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8859B1 - 배터리 방전에 의해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 확인 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방전에 의해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 확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8859B1
KR100328859B1 KR1020000039511A KR20000039511A KR100328859B1 KR 100328859 B1 KR100328859 B1 KR 100328859B1 KR 1020000039511 A KR1020000039511 A KR 1020000039511A KR 20000039511 A KR20000039511 A KR 20000039511A KR 100328859 B1 KR100328859 B1 KR 100328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user
user data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9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6063A (ko
Inventor
차종호
Original Assignee
홍경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경,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경
Priority to KR1020000039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8859B1/ko
Publication of KR20020006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6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8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88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6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H04W52/027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according to available power supply, e.g. switching off when a low battery condition is detec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탑재된 배터리의 방전 등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도 저장된 사용자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저장매체로서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신뢰도를 현저하게 높일 수 있는 데이터 확인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파워 오프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 데이터 확인을 위한 초절전모드를 설정하고 하드웨어의 기능을 초기화시킨 후, 이동통신 단말기의 파워 온 상태 유지를 위한 기준전압을 소정의 제 1 기준전압에서 이 전압보다 낮은 제 2 기준전압으로 설정하는 제 1 단계; 초절전모드 상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하드웨어의 기능과 송수신되는 호처리를 위한 소프트웨어 기능을 디스에이블시키는 제 2 단계; 사용자 데이터 확인을 위해 상기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액정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지시를 대기하는 제 3 단계; 및 디스플레이한 메뉴 중에서 사용자가 요구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상기 액정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터리 방전에 의해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 확인 방법{Method for conforming user data of mobile phone in power off state by discharging battery}
본 발명은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 확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탑재된 배터리의 방전 등에 의해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도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전화번호나 메시지 등과 같은 사용자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메모리 기술 및 이동통신 단말기 기술의 발달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할 수 있는 사용자 데이터가 다양해지고 방대해져 가고 있다.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할 수 있는 사용자 데이터의 예로서는, 원하는 전화번호를 저장해둔 전화번호부 데이터, 사용자의 스케줄이나 메모를 저장해 두는 개인수첩 데이터, 그리고 메시지 등이 있다.
이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할 수 있는 사용자 데이터가 다양해지고 방대해져 감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데이터를 관리하는 효율적인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데이터를 확인하려면, 반드시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배터리로부터 충분한 전원이 공급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배터리가 방전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자동으로 꺼지게 되므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사용자 데이터를 확인할 수 없었다. 이때,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사용자 데이터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방전된 배터리 대신에 충전된 배터리로 대체하여야 한다.
그러나, 사용자들은 대체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배터리 외에 별도의 대체용 배터리를 휴대하지 않고 있어, 만일 탑재된 배터리가 방전된 상태에서 급히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사용자 데이터를 확인해야 할 경우, 이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탑재된 배터리의 방전 등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도 저장된 사용자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저장매체로서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신뢰도를 현저하게 높일 수 있는 데이터 확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에 이용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 확인 방법에 대한 흐름도.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배터리의 전원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수신 기능에 요구되는 전압 크기 이하로 방전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사용자 데이터를 확인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방전에 의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파워 오프(Power Off)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 확인을 위한 초절전모드를 설정하고 하드웨어의 기능을 초기화시킨 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파워 온(Power On) 상태 유지를 위한 기준전압을 소정의 제 1 기준전압에서 이 전압보다 낮은 제 2 기준전압으로 설정하는 제 1 단계; 상기 초절전모드 상태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하드웨어의 기능과 송수신되는 호처리를 위한 소프트웨어 기능을 디스에이블시키는 제 2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 데이터 확인을 위해 상기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액정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용자의 지시를 대기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디스플레이한 메뉴 중에서 상기 사용자가 요구하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상기 액정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을 구현함에 있어 전제되는 원리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탑재된 배터리 방전시 전원이 자동으로 꺼지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탑재된 배터리의 전원이 일정 전압 이하로 줄어들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주제어기(이하, 'CPU'라 칭함)가 이를 검출하여 파워 오프(Power off)를 지시하게 된다. 이때, 대개는 CPU 및 액정화면(LCD)를 동작시킬 수 있는 최소 전압의 크기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파워를 오프시킨다. 이는, 범용으로 사용하는 리튬 이온 배터리의 특성상 오프 시점 이후 부터는 급격한 전압 강하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바로, 도 1이 리튬이온 배터리의 잔존 전류량이 일정 이하로 방전되는 경우, 시간에 따라 전압의 감소 상태에 대한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에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파워 오프되는 시점 이후에 방전 전류를 줄인다고 가정하면, 줄인 만큼 전압이 떨어지는 기울기가 낮아질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용화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파워 오프시 전압은 3.1V 내지 3.2V 이고 CPU가 동작하는 전압은 2.9V 이므로, 약 0.2V 내지 0.3V 의 잔존 전압이 존재한다. 이 정도 크기의 전압이 잔존하게 되면, 잔존 전류 용량은 수 mAh 정도가 된다. 이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가 파워 온(Power on)된 상태에서 수 mA의 전류만 소비할 수 있게 하면, 다른 잔존 전류를 이용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원리를 이용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2a 및 도 2b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가 방전된 상태에서도 저장된 사용자 데이터를 확인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먼저, 탑재된 배터리가 방전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되었을 때, 사용자가 키패드를 통해 초절전모드를 선택하게 되면(201), CPU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초절전모드로 설정한 후(202),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드웨어 기능을 초기화시킨다(203). 여기서, 초절전모드는 배터리의 방전 상태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확인하기 위한 모드로서, 이 모드에서는 데이터를 확인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를 제외한 부분의 동작을 디스에이블(Disable)시킨다.
이렇게,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드웨어 기능이 초기화되면, CPU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파워 온(Power On) 상태 유지를 위한 기준전압을 2.9V로 재설정한다(204). 즉, 이동통신 단말기의 파워 온 상태 유지를 위한 기준전압이 3.1V 내지 3.2V로 설정되어 있어, 이 기준전압을 CPU 동작 전압인 2.9V로 재설정하는 것이다. 이는, 배터리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에 2.9V 내지 3.1V 사이의 전압이 공급될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가 파워 오프되면, 사용자가 메모리에 저장된 사용자 데이터를 확인할 수 없으므로, 배터리로부터 2.9V 내지 3.1V 사이의 전압이 공급되더라도 이동통신 단말기의 파워 온 상태를 유시지켜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자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CPU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주파수 송수신 처리부, 오디오 코덱(CODEC) 및 보코더(VOCODER), 그리고 액정화면 및 키패드의 백라이트(back light) 등을 디스에이블시키고(205, 206, 207), 또한 CPU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기지국 간의 호처리 동작을 디스에이블시킨다(208). 이렇게,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능을 디스에이블시키는 이유는,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2.9V 내지 3.1V 전압의 소비를 최대로 절약하여 사용자 데이터 확인에 필요한 CPU만을 동작시키기 위해서이다.
이와 같은, 초절전모드 및 초기화 상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액정화면에 사용자 데이터 확인을 위해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지시를 대기한다(209).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는 계속하여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측정하고(210), CPU는 이 측정 전압이 2.9V 인지를 판단하여(211), 2.9V이면, CPU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완전히 파워 오프시킨다(212). 만일, 측정된 전압이 2.9V가 아니면, 전압 측정 과정(210)으로 넘어간다.
이와 동시에, 사용자의 지시 대기 상태에서, CPU는 사용자로부터 파워 오프의 지시가 있었는지를 판단하여(213), 파워 오프의 지시가 있으면, 파워 오프 과정(212)으로 넘어간다.
여기서, 파워 오프의 판단 과정(213)에서, 파워 오프의 지시가 없었으면, CPU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사용자 데이터가 전화번호부나 단문메시지 또는 착발신번호 인지를 판단한다(214). 이때, 사용자가 메모리에 저장된 전화번호의 열람을 요청하였으면, CPU는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전화번호를 메모리로부터 읽어와서 액정화면에 표시한다(215).
만일, 사용자 데이터의 판단 과정(214)에서, 사용자가 수신된 단문메시지의 확인을 요청하였으면, CPU는 사용자가 요청한 단문메시지를 메모리로부터 읽어와서액정화면에 표시한다(216).
또한, 사용자 데이터의 판단 과정(214)에서, 사용자가 바로이전에 착신된 전화번호나 발신한 전화번호의 확인을 요청하였으면, CPU는 사용자가 요청한 착발신 전화번호를 메모리로부터 읽어와서 액정화면에 표시한다(217).
한편, 사용자 데이터의 판단 과정(213)에서,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데이터의 열람이 요청되지 않았으면, 파워 오프의 판단 과정(211)으로 넘어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로부터 2.9V 정도의 전압이 공급이 공급될 경우,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CPU, 키패드, 메모리 및 액정화면 만이 동작하도록 하고 그 이외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능을 디스에이블시켜 전력의 소모를 최소화하므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이와 같은 사용자 데이터의 검색 시간은 짧은 시간 안에 이루어져야 하지만, 이 짧은 시간 안에 사용자는 원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충분히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탑재된 배터리의 방전 등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도 저장된 사용자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제품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를 높여 상품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 크기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파워 온(Power On)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소정의 제 1 기준전압 이하로 내려갈 경우, 사용자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초절전모드로 설정함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파워 온 상태 유지를 위한 기준전압을 상기 소정의 제 1 기준전압보다 낮은 제 2 기준전압으로 설정하여 주제어기(CPU)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한 후, 메모리에 저장된 사용자 데이터 중에 상기 사용자가 요구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액정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확인 방법.
  2.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배터리의 전원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수신 기능에 요구되는 전압 크기 이하로 방전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사용자 데이터를 확인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방전에 의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파워 오프(Power Off)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 확인을 위한 초절전모드를 설정하고 하드웨어의 기능을 초기화시킨 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파워 온(Power On) 상태 유지를 위한 기준전압을 소정의 제 1 기준전압에서 이 전압보다 낮은 제 2 기준전압으로 설정하는 제 1 단계;
    상기 초절전모드 상태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하드웨어의 기능과 송수신되는 호처리를 위한 소프트웨어 기능을 디스에이블시키는 제 2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 데이터 확인을 위해 상기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액정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용자의 지시를 대기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디스플레이한 메뉴 중에서 상기 사용자가 요구하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상기 액정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확인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배터리의 방전에 의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파워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 확인을 위한 초절전모드를 설정하는 제 1-1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하드웨어의 기능을 초기화시키는 제 1-2 단계;
    상기 초절전모드 상태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파워 온 상태 유지를 위한 기준전압을 상기 제 2 기준전압으로 설정하는 제 1-3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확인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 열람을 위한 기능이 수행되는 하드웨어들은 인에이블시키고, 상기 사용자 데이터 열람을 위한 기능이 수행되지 않는 하드웨어들을 디스에이블시키고, 기지국과 송수신되는 호처리를 위한 기능을 디스에이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확인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사용자의 지시를 대기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측정하는 제 4-1 단계;
    상기 측정한 전압과 상기 제 2 기준전압의 크기가 같은지를 판단하는 제 4-2 단계;
    상기 제 4-2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측정 전압이 상기 제 2 기준전압의 크기와 같은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디스플레이 기능을 중지하고 파워 오프하는 제 4-3 단계;
    상기 제 4-2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측정 전압이 상기 제 2 기준전압의 크기와 같지 않으면, 상기 제 4-1 단계로 넘어가는 제 4-4 단계;
    사용자의 지시를 대기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파워 오프의 지시가 있었는지를 판하는 제 4-5 단계;
    상기 제 4-5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파워 오프의 지시가 있었으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디스플레이 기능을 중지하고 파워 오프하는 제 4-6 단계;
    상기 제 4-5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파워 오프의 지시가 없었으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사용자 데이터가 전화번호부나 단문메시지 또는 바로 이전의 착발신 전화번호 인지를 판단하는 제 4-7 단계;
    상기 제 4-7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전화번호부가 선택되었으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전화번호를 메모리로부터 읽어와서 상기 액정화면에 표시하는 제 4-8 단계;
    상기 제 4-7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단문메시지가 선택되었으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단문메시지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읽어와서 상기 액정화면에 표시하는 제 4-9 단계
    상기 제 4-7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착발신 전화번호가 선택되었으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바로 이전의 상기 착발신 전화번호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읽어와서 상기 액정화면에 표시하는 제 4-10 단계; 및
    상기 4-7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사용자 데이터가 없으면, 상기 제 4-5 단계로 넘어가는 제 4-11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확인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제 1 기준전압은 실질적으로 3.1V 내지 3.2V이고,
    상기 제 2 기준전압은 실질적으로 2.9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확인 방법.
KR1020000039511A 2000-07-11 2000-07-11 배터리 방전에 의해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 확인 방법 KR100328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9511A KR100328859B1 (ko) 2000-07-11 2000-07-11 배터리 방전에 의해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 확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9511A KR100328859B1 (ko) 2000-07-11 2000-07-11 배터리 방전에 의해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 확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6063A KR20020006063A (ko) 2002-01-19
KR100328859B1 true KR100328859B1 (ko) 2002-03-20

Family

ID=19677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9511A KR100328859B1 (ko) 2000-07-11 2000-07-11 배터리 방전에 의해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 확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88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8314B1 (ko) * 2005-10-19 2007-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촬영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6579A (ja) * 2001-12-19 2003-07-04 Toshiba Corp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の動作制御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8314B1 (ko) * 2005-10-19 2007-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촬영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6063A (ko) 2002-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03575B2 (en) Frequency-dependent voltage control in digital logic
US719424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power saving control of mobile terminal
US2011025225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ower of portable information device
US9883019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oftware update method
US20040132501A1 (en) Special battery reserve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for emergency use
TWI451703B (zh) 察覺外部裝置的行動終端以及其控制方法
US20060046736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aging wireless device power consumption by selecting among plural communication transceivers
EP1435523B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setting battery alarm voltage in battery management server
MXPA02007846A (es) Metodo y aparato para conservar energia en un dispositivo electronico integrado que incluye un pda y un telefono inalambrico..
US20010020940A1 (en) Information processor and power control method therefor
WO2011012038A1 (zh) 剩余电池电量使用方法及装置
JP2010035416A (ja) 電子デバイス内に2以上のバッテリを収容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10716631B (zh) 供电管理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WO2019148421A1 (zh) 终端设备及其漏电检测方法和检测装置
KR100328859B1 (ko) 배터리 방전에 의해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 확인 방법
KR10083495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소모전류 표시방법
US20070270191A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conserving power
KR20040037999A (ko) 배터리 방전에 의해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부 확인방법
KR100677068B1 (ko)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전원 관리장치 및 그 방법
KR20040076535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되는 배터리의 방전 지연방법
US20070270192A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conserving power
KR20030051008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 소모 시 긴급통화 설정방법
JP2000253593A (ja) 携帯型無線電話装置とその電源制御方法
JP3024587B2 (ja) 携帯情報端末装置
KR10058182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전원 절약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