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8116B1 - 도어크로저 - Google Patents

도어크로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8116B1
KR100328116B1 KR1019990027799A KR19990027799A KR100328116B1 KR 100328116 B1 KR100328116 B1 KR 100328116B1 KR 1019990027799 A KR1019990027799 A KR 1019990027799A KR 19990027799 A KR19990027799 A KR 19990027799A KR 100328116 B1 KR100328116 B1 KR 100328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piston
door
hol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7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9440A (ko
Inventor
이상억
Original Assignee
이상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억 filed Critical 이상억
Priority to KR1019990027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8116B1/ko
Publication of KR20010009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9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8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81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 E05F3/1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with a spring, other than a torsion spring, and a piston, the axes of which are the same or lie in the same direction
    • E05F3/102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with a spring, other than a torsion spring, and a piston, the axes of which are the same or lie in the same direction with rack-and-pinion transmission between driving shaft and piston within the closer hou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 E05F3/12Special devices controlling the circulation of the liquid, e.g. valve arrang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08Function thereof for bra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1Function thereof for clo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05Y2201/448Fluid motors; Details thereof
    • E05Y2201/458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16Pi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22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크로저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피스톤 수납부가 형성되고 양측면에는 오일캡공이 형성되며 상면과 하면 중앙에는 지지축 삽입공이 관통형성된 몸통과, 상기 피스톤 수납부에 결합되고 오일의 흐름을 조절을 할 수 있는 체크밸브가 설치되며 외주면에는 랙크기어가 형성된 피스톤과, 상기 오일캡공에 결합되어 도어의 속도를 조절하는 조절재와, 상기 지지축 삽입공에 끼워져 상기 랙크기어와 치합되는 피니언기어가 형성된 지지축으로 이루어진 도어크로저에 있어서, 상기 조절재는 일단에 머리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의 후방으로는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의 전방에는 O링이 끼워질 수 있게 링홈이 형성된 오일캡; 상기 오일캡의 결합부에 삽입 설치되고 일측 외주면에는 오일유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오일유입구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오일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오일유출구의 후방 외주면에는 오일차단턱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오일유입구의 후방 내주면에는 상기 요홈에 끼워 결합되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고 타측 선단에는 오일조절홈이 형성된 합성수지재인 결합구; 및 상기 결합구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어 오일에 함유된 불순물을 집진시키는 필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어크로저{A DOOR CLOSER}
본 발명은 도어크로저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몸통의 오일캡공에 설치되는 조절재를 오일캡과 결합구로 형성하고, 상기 결합구의 내부에는 필터를 설치함으로써 불순물이 함유된 오일이 필터에 의해 집진되어 오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이로 인하여 피스톤의 작동도 원활하게 할 수 있어 도어의 개폐 속도가 변하지 않고, 또한 피스톤에 패킹을 설치하여 피스톤 수납부의 내압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크로저는 아파트의 출입문 도어나 건물에 설치되는 다수의 방화문에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에 내설된 피스톤이 외력에 의해 움직여 압축스프링을 압축하게 되고, 외력이 전달되지 않으면 압축스프링 자체의 탄성에 의해 피스톤을 밀어줌으로써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도록 한 장치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도어크로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로써 피스톤 수납부(111)가 형성되고 양측면에는 오일캡공(113)이 형성되며 상기 오일캡공(113)으로부터 중앙부위 까지는 오일유출통로(미도시)가 연통 형성되고, 상면과 하면 중앙에는 지지축 삽입공(116)이 관통 형성된 몸통(110)과, 상기 피스톤 수납부(111)에 결합되고 일단에는 통공이 형성되며 타단에는 공기량 조절을 위한 체크밸브(150)가 설치될 수 있게 밸브공(122)이 형성되며 외주면 일측에는 랙크기어(124)가 형성된 피스톤(120)과, 상기 오일캡공(113)에 삽입 설치되는 금속재인 조절재(130)와, 상기 지지축 삽입공(116)에 끼워져 상기 랙크기어(124)와 치합될 수 있게 중앙에는 피니언기어(141)가 형성되고 양단에는 링크가 끼워 결합될 수 있게 링크부(143)가 형성된 지지축(140)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 수납부(111)의 타단부와 오일캡공(113)에는 다수개의 오일통로(116)가 관통 형성되어 있고, 랙크기어(124)가 형성된 피스톤(120)의 일단에는 오일유통구(125)가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피스톤 수납부(111)에는 오일이 충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도어크로저(100)를 사용하여 도어를 개방시키고자 도어에 일정한 힘을 가해 외측으로 밀게 되면, 도어의 회전에 따라 도어와 링크(미도시)로 연결 설치된 지지축(140)에 의해 피니언기어(141)가 회전하게 되고 동시에 상기 피니언기어(141)와 치합된 랙크기어(124)가 회전하게 되면서 피스톤(120)이 피스톤 수납부(111)의 일단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피스톤(120)이 일단부로 이동하면서 압축스프링(160)도 피스톤 수납부(111)의 일단부로 밀어주게 되고, 이에 따라 압축스프링(160)이 압축되면서 도어가 개방되어 지며, 피스톤 수납부(111)의 일단부에저장된 오일은 밸브공(122)을 통해 피스톤 수납부(111)의 타단부로 이동되어 진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외부로 나가거나 들어가면 된다.
그리고 상기의 작동에 의해 도어가 개방되어 도어에 외력이 전달되지 않으면 압축되어 있던 압축스프링(160)의 탄성에 의해 피스톤(120)을 피스톤 수납부(111)의 타단부로 이동시켜주게 되고, 피스톤(120)의 이동에 따라 피스톤(120)에 형성된 랙크기어(124)와 치합된 피니언기어(141)가 역회전함으로써 도어가 닫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피스톤 수납부(111)의 타단부에 유입된 오일은 다시 피스톤 수납부(111)의 일단부로 유입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도어크로저(100)는 도어를 닫을 경우 피스톤(120)이 피스톤 수납부(111)의 타단부로 이동되면서 동시에 피스톤 수납부(111)의 타단부에 충진된 오일은 피스톤 수납부(111)의 일단부로 이동되는데, 이 과정에서 오일은 칩이나 불순물을 함유한 상태에서 오일통로(116)를 통해 오일유출통로를 거쳐 피스톤 수납부(111)의 일단부로 이동되어지는데, 이때 오일에 함유된 칩이나 불순물들을 집진시킬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조절재(130)에 형성된 오일조절홈(132)이 막히게 되어 오일을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없었고, 이로 인하여 피스톤(120)의 작동도 원활하지 못함과 동시에 속도의 변화가 있었고, 또한 피스톤(120)이 피스톤 수납부(111)의 타단부로 이동시 오일은 오일압에 의해 체크밸브(150)가 밸브공(122)을 막아주면서 압축스프링(160)의 반발력 만큼 피스톤 수납부(111)에는 내압이 형성되는데, 이때 일부 오일은 오일통로(116)를 거치지 않고 바로 피스톤 수납부(111)의 일단부로 이동되어져 도어크로저(100)의 내압손실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조절재에 오일에 함유된 불순물을 집진시킬 수 있는 필터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오일의 이동을 원활함과 함께 피스톤의 작동을 원활하게 하고, 피스톤 작동시 발생되는 내압을 확보하여 도어크로저의 내압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도어크로저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내부에 피스톤 수납부가 형성되고 양측면에는 오일캡공이 형성되며 상면과 하면 중앙에는 지지축 삽입공이 관통 형성된 몸통과, 상기 피스톤 수납부에 결합되고 오일의 흐름을 조절을 할 수 있는 체크밸브가 설치되며 외주면에는 랙크기어가 형성된 피스톤과, 상기 오일캡공에 결합되어 도어의 속도를 조절하는 조절재와, 상기 지지축 삽입공에 끼워져 상기 랙크기어와 치합되는 피니언기어가 형성된 지지축으로 이루어진 도어크로저에 있어서, 상기 조절재는 일단에 머리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의 후방으로는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의 전방에는 O링이 끼워질 수 있게 링홈이 형성된 오일캡; 상기 오일캡의 결합부에 삽입 설치되고 일측 외주면에는 오일유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오일유입구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오일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오일유출구의 후방 외주면에는 오일차단턱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오일유입구의 후방 내주면에는 상기 요홈에 끼워 결합되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고 타측 선단에는 오일조절홈이 형성된 합성수지재인 결합구; 및 상기 결합구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어오일에 함유된 불순물을 집진시키는 필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크로저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어 진다.
또한, 상기 피스톤의 외주연에는 패킹홈이 형성되고, 상기 패킹홈에는 “⊂”단면 형상의 패킹이 끼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도어크로저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크로저의 요부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조절재의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상태 단면도로써, 도 5a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5b는 피스톤이 제 2속도유통구를 폐쇄시킨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5c는 피스톤이 오일주입흡입구를 폐쇄시킨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도어크로저 20 : 몸통
21 : 피스톤 수납부 22 : 오일캡공
24 : 지지축 삽입공 30 : 피스톤
32 : 통공 33 : 밸브공
34 : 랙크기어 35 : 패킹홈
40 : 조절재 41 : 오일캡
41a : 머리부 41b : 결합부
41c : 요홈 41d : 링홈
42 : O링 43 : 결합구
43a : 오일유입구 43b : 오일유출구
43c : 오일차단턱 43d : 걸림턱
43e : 오일조절홈 45 : 필터
50 : 지지축 51 : 피니언기어
60 : 체크밸브 70 : 패킹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4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도어크로저(10)는 몸통(20)과, 피스톤(30), 조절재(40), 지지축(50)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몸통(20)은 내부에 피스톤 수납부(21)가 형성되고 양측면에는 오일캡공(22)이 형성되며, 상기 오일캡공(22)으로부터 중앙부위 까지는 오일유출통로(23)이 연통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면과 하면 중앙에는 지지축 삽입공(24)이 형성되어 있고, 몸통(20)의 타측면에 형성된 오일캡공(22)의 전방으로는 결합공(2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피스톤 수납부(21)의 타단 후방면과 오일캡공(22)에는 다수개의 오일통로(26)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오일캡공(22)은 오일을 유입시키는 제 1속도조정구(22a)와 상기 제 1속도조정구(22a)의 하단에 위치한 제 2속도조정구(22b)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오일통로(26)는 오일주입흡입구(26a)와 상기 오일주입흡입구(26a)의 일단에 형성된 제 1속도유통구(26b) 및 제 2속도유통구(26c)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몸통(20)의 피스톤 수납부(21)에 결합되는 피스톤(30)은 내부에통공(3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공(32)의 타단으로는 상기 통공(32)보다 직경이 작은 밸브공(33)이 연통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면 일측에는 랙크기어(3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타단부 선단에는 속도유통홈(38)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통홈(38)의 전방 외주연에는 패킹홈(3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패킹홈(35)에는 “⊂”단면 형상의 패킹(70)이 끼워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밸브공(33)에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는 체크밸브(60)가 설치되어 있고, 랙크기어(34)가 형성된 일단부에는 오일유통구(36)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절재(40)는 오일캡공(22)에 삽입 설치되는 것으로, 일단에 머리부(41a)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결합부(41b)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41b)의 후방으로는 요홈(41c)이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41a)의 전방에는 O링(42)이 끼워질 수 있게 링홈(41d)이 형성된 오일캡(41)과, 상기 오일캡(41)의 결합부(41b)에 삽입 설치되고 일측 외주면에는 오일유입구(43a)가 형성되며 상기 오일유입구(43a)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오일유출구(43b)가 형성되고, 상기 오일유출구(43b)의 후방 외주면에는 오일차단턱(43c)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오일유입구(43a)의 후방 내주면에는 상기 요홈(41c)에 끼워 결합되는 걸림턱(43d)이 돌출 형성되고 타측 선단에는 오일조절홈(43e)이 형성된 합성수지재인 결합구(43); 및 상기 결합구(43)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어 오일에 함유된 불순물을 집진시키는 필터(45)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필터(45)의 재질은 섬유재질인 펠트(Felt)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축(50)은 상기 지지축 삽입공(24)에 끼워져 상기 랙크기어(34)와 치합될 수 있게 중앙부에는 피니언기어(51)가 형성되고 상·하단에는 링크(미도시)가끼워 결합될 수 있게 링크부(53)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 미설명 부호(80)는 상기 피스톤(30)의 일단부와 피스톤 수납부(21) 사이에 탄력 설치된 압축스프링이고, (27)은 상기 몸통(20)의 결합공(25)에 나사 결합되는 몸통마개이며, (55)는 지지축 삽입공(24)에 나사 결합되는 지지축 마개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조립과정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피스톤(30)의 외주연에 형성된 패킹홈(35)에 패킹(70)을 설치한다. 그런 다음 상기 피스톤(30)을 몸통(20)의 피스톤 수납부(21)에 설치하되, 상기 피스톤(30)의 일단부와 피스톤 수납부(21) 사이에 압축스프링(80)을 삽입 설치한다. 상기한 피스톤(30)이 설치되면 상기 지지축 삽입공(24)에 지지축(50)을 끼워 결합시키되, 상기 피니언기어(51)와 랙크기어(34)가 치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한 지지축 삽입공(24)에 지지축 마개(55)를 나사 결합시키고, 몸통(20)의 결합공(25)에 몸통마개(27)를 나사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조립되면, 상기 조절재(40)를 오일캡공(22)에 끼워 결합 시킨다. 여기서 조절재(40)의 조립과정을 간단히 설명하면 오일캡(41)의 결합부(41b)에 내부에 필터(45)가 설치된 결합구(43)를 끼워 고정시키고, 오일캡(41)의 링홈(41d)에는 O링(42)을 끼우면 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조절재(40)를 오일캡공(22)에 각각 끼워 결합시키면 되는데, 그 전에 오일캡공(22)의 제 1속도조정구(22a)를 통해 오일을 유입시킨 다음 조절재(40)를 끼운다. 이로써 본 발명의 조립이 완료되는 것이다.(도 3참조)이때, 상기 오일통로(26)의 오일주입흡입구(26a)는 오일캡공(22)의 제 2속도조정구(22b)에 끼워 결합된 조절재(40)에 의해 막히게 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도어크로저(10)는 링크부(53)에 링크(미도시)의 일단을 고정 설치한 다음 그 링크의 타단을 도어의 상부 및 일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고정 설치하면 된다.
이와 같이 조립되어 도어에 설치된 도어크로저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 도 5를 토대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어에 설치된 도어크로저를 사용하여 도어를 개방시키고자 도어에 일정한 힘을 가해 외측으로 밀게 되면 도어의 회전에 따라 도어와 링크로 연결 설치된 지지축(50)에 의해 피니언기어(51)가 회전하게 되고, 동시에 상기 피니언기어(51)와 치합된 랙크기어(34)가 회전하게 되면서 피스톤(30)이 피스톤 수납부(21)의 일단부 (도면에서 좌측방향)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피스톤(30)이 좌측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피스톤(30)의 일단부와 피스톤 수납부(21) 사이에 설치된 압축스프링(80)을 피스톤 수납부(21)의 일단부로 밀어주게 되고, 이에 따라 압축스프링(80)이 압축되면서 도어가 개방되어 지며, 피스톤 수납부(21)의 일단부에 저장된 오일은 피스톤(30)의 통공(32)과 상기 통공(32)과 연통된 밸브공(33)을 통해 피스톤 수납부(21)의 타단부로 이동되는데, 이는 밸브공(60)에 설치된 체크밸브(60)가 밸브공(33)의 타측에 위치하면서 밸브공(33)을 개방시켜주기 때문이다.(도 5a참조)
그리고 상기의 작동에 의해 도어가 개방되어 도어에 외력이 전달되지 않으면 압축되어 있던 압축스프링(80)의 탄성에 의해 피스톤(30)을 피스톤 수납부(21)의 타단부(도면에서 우측방향)로 이동시켜 주고, 피스톤(30)의 이동에 따라 피스톤(30)에 형성된 랙크기어(34)와 치합된 피니언기어(51)가 역회전함으로써 도어가 폐쇄되며,상기 피스톤(30)이 제 2속도유통구(26c)를 지나는 시점 전단계까지는 도어의 폐쇄되는 속도가 빠르게 진행되다가 제 2속도유통구(26c)를 거치게 되면 피스톤(30)의 타단부 선단이 제 2속도유통구(26c)를 폐쇄시키게 됨과 동시에 오일이 피스톤(30)에 의해 압축되며 이 과정에서 피스톤(30)에는 반발력이 작용하게 되어 피스톤(30)의 속도가 늦어져 도어가 서서히 닫히게 된다.(도 5b참조) 이때 오일은 제 1속도유통구(26b)로만 유입되고 피스톤(30)은 제 2속도조정구(22b)에 끼워진 조절재(40)의 조절된 양만큼만 피스톤 수납부(21)의 타단부로 이동된다.
그리고, 피스톤(30)이 제 2속도유통구(26c)를 거쳐 제 1속도유통구(26b)를 폐쇄시키기 전 단계까지는 도어의 속도가 처음의 속도와 같이 빠르게 진행된다. 이는 피스톤(30)의 이동에 의해 제 2속도유통구(26c)가 속도유통홈(38)에 의해 개방되어 오일이 속도유통홈(38)으로 유입되어 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다시 제 1속도유통구(26b)를 거쳐 오일주입흡입구(26a)를 폐쇄시키기 전 단계까지는 도어의 속도가 서서히 작동되면서 도어가 완전히 닫히게 된다.(도 5c참조) 이때, 상기 피스톤 수납부(21)의 타단부(도면에서 우측방향)에 유입된 오일은 피스톤(30)의 작동에 의해 오일통로(26)의 제 2속도유통구(26c)와 제 1속도유통구(26b)를 통하여 오일캡공(22)으로 유입되고, 상기 오일캡공(22)에 유입된 오일은 조절재(40)의 오일캡(41) 결합부(41b)에 결합된 결합구(43)의 오일유입구(43a)로 유입되며, 상기 오일유입구(43a)로 유입된 오일은 다시 오일유출구(43b)를 통해 오일조절홈(43e)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오일유입구(43a)에 유입된 오일은 결합구(43)내부에 설치된 필터(45)에 의해 오일에 함유된 칩이나 불순물들이 집진되고, 필터(45)에 의해불순물이 집진된 오일은 다시 오일유출구(43b)를 통해 오일조절홈(43e)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오일조절홈(43e)으로 유입된 오일은 조절재(40)를 돌려 조절된 만큼만 오일조절홈(43e)을 통해 유입되고 상기 오일조절홈(43e)으로 이동된 오일은 다시 오일유출통로(23)를 통해 피니언기어(51)와 랙크기어(34)가 치합된 공간을 통해 오일유통구(36)로 유입되면서 피스톤 수납부(21)의 일단부(도면에서 좌측방향)에 이동되어 진다. 이때, 상기 오일통로(26)의 제 2속도유통구(26c)와 제 1속도유통구(26b)를 통해 오일캡공(22)으로 유입된 오일은 오일유입구(43a)를 통해 오일유출구(43b)로만 이동되어 지는데, 이는 상기 오일유출구(43b) 후방에 형성된 오일차단턱(43c)과 오일캡(41)에 O링(42)이 끼웠졌기 때문에 오일이 오일유입구(43a)로만 유입된다.
그리고 오일유입구(43a)로 유입된 오일은 필터(45)를 거쳐 오일유출구(43b)로 이동되어 지고, 오일유출구(43b)를 통해 유입된 오일은 칩이나 불순물이 집진된 상태에서 오일조절홈(43e)으로 이동되어져 오일조절홈(43e)이 막히지 않게되어 도어나 피스톤(30)의 속도가 변화지 않게된다.
한편, 피스톤(30)의 동작에 오일이 오일통로(26)를 통해 피스톤 수납부(21)의 일단부(도면에서 좌측방향)로 유입될 때, 상기 피스톤(30)에 설치된 체크밸브(60)는 오일압에 의해 밸브공(33)의 일측으로 이동되어 밸브공(33)을 막아주게 되어 오일이 밸브공(33)을 통해 피스톤 수납부(21)의 일단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해 준다.
또한 피스톤(30)에 형성된 패킹홈(35)에는 “⊂”단면 형상의 패킹(70)이 설치되어 있어, 피스톤(30)이 피스톤 수납부(21)의 타단부로 이동시 오일은 오일압에 의해 체크밸브(60)가 밸브공(33)을 막아주면서 압축스프링(80)의 반발력만큼 내압이형성되는데, 압축된 오일은 제 2속도유통구(26c)와 제 1속도유통구(26b)로만 나가게 되어 내압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어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오일캡(41)의 머리부(41a)를 공구를 이용하여 회전시키면 오일캡공(22)에 결합된 조절재(40)가 좌·우로 이동되어짐에 따라 오일의 유입량이 달라지게 되어 도어의 개페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도어크로저에 따르면, 몸통의 오일캡공에 설치되는 조절재를 오일캡과 결합구로 형성하고, 상기 결합구의 내부에는 필터를 설치함으로써, 불순물이 함유된 오일이 필터에 의해 집진되어 오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이로 인하여 피스톤의 작동도 원활하게 할 수 있어 도어의 개폐속도를 변하지 않게 하고, 또한 피스톤에 형성된 패킹홈에 “⊂”단면 형상의 패킹을 설치하여 피스톤 동작시 피스톤 수납부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어 피스톤 수납부의 내압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내부에 피스톤 수납부(21)가 형성되고 양측면에는 오일캡공(22)이 형성되며 상면과 하면 중앙에는 지지축 삽입공(24)이 관통 형성된 몸통(20)과, 상기 피스톤 수납부(21)에 결합되고 오일의 흐름을 조절을 할 수 있는 체크밸브(60)가 설치되며 외주면에는 랙크기어(34)가 형성된 피스톤(30)과, 상기 오일캡공(22)에 결합되어 도어의 속도를 조절하는 조절재(40)와, 상기 지지축 삽입공(24)에 끼워져 상기 랙크기어(34)와 치합되는 피니언기어(51)가 형성된 지지축(50)으로 이루어진 도어크로저에 있어서,
    상기 조절재(40)는 일단에 머리부(41a)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결합부(41b)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41b)의 후방으로는 요홈(41c)이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41a)의 전방에는 O링(42)이 끼워질 수 있게 링홈(41d)이 형성된 오일캡(41);
    상기 오일캡(41)의 결합부(41b)에 삽입 설치되고 일측 외주면에는 오일유입구(43a)가 형성되며 상기 오일유입구(43a)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오일유출구(43b)가 형성되고, 상기 오일유출구(43b)의 후방 외주면에는 오일차단턱(43c)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오일유입구(43a)의 후방 내주면에는 상기 요홈(41c)에 끼워 결합되는 걸림턱(43d)이 돌출 형성되고 타측 선단에는 오일조절홈(43e)이 형성된 합성수지재인 결합구(43); 및
    상기 결합구(43)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어 오일에 함유된 불순물을 집진시키는 필터(45);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크로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30)의 외주연에는 패킹홈(35)이 형성되고, 상기 패킹홈(35)에는 “⊂”단면 형상의 패킹(70)이 끼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크로저.
KR1019990027799A 1999-07-09 1999-07-09 도어크로저 KR100328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7799A KR100328116B1 (ko) 1999-07-09 1999-07-09 도어크로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7799A KR100328116B1 (ko) 1999-07-09 1999-07-09 도어크로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9440A KR20010009440A (ko) 2001-02-05
KR100328116B1 true KR100328116B1 (ko) 2002-03-09

Family

ID=19600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7799A KR100328116B1 (ko) 1999-07-09 1999-07-09 도어크로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81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3683A (ko) 2015-09-17 2017-03-27 이원찬 도어클로저 자동조정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3882U (ko) * 1980-08-05 1982-02-22
KR900015816U (ko) * 1989-02-22 1990-09-03 문충식 플로어 힌지용 피스톤의 불순물 여과장치
KR910014357U (ko) * 1990-01-24 1991-08-31 문홍식 도어클로저의 피스톤 조립체
KR920002781Y1 (ko) * 1989-12-15 1992-05-01 김성필 멜로디가 나오는 빗통
KR960034813U (ko) * 1995-04-06 1996-11-21 플로어 힌지용 피스톤의 불순물 여과장치
JPH0913788A (ja) * 1995-06-30 1997-01-14 Miwa Lock Co Ltd ドアクローザの速度制御装置
JPH10196213A (ja) * 1997-01-14 1998-07-28 Nippon Door Check Mfg Corp 扉自動閉塞装置
JPH10280794A (ja) * 1997-04-02 1998-10-20 Nippon Door Check Mfg Corp フロアヒンジ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3882U (ko) * 1980-08-05 1982-02-22
KR900015816U (ko) * 1989-02-22 1990-09-03 문충식 플로어 힌지용 피스톤의 불순물 여과장치
KR920002781Y1 (ko) * 1989-12-15 1992-05-01 김성필 멜로디가 나오는 빗통
KR910014357U (ko) * 1990-01-24 1991-08-31 문홍식 도어클로저의 피스톤 조립체
KR960034813U (ko) * 1995-04-06 1996-11-21 플로어 힌지용 피스톤의 불순물 여과장치
JPH0913788A (ja) * 1995-06-30 1997-01-14 Miwa Lock Co Ltd ドアクローザの速度制御装置
JPH10196213A (ja) * 1997-01-14 1998-07-28 Nippon Door Check Mfg Corp 扉自動閉塞装置
JPH10280794A (ja) * 1997-04-02 1998-10-20 Nippon Door Check Mfg Corp フロアヒン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3683A (ko) 2015-09-17 2017-03-27 이원찬 도어클로저 자동조정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9440A (ko) 2001-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55906A (en) Pressure balanced mixing valve
EP0742381B1 (en) Rotary damper
CA2604947A1 (en) Fluid flow control valve with composition seal
WO2004112866A3 (en) Fluid handling device and method of making same
CA2298377A1 (en) Fluid flow valve with variable flow rate
CA2499179A1 (en) Breakaway coupling with flapper valve
WO2006065592A3 (en) Pressure washer trigger lock
CA2387226A1 (en) Plug valve having seal segments with booster springs
WO2005036035A3 (en) Valve assembly
HU904790D0 (en) Low pressure recirculation valve
CA2675888A1 (en) Valve flow adjustment device
CA2485973A1 (en) Equalizer valve
US20080053528A1 (en) Diaphragm pressure balancing valves
ITMI20030889A1 (it) Valvola di regolazione
EP0154642A1 (en) Automatic shut off valve
KR100328116B1 (ko) 도어크로저
US5901387A (en) Switch of a water tap
CA2426507A1 (en) Pressure relief device
CN210014049U (zh) 一种分水阀芯
CN210397796U (zh) 一种切换阀
KR102126768B1 (ko) 회전 도어용 힌지모듈
KR20010089348A (ko) 단일 레버 혼합 밸브용 카트리지
JP4859037B2 (ja) 一方向バルブ及びドアチェック装置
CN211398674U (zh) 双止回阀、组合阀及磁控防滴漏组合阀
KR200459490Y1 (ko) 2방향 밸브 및 이를 채용한 수도꼭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