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8736B1 - 다기능 중심기둥관을 갖는 냉각탑 - Google Patents

다기능 중심기둥관을 갖는 냉각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8736B1
KR100328736B1 KR1019990033738A KR19990033738A KR100328736B1 KR 100328736 B1 KR100328736 B1 KR 100328736B1 KR 1019990033738 A KR1019990033738 A KR 1019990033738A KR 19990033738 A KR19990033738 A KR 19990033738A KR 100328736 B1 KR100328736 B1 KR 100328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water
support
filler
casing
cooling t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3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7974A (ko
Inventor
서종대
Original Assignee
서종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종대 filed Critical 서종대
Priority to KR1019990033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8736B1/ko
Publication of KR20010017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7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8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87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1/00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 F28C1/02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with counter-current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1/00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 F28C2001/006Systems comprising cooling towers, e.g. for recooling a cooling mediu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61/00Gas and liquid contact apparatus
    • Y10S261/11Cooling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각수가 하향 유동하면서 공기와 열교환 작용을 하는 필러와, 상기 필러의 하부에 설치되는 집수조와, 상기 필러를 수용하며 하부영역의 공기유입구와 상부에 마련된 공기배출구를 가지는 케이싱과, 상기 공기배출구 영역에 설치되는 통풍팬을 구비한 냉각탑에 있어서, 일단이 소정의 지지 기초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되며 하부의 냉각수 유입구와 상부의 냉각수 분배구를 가지고 상기 케이싱의 중심축선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고온 냉각수의 상승유동을 안내하는 중심기둥관과; 상기 냉각수 분배구에 연결되어 상기 필러의 상부에 수평으로 배열되며 상기 필러를 향하여 살수하는 다수의 살수노즐이 설치된 분배배관과; 소정의 냉수 흡입공간을 두고 상기 집수조와 연통되도록 상기 집수조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필러에 의해 냉각된 냉각수가 배출되는 냉각수 출구관이 마련되어 있는 냉각수 흡입 집합통과; 상기 중심기둥관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케이싱을 지지하는 복수의 케이싱 지지 비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냉각수의 효율적인 분배를 도모하고, 냉각탑의 지지구조를 강화시키면서 냉각수의 유입 및 배출 배관 구조와 냉각탑의 지지 구조를 간편화시켜 냉각탑의 제작과 조립 및 해체를 간단히 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기능 중심기둥관을 갖는 냉각탑{Cooling tower with multi-functional post pipe}
본 발명은, 다기능 중심기둥관을 갖는 냉각탑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냉각수의 유입과 분배를 위한 배관 및 냉각수 흡입 집합통이 취부되고 냉각탑 각 구성부를 지지하는 다기능 중심기둥관을 가진 냉각탑에 관한 것이다.
냉각탑은 냉각수와 공기의 직접 접촉에 의한 증발잠열로 냉각하는 냉각 장치로서 냉각수의 유입 및 배출 배관 구조와 냉각탑의 지지구조가 필수적으로 구성된다.
종래의 냉각탑은 대부분 고온 냉각수의 유입과 저온 냉각수의 배출을 위하여 개별적인 배관을 구성하고 있으며, 외곽과 내부에 지지기둥을 구성하여 냉각탑을 지지하고 지지기둥 사이에 수평지지보를 구성하여 냉각탑 각 구성부를 지지하고 있다. 이렇게 냉각수의 유입 및 배출 배관 구조와 냉각탑의 지지구조가 개별적으로 구성됨으로써 냉각탑의 구조는 복잡하게 된다. 따라서 냉각탑의 지지기능과 냉각수의 유입 및 배출 기능의 역할을 동시에 하는 중심기둥관을 설치함으로써 냉각탑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0은 종래의 원형 대향류형 냉각탑의 부분 파단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온의 냉각수는 중심기둥관(106) 하부에서 유입되어 상부 끝단에 설치된 회전식 살수장치(132)에 의하여 필러(127)로 살수된다. 살수된 냉각수는 필러(127)를 통과하면서 대향하는 공기와 열교환 작용을 통해 냉각되고, 냉각된 저온의 냉각수는 필러(127) 하부의 집수조(117)에 집수된 후 중심기둥관(106) 하부에 설치된 냉각수 흡입 집합통(121)과 냉각수 출구(125)를 통하여 열교환 장치에 공급되고 더워진 냉각수는 냉각탑으로 재순환된다. 이 때, 외부 위한 공기는 필러(127)의 측면에 마련된 공기유입구(135)로부터 유입되어 냉각수를 냉각시키고 통풍팬(10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필러(127)는, 중심기둥관(106)에 설치되어 케이싱(101)과 연결되어 있는 수평 파이프트러스(112)와 지지격자(113), 그리고 수평 파이프트러스(112)를 지지하는 수직 파이프트러스(115)에 의해 지지되고, 집수조(117)는 중심기둥관(106)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냉각수 흡입 집합통(121)의 연결 플랜지가 집수조(117) 바닥판 중심에 체결되어 지지되며, 냉각탑 케이싱(101)의 지지는 기초바닥에 고정된 지지트러스(108)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원형 대향류형 냉각탑에 있어서, 중심기둥관 하부에 굴곡관을 취부하여 냉각수 흡입 집합통 측벽에 형성된 고온의 냉각수 유입관으로 연결해야하므로 중심기둥관은 기초바닥에 직접 고정할 수 없고, 냉각탑 케이싱은 기초바닥에 고정된 지지트러스에 의해 지지되므로 중심기둥관에 부가되는 하중과 기초바닥에 고정된 지지트러스의 지지 하중 사이의 하중 경로 불일치가 발생하여 모멘트 하중이 발생하며, 합성수지 또는 철재로 제조된 냉각수 흡입 집합통의 연결 플랜지 체결부는 압착 기밀도가 낮고 수직하중에 대한 내구성이 약하므로 냉각탑 전체의 지지구조가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필러를 지지하기 위해 공기유동공간에 설치되는 수직 지지트러스는 냉각탑 내에 수직 보수공간을 감소시키며, 상하가 개방되어 수면 위까지 노출된 여과 원통은 수직 둘레 면을 여과 면적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수면의 부유물이 여과 측면에 집적되어 여과 효율의 저하와 냉각수 순환에 불균형을 초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도 11은 종래의 각형 대향류형 냉각탑의 부분 파단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기둥관(206)과는 별도로 집수조(217) 외곽으로 세워진 다수의 지지기둥(207)이 집수조 바닥판을 사이에 두고 집수조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냉각탑 지지틀(208)과 결합된다. 그리고 중심기둥관(206)은 집수조(217) 중심부를 관통하면서 집수조(217) 바닥판과 연결플랜지로 고정되며, 집수조(217) 하부에서 만곡관을 사용한, 도시되지 않은 고온의 냉각수 유입 수평 배관은 냉각탑 지지틀(208)의 측벽을 관통하여 고온의 냉각수 유입관(224)과 연결된다. 냉각수 유입관(224)과 이격된 위치에서 냉각탑 지지틀 측벽을 관통하는 냉각수 출구관(226)은 집수조(217) 내의 모서리 한 쪽에 설치된 냉각수 흡입 집합통(221)과 연결되며, 중심기둥관(206) 상부 끝단에는 수평 지지 기초판(216)을 설치하여, 팬 모터(240)의 측면 프레임과 볼트 체결하도록 형성된 모터 수직 지지 기초판(246)을 수평 지지 기초판(216) 외측부에 고정하여 지지하고 있다. 팬 모터(240) 설치부 하단에는 고온 냉각수 분배 분기관(230)이 설치되고 비산방지판(228)이 분배 분기관(230) 위에 놓이며, 필러(227) 설치부 하단에는 중심기둥관(206)에서 케이싱(201)까지 수평지지보(215)를 연결하여 필러(227)를 지지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각형 대향류형 냉각탑에 있어서, 중심기둥관은 냉각수 분배와 필러 지지 및 모터 지지 기초판을 제공하는 것으로만 한정되어, 냉각탑의 케이싱은 필러 수평지지보와 외곽기둥으로만 지지되기 때문에 집수조의 하부에 별도로 냉각탑 지지틀을 구비하여야 하므로 지지부재가 증가되며, 냉각수의 배출은 별개의 냉각수 흡입 집합통을 집수조 모서리에 별도로 구성하여 배출해야 하기 때문에 집수조 제작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초 콘크리트에 매설하는 중심기둥관은 정밀한 설치가 요구되고 설치 후에는 오차에 대한 수정이 곤란하고, 팬 모터는 수직 지지 기초판 측면에 지지되기 때문에 지지 중심력이 약할 뿐만 아니라 팬 구동부의 진동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비산방지판을 고온 냉각수 분배 분기관 위에 별도의 지지 없이 그대로 놓으므로 균형적인 지지가 어렵고 비산방지판의 조립 및 교체 시 분기관 사이의 공간으로 실족하여 추락하는 위험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종래의 냉각탑은, 냉각수 유입 및 배출 배관 구조를 단순화한 경우에는 냉각탑 지지구조가 취약하고, 지지 구조를 강화한 경우에는 냉각탑 구조가 복잡해지며 특히, 종래의 중심기둥관 구조상, 원형 대향류형 냉각탑을 제외하고는 각형 대향류형 냉각탑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므로 여러 형태의 냉각탑에 광범위하게 적용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냉각수의 유입 및 분배를 위한 배관 및 냉각수 흡입 집합통이 취부되고 냉각탑 각 구성부를 지지하는 다기능 중심기둥관을 냉각탑에 설치하여 냉각수의 효율적인 분배를 도모하고, 냉각탑의 지지구조를 강화시키면서 냉각수의 유입 및 배출 배관 구조와 냉각탑의 지지 구조를 간편화시켜 냉각탑의 제작과 조립 및 해체가 간단한 냉각탑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탑의 부분 파단 사시도,
도 2는 도1의 종단면도,
도 3은 다기능 중심기둥관의 사시도,
도 4는 비임결합브래킷의 상세 확대도,
도 5는 필러 지지부의 상세 확대도,
도 6은 도 5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집수조부의 상세 확대도,
도 8은 냉각수 흡입 집합통과 집수조 연결 영역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냉각탑의 종단면도,
도 10은 종래의 원형 대향류형 냉각탑의 부분 파단 사시도,
도 11은 종래의 각형 대향류형 냉각탑의 부분 파단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싱 3 : 통풍팬
6 : 중심기둥관 7 : 상부 외곽기둥
8 : 하부 외곽기둥 9 : 제1 비임결합브래킷
10 : 제2 비임결합브래킷 11 : 케이싱 지지 비임
12 : 필러 지지 비임 13 : 지지봉
14 : 제1 수평지지보 15 : 제2 수평지지보
16 : 모터 지지 기초판 17 : 집수조
21 : 냉각수 흡입 집합통 22 : 와류방지판
27 : 필러 29 : 분배 주관
30 : 분배 분기관 31 : 살수노즐
39 : 기초 바닥판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냉각수가 하향 유동하면서 공기와 열교환 작용을 하는 필러와, 상기 필러의 하부에 설치되는 집수조와, 상기 필러를 수용하며 하부영역의 공기유입구와 상부에 마련된 공기배출구를 가지는 케이싱과, 상기 공기배출구 영역에 설치되는 통풍팬을 구비한 냉각탑에 있어서, 일단이 소정의 지지 기초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되며 하부의 냉각수 유입구와 상부의 냉각수 분배구를 가지고 상기 케이싱의 중심축선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고온 냉각수의 상승유동을 안내하는 중심기둥관과; 상기 냉각수 분배구에 연결되어 상기 필러의 상부에 수평으로 배열되며 상기 필러를 향하여 살수하는 다수의 살수노즐이 설치된 분배배관과; 소정의 냉수 흡입공간을 두고 상기 집수조와 연통되도록 상기 집수조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필러에 의해 냉각된 냉각수가 배출되는 냉각수 출구관이 마련되어 있는 냉각수 흡입 집합통과; 상기 중심기둥관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케이싱을 지지하는 복수의 케이싱 지지 비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탑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중심기둥관은 상호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파이프부분을 가지며, 각 파이프 부분은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연결플랜지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심기둥관에는 상기 케이싱 지지 비임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제1 비임결합브래킷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케이싱의 벽면을 따라 수평으로 배치되어 상기 케이싱 지지 비임과 결합되는 제1 수평지지보와, 상기 수평지지보를 지지하는 복수의 외곽기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심기둥관의 축선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비임결합브래킷과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제2 비임결합브래킷과, 상기 제2 비임결합브레킷에 결합되어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필러 지지 비임과, 상기 외곽기둥에 지지되어 상기 케이싱의 내벽면을 따라 배치되는 제2 수평지지보와, 상기 필러 지지 비임과 상기 제2 수평지지보 사이에 걸쳐 배치되어 상기 필러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봉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지지봉은 양단부에 하향 절곡된 장착절곡부를 가지며, 상기 필러 지지 비임과 상기 제2 수평지지보는 상기 장착절곡부가 삽입되는 장착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 및 제2 비임지지브레킷 중 적어도 하나는, 상호 대향하여 상기 중심기둥관을 각각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부분 원통부와 상기 부분 원통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비임의 단부를 지지하는 플랜지부를 가지고 상호 결합되는 한 쌍의 단위부재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심기둥관의 상단부에 상기 통풍팬용 구동모터를 지지하는 모터 지지 기초판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냉각수 흡입 집합통 내에 상기 중심기둥관의 외벽면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축선방향을 따라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와류방지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탑의 부분 파단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각탑은, 하부영역의 공기유입구(35)와 내부의 열교환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1)과, 케이싱(1)의 상부에 설치되며 공기배출구가 마련된 지붕판(2)과, 소정의 지지 기초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되며, 하부의 냉각수 유입구(23)와 상부의 냉각수 분배구(32)를 가지고 케이싱(1)의 중심축선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고온 냉각수의 상승유동을 안내하는 중심기둥관(6)과, 중심기둥관(6)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어 케이싱(1)을 지지하는 복수의 케이싱 지지 비임(11)을 가지고 있으며, 냉각수 분배구(32)에 연결되는 분배배관(34)과, 냉각수가 하향 유동하면서 냉각되는 필러(27)와, 필러(27)의 하부에 설치되는 집수조(17)와, 집수조(17)의 하부에서 집수조(17)와 연통되는 냉수 흡입공간을 두고 중심기둥관(6)을 둘러싸며 저온 냉각수의 배출구를 갖는 냉각수 흡입 집합통(21)을 갖는다. 분배배관(34)은 냉각수 분배구(32)에 연결되어 필러(27)의 상부에 수평으로 배열되며 필러(27)를 향하여 살수하는 다수의 살수노즐(31)이 설치된 분배 분기관(30)과 분배 분기관(30) 및 중심기둥관(6)을 연결하는 분배 주관(29)을 포함한다.
도 3은 다기능 중심기둥관의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기둥관(6)은, 상호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상하 2개의 상부 중심기둥관(4)과 하부 중심기둥관(5)으로 구성되며, 각 중심기둥관(4,5)은 단부에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연결플랜지(38)에 의해 결합되고 연결플랜지(38)와 중심기둥관(6)의 외벽에는 다수의 보강판이 수직으로 취부되어 있다. 하부 중심기둥관(5)의 연결플랜지(38) 하부에는 복수의 여과통 고정구(20)를 용접 취부하여 여과통(19)을 볼트 체결로 고정하고, 여과통(19) 하부에는 냉각수 출구관(26)과 배수구(45)가 구성된 냉각수 흡입 집합통(21)이 취부된다. 그리고 하부 중심기둥관(5)의 하단에는 기초 바닥판(39)을 용접하여 하부 중심기둥관(5)을 콘크리트 기초 바닥에 볼트로 견고히 고정시키고 측면에는 냉각수 유입구와 연통되도록 연결플랜지가 취부된 냉각수 유입관(24)이 용접 취부된다.
상부 중심기둥관(4)의 상부 끝단에는 팬 모터(40)를 볼트 체결할 수 있도록 모터 지지 기초판(16)이 설치되어 있는데, 모터는 팬 허브(Hub) 연결 축을 위쪽으로 하고, 그 반대쪽을 취부 면으로 하여 모터 지지 기초판(16)에 팬 모터(40)를 취부하고 있다. 팬 모터(40) 취부 면 하단에는, 상부 중심기둥관(4)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어 케이싱(1)을 지지하는 복수의 케이싱 지지 비임(11, 도 2 참조)이 설치된다. 이 때, 상부 중심기둥관(4)에는 제1 비임결합브래킷(9)이 마련되어 복수의 케이싱 지지 비임(11)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비임결합브래킷의 상세 확대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비임결합브래킷(9)은 상호 대향하여 상부 중심기둥관(4)을 각각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부분 원통부(9a)와 부분 원통부(9a)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케이싱 지지 비임(11)과 볼트(S) 체결되는 플랜지부(9b)를 가지고 상호 결합되는 한 쌍의 비임결합브래킷 단위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상부 중심기둥관(4)에서 상하와 좌우 회전 조정이 가능하다.
케이싱 지지 비임(11)은 케이싱(1)의 벽면을 따라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는 제1 수평지지보(14, 도 1 참조)와 결합하며, 제1 수평지지보(14)는 복수의 상부 외곽기둥(7, 도 2 참조)에 의해 지지된다. 중심기둥관(6)과 연결되어 케이싱(1)을 지지하는 케이싱 지지 비임(11)에는 필요에 따라 냉각탑의 각 구성요소를 지지하게 되는데, 본 실시 예에서는 통풍 공기를 통해 미세한 물방울들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비산방지판(28)을 지지하고 있다.
상부 중심기둥관(4)의 축선방향을 따라 제1 비임결합브래킷(9)의 하측으로 이격된 위치에는 필러(27)를 지지하기 위하여 제2 비임결합브래킷(10)이 설치된다. 도 5는 필러 지지부의 상세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5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러 지지 비임(12)이 제2 비임결합브래킷(10)과 결합되어 방사상으로 연장되며, 상부 외곽기둥(7)에 지지되어 케이싱(1)의 내벽면을 따라 배치되는 제2 수평지지보(15)와 연결된다. 필러 지지 비임(12)과 제2 수평지지보(15) 사이에 걸쳐 복수의 지지봉(13)이 배치되어 필러(27)를 지지하고 있으며 지지봉(13)은 양단부에 하향 절곡된 장착절곡부를 가지며, 필러 지지 비임(12)과 제2 수평지지보(15)는 상기 장착절곡부가 삽입되는 장착공을 갖고 있다. 앞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는 케이싱 지지 비임(11)이 비산방지판(28)을 지지하는데, 이 경우 필러(27) 지지와 같은 구조로서, 케이싱 지지 비임(11)과 제1 수평지지보(14)에 장착공(13b)을 형성하고 두 비임 사이에 걸쳐 양단부에 하향 절곡된 장착절곡부(13a)를 가지는 복수의 지지봉(13)을 배치하여 비산방지판(28)을 지지하게 된다.
도 7은 집수조부의 상세 확대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곽기둥(7,8)은 집수조(17)를 사이에 두고 상부 외곽기둥(7)과 하부 외곽기둥(8)으로 나뉘어지며, 상부 외곽기둥(7) 하부 끝단과 하부 외곽기둥(8) 상부 끝단에는 볼트 체결용 철판이 취부되어 가스켓(18)과 집수조(17) 바닥을 사이에 두고 상부 외곽기둥(7)과 하부 외곽기둥(8)이 일직선으로 볼트 체결 결합되고 있다. 하부 외곽기둥(8)은 집수조(17) 지지를 위해 하부에 수평 배열된 집수조 수평지지비임(44)과 볼트 체결되고, 집수조 수평지지비임(44)의 반대쪽 단부는, 냉각수 흡입 집합통(21) 하부 연결플랜지(42) 측면과 냉각수 흡입 집합통(21) 수직 외벽을 고정부로 하여 취부되어 있는 집수조 수평지지비임 취부 브래킷(43)과 결합되어 집수조(17)를 수평 방향과 수직방향으로 견고히 고정한다. 그리고 집수조(17)에서 냉각수 흡입 집합통(21)으로 냉각수가 배출될 때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집수조(17) 내의 중심기둥관(6)에 냉각수 여과통(19)이 취부된다. 냉각수 여과통(19)은 하부가 개방된 덮개형으로서 측면 둘레와 상부 전체 면이 여과 면적이 되도록 하고 수면 아래에 잠기도록 함으로써 집수조(17) 수면 위의 부유물들이 냉각수 여과통(19)에 누적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여과통(19)은 중심부 양측에 연결플랜지를 형성하는 한 쌍으로 구성하여 결합하고, 여과통(19)을 고정할 수 있도록 중심기둥관(6)에 용접 취부되어 있는 여과통 고정구(20)와 볼트 체결되어 고정된다.
도 8은 냉각수 흡입 집합통과 집수조 연결 영역의 부분 분해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수 흡입 집합통(21)의 상단에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냉각수 흡입 집합통 하부 연결플랜지(42)가 용접되어 있으며, 냉각수 흡입 집합통 하부 연결플랜지(42)는 가스켓(18)과 집수조(17) 바닥을 사이에 두고 집수조(17) 내에 있는 냉각수 흡입 집합통 상부 연결플랜지(41)와 연결 결합되고 있다. 냉각수 흡입 집합통 하부 연결플랜지(42)에는 집수조 수평지지비임(44)과의 연결을 위한 집수조 수평지지비임 취부 브래킷(43)이 취부되어 있다. 냉각수 흡입 집합통(21)의 하부는 중심기둥관(6)이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 구멍이 형성된 판으로 용접되어 막음 처리되며, 냉각수 흡입 집합통(21)의 상부에는 중심기둥관(6)의 외측벽과 냉각수 흡입 집합통(21)의 내측벽에 복수의 와류방지판(22)이 용접된다. 와류방지판(22)은 냉각수가 냉각수 흡입 집합통(21)을 통하여 배출될 때 공기 흡입을 유도하는 와류 발생을 억제하고 중심기둥관(6)과 냉각수 흡입 집합통(21)의 강한 결합지지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냉각탑의 종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탑 내의 상부에 분배 배관(29,30)과 압력 분사식 살수노즐(31)을 구성하고 천정부에 착탈식 지붕덮개판을 설치한 직교류형 냉각탑에 냉각수의 유입 및 배출을 위한 배관 및 냉각수 흡입 집합통이 취부되고 냉각탑 각 구성부를 지지하는 다기능 중심기둥관이 적용되고 있다.상기한 설명에 따라, 고온의 냉각수는 중심기둥관(6) 하부에서 유입되어 상부에 설치된 분배 주관(29)과, 분배 주관(29)으로부터 분기된 다수의 분배 분기관(30) 및 분배 분기관(30)에 설치된 살수노즐(31)을 통하여 필러(27)로 살수된다. 필러(27) 상단에는 우회살수회수유도판(33)을 구성하여 우회되는 낙수를 필러(27) 상부로 유도한다. 이 우회살수회수유도판(33)은 우회되는 낙수를 필러(27) 상부로 유도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절곡되고, 필러(27) 상부 영역에서 케이싱(1) 내부의 양쪽으로 설치된다. 중심기둥관(6)에는 분배 주관(29)과의 연결을 위하여 다수의 냉각수 분배구(32)가 설치되어 있으며, 냉각수 분배구(32)에는 연결플랜지가 형성되어 다수의 분배 주관(29)의 연결플랜지와 연결된다. 중심기둥관(6)의 냉각수 분배구(32)와 연결된 분배 주관(29)은, 분배 주관의 케이싱 측 단부에 형성된 볼트 체결용 블라인드 플랜지로 케이싱(1)과 체결되어, 케이싱(1)과 상호 지지 되고 있다.필러(27)로 살수된 냉각수는 필러(27)를 통과하면서 공기와 열교환 작용을 통해 냉각되고, 냉각된 저온의 냉각수는 필러(27) 하부의 집수조(17)에 집수된 후, 집수조(17)의 하부에서 집수조(17)와 연통되는 냉수 흡입공간을 두고 중심기둥관(6)을 둘러싸며 저온 냉각수의 배출구를 갖는 냉각수 흡입 집합통(21)을 통하여 열교환 장치에 공급되고 더워진 냉각수는 냉각탑으로 재순환된다.
전술 및 실시 예에서는, 중심기둥관이 상부와 하부 중심기둥관의 두 개의 파이프로 구성된 것에 대하여 상술하였으나 복수의 파이프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대향류형 냉각탑과 압력 살수식 직교류형 냉각탑에 다기능 중심기둥관이 적용된 것에 대하여 상술하였으나 대향류형과 직교류형을 조합한 조합유동형 냉각탑에도 다기능 중심기둥관을 적용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냉각탑의 냉각수 유입 및 분배를 위한 배관과 냉각수 흡입 집합통이 취부되고 냉각탑 각 구성부를 지지하는 다기능 중심기둥관을 냉각탑에 설치하여 냉각수의 효율적인 분배를 도모하고, 냉각탑의 지지구조를 강화시키면서 냉각수의 유입 및 배출 배관 구조와 냉각탑의 지지 구조를 간편화시켜 냉각탑의 제작과 조립 및 해체를 간단히 할 수 있다 .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냉각수의 효율적인 분배를 도모하고, 냉각탑의 지지구조를 강화시키면서 냉각수의 유입 및 배출 배관 구조와 냉각탑의 지지 구조를 간편화시켜 냉각탑의 제작과 조립 및 해체가 간단한 냉각탑이 제공된다.

Claims (8)

  1. 냉각수가 하향 유동하면서 공기와 열교환 작용을 하는 필러와, 상기 필러의 하부에 설치되는 집수조와, 상기 필러를 수용하며 하부영역의 공기유입구와 상부에 마련된 공기배출구를 가지는 케이싱과, 상기 공기배출구 영역에 설치되는 통풍팬을 구비한 냉각탑에 있어서,
    일단이 소정의 지지 기초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되며 하부의 냉각수 유입구와 상부의 냉각수 분배구를 가지고 상기 케이싱의 중심축선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고온 냉각수의 상승유동을 안내하는 중심기둥관과;
    상기 냉각수 분배구에 연결되어 상기 필러의 상부에 수평으로 배열되며 상기 필러를 향하여 살수하는 다수의 살수노즐이 설치된 분배배관과;
    소정의 냉수 흡입공간을 두고 상기 집수조와 연통되도록 상기 집수조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필러에 의해 냉각된 냉각수가 배출되는 냉각수 출구관이 마련되어 있는 냉각수 흡입 집합통과;
    상기 중심기둥관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케이싱을 지지하는 복수의 케이싱 지지 비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기둥관은 상호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파이프 부분을 가지며, 각 파이프 부분은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연결플랜지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탑.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기둥관에는 상기 케이싱 지지 비임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제1 비임결합브래킷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싱의 벽면을 따라 수평으로 배치되어 상기 케이싱 지지 비임과 결합되는 제1 수평지지보와, 상기 수평지지보를 지지하는 복수의 외곽기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탑.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기둥관의 축선방향을 따라 상기 제 1 비임결합브래킷과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제2 비임결합브래킷과, 상기 제2 비임결합브래킷에 결합되어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필러 지지 비임과, 상기 외곽기둥에 지지되어 상기 케이싱의 내벽면을 따라 배치되는 제2 수평지지보와, 상기 필러 지지 비임과 상기 제2 수평지지보 사이에 걸쳐 배치되어 상기 필러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탑.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은 양단부에 하향 절곡된 장착절곡부를 가지며, 상기 필러 지지 비임과 상기 제2 수평지지보는 상기 장착절곡부가 삽입되는 장착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탑.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비임지지브래킷 중 적어도 하나는, 상호 대향하여 상기 중심기둥관을 각각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부분 원통부와 상기 부분 원통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비임의 단부를 지지하는 플랜지부를 가지고 상호 결합되는 한 쌍의 단위부재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탑.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기둥관의 상단부에 상기 통풍팬용 구동모터를 지지하는 모터 지지 기초판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탑.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흡입 집합통 내에 상기 중심기둥관의 외벽면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축선방향을 따라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와류방지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탑.
KR1019990033738A 1999-08-16 1999-08-16 다기능 중심기둥관을 갖는 냉각탑 KR100328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3738A KR100328736B1 (ko) 1999-08-16 1999-08-16 다기능 중심기둥관을 갖는 냉각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3738A KR100328736B1 (ko) 1999-08-16 1999-08-16 다기능 중심기둥관을 갖는 냉각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7974A KR20010017974A (ko) 2001-03-05
KR100328736B1 true KR100328736B1 (ko) 2002-03-14

Family

ID=19607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3738A KR100328736B1 (ko) 1999-08-16 1999-08-16 다기능 중심기둥관을 갖는 냉각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87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6176A (ko) * 2014-08-04 2016-02-15 지에스파워주식회사 구멍형 보를 포함하는 냉각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815B1 (ko) * 2002-03-13 2005-03-24 노창식 유도가열장치용 냉각수 냉각장치
CN113865371B (zh) * 2021-10-08 2023-10-27 安徽胜达化工科技有限公司 一种冷却塔冷却废料回收再利用装置及回收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6176A (ko) * 2014-08-04 2016-02-15 지에스파워주식회사 구멍형 보를 포함하는 냉각장치
KR101654583B1 (ko) 2014-08-04 2016-09-06 지에스파워 주식회사 구멍형 보를 포함하는 냉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7974A (ko) 2001-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92262B2 (ja) 集水配置
US4788013A (en) Four-way airflow induced draft crossflow cooling tower
KR101338641B1 (ko) 직교류형 냉각탑
KR101338650B1 (ko) 직교류형 냉각탑
KR20060083500A (ko) 돌출형 살수챔버를 갖는 직교류냉각탑
KR100328736B1 (ko) 다기능 중심기둥관을 갖는 냉각탑
CN111655359A (zh) 模块化热交换塔及其组装方法
KR100921674B1 (ko) 밀폐형 냉각탑
KR100365665B1 (ko) 압력 살수식 직교류형 냉각탑
KR101694122B1 (ko) 다단직교류형냉각탑
US4976895A (en) Lightweight cooling tower with fan supported by a vertical liquid supply pipe
WO2004013555A1 (en) Coil type evaporative heat exchanger
KR101935225B1 (ko) 압입송풍 냉각탑
KR100377507B1 (ko) 대향류형과 직교류형의 조합유동형 냉각탑
KR200169541Y1 (ko) 압력 살수식 직교류형 냉각탑
CN114739196A (zh) 塔式直接空冷系统
CN107917477A (zh) 空调系统安装架以及含有该框架的空调系统
RU2355966C2 (ru) Вентиляторная градирня
KR100328737B1 (ko) 관상의 지지기둥을 갖는 냉각탑
CN113048808A (zh) 一种硅烷交联聚乙烯电缆料用冷却塔
CN204301202U (zh) 高大空间空调机组
KR102178453B1 (ko) 저소음 모듈형 대향류 냉각탑
CN215638264U (zh) 接水装置和换热设备
CN118347070A (zh) 蒸发冷机组
CN108871006A (zh) 轴向进汽凝汽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