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6030B1 - 다색무늬 재귀반사 나벨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다색무늬 재귀반사 나벨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6030B1
KR100336030B1 KR1020000012624A KR20000012624A KR100336030B1 KR 100336030 B1 KR100336030 B1 KR 100336030B1 KR 1020000012624 A KR1020000012624 A KR 1020000012624A KR 20000012624 A KR20000012624 A KR 20000012624A KR 100336030 B1 KR100336030 B1 KR 100336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ransparent resin
color
pattern
retrorefle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2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1062A (ko
Inventor
김태환
Original Assignee
이주영
주식회사 미복스파크
김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영, 주식회사 미복스파크, 김태환 filed Critical 이주영
Priority to KR1020000012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6030B1/ko
Publication of KR20010091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1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6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60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7/00Pumps adapted for handling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 F04D7/02Pumps adapted for handling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of centrifugal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04D29/4293Details of fluid inlet or out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색무늬 재귀반사 나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나벨의 다색무늬 전체가 양호한 재귀반사 작용을 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통상의 합성수지 필름의 상면에 공지의 백색 잉크층을 형성시키는 공정과; 상기 백색 잉크층의 상면에 공지의 투명수지를 도포시키는 공정과; 상기 투명수지의 상면에 공지의 글래스 비드 층을 형성시키는 공정과; 상기 글래스 비드 층의 위로 공지의 투명수지를 도포하여 표면 보호층을 형성시키는 통상의 재귀반사 나벨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투명수지에 진주껍질 분말이 혼합된 반사 보조층을 상기 백색 잉크층의 위에 도포시키는 과정과; 상기 반사 보조층의 위에는, 소정의 칼라 도안을 형성시키기 위해 도안의 색상이 옅은 것으로부터 색상이 짙은 것의 순서대로 잉크를 사용하여 스크린 공법을 통해 상기 소정의 칼라 도안을 인쇄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색무늬 재귀반사 나벨의 제조방법{MANUFACTURE METHOD OF LABEL}
본 발명은 다색무늬 재귀반사 나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고용으로 또는 의류용, 상품 홍보용 등의 나벨이나 로고로 사용되는 통상의 재귀반사 나벨은, 도 1을 참조하여 볼 때 베이스 필름(100)의 윗면에 어떠한 단일 색상(예 : 백색, 황색, 청색 등)을 가지는 1차 착색층(102)을 도포한 후 상기 1차 착색층(102)의 윗면에 글래스 비드(110)를 도포하고 최종적으로 표면 보호층(112)을 형성시킨 것과, 상기의 1차 착색층(102) 대신에 알루미늄을 코팅한것이 주종을 이루고 있는데, 상기 알루미늄은 다시 어떠한 색상(예 : 청색, 황색 등)을 가지는 것을 사용하는 예도 있다.
즉, 통상의 재귀반사 시트는 단일의 색상만을 표출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5도 내지는 10도 등의 색상을 가지는 어떠한 도안을 구성시키지 못하였다. 이에 상기 시트의 글래스 비드의 표면 또는 표면 보호층의 표면에 칼라 도안을 인쇄한 것이 시도되었지만 이는 거의 반사기능이 소멸되어 반사도가 격감하고 색상이 제대로 표출되지 않아 실패하였다.
이에 일본 등지에서는 통상의 재귀반사 시트의 표면에 별도로 제작된 홀로그램 시트를 부착시켜서 컬러풀(Colorful)한 도안이 입체감을 가진 채 재귀반사의 작용을 함께 하도록 한 것도 안출된 바 있으나, 홀로그램 시트 자체는 광 반사의 원리에 의해 보는 이의 각도에 따라 입체감이 나타나도록 하는 것이고, 재귀반사는 글래스 비드를 통해 입사한 빛이 재귀반사 되어 되돌아 나가는 원리이기 때문에 이 경우 광 반사(난반사)와 재귀반사가 상충되어 재귀반사의 작용은 양호치 못한 문제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 제작단가가 높아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기에는 무리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어떠한 표식물이나 악세사리 등에 있어서, 다양한 색상을 가지는 도안이 동시에 형성된 인쇄층으로부터 재귀반사의 작용이 양호히 표츌되도록 한다면 상기의 표식물이나 악세사리 등의 가치는 매우 상승될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통상의 재귀반사 시트는 단일의 색상만이 표출되기 때문에 이를 다양한 색상을 가지는 도안에 적용시키기에는 많은 문제가 있었다. 즉, 각각의 색상별로 생산된 재귀반사 시트를 어떠한 도안에 맞도록 오려서 피사용물의 표면에 붙이는 방법을 이용하여야 하는데, 이는 한마디로 현실성과 채산성이 없다.
이에 저렴한 방법을 통해 반사가 되는 시트를 만들기 위해 당 업계에서 연구를 하던 중,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허공개 99-25905호 및 공개실용신안공보 실용공개 99-13085호의 광 반사형 접착 시트물이 안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들은 재귀반사의 작용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며 단순히 광 반사의 작용을 이용한 것임을 밝혀 둔다. 이들은, 합성수지필름 상에 투명수지를 도포시킨 후 상기 투명수지 상에는 수지혼합제와 금분, 금 스트립, 은분, 은 스트립 등의 반사 모재를 섞은 물질을 다시 도포시킨 다음, 상기 반사 모재를 가지는 물질층의 위에는 색을 가지는 도료를 도포시켜서 만든 광고용(간판용) 시트이다. 물론 상기 시트의 이면에는 통상의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어서 어떠한 평면상의 피부착물의 표면에 부착시킬 수 있음은 당연하다.
다시 말해서, 상기의 시트는 금분, 금 스트립, 은분, 은 스트립 등의 반사 모재에 빛이 가해지면 상기 반사 모재가 반사를 함으로서, 마치 색상에 반짝이(미세한 금속성 반사 모재)가 가미된 잉크에 빛이 가해지면 반짝거리면서 반사 작용을 하는 통상의 기술과 크게 다를 바가 없다. 단지 다른 것이 있다면, 상기 시트는 잘라서 사용하기에 편리하도록 시트 상으로 제작한 것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시트는 반사 휘도가 탁월한 재귀반사의 작용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고 빛을 받았을 때 단순히 반사 모재가 반짝거리면서 반사 모재를 고정시키고 있는 도료의 색상이 다소 표출되도록 하는 상업용(광고용) 반사 시트라 할 수 있는데, 이 역시 다양한 칼라를 가지는 도안(예 : 각종 상품 마크, 로고, 애니메이션 등)을 구성시키는 것에는 큰 한계가 있다. 즉, 상기의 다양한 칼라를 가지는 도안류는 색상이 다양하면서 복잡한 굴곡을 가지는 무늬가 동시에 하나의 평면상에서 표출되기 때문에 이러한 복잡한 무늬를 구성시키기 위해서는 각각의 색상별로 제작된 상기 시트를 일일이 어떠한 도안의 구성에 맞도록 오려서 붙여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시트 및 전술한 통상의 재귀반사 시트는 어떠한 도안이나 로고 등을 표현할 때 단순한 즉, 표출시켜야 할 개체가 솔리드 타입일 경우(예 : 자동차의 앰블런, 단색의 마크, 간판용 글자 등)에만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시트는 기후의 변화와 습기 등에 대한 항변성이 불량하면서 반사광 인식 거리가 짧아서 상품성이 불량한 등의 다수 문제가 있어 활성화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색의 복잡한 도안 전체가 하나의 평면상에서 동시에 재귀반사의 작용이 탁월히 표출될 수 있도록 하는 다색무늬 재귀반사 나벨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통상의 합성수지 필름의 상면에 공지의 백색 잉크층을 형성시키는 공정과; 상기 백색 잉크층의 상면에 공지의 투명수지를 도포시키는 공정과; 상기 투명수지의 상면에 공지의 글래스 비드 층을 형성시키는 공정과; 상기 글래스 비드 층의 위로 공지의 투명수지를 도포하여 표면 보호층을 힝성시키는 통상의 재귀반사 나벨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투명수지에 진주껍질 분말이 혼합된 반사 보조층을 상기 백색 잉크층의 위에도포시키는 과정과; 상기 반사 보조층의 위에는, 소정의 칼라 도안을 형성시키기 위해 도안의 색상이 옅은 것으로부터 색상이 짙은 것의 순서대로 잉크를 사용하여 스크린 공법을 통해 상기 소정의 칼라 도안을 인쇄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반사 보조층의 진주껍질 분말과 투명수지의 혼합 비율은 2:8내지는 8:2의 범위의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칼라 도안을 형성시키기 위한 잉크는, 20∼80중량부의 진주껍질 분말이 혼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요령을 나타낸 참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베이스 필름 102:백색 잉크층
104:반사 보조층 106:칼라 도안
108:투명수지층 110:글래스 비드
112:표면 보호층 200:진주껍질 분말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글래스 비드가 도포된 통상의 재귀반사 시트의 기술을 활용하는데, 칼라 도안(106)과 반사 보조층(104)이 형성되는 것에 큰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칼라 도안(106)과 반사 보조층(104)에는 각각 진주껍질분말(200)이 적정량 함유되는 것 또한 큰 특징에 해당된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통상의 합성수지 필름 상면에 공지의 백색 잉크층(예 : 우레탄계 1 또는 2액형 잉크, PVC계 1액형 잉크, 수성 아크릴계 잉크, 수성 실리콘계 잉크, 세라믹계잉크 등)을 형성시키는 공정은 통상의 공정과 동일하게 실시한다. 이는 통상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은 합성수지 필름 뿐만이 아니고 가죽이나 섬유, 철판, 나무, 플라스틱물 등 어떠한 것에도 적용이 가능함을 밝힌다. 다음, 상기 백색 잉크층(102)의 상면에 공지의 투명수지를 도포시키는 공정을 행하는데, 이 역시 통상의 공정과 동일하게 행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 투명수지에 진주껍질 분말(200)이 혼합된 반사 보조층(104)을 상기 백색 잉크층(102)의 위에 도포시키는 과정을 행한다. 여기서 투명수지는 공지의 것을 사용하며 진주껍질 분말(200)은 자연산 혹은 양식된 진주의 껍질을 200∼300메시의 입자로 분쇄시킨 분말을 사용한다. 이 반사 보조층(104)은 백색 잉크층(102)의 반사 작용을 더욱 상승시켜서 후술하는 칼라 도안(106)의 색상이 더욱 선명하게 표출되도록 하는 중요한 작용을 한다. 또한 칼라 도안(106)의 잉크 성분이 백색 잉크층(102)에 흡수되거나 하여 색상이 변질되거나 분산되는 등의 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차원에서도 적용된다. 한편, 반사 보조층(104)을 형성하는 투명수지에 상술한 진주껍질 분말(200)이 혼합되는데, 베이스 필름(100)의 색상이 반투명이거나 흰색에 가까운 경우에는 진주껍질 분말 : 투명수지의 혼합비율은 2:8 내지는 3:7 정도로 유지시키고, 노란 색이나 붉은 색일 경우에는 5:5 정도로 유지시키고, 베이스 필름의 색상이 짙을 경우에는 7:3 내지는 8:2 정도로 유지시킨다. 물론 이러한 배합 비율은 상기한 것처럼 반드시 국한된 것은 아니며 베이스 필름의 색상이 밝을수록 진주껍질 분말의 함량은 적어지고 베이스 필름의 색상이 짙을수록 진주껍질 분말의 함량은 많도록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진주껍질 분말 : 투명수지의 혼합 비율이 2:8 내지는 8:2의 비율을 벗어나면 효용성이 급격히 감소되어 좋지 못하다는 것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따라서 반사 보조층(104)은 베이스 필름의 색상에 따라 칼라도안(106)이 가장 선명히 표출되도록 보조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 중요하다.
다음, 상기 반사 보조층(104)의 위에는, 소정의 디자인을 가지는 칼라 도안(106)을 형성시킨다. 이때 스크린 공법을 이용하는데, 도안의 색상이 옅은 것으로부터 색상이 짙은 것의 순서대로 잉크를 사용하여 인쇄시킨다. 도 2를 볼 때, 'a'가 가장 색상이 옅고 'h'가 가장 색상이 짙을 경우 'a'의 무늬부터 스크린 인쇄를 행한다. 따라서 가장 나중에 인쇄되는 부분은 'h'가 될 것이다. 여기서 도 2의 예시된 도안은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칼라 도안(106)은 어떠한 디자인도 가능한 것이다. 그러므로 도면의 'a' 'b' 'c' 'd' 'e' f' 'g' 'h'등의 도안은 순서가 바뀌어 표현될 수도 있고 'a'속에 'b' 'g'등의 도안이 속해지거나 또는 서로 겹치거나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한 경우에 있어서도 인쇄 순서는 색상이 옅은 것부터 색상이 짙은 것으로 행한다. 만일 색상이 짙은 것부터 인쇄를 하면 옅은 색상의 잉크가 최종적으로 인쇄될 것이고 그 상태에서 색상끼리의 경계선이 약간 중복이 될 경우 상기 경계선은 선명하지 못하고 지저분해진다. 따라서 인쇄 순서는 색상이 옅은 것부터 짙은 것으로 행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였다.
한편, 상기의 칼라 도안(106)을 형성시키는 잉크에도 진주껍질 분말(200)이 혼합되는데, 잉크의 색상이 옅을 경우에는 진주껍질 분말의 혼합비율을 낮게 하고,반대로 잉크의 색상이 짙을 경우에는 진주껍질의 혼합비율을 높게 한다. 이는 상기 반사 보조층의 경우와 유사한 요령이다. 따라서 잉크의 경우에도 잉크의 량 대비 진주껍질 분말의 혼합 비율은 20∼80중량부 이내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다음, 칼라 도안(106)의 위쪽으로는 칼라 도안을 보호함과 아울러 글래스 비드(110)을 고정시키기 위한 투명수지층(108)을 형성시키며 이어서 글래스 비드(110)을 형성시키고 최종적으로 투명수지로 표면 보호층(112)을 형성시키는데, 이러한 공정 역시 공지의 것으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제조되는 본 발명의 독특한 재귀반사 나벨은, 칼라 도안(106)을 평면으로 간주하고 칼라 도안(106) 대비 90도의 각도에서 주사되는 빛을 받았을 때 칼라 도안(106) 전체적으로 균등한 반사도를 가지는 재귀반사의 작용이 탁월히 표출됨을 알 수 있었다. 즉, 칼라 도안(106)을 구성하는 어떠한 색상 부분도 미흡함이 없이 전체가 균등하게 재귀반사의 작용이 탁월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나벨은 피사용물에 베이스 필름을 접착제로 접착시켜 사용하거나 커팅하여 고주파 접착방식을 통해 사용하거나 별도로 가공하여 개봉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베이스 필름의 저면에 통상의 점착제를 도포하여 부착시킬 수 있음은 당연한 이치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스크린 공법을 통해 상기의 독특한 잉크를 사용한 칼라 도안(106)을 형성시킴과 아울러 베이스 필름의 색상까지 대비하여 칼라 도안의 색상이 가장 잘 표출될 수 있도록 반사 보조층을 형성시킨 재귀반사 나벨에 관한 것으로, 주문자가 제시하는 디자인 전체가 재귀반사의 작용을 탁월하게 표출하도록 함으로서 의류의 로고, 마크는 물론 신발의 로고와 마크, 각종 표찰, 안전 표시물, 생활용품의 로고 및 마크, 스티커, 간판, 각종 안내 표시물 등 어떠한 것에도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저렴한 생산비용을 투자하여 디자인에 상관없이 칼라 도안 전체에서 탁월한 재귀반사 효과가 표출되는 다색 반사 나벨을 대량으로 제조함으로서 광고용 및 홍보용, 안전용의 목적으로 널리 사용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특히, 디자인 상으로 그레데이션 기법(색상이 옅은 것부터 일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색상이 짙어지게 하는 기법)이 적용되는 제품에 본 발명의 기술을 적용시키면 입체감과 심미감이 출중한 나벨을 얻을 수 있어 나벨 분야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 또한 배제될 수 없다.

Claims (3)

  1. 통상의 합성수지 필름 상면에 공지의 백색 잉크층을 형성시키는 공정과;
    상기 백색 잉크층의 상면에 공지의 투명수지를 도포시키는 공정과;
    상기 투명수지의 상면에 공지의 글래스 비드 층을 형성시키는 공정과;
    상기 글래스 비드 층의 위로 공지의 투명수지를 도포하여 표면 보호층을 형성시키는 공정으로 된 통상의 재귀반사 나벨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투명수지에 진주껍질 분말이 혼합된 반사 보조층을 상기 백색 잉크층의 위에 도포시키는 과정과;
    상기 반사 보조층의 위에는, 소정의 칼라 도안을 형성시키기 위해 도안의 색상이 옅은 것으로부터 색상이 짙은 것의 순서대로 잉크를 사용하여 스크린 공법을 통해 상기 소정의 칼라 도안를 인쇄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무늬 재귀반사 나벨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반사 보조층의 진주껍질 분말과 투명수지의 혼합 비율은 2:8 내지는 8:2의 범위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무늬 재귀반사 나벨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칼라 도안을 형성시키기 위한 잉크는, 20∼80중량부의 진주껍질 분말이 혼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무늬 재귀반사 나벨의 제조방법.
KR1020000012624A 2000-03-09 2000-03-09 다색무늬 재귀반사 나벨의 제조방법 KR100336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2624A KR100336030B1 (ko) 2000-03-09 2000-03-09 다색무늬 재귀반사 나벨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2624A KR100336030B1 (ko) 2000-03-09 2000-03-09 다색무늬 재귀반사 나벨의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3057U Division KR200214664Y1 (ko) 2000-08-14 2000-08-14 전사용 다색무늬 재귀반사 라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1062A KR20010091062A (ko) 2001-10-23
KR100336030B1 true KR100336030B1 (ko) 2002-05-10

Family

ID=19654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2624A KR100336030B1 (ko) 2000-03-09 2000-03-09 다색무늬 재귀반사 나벨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603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1062A (ko) 2001-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10271B2 (en) Label for decorating a bottle, bottle and method of manufacture of such a label
RU2537126C2 (ru) Декоративная наклейка для ногтей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CN1022470C (zh) 印刷玻璃光栅装饰板
EP1066615B1 (en) Sign for illumination utilizing translucent layers
US5871834A (en) Decorative article overlaid with iridescent film
CN103777262A (zh) 反光物品工艺
CN206796687U (zh) 装饰膜
CN108569000A (zh) 装饰薄膜
KR200211949Y1 (ko) 다색무늬 재귀반사 나벨
KR100336030B1 (ko) 다색무늬 재귀반사 나벨의 제조방법
KR100336029B1 (ko) 전사용 다색무늬 재귀반사 나벨의 제조방법
KR200214664Y1 (ko) 전사용 다색무늬 재귀반사 라벨
JP3214718U (ja) キーホルダー及びグリッター印刷グッズ
CN214068243U (zh) 带闪光效果的商标结构
JP2002307900A (ja) 光輝性装飾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383392Y1 (ko) 장식품
KR200388496Y1 (ko) 메시지용 스티커
KR100638282B1 (ko) 메시지용 스티커
KR19980066910U (ko) 반사용 장식물
CN217294103U (zh) 一种透光装饰品
KR200189889Y1 (ko) 그라비아 인쇄공법을 이용한 반사스티커
KR200249212Y1 (ko) 시각(視覺)에따라색상연출의효과를가지는광고지
KR20040013843A (ko) 장식용 판재 및 그의 제조 방법
CN2892519Y (zh) 点状图案的装饰片
CN1552572A (zh) 一种透光、透明或反光的复合材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