은 식품의 위생상태를 나타내며 이러한 세균들은 식품의 부패 및 변질을 일으켜 식품의 유통기간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지표로 이용된다. 식중독은 식품이나 물을 매개로 하여 발생하는 급성 위장염 및 신경장애 등의 중독증상의 총칭으로 우리나라의 경우 식중독 발생의 대부분은 세균성 식중독에 기인하며, 세균성 식중독은 살모넬라, 장염 비브리오, 대장균 O157:H7, 캄프로박터, 여시니아 등을 포함하는 감염형, 황색 포도상 구균, 보툴리누스균을 포함하는 독소형, 클로스트리디움(Clostridium perfringens), 세레우스균을 포함하는 감염 독소형, 세균성 이질, 리스테리아, 연쇄상 구균, 슈도모나스 등을 포함하는 기타로 구분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식중독 세균은 감염형인 살모넬라, 장염 비브리오와 독소형인 황생 포도상 구균이 대표적이다.
식품에서 유래된 유해 미생물에 대해 높은 살균력을 갖는 살균제들은 일반적으로 살균력이 뛰어날수록 인체에 미치는 유해성의 정도가 증가하여 이들의 사용은 매우 제한적이며 인체에 저독성이며 높은 살균력을 갖는 새로운 물질의 발굴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본 발명자는 인체에 무해한 것으로 이미 알려져 있는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가 구강내에 존재하는 미생물과 전혀 다른 식품의 부패 및 변질 등 식품 위생상태의 지표가 되는 오염지표 세균 및 사람의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식중독 원인균들에 대해 탁월한 살균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밝힘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식품에서 유래된 유해 미생물에 대해 뛰어난 살균력을 갖는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로 된 살균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로 된 살균제가 첨가된 세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로 된 살균제는 저온성 세균, 중온성 세균, 내열성 세균, 대장균, 장 구균, 포도상 구균 등의 오염지표 세균과 장염 비브리오, 살모넬라, 대장균 O157:H7, 황색 포도상 구균, 클로스트리디움, 리스테리아 등의 식중독 원인균에 대해 살균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로 된 살균제와 그 살균제가 첨가된 세제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를 물에 용해시킨 후 먹는 샘물, 젖소의 원유, 동물성 및 식물성 식품 및 식품의 원료 등에 존재하는 저온세균, 중온세균, 내열성 세균, 대장균, 장 구균, 포도상 구균 등의 오염지표 세균과 장염 비브리오, 살모넬라, 대장균 O157:H7, 황색 포도상 구균, 클로스트리디움, 리스테리아 등의 식중독 원인균 등에 대해 완벽한 살균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의 활용방안으로 세제에 첨가하여 처리하게 되면 위에서 언급한 모든 세균들에 대해 매우 높은 살균효과를 보인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오염지표 세균에 대한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의 살균효과
시료
식품 및 식품재료는 재래시장, 슈퍼마켓 및 백화점에서 구입하였으며, 동물성 식품 및 원료는 돈육 및 계육을 사용하였으며, 식물성 식품 및 원료는 채소류에 있어 상추, 배추, 치커리, 과일류는 포도와 사과를 사용하였으며, 어패류는 조개류를 사용하였다. 젖소의 원유는 서울 근교의 목장에서 직접 수집한 원유를 사용하였다. 먹는 샘물의 경우는 약수터에서 채취하였으며, 수거된 모든 시료는 4℃의 냉장상태로 수송되어 도착 즉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시료처리
먹는 샘물과 원유를 제외한 식품의 경우 멸균된 펩톤워터(배지 1리터당 포함된 성분: 10g peptone, 5g sodium chloride)가 함유된 멸균면봉을 사용하여 30cm2면적의 표면으로부터 세균을 채취한 후 5㎖의 멸균된 펩톤워터에 침지하여 거세게 5분간 흔들어 균들을 면봉으로부터 펩톤워터내로 이탈시킨 후 실험에 이용하였다. 먹는 샘물과 원유는 펩톤워터에 희석없이 원액을 직접 실험에 사용하였다. 위와같이 준비된 시료는 대조군으로 명명하였으며 실험군 1의 경우는 식품을 대조군과는 달리 0.1%의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 표면에 충분히 분사한 후 펩톤워터가 함유된 멸균면봉을 사용하여 대조군과 동일한 방법으로 균을 채취하였다. 먹는 샘물과 원유의 경우는 이들에 직접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를 첨가하여 최종농도가 0.1%가 되도록 하였다. 실험군 2의 경우는 1%의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와 함께 시판되는 주방용 세제 0.1%를 첨가한 후 펩톤워터가 함유된 멸균면봉을 사용하여 대조군과 동일한 방법으로 균을 채취하였으며 먹는 샘물과 원유의 경우는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와 주방용 세제를 각각 최종농도가 1%와 0.1%가 되도록 하였다.
세균 배양배지 및 배양방법
(1) 저온성 세균, 중온성 세균, 내열성 세균
저온성 세균의 경우 멸균된 펩톤워터에 10배 단계로 희석한 시료 1㎖씩을 멸균 페트리디쉬에 접종하고 멸균후 47℃로 식힌 표준한천배지(배지 1리터당 포함된 성분: 5.0g tryptone, 2.5g yeast extract, 1.0g dextrose, 15g agar, pH 7.0)를 15-20㎖ 붓고 시료와 잘 혼합한 후 굳힌다. 응고된 후, 약 2㎖의 47℃ 동일배지를 도포한 후 응고시켜 20℃에서 72시간 배양한 후, 30-300개의 집락을 형성하는 평판으로부터 집락수를 계수하고 희석배율을 곱하여 균수를 산정하였다. 중온성 세균의 경우는 저온성 세균과 동일한 조건에서 실시하여 균수를 산정하였으며 차이는 배양조건으로서 35℃에서 48시간이다. 내열성 세균은 시료원액을 80℃에서 10분간 가열처리한 후 펩톤워터를 이용하여 10배 단계로 희석한 후 저온성 세균과 동일한 조건에서 실시하였으며 배양조건은 37℃에서 48시간 배양하여 저온성 세균의 경우와 같은 방법으로 균수를 산정하였다.
(2) 대장균
멸균된 펩톤워터에 10배 단계로 희석한 시료 1㎖씩을 멸균 페트리디쉬에 접종하고 멸균후 47℃로 식힌 바이오렛 레드 바일 배지(배지 1리터당 포함된 성분: 3g yeast extract, 7g peptone, 1.5g bile salt No. 3, 10g lactose, 5g sodium chloride, 0.03g neutral red, 0.002g crystal violet, 15g agar)를 15-20㎖ 붓고 시료와 잘 혼합한 후 굳힌다. 응고된 후 약 2㎖의 동일배지를 도포한 후 응고시켜 37℃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30-300개의 집락을 형성하는 평판으로부터 집락수를 계수하고 희석배율을 곱하여 균수를 산정하였다.
(3) 장 구균
멸균된 펩톤워터에 10배 단계로 희석한 시료들 각각을 멸균된 Bacto SF 평판배지(1 리터당 포함된 성분 : 20g tryptone, 5g dextrose, 4g dipotassium phosphate, 1.5g monopotassium phosphate, 5g sodium chloride, 0.5g sodium azide, 0.032g bacto from cresol purple, 20g agar) 표면에 균일하게 도포하여 45.5℃에서 45-48시간 배양한 후, 30-300개의 집락을 형성하는 평판으로부터 집락수를 계수하고 희석배율을 곱하여 균수를 산정하였다.
(4) 포도상 구균
멸균된 펩톤워터에 10배 단계로 희석한 시료들 각각을 멸균된 베어드-파커 아가 평판배지(1 리터당 포함된 성분 : 10g tryptone, 5g beef extract, 1g yeast extract, 10g sodium pyruvate, 12g glycine, 5g lithium chloride·6H2O, 5㎖bacto EY tellurite enrichment, 20g agar) 표면에 균일하게 도포하여 35℃에서 45-48시간 배양한 후, 30-300개의 집락을 형성하는 평판으로부터 집락수를 계수하고 희석배율을 곱하여 균수를 산정하였다.
시료내 저온세균, 중온세균, 내열성 세균수
저온 세균수는 대조군의 경우 원유는 10/㎖, 돈육은 100/cm2, 계육은 400/cm2, 조개류는 100/cm2, 먹는 샘물은 10/㎖, 상추, 배추, 치커리, 포도, 사과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 0.1%가 포함된 실험군 1과 2에서는 모든 시료에서 저온 세균이 사멸되어 발견되지 않았다. 시료가 없는 단순배양상태에서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의 살균효과를 검사하기 위하여 먹는 샘물에서 분리한 균들을 펩톤워터에서 거세게 혼합한 후 대조군은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를 첨가하지 않았으며 실험균은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를 첨가하여 1분간 20℃에서 거세게 혼합한 후 시료와 동일한 방법으로 배양하여 균수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의 경우는 1×107/㎖이 검출되었으나 0.001% 이상의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를 함유한 경우는 사멸되어 검출되지 않았다.
중온 세균수는 대조군의 경우 원유는 2×104/㎖, 돈육과 계육은 각각 1.2×105/cm2, 3×105/cm2, 상추, 배추, 치커리는 각각 3×103/cm2, 7×103/cm2,1×104/cm2, 포도, 사과는 각각 2×103/cm2, 1.5×103/cm2, 조개류는 1×105/cm2, 먹는 샘물은 20/㎖이 검출되었다. 그러나,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가 함유된 실험군 1과 2에서는 균들이 사멸되어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시료가 없는 단순배양 상태에서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의 살균효과를 검사하기 위하여 돼지고기에서 분리한 균들을 펩톤워터에서 거세게 혼합한 후 대조군은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를 첨가하지 않았으며 실험군은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를 첨가하여 1분간 35℃에서 거세게 혼합한 후 시료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대조군의 경우는 1×109/㎖이 검출되었으나 0.001% 이상의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를 함유한 경우는 사멸되어 검출되지 않았다.
내열성 세균수는 대조군의 경우 원유는 5/㎖, 돈육, 계육은 각각 25/cm2, 28/cm2, 상추는 2/cm2, 치커리는 1/cm2, 포도는 3/cm2, 사과는 2/cm2, 먹는 샘물은 3/㎖, 조개류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가 첨가된 실험군 1과 2에서는 내열성 세균이 사멸되어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시료가 없는 단순배양 상태에서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의 살균효과를 검사하기 위하여 돼지고기에서 분리한 균들을 펩톤워터에서 거세게 혼합한 후 대조군은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를 첨가하지 않았으며 실험군은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를 첨가하여 1분간 80℃에서 거세게 혼합한 후 시료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과 조건에서 실시하였다. 대조군의 경우는 1×103/㎖이 검출되었으나 0.001% 이상의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를 함유한 경우는 사멸되어 검출되지 않았다.
시료내 대장균수
대조군의 경우 원유는 1×103/㎖, 돈육, 계육은 각각 1×103/cm2, 5×102/cm2, 상추, 배추, 치커리는 각각 500/cm2, 400/cm2, 350/cm2, 포도, 사과는 각각 100/cm2, 130/cm2, 조개류는 5×102/cm2, 먹는 샘물은 500/㎖이 검출되었다.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가 첨가된 실험군 1과 2에서는 모든 시료에서 대장균이 사멸되어 검출되지 않았다. 시료가 없는 단순배양 상태에서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의 살균효과를 검사하기 위하여 닭고기에서 분리한 대장균들을 펩톤워터에서 거세게 혼합한 후 대조군은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를 첨가하지 않았으며 실험군은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를 첨가하여 1분간 37℃에서 거세게 혼합한 후 시료와 동일한 방법으로 배양을 실시하였다. 대조군의 경우는 2×109/㎖이 검출되었으나 0.001% 이상의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를 함유한 경우는 사멸되어 검출되지 않았다.
시료내 장 구균수
대조군에 있어서 원유는 100/㎖, 돈육, 계육은 각각 150/cm2, 300/cm2, 상추, 배추, 치커리는 각각 3/cm2, 4/cm2, 2/cm2, 포도, 사과는 각각 3/cm2, 2/cm2, 조개류는 10/cm2가 검출되었으며 먹는 샘물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그러나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가 첨가된 실험군 1과 2에서는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시료가 없는 단순배양 상태에서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의 살균효과를 검사하기 위하여 돼지고기에서 분리한 균들을 펩톤워터에서 거세게 혼합한 후 대조군은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를 첨가하지 않았으며 실험군은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를 첨가하여 1분간 45.5℃에서 거세게 혼합한 후 동일한 조건에서 배양을 실시하였다. 대조군의 경우는 1×103/㎖이 검출되었으나 0.001% 이상의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를 함유한 경우는 사멸되어 검출되지 않았다.
시료내 포도상 구균수
대조군에 있어서 돈육과 계육은 각각 20/cm2, 35/cm2, 상추, 배추, 치커리는 각각 4/cm2, 5/cm2, 3/cm2, 원유는 1×103/㎖이 검출되었으며 먹는 샘물, 조개류, 포도, 사과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그러나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가 첨가된 실험군 1과 2에서는 모든 시료에서 사멸되어 검출되지 않았다. 시료가 없는 단순배양 상태에서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의 살균효과를 검사하기 위하여 원유에서 분리한 균들을 펩톤워터에서 거세게 혼합한 후 대조군은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를 첨가하지 않았으며 실험군은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를 첨가하여 1분간 35℃에서 거세게 혼합한 후 시료와 동일한 방법으로 배양을 실시하였다. 대조군의 경우는 1×104/㎖이 검출되었으나 0.001% 이상의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를 함유한 경우는 사멸되어 검출되지 않았다.
실시예 2
식중독 원인균에 대한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의 살균효과
식중독 원인균의 종류
감염형 식중독 세균으로는 장염 비브리오(Vibrio parahaemolyticus: ATCC 33844), 살모넬라(Salmlnella typhimurium: ATCC 14028), 대장균 O157:H7(Escherichia coli: ATCC 43890), 독소형 식중독 세균으로는 황색 포도상 구균(Stapylococcus aureus: ATCC 25923), 감염독소형 식중독 세균으로는 클로스트리디움(Clostridium perfringens: ATCC 13124), 기타 식중독 세균으로는 리스테리아(Listeria monocytogenes: ATCC 49345)을 원자력 연구소, 국립보건원, 미국 미생물 보존센터(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로부터 분양받아 실시하였다.
식중독 원인균의 배양조건
(1) 장염 비브리오균은 티씨비에스 한천배지(배지 1l에 포함된 성분 : 5g yeast extract, 10g peptone, 10g sodium citrate, 10g sodium thiosulfate, 5g oxgall, 3g sodium cholate, 20g sucrose, 10g sodium chloride, 1g ferrous citrate, 0.04g brom thymol blue, 0.04g thymol blue, 15g agar)에 접종하여 35℃에서 18-24시간 배양했다.
(2) 황색 포도상 구균은 난황 첨가 만니톨 식염 한천배지(배지 1l에 포함된 성분 : 2.5g beef extract, 10g peptone, 10g mannitol, 75g sodium chloride, 25mg phenol red, 15g agar, 50g egg yolk)에 접종하여 37℃에서 16-24시간 배양했다.
(3) 클로스트리디움균은 카나마이신을 200μm/㎖의 농도로 가한 난황 첨가 CW 한천배지(배지 1l당 포함된 성분 : 5g heart infusion, 10g casein peptone, 10g proteose peptone, 5g sodium chloride, 10g lactose, 50mg phenol red, 20g agar, 50g egg yolk)에 접종하여 35℃에서 18-24시간 혐기배양하였다.
(4) 살모넬라균은 헥토인 엔테릭 한천배지 (배지 1리터당 포함된 성분 : 12g peptic digest of animal tissue, 3g yeast extract, 9g bile salt, 12g lactose, 12g sucrose, 2g salicin, 5g sodium chloride, 5g sodium thiosulfate, 1.5g ferric ammonium citrate, 0.064g bromthymol blue, 0.1g acid fuchsin, 13.5g agar)에 100μl를 도포하여 37℃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5) 리스테리아균은 옥스퍼드 한천배지 (배지 1리터당 포함된 성분 : 39g columbia blood agar base, 1g esculin, 0.5g ferric ammonium citrate, 15g lithium chloride, 0.4g cycloheximide, 0.02g colistin sulfate, 0.005g acriflavin, 0.002g cefotetan, 0.01g fosfomycin)에 도포하여 35℃에서 48시간 배양하였다.
(6) 대장균 O157:H7균은 소비톨-맥콘키 한천배지 (배지 1리터당 포함된 성분: 17g peptone, 3g protease peptone No. 3, 10g sorbitol, 1.5g bile salt, 5g sodium chloride, 0.03g neutral red, 0.001g crystal violet, 15g agar)에 100μl를 도포하여 35℃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장염 비브리오균에 대한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의 살균효과
장염비브리오균을 펩톤워터에 혼합한 후 대조군은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를 첨가하지 않았으며 실험군은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를 첨가하였다. 35℃에서 1분간 정치한 후 펩톤워터에 10배 단계로 희석한 시료 100μl를 티씨비에스 한천배지에 도포하여 배양을 실시하였다. 대조군은 2×106이 검출되었으나 0.001% 이상의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를 첨가한 경우는 사멸되어 검출되지 않았다. 식품의 예로는 배양된 장염 비브리오균을 멸균 면봉에 침지시킨 후 조갯살 및 상추의 표면에 도포하였다. 대조군의 경우는 펩톤워터에 침지시킨 후 초음파기를 사용하여 초음파(frequency: 47KHz)를 1분간 조사한 후 펩톤워터에 침지시킨 멸균 면봉으로 조갯살 및 상추의 표면을 문질러 균을 채취한 후 펩톤워터와 혼합하였다. 실험군은 조갯살을 0.1%의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에 침지시킨 후 대조군과 동일한 방법으로 초음파를 사용한 후 대조군과 동일한 방법으로 균을 채취하였다. 펩톤워터에 10배 단계로 희석한 시료 100μl를 티씨비에스 한천배지에 도포한 후 배양하여 균수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조갯살에서 1×102/cm2, 상추에서 80/cm2이 검출되었으나 실험군은 멸균되어 검출되지 않았다.
황색 포도상 구균에 대한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의 살균효과
황색 포도상 구균을 펩톤워터와 혼합한 후 대조군은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를 첨가하지 않았으며 실험군은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를 첨가하였다. 37℃에서 1분간 정치한 후 펩톤워터에 10배 단계로 희석한 시료 100μl를 난황첨가 만니톨 식염한천배지에 도포하여 배양을 실시하였다. 대조군은 3×105이 검출되었으나 0.001% 이상의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를 첨가한 경우는 사멸되어 검출되지 않았다. 식품의 예로는 배양된 황색 포도상 구균을 멸균 면봉에 침지시킨 후 계육 및 사과의 표면에 도포하였다. 대조군과 실험군은 장염 비브리오균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균을 채취하였다. 펩톤워터에 10배 단계로 희석한 시료 100μl를 난황첨가 만니톨 식염한천배지에 도포한 후 배양하여 균수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계육의 경우 1×103/cm2, 사과에서는 30/cm2이 검출되었으나 실험군은 멸균되어 검출되지 않았다.
클로스트리디움균에 대한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의 살균효과
클로스트리디움균을 펩톤워터와 혼합한 후 대조군은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를 첨가하지 않았으며 실험군은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를 첨가하였다. 35℃에서 1분간 정치한 후 펩톤워터에 10배 단계로 희석한 시료 100μl를 난황첨가 CW 한천배지에 도포하여 위에서 언급한 조건에서 배양을 실시하였다. 대조군은 1×103이 검출되었으나 0.001% 이상의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를 첨가한 경우는사멸되어 검출되지 않았다. 식품의 예로는 배양된 클로스트리디움균을 멸균 면봉에 침지시킨 후 돈육의 표면에 도포하였다. 대조군과 실험군은 장염 비브리오균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균을 채취하였다. 펩톤워터에 10배 단계로 희석한 시료 100μl를 티씨비에스 한천배지에 도포한 후 배양하여 균수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1.5×102/㎖이 검출되었으나 실험군은 멸균되어 검출되지 않았다.
살모넬라균에 대한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의 살균효과
살모넬라균을 펩톤워터와 혼합한 후 대조군은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를 첨가하지 않았으며 실험군은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를 첨가하였다. 35℃에서 1분간 정치한 후 펩톤워터에 10배 단계로 희석한 시료 100μl를 헥토인 엔테릭 한천배지에 도포하여 위에서 언급한 조건에서 배양을 실시하였다. 대조군은 2×105이 검출되었으나 0.001% 이상의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를 첨가한 경우는 사멸되어 검출되지 않았다. 배양된 살모넬라균을 멸균 면봉에 침지시킨 후 돼지고기, 상추, 포도의 표면에 도포하였다. 대조군과 실험군은 장염 비브리오균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균을 채취하였다. 펩톤워터에 10배 단계로 희석한 시료 100μl를 헥토인 엔테릭 한천배지에 도포한 후 배양하여 균수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돼지고기, 상추, 포도에서 각각 1×103/cm2, 200/cm2, 10/cm2이 검출되었으나 실험군은 멸균되어 검출되지 않았다.
리스테리아균에 대한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의 살균효과
리스테리아균을 펩톤워터와 혼합한 후 대조군은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를 첨가하지 않았으며 실험군은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를 첨가하였다. 35℃에서 1분간 정치한 후 펩톤워터에 10배 단계로 희석한 시료 100μl를 옥스포드 한천배지에 도포하여 위에서 언급한 조건에서 배양을 실시하였다. 대조군은 5×105이 검출되었으나 0.001% 이상의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를 첨가한 경우는 사멸되어 검출되지 않았다. 배양된 리스테리아균을 멸균 면봉에 침지시킨 후 닭고기, 치커리, 배추의 표면에 도포하였다. 대조군과 실험군은 장염 비브리오균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균을 채취하였다. 펩톤워터에 10배 단계로 희석한 시료 100μl를 옥스포드 한천배지에 도포한 후 배양하여 균수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닭고기, 치커리, 배추에서 각각 600/cm2, 50/cm2, 90/cm2이 검출되었으나 실험군은 멸균되어 검출되지 않았다.
대장균 O157:H7균에 대한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의 살균효과
대장균 O157:H7균을 펩톤워터와 혼합한 후 대조군은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를 첨가하지 않았으며 실험군은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를 첨가하였다. 35℃에서 1분간 정치한 후 펩톤워터에 10배 단계로 희석한 시료 100μl를 소비톨-맥콘키 한천배지에 도포하여 위에서 언급한 조건에서 배양을 실시하였다. 대조군은 1×109이 검출되었으나 0.001% 이상의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를 첨가한 경우는사멸되어 검출되지 않았다. 배양된 대장균 O157:H7균을 멸균 면봉에 침지시킨 후 닭고기, 상추, 포도의 표면에 도포하였다. 대조군과 실험군은 장염 비브리오균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균을 채취하였다. 펩톤워터에 10배 단계로 희석한 시료 100μl를 소비톨-맥콘키 한천배지에 도포한 후 배양하여 균수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닭고기, 상추, 포도에서 각각 1.5×103/cm2, 120/cm2, 10/cm2이 검출되었으나 실험군은 멸균되어 검출되지 않았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수 있듯이, 본 발명의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로 된 살균제는 식품의 유통기간과 관련된 오염지표 세균과 인간에게 식중독을 일으키는 식중독 원인균과 같은 식품관련 미생물에 대해 탁월한 살균력을 가지므로 향후 이용가능성이 매우 높다. 일반적으로 살균력이 높을수록 인체에 유해한 살균제들과는 달리 본 발명의 살균제는 살균력이 높으면서도 인체에 무해한 것이므로 인간의 보건위생의 질을 개선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들은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러한 설명들이 본 발명의 범주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12)

  1.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를 0.001 ∼ 0.1%의 농도 범위 내에서 처리함으로써, 저온성 세균, 중온성 세균, 내열성 세균, 대장균, 장 구균, 포도상 구균 등의 오염지표 세균을 살균하는 방법
  2.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를 1%, 그리고 주방용 세제를 0.1%의 농도로 혼합하여 함께 사용함으로써, 저온성 세균, 중온성 세균, 내열성 세균, 대장균, 장 구균, 포도상 구균 등의 오염지표 세균을 살균하는 방법
  3.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를 0.001 ∼ 0.1%의 농도 범위 내에서 처리함으로써, 장염 비브리오, 살모넬라, 대장균 O157:H7, 황색 포도상 구균, 클로스트리디움, 리스테리아 등의 식중독원인균을 살균하는 방법
  4.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를 1%, 그리고 주방용 세제를 0.1%의 농도로 혼합하여 함께 사용함으로써, 장염 비브리오, 살모넬라, 대장균 O157:H7, 황색 포도상 구균, 클로스트리디움, 리스테리아 등의 식중독원인균을 살균하는 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19990040419A 1999-05-25 1999-09-20 식품위해 세균들에 대해 탁월한 살균효과를 갖는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로 된 살균제 및 그 살균제가 첨가된 세제 KR100339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0419A KR100339054B1 (ko) 1999-05-25 1999-09-20 식품위해 세균들에 대해 탁월한 살균효과를 갖는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로 된 살균제 및 그 살균제가 첨가된 세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8949 1999-05-25
KR19990018949 1999-05-25
KR1019990040419A KR100339054B1 (ko) 1999-05-25 1999-09-20 식품위해 세균들에 대해 탁월한 살균효과를 갖는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로 된 살균제 및 그 살균제가 첨가된 세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5405A KR20000075405A (ko) 2000-12-15
KR100339054B1 true KR100339054B1 (ko) 2002-05-31

Family

ID=26635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0419A KR100339054B1 (ko) 1999-05-25 1999-09-20 식품위해 세균들에 대해 탁월한 살균효과를 갖는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로 된 살균제 및 그 살균제가 첨가된 세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90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0788A (ko) * 2001-07-27 2003-02-06 (주)지텍 바이오 메디컬 두채류의 부패병 방지 및 색택 향상을 위한세틸피리디니움 클로라이드 함유 제제 및 그 사용 방법
KR100438592B1 (ko) * 2002-10-10 2004-07-02 이규호 비브리오 불니피쿠스의 살균 조성물, 및 그 사용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6983A (en) * 1992-04-03 1994-11-22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Arkansas Use of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to remove salmonella contamination from meat product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6983A (en) * 1992-04-03 1994-11-22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Arkansas Use of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to remove salmonella contamination from meat produc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5405A (ko) 200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ughey et al. Antibacterial activity of hen egg white lysozyme against Listeria monocytogenes Scott A in foods
Beuchat et al. Development of a proposed standard method for assessing the efficacy of fresh produce sanitizers
Golden et al. Growth of Salmonella spp. in cantaloupe, watermelon, and honeydew melons
Bagge-Ravn et al. The microbial ecology of processing equipment in different fish industries—analysis of the microflora during processing and following cleaning and disinfection
Champagne et al. Psychrotrophs in dairy products: their effects and their control
Eneroth et al. Critical contamination sites in the production line of pasteurised milk, with reference to the psychrotrophic spoilage flora
Notermans et al. The HACCP concept: identification of potentially hazardous micro-organisms
Splittstoesser et al. The microbiology of vegetable sprouts during commercial production
Ryser et al. Survival of Listeria monocytogenes in cold-pack cheese food during refrigerated storage
AU2002238795B2 (en) Bacteriophage composition useful in treating food products to prevent bacterial contamination
EP0265884A2 (en) Process relative to foods of animal origin
AU2002238795A1 (en) Bacteriophage composition useful in treating food products to prevent bacterial contamination
Bari et al. Calcinated calcium killing of Escherichia coli O157: H7, Salmonella, and Listeria monocytogenes on the surface of tomatoes
Govaris et al. The fate of Escherichia coli O157: H7 in Myzithra, Anthotyros, and Manouri whey cheeses during storage at 2 and 12 C
Raccach et al. Storage stability and bacteriological profile of refrigerated ground beef from electrically-stimulated hot-boned carcasses
KR100339054B1 (ko) 식품위해 세균들에 대해 탁월한 살균효과를 갖는 세틸피리디니엄 클로라이드로 된 살균제 및 그 살균제가 첨가된 세제
Kwon et al. Microbial evaluation of commercially packed kimchi products
Ferron et al. Distribution of Listeria spp. in confectioners' pastries from western France: comparison of enrichment methods
Andrade et al. Growth and adherence on stainless steel by Enterococcus faecium cells
Temitope et al. Bio-control of Vibrio species in cultured milk by in situ bacteriocin production from lactic acid bacteria
Mukhopadhyay et al. An evaluation of street-vended sliced papaya (Carica papaya) for bacteria and indicator micro-organisms of public health significance
Geyid et al. A preliminary study of the microflora level of some fruits and vegetables
Elliker The problem of bacteriophage in the dairy industry
Shiu Effect of high hydrostatic pressure (HHP) on the bacterial count and quality of shucked oysters
Sharma et al. Isolation and enumeration of bacteria from common green vegetables available in nearby market at Ayodhya: Isolation of Bacter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O064 Revocation of registration by opposition: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