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7027B1 - 연속식 원형드럼 축산 분뇨 건조기 - Google Patents

연속식 원형드럼 축산 분뇨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7027B1
KR100337027B1 KR1019990045474A KR19990045474A KR100337027B1 KR 100337027 B1 KR100337027 B1 KR 100337027B1 KR 1019990045474 A KR1019990045474 A KR 1019990045474A KR 19990045474 A KR19990045474 A KR 19990045474A KR 100337027 B1 KR100337027 B1 KR 100337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hot air
shaft
tank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5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6696A (ko
Inventor
권명열
Original Assignee
권명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명열 filed Critical 권명열
Priority to KR1019990045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7027B1/ko
Publication of KR20000006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6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7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70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4Heating arrangements using electric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4Agitating, stirring, or scrap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1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 F26B3/2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the heat source being a heated surface, e.g. a moving belt or convey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2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animal husbandr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9Apparatus with independent power supply, e.g. solar cells, windpower, fuel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4Maintenance of water treatment install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18Sludges, e.g. sewage, waste, industrial processes, cooling tow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산 농가에서 발생하는 축산 분뇨를 건조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보일러를 이용한 방식이나 진공 건조식과 달리 연속,자동으로 건조할 수 있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회전하는 원통형 드럼과 상기 드럼의 상부와 양측부에 후드를 설치하여, 드럼의 외부 표면으로 분사된 액체상의 분뇨를 건조시키기 위하여 드럼의 내주면에 전기에 의해 가열된 열매체유를 가열수단으로 채택하고, 드럼의 외주면의 가열수단으로는 팬히터에 의해 가열된 고온의 열풍을 이용한다. 한편 축분에 함유된 수분이 증발 과정후 드럼상에 남는 축분 고형분은 드럼 외주 표면에 부착된 축분제거 나이프를 이용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장치가 간단하고 축분을 연속적으로 건조하여 퇴비화 함으로써 폐수를 방류하지 않고 효율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연속식 원형드럼 축산 분뇨 건조기{A CONTINUOUS CYLINDRICAL DRUM DRYER FOR DISPOSING ANIMAL WASTES}
본 발명은 축산 농가에서 발생하는 축산 분뇨를 연속적으로 건조하여 폐수를 방류하지 않아 축산 폐수에 의한 수질 및 토양 오염을 방지할 뿐 만 아니라, 열원으로 전기를 이용하고, 간단한 기계 설비로 건조의 전공정을 완전 자동화 할 수 있는 연속식 원형드럼 축산 분뇨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축산 농가에서 발생되는 축산 분뇨는 처리 시설이 제대로 갖추지 않아, 그대로 방류되기 때문에 수질 및 토양 오염의 주요인 중 하나가 되고 있다. 가축의 축분은 90% 이상이 액체로 구성되어 오염을 방지하고 이를 유용하게 이용할 있도록 퇴비화 하기 위해서는 건조 설비가 필수적 이다.
최근에 경유를 열원으로 하여 고압증기로 축산 분뇨를 건조시키는 보일러 건조 장치가 농가에 보급되어 있으나, 보일러 설비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설치 면적이 약60평에 이르고 또한 기계 설비가 복잡하여 고장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그리고 일단 건조 작업이 완성되면 그때 마다 고형화된 축분을 배출해야 하는등 작업에 투입 되는 인원 및 시간이 과다하게 필요한 실정이었다.
따라서 톤당 운전 비용이 1만 2천원∼1만5천이 소요된 결과로, 농가에서 고가의 장비를 구입하고도 채산성이 맞지 않아 가동을 중단한 채로 방치 되었다.
한편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본에서 개발되어 널리 보급된 진공 건조 장치를 국내에도 적용하려고 시도 하였다. 도1은 이러한 종래의 진공 건조장치에 관한 평면 배치도이다. 진공 건조 장치의 작동은 집수조 및 저장조에서 침전된 축산 폐수 고형분을 교반하여 부상시킨 후, 수중 펌프를 이용하여 액체의 축분을 건조기(100) 내부에 충진 시킨다.
상기 건조기는 열매체유가 저장된 탱크(104) 내부의 전기히터를 이용하여 열매체유를 가열하고, 이 고온의 열매체유는 순환펌프(105)에 의해 건조기 내부에 설치된 리본 타입의 스크류 내부와 원통 회전체 외부의 열매체유실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회전체는 지지축에 걸쳐 교반장치가 설치되어 있어 액체의 축분은 회전체 외부면에 부착하게 되어, 상기의 열매체유에 의해 1차적으로 건조된다. 그후 건조기의 내부가 일정 온도 이상이 되면 진공펌프(103)에 의해 내부를 진공 상태를 유지하면서 계속 축분을 건조 시킨다.
일정시간 건조 후 운전이 정지되면 건조기(100) 외주면에 설치된 뚜껑(102)을 열고 축분을 배출한다. 배출된 축산 폐수 잔존물은 유기 비료로 재활용 한다. 이와 같이 진공 건조기는 보일러식 건조기에 비하여 설치 면적이 약 40평에 불과하고, 설비 가격을 다소 줄일 수 있는 잇점이 있으나, 이 역시 건조된 축분 건조물을 배출할 때는 건조기 외주면에 부착된 뚜껑을 열어야 하는등 계속적인 건조 작업이 불가능하고, 또한 건조,배출의 반복된 작업 방법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수작업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진공 건조기는 고가의 진공펌프 및 원심력 집진기등이 필수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져서 설비가 복잡하고, 운전 조건을 맞추기가 어렵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다음과 같은 기술적 과제를 제시하였다.
본 발명은 축분 건조 열원을 보일러에 의한 고압증기를 사용하지 않고, 전기에 의해 가열된 열매체유를 사용하여 설비가 간단하고 운전 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 작업중 사람이 분뇨를 투입할 필요없이 완전 자동화를 이룰 수 있게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링 형상의 사각형관과 지지축 및 연결배관으로 구성되고, 모터와 체인으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원통형상의 드럼과, 상기 드럼의 외주면에 액체상의 축분을 분사하는 축분공급수단과, 가열된 열매체유로 상기 드럼의 내주면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가열수단과, 축분으로부터 증발된 수분과 열풍을 외부로 배출하는 후드와, 축분에 함유된 수분이 증발한 후 드럼의 외주면에 부착된 고형분을 제거하기 위한 축분 제거수단으로 구성된 축산 분뇨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드럼 외주면에 열풍을 분사하는 열풍분사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드럼의 내ㆍ외주면을 각각 가열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열수단은 열매체유를 저장하는 탱크와, 상기 탱크의 내부에 위치하여 열매체유를 가열하는 전기 가열기와, 가열된 열매체유를 상기 드럼의 지지축에 이송하는 배관과, 상기 지지축 내부를 통과한 열매체유가 상기 드럼의 사각형관 내부를 순환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축 내부와 사각형관을 연결한 접속배관과, 상기 탱크에 저장된 열매체유를 보조 가열하는 태양열 집진기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태양열 집진기는 태양열 집열판과 상기 집진판과 상기 탱크 사이에 배관을 설치하여 온수를 순환하도록 하는 순환펌프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열풍분사수단은 공기를 가열하는 팬히터와, 외부 배관을 통하여 유입된 고온의 열풍이 드럼 외주면에 부착된 축분을 향하여 분사되도록 상기 드럼 외주면과 후드내부에 설치된 열풍공급기를 구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열풍 공급기는 상기 드럼의 상부 및 측부에 열풍통로를 형성하여 열풍입구를 설치하고, 상기 드럼 외주면에 걸쳐서 고온의 열풍이 통과하도록 복수의 플리넘 파이프를 장착한 것이다.
또한, 상기 플리넘 파이프는 일측만 관통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드럼 표면에 열풍을 수직으로 분사하도록 하측부에 지그재그식으로 분사노즐공을 형성한 것이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축분공급수단은 물과 혼합한 축분을 저장하는 집수조(1)와, 상기 집수조에 침전된 축분을 교반하여 부상시키는 블로워와, 펌프에 의해 축분을 상기 집수조에서 배관을 통하여 일시 저장하는 스크린 탱크 및 상기 스크린탱크에 저장한 축분을 상기 드럼 표면상에 분사하는 수압 노즐로 구성된 것이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분 제거수단은 상기 드럼의 외주 표면에 부착된 고형분을 제거하기 위한 나이프와, 상기 나이프를 지지하는 경사진 제1지지판과, 지지대의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1지지판에 체결된 제2지지판과, 상기 제2지지판에 설치된 탄성수단으로 구성된 것이다.
도1은 종래의 기술로서 진공 건조기의 조립도
도2a는 본 발명에 관련된 원형드럼 축산 분뇨 건조기의 정면도
도2b는 도2a의 평면도
도3은 도2에 관한 전체적인 시스템도
도4는 열매체유 탱크의 단면도
도5는 도4의 내부에 위치한 전기히터의 상세도
도6은 드럼의 세부 상세도
도7은 도6에 관한 단면도
도8은 드럼 상부에 설치된 후드의 측면도
도9는 상기 도8에 관한 일부 정면도
도10은 드럼 상부 및 양측면에 위치한 후드의 내부에 설치된 열풍 공급기의 전개도.
도11은 하나의 플리넘 파이프에 관한 상세도
도12는 축분제거 장치에 관한 정면도
도13은 상기 도12에 관한 측면도임.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도2a는 본 발명에 의한 원형드럼 축산 분뇨 건조기의 전체 정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시스템도 있다.
여기서 부호 1은 축분과 물을 혼합한 집수조이고, 2는 집수조(1)에 혼합한 축분을 교반하는 블로워이다. 3은 상기한 집수조(1)의 축분과 물을 펌핑하는 펌프이고, 4는 집수조(1)에 저장된 액체상의 축분을 상기 펌프(3)에 의해 운반하여 일정량을 저장하는 스크린 탱크이다. 5는 회전하는 원통형 건조 드럼이고, 6은 드럼 외주 표면에 액체의 축분을 공급하는 노즐이다.
또한, 부호 7과 8은 드럼(5)의 상부와 양측부에 걸쳐 원주상을 둘러싸고 있는 좌,우측 에 설치된 후드이고, 9와 10은 각각 상기한 후드(7,8)를 지지하는 지지체이다. 한편 11은 드럼의 내부를 가열하는 열매체유를 보관하는 열매체유 탱크이고, 도3의 12는 상기의 열매체유를 상기 드럼(5)에 공급하는 열매체유 펌프이며, 13과 14는 각각 드럼을 회전 시키는 메인모터와 축분으로부터 증발된 수분과 열풍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팬이다.
그리고 부호 15는 드럼 외주표면에 부착된 고형분을 제거하는 제거수단이고, 19는 추가적으로 열매체유를 가열 할 수 있는 태양열 집열기의 집열판이다.
본 발명은 상기 메인 모터(13)로 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체인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원통형의 드럼(5)의 외주표면에 스크린탱크(4)에 저장된 액체상의 축분을 노즐(6)로 분사 공급한다.
이러한 공급수단과 과정에 대해 첨부한 도2내지 도3과 부호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집수조(1)에 저장된 액상의 축산 분뇨가 펌프(3)에 의해 원통형상의 수직 스크린 탱크(4)에 1차적으로 일정량 공급되어 저장된다.
상기 스크린 탱크(4)의 저부에 액상 축산 분뇨를 공급하는 공급구(17)가 형성되어 있고, 이 공급구(17)는 드럼(5)에 축분을 분사하는 노즐(6)보다 지상으로 부터 상대적으로 높게 설치되어 있어 회전하는 드럼(5) 외주 표면으로 수두차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축분을 분사하게 되어 있다.
한편, 분사된 축분을 건조하는 장치 및 방법은 상기와 같이 드럼(5) 외주 표면상에 축분을 분사하기 전 단계에서 전기에 의해 가열된 열매체유를 드럼(5)의 링형상 사각형관 내부를 순환 하도록 하여 드럼의 표면을 필요 온도로 1차적으로 상승시킨다.
이러한 열매체유를 가열하는 방법에 있어서, 도3 에서와 같이 태양열 집진기를 추가적으로 설치하여 에너지의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도 있다. 상기 태양열 집진장치는 종래 기술과 유사하게 복수의 집열판(19)과 열매체인 온수를 순환시키는 순환펌프(20)로 이루어 진다.
또한 건조기 드럼(5)의 외주면 상부와 양측부에 설치된 좌,우 한쌍의 후드(7,8)는 팬히터(18)에 의해 가열된 열풍이 축분을 향하여 수직으로 분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열매체유에 의해 가열된 드럼(5)과 열풍에 의해 축분을 구성하는 성분중 90% 이상을 차지하는 수분은 증발하게 되고, 드럼(5) 외주면에는 건조된 축분 고형분만 남게 된다.
이 때 증발된 수분과 열풍은 배기팬(14)에 의해 후드(7)(8) 외부 표면에 연결된 배관으로 배출되게 되고, 드럼(5)에 부착된 분뇨는 분뇨제거수단((15)에 의해 드럼(5)으로부터 분리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드럼(5)으로부터 분리된 분뇨는 콘베이어 장치를 통해 퇴비화실로 자동으로 이송하여 고농도 유기비료 발효 과정을 거쳐서 퇴비로 사용할 있게 되어 있다.
다음은 전기에 의해 가열된 열매체유가 드럼(5) 표면을 가열하는 과정을 도4 내지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21은 열매체유 저장탱크이고, 22는 후드를 통하여 증발 배출되는 열량을 재이용하기 위한 열교환기이다. 이에 대한 상세한 구성은 도5의 열매체유 탱크 내부에 설치된 전기히터의 구성에서 알수 있다.
도면중 부호 23, 24는 각각 헤더 파이프를 나타내고, 25는 열교환기 히트파이프로서 도면에 나타낸 바와같이 지그재그식으로 구성되어 있어 최대의 열교환이 이루어 지도록 되어 있다.
한편 부호 26은 상기 파이프 외주면에 장착한 핀의 일반적인 구조이다.
도6은 드럼(5)의 정면도이고, 도7은 도6의 측면도이다.
도6 내지 도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럼(5)은 지지축(27), 열매체유의 연결배관(32) 및 링 형상의 사각형관(29)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4의 열매체유 탱크(21)에서 전기 히터(22)에 의하여 가열된 고온의 열매체유는 입구(30)을 지나서, 도6의 드럼의 지지축(27)의 내부에 형성된 열매체유 주입구(31) 및 연결배관 (32)를 통과하여 링 형상의 사각형관(29)을 순환하면서 드럼의 표면을 가열하게 된다. 부호 33은 사각형관을 순환한 열매체유가 탱크(21)로 안내되는 지지축(27)에 형성된 열매체유의 출구(33)이다.
다음에 도8 내지 도11은 팬히터(18)에 의하여 가열된 열풍이 축분을 향하여수직으로 분사하는 기술적 수단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다.
도8은 후드의 측면도이고, 도9는 상기 드럼(5)의 우측 상부에 걸쳐 형성한 후드(8)의 일부 정면도이며, 한편 도10은 드럼(5) 외부와 후드(7)(8) 내부 사이의 공간에 형성된 열풍 공급기에 대한 전개도이고, 도11은 상기 도9에서 나타낸 열풍공급기중 플리넘 파이프(35)의 하나에 대한 상세도 이다.
여기서, 34는 팬히터(18)에 가열된 열풍이 후드(7)(8)와 연결된 열풍 입구(38)를 지나 고온의 열풍이 일시적으로 머무는 열풍 통풍로이다. 그리고 35는 드럼(5)외부와 후드(7)(8)내부 공간 사이에 설치된 복수의 플리넘 파이프를 나타내고, 부호 36과 37은 하나의 플리넘 파이프로서 일측은 관통되고, 타측은 폐쇄되어 열풍이 되도록 오랫동안 머물 수 있도록 구성 되어 있다.
한편 부호 39는 하나의 플리넘 파이프에서 축분을 향하여 수직으로 열풍이 분사 하도록 형성된 분사 노즐 구멍을 표현하고 있다. 여기서, 37은 축분으로 부터 증발된 수분과 열풍이 내부 공간을 통하여 후드(7)(8)의 외부 표면과 연결된 배관으로 빠져 나가는 배출통로이다.
이와 같이 팬히터(18)에 가열된 열풍은 드럼(5) 상부의 양측부에 형성된 후드(7)(8)의 열풍 입구(38)를 통하여 드럼(5) 외부와 후드(7)(8) 내부 사이에 설치된 플리넘 파이프를 통해 분사되는 열풍에 의해 축분을 2차적으로 가열하게 된다.
이러한 열교환기에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팬히터(18)에 의해 가열된 고온의 열풍이 열풍 입구(38)를 지나 열풍 통풍로(34)에 열풍이 머물면서 드럼외부와 후드내부 사이에 드럼(5)의 원주방향으로 규칙적으로 설치된 플리넘 파이프 (35)에 의해 축분에 수직으로 열풍을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의 플리넘 파이프(35)는 도10에서 알 수 있듯이 일측은 관통되고, 타측은 막혀 있어 열풍이 될 수 있는 한 오랫동안 머물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축분이 부착된 드럼(5)의 표면을 향하여 지그재그식으로 분사 노즐 구멍(39)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열풍 분사 방향의 각도는 20°∼25°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열풍에 관한 건조는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설치된 후드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다음으로 드럼(5)의 외주 표면에 분사된 축분이 드럼의 내주면을 순환하는 열매체유 및 드럼의 외주면에서 분사되는 열풍에 의해, 축분에 함유된 수분이 증발된 후 남게 되는 축분 고형분의 제거수단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2는 이러한 축분 제거수단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이고, 도13는 도12의 측면도이다. 여기서 41은 고형화된 축분을 제거하는 나이프이고, 42와 43은 각각 나이프를 지지하는 지지편의 구성이다. 그리고 44는 나이프에 걸리는 반발 응력을 흡수하는 탄성수단이고, 45는 지지편과 탄성수단을 지지하는 지지판을 의미한다. 46은 제 1지지편(42)과 제 2지지편(43)을 연결하는 수단으로 볼트와 같은 일반적인 체결 방법으로 채택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의 구성에서 자명하게 표현되어 있으므로 생략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회전하는 원통형의 드럼(5)의 외주 표면상에 분사된 액체의 축산 분뇨를 상기 드럼(5)의 내면과 외주면에 각각 가열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드럼(5)의 내면과 외주면을 가열하는 가열 수단을 다양하게 제공하여 구성함하고, 효율적으로 축분건조가 가능하고 또한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정신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변형이 얼마든지 가능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건조,배출의 반복으로 건조 장치 및 방법으로 행할 경우 인력의 투입이 불가피한 점을 지양하고, 작업의 중단없이 연속적인 건조 작업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에너지면에서도 경유를 이용하지 않고 전기를 이용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태양열을 이용하여 가열하여 고온의 열매체유를 공급함으로써 에너지 효율면에서도 뛰어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계 설비가 간단하여 운전 비용이 톤당 4천원 내지 5천원에 불과하고, 설치 면적도 10여평이면 충분하므로 운전비용이 저렴도하고, 설치장소의 공간도 절약할 수 있는 제반 특장점이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1)

  1. 링 형상의 사각형관(29)과 지지축(27) 및 연결배관(32)으로 구성되고, 모터와 체인으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원통형상의 드럼(5)과, 상기 드럼(5)의 외주면에 액체상의 축분을 분사하는 축분공급수단과, 가열된 열매체유로 상기 드럼(5)의 내주면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가열수단과, 축분으로부터 증발된 수분과 열풍을 외부로 배출하는 후드(7)(8)와, 축분에 함유된 수분이 증발한 후 드럼(5)의 외주면에 부착된 고형분을 제거하기 위한 축분 제거수단(15)으로 구성된 축산 분뇨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드럼(5)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드럼(5) 외주면에 열풍을 분사하는 열풍분사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드럼(5)의 내ㆍ외주면을 각각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원형 드럼 축산 분뇨 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은 열매체유를 저장하는 탱크(11)와, 상기 탱크(11)의 내부에 위치하여 열매체유를 가열하는 전기 가열기(22)와, 가열된 열매체유를 상기 드럼(5)의 지지축(27)에 이송하는 배관과, 상기 지지축(27) 내부를 통과한 열매체유가 상기 드럼(5)의 사각형관(29) 내부를 순환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축(27) 내부와 사각형관(29)을 연결한 접속배관(32)과, 상기 탱크(11)에 저장된 열매체유를 보조 가열하는 태양열 집진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연속식 원형 드럼 축산 분뇨 건조기,
  3. 제2항에 있어서, 태양열 집진기는 태양열 집열판(19)과 상기 집진판(19)과 상기 탱크(11) 사이에 배관을 설치하여 온수를 순환하도록 하는 순환펌프(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원형 드럼 축산 분뇨 건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분사수단은 공기를 가열하는 팬히터(18)와, 외부 배관을 통하여 유입된 고온의 열풍이 드럼(5) 외주면에 부착된 축분을 향하여 분사되도록 상기 드럼(5) 외주면과 후드(7)(8)내부에 설치된 열풍공급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원형 드럼 축산 분묘 건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 공급기는 상기 드럼(5)의 상부 및 측부에 열풍통로(34)를 형성하여 열풍입구(41)를 설치하고, 상기 드럼(5) 외주면에 걸쳐서 고온의 열풍이 통과하도록 복수의 플리넘 파이프(35)를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원형 드럼 축산 분뇨 건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리넘 파이프(35)는 일측만 관통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드럼(5) 표면에 열풍을 수직으로 분사하도록 하측부에 지그재그식으로 분사노즐공(39)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드럼 축산 분뇨 건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축분공급수단은 물과 혼합한 축분을 저장하는 집수조(1)와, 상기 집수조(1)에 침전된 축분을 교반하여 부상시키는 블로워(2)와, 펌프(3)에 의해 축분을 상기 집수조에서 배관을 통하여 일시 저장하는 스크린 탱크(4) 및 상기 스크린탱크(4)에 저장한 축분을 상기 드럼(5) 표면상에 분사하는 수압 노즐(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원형 드럼 축산 분뇨 건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분 제거수단은 상기 드럼(5)의 외주 표면에 부착된 고형분을 제거하기 위한 나이프(41)와, 상기 나이프(41)를 지지하는 경사진 제1지지판(42)과, 지지대(45)의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1지지판(42)에 체결된 제2지지판(43)과, 상기 제2지지판(43)에 설치된 탄성수단(4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원형 드럼 축산 분뇨 건조기.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19990045474A 1999-10-20 1999-10-20 연속식 원형드럼 축산 분뇨 건조기 KR100337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5474A KR100337027B1 (ko) 1999-10-20 1999-10-20 연속식 원형드럼 축산 분뇨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5474A KR100337027B1 (ko) 1999-10-20 1999-10-20 연속식 원형드럼 축산 분뇨 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696A KR20000006696A (ko) 2000-02-07
KR100337027B1 true KR100337027B1 (ko) 2002-05-17

Family

ID=19616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5474A KR100337027B1 (ko) 1999-10-20 1999-10-20 연속식 원형드럼 축산 분뇨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70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0674B1 (ko) * 2000-07-11 2003-07-10 유니엔스(주) 드럼 건조기
CN105347649B (zh) * 2015-12-03 2018-03-13 河北工大太阳能设备有限公司 具有高效组合蒸汽源的污泥干化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696A (ko) 200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6985B1 (ko) 나선 축류식 열풍 건조기
US661356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olids processing
KR20100065662A (ko) 슬러지 건조 장치
KR101210376B1 (ko) 하수슬러지 또는 음식물류폐기물 등과 같은 유기성 폐기물 처리를 위한 모듈형 건조장치
KR100748190B1 (ko) 대용량 관다발 회전형 건조장치
KR100337027B1 (ko) 연속식 원형드럼 축산 분뇨 건조기
KR100948102B1 (ko) 공기 분산관이 구비된 스파징 패들/디스크형 슬러지 건조장치
KR20100029961A (ko)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102224084B1 (ko) 디스크 타입 건조기
KR100539160B1 (ko) 슬럿지 건조장치
KR200214056Y1 (ko) 음식물쓰레기의고속진공발효건조기
CN113685824B (zh) 一种含铜含镍污泥处置用的立式烧结机
KR200171942Y1 (ko) 열매체와 공압을 이용한 발효 건조 처리장치
KR101868479B1 (ko) 응결 배수구조가 적용된 투입도어를 갖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208186984U (zh) 真空干燥装置
KR102107624B1 (ko) 유기성 폐기물 및 곡물 부상 건조장치
CN219984892U (zh) 一种具有干燥功能的肥料加工粉碎机
WO2019169845A1 (zh) 一种畜禽生态养殖用的废弃物降解处理系统
KR100331477B1 (ko) 음식 폐기물 열풍 건조기
KR200264121Y1 (ko) 슬럿지 건조장치
KR20010036810A (ko) 축산폐수의 증발분리 처리방법 및 장치
KR102150283B1 (ko) 축분 발효장치 연계 악취 분진 저감장치
KR102617711B1 (ko) 돈분 처리 장치
KR102562661B1 (ko) 퇴비 발효 장치
CN214735320U (zh) 一种应用于市政污泥处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