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3944B1 - Card Stacker and Card Manufacturing Apparatus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ard Stacker and Card Manufacturing Apparatus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3944B1
KR100323944B1 KR1019990026662A KR19990026662A KR100323944B1 KR 100323944 B1 KR100323944 B1 KR 100323944B1 KR 1019990026662 A KR1019990026662 A KR 1019990026662A KR 19990026662 A KR19990026662 A KR 19990026662A KR 100323944 B1 KR100323944 B1 KR 100323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conveying
supporting means
stacker
output stac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66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10008716A (en
Inventor
기연간
Original Assignee
윤학범
주식회사 케이디이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학범, 주식회사 케이디이컴 filed Critical 윤학범
Priority to KR1019990026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3944B1/en
Publication of KR20010008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87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3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3944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3/00Machines for issuing preprinted tickets
    • G07B3/04Machines for issuing preprinted tickets from a st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26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dropping the articles
    • B65H29/36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dropping the articles from tapes, bands, or rollers rolled from under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4Cards, e.g. telephone, credit and identity c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veying Record Carriers (AREA)
  • Ticket-Dispensing Machines (AREA)

Abstract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 원가가 낮고, 안정되게 카드를 축적하여 저장할 수 있는 카드 저장기 및 이를 이용한 카드 발권 장치를 제공한다.Provided is a card storage device having a simple structure and low manufacturing cost and stably storing and storing a card, and a card ticketing device using the same.

카드 저장기는 소정 경로를 따라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카드를 받아들이고 순차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카드를 축적 저장하게 된다. 카드 저장기에 있어서, 제1 이송 및 지지 수단은 상기 받아들여진 카드의 경로를 완만하게 상방으로 경사지게 변화시켜 이송하게 된다. 제2 이송 및 지지 수단은 상기 제1 이송 및 지지 수단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1 이송 및 지지 수단과 함께 상기 카드를 이송한다. 카드를 수납하기 위한 출력 스택커는 상부면이 개방될 수 있는 박스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이송 및 지지 수단 방향 측면부 하단으로부터 저면부의 일정 지점까지 연장되어 슬릿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이송 및 지지 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카드가 상기 슬릿을 통해 상기 출력 스택커에 투입되어서, 직전에 투입된 카드와 상기 출력 스택커의 저면부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The card storage device accepts cards sequentially transferred along a predetermined path and accumulates and stores cards sequentially received. In the card storage device, the first conveying and supporting means conveys the path of the accepted card by gently inclining upwardly. A second conveying and supporting means is arranged above the first conveying and supporting means and conveys the card together with the first conveying and supporting means. The output stacker for accommodating the card has a box shape in which an upper surface thereof can be opened, and a slit is formed extending from a lower end of the side surface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conveying and supporting means to a predetermined point of the lower surface portion. The card conveyed by the first and second conveying and supporting means can be inserted into the output stacker through the slit, and can be inserted between the immediately inserted card and the bottom portion of the output stacker.

Description

카드 저장기 및 이를 이용한 카드 발권 장치{Card Stacker and Card Manufacturing Apparatus Using the Same}Card Stacker and Card Manufacturing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발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이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되어 있으며 정보 저장 매체로 사용되는 카드를 스택 형태로 저장하는 카드 저장기와 이를 이용한 카드 발권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cke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rd storage device for storing a card which is made of paper or plastic and used as an information storage medium in a stacked form, and a card ticketing device using the same.

지하철 승차권과 같은 종이식 자기 기록 매체나 선불카드와 같은 플라스틱 자기 기록 매체를 제작함에 있어서는, 먼저 대량으로 이를 발권한 후 고객의 요구에 응하여 이를 개별적으로 발매하게 된다. 이러한 기록 매체(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를 '카드'라 약칭함)를 발권함에 있어서는, 먼저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카드를 한 장씩 카드 스택으로부터 기록부로 순차적으로 이송하고, 기록부에서 카드의 자기 스트립에 정보를 저장한 후, 정보가 기록된 카드를 저장용기로 이송하여 저장하게 된다.In producing a paper magnetic recording medium such as a subway ticket or a plastic magnetic recording medium such as a prepaid card, it is first issued in large quantities and then released separately in response to a customer's request. In issuing such a recording medium (hereinafter, abbreviated as 'card'), first, a card in which no data is recorded is sequentially transferred from the card stack to the recording unit, and the recording unit transfers information to the magnetic strip of the card. After storage, the card on which the information is recorded is transferred to a storage container for storage.

도 1은 이러한 발권 장치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1의 발권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카드(2)는 입력 스택커(10)에 저장되어 있다. 고무 롤러(12)는 입력 스택커(10)에 저장된 카드들(2) 중 최하단에 있는 것을 수평 방향으로 이송하여 기록부(16)에 공급되게 해준다. 이때, 제1 이송 롤러들(14a) 및 제2 이송 롤러들(14b)은 카드가 둘 이상 겹쳐져서 이송되지 않고 한 장씩 이송되도록 해준다. 데이터 기록부(16)는 카드 상의 자기 스트립에 소정의 정보를 기록한다. 데이터 기록부(16)에 의해 정보가 기록된 카드는 출력 스택커(18)에 축적된다.1 shows an example of such a ticketing device. In the ticketing device of FIG. 1, the card 2 in which no data is recorded is stored in the input stacker 10. FIG. The rubber roller 12 transfers the lowermost of the cards 2 stored in the input stacker 1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be supplied to the recording unit 16. In this case, the first conveying rollers 14a and the second conveying rollers 14b allow the cards to be conveyed one by one without being overlapped by two or more cards. The data recorder 16 records predetermined information on a magnetic strip on the card. Cards in which information is recorded by the data recording unit 16 are stored in the output stacker 18.

이와 같은 종래의 발권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기록부(16)로부터 출력 스택커(18)로 방출되는 카드는 별도의 안내 부재의 개입없이 카드 자체의 중량으로 인한 중력에 의해 자유 낙하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각 카드가 이전에 저장된 카드 상에 정확하게 착지하지 못하고 어긋난 방향으로 낙하할 수가 있다. 더욱이, 경우에 따라서는 카드가 낙하하는 도중에 카드의 탄성에 의해 튀어 오른 후 출력 스택커(18)의 내벽면에 걸쳐 서있게 될 가능성도 있다. 이러한 경우, 이후에 저장되는 카드들은 계속적으로 부정확하게 착지될 수밖에 없게 된다.In this conventional ticketing device, the card discharged from the data recording unit 16 to the output stacker 18 is free-falled by gravity due to the weight of the card itself without intervention of a separate guide member. This allows each card to fall in the displaced direction without correctly landing on the previously stored card. Furthermore, in some case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card will stan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output stacker 18 after being springed up by the elasticity of the card while the card is falling. In such a case, later cards may be landed incorrectly continuously.

이러한 부정확한 착지 가능성을 줄이기 위하여 카드의 낙하 높이를 안정적으로 즉, 높지 않게 유지할 수 있는 메커니즘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메커니즘들은 그 구조가 복잡하고, 이를 구성함에 있어서 많은 부품이 소요되기 때문에 경제성이 결여되어 있다는 단점이 있다. 스택커의 제조 원가를 줄이기 위하여 간단한 코일 스프링을 스택커의 저면부에 설치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경우 구조가 불안정하여 높이를 유지함에 있어서 잦은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In order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such incorrect landing, mechanism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to keep the drop height of the card stable, that is, not high. However, these mechanisms have a disadvantage in that their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economical because they require a lot of parts to construct them. In order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stacker, a simple coil spring may be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stacker, but in this case, the structure may be unstable, and frequent errors may occur in maintaining the height.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 원가가 낮고, 아울러 안정되게 카드를 축적하여 저장할 수 있는 카드 저장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s technical problem is to provide a card storage device which is simple in structure, low in manufacturing cost, and capable of stably storing and storing cards.

아울러,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카드 저장기를 이용한 카드 발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rd ticketing device using such a card storage device.

도 1은 종래의 발권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ticketing device.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발권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ticke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카드 저장기는 소정 경로를 따라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카드를 받아들이고 순차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카드를 축적 저장하게 된다. 카드 저장기에 있어서, 제1 이송 및 지지 수단은 상기 받아들여진 카드의 경로를 완만하게 상방으로 경사지게 변화시켜 이송하게 된다. 제2 이송 및 지지 수단은 상기 제1 이송 및 지지 수단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1 이송 및 지지 수단과 함께 상기 카드를 이송한다. 카드를 수납하기 위한 출력 스택커는 상부면이 개방될 수 있는 박스 형태로 되어 있으며, 일 측면 하단으로부터 저면의 일부분까지 연장되어 슬릿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이송 및 지지 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카드가 상기 슬릿을 통해 상기 출력 스택커에 투입되어서, 직전에 투입된 카드와 상기 출력 스택커의 저면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card sto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epts cards sequentially transferred along a predetermined path and accumulates and stores cards sequentially received. In the card storage device, the first conveying and supporting means conveys the path of the accepted card by gently inclining upwardly. A second conveying and supporting means is arranged above the first conveying and supporting means and conveys the card together with the first conveying and supporting means. The output stacker for accommodating a card has a box shape in which an upper surface thereof can be opened, and a slit is formed extending from a lower portion of one side to a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The card conveyed by the first and second conveying and supporting means can be inserted into the output stacker through the slit, and inserted between the card just inserted and the bottom of the output stacker.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카드 발권 장치에 있어서, 입력 스택커는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카드들을 스택 형태로 저장한다. 이송수단은 상기 입력 스택커에 저장된 상기 카드들 중 최하단의 것을 수평 방향으로 이송한다. 데이터 처리 수단은 상기 이송 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카드의 데이터 기록부에 대해 소정의 데이터 처리 작업을 수행한다. 카드 저장기는 상기 데이터 처리 수단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카드를 받아들이고 순차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카드를 축적 저장한다. 특히, 상기 카드 저장기에 있어서, 제1 이송 및 지지 수단은 상기 받아들여진 카드의 경로를 완만하게 상방으로 경사지게 변화시켜 이송하게 된다. 제2 이송 및 지지 수단은 상기 제1 이송 및 지지 수단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1 이송 및 지지 수단과 함께 상기 카드를 이송한다. 카드를 수납하기 위한 출력 스택커는 상부면이 개방될 수 있는 박스 형태로 되어 있으며, 일 측면 하단으로부터 저면의 일부분까지 연장되어 슬릿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이송 및 지지 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카드가 상기 슬릿을 통해 상기 출력 스택커에 투입되어서, 직전에 투입된 카드와 상기 출력 스택커의 저면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In the card issu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another technical problem, the input stacker stores the cards in which data is not recorded in a stack form. The conveying means conveys the lowest one of the cards stored in the input stack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data processing means performs a predetermined data processing operation on the data recording portion of the card conveyed by the conveying means. The card storage unit accepts cards sequentially transferr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data processing means and accumulates and stores the cards sequentially received. In particular, in the card storage device, the first conveying and supporting means conveys the path of the accepted card by gently changing the path upwardly. A second conveying and supporting means is arranged above the first conveying and supporting means and conveys the card together with the first conveying and supporting means. The output stacker for accommodating a card has a box shape in which an upper surface thereof can be opened, and a slit is formed extending from a lower portion of one side to a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The card conveyed by the first and second conveying and supporting means can be inserted into the output stacker through the slit, and inserted between the card just inserted and the bottom of the output stack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발권 장치의 일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시된 발권 장치는 지하철 승차권과 같은 자기 기록 매체로 되어 있는 카드를 발권하기 위한 것으로서, 입력 스택커(30)와, 고무 롤러(32)와, 제1 및 제2 이송 롤러(34a, 34b)와, 데이터 기록부(36)를 포함한다.Figure 2 shows an embodiment of a ticke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icketing device shown is for issuing a card made of a magnetic recording medium such as a subway ticket, and includes an input stacker 30, a rubber roller 32, first and second transfer rollers 34a, 34b, and the like. And a data recorder 36.

입력 스택커(30)는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카드들(2)을 스택 형태로 저장하고 있으며, 하부면 중 일부분이 열려있는 형태로 되어 있다. 고무 롤러(12)는 입력 스택커(10)에 저장된 카드들(2) 중 최하단에 있는 것을 수평 방향으로 이송하여 기록부(36)에 공급되게 해준다. 이때, 제1 이송 롤러들(34a) 및 제2 이송 롤러들(34b)은 이송중인 카드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서 각각 카드와 접촉한 상태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카드가 둘 이상 겹쳐져서 이송되지 않고 한 장씩 이송되도록 해준다. 데이터 기록부(36)는 카드 상의 자기 스트립에 소정의 정보를 기록한다. 데이터 기록부(36)에 의해 정보가 기록된 카드는 카드 저장기에 저장된다.The input stacker 30 stores cards 2 in which data is not recorded in a stack form, and a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is open. The rubber roller 12 transfers the lowermost of the cards 2 stored in the input stacker 1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be supplied to the recording unit 36. At this time, the first conveying rollers 34a and the second conveying rollers 34b are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in contact with the cards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ard being conveyed, respectively, so that two or more cards are overlapped and conveyed. To be transported one by one, instead of The data recorder 36 records predetermined information on a magnetic strip on the card. The card on which information is recorded by the data recording unit 36 is stored in the card storage unit.

도 2에 있어서, 벨트 풀리들(38, 40)과, 벨트(42)와, 핀치 롤러(44)와, 출력 스택커(46)는 본 발명에 의한 카드 저장기를 구성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두 개의 벨트 풀리들(38, 40) 중 제1 벨트 풀리(38)는 제2 벨트 풀리(40)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다. 이에 따라 제1 벨트 풀리(38)는 제2 벨트 풀리(40) 상에 설치되는 벨트(42)의 상부면은 출력 스택커(46) 측이 약간 높도록 완만하게 경사져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 벨트 풀리(38)와 제2 벨트 풀리(40)가 서로 같은 직경을 가지도록 하고, 제2 벨트 풀리(40)를 제1 벨트 풀리(38)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벨트(42) 상부면이 경사지게 할 수도 있다. 핀치 롤러(44)는 벨트(42) 상부면에서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된 지점에 설치되어 있다. 출력 스택커(46)는 박스 형태로 되어 있으며, 그 상부면이 개방되어 있거나 개방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출력 스택커(46)의 핀치 롤러(44) 측 벽면 하단(46a)에는 횡방향(도2에서 종이를 관통하는 방향)으로 슬릿(47)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슬릿(47)의 하방을 한정하는 출력 스택커(46)의 저면은 일정 위치(46b)에 이르기까지 횡방향으로 절개되어 있어서 카드가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게 되어 있다.In Fig. 2, belt pulleys 38 and 40, belt 42, pinch roller 44, and output stacker 46 constitute a card reservo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belt pulley 38 of the two belt pulleys 38, 40 has a smaller diameter than the second belt pulley 40. Accordingly, the first belt pulley 38 is gently inclined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belt 42 installed on the second belt pulley 40 is slightly higher on the output stacker 46 side. Meanwhil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elt pulley 38 and the second belt pulley 40 have the same diameter as each other, and the second belt pulley 40 is disposed more than the first belt pulley 38. The upper surface of the belt 42 may be inclined by installing at a slightly higher position. The pinch rollers 44 are provided at point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elt 4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output stacker 46 is in the form of a box, the top surface of which is open or can be opened. Moreover, although the slit 47 is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irection which penetrates paper in FIG. 2) in the lower end 46a of the pinch roller 44 side wall of the output stacker 46, it is the lower side of this slit 47. The bottom face of the output stacker 46 which defines the shape of the output stacker 46 is cu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up to a predetermined position 46b so that the card can be inserted smoothly.

이와 같은 카드 저장기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데이터 기록부(36)로부터 방출되는 카드는 핀치 롤러(44)와 벨트(42) 사이의 공간으로 이송된다. 핀치 롤러(44)와 벨트(42) 사이에 충분히 삽입되면, 카드는 핀치 롤러(44) 및 벨트(42)와의 마찰력에 의해 출력 스택커(46) 방향으로 이송된다. 이송되는 도중에 카드 이송 경로가 수평 방향에서 경사진 방향으로 변화됨으로 말미암아, 카드는 일시적으로 아래 방향으로 볼록하게 휘어지게 된다. 그렇지만, 벨트(42) 상부면의 경사가 완만하고 카드 자체가 탄성 내지 유연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휘어짐은 카드 저장기의 동작이나 카드의 성능에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아니한다.Such a card storage operates as follows. The card ejected from the data recording unit 36 is transferred to the space between the pinch roller 44 and the belt 42. When fully inserted between the pinch roller 44 and the belt 42, the card is conveyed in the direction of the output stacker 46 by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pinch roller 44 and the belt 42. During the transfer, the card transfer path is changed from the horizontal direction to the inclined direction, so that the card is temporarily convexly curved downward. However, since the inclina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elt 42 is gentle and the card itself is elastic or flexible, this warp has no effect on the operation of the card storage or the performance of the card.

카드의 이송이 계속되면, 카드의 선단부는 출력 스택커(46) 하단의 슬릿에 이르게 된다. 여기서, 카드의 선단부는 직전에 저장된 카드의 하방으로 삽입이 된다. 이때부터 새로이 저장되는 카드는 직전에 저장된 카드와 출력 스택커(46)의 저면부로부터 마찰력을 받게 되지만, 벨트(42) 및 핀치 롤러(44)의 구동력에 의해 직전에 저장된 카드 밑으로 충분히 삽입될 수가 있다. 이때, 카드가 출력 스택커(46) 저면에 완전히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추가적인 이송 롤러가 핀치 롤러(44) 후방에 설치될 수도 있다.If the transfer of the card continues, the leading end of the card reaches the slit at the bottom of the output stacker 46. Here, the leading end of the card is inserted below the card stored immediately before. From this time, the newly stored card is subjected to frictional force from the card stored immediately before and the bottom of the output stacker 46, but is sufficiently inserted under the card stored immediately by the driving force of the belt 42 and the pinch roller 44. There is a number. At this time, an additional feed roller may be installed behind the pinch roller 44 so that the card can be fully inserted into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put stacker 46.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카드 저장기에 있어서는, 새로이 저장되는 카드가 직전에 저장된 카드의 상방에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그 하방에 저장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출력 스택커(46)에 있어서는 이전에 저장된 카드들일수록 상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카드가 중력에 의한 자유 낙하에 의해 축적 저장되는 대신에 비교적 정밀한 이송 경로를 따라 축적이 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카드 저장기에 있어서는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낮아진다.In this manner, in the card sto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ewly stored card is not stored above the immediately stored card but is stored below it. Therefore, in the output stacker 46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viously stored cards are located upward. In this way, since the cards are accumulated along a relatively precise transfer path instead of being accumulated and stored by free fall due to gravity, the possibility of an error in the card sto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wered.

한편,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기록부를 구비한 발권기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전에 기록된 데이터의 오류 여부를 검증하는 카드 리더 형태로 본 발명이 구현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위에서 기술한 기록부 대신에 단순한 카드 독출부가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자기 스트립 카드를 중심으로 설명하였는데, 상기 자기 스트립 카드는 종이식 카드와 플라스틱 카드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자기 스트립 카드에 한정되지 않고, IC 카드를 위시한 여타의 기록 매체의 발권 및 검증에도 활용될 수 있다. 한편, OMR 카드와 같은 다른 종료의 카드를 처리하는 시스템에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with a ticketing machine having a recording unit, but in another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d reader for verifying whether or not the previously recorded data is error, in the above embodiment Instead of the recorder described, a simple card reader may be included. In addition,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magnetic strip card has been described, and the magnetic strip card includes both a paper card and a plastic car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a magnetic strip card, but can be utilized for ticketing and verification of other recording media including an IC card. It is, of course, also applicable to a system for processing cards of other ends, such as OMR card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카드 저장기 및 카드 발권 장치에 따르면 카드가 정밀한 이송 경로를 따라 축적이 되기 때문에, 안정되게 카드를 축적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카드 저장 시에 동작상의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낮아진다. 또한, 본 발명의 카드 저장기 및 카드 발권 장치는 그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제조 원가가 낮다는 장점도 가지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ard storage device and the card ticke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ards are accumulated along a precise transfer path, the cards can be stored and stored stably, and there is a possibility of an operation error during card storage. Lowers. In addition, the card storage device and the card ticke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advantages of low manufacturing cost because of their simple structure.

Claims (5)

소정 경로를 따라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카드를 받아들이고 순차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카드를 축적 저장하기 위한 카드 저장기로서,A card storage device for receiving cards sequentially transferred along a predetermined path and accumulating and storing cards sequentially received. 상기 받아들여진 카드의 경로를 완만하게 상방으로 경사지게 변화시켜 이송하기 위한 제1 이송 및 지지 수단;First conveying and supporting means for smoothly changing and conveying a path of the accepted card upwardly; 상기 제1 이송 및 지지 수단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1 이송 및 지지 수단과 함께 상기 카드를 이송하기 위한 제2 이송 및 지지 수단; 및Second conveying and supporting means disposed above said first conveying and supporting means for conveying said card together with said first conveying and supporting means; And 4개의 측면부 및 저면부를 구비한 박스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이송 및 지지 수단 방향 측면부 하단으로부터 저면부의 일정 지점까지 연장되어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출력 스택커를 포함하며,A box having four side parts and a bottom part, the output stacker extending from a lower end of the first conveying and supporting means direction side part to a predetermined point of the bottom part and having a slit formed therein; 상기 제1 및 제2 이송 및 지지 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카드가 상기 슬릿을 통해 상기 출력 스택커에 투입되어서, 직전에 투입된 카드와 상기 출력 스택커의 저면부 사이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저장기.The card conveyed by the first and second conveying and supporting means can be inserted into the output stacker through the slit, and can be inserted between the immediately inserted card and the bottom portion of the output stacker. Card sav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이송 및 지지 수단은The first transport and support means 제1 및 제2 벨트 풀리와, 상기 제1 및 제2 벨트 풀리 상에 설치되며 그 상부면이 완만하게 경사져 있는 벨트를 포함하며,A first and second belt pulleys and belts installed on the first and second belt pulleys, the upper surfaces of which are gently inclined, 상기 제2 이송 및 지지 수단은 상기 벨트 상부면 상에 설치되는 핀치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저장기.And said second conveying and supporting means comprises a pinch roller mounted on said belt top surface.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카드들을 스택 형태로 저장하기 위한 입력 스택커;An input stacker for storing cards in which data is not recorded in a stack form; 상기 입력 스택커에 저장된 상기 카드들 중 최하단의 것을 수평 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 수단;Transfer means for transporting the lowest one of the cards stored in the input stacker in a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이송 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카드의 데이터 기록부에 대해 소정의 데이터 처리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수단; 및Data processing means for performing a predetermined data processing operation on the data recording portion of the card conveyed by the conveying means; And 상기 데이터 처리 수단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카드를 받아들이고 순차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카드를 축적 저장하기 위한 카드 저장기를 포함하며,A card storage device for receiving cards sequentially transferr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data processing means and storing and storing cards sequentially received; 상기 카드 저장기는The card storage device 상기 받아들여진 카드의 경로를 완만하게 상방으로 경사지게 변화시켜 이송하기 위한 제1 이송 및 지지 수단;First conveying and supporting means for smoothly changing and conveying a path of the accepted card upwardly; 상기 제1 이송 및 지지 수단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1 이송 및 지지 수단과 함께 상기 카드를 이송하기 위한 제2 이송 및 지지 수단; 및Second conveying and supporting means disposed above said first conveying and supporting means for conveying said card together with said first conveying and supporting means; And 4개의 측면부 및 저면부를 구비한 박스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이송 및 지지 수단 방향 측면부 하단으로부터 저면부의 일정 지점까지 연장되어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출력 스택커를 포함하며,A box having four side parts and a bottom part, the output stacker extending from a lower end of the first conveying and supporting means direction side part to a predetermined point of the bottom part and having a slit formed therein; 상기 제1 및 제2 이송 및 지지 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카드가 상기 슬릿을 통해 상기 출력 스택커에 투입되어서, 직전에 투입된 카드와 상기 출력 스택커의 저면부 사이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발권 장치.The card conveyed by the first and second conveying and supporting means can be inserted into the output stacker through the slit, and can be inserted between the immediately inserted card and the bottom portion of the output stacker. Card ticketing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 수단에 의해 수행되는 상기 소정의 데이터 처리 작업은 데이터 저장, 저장된 데이터의 검증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발권 장치.4. The card ticket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predetermined data processing job performed by the data processing means is any one selected from among data storage, verification of stored data, and a combination thereof.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는 종이식 자기 스트립 카드, 플라스틱 자기 스트립 카드 및 IC 카드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발권 장치.The card ticket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 or 4, wherein the card is any one selected from a paper magnetic strip card, a plastic magnetic strip card, and an IC card.
KR1019990026662A 1999-07-02 1999-07-02 Card Stacker and Card Manufactur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3239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6662A KR100323944B1 (en) 1999-07-02 1999-07-02 Card Stacker and Card Manufacturing Apparatus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6662A KR100323944B1 (en) 1999-07-02 1999-07-02 Card Stacker and Card Manufacturing Apparatus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8716A KR20010008716A (en) 2001-02-05
KR100323944B1 true KR100323944B1 (en) 2002-02-16

Family

ID=19599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6662A KR100323944B1 (en) 1999-07-02 1999-07-02 Card Stacker and Card Manufacturing Apparatus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394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2489B1 (en) * 2009-04-21 2012-02-27 주식회사 이고 Document Issue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8716A (en) 2001-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47305B2 (en) Paper processing equipment
CN102831696B (en) Bankbook storage device and automated teller machine
KR100323944B1 (en) Card Stacker and Card Manufactur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4369353B2 (en) Card issuing machine
US4662626A (en) Paper document pocket for receiving and stacking sorted documents
US5046305A (en) Sleever module for disk packaging unit
CN112027774A (en) Card collator
JPH0622694Y2 (en) Storage and feeding device for paper sheets
JPH04223946A (en) Device to feed cut form, etc. automatically
US585766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 speed merging of sheet material onto a transport from the side
JP3663423B2 (en) Card issuing mechanism
JP5337982B2 (en) Card dispenser
JP2841020B2 (en) Card issuing device
KR19990073152A (en) Mail sorter
JP7205182B2 (en) Coin handling equipment and automatic transaction equipment
KR20040100071A (en) Apparatus for sorting card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6439567B1 (en) Card guide and card picker
JP2010049400A (en) Card dispenser
JP4710041B2 (en) Coin separator / conveyor
JPH0641964Y2 (en) Card-like printing / aligning device
JP2001151352A (en) Cassette structure for card and the like delivery device
JPS60183197A (en) Collator with guide
JP3762381B2 (en) Partition paper insertion type card counting and storing device
JPH0111629Y2 (en)
JP3716153B2 (en) Paper sheet sor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