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0105B1 - 유체계량장치 - Google Patents

유체계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0105B1
KR100330105B1 KR1019940024680A KR19940024680A KR100330105B1 KR 100330105 B1 KR100330105 B1 KR 100330105B1 KR 1019940024680 A KR1019940024680 A KR 1019940024680A KR 19940024680 A KR19940024680 A KR 19940024680A KR 100330105 B1 KR100330105 B1 KR 100330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ering
outlet
metering device
fluid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4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2040A (ko
Inventor
빌헬름아.켈러
로렌스알.펜
Original Assignee
빌헬름아.켈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빌헬름아.켈러 filed Critical 빌헬름아.켈러
Publication of KR950012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2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0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01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1/00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 G01F11/02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with measuring chambers which expand or contract during measurement
    • G01F11/04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with measuring chambers which expand or contract during measurement of the free-piston typ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1/00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 G01F11/02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with measuring chambers which expand or contract during measurement
    • G01F11/08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with measuring chambers which expand or contract during measurement of the diaphragm or bellows typ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1/00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 G01F11/10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with measuring chambers moved during operation
    • G01F11/12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with measuring chambers moved during operation of the valve type, i.e. the separating being effected by fluid-tight or powder-tight movements
    • G01F11/20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with measuring chambers moved during operation of the valve type, i.e. the separating being effected by fluid-tight or powder-tight movements wherein the measuring chamber rotates or oscilla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1/00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 G01F11/10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with measuring chambers moved during operation
    • G01F11/12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with measuring chambers moved during operation of the valve type, i.e. the separating being effected by fluid-tight or powder-tight movements
    • G01F11/20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with measuring chambers moved during operation of the valve type, i.e. the separating being effected by fluid-tight or powder-tight movements wherein the measuring chamber rotates or oscillates
    • G01F11/22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with measuring chambers moved during operation of the valve type, i.e. the separating being effected by fluid-tight or powder-tight movements wherein the measuring chamber rotates or oscillates for liquid or semiliqui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 Taps Or Cocks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계량 장치는 계량될 물질을 위한 하나 이상의 입구포트(2)와 그 물질을 위한 하나 이상의 출구포트(3)를 형성하는 하우징과 축(5)에 의해 구동된 하나 이상의 회전부재(4)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부재는 횡보어(9)를 가지며 두 시트(11, 12)와 하나 또는 다른 시트에 대한 밀봉부 사이의 보어에 선형으로 이동하는 계량수단(10)을 구비하고 있다. 회전부재(4)는 출구 시트(8)에 대한 압력하에서 시트와 밀봉부 사이에 설치된다. 그와 같은 계량 장치는 거의 연속 유동 형태로 인해 사정 또는 신속 사정으로 계량 장치는 정확한 계량을 허용하며, 액체 및 가스를 위한 압력 이송 시스템의 분배 단부에서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작동부품이 별로 없는 매우 단순한 구성을 가지며 계량 장치 후방에 설치된 정수 유체 압력이 시동시에 계량 장치의 전방의 유동 서지를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계량용의 차단 밸브로서 작용한다.

Description

유체계량 장치
본 발명은 제 1항의 전제부에 따른 유체계량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와 같은 계량 장치는 신장된 회전부재내에 선형 이동 계량 헤드를 개시하고 있는 PCT/GB-9O/OO288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 장치는 밀봉 문제점이 있으며 그 선형 설계로 인해 그 적용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부피가 크다. 또한 미국 특허 제 4,058,240호는 압축 공기 시스템을 위해 회전부재를 가지는 자동 배수(drain) 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나 상기 회전부재는 관통보어 (throughgoing bore)를 갖지 않는다.
상기 종래기술로부터, 본 발명의 목적은 정확한 계량이 가능하며 단순한 방식으로 회전부재의 밀봉 문제점을 해결하고 상술한 종래기술에 개시된 장치에 대한부가적인 장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가스 및 다양한 액체의 계량을 위해 사용될수 있는 계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문제점은 제 l항에 규정된 바와 같은 장치로 해결 된다. 제 1항에 따르면 회전부재는 하나 이상의 횡보어와 하나 이상의 구동축을 가지는 볼이며, 상기 회전볼은 서로 대향된 두 시트 사이에서 고정 유지되며 각 시트는 각각 입구 및 출구 유동을 위한 통로를 가진다. 적합한 실시예에서, 입구 및 출구 시트는 구형으로 밀봉 문제점을 상당히 감축시키며 계량 장치의 소형 설계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 1도는 입구포트(2)와 정반대로 대향된 출구포트(3)를 갖는 하우징(1)을 구비하는 계량 장치의 제 1 실시예로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입구 포트는 공 급부에, 출구포트는 분배 장치에 연결된다. 계량 부재는 구형의 회전부재, 적합하게는 키이홈 축 커플링(33)에 의해 구동축(5)에 결합된 볼(4)이다. 축은 적합한 밀봉부 (7)와 함께 베어링(6)으로 유지된다. 회전볼을 구동하기 위한 전동기, 기억박스 및 전자조종 장치 같은 구동 시스템은 종래 기술과 동일하다.
정확한 작용을 위하여, 종래의 회전부재의 밀봉부보다 경제적이며 고내구성 및 효과적인 밀봉부를 형성하는 구형시트(8)가 회전부재를 위해 형성되며 동시에 입구시트(8a)도 또한 구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볼은 횡보어(9)를 가지며 원통형 슬리브(9a)를 슬리브 보어(9b)와 함께 설치하고 각 단부상의 계량 수단을 위해 시트(11, 12)를 구비하는 것이 잇점이 있다. 슬리브는 시트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재료로 제조된다. 상기 실시예의 계량수단은 슬리브 보어(9b)내의 계량수단시트(11, 12) 사이를 이동하는 셔틀 볼(10)이다.
액체 또는 가스가 입구포트(2)로 도입될때, 압력하에서의 회전부재는 시트 사이에서 유지되나 압력 때문에 출구시트(8)에 대하여 가압된다. 그 결과 액체 또는 가스의 어떤 압력 변화는 출구시트에 대한 밀봉에 대하여 자체 보상된다. 출구시트(8)는 하우징과 마주하여 예를 들어 밀봉부(58) 또는 다른 밀봉 수단에 의해 밀봉되어야 한다. 또한 이 시스템은 회전볼 및 그 시트의 마모를 보상해야 한다. 시트에 대한 회전볼 조립체의 마찰로 인해 구축된 열을 냉각시키기 위해 액체 또는 가스의 유동이 제공된다.
출구시트(8)는 조정 나사에 의해 회전볼에 대해 가압된다. 이 목적을 위해 하우징은 하우징에서 수나사(36)가 암나사(37)와 결합하는 폐쇄부(35)를 구비한다.
제 2도로부터 회전볼과 접촉하는 출구시트(8)의 길이(D')는 횡보어(9)의 직경(D)을 초과해야만 하며 누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횡보어(9)가 회전될때 출구시트(8)를 통과해야 한다. 완전한 계량 및 밀봉을 위하여 시트 사이에서 셔틀 볼의 완전한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회전볼의 입구 및 출구측 사이에 압력차이가 존재해야 한다.
제 1도 장치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계량될 물질은 입구포트(2)를 거쳐서 압력하에서 셔틀볼인 계량수단(10)에 충돌하며 시트(11)로부터 슬리브 보어(9b) 아래의 제 2 시트(12)까지 밀쳐지며 물질량(dose of material)을 방출한다. 약 180°의 회전후에 제 1도와 같은 상황이 제공되며 계량수단은 다른 시트에 대해 슬리브 보어 아래로 재차 밀쳐지며 새로운 사정량을 계량 및 방출한후에 시트를 밀봉한다.500rpm 의 회전 속도와 슬리브 보어(9b)내의 0.25ml 의 방출체적으로 인해 분당 250ml 의 유속이 성취된다. 상대적으로 작은 체적과 계량된 량의 신속 결합으로 명백히 방해없는 유동을 형성한다. 방해된 량의 유동은 수반되는 정지에 대해 회전부재를 180°증분 회전시킴으로서 성취된다.
그와 같은 계량 장치는 저고의 점성 액체, 윤활방지 및 마손성의 액체 특성 및 가변 유속 및 압력같은 넓은 범위의 매개변수로 작동하기 위한 용량(Capacity)을 갖는다.
상술한 예는 회전볼 직경이 약 25mm, 셔트볼 직경이 약 6mm 및 행정(stroke)이 약 9mm 를 갖는 약 50mm 의 측부 길이의 입방체형 하우징의이 사용된다. 이는 유효한 계량 장치의 소형화를 명확하게 입증한다. 장치의 크기에 따라서, 계량될 물질의 특성, 유속 및 사용된 압력, 회전볼에 대한 다른 물질 및 그 시트가 사용된다. 화학 물질에 대한 적은 마모와 고저항이 요구된다면 세라믹이 사용될 수 있고, 소형의 고정밀 장치에 대해 사파이어 또는 루비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스틸 또는 플라스틱이 사용될 수 있다.
제 3도는 제 1도에 대한 변형예로서 특히 가스 또는 다른 압축성 유체를 계량하기에 적합하다. 짧은 실린더(40)에서 끝나는 테이퍼 단부(39)를 가지며, 슬리브(43a)에서 대응 시트(41, 42)의 형상이 그 보어(43b)와 조화되며 회전볼(44)의 보어(43)에 설치되며 각 시트에서 밀봉링(45)같은 밀봉수단을 구비하는 셔틀 원통형 피스톤(38)에 의해 셔틀볼이 대체된다. 시트의 외부 형상은 회전볼의 구형상과 조화된다. 이 변형예에서 출구시트(8)는 출구시트(8)와 나사 폐쇄부(47)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46)에 의해 회전볼에 대해 가압된다. 하우징(48)은 또한 입구포트(2) 및 출구포트(3)를 개략 도시하고 있다. 회전볼의 출구시트(8)가 나사 및 스프링에 의해 장력을 가지기 때문에 제 1도와 같이 하나의 구동축(49)만이 있으며 그 구동축은 고정되지 않았으나 회전볼에 직접 견고하게 부착된다.
작동에 있어서, 입구포트로부터 발생하는 가스 압력은 피스톤이 시트(42)를 향하여 이동하여 출구 슬리브 시트(42)에서 정지할때 까지 피스톤이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서 원통형 공간을 충전한다. 회전볼은 약 180° 회전되며 대향 시트로 이동하는 피스톤은 가스를 방출한다. 모든 가스가 원통형 공간으로부터 출구포트(3)를 통하여 방출될때 피스톤은 원통형 공간을 충전시키고 시트의 형상과 동일 높이가 된다. 그러므로 볼이 180° 더 회전할때 시트내의 동일 높이 영역은 입구포트(2)로 다시 가스의 어떤 체적을 수반하지 않는다. 입구포트에서 출구포트로 계량된 가스량은 입구포트에서의 가스 압력과 입구 영역에 대한 출구 영역에서의 보다 작은 압력의 유지에 직접 관계된다.
제 4도의 실시예는 계량수단의 다른 변형예로서 회전부재(52)의 횡보어(51)에 설치된 슬리브(51a)의 보어(51b)의 중간에 다이아프램(50)이 유지수단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볼은 이전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시트(8, 8a)에 수용되며, 상기 시트(8)는 제 3도에서와 같이 나사 및 스프링에 의해 장력을 갖는다. 슬리브의 보어(51b)는 시트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회전부재(52)는 직접 부착된 두축(53)에 의해 지지되며 그중 하나가 구동된다. 하우징(54)은 제 3도의 하우징(48) 및 다른 부품과 유사하다. 상기 실시예의 작동은 이전의 실시예와 유사하다.
제 5도는 압축성 유체의 계량을 위해 적합한 다른 실시예로서 구동된 회전부재(56)는 입구포트(2)에서 출구포트(3)까지 작은 체적의 횡포트를 위해 포켓 호울로서 형성된 적도(equatorial) 주변에 다수의 캐비티(57)를 구비한다. 시트(8, 8a)는 이전 실시예의 시트와 유사하며 시트(8) 또한 상술한 수단과 함께 나사 및 스프링에 의해 장력을 갖는다. 출구 시트(8)는 밀봉 수단(58)에 의해 하우징(55)에 마주하여 밀봉된다.
제 6도는 계량용량이 증배되어 동일한 시트(11, 12) 사이의 슬리브 보어(9b)에서 이동되는 셔틀볼인 계량수단(10)을 가지는 두 회전부제(13, 14)를 이용함으로서 균등하고 연속한 흐름을 제공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두 횡보어(9)가 90° 로 배치되어 있다. 두 회전부재(13, 14)는 접속편(15)에 의해 연결되며 하나의 회전부재(13)는 구동축(16)에 의해 구동되며 베어링(6)과 밀봉부(7)로 제공된다.
하우징(17)은 두개의 입구(18) 및 두개의 출구(19)를 갖는다. 이 경우에 입구 압력은 소정의 출구 압력 이상, 적합하게는 안전 인자로 유지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각각 하나 이상의 회전부재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입구포트 및 출구포트의 수는 유동적이며 횡보어는 180°/N 의 각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N 은 회전부재의 수이다.
제 8도는 구형의 회전부재에 대한 입구 및 출구시트의 밀봉부의 상세도로서 구형의 입구 및 출구시트는 별도의 유체 압력에 의해 회전부재에 대해 강제된다. 실시예는 입구포트(62)와 직경방향으로 대향된 출구 포트(63)를 가지는 하우징(61)을 구비하며 입구포트(62)는 공급부에, 출구포트(63)는 분배 장치에 연결된다. 회전부재(64)는 두 구형의 시트(65, 66)에 의해 유지되며 계량수단인 셔틀볼을 위해 두 시트를 가지는 횡보어(67)를 구비한다. 변형의 횡보어(67)는 시트(71)의 위치를 0 의 셔틀볼 이동으로부터 최대 이동까지 조정할 수 있도록 조종 나사(70)와 함께 부분 나사부(69)를 가진다. 시트(72)는 고정된다. 이러한 변형은 보어의 수에 관계없이 모든 실시예에 사용된다.
상술한 실시예에 대한 차이에서 구형의 입구 및 출구시트(65, 66)가 별개의 유체 압력하에 있다는 것이다. 구형의 입구시트(65)는 유체입구포트(73)를 가지는 링형홈(74)과 스프링 수단(75)을 구비하는 하우징(61) 내부에 위치된다. 구형의 입구시트(65)는 홈(74)안에 환형 피스톤을 형성하며 밀봉 수단(77)을 또한 구비한 대응링(76)을 가진다.
출구 구형 시트(66)는 밀봉 수단(79'), 유체입구포트(78) 및 스프링 수단(75)을 구비하는 하우징부분(79)이 구형의 시트를 구비하기 위해 나사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해 하우징에 고정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구형의 입구시트(65)와 같은 구조이다.
구형의 시트상의 압력이 구형 밀봉 표면적에 대한 추력에 비례하고, 계량 조립체내의 액체 또는 가스 압력의 영향 및 구형 시트내의 회전볼을 밀봉 및 위치 결정하는 필요에 따라서 표면적이 동일하거나 다르고 또한 유체압력이 동일하거나 다르다. 스프링 수단(75)은 유체 장력 전의 회전부재에 대한 구형 시트의 예비 장력을 위해 도시되었다.
구형 시트에 대한 압력은 별개로 필요한 것은 아니며 분배될 물질의 압력이사용되는 것으로 충분하다.
제 9도 내지 제 16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계량을 위해 회전부재가 하나 이상의 횡보어를 가진다. 보어를 통하여 누출없이 성취하기 위하여 구형 입구시트와 하우징 사이에 배치된 밀봉부가 제공되어 필요한 추가적인 작용을 제공한다. 입구포트를 통하여 계량될 압축 액체 또는 가스는 구형 입구시트 면적에 대하여 가압되며 구형 입구시트가 회전부재에 대하여 강제되어 구형 출구시트에 대한 볼의 밀봉 작용에 부가하여 밀봉부와 회전부재간의 밀봉 작용이 얻어진다. 또한, 상술에 대하여 구형 입구 및 출구시트 간의 결합 라인은 입구 및 출구벽에 대해 평행하지 않아도되며 특히 대각선으로 밀접 배치되며 결합부와 하우징 사이에 밀봉수단을 허용하여 횡보어가 결합 라인에 인접할때 결합 라인간의 어떤 가능한 누출이 횡보어를 통하여 출구포트로 유동하지 않는다.
제 9도 내지 제 12도의 실시예에서, 상술한 실시예와 같은 시트에 대한 물질입력 유동 압력의 변형예로서 측부 B 는 장치의 하부이다. 실시예는 입구포트(82)와 반대로 대향된 출구포트(83)를 가지는 하우징(81)을 구비하며 입구포트(82)는 공급부에 출구포트(83)는 분배 장치에 연결된다. 회전부재(84)는 대략 두개의 대각선으로 분할된 구형 시트(85, 86)에 의해 유지되며 두 개의 계량 수단(89, 90)인 셔틀볼을 위해 이전의 실시예와 같이 동일 시트에 대해 두 횡보어(87, 88)를 구비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두 보어는 회전부재의 중심에서 만난다.
제 8도의 실시예와의 차이는 구형 입구시트(85)가 입구포트(82)에서 구형 입구시트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피스톤(91)으로 제공되며 그 입구에서 액체또는 가스 압력을 받기 쉬우며 밀봉 수단(92)을 구비하는 점이다. 구형 입구시트는 하우징(81) 내부에 위치된 스프링 수단(93)에 의해 예비 장력을 갖는다. 구형 출구시트(86)에서 삽입가능한 하우징부분(94)은 유체입구포트(95)와 스프링 수단(93)을 구비 하며 링(96)과 밀봉수단(98)을 가지는 구형 출구 시트(86)의 대응부분 또한 이전의 실시예의 하우징 부분과 유사하다. 각각의 구형 시트는 하우징에 대해 밀봉 수단을 구비한다.
출구 구형 시트(86)는 유체입구포트(95)를 통하여 가압 되며 입구포트는 입구 압력 유체나 별개의 유체 압력 수단에 연결된다. 그와 같은 힘은 입구포트를 통하여 액체 또는 가스 압력에 직접 비례한다. 각 구형 시트에 대한 압력 수단의 설치로 정확한 압력 조정을 가능하게 함으로서 압력 제어 수단이 유체 입구포트(95)에 제공된다. 다른 조정 수단은 피스톤(91)의 단면적을 적용함으로서 제공된다. 어떤 그와 같은 조합으로 구형 시트와 회전부재 사이에 밀봉부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구형 시트의 압력 수단은 이전의 실시예에도 적용된다.
제 9도 내지 제 12도는 회전부재의 4개의 다른 회전 단계를 나타내며, 회전방향이 화살표로 나타나 있다. 시트에 대하여 계량부재가 항상 가압되어야만 하기때문에 회전 방향은 이 실시예에서 매우 중요하다.
제 13도 및 제 14도에 따른 다른 실시예는 서로에 대해 90°를 이루며 또한회전볼(101)내의 중심에서 떨어져 배치된 두 횡보어 (99, 100)를 사용한다. 제 15도 및 제 16도의 실시예에서 회전부재(106)내에 90°로 배치된 한쌍의 보어(102, 103)가 90°의 각도를 이루고 또한 중심에서 떨어진 다른쌍의 관련된 보어(104,105)에 대해 45°각도로 배치된다.
상기의 모든 결과로서 회전부재 주기에 대한 계량된 출력의 증가된 체적이 성취된다. 예를들어 두개의 횡보어는 주기당 4개의 계량된 출력을 제공하며, 4개의 횡보어는 주기당 8개의 계량된 출력을 제공한다. 이는 회전 속도에 대한 가능한 적은 부품 마모 및 진동 감소에 잇점이 있다.
제 7도는 이성분 재료를 위해 비례 혼합 장치(21)에 있어서 본 발명의 두개의 계량 장치의 사용방법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면부호 22 및 23 은 이성분을 위한 두개의 저장 용기이다. 파이프(24, 25)가 펌프(26, 27) 또는 다른 압력원에 연결된다. 펌프는 압력하의 물질을 계량 장치(28, 29)로 이송하며 그 출구는 혼합장치(20)에 부착되며, 혼합장치는 정적 또는 동적 형태이다. 계량 장치의 전동기(30, 31) 뿐만 아니라 자체의 계량 장치는 컴퓨터 제어 장치(32)에 연결되어 컴퓨터에 의해 제어되며, 그 제어 장치는 또한 저장 용기, 펌프 또는 다른 압력원 뿐만 아니라 전기 구동된 혼합 장치인 경우에 혼합 장치도 제어한다. 펌프 또는 다른 압력원 뿐만 아니라 계량 장치의 이송은 서로 다르며 또한 전기적 매개변수가 조정 및 변화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는 덜 복잡하며 소형이며 공지된 장치보다 마모가 적다. 상기 장치는 마모에 대해 자체 조정되거나 조정될수 있으며 회전시 누출에 대해 완전히 밀봉되어 최적의 계량 정확도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회전이 정지되어 계량이 중지될때 어떤 각 위치에서 완전한 차단 밸브로서 작용한다.
또한 그와 같은 계량 장치는 사정(shot) 또는 유동 형태로 유체의 정확한 계량을 허용하며 액체 및 가스를 위해 압력 이송 시스템으로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는 극소의 작동부품으로 인해 구성이 간단하다.
제 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계량 장치의 개략 단면도.
제 2도는 제 1도의 90°에서의 상세 단면도.
제 3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단면도.
제 4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단면도.
제 5도는 압축성 유체에 적합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단면도.
제 6도는 두개의 계량 장치를 가지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제 7도는 본 발명의 이 성분 비례 혼합 장치에 대한 배치도.
제 8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변형 단면도.
제 9도 내지 제 12도는 회전부재가 두개의 횡보어를 가지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4개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
제 13도는 회전부재가 중심에서 벗어난 두개의 횡보어를 가지는 실시예의 변형도.
제 14도는 제 13도의 선 XIV-XIV에 따른 단면도.
제 15도는 회전 부재가 두쌍의 횡보어를 가지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도면.
제 16도는 제 15도의 선 XVI-XVI 에 따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7, 48, 61, 81 : 하우징
4, 13, 14, 44, 52, 56, 64, 84, 101, 106 : 회전부재
5, 16, 49, 53 : 구동축
8, 8a, 65, 66, 85, 86 : 시트
9, 43, 67, 87, 88, 99, 100, 102, 103, 104, 105 : 횡보어
10, 38, 68, 89, 90 : 계량수단

Claims (27)

  1. 계량될 물질을 위해 하나 이상의 입구포트 및 하나 이상의 출구포트를 가지는 하우징과, 계량 수단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회전부재를 구비하는 유체계량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4, 13, 14; 44; 52; 56; 64; 84; 101; 106)는 계량수단(10, 38, 68, 89, 90)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횡보어(9, 43, 67; 87, 88; 99, 100; 102, 103, 104, 105)와 하나 이상의 구동축(5, 16; 49; 53)을 구비하는 볼이며, 상기 회전부재는 서로 대향된 두 개의 입구 및 출구시트(8, 8a; 65, 66; 85, 86)사이에 설치되며, 각 시트는 각각 입구 및 출구 유동을 위한 하나 이상의 입구 및 출구포트(2, 3; 62, 63; 82, 83)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계량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8, 8a; 65, 66; 85, 86)는 구형의 형상이며, 하나 이상의 출구시트가 하우징(1, 17, 48, 61, 81) 내부에 밀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계량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서로 마주하는 시트(8, 8a; 65, 66)의 측부는 하우징 (1, 17, 48, 61)의 입구 및 출구벽에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계량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서로 마주하는 시트(85, 86)의 상접면은 하우징(81)의 입구 및 출구벽에 평행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계량 장치.
  5. 제 1항 내지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84, 101, 106)는 하나 이상의 횡보어(87, 88; 99, 100; 102, 103, 104, 105)를 구비하며, 각각의 보어는 하나의 셔틀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계량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횡보어(87, 88)는 90°로 배치되며 회전부재(84)의 중심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계량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횡보어(87, 88)는 90°로 배치되며 회전부재(101)내의 중심에서 벗어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계량 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106)는 90°로 배치된 한쌍의 횡보어(102, 103)를 구비하며상기 쌍의 횡보어는 중심에서 벗어나 있으며 90°로 배치된 다른 한 쌍의 횡보어(104, 105)에 대해 45° 중심에서 벗어나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계량 장치.
  9.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 수단은 두 밀봉시트(11, 12; 41, 42; 71, 72)사이의 횡보어에 선형으로 이동하는 셔틀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계량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횡보어에 대해 두 밀봉 시트중의 적어도 하나의 밀봉시트(71)는 횡보어에 길이방향으로 조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계량 장치.
  11.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 수단(10, 68, 89, 90)은 셔틀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계량 장치.
  12.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 수단은 셔틀 피스톤(3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계량 장치.
  13.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52)는 계량 수단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횡보어(51)를 구비하며, 상기 보어는 구동축에 대해 직경방향으로 90° 연장되며, 상기 계량 수단은 상기 보어의 중앙에 배치된 다이어프램(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계량 장치.
  14.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7)은 연결편(15)에 의해 연결되며 하나 이상의 구동축(16)을 가지는 두 개 이상의 회전부재(13, 14)를 구비하며, 각 회전 부재내의 하나 이상의 횡보어(9)는 다른 횡보어에 대해 90°로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은 또한 두 개 이상의 입구(18)와 두 개 이상의 출구(1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계량 장치.
  15.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횡보어(9, 43, 51)는 슬리브(9a, 43a, 51a)로 제공되며 슬리브가 적용되는 경우 계량 수단 밀봉시트(11, 12; 41, 42)를 구비하며, 상기 슬리브의 보어(9b, 43b, 51b)는 계량 수단(10, 38, 50)을 수용하는 계량 보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계량 장치.
  16.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56)는 그 적도 주변에서 계량 수단으로 작용하는 다수의 캐비티(57)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계량 장치.
  17.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4, 13, 14; 44; 52; 56)는 밀봉부를 형성하는 출구시트(8)에 대한 압력하에서 계량될 물질에 의해 유지되며, 횡보어(9, 43, 51)와 캐비티(57)의 직경(D)은 회전부재와 접촉하는 시트(8)부분의 길이(D')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계량 장치.
  18.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5; 16; 49; 53)은 베어링(6)에 의해 지지되고 밀봉 수단(7)에 의해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계량 장치.
  19.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시트(8)는 나사 및 스프링에 의해 밀봉부를 형성하기 위한 구형 회전 부재에 대해 가압되며, 나사 폐쇄부(47)와 상기 시트 사이에 스프링(46)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계량 장치.
  20.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수단(10)은 계량수단이 시트에 대해 자유로운 상태로 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위해 축 커플링(33)에 의해 하나 이상의 축에 연결되며, 상기 축의 한편이 구동축(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계량 장치.
  2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및 출구 시트(65, 66; 85, 86)는 유체 압력 수단에 의해 회전 부재(64, 84)에 대해 가압됨으로서 형성된 구형 측부에 대향된 출구시트(66; 86)의 측부는 유체 입구포트(75, 93)를 구비하는 삽입 하우징부분(79, 94)에 의해 형성된 홈(74)에 마주하는 환형 피스톤(76, 9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계량 장치.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된 구형 측부에 대향된 입구시트(65)의 측부는 유체 입구포트(73)를 구비하는 삽입 하우징부분(61)에 의해 형성된 홈에 마주하는 환형 피스톤(7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계량 장치.
  23.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된 구형 측부에 대향된 입구시트(85)의 측부는 계량될 물질의 입구포트(82)에 마주하는 피스톤(9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계량 장치.
  24. 제 21항 내지 제 2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된 구형 측부에 대향된 입구 및 출구시트(65, 66; 85, 86)의 측부는 예비장력 스프링 수단(75; 9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계량 장치.
  25.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위치에 상관없이 계량수단은 이동을 중지하며, 입구는 항상 출구로부터 차단되며 상기 계량수단은 차단 밸브로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계량 장치.
  26. 계량 장치(28, 29)에 대응한 펌프(26, 27)인 압력원으로부터의 유체가 독립하여 공급되며, 계량장치의 출구가 혼합 장치(20)와 접속되며, 혼합장치가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경우에, 저장 용기(22, 23), 펌프 또는 다른 압력원, 구동장치(30, 31)를 포함한 계량 장치(28, 29) 및 혼합장치(20)가 컴퓨터 제어 장치(32)에 의해 별개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다성분 비례 혼합 장치에 있어서의 제 1 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항에 따른 두 개 이상의 계량장치의 사용방법.
  27. 제 1 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7)은 연결편(15)에 의해 연결되며 하나의 구동축(16)을 가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회전부재(13, 14)를 구비하며, 각 회전 부재내의 하나 이상의 횡보어(9)는 다른 횡보어에 대해 180°/N (N은 회전부재의 수)으로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은 또한 두 개 이상의 입구(18)와 두 개 이상의 출구(1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유체계량장치.
KR1019940024680A 1993-10-01 1994-09-29 유체계량장치 KR1003301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3810696A EP0646776B1 (en) 1993-10-01 1993-10-01 A metering device for fluids
EP93810696.0 1993-10-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2040A KR950012040A (ko) 1995-05-16
KR100330105B1 true KR100330105B1 (ko) 2002-08-21

Family

ID=8215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4680A KR100330105B1 (ko) 1993-10-01 1994-09-29 유체계량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547110A (ko)
EP (1) EP0646776B1 (ko)
JP (1) JPH07159216A (ko)
KR (1) KR100330105B1 (ko)
CA (1) CA2133375C (ko)
DE (1) DE69326242T2 (ko)
ES (1) ES2137243T3 (ko)
TW (1) TW27097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984B1 (ko) * 2002-03-18 2005-05-03 이경수 액체 계량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50946A (en) * 1994-10-03 1998-12-22 Wilhelm A. Keller Metering device
US6179583B1 (en) 1997-02-25 2001-01-30 Weston Medical Limited Metered fluid delivery device
GB9703918D0 (en) * 1997-02-25 1997-04-16 Weston Medical Ltd Fluid metering dispenser
US6234167B1 (en) * 1998-10-14 2001-05-22 Chrysalis Technologies, Incorporated Aerosol generator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an aerosol generator
US6409051B1 (en) * 2000-09-28 2002-06-25 Lam Research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a fluid media
US20040161741A1 (en) 2001-06-30 2004-08-19 Elazar Rabani Novel compositions and processes for analyte detection, quantification and amplification
KR100446708B1 (ko) * 2002-10-16 2004-09-01 장영철 기계적 동기식 개폐수단을 구비하는 시간식 유량 제어장치
US7384249B2 (en) * 2005-02-28 2008-06-10 Nordson Corporation Fluid metering system
ES2331546T3 (es) 2007-03-15 2010-01-07 F. Hoffmann-La Roche Ag Sistema de infusion con un dispositivo de dosificacion.
EP2361646B1 (en) 2008-09-12 2013-03-20 Roche Diagnostics GmbH Dosing unit and ambulatory infusion device comprising dosing unit
CA2829507A1 (en) 2011-03-31 2012-10-04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Dosing mechanism
US8851338B2 (en) 2011-05-16 2014-10-07 John H Zarou Controlled dispenser
WO2017004218A1 (en) 2015-06-29 2017-01-05 Pentair Filtration Solutions, Llc Fluid dispensing apparatus and method
US9958307B1 (en) 2016-01-11 2018-05-01 Anderson Chemical Company Chemical dosing system
FR3068019B1 (fr) * 2017-06-23 2019-08-23 Galderma Research & Development Dispositif pour le conditionnement et la distribution d'un produit, notamment d'un produit pharmaceutique ou cosmetique
IT201800007735A1 (it) * 2018-08-01 2020-02-01 Camozzi Automation Spa Unità valvolare per un dispositivo di dosaggio di un fluido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25136A (en) * 1964-03-17 Can filling machine
US71865A (en) * 1867-12-10 Elisha fitzgerald
FR421532A (fr) * 1910-10-17 1911-02-24 Ernest Dupont Distributeur-doseur automatique des matières utilisées dans la fabrication des briquettes et autres industries
US1049478A (en) * 1911-04-14 1913-01-07 William Clifton Hedgcock Lubricator for air-cylinders of locomotive-air-brake pumps.
US2424675A (en) * 1942-06-10 1947-07-29 William A Wood Dispenser with rotary conveyer type trap chamber
US3037738A (en) * 1960-03-11 1962-06-05 Charles I Jackson Rotor valve
US3167398A (en) * 1961-06-23 1965-01-26 Phillips Petroleum Co Metering apparatus
US3172578A (en) * 1962-12-13 1965-03-09 Gilman Engineering & Mfg Co In Lubricant metering device
DE1500220B2 (de) * 1964-09-11 1971-12-02 B.C. Richards & Co., Pty.Ltd., Brisband, Queensland (Australien) Verstell feststell und anzeigevorrichtung fuer einen aus drueckring fuer die dichtung eines kugelhahnes
US3387748A (en) * 1966-09-09 1968-06-11 George R. Brenchley Motor driven metering valve
US3561727A (en) * 1968-01-25 1971-02-09 Domer Scaramucci High stress valve seal and valves
US3749357A (en) * 1972-04-07 1973-07-31 Acf Ind Inc Valve structure having fluid pressure actuated seats
US4058240A (en) * 1976-04-14 1977-11-15 Valex Inc. Automatic drain for compressed air systems
GB2024158A (en) * 1977-09-08 1980-01-09 Ici Ltd Metering device
US4479513A (en) * 1981-08-28 1984-10-30 Whitey Co. High pressure ball valve
US4773565A (en) * 1983-12-02 1988-09-27 Phillips Petroleum Company Rotary valve
EP0200961A3 (de) * 1985-04-17 1987-12-23 Benckiser-Knapsack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Dosieren von fliessfähigen Materialien
GB8904305D0 (en) * 1989-02-24 1989-04-12 Liquid Control Int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metering device
US5010930A (en) * 1989-12-22 1991-04-30 Eastman Kodak Company Pipette and liquid transfer apparatus for dispensing liquid for analysis
DE4220659A1 (de) * 1991-06-25 1993-01-07 Barmag Luk Automobiltech Dosiereinrichtung zum dosieren eines fluessigkeitsstroms
US5368195A (en) * 1993-05-13 1994-11-29 Pleet; Lawrence Pressurized bag-in-bottle liquid dispensing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984B1 (ko) * 2002-03-18 2005-05-03 이경수 액체 계량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70974B (ko) 1996-02-21
ES2137243T3 (es) 1999-12-16
CA2133375C (en) 2006-03-14
DE69326242T2 (de) 2000-01-05
EP0646776A1 (en) 1995-04-05
CA2133375A1 (en) 1995-04-02
US5547110A (en) 1996-08-20
KR950012040A (ko) 1995-05-16
EP0646776B1 (en) 1999-09-01
JPH07159216A (ja) 1995-06-23
DE69326242D1 (de) 1999-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0105B1 (ko) 유체계량장치
US5850946A (en) Metering device
US5015157A (en) Pump with multi-port discharge
US4475821A (en) Mixing chamber
US6676387B1 (en) Metering pump with a rotary valve responsive to electrical signals from the contact between a fluid responsive shuttle and dual probes
US3424439A (en) Device for mixing and applying foams
US5012837A (en) Ratio device for dispensing liquids
US4108606A (en) Universal coupling for reaction injection molding machine
KR100236027B1 (ko) 사판 펌프
US10987698B2 (en) Hydraulic vibration generating device
US6053203A (en) Mechanically-driven pulsating flow valve for heat and mass transfer enhancement
US3450055A (en) Fluid proportioning devices
GB2059516A (en) Two-component Metering Pumps
US4636146A (en) Axial plunger pump
US20120018454A1 (en) rotary metering device and system
EP3887031B1 (en) Plural material dispensing system
US4563137A (en) Rotary hydraulic energy-conversion device with two dams engaging a rotatable ring
US3606269A (en) Mixing device
US3426695A (en) Metering pump
KR20010087299A (ko) 유체 흐름을 적당한 비율로 조절하는 장치
JPS603437Y2 (ja) 二重ライン系の流体の流れを制御する可逆弁
US4722672A (en) Hydraulic energy-conversion device
RU234258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еления потока жидкости
RU2047100C1 (ru) Дозатор жидкости
JPS623650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