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4491B1 - 인터넷망에서의 다자간 음성 통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터넷망에서의 다자간 음성 통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4491B1
KR100334491B1 KR1020000012589A KR20000012589A KR100334491B1 KR 100334491 B1 KR100334491 B1 KR 100334491B1 KR 1020000012589 A KR1020000012589 A KR 1020000012589A KR 20000012589 A KR20000012589 A KR 20000012589A KR 100334491 B1 KR100334491 B1 KR 100334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voice call
internet network
personal computer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2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1181A (ko
Inventor
최정규
Original Assignee
최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정규 filed Critical 최정규
Priority to KR1020000012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4491B1/ko
Publication of KR20010091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1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4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44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3Arrangements for multi-party communication, e.g. for confer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화용 부가기기를 활용한 인터넷망 및 데이터망에서의 다자간 통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화용 부가기기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인터넷망이나 데이터망에 연결된 개인용 컴퓨터의 조작없이 통화용 부가기기의 기능 버튼 및 식별 번호만으로 통화를 원하는 사람들과 동시에 여러명이 통화를 행할 수 있는 다자간 음성 통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인터넷망 (2)에서 다자간 음성 통화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다자간 음성 통화용 서버(1)과 각각의 개인용 컴퓨터 (3,3',3'')에는 해당 고유 식별 번호 부가와 이 고유 식별 번호를 모든 통화용 부가기기의 연결 개인용 컴퓨터에 분산하여 식별 가능하도록 하는 분산 데이터베이스 처리 방식과 사운드 카드 음향을 배경으로 통화할 수 있는 믹싱 서비스의 통화용 부가기기(4,4',4'')가 설치된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인터넷망에서의 다자간 음성 통화 시스템{Multi Chatting System in Internet}
본 발명은 통화용 부가기기를 활용한 인터넷망 또는 데이터망에서의 다자간 음성통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터넷망 및 데이터망에서 사용하기 쉽고 통화 품질이 월등하도록 통화용 부가기기를 이용하여 다자간 통화용 서버를 중심으로 한 다자간 실시간 음성 통화를 구현할 수 있는 다자간 음성 통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통 인터넷망이나 데이터망에서 소프트웨어로 되어진 인터넷폰을 이용하여 음성 통화를 컴퓨터망에서 구현하였으나, 이는 대부분 개인용 컴퓨터의 키보드를 조작하여 상대방에게 전화하여 음성 통화를 하는 방법으로 되어있다. 이를테면 개인용 컴퓨터와 키보드를 통하여 입력함으로써 작업자가 개인용 컴퓨터로 하는 작업을 중단하고 키보드로 입력하여 통화 구현하였다. 또 종래의 인터넷폰은 폰 서버를 별도로 운영하여 폰 서버에 등록된 번호로 통화하도록 하여 식별 번호를 집중 관리함으로써 통화 시마다 폰 서버를 거쳐가야 하기 때문에 폰 서버의 용량이 크고 고속화 되어야 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개인용 컴퓨터로 다른 작업을 하는 중이라도 동시에 통화용 부가기기의 기능키와 식별 번호만으로 다자간 통화용 서버를 통해 즉시 상대방에게 통화 희망 신호를 송신하여 통화함으로써 사용자 중심의 편이성을 고려할 수 있으며, 또 좋은 품질의 음성 통화를 구현할 수 있도록 음성 압축 및 에코 방지 처리를 구현하여 종래 소프트웨어의 단점을 보완한 인터넷망에서의 다자간 음성 통화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자간 음성 통화 시스템은, 인터넷망 (2)에서 다자간 음성 통화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다자간 음성 통화용 서버 (1)과 각각의 개인용 컴퓨터(3,3',3'')가 네트워킹되고, 상기 개인용 컴퓨터(3,3',3'')에는 해당 고유 식별번호 부가와 이 고유 식별 번호를 모든 통화용 부가기기의 연결 개인용 컴퓨터에 분산하여 식별 가능하도록 하는 분산 데이터베이스 처리 방식과 사운드 카드 음향을 배경으로 통화할 수 있는 믹싱 서비스의 통화용 부가기기(4,4',4'')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다자간 음성 통화 시스템을 연결한 전체 구성도.
도 2 는 도 1에서 도시된 통화용 부가기기의 상태도
도 3 은 본 발명의 다자간 음성 통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 블록도
도 4 는 본 발명의 다자간 음성 통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다자간 음성 통화용 서버 2 : 인터넷망
3,3',3'' : 개인용컴퓨터 4,4',4'' : 통화용부가기기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자간 음성 통화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은 통화용 부가기기 (4,)를 활용한 인터넷망 (2) 및 데이터망에서의 다자간 음성통화 시스템으로서, 상기 통화용 부가기기(4,)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활용해서 인터넷망(2)이나 데이터망에 연결된 개인용 컴퓨터(3,)의 조작없이 사용자가 도2에 도시된 통화용 부가기기의 기능 버튼 및 식별 번호만으로 다자간 음성 통화용 서버(1)를 통해 통화를 원하는 사람들과 동시에 여러명이 통화를 할 수 있게 하는 다자간 음성 통화 시스템인 것이다.
즉, 본 발명으로 동시에 음성 통화를 하기위하여는 통화 하고자하는 사람들이 인터넷망(2)이나 데이터망에 각자의 개인용 컴퓨터(3,)가 접속되어 있고, 이 개인용 컴퓨터(3,)에 통화용 부가기기 (4,)가 각기 장착 되는 한편 헤드폰(5,)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통화용 부가기기(4,4',4'')는 개인용 컴퓨터(3,)와 접속을 USB연결 포트로 접속되는 개인용 컴퓨터 내장형이 아닌 외장형 타입으로, 사용자는 부가기기 접속시 컴퓨터의 재부팅 없이 바로 접속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편이성을 고려하고 있다.
상기 통화용 부가기기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2개의 숫자 버튼과 4개의 기능을 변경할 수 있는 기능키(F1,F2,F3,F4)와 3개의 고정 기능을 갖는 기능키, 헤드폰(5,)을 연결할 수 있는 헤드폰 연결 단자(11)와 USB와 사운드 카드를 연결할 수 있는 USB 및 사운드 카드 연결 단자 (12,13)가 부착되어 있고 이 통화용 부가기기를 구별시켜주는 식별번호(16)가 외부에 각인 되어 진다. 사용자들은 통화용 부가기기의 식별 번호와 3개의 고정 기능키중 대화방 버튼(18)과 통화/종료 버튼(17)을 활용해서 원하는 사람들과 동시에 음성 통화를 구현할 수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는 다자간 음성 통화를 구현할 수 있는 다자간 음성 통화용 서버(1)를 구축하여 다자간 음성 통화를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도면 부호 (19)는 메뉴 버튼을 나타낸다.
상기 다자간 음성 통화용 서버(1)는 통화용 부가기기(4,)의 대화방 버튼(18)이 눌려진 후 상대방 식별 번호가 입력되어야만 다자간 통화 회로가 구성 되도록 제어가 이루어 지고 있으며, 해당 통화용 부가기기의 대화방 버튼(18)에 미리 다자간 음성 통화용 서버(1)의 연결 소프트웨어와 타 통화용 부가기기(4,)의 접속 정보를 갖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성 관리하도록 프로그래밍 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자간 음성 통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 블록도로서, 본 발명은 통화용 부가기기(4,)를 활용한 인터넷망(2)에서의 다자간 통화 시스템으로서, 상기 인터넷망(2)과 데이터망에서 다자간 음성 통화 기능을 제어할 수 있도록하는 다자간 음성 통화용 서버(1)와 통화용 부가기기(4,)의 고유 식별 번호 부가와 이 고유 식별 번호를 모든 통화용 부가기기(4,) 개인용 컴퓨터(3,)에 분산하여 식별 가능하도록 하는 분산 데이터 베이스 처리 방식과 사운드 카드 음향을 배경으로 통화 할 수 있는 믹싱 서비스의 통화용 부가기기(4,)가 설치 되어 있다. 상기 다자간 음성 통화용 서버(1)는 음성 파일 처리부(21), 네트워크접속부(22), 어프리케이션 프로그램(23)내 통화용 부가기기(4,) 접속 프로그램(26), 통화용 부가기기(4,) 식별 데이터 베이스(24) 및 오퍼레이팅 시스템(25)으로 크게 구성되는 바, 상기 다자간 음성 통화용 서버(1)가 망에 접속되어 있는 통화용 부가기기(4,)의 접속 정보를 감지하고 있다가 통화용 부가기기(4,)의 대화방 버튼(18)이 눌려지고 통화용 부가기기(4,)의 고유식별 번호(16)이 눌려 지고 * 버튼(20)이 눌려지면 * 버튼(20)이 다자간 음성 통화용 서버(1)을 다자간 통화 상태로 대기시키게 하고 고유 식별 번호(16)들이 다 눌려지고 통화/종료 버튼(17)이 눌려지면 다자간 음성 통화용 서버(1)가 눌려진 고유 식별 번호(16)에 통화 요청 벨소리를 울려 통화가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개인용 컴퓨터(3,)는 메뉴 및 기능관리(28)내 서버 접속 프로그램(27), 부가기기 접속 정보 분산 데이터 베이스(29) 및 오퍼레이팅 시스템(30)으로 구성되고, 상기 통화용 부가기기(4,)는 원 칩 마이크로 프로세서(31), CODEC(32),입력부(33) 및 오디오믹서(34)로 구성되게 된다.
통화용 부가기기(4,)의 고유 식별 번호 부가로 유일한 통화용부가기기(4,)의 번호로 존재하고 이를 인터넷망(2)이나 데이터망에서 필요시 IP 인식을 하여 각종 통계 자료나 업무용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자간 음성 통화 장치는 통화용 부가기기(4,)의 접속 정보를 통화용 부가기기(4,)가 접속된 개인용 컴퓨터()에 접속 정보 데이터 베이스를 자동 생성하여 인터넷망(2)이나 데이터망에 접속된 모든 통화용 부가기기(4,)가 연결된 개인용 컴퓨터()에 접속 정보 데이터 베이스를 자동 갱신 또는 연결 시켜주는 분산 데이터 베이스 처리 할 수 있다.
또한, 사운드 카드가 없는 개인용 컴퓨터에서도 통화용 부가기기를 통하여 인터넷망(2) 및 데이터망에서의 음성 통화 구현 및 외장형으로 부착 되므로써, 필요시 USB가 장착된 어떤 개인용 컴퓨터에서도 통화용 부가기기를 휴대하고 있다가 필요시 간단하게 연결 사용할 수 있도록하는 휴대 및 이동이 간편하다.
상기 통화용 부가기기에 연결된 컴퓨터의 사운드 카드의 스피커 단자와 통화용 부가기기를 연결하여 통화용 부가기기 자체에서 사운드 카드의 음향과 통화용 부가기기의 음향을 혼합 처리(MIXING)하도록 하여 음향을 배경으로 다자간 음성 통화 구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자간 음성 통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도1과 같이 사용자가 다자간 음성 통화를 이용하기 위하여 먼저 사용자 개인용 컴퓨터(3,)에 통화용 부가기기(4,)를 연결하여야 하는데, 이는 상기 통화용 부가기기(4,)의 USB 연결 단자(12)와 사운드 카드 스피커 연결 단자(13)를 해당 단자(14,15)와 연결한다. 그리고 헤드폰용 연결 단자(11)에 외부 헤드폰(5,)을 연결한다. 이때 개인용 컴퓨터의 키보드와 마우스를 통하여 다자간 음성 통화용 서버(1)에 인터넷망(2)이나 데이터망을 통하여 접속하여 통화용 부가기기(4,)의 해당 설치 프로그램과 구동 드라이버를 다운 받은 후 설치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된다.
이때 상기 통화용 부가기기(4,)에 연결된 컴퓨터에 통화용 부가기기(4,)의 접속 정보 데이터 베이스가 자동 생성 되고, 다른 개인용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는 통화용 부가기기(4,)의 접속 정보 데이터 베이스가 자동으로 데이터 베이스가 갱신되어 별도의 인터넷 서버의 제어 없이 상대와 통화가 된다.
그 일례로 1:1 통화는 상기 방법으로 상대방 통화용 부가기기(4,)의 식별 번호(16)와 통화/종료 버튼(17)으로 통화가 가능하다. n:n의 다자간 통화의 경우에는 통화용 부가기기(4,)의 대화방 버튼(18)을 누르고 식별 번호(16)누른후 * 버튼(20)을 누르면 다자간 음성 통화용 서버(1)가 대기상태로 있다가 통화/종료 버튼(17)을 누르면 바로 식별 번호(16)의 통화용 부가기기(4,)에 내장된 종이 울려 통화를 하게 된다.
또한, 상황에 따라서는 사운드 카드의 음향을 배경으로 통화 할 수 있도록 통화용 부가기기(4,)는 자체에서 믹싱이 될 수 있도록 구성 되어 있고 그 제어는 개인용 컴퓨터(3,)에서 소프트웨어 볼륨 조절 방식으로 음향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각각의 통화용 부가기기(4,)에 연결된 개인용 컴퓨터(3,)에 분산 되어 통화용 부가기기(4,)의 접속 정보들이 분산 데이터 베이스로 구축되어 있어, 1:1 통화시에는 서버를 경유하지 않고 접속되어 통화가 가능하며, 다자간 통화시에만 다자간 통화용 서버에만 접속하여 제어를 받으므로 상대적으로 서버의 부하가 경감되어 운영이 용이하다.
본 발명은 인터넷망(2)이나 데이터망에서 다자간 음성 통화를 구현하게 함으로써 이를 활용한 여러 콘텐트를 구상하고 적용할 수 있다.
또 이를 기반으로 하는 각종 소프트웨어를 개발 보급할 수 도 있고, 응용에 따라서는 각종 행사를 기획하여 획기적인 사업 분야를 개척할 수 도 있다.
특히, 인터넷 온라인 네트웍 게임에의 접목은 새로운 사업 기회 창출과 기존 사업의 활성화를 기할 수 있다.

Claims (7)

  1. 인터넷망(2)에서 다자간 음성 통화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다자간 음성 통화용 서버(1)와 각각의 개인용 컴퓨터(3,3',3'')가 네트워킹되고,
    상기 개인용 컴퓨터(3,3',3'')에는 해당 고유 식별 번호 부가와 이 고유 식별 번호를 모든 통화용 부가기기의 연결 개인용 컴퓨터(3,3',3'')에 분산하여 식별 하도록 하는 분산 데이터 베이스 처리 방식과 사운드 카드 음향을 배경으로 통화 할 수 있는 믹싱 서비스의 통화용 부가기기(4,4',4'')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망에서의 다자간 음성 통화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인용 컴퓨터(3,)는 메뉴 및 기능관리(28)내 서버 접속 프로그램(27), 부가기기 접속 정보 분산 데이터 베이스(29) 및 오퍼레이팅 시스템(30)으로 구성되고, 상기 통화용 부가기기(4,)는 원 칩 마이크로 프로세서(31), CODEC(32),입력부(33) 및 오디오믹서(3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망에서의 다자간 음성 통화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통화용 부가기기(4,)의 고유 식별 번호 부가로 통화용부가기기(4,)는 유일한 번호로 존재하고 이를 인터넷망(2)이나 데이터망에서 필요시 IP 인식을 하여 각종 통계 자료나 업무용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고유 식별 번호를 부여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망에서의 다자간 음성 통화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다자간 음성 통화 장치(1)는 통화용 부가기기(4,)의 접속 정보를 통화용 부가기기(4,)가 접속된 개인용 컴퓨터(3,)에 접속 정보 데이터 베이스를 자동 생성하여 인터넷망(2)이나 데이터망에 접속된 모든 통화용 부가기기(4,)가 연결된 개인용 컴퓨터(3,)에 접속 정보 데이터 베이스를 자동 갱신 또는 연결 시켜주는 분산 데이터 베이스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망에서의 다자간 음성 통화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사운드 카드가 없는 개인용 컴퓨터에서도 통화용 부가기기를 통하여 인터넷망(2) 및 데이터망에서의 음성 통화 구현 및 외장형으로 부착 되므로써, 필요시 USB가 장착된 어떤 개인용 컴퓨터에서도 통화용 부가기기를 휴대하고 있다가 필요시 간단하게 연결 사용할 수 있도록하는 휴대 및 이동이 간편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인터넷망(2)에서의 다자간 음성 통화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통화용 부가기기(4,4'4'')에 연결된 컴퓨터의 사운드 카드에 부착되어 있는 스피커 단자와 통화용 부가기기(4,4',4'')를 연결하여 통화용 부가기기(4,4',4'') 자체에서 사운드 카드의 음향과 통화용 부가기기의 음향을 혼합 처리(MIXING)하도록 하여 음향을 배경으로 다자간 음성 통화를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한 다자간 음성 통화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다자간 음성 통화용 서버(1)가 망에 접속되어 있는 통화용 부가기기(4,)의 접속 정보를 감지하고 있다가 통화용 부가기기(4,)의 대화방 버튼(18)이 눌려지고 통화용 부가기기(4,)의 고유식별 번호(16)이 눌려 지고 * 버튼(20)이 눌려지면 * 버튼(20)이 다자간 음성 통화용 서버(1)을 다자간 통화 상태로 대기하고 있다가 고유 식별 번호(16)들이 다 눌려지고 통화/종료 버튼(17)이 눌려지면
    다자간 음성 통화용 서버(1)가 눌려진 고유 식별 번호(16)에 통화 요청 벨소리를 울려 통화가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인터넷망(2)에서의 다자간 음성 통화 시스템
KR1020000012589A 2000-03-13 2000-03-13 인터넷망에서의 다자간 음성 통화 시스템 KR100334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2589A KR100334491B1 (ko) 2000-03-13 2000-03-13 인터넷망에서의 다자간 음성 통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2589A KR100334491B1 (ko) 2000-03-13 2000-03-13 인터넷망에서의 다자간 음성 통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1181A KR20010091181A (ko) 2001-10-23
KR100334491B1 true KR100334491B1 (ko) 2002-04-26

Family

ID=19654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2589A KR100334491B1 (ko) 2000-03-13 2000-03-13 인터넷망에서의 다자간 음성 통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449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4021A (ko) * 2002-03-15 2003-09-19 주식회사 아카더스 네트웍(인터넷)상의 s/w를 이용한 다자간 비대칭 음성분활송/수신 방법
KR100445318B1 (ko) * 2001-12-11 2004-08-21 주식회사 텔레프리 회의통화 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0573065B1 (ko) * 2002-09-28 2006-04-25 주식회사 케이티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의 다자간 통화 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6866A (ko) * 2000-11-11 2002-05-17 박종범 다자간 통화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5318B1 (ko) * 2001-12-11 2004-08-21 주식회사 텔레프리 회의통화 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20030074021A (ko) * 2002-03-15 2003-09-19 주식회사 아카더스 네트웍(인터넷)상의 s/w를 이용한 다자간 비대칭 음성분활송/수신 방법
KR100573065B1 (ko) * 2002-09-28 2006-04-25 주식회사 케이티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의 다자간 통화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1181A (ko) 2001-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21789A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ing a plurality of call center agent performance enhancement modules
CN101395589B (zh) 信息共享系统,信息共享方法,终端设备和程序
CN1868164B (zh) 用于集成即时消息和基于pstn的电话会议的方法和系统
US8095665B1 (en) User-friendly features for real-time communications
US7292845B2 (en) Cell phone having local wireless conference call capabilities
GB2391134A (en) Communication system architecture for voice first collaboration
JP2004146913A (ja) テレビ会議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端末、接続制御方法並びに接続制御プログラム
US6163798A (en) Multi-head video teleconferencing station
KR100334491B1 (ko) 인터넷망에서의 다자간 음성 통화 시스템
US7110516B2 (en) Dynamic telephone configuration
US20120264413A1 (en) Office system comprising a telephony application
US8077851B2 (en) Personal-call and featur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lephones, providing extended features for such telephones and routing of media-rich calls
WO2002039681A1 (en) Unified communications client
KR20020074033A (ko) 인터넷을 이용한 채팅서비스 운영방법
KR100355712B1 (ko) 인터넷폰 서비스를 이용한 다중 통화 기능을 구비한전화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중 통화 시스템
KR100308443B1 (ko) 그룹 통화 시스템
KR200217174Y1 (ko) 키입력 장치를 구비한 인터넷 폰 인터페이스 장치
WO2007138938A1 (ja) 電話機
WO2017013821A1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anagement method, and medium
EP3326351B1 (en) Communication management system,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anagement method, and medium
JP3892574B2 (ja) 複合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回線接続装置
KR20220148955A (ko) 개별 대화 병행형 화상회의 방법
KR20060024694A (ko) 정보공유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0470333B1 (ko) 키폰 시스템에서 단말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17087A (ko) 음성 연결을 통해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는 ip 전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