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7884B1 - 절대습도센서 - Google Patents

절대습도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7884B1
KR100327884B1 KR1019940028737A KR19940028737A KR100327884B1 KR 100327884 B1 KR100327884 B1 KR 100327884B1 KR 1019940028737 A KR1019940028737 A KR 1019940028737A KR 19940028737 A KR19940028737 A KR 19940028737A KR 100327884 B1 KR100327884 B1 KR 100327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absolute humidity
case
glass case
humidity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8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3444A (ko
Inventor
사쿠라이슈지
사이토가즈마사
사토츠토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오오이즈미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오오이즈미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오오이즈미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950033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3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7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78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1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absorption of a fluid;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reaction with a fluid, for detecting components in the fluid
    • G01N27/121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absorption of a fluid;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reaction with a fluid, for detecting components in the fluid for determining moisture content, e.g. humidity, of the flu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7/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 G01K7/16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resistive elements
    • G01K7/22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resistive elements the element being a non-linear resistance, e.g. thermist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Fluid Adsorption Or Reaction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Using Thermal Means (AREA)

Abstract

유리케이스(4) 내에 개구를 통하여 감열소자(1) 를 끼워넣고, 그 리드선(3a,3b) 을 유리케이스(4) 의 외부에 인출한 상태로 유리케이스(4) 의 개구를 용접봉함 한다.
감열소자(1) 를 봉입한 유리케이스(4,4) 의 한쌍의 한쪽을 감습기(5), 다른쪽을 온도보상기(6) 로하고, 감습기(5) 의 유리케이스(4) 에 작은구멍(7) 을 개구하고, 양기기(5,6) 를 편성하여, 그 외주에 균열체(9) 를 부착하여 절대습도센서를 완성한다.

Description

절대습도센서
(산업상의 이용 분야)
본 발명은 서미스터등의 감열소자의 쌍을 사용하여 온습도, 가스농도등을 측정하는 절대 습도센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서미스터등의 감열소자를 센서소자에 사용한 습도센서는 전자레인지내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 습도센서는 감열소자를 외기 분위기중과, 외기로부터 차단된 밀폐분위기중으로 각각 자기발열시켜, 양감열소자의 저항치의 변화를 검지하여 대기분위기중의 수중기량( 절대습도) 을 측정하는 것이다.
감열소자를 사용한 절대습도센서는, 종래보다 다양한 구조의 것이 제안되어 있으나, 요컨대, 2 개의 케이스내에 각각 감열소자를 편입하고, 한쪽의 케이스에 작은구멍을 열어서 외기와 연통시켜 다른쪽의 케이스를 밀폐하고, 전자를 감습기, 후자를 온도보상기로서 조합시킨 것이다.
제 5도에 절대습도센서의 1예를 예시한다. 이 예에서는 제 6도와 같이 스템(21)에 부착된 감열소자(22)를 금속캡(22)으로 덮고, 캡(23)의 일부에 구멍(24)을 열어서 이것을 감습기(25)로 하고, 별도로 캡(23)에 구멍이 없는 것을 사용한 온도보상기(26)를 준비하며, 이 감습기(25)와, 온도보상기(26)를 금속케이스(27)내에 내장한 것이다.
이예에 의하면, 금속케이스(27)는, 제 5도와 같이 한쪽끝에 플랜지(28)가 설치되고, 다른쪽 끝에 구멍(29)을 가진 금속판에 피복된 통형상을 이루며, 이 금속케이스(27)내에 균열(均熱) 금속판(30)을 한쪽끝에 고정한 금속통(31)을 압입하고, 이것에 상기 감습기(25) 및 온도보상기(26)를 고정하며, 다시 금속케이스(27)의 원면을 덮어서 금속커버(32)를 플랜지(28)에 고정함으로써 조립된다( 일본국 실공평 4-35806호 참조).
절대습도센서의 종래의 구조는 반드시 제 5도와 같이 감습기와 온도보상기를 별개로 제작하고, 이것을 금속케이스내에 편입시키는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종래의 대부분의 센서는 감열소자를 덮는 캡, 케이스 그외의 부품을 포함하여 센서의 구성부재에는 금속부품이 사용되고, 기밀시일을 가지고 스템과 금속캡을 용접하여 봉함하는 구조로 되어 있었다.
습도센서의 구성부재에 금속을 사용함으로써, 그구조는 일견 견고하게되나, 금속부품을 사용할 때에는 제 5, 6 도에 명백한 바와같이 부품점수가 많고, 금속판으로부터의 부품의 가공, 조립에 많은 공수와 고도의 기술을 요한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또한, 기밀 봉함구조에 의해 감열소자를 봉함하기 위해서는, 스템에 용접처리가 필요하게 되며, 소자가 미소하기 때문에 고정밀도의 정밀용접장치를 사용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또, 장기간 교습의 분위기에 노출되어 있으면 금속케이스가 부식하여 특성이 열화되어 신뢰성에 문제가 발생한다.
(발명의 목적과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점수가 적고 가공조립이 용이하며 장기간 고습분위기에 노출되어도 특성열화의 우려가 없는 절대습도센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온다습 분위기중에서 장시간 사용하여도 케이스가 부식함이 없이, 장시간 소정의 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는 절대습도센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공지의 유리가공기술을 사용하여 유리케이스내에 센서소자로서 서미스터등의 감열소자를 봉입한 절대습도센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소지를 유리의 중공실내에 봉입하는 기술은 마이크로램프의 제조기술에 사용되고 있고, 또, 유리관을 가공하여 소자를 봉입하는 기술은, 리드스위치등에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공지의 유리가공기술을 사용하여 유리케이스내에 센서소자로서 서미스터등의 감열소자를 봉입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리판, 유리외에 동일 효과의 알루미나등의 세라믹스를 포함하는 것이다. 유리케이스에 사용되는 유리의 종류로서는 규산염 유리나 붕규산 유리등의 전자부품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비롯하여, 적외선 흡수 유리등의 알칼리바륨계 유리도 사용할 수 있다. 또, 결정구조적으로는 결정화 유리 혹은 비결정유리라도 특별히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
감습기는, 작은구멍을 가진 유리케이스에 발연소자를 내장한 것이며, 온도보상기는 기밀한 유리케이스내에 발열소자를 내장한 것이다. 유리케이스에는 유리관을 사용하면 편리하다. 유리관내에 감열소자를 끼워넣고, 그 리드선을 유리관밖으로 끄집어내어 유리관의 양끝을 봉함함으로써 간단히 얻어진다.
감열소자에는, 칩형, 비드형, 디스크형의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리드선이 소자의 양끝으로부터 반대방향으로 인출되어 있는것( 액셜형) 은, 한쌍의 리드선을 유리관의 양끝에서 인출하여 각각의 개구끝을 봉함하고, 또, 소자의 양면에서 동일방향으로 인출된 한쌍의 리드선을 갖는것( 레이디얼형) 은 양리드선사이를 분리하여 유리관의 한쪽 개구끝에서 인출하고, 양개구끝을 봉함하면 된다.
감열소자의 리드선에는 통상 쥬메트선이 사용되나, 백금선이나 철/크롬선이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종래의 유리피복형 서미스터에 볼 수 있듯이, 리드선에 사용되는 금속선은 어느것도 융해된 유리의 고화에 의해 안정적으로 봉함할 수 있다.
온도보상기의 유리케이스에는 임의로 작은 구멍을 개구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감열소자를 유리케이스의 중공실내에 봉입한 것만의 간단한 구조이기 때문에, 부품점수가 적고, 가공, 조립의 공수를 종래품에 비하여 대폭 삭감할 수 있으며, 특히 감열소자의 봉입은 유리를 열융해시켜서 리드선을 봉함하는 것만으로 되고, 통상의 유리가공기술을 사용하여 고도로 봉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스에 유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고온다습한 분위기중에서 장시간 사용하여도 케이스가 부식되는 일이 없고, 장시간 소정의 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해 설명한다. 제 1도는 감열소자(1) 에 비드형의 서미스터를 사용한 예이다. 감열소자(1) 에는 단자선(2) 으로서 한쌍의 백금선을 가지며, 이 백금선이 감열소자(1) 의 양끝에서 서로 역방향으로 인출되어 있다.
한쌍의 백금선에 각각 리드선(3a,3b) 으로서 쥬메트선을 결선하고, 한쪽의 리드선(3a)을 되집어서 양리드선(3a,3b) 을 같은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하고 있다.
이 감열소자(1) 의 한쌍을 각각 한쪽끝이 개구된 유리케이스(4) 의 중공실내에 그 개구를 통하여 끼워넣어 개구를 용접봉합하고, 유리케이스(4) 의 외부에 인출된 리드선(3a,3b) 을 유리의 용접봉함부분에 고정하여 유리케이스(4) 의 중공실내에 감열소자(1)를 유지시킨다.
유리케이스(4) 에 감열소자(1) 를 봉입한 것은, 한쪽이 감습기(5), 다른쪽이 온도보상기(6) 이다. 감습기(5) 의 유리케이스(4) 에는 그일부에 작은 구멍(7) 을 개구하여 외기에 연통시킨다. 절대습도센서(8) 는 감습기(5) 와, 온도보상기(6) 와의 조합이다. 감습기(5) 와 온도보상기(6) 와의 양자에 걸쳐서 양유리케이스(4,4) 의 주위에 균열체(均熱休)(9) 를 부착시킨다.
균열체(9) 에는 열전도성이 우수한 테이프 흑은, 성형체를 사용할 수 있다.
균열체(9) 가 테이프일때에는 양유리케이스(4,4) 의 주위에 테이프를 감는 것만으로 좋다.
균열체(9) 에 성형체를 사용할때에는 도시는 생략하나 일정형태의 성형체에 유리케이스의 수납홈을 설치하여, 그 홈안내 감습기와 온도보상기를 격납하면 된다. 단, 감습기(5)의 유리케이스(4) 에 개구된 작은구멍(7) 은, 대기중에 개방되어 있지 않으면 안된다.
이경우, 균열체의 양끝에 부착구멍을 설치함으로써, 그 부착구멍을 사용하여 균열체를 금속케이스( 제 5도의 금속케이스(27)에 상당한 것) 에 부착할 수 있게되며, 이 구조에서는 균열체는 그대로 부착판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제 1도의 실시예에서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뻗는 단자선(2,2) 을 양끝에 가지는 감열소자(1) 를 사용한 예를 예시하고 있으나, 레이디얼형의 서미스터와 같이소자의 양면 전극에 같은 방향으로 뻗는 단자선의 한쌍을 가지는 감열소자를 사용할 경우라도, 그 봉함요령은 전혀동일하다.
제 2도는 유리케이스에 양끝이 개방된 유리관(10)을 사용하는 예이다.
유리관(10)내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뻗는 단자선(2,2) 을 양끝에 가지는 감열소자(1)를 끼워넣고, 그 단자선(2,2) 또는 단자선에 접속된 리드선을 유리관(10)의 양끝에서 인출하며, 유리관(10)의 양끝을 용접봉함하고, 유리의 용접봉함부분에서 단자선(2,2) 또는 리드선을 지지하며 유리관(10)의 중공실내에 감열소자(1) 를 유지시킨다.
제 3도에 있어서 양끝이 봉함된 유리관(10)은 유리케이스이며, 유리관(10)에 작은구멍(7)을 개구한 것이 감습기(5) 로 되고, 양끝이 봉함된 것은 온도보상기(6) 이다.
제 3도에 있어서, 양쪽기기의 유리관(10,10) 의 주위에 균열체(9) 로서 테이프를 감아서 절대습도센서(8) 를 완성한다. 이 예에서는 균열체(9) 를 통하여 한쪽의 유리케이스(4) 에 작은구멍(7) 을 개구하고 있다.
이상, 제 3도의 실시예에서는 소자의 양단자선 또는 리드선과 유리관의 길이방향 양끝에서 인출된 예를 설명하였으나, 유리관의 한쪽의 봉함부분에서 2개의 리드선을 인출하는 것이라도 된다.
이상, 실시예에 있어서는 2개의 유리케이스를 조합하는 예를 설명하고 있으나, 요컨대, 케이스 사이에서 감습기의 감열소자와, 온도보상기의 감열소자와의 사이를 격리하는 것이므로, 제 4도와 같이 하나의 케이스(4) 를 간막이판(11)으로 2실로 구획하고, 각 실내에 각각 감열소자(1,1) 를 내장하여도 효과는 동일하나, 하나의 케이스의 사용에 의해 가공, 조립의 공수는 보다 간략화 된다.
케이스에 사용되는 유리는, 열전도률이 낮기 때문에 습도를 감지하는 감습기와 온도보상기와의 사이의 열적간섭이 적고, 안정된 출력을 얻을 수 있으며, 또, 양 케이스는 주위의 균열체에 의해 주위온도 변화에 대한 밸런스가 유지되고, 열적으로 같은 조건에 유지되어 있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1 실시예를 예시하는 단면도,
제 2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조립요령을 예시하는 도면,
제 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하는 도면,
제 4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예시하는 도면,
제 5도는 절대습도센서의 종래예를 예시하는 도면,
제 6도는 종래의 절대습도센서에 사용된 감습기( 感濕器) 를 도시하는 도면.

Claims (5)

  1. 중공의 유리케이스에 내장된 한쌍의 감열소자를 가지는 절대습도센서로서, 유리케이스는 2 실로 격리되고, 1 실은 기밀하게 봉함되며 다른실은 외기와 연통시키는 작은구멍을 가지는 것이며, 한쌍의 감열소자는 감습기와 온도보상기의 센서소자이며, 감습기는 외기와 연통하는 유리케이스의 1실에 감열소자를 수용한 것이며, 온도보상기는 기밀하게 봉함된 유리케이스의 다른실내에 감열소자를 수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대습도센서.
  2. 제 1항에 있어서, 2 실로 격리된 유리케이스는, 2 개의 유리케이스의 조합이며, 각각의 유리케이스가 1실과 다른실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대습도센서.
  3. 제 2항에 있어서, 유리케이스는 양끝이 폐지된 관형상을 이루며 관축방향으로 병렬로 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대습도센서.
  4. 제 1항에 있어서, 유리케이스내의 2실은 케이스내를 구획하는 간막이판에 의해 서로 격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대습도센서.
  5. 제 1,2,3 또는 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유리케이스는 양실의 주위에 균열체가 부착되고, 균열체는 열전도성 재료로 형성되며 양실의 열적조건을 균일하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대습도센서.
KR1019940028737A 1994-05-30 1994-11-03 절대습도센서 KR1003278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117139 1994-05-30
JP6117139A JPH07325061A (ja) 1994-05-30 1994-05-30 絶対湿度セン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3444A KR950033444A (ko) 1995-12-26
KR100327884B1 true KR100327884B1 (ko) 2002-08-13

Family

ID=14704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8737A KR100327884B1 (ko) 1994-05-30 1994-11-03 절대습도센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7325061A (ko)
KR (1) KR1003278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459B1 (ko) 2011-09-28 2014-03-18 가부시키가이샤 시바우라덴시 온도 센서 및 수소 충전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6656B1 (ko) * 2000-04-14 2003-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이크로 절대 습도 센서 제조 방법
JP4575846B2 (ja) * 2005-06-07 2010-11-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ガスセン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459B1 (ko) 2011-09-28 2014-03-18 가부시키가이샤 시바우라덴시 온도 센서 및 수소 충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325061A (ja) 1995-12-12
KR950033444A (ko) 1995-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28975A (en) Gas sensor having hermetic and electrically insulating seal in housing
KR100228046B1 (ko) 고온정밀백금저항온도센서
US2728832A (en) Resistance thermometer
KR100327884B1 (ko) 절대습도센서
KR100419923B1 (ko) 클린룸 온도센서장치
US4802369A (en) Sensor structure
US6068745A (en) Method for forming an electrochemical sensor
US2402927A (en) Insulating seal
JP3559915B2 (ja) 湿度センサ
US2482902A (en) Choke coil
JPH0854291A (ja) 温度計測装置
CN2047013U (zh) 陶瓷铂电阻测温元件
US4013988A (en) Hermetically sealed motor protector
US3725837A (en) Platinum resistance temperature sensors
JP2735797B2 (ja) 高温白金測温抵抗素子
JPS59210333A (ja) 温度検出器
JPH082583Y2 (ja) 温度センサ
JP2667300B2 (ja) 炭酸ガスセンサ
GB2167603A (en) Temperature probe
JPH11160268A (ja) 湿度センサ
JP2581366Y2 (ja) 熱伝導式絶対湿度センサー
JPH07225159A (ja) 温度感知装置
JPS6222821Y2 (ko)
JPH04283632A (ja) 温度センサ
JPS5924239A (ja) ガス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