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0907B1 - Coal Stove with a Boiler System - Google Patents

Coal Stove with a Boiler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0907B1
KR100330907B1 KR1019990016550A KR19990016550A KR100330907B1 KR 100330907 B1 KR100330907 B1 KR 100330907B1 KR 1019990016550 A KR1019990016550 A KR 1019990016550A KR 19990016550 A KR19990016550 A KR 19990016550A KR 100330907 B1 KR100330907 B1 KR 100330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briquette stove
briquette
stove
cruc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65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90064784A (en
Inventor
김한용
Original Assignee
김한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한용 filed Critical 김한용
Priority to KR1019990016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0907B1/en
Publication of KR19990064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47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0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0907B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5Fireboxes; Frames; Hoods; Heat refl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PURPOSE: A briquette stove is provided to improve the thermal efficiency of the briquette stove by circulating hot water through a pipe after heating water using combustion heat generated from the briquette stove. CONSTITUTION: A briquette stove includes an upper body(1) formed with an upper hole, through which a connection pipe passes and a lower body(2) formed with a lower hole, through which a connection pipe passes. A lower flange section(15) is formed around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body(2). An air blocking member(16) is installed on the lower flange section(15) so as to prevent air from going up in a lateral passage(18). A furnace(20) is installed on the air blocking member(16). A bending pipe(30) is accommodated in the furnace(20). A water circulating pipe is connected to the pipes. A water tank is installed on the water circulating pipe. A circulation pump is installed on the water circulating pipe.

Description

온수 보일러 구조를 갖는 연탄난로{Coal Stove with a Boiler System}Briquette Stove with Hot Water Boiler Structure {Coal Stove with a Boiler System}

발명의 분야Field of invention

본 발명은 온수 보일러 구조를 갖는 연탄난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종래의 연탄난로를 개조하여 난로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온수를 순환시켜 보일러 기능을 갖는 연탄난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농촌의 비닐하우스나 식당 등의 난로를 설치할 수 있는 장소에서 열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연탄난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quette stove having a hot water boiler structur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quette stove having a boiler function by circulating hot water using heat generated from a stove by remodeling a conventional coal stove.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quette stove that can maximize the thermal efficiency in the place where you can install a stove, such as a plastic house in a rural.

발명의 배경 및 종래기술Background of the Invention and Prior Art

연탄난로는 농촌의 비닐하우스, 축사를 비롯하여 식당, 상점 등에서 대중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연탄난로는 19공탄을 일렬로 상하 배열하는 난로를 비롯하여 19공탄을 3개씩 3단으로 상하 배열하는 난로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19공탄이 3열로 상하로 배열되고, 각 열에는 3개씩의 연탄이 배열된 연탄난로를 개조한 것이다.Briquetting stoves are widely used in rural plastic houses, barns, restaurants, and shops. Briquette stoves are mainly used for stoves arranged up and down in 19 rows, and stoves arranged up and down in three stages of three 19 balls.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construction of a briquette stove in which 19 coals are arranged up and down in three rows, and three briquettes are arranged in each row.

이제까지의 연탄난로는 연탄을 난로 내부에서 연소시켜 그 발열로 인하여 내부 공기를 따뜻하게 하는 기능만을 갖고 있다. 그리고 연소시에 발생하는 일산화탄소와 같은 가스는 연통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종래의 연탄난로는 주로 난로 주변의 기온을 상승시키며, 난로로부터 거리가 멀어질수록 기온이 급격히 떨어진다. 다시 말해서 어느 정도 넓은 공간에서 효율적으로 전체의 기온을 상승시키기 어려운 실정이다.The briquette stove thus far has only a function of burning the briquettes inside the stove to warm the internal air due to its heat generation. And gas such as carbon monoxide generated during combustion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mmunication. Accordingly, the conventional briquette stove mainly increases the temperature around the stove, and the temperature drops sharply as the distance from the stove increases. In other words, it is difficult to efficiently raise the overall temperature in a rather large space.

일부 농촌의 비닐하우스, 축사, 간이식당, 상점 등에서 경유나 방카C유를 이용하는 난방수단을 사용하고 있으나, 아직도 연탄난로는 대중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자는 연탄난로를 사용하는 경우에 보다 효율적으로 난방을 할 수 있도록, 종래의 연탄난로를 개조하여 온수를 순환시킬 수 있는 보일러 구조를 갖는 연탄난로를 개발하여 특허출원 제98-11054호로 특허출원을 한 바 있다(1998. 3. 30출원). 그러나 상기 특허출원의 발명은 실시결과 1일에 1회 연탄을 갈아주는 것이 불가능하고 최상층의 연탄이 완전히 연소하지 않고 불이 꺼지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일반적으로 연탄난로는 1일에 한번 연탄을 갈아주어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하루에 한번 이상 또는 하루보다 짧은 주기로 연탄을 갈아준다면, 많은 인력이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경제적이지 못하고 매우 불편한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특허출원의 발명을 실시한 결과 최상층의 연탄이 완전히 연소되지 않는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즉 최상층의 연탄이 약 1/3이나 1/4 정도 남은 상태에서 불이 꺼져 버리는 현상이 발생하였다.In some rural plastic houses, barns, eateries, and shops, heating means using diesel or banca C oil are used, but briquette stoves are still widely used. The present inventor has developed a briquette stove having a boiler structure capable of circulating hot water by modifying a conventional briquette stove so as to efficiently heat the briquette stove, and filed a patent application as a patent application No. 98-11054. (Filed March 30, 1998). However, in the invention of the patent application, it was impossible to change the briquettes once a day, and the briquettes of the uppermost layer did not completely burn, and the fire went out. In general, briquette stove can be used conveniently once a day to change the briquettes. Grinding briquettes more than once a day or in a shorter period than one day is not economical and very inconvenient because it requires a lot of manpower. In addition, the invention of the above patent application has found that the briquettes of the uppermost layer are not completely burned. That is, the fire went out when about 1/3 or 1/4 of the briquettes of the top layer remained.

따라서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결하여 충분히 연소하더라도 하루에 한번 연탄을 갈아줄 수 있고, 최상층의 연탄이 모두 연소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난로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s have solved the above drawbacks and have developed a stove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change briquettes once a day even if it is sufficiently burned, and all the briquettes of the uppermost layer can burn.

본 발명의 목적은 연탄난로에서 발생하는 연소열을 이용하여 가열된 온수를 필요한 장소까지 파이프 내부로 순환시켜 열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연탄난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riquette stove that can maximize the thermal efficiency by circulating the heated hot water to the required place using the combustion heat generated from the briquette stov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효율을 극대화함으로써 연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온수 보일러 구조를 갖는 연탄난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riquette stove having a hot water boiler structure that can reduce fuel costs by maximizing thermal efficienc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닐하우스, 축사, 상점, 식당 등에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온수 보일러 구조를 갖는 연탄난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riquette stove having a hot water boiler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in a plastic house, barn, shop, restauran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탄을 하루에 한번 갈아줄 수 있는 온수 보일러 구조를 갖는 연탄난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riquette stove having a hot water boiler structure that can change briquettes once a da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최상층의 연탄이 완전히 연소될 수 있는 온수 보일러 구조를 갖는 연탄난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riquette stove having a hot water boiler structure in which briquettes of the uppermost layer can be completely burned.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온수 보일러 구조를 갖는 연탄난로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ppearance of a briquette stove having a hot water boil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연탄난로의 내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2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the briquette st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연탄난로의 종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briquette st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연탄난로에 사용되는 공기차단부재(16)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air blocking member 16 used in the briquette st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연탄난로의 도가니 내부에 삽입되는 파이프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ape of a pipe inserted into the crucible of the briquette st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6도는 내부에 파이프가 삽입된 도가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6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crucible with a pipe inserted therein.

제7도는 본 발명의 한 구체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schematic diagram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8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파이프의 다른 구체예인 스테인레스 주름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inless corrugated pipe which is another embodiment of a pip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제9도는 상하부 구멍(11, 12)으로부터 누출될 수 있는 일산화탄소 가스를 차단할 수 있는 커버(71, 72)가 부착된 난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9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ove to which covers 71 and 72 are attached to block carbon monoxide gas that may leak from the upper and lower holes 11 and 12.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Brief description of the main symbols in the drawings

1: 상부 본체 2: 하부 본체1: upper body 2: lower body

3: 받침대 4: 연통3: pedestal 4: communication

5, 6: 뚜껑 11: 상부구멍5, 6: lid 11: top hole

12: 하부구멍 15: 하부요입부12: lower hole 15: lower recess

16: 공기차단부재 17: 구멍16: air blocking member 17: hole

18: 측부통로 19: 공기조절수단18: side passage 19: air control means

20: 도가니 21: 도가니 내부공간20: crucible 21: crucible inner space

30: 삽입 벤딩 파이프 31, 32: 나사부30: insertion bending pipe 31, 32: threaded portion

41, 42: 연결 파이프 43: 파이프41, 42: connection pipe 43: pipe

50: 물탱크 51: 순환펌프50: water tank 51: circulation pump

60: 주름관 71, 72: 커버(cover)60: corrugated pipe 71, 72: cover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온수 보일러 구조를 갖는 연탄난로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연탄난로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본체(1), 하부 본체(2), 받침대(3), 연통(4), 및 이중구조의 뚜껑(5, 6)으로 이루어지며, 본 발명에서는 연결 파이프(41, 42)가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상하부 본체(1, 2)에 구멍(11, 12)이 형성된다. 하부에는 주위를 따라 하부요입부(15)가 형성된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ppearance of a briquette stove having a hot water boil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riquette stove consists of an upper body 1, a lower body 2, a pedestal 3, a communication 4, and a double lid 5 and 6, as shown in FIG. Holes 11 and 12 are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body bodies 1 and 2 so that the connecting pipes 41 and 42 can be inserted respectively. The lower concave portion 15 is formed along the periphery.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연탄난로의 내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연탄난로의 내부에는 본 발명의 도가니(20)가 고정된다. 도가니(20)의 외형은 종래의 도가니와 동일하지만 그 내부에는 온수가 가열되어 순환할 수 있는 벤딩 파이프(30)가 내장된다. 제5도는 이 벤딩 파이프(3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제6도는 이 벤딩 파이프 외부에 내화재가 성형된 도가니(20)를 도시한다.2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the briquette st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rucibl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inside the briquette stove. The external shape of the crucible 20 is the same as that of a conventional crucible, but a bending pipe 30 in which hot water is heated and circulated is embedded therei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bending pipe 30, and FIG. 6 shows a crucible 20 in which a refractory material is molded outside the bending pipe.

도가니(20)의 내부에는 19공탄을 각각 넣을 수 있는 3개의 원형공간(21a,21b, 21c)이 형성되며, 이 원형공간의 각각에는 3개씩의 19공탄이 상하 3층구조로 배열된다. 도가니(20)의 내부에 삽입되는 벤딩 파이프(30)는 도가니 내부에 완전히 삽입되도록 삼각형 구조를 갖는 5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벤딩 파이프(30)의 전체 길이는 약 6m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전달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벤딩 파이프는 동관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벤딩 파이프(30)의 구조가 5층으로 이루어지며 그 길이가 약 6m를 유지하여야 하는 것은 파이프와 파이프 사이에 내화재 물질이 적절히 함유되어 도가니(20)가 파손되지 않는 강도를 가져야 하기 때문이다.Three circular spaces 21a, 21b, and 21c are formed in the crucible 20, each of which can accommodate 19 bullets. In each of the circular spaces, three 19-hole bullets are arranged in a three-layer structure. The bending pipe 30 inserted into the crucible 20 is preferably made of five layers having a triangular structure to be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crucible. Preferably, the overall length of the bending pipe 30 is maintained at about 6 m.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heat transfer, the bending pipe is preferably made of a copper tube. The structure of the bending pipe 30 has five layers, and the length of the bending pipe 30 should be about 6 m because the refractory material is appropriately contained between the pipe and the crucible 20 so as not to break.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연탄난로의 종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제4도는 본 발명의 연탄난로의 하부요입부(15) 위에 설치되는 공기차단부재(16)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종래의 연탄난로는 더워진 공기가 도가니(20) 내부뿐만 아니라 도가니의 밖에 형성된 측부통로(18)를 따라 상승하기 때문에 최상층의 연탄이 완전히 연소하지 않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측부통로(18)를 따라 공기가 상승하지 못하도록 난로의 하부에 요입부(15)를 형성하고 그 위에 공기차단부재(16)를 설치하였다. 공기차단부재(16) 위에는 도가니(20)가 놓여지기 때문에 측부통로(18)를 따라 공기가 상승하지 않는다. 즉 공기는 도가니(20) 내부를 통하여 상승하면서 연탄을 연소시킨다. 그 결과 최상층의 연탄을 완전히 연소시킬 수 있고, 나아가 연탄을 하루에 한번 갈아도 충분하다. 본 발명에서 도가니의 상단부와 연탄난로의 상부케이스는 약 1∼3cm 정도의 틈을 유지하여 그 틈 사이로 공기가 이동하여 연통(4)을 통하여 밖으로 연소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바람직하다. 도가니의 상단부는 최상층의 연탄 표면보다 약 5∼15cm 정도 높게 설계되어야 하는데, 이는 도가니 상부가 갖는 잠열에 의하여 최상층의 연탄을 완전히 연소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공기차단부재(16)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는 연탄이 삽입될 수 있는 구멍(17)이 형성된다. 공기차단부재(16)는 그 두께가 2.5∼3mm 정도인 주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연탄난로는 종래의 연탄난로와 같이 하부에 설치된 공기조절수단(19)에 의하여 공기를 조절할 수 있다.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briquette st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air blocking member 16 installed on the lower recess 15 of the briquette stov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ventional briquettes have a drawback in that the warmed air rises along the side passages 18 formed not only inside the crucible 20 but also outside the crucible, so that the briquettes of the uppermost layer do not burn completely. Therefore, the concave portion 15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tove to prevent the air from rising along the side passage 18, and the air blocking member 16 is installed thereon. Since the crucible 20 is placed on the air blocking member 16, air does not rise along the side passage 18. In other words, air rises through the crucible 20 to burn briquettes.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burn the briquettes of the top layer, and it is enough to change the briquettes once a day.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case of the crucible and the upper case of the briquette stove maintain a gap of about 1 to 3 cm so that air is moved between the gaps so that the air burned out through the communication 4 is discharged. The upper end of the crucible should be designed about 5 to 15 cm higher than the briquette surface of the top layer, because the latent heat of the top of the crucible can completely burn the briquettes of the top layer. As shown in FIG. 4, the air blocking member 16 has a hole 17 in which briquettes can be inserted. The air blocking member 16 is preferably made of a casting having a thickness of about 2.5 to 3mm. Briquette stov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air by the air conditioning means 19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like a conventional briquette stove.

본 발명에 따른 도가니(20)가 연탄난로 내부에 장착되며, 나사부(31)는 상부 구멍(11) 주위에 위치되고, 나사부(32)는 하부 구멍(12) 주위에 위치된다. 각각의 나사부(31, 32)로부터 연결 파이프(41, 42)를 연결하여 외부로 파이프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제7도는 본 발명의 한 구체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The crucible 20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mounted inside the briquette stove, the threaded part 31 is located around the upper hole 11, and the threaded part 32 is located around the lower hole 12. The connecting pipes 41 and 42 are connected from the respective thread portions 31 and 32 so that the pipes can be connected to the outside. 7 is a schematic diagram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나사부(31, 32)의 외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연결 파이프(41, 42)의 내부에는 골이 형성되어 이들은 서로 나사방식으로 결합되고 분해된다. 이러한 연결수단은 내부에서 순환되는 물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조립되어야 한다. 이 연결수단은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Threads are formed on the exterior of the threads 31 and 32 and valleys are formed on the interior of the connection pipes 41 and 42 so that they are screwed together and disassembled from each other. These connecting means must be firmly assembled so that the water circulated inside does not leak to the outside. This connecting means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is technology belongs.

연결 파이프(41, 42)의 다른 단부에는 파이프(43)가 체결될 수 있는 체결수단을 갖는다. 이 체결수단도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pipes 41 and 42 has a fastening means to which the pipe 43 can be fastened. This fastening means can also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is technology belongs.

파이프(43)의 어느 한 위치에는 파이프 내부에서 발생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부족한 물을 보충하기 위한 물탱크(50)가 설치되며, 파이프(43) 내부에는 온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51)가 설치된다. 순환펌프(51)는 일반 보일러에서 사용되는 펌프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At one position of the pipe 43, a water tank 50 for discharging air generated inside the pipe to the outside and replenishing insufficient water is installed, and a circulation pump 51 for circulating hot water in the pipe 43. ) Is installed. The circulation pump 51 may be preferably a pump used in a general boiler.

순환펌프(51)에 의하여 펌핑된 물은 도가니(20) 하부에 위치한 벤딩 파이프(30) 하부로 유입되고 벤딩 파이프(30)를 따라 이동하면서 온도가 상승되고 벤딩 파이프(30)의 상부와 연결 파이프(41) 및 파이프(43)를 통하여 순환된다.The water pumped by the circulation pump 51 flows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bending pipe 30 located below the crucible 20 and moves along the bending pipe 30 to increase the temperature,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bending pipe 30 and the connection pipe. Circulated through 41 and pipe 43.

파이프(43)를 통하여 순환되는 온수는 상당히 높은 온도를 유지하고, 순환하면서 파이프(43) 표면을 통하여 열을 배출시킨다. 따라서 열을 필요로 하는 곳까지 파이프(43)를 연장하면 거의 동일한 온도를 유지하면서 기온을 상승시킬 수 있다. 통상 파이프(43)의 길이는 80∼100m 이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길이는 비닐하우스, 축사, 식당, 점포 등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범위이다. 파이프(43)의 직경은 20∼30mm 정도가 바람직하다.The hot water circulated through the pipe 43 maintains a considerably high temperature and circulates heat through the pipe 43 surface. Therefore, extending the pipe 43 to the place where heat is required can raise the temperature while maintaining almost the same temperature. Usu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of the pipe 43 shall be 80-100 m or less. This length is a range that can be usefully used in vinyl houses, barns, restaurants, stores, and the like. The diameter of the pipe 43 is preferably about 20 to 30 mm.

파이프(43)는 난로의 설치장소와 적합하게 연장하거나 단축시켜 설치할 수 있고, 그 장소의 구조에 맞도록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당이나 점포 등의 방바닥을 난방하고자 하는 경우에 파이프(43)를 그 내부에 배관함으로써 일종의 보일러 배관처럼 설치할 수 있다. 비닐하우스나 축사 등에도 이 파이프를 적절히 배치하여 실내의 온도를 비교적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The pipe 43 can be extended or shortened to suit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stove and can be changed to suit the structure of the location.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can be readily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or example, when it is desired to heat the floor of a restaurant or a store, the pipe 43 may be installed inside the pipe 43 to be installed as a kind of boiler piping. The pipes can be appropriately arranged in a vinyl house or livestock house to maintain a relatively uniform indoor temperature.

본 발명의 연탄난로의 열효율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파이프(43)는 스테인레스 스틸 파이프보다 동 파이프를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지만, 값이 비싸기 때문에스테인레스 스틸 파이프도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열효율을 증진시키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는 파이프의 표면적을 증대시킨 주름관(60)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름관(60)은 그 표면적이 넓기 때문에 더 많은 열을 발산시킬 수 있다. 제8도는 주름관(6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In order to enhance the thermal efficiency of the briquetting stov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pe 43 is more preferably copper pipe than stainless steel pipe, but stainless steel pipe may also be preferably used because it is expensive.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use the corrugated pipe 60 which increases the surface area of the pipe as another method for improving the thermal efficiency. Corrugated pipe 60 can dissipate more heat because of its large surface area. 8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corrugated pipe 60.

제9도는 상하부 구멍(11, 12)으로부터 누출될 수 있는 일산화탄소 가스를 차단할 수 있는 커버(71, 72)가 부착된 난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커버(71, 72)는 볼트(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하여 체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방법은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FIG. 9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ove to which covers 71 and 72 are attached to block carbon monoxide gas that may leak from the upper and lower holes 11 and 12. Covers 71 and 72 may be fastened by fastening means, such as bolts (not shown), and such methods may be read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은 연탄난로에서 발생하는 연소열을 이용하여 가열된 온수를 필요한 장소까지 파이프 내부로 순환시킴으로써 열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고, 열효율을 극대화함으로써 연료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비닐하우스, 축사, 상점, 식당 등에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연탄을 하루에 한번 갈아줄 수 있으며 최상층의 연탄이 완전히 연소할 수 있는 온수 보일러 구조를 갖는 연탄난로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can maximize the thermal efficiency by circulating the heated hot water inside the pipe to the required place using the combustion heat generated from the coal briquettes, can reduce the fuel cost by maximizing the thermal efficiency, plastic house, barn, shops, restaurants It can be easily installed in the back, and can change the briquette once a day, and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briquette stove having a hot water boiler structure capable of completely burning the briquettes of the top layer.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Simpl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dily u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all such variations or modifications can be considered t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4)

나사부(31)가 위치하여 연결 파이프(41)가 관통하도록 상부구멍(11)이 형성된 난로의 상부 본체(1);An upper body 1 of the hearth in which the threaded part 31 is positioned so that the upper hole 11 is formed so that the connection pipe 41 penetrates; 나사부(32)가 위치하여 연결 파이프(42)가 관통하도록 하부구멍(12)이 형성되고 그 하부 주위를 따라 하부요입부(15)가 형성된 난로의 하부 본체(2);A lower main body 2 of the hearth in which the lower part 12 is formed so that the threaded part 32 is positioned so that the connecting pipe 42 can penetrate and the lower recessed part 15 is formed along the lower periphery; 상기 하부요입부(15) 위에 설치되어 원통형의 측부통로(18)를 따라 공기가 상승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공기차단부재(16);An air blocking member (16) installed on the lower concave portion (15) to prevent air from rising along the cylindrical side passage (18); 벤딩 파이프(30)가 내장되고 내화재로 이루어지며, 3개의 연탄 수용 내부공간(21a, 21b, 21c)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차단부재(16) 위에 설치되는 도가니(20);A crucible 20 having a bending pipe 30 embedded therein and made of a refractory material, and having three briquette accommodating inner spaces 21a, 21b, and 21c formed thereon and installed on the air blocking member 16; 상기 연결 파이프(41, 42)와 연결되고 물이 순환되기 위한 파이프(43);A pipe 43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pes 41 and 42 and for circulating water; 상기 파이프(43)상에 설치되어 파이프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부족한 물을 보충하기 위한 물탱크(50); 및A water tank (50) installed on the pipe (43) for discharging air in the pipe to the outside and replenishing insufficient water; And 상기 파이프(43)상에 설치되어 온수를 펌핑하기 위한 순환펌프(51);A circulation pump 51 installed on the pipe 43 to pump hot water;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구조를 갖는 연탄난로.Briquette stove having a boiler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 파이프(30)는 5층 구조로 이루어지고, 약 6 m의 길이를 가지며, 약 20∼30 mm의 직경을 갖는 동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구조를 갖는 연탄난로.2. The briquette stove of claim 1, wherein the bending pipe (30) has a five-layer structure, has a length of about 6 m, and has a diameter of about 20 to 30 m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차단부재(16)는 그 두께가 2.5∼3 mm이고 주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구조를 갖는 연탄난로.The briquette stove of claim 1, wherein the air blocking member (16) has a thickness of 2.5 to 3 mm and is made of a cast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가니(20)는 그 상단부와 연탄난로의 상부 케이스가 약 1∼3 cm 정도의 틈을 유지하고, 도가니의 상단부는 최상층의 연탄표면보다 약 5∼15 cm 정도 높게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구조를 갖는 연탄난로.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rucible 20 is designed to maintain a gap of about 1 to 3 cm between the upper end and the upper case of the briquette stove, and the upper end of the crucible is about 5 to 15 cm higher than the briquette surface of the top layer. Briquette stove having a boiler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KR1019990016550A 1999-05-10 1999-05-10 Coal Stove with a Boiler System KR1003309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6550A KR100330907B1 (en) 1999-05-10 1999-05-10 Coal Stove with a Boiler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6550A KR100330907B1 (en) 1999-05-10 1999-05-10 Coal Stove with a Boiler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4784A KR19990064784A (en) 1999-08-05
KR100330907B1 true KR100330907B1 (en) 2002-04-03

Family

ID=37479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6550A KR100330907B1 (en) 1999-05-10 1999-05-10 Coal Stove with a Boiler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0907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4784A (en) 1999-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4764Y1 (en) Boiler for room heating
US4116379A (en) Heating apparatus
KR100330907B1 (en) Coal Stove with a Boiler System
KR101261569B1 (en) double jacket type solar water heater
KR101650529B1 (en) A Prefabricated Boiler
KR19990037808A (en) Coal Stove with a Boiler System
KR19980019568A (en) Coal Stove with a Boiler System
KR200389878Y1 (en) hot water boiler
KR101407600B1 (en) Assembly type boiler
JP3121393U (en) Water supply device for regenerative electric boiler
JP5858555B1 (en) Wood stove and hot water supply device
KR100435904B1 (en) Electric boiler
CN215892451U (en) Stove and heat preservation device
KR200433110Y1 (en) Electric boiler for a quick heating
CA1107702A (en) Heating unit for hot water room heating systems
CN201093543Y (en) Civil coal porous dry combustion stove
KR200400896Y1 (en) The heating system
KR100875615B1 (en) Auxiliary heating device of boiler
KR100607025B1 (en) Boiler
KR20020093685A (en) A briquet boiler for warm wind maker
CN2372579Y (en) High efficiency coal-saving multipurpose stove
CN101963364A (en) Honeycomb briquette heating furnace
CN104764046A (en) Agricultural heating and water heating system
KR100745379B1 (en) Hot-water supply and circulation system of briquette boiler
CN2345897Y (en) Water he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