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2716B1 - 생물공학적 호안공법 - Google Patents

생물공학적 호안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2716B1
KR100332716B1 KR1019990025567A KR19990025567A KR100332716B1 KR 100332716 B1 KR100332716 B1 KR 100332716B1 KR 1019990025567 A KR1019990025567 A KR 1019990025567A KR 19990025567 A KR19990025567 A KR 19990025567A KR 100332716 B1 KR100332716 B1 KR 100332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ver
net
inclined surface
willow branches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5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4830A (ko
Inventor
김혜주
Original Assignee
허 태 학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 태 학,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허 태 학
Priority to KR1019990025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2716B1/ko
Publication of KR20010004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4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2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27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08Gab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하상재료가 바위나 큰돌인 하천의 자정작용을 유도하고 하안의 침식을 막는 자연형 호안공법을 시공하는 경우에 돌망태 및 버드나무가지를 이용하여 자연형 호안공법의 시공상 어려움을 개선시키고 시공비용을 절감시키기 위한 생물공학적 호안공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하천의 하안을 수직과 수평방향으로 소정의 터파기를 수행하고, 터파기한 장소에 하안의 단면이 하안조성 계획된 기울기가 되도록 일정지름의 쇄석으로 충진된 경사면을 시공하는 단계; 경사면의 하단에 위치한 하천의 바닥과 하안이 접촉하는 하안 하단 경계면에 버드나무가지를 일정간격으로 수평으로 배열하고, 배열된 버드나무가지의 2/3가 덮이도록 돌망태를 버드나무가지의 상부에 수평으로 배열하는 단계; 그리고, 경사면을 따라 호안의 상부로부터 돌망태의 상부까지 천연섬유 네트를 깔고, 네트가 경사면에 고정되도록 일정간격으로 고정핀을 박고, 네트의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정수식물을 식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하안재료가 바위나 큰돌인 시공상의 어려움을 개선하고 시공비용을 절감시키며, 하안의 토양유실 및 침식방지는 물론 자연상태의 하천을 복원할 수 있다.

Description

생물공학적 호안공법{methode of construction for bionics river-side operating}
본 발명은 생물공학적 호안공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상재료가 바위나 큰돌인 하천의 자정작용을 유도하고 하안의 침식을 막는 자연형 호안공법을 시공하는 경우에 돌망태 및 버드나무가지를 이용하여 자연형 호안공법의 시공상 어려움을 개선시키고 시공비용을 절감시키기 위한 생물공학적 호안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안공법은 하안의 침식방지를 목적으로 하안을 정비하는 공법을 말한다. 근래에는 하천을 자연상태에 가깝게 정비하는 자연형 하천 조성공법으로 하안을 정비하는 하천의 수가 증가되고 있다. 자연형 하천 조성공법에 있어서, 식생은 하천의 자연도 향상에 가장 적합한 재료이며, 부수적으로 식재된 식물재료들이 수중의 질소, 인등을 흡착, 침전, 흡수함으로써 수질정화를 도모하게 되고 동식물의 서식처를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식물재료들은 유수와 수위변동을 고려하여 선정되는 데, 특히 갈대나 부들, 창포와 같은 정수식물이 위치하는 영역은 하안과 물이 맞닿는 수위선을 중심으로 형성되며 계절적 수위변동에 따라 연중 약 150일 정도가 물에 잠기는 지역이다.
이와 같은 지역에 정수식물을 식재하는 공법은 나무말뚝이나 철근봉을 이용하여 야자섬유 두루말이를 하안에 고정시킨 다음 하안의 상부에 위치한 토양에 직접 어린묘를 심거나 뿌리심기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자연형 호안공법이 하상 재료가 바위나 큰돌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자연형 호안공법을 시공하는 데 어려움이 있음은 물론 공사비를 증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하천의 하안과 물이 맞닿는 지점에 일정지름을 가지도록 돌들이 충진된 원형의 돌망태를 놓아 하안을 유수의 침식으로부터 보호하고, 돌망태의 하부에 일정 간격으로 버드나무를 삽목하여 부정근발생을 유도하고, 하안의 상부에는 정수식물을 식재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여 시공이 간단하고 시공비용을 절감시키며, 하안의 토양유실을 방지하는 것과 동시에 하천을 원래의 자연하천의 모습으로 복원시킬 수 있는 생물공학적 호안공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물공학적 호안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하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생물공학적 호안공법을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호안 104 : 호안 하단 경계면
110 : 돌망태 120 : 경사면
122 ; 쇄석 130 : 버드나무가지
140 : 천연섬유네트 142 : 고정핀
150 : 정수식물
상기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천의 호안을 수직과 수평방향으로 소정의 터파기를 수행하고, 터파기한 장소에 호안의 단면이 하안조성계획된 기울기가 되도록 일정지름의 쇄석으로 충진된 경사면을 시공하는 단계;
경사면의 하단에 위치한 하천의 바닥과 호안이 접촉하는 호안 하단 경계면에 버드나무가지를 일정간격으로 수평으로 배열하고, 배열된 버드나무가지의 2/3가 덮이록 돌망태를 버드나무가지의 상부에 수평으로 배열하는 단계; 그리고,
경사면을 따라 호안의 상부로부터 돌망태의 상부까지 천연섬유 네트를 깔고, 네트가 경사면에 고정되도록 일정간격으로 고정핀을 박고, 네트의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정수식물을 식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상재료가 바위나 큰돌인 시공상 어려움을 개선하고 시공비용을 절감시키며, 하안의 토양유실 및 침식방지는 물론 자연상태의 하천을 복원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물공학적 호안공법을 설명하기 위한하천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생물공학적 호안공법을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물공학적 호안공법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름이 25-40㎝이고 길이가 2.5-5m가 되도록 플라스틱으로 코팅된 지름 3-3.5mm의 철사로 제작된 망태에 돌을 채운 돌망태(110)를 제조한다. 이를 다시 설명하면, 플라스틱으로 코팅된 철사를 이용하여 속에 충진된 돌등이 유실되지 않도록 일정한 지름 및 길이가 되도록 망태를 제작한 후, 그 속에 돌등을 충진한다.
돌망태(110)의 제작이 종료되면, 하천의 호안(100)을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직으로 A-A'선 방향으로 수평으로 B-B'선 방향으로 터파기를 수행한다. 호안의 터파기는 호안의 기울기등 하천의 특수한 상황을 고려하여 수행하게 된다. 터파기가 종료되면 호안의 단면을 계획된 기울기에 맞추어 지름 15㎝-30㎝의 쇄석(122)으로 충진한 경사면(120)을 시공하게 된다
호안의 단면을 하안조성계획된 기울기에 맞추어 쇄석(122)으로 충진한 경사면(120)을 시공하고 나서, 하천의 호안 하단 경계면(104) 즉, 하천의 바닥과 호안(100)이 접촉하는 호안 하단 경계면(104)에 버드나무가지(갯버들, 키버들)(130)를 촘촘한 간격으로 수평으로 배열한다. 이와 같이 하천의 호안 하단 경계면(104)에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버드나무 가지(130)는 물과 접촉하여 부정근 즉, 정근이외의 줄기에서 뿌리가 발생하여 자라게 됨으로서 하안(100)의 토양유실을 방지하게 된다.
버드나무가지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하고 나서 배열된 버드나무가지의 2/3정도가 덮히도록 돌망태(110)를 버드나무가지(130)의 상부에 호안(100)에 수평방향으로 배열한다. 돌망태(110)는 돌망태(110)의 상부와 하천의 평균 수위선(104)이 동일하도록 버드나무 가지(130)의 상부에 놓게 된다.
버드나무 가지(130)의 상부에 돌망태(110)를 배열하고 나서 쇄석(122)으로 충진하고 일정한 기울기를 가지는 경사면(120)을 따라 하안의 상부로부터 돌망태(110)의 상부까지 야자섬유로 제작된 네트(140)를 깔고 네트(140)가 경사면(120)에 고정되도록 일정간격으로 고정핀(142)을 박아 네트(140)를 단단하게 고정시킨다.
이후에, 호안(100)의 경사면(120)을 따라 호안의 상부로부터 돌망태(110)의 상부까지 야자섬유로 제작된 네트(140)의 내부를 속이 보이도록 양쪽으로 벌리고, 정수식물(150)을 식재하게 된다. 정수식물은 갈대, 부들, 창포, 털부처꽃등 식재하는 종류 및 간격과 그 패턴에 따라 각기 다르게 식재할 수 있다. 정수식물(150)을 식재하고 나서 정수식물(150)의 들뜸방지와 활착을 증진하기 위하여 하천의 모래 및 물을 정수식물이 식재된 야자섬유로 제작된 네트(140)에 뿌려주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생물공학적 호안공법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야자섬유로 이루어진 롤이나 섶단을 나무말뚝이나 철근봉으로 고정시키는 기존의 공법과는 달리 돌망태와 버드나무가지를 이용하여 시공의 용이함 및 시공비용의 저렴화를 도모하였다.
즉, 야자섬유롤이나 섶단등의 재료를 사용하는 종래의 호안공법이 하천의 상황에 따라 하상재료가 바위나 큰 돌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시공의 어려움 및 시공시소요비용이 증대하게 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비교적 작은 돌망태(110)와 버드나무가지(130)를 이용하여 시공은 간단하게 하고 시공시 소요되는 비용을 경감시킨다.
또한, 돌망태(110)의 하단부에 배열된 버드나무가지(130)의 부정근 발생을 유도하여 히안의 토양유실을 방지하는 것과 동시에 하천변에 그늘을 형성하여 수온상승을 방지하여 하천의 부영양화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경사면(120)에 식재된 정수식물(150)들이 하안에 뿌리를 내리게 되면서 하안의 침식방지는 물론 하천을 원래의 자연하천으로 회복시킨다. 경사면(120)에 식재된 정수식물(150)이 성장하게 되면 식물의 뿌리에 의하여 하안의 침식방지 및 수중생물의 서식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천의 하안 하단 경계면에 일정지름을 가지며 돌들이 충진된 원형의 돌망태를 놓고, 돌망태의 하부에 일정 간격으로 버드나무를 삽목하여 부정근발생을 유도하고, 하안에는 정수식물을 식재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여 시공이 간단하고 시공비용을 절감시키며, 하안의 토양유실을 방지하는 것과 동시에 하천을 원래의 자연하천의 모습으로 복원시킬 수 있어서 생태적 효과와 함께 토목적인 효과를 동시에 도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그 개량이나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4)

  1. ⅰ)하천의 하안을 수직과 수평방향으로 소정의 터파기를 수행하고, 상기 터파기한 장소에 하안의 단면이 하안조성계획된 기울기가 되도록 일정지름의 쇄석(122)으로 충진된 경사면을 시공하는 단계;
    ⅱ)상기 경사면(120)의 하단에 위치한 하천의 바닥과 호안(100)이 접촉하는 하안 하단 경계면(104)에 버드나무가지(130)를 일정간격으로 수평으로 배열하고, 상기 배열된 버드나무가지(130)의 2/3가 덮이도록 돌망태(110)를 버드나무가지의 상부에 수평으로 배열하는 단계; 그리고,
    ⅲ)상기 단계후에 상기 경사면(120)을 따라 상기 호안의 상부로부터 상기 돌망태(110)의 상부까지 천연섬유 네트(140)를 깔고, 상기 네트(140)가 상기 경사면(120)에 고정되도록 일정간격으로 고정핀(142)을 박고, 네트(140)의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정수식물(150)을 식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물공학적 호안공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쇄석(122)은 지름이 15㎝-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공학적 호안공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망태(110)는 플라스틱으로 코팅된 지름 3-3.5mm의 철사로 제작된 망태에 돌을 채워 전체적으로 지름이 25-40㎝이고 길이가 2.5-5m가 되도록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공학적 호안공법.
  4.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ⅲ 단계에서 정수식물(150)을 식재하고 나서 시공 하천의 모래 및 물을 정수식물이 식재된 네트(140)에 뿌려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공학적 호안공법.
KR1019990025567A 1999-06-30 1999-06-30 생물공학적 호안공법 KR100332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5567A KR100332716B1 (ko) 1999-06-30 1999-06-30 생물공학적 호안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5567A KR100332716B1 (ko) 1999-06-30 1999-06-30 생물공학적 호안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4830A KR20010004830A (ko) 2001-01-15
KR100332716B1 true KR100332716B1 (ko) 2002-04-17

Family

ID=19597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5567A KR100332716B1 (ko) 1999-06-30 1999-06-30 생물공학적 호안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271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4684A (ko) * 2001-11-30 2003-06-09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개비온/돌망태를 이용한 하천의 정수식물식재공법
KR101155978B1 (ko) 2009-10-30 2012-06-18 곽은영 로프와 말뚝을 이용한 하천 제방의 호안공법
CN102628261A (zh) * 2011-05-27 2012-08-08 上海嘉洁生态型混凝土草坪有限公司 一种人工母质生态层的构造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92061B (zh) * 2017-05-17 2019-04-23 浙江中奕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环境友好型美化光缆交接箱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4684A (ko) * 2001-11-30 2003-06-09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개비온/돌망태를 이용한 하천의 정수식물식재공법
KR101155978B1 (ko) 2009-10-30 2012-06-18 곽은영 로프와 말뚝을 이용한 하천 제방의 호안공법
CN102628261A (zh) * 2011-05-27 2012-08-08 上海嘉洁生态型混凝土草坪有限公司 一种人工母质生态层的构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4830A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4938B1 (ko) 하천 호안 및 법면 보호용 식생매트 및 이의 시공방법
CN205475096U (zh) 一种用于硬质河流护坡的生态石笼
KR100656817B1 (ko) 하천변 식물성장불가능한 호안부에 대한 직접 식생녹화방법
CN108316243A (zh) 山区生态河道技术
CN113737723A (zh) 一种生态护岸装置及生态护岸方法
KR20060098447A (ko) 호안블록 녹화용 식생매트
CN108978579A (zh) 一种河道环境修复结构及河道生态环境恢复方法
CN110761241B (zh) 城市河道生态提防
KR0147725B1 (ko) 하천저수로의 사주부 자연형호안공법
CN108457247A (zh) 一种组合护坡及其施工方法
KR100332716B1 (ko) 생물공학적 호안공법
JP3429422B2 (ja) 可撓性護岸材および緑化施工方法
CN208430482U (zh) 山区生态河道
KR100204451B1 (ko) 자연 하천용 식생호안 부재의 시공방법
KR0147724B1 (ko) 하천변 얕은 만곡부의 자연형호안공법
CN114635432A (zh) 基坑复合生态护坡的施工方法
JP3032861B2 (ja) 消波カゴを用いた湛水法面の緑化方法
KR0147723B1 (ko) 하천 저수로의 수충부 자연형호안공법
KR100406877B1 (ko) 생물공학적 호안공법
KR200306402Y1 (ko) 식생 돌망태
KR200163470Y1 (ko) 자연형호안블럭
KR100306393B1 (ko) 생물공학적호안공법
JP2000045248A (ja) 護岸工の施工方法
KR200324519Y1 (ko) 호안블럭
CN217298792U (zh) 一种近自然型的河道生态缓冲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