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3748B1 - 씨디엠에이피씨에스/디씨엔(cdmapcs/dcn)에서의지3(g3)팩스데이터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씨디엠에이피씨에스/디씨엔(cdmapcs/dcn)에서의지3(g3)팩스데이터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3748B1
KR100323748B1 KR1019980020854A KR19980020854A KR100323748B1 KR 100323748 B1 KR100323748 B1 KR 100323748B1 KR 1019980020854 A KR1019980020854 A KR 1019980020854A KR 19980020854 A KR19980020854 A KR 19980020854A KR 100323748 B1 KR100323748 B1 KR 100323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x
data
fax data
mobile
data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0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0913A (ko
Inventor
김태원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80020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3748B1/ko
Publication of KR20000000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0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3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37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037Automation of particular transmitter jobs, e.g. multi-address calling, auto-dialing
    • H04N1/32074Redialing, e.g. after failure to make a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037Automation of particular transmitter jobs, e.g. multi-address calling, auto-dialing
    • H04N1/32053Delayed transmission, e.g. to make use of reduced connection r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7Initiating, continuing or ending a single-mode communication; Handshaking therefor
    • H04N1/32704Establishing a communication with one of a facsimile and another telecommunication apparatus sharing a single line
    • H04N1/32706Type of the other apparatus
    • H04N1/32713Data transmission device, e.g.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transceiver

Abstract

CDMA에서의 G3 팩스 데이터 통신 서비스에 있어서, 특히 이동 통신 가입자가 이용할 수 있는 모뎀을 이동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에 설치하고 이동 통신 가입자가 이를 이용함으로써, 공중망 가입자와의 G3 팩스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도록 하는 G3 팩스 데이터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동 단말기를 통한 G3 팩스 데이터 통신을 위한 요청에 따라 이동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가 회선 데이터 처리부의 유휴 자원을 확인하여 팩스 호를 설정하는 단계와, G3 팩스 호의 설정이 완료됨에 따라 상기 요청한 G3 팩스 데이터 통신이 가능함을 알리는 접속 메시지(Pre-Message)를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전달하는 단계와, 접속 메시지가 전달됨에 따라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G3 팩스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와, 송신한 G3 팩스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달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G3 팩스 데이터의 송신이 완료됨에 따라 팩스 호를 해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CDMA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이동 통신 가입자로 하여금 G3 팩스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를 이용한 G3 팩스 데이터 처리 방법을 제공하며, 앞으로 전개될 CDMA 이동 통신망에서 이동 통신 가입자와 공중망 가입자간의 G3 팩스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 CDMA PCS/DCN에서의 G3 팩스 데이터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씨디엠에이 피씨에스/디씨엔(CDMA PCS/DCN)에서의 지3(G3) 팩스 데이터 처리 방법{Method for processing G3 Fax Data in Personal Communication Serivce/Digital Cellular Network using CDMA}
본 발명은 CDMA 개인 이동 통신 서비스(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디지탈 셀룰러망(Digital Cellular Network)에서의 G3 팩스 데이터 통신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통신 가입자가 이용할 수 있는 모뎀을 이동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에 설치하고 이동 통신 가입자가 이를 이용함으로써, 공중망 가입자와의 G3 팩스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도록 하는 G3 팩스 데이터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 통신 서비스 업체들은 무선 환경으로 인한 극히 제한된 통신 서비스를 극복하고, 통신 가입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노력으로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본 발명은 최근 제안되고 있는 팩스 데이터 통신에 대한 보다 발전된 G3 팩스 데이터의 처리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 것이다.
우선, G3(Group 3)는 제3그룹 팩스 통신을 나타내는 것으로, 공중망을 사용하여 디지탈 방식에 의해 A4판 문서를 약 1분에 전송하는 팩스 통신을 말한다. G3는 문서를 주사하여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신호에 중복도 억압을 위한 처리를 가하여 비트수를 1/10 정도로 압축하여 전송하게 된다.
A4판을 표준으로 하여 3.85본/㎜(파인 모드(Fine Mode)는 7.7본/㎜)의 주사선 밀도, 1,728개/215㎜의 주사선 길이당 화소수로 전송하며, 디지탈 신호의 중복도 억압 방식은 MH(Modified Huffman) 및 MR(Modified Read) 방식을 이용한다.
또한, 공중망을 경유함에 따른 호출의 자동 설정의 절차 등은 ITU-T에 표준화되어 있으며, 2400, 4800bps(표준) 및 9600bps(옵션)의 전송 속도를 가진다.
현재 국제간 문서 전송의 대부분은 이 같은 G3 팩스 통신에 의해 실행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팩스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기본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종래의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팩스 데이터 통신 시스템은 PCMCIA(Personal Computer Memory Card International Association ;이하, PCMCIA라 약칭함) 모뎀 카드가 장착된 제1개인용 컴퓨터(1)와, 상기 제1개인용 컴퓨터(1)와 연결되는 이동 단말기(2)와, 이동 단말기(2)와 무선 신호를 주고받는 무선 기지국(3)과, 무선 기지국(3)의 제어를 담당하는 기지 제어국(4)과, 이동 통신 가입자들간에 팩스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접속 처리를 수행하는 이동 통신 교환국(5)과, 공중망을 통해 팩스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G3 팩스 전화기(6) 또는 PCMCIA 모뎀 카드가 장착된 제2개인용 컴퓨터(7)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팩스 데이터 통신 시스템은, 이동 통신 가입자가 PCMCIA 모뎀 카드가 장착된 제1개인용 컴퓨터(1)의 팩스 에뮬레이터(미도시)를 통해 팩스 데이터 통신을 위한 팩스 호(Fax Call)를 시도하게 되면, 상기 제1개인용 컴퓨터(1)와 연결된 이동 단말기(2)는 시도된 팩스 호(Fax Call)에 따른 무선 신호를 무선 기지국(3)에 송출한다.
무선 기지국(3)은 송출된 팩스 데이터 통신을 위한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따라 기지 제어국(4) 및 이동 통신 교환국(5)은 공중망과 연결된 G3 팩스 전화기(6) 또는 제2개인용 컴퓨터(7)와의 데이터 통신로를 설정하게 된다.
이 때, 상기 기지 제어국(4) 및 이동 통신 교환국(5)은 제1개인용 컴퓨터(1)의 팩스 에뮬레이터(미도시)와 PCMCIA 모뎀 카드에게 이동 단말기(2)를 통한 팩스 데이터의 통신로가 설정 완료되었음을 알려주게 된다.
통신로의 설정이 완료되면, 제1개인용 컴퓨터(1)의 팩스 에뮬레이터(미도시)와 PCMCIA 모뎀 카드는 각각 데이터 단말(Data Terminal Equipment ;이하, DTE라 약칭함)과 데이터 회선 종단(Data Circuit-terminating Equipment ;이하, DCE라 약칭함)으로 동작하게 된다.
상기 DTE와 DCE간에는 정확한 팩스 데이터 전송을 위해 에러 검출과 데이터 흐름 제어를 수행해야 하는데, 이와 같은 팩스 데이터 전송을 위한 에러 검출과 데이터 흐름 제어를 통해 제1개인용 컴퓨터(1)는 제2개인용 컴퓨터(7) 또는 G3 팩스 전화기(6)에 팩스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상기 DTE와 DCE간에 정보 교환은 정보 교환 방법에 따라 클래스1(Class 1)과 클래스2(Class 2)로 구분되며, 일반적으로 G3 팩스 전화기(6)는 클래스1(Class 1)의 정보 교환 방법을 사용한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팩스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는 팩스 데이터 통신 서비스는 이동 통신 가입자가 항상 자신의 개인용 컴퓨터에 모뎀을 장착하고 있어야 하거나, 별도의 G3 팩스 전화기를 구비하고 있어야만 팩스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앞으로 전개될 CDMA 이동 통신망에서의 이동 통신 가입자와 공중망 가입자간의 G3 팩스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위한 보다 구체적인 G3 팩스 데이터 처리 방법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기존의 CDMA PCS/DCN 통신 시스템과 연결되는 G3 팩스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위한 이동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에 모뎀을 설치하도록 하며, 이와 같은 이동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를 통해 CDMA 이동 통신망에서의 이동 통신 가입자와 공중망 가입자간의 G3 팩스 데이터 통신을 위한 보다 발전된 G3 팩스 데이터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CDMA PCS/DCN에서의 G3 팩스 데이터 처리 방법의 특징은, 이동 단말기를 통한 G3 팩스 데이터 통신을 위한 요청에 따라 이동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가 회선 데이터 처리부의 유휴 자원을 확인하여 팩스 호를 설정하는 단계와, G3 팩스 호의 설정이 완료됨에 따라 상기 요청한 G3 팩스 데이터 통신이 가능함을 알리는 접속 메시지(Pre-Message)를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전달하는 단계와, 접속 메시지가 전달됨에 따라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G3 팩스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와, 송신한 G3 팩스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달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G3 팩스 데이터의 송신이 완료됨에 따라 팩스 호를 해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G3 팩스 데이터 송신 단계 이전에 이동 단말기와 모뎀간의 지연 시간으로 인한 팩스 호 절단 방지를 위하여, 특정 데이터 패턴을 송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접속 메시지가 전달됨에 따라 상기 G3 팩스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에서, 이동 단말기와 이동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간에 G3 팩스 데이터가 송신 도중에 유실되는 경우에는, 상기 유실된 G3 팩스 데이터의 재전송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요청된 G3 팩스 데이터를 기다리는 동안에 상기 설정된 팩스 호를 계속 유지시키기 위한 임의의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팩스 호를 계속 유지시키기 위한 임의의 데이터는 5초 동안에 2회 또는 3회를 주기적으로 송신된다.
또한, 상기 접속 메시지가 전달됨에 따라 G3 팩스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에서, 이동 단말기와 이동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간에 존재하는 무선 환경의 불량으로 인해 발생된 오류 데이터에 대해 재전송을 실시하는 시간(Retransmission Time Out)을 고정시킴으로써, 계속되는 재전송으로 인한 시간 지연을 감소시키게 되며, 상기 고정된 재전송 시간은 상기 오류 데이터에 대해 3회 이상 재전송이 실시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G3 팩스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에서, 이동 단말기와 이동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간에 송신되는 G3 팩스 데이터에 대한 전송속도가 상기 공중망 전송 상태에 관계없이 초기 속도를 유지시키게 되며, 상기 송신한 G3 팩스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달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에서, 개인용 컴퓨터에 구비된 팩스 전용 에뮬레이터가 송신 G3 팩스 데이터의 끝을 알리는 'EOP'를 송신후, 이동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로부터 G3 팩스 데이터에 대한 송신 완료 확인 메시지를 기다리는 대기 시간을 30초 이상으로 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팩스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기본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G3 팩스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기본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G3 팩스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에서 회선 데이터 처리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G3 팩스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위한 가상 데이터 단말(DTE)과 가상 데이터 회선 종단(DCE)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데이터 단말(DTE)과 가상 데이터 회선 종단(DCE)간에 팩스 호 설정을 위한 제어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데이터 단말(DTE)과 가상 데이터 회선 종단(DCE)간에 팩스 호(Fax Call)의 설정 완료 후 G3 팩스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제어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a)는 G3 팩스 데이터의 각 페이지 전송을 위한 기본적인 제어 과정을 나타낸 도면.
b)는 가상 데이터 단말(DTE)상에서 G3 팩스 데이터가 유실된 경우에 대한 제어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이동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 21 : 이동 데이터 경로 접속부
22 : 공중망 데이터 경로 접속부 24 : 주처리부
25 : 회선 데이터 처리부
이하, 본 발명에 따른 CDMA PCS/DCN에서의 G3 팩스 데이터 처리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에서 사용되는 서비스 옵션(Service Option)에는 SO4,SO5,SO7,SO12,SO13,SO15가 있다. 여기서, SO4와 SO12은 사용되는 데이터가 비동기 데이터임을 나타내고, SO5와 SO13은 사용되는 데이터가 G3 팩스 데이터임을 나타내고, SO7과 SO15는 사용되는 데이터가 일반적인 점대점(Point-to-Point)간 패킷 데이터임을 나타내게 된다.
이와 같은 서비스 옵션 중에서 SO4,SO5,SO7은 전송 속도가 9.6kbps를 제공하는 속도 집합 1(Rate Set 1)에 속하는 것이고, SO12,SO13,SO15은 전송 속도가 14.4kbps를 제공하는 속도 집합 2(Rate Set 2)에 속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G3 팩스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서비스 옵션(Service Option)은 SO5,SO13이며, 이는 해당 팩스 호(Fax Call)가 G3 팩스 데이터를 위한 것임을 각 이동 통신 망요소들에게 알려주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정보 교환을 위한 팩스 모드로 클래스2(Class2) 또는 클래스2.0(Class2.0)을 사용하게 되는데, 클래스2.0(Class2.0)은 팩스 규격서인 IS-592를 근거로 하여 팩스를 제어하는 모드이며, 클래스2(Class2)는 IS-592에 근거하지만 일부 명령어를 팩스 모뎀 제조업체가 수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팩스 모드이다. 덧붙여, 본 발명에서는 이동 통신 가입자측의 G3 팩스 클래스1(Class1)은 제공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G3 팩스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기본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G3 팩스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구성은 이동 통신 가입자가 G3 팩스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팩스 모뎀이 구비된 이동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20)를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따라서, 개인용 컴퓨터(10)에는 이동 단말기(11)를 통하여 팩스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하여 모뎀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G3 팩스 데이터 통신 시스템은 팩스 모뎀을 이동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20)에 설치하여, G3 팩스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원하는 이동 통신가입자에게 제공한다.
제1개인용 컴퓨터(10)와 이동 단말기(11)간에는 RS-232E에 따른 시리얼 입출력 포트(SIO Port)로 연결되며, 이동 단말기(11)와 무선 기지국(12)간에는 기존의 이동 통신의 트래픽 채널 설정 방법을 그대로 사용하게 된다.
이동 통신 가입자가 자신의 제1개인용 컴퓨터(10)의 팩스 전용 에뮬레이터(미도시)를 통해 착신측 공중망 가입자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기 입력된 전화번호가 제1이동 단말기(11)에 전달되어 무선상의 발신 메시지로 변환되어 무선 기지국(12)에 전달된다. 이 때, 제1이동 단말기(11)는 G3 팩스 데이터 통신 서비스에 사용되는 서비스 옵션 SO5 또는 SO13을 사용하게 된다.
상기 발신 메시지가 무선 기지국(12)을 통해 이동 통신 교환국(14)으로 전달되면, 이동 통신 교환국(14)은 상기 발신 메시지가 G3 팩스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요구하는 메시지인가를 확인하게 된다.
이동 통신 교환국(14)은 이동 통신 가입자가 G3 팩스 데이터 통신을 요구한다고 판단되면, 이동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20)와의 팩스 호(Fax Call)를 연결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동 통신 교환국(14)은 이동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20)와의 G3 팩스 데이터 통신을 위한 팩스 호 설정이 완료됨에 따라 상기에서 제1개인용 컴퓨터(10)의 팩스 전용 에뮬레이터(미도시)에 입력된 전화번호로 접속을 시도하게 된다.
이 때, G3 팩스 데이터 통신을 위한 상대방 공중망 가입자와의 접속이 완료되면, 이동 통신 가입자는 제1개인용 컴퓨터(10)의 팩스 전용 에뮬레이터(Emulator)(미도시)를 통해 송신하고자 하는 팩스 내용 파일을 ITU-T T.4에 근거한 스캐닝 코딩 알고리즘(Scaning Coding Algorithm)으로 팩스 앤코딩 파일(Fax Encoding File)을 만든 후, 이동 데이터 경로 및 공중망 데이터 경로를 통해 팩스 엔코딩 파일을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도 2에 따른 G3 팩스 데이터 통신 시스템은 CDMA PCS/DCN에서의 데이터 서비스 규격에 근거하며, 이동 단말기(11,18)에는 G3 팩스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위한 프로토콜 스택과 팩스 호 처리 모듈과 RLP(Radio Link Protocol)가 추가되어야 한다. 또한, 무선 기지국(12,19) 및 기지 제어국(13)에는 기지국(12,19)에 구비된 SVM(Selector & Vocoder Module)의 RLP(Radio Link Protocol)와 보코더(Vocoder)의 팩스 데이터 변경 기능이 추가되어야 한다.
이동 통신 교환국(14)에는 기지국(12,19) 및 기지 제어국(13)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분석하고, 이동 단말기(11,18)에서의 서비스 옵션에 따라 이동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로의 경로 변경이 가능하도록 스위칭 기능을 추가되어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G3 팩스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2를 통해 설명된 이동 통신 교환국이 이동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20)와의 G3 팩스 데이터 통신을 위한 팩스 호 설정을 요구함에 따라, 이동 데이터 경로 접속부(21)는 주처리부(24)에 이를 보고하게 된다.
이에 따라, 주처리부(24)는 G3 팩스 데이터 통신을 위한 하나의 유효 채널을할당한 후 회선 데이터 처리부(25)로부터 유휴 상태인 모뎀이 준비되어 있는가를 확인하는 유휴 자원(Idle Resource) 여부를 확인 절차를 수행한다. 이로써 제1개인용 컴퓨터(미도시)와 이동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20)간의 G3 팩스 데이터 통신을 위한 이동 데이터 경로가 설정된다.
상기 이동 데이터 경로가 설정된 후, 이동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20)의 회선 데이터 처리부(25)와 제1개인용 컴퓨터(미도시)간에는 G3 팩스 데이터 통신을 위한 링크 계층(Link Layer),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네트워크 계층(Nerwork Layer), 응용 인터페이스 계층(Application Interface Layer)으로 이루어지는 통신 프로토콜 스택을 구축해 주어야 한다.
또한, 주처리부(24)는 이동 데이터 경로의 설정 과정에서 회선 데이터 처리부(25)로부터 유휴 자원 여부를 확인 받고 나면, 즉시 공중망 데이터 경로 접속부(22)를 통해 공중망 통신 가입자와의 통신 접속을 시도하게 된다.
공중망 통신 가입자와의 통신 접속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이동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20)의 주처리부(24)는 제1개인용 컴퓨터(미도시)와 회선 데이터 처리부(25)간에 G3 팩스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도 3에서 언급된, 상기 회선 데이터 처리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처리 주제어부(210)와, 응용 인터페이스 제어 모듈(220)과, 제1개인용 컴퓨터(미도시)와의 통신 프로토콜을 구축하기 위한 전송 및 망 계층 프로토콜(230) 및 점대점 프로토콜(Point-to-Point Protocol)(240)과, 앞에서 언급한 G3 팩스 데이터 통신을 위해 구축된 프로토콜 스택의 구성에 따라 G3 팩스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모뎀 제어부(250) 및 모뎀(2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회선 데이터 처리부(200)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주처리부(100)로부터 G3 팩스 데이터 통신을 위한 유휴 자원 할당 요구가 있게 되면, 회선 데이터 처리부(200)는 데이터 처리 주제어부(210) 및 응용 인터페이스 제어 모듈(220)을 통해 모뎀(260)에 대한 유휴 자원 점유 상태를 확인하고, 기 확인된 결과를 주처리부(100)에 보고함으로써, 회선 데이터 처리부(200)의 모뎀(260)은 기본 구성값을 갖고 초기화되며, 결국 이동 데이터 경로와 공중망 데이터 경로를 통해 G3 팩스 데이터 통신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G3 팩스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위한 가상 데이터 단말(DTE)과 가상 데이터 회선 종단(DCE)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5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자면, 도 2를 통해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G3 팩스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기본 구성에서, 상기 데이터 단말(DTE)(500)은 개인용 컴퓨터와 이동 단말기와 무선 기지국과 기지 제어국과 이동 통신 교환국과 이동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에 내장된 모뎀을 제외한 모든 요소를 포함한다.
또한, 가상 데이터 회선 종단(DCE)(600)은 이동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에 내장된 모뎀을 포함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G3 팩스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상기 가상 데이터 단말(DTE)(500)은 개인용 컴퓨터의 팩스 전용 에뮬레이터로부터 송출되는 가입자의 송출 요구 데이터 파일인 팩스 엔코딩 파일이 지연됨에 따른 팩스 호(Fax Call)의 절단을 없애기 위해, 상기 팩스 엔코딩 파일의 전송 지연 시간을 보상해 주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팩스 엔코딩 파일의 전송 지연 시간 동안 상기 가상 데이터 단말(DTE) 측에서는 상기 이동 통신 가입자의 송출 요구 데이터 파일이 아닌 특정 데이터 패턴을 상기 가상 데이터 회선 종단(DCE)의 모뎀에 송출하여, 팩스 호(Fax Call)를 계속 유지시켜 주게 된다.
도 6과 도 7은 도 5의 가상 데이터 단말(DTE)과 가상 데이터 회선 종단(DCE)간에 G3 팩스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위한 제어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이를 설명하기 위해서 G3 팩스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위한 프로토콜 스택에 대해 간단히 언급하면 다음과 같다.
이동 단말기는 응용 인터페이스 계층(Application Interface Layer ; 이하, AI라 약칭함), 전송 제어 프로토콜 계층(Trasmission Control Protocol Layer ; 이하, TCP라 약칭함), 인터넷 프로토콜 계층(Internet Protocol Layer ; 이하, IP라 약칭함), 점대점 프로토콜 계층(Point-to-Point Protocol Layer ; 이하, PPP라 약칭함) 무선 링크 프로토콜 계층(Radio Link Protocol Layer ; 이하, RLP라 약칭함)을 구성하며, 기지국에는 RLP를 구성하며, 이동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는 AI, TCP, IP를 구성하게 된다.
여기서, IS-99에 정의된 RLP는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이동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의 PPP간에 전달되는 프레임을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이동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간에 형성된 인터페이스 구간(Um)에 맞게 변환시켜 주며, 상기 PPP 프레임 전송시 무선 환경에 의한 에러 처리 능력을 높이도록 하였다. 이 RLP는 이동단말기와 기지국간에 설정되는 프로토콜이다.
PPP는 개방형 시스템간 상호 접속(OSI)에서 규정한 7개 계층중 링크층(Link Layer)에 거의 대응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도 3을 통해 설명된 이동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미도시)와 이동 단말기(710)간의 능력에 따라 점대점 통신을 제공하며, HDLC(High level Data Lick Control ; 이하, HDLC라 약칭함) 프레임을 통해 신뢰성있는 G3 팩스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TCP는 개방형 시스템간 상호 접속(OSI)에서 규정한 7개 계층중 전송층(Transport Layer)에 거의 대응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에러 검출을 통한 신뢰성 있는 G3 팩스 데이터 전송과 G3 팩스 데이터의 흐름 제어를 담당한다. 또한, TCP는 무선 환경에서 에러가 많이 발생할 때 과도한 재전송에 의한 시간 지연 및 시스템 효율 저하를 막는 역할을 하게 된다.
IP는 개방형 시스템간 상호 접속(OSI)에서 규정한 7개 계층중 네트워크층(Network Layer)에 거의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데이터 단말(DTE)과 가상 데이터 회선 종단(DCE)간에 팩스 호 설정을 위한 제어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데이터 단말(DTE)과 가상 데이터 회선 종단(DCE)간에 팩스 호(Fax Call)의 설정 완료 후 G3 팩스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제어 과정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6과 도 7을 통해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G3 팩스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위한 모든 제어 과정은 Phase A, Phase B, Phase C, Phase D, Phase E 의 5단계로 정의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일단 개인용 컴퓨터(700)의 팩스 전용 에뮬레이터(미도시)를 통해 전송하고자 하는 파일을 팩스 엔코딩 파일로 만든 후 이동 단말기(710)에 전달되면 이동 단말기(710)는 이를 팩스 호(Fax Call) 요청임을 알게 된다(S1).
이동 단말기(710)는 서비스 옵션 SO5 또는 SO13을 사용하여 무선 기지국에 기 요청된 팩스 호에 대한 발신 메시지를 전송하고(S2), 기 전송된 메시지는 기지 제어국 및 이동 통신 교환국을 경유하면서 이동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의 주처리부(720)에 팩스 호를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로 사용된다.
주처리부(720)가 이동 단말기(710)로부터 팩스 호 요청을 받게 되면, 주처리부는 회선 데이터 처리부(730,740)로부터 G3 팩스 데이터 통신을 위한 유휴 자원을 확인받음으로써 팩스 호 요구를 알리게 된다(S3). 이에 따라 회선 데이터 처리부(730,740)는 G3 팩스 데이터 통신을 위한 회선 데이터 처리 모뎀(740)에 관련된 회선 데이터 처리 테스크(730)를 생성하게 되며, 기 생성된 회선 데이터 처리 테스크(730)는 주처리부(720)의 팩스 호 요구에 따라 초기 구성값이 설정된 회선 데이터 처리 모뎀(740)을 할당받게 된다.
기 생성된 회선 데이터 처리 테스크(730)는 이동 단말기와 PPP 및 TCP/IP 계층간의 프로토콜 협상을 수행하게 된다.
이는 G3 팩스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각 망요소들에 구성되는 프로토콜 스택을 기본으로 한 것으로, 각 프로토콜 계층에 대해서는 앞에서 설명하였다.
회선 데이터 처리 테스크(730)와 이동 단말기간의 PPP, TCP/IP 계층간의 프로토콜 협상이 완료되면, 이동 단말기(710)는 개인용 컴퓨터(700)의 팩스 전용 에뮬레이터(미도시)로부터 전달받은 G3 팩스용 AT 명령어 및 ATDT, 공중망 가입자 번호를 상기 생성된 회선 데이터 처리 테스크(730)에 전송한다(S5). 이에 따라, 상기 회선 데이터 처리 테스크(730)는 상기에서 할당받은 회선 데이터 처리 모뎀(740)에 G3 팩스 데이터 통신을 위한 AT 명령어를 전송함과 동시에(S6), 주처리부(720)에 공중망 가입자의 전화 번호를 전달해 준다(S7).
이로써, 상기 주처리부(720)는 공중망 데이터 경로 접속부측으로 공중망 가입자 번호를 호출하고, 공중망 가입자와의 접속이 이루어지게 되면, 회선 데이터 처리 테스크(730)는 회선 데이터 처리 모뎀(740)으로의 접속 요구를 수행하게 된다.
공중망 데이터 경로를 통해 팩스 호가 설정되면, 주처리부(720)는 공중망 데이터 경로를 통한 팩스 호가 설정되었음을 회선 데이터 처리 테스크(730)에 알려주며, 또한 캐리(Carry) 검출을 위한 요청을 하게 된다(S8). 이에 따라, 회선 데이터 처리 테스크(730)는 회선 데이터 처리 모뎀(740)에 AT 명령어를 전송한다(S9).
상기 과정(S8,S9)에서 회선 데이터 처리부의 회선 데이터 처리 모뎀(740) 및 G3 팩스 전화기(미도시) 또는 공중망 가입자의 개인용 컴퓨터(미도시)의 모뎀으로부터 모뎀 캐리를 검출 확인하고, 회선 데이터 처리 모뎀(740)으로부터 +FCON, +FDIS;OK 를 전달받은 회선 데이터 처리 테스크(730)는 회선 데이터 처리 모뎀(740) 연결 확인 메시지를 주처리부(720)에 전달하게 된다(S10,S11). 또한, 회선 데이터 처리 테스크(730)는 개인용 컴퓨터(700)에도 회선 데이터 처리 모뎀 연결 확인을 알리는 +FCON, +FDIS;OK 를 전달한다(S12).
상기 과정(S1∼S12)을 통해 팩스 호 설정 단계인 Phase 1 이 종료된다.
상기 Phase 1 이 종료되면, 공중망 가입자의 모뎀 성능 등을 확인하는 파라미터를 교환하는 과정(S13,S14)을 거치게 되는데, 먼저 개인용 컴퓨터(700)의 팩스 전용 에뮬레이터가 모든 망요소를 거쳐 회선 데이터 처리 모뎀(740)에 'AT+FDT' 메시지를 전달하고, 이에 대해 상기 회선 데이터 처리 모뎀(740)이 'FDCS;CONNECT' 메시지를 상기 개인용 컴퓨터(700)의 팩스 전용 에뮬레이터에 전달함으로써, 선행 메시지(Pre-Message) 전달 단계인 Phase 2 가 종료된다.
이와 같은, Phase 2 가 종료됨에 따라 G3 팩스 엔코딩 데이터를 전송하는 Phase 3 단계로 들어 간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데이터 단말(DTE)과 가상 데이터 회선 종단(DCE)간에 팩스 호(Fax Call)의 설정 완료 후 G3 팩스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제어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도 7a는 G3 팩스 데이터의 각 페이지 전송을 위한 기본적인 제어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b는 가상 데이터 단말(DTE)상에서 G3 팩스 데이터가 유실된 경우에 대한 제어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Phase 2 단계인 공중망 가입자의 모뎀 성능 등을 확인하는 파라미터를 교환하는 과정(S100,S110)을 거치게 된다.
이 때, 회선 데이터 처리 모뎀(830)은 상대방 가입자 모뎀의 상태를 확인하고, G3 팩스 데이터의 송신을 개시해도 좋다는 XON(Ox11) 문자를 개인용컴퓨터(800)의 팩스 전용 에뮬레이터에 제공한다(S120).
XON 문자를 수신한 팩스 전용 에뮬레이터는 전송하고자 하는 G3 팩스 엔코딩 데이터를 이동 단말기(810)를 통하여 회선 데이터 처리 테스크(820)에 전달하고(S140,S150), 회선 데이터 처리 테스크(820)는 다시 G3 팩스 엔코딩 데이터를 회선 데이터 처리 모뎀(830)에 전달한다(S160).
이 때, 이동 단말기(810)와 회선 데이터 처리 테스크(830)사이에서는 TCP 패킷에 G3 팩스 엔코딩 데이터를 포함시켜서 전달하게 된다.
이와 같이, G3 팩스 엔코딩 데이터를 전달하는 과정에서는 팩스 호가 계속 유지되어야 한다. 그런데 개인용 컴퓨터(800)의 팩스 전용 에뮬레이터에서 제공받은 팩스 엔코딩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회선 데이터 처리 모뎀(830)에 제공하기 위해서는 초기에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게 되며, 이러한 초기의 많은 시간으로 인한 팩스 호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Zero Fill' 처리를 실행한다.
상기 'Zero Fill' 처리는 공중망 가입자의 모뎀(830)이 G3 팩스 엔코딩 데이터로 인식할 수 있을 만큼(5내지 6Byte 정도)의 특정 데이터 패턴을 회선 데이터 처리 테스크(820)에서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것을 말한다(S130).
본 발명에서는 5초당 1∼2회 정도의 주기로 특정 데이터 패턴을 송신하도록 하였다. 상기 'Zero Fill' 처리는 Phase 3 초기에 지연 시간을 보상함과 동시에 "Data Underflow"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회선 데이터 처리 모뎀(830)은 상태에 따라 RTC/CTS 하드웨어 흐름제어를 근거하여 TCP 프레임 패킷의 윈도우 크기를 조절하고, 기 조절된 윈도우 크기를이용하여 상기 개인용 컴퓨터(800)와 회선 데이터 처리 모뎀(830)간의 G3 팩스 데이터 통신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S170,S180,S190).
또한, 회선 데이터 처리 테스크(820)는 상기 RTS/CTS 상태를 확인하고, 이동 단말기(810)로 하여금 TCP 프레임 패킷의 헤더 정보중 이미 설정되어 있는 윈도우 크기를 이용하여 G3 팩스 데이터의 제어를 수행하도록 한다(S200,S210,S220).
이는 회선 데이터 처리 모뎀(830)으로부터 초기 CTS off가 설정된 것을 제외하고 그 이후의 것은 TCP/IP가 설정될 때, 이미 설정된 윈도우 크기로 전송하게 되며(S210), 해당하는 윈도우 크기만큼 이동 단말기(810)는 팩스 에뮬레이터에게 CTS off를 설정하여(S220) 전송하고자 하는 G3 팩스 엔코딩 데이터를 회선 데이터 처리 테스크(820)에 전달한다(S240). 이는 다시 회선 데이터 처리 모뎀(830)에 제공되어 상대방 가입자의 G3 팩스 전화기(미도시) 및 개인용 컴퓨터(미도시)에 전달되게 된다(S250).
그러나, 회선 데이터 처리 모뎀(830)로부터 CTS on이 설정됨을 회선 데이터 처리 테스크(820)가 확인하게 되면, 해당 문자를 이동 단말기(810)로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윈도우 크기를 "0"으로 하여 G3 팩스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TCP 프레임 패킷으로 전송하게 되고(S180), 이동 단말기(810)는 팩스 전용 에뮬레이터측으로 XOFF를 송신하여 G3 팩스 데이터 전송을 일시적으로 중단하게 된다(S190).
그런데, 만약 가상 데이터 단말(DTE)인 이동 단말기(810)와 회선 데이터 처리 테스크(820) 사이에서 전달되던 G3 팩스 데이터가 전달과정 도중에 유실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게 된다.
이 때, TCP/IP에 의해 유실된 데이터는 보상받을 수 있지만, 회선 데이터 처리부의 팩스 모뎀(830)은 시간에 민감하므로 특정 시간동안 G3 팩스 데이터의 전송이 없으면, 팩스 호를 해제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에 따른 G3 팩스 데이터 처리 방법에서는 상기와 같이 이동 단말기(810)와 회선 데이터 처리 모뎀사이에서 G3 팩스 데이터가 유실되는 경우에 팩스 호가 해제되는 것을 지연시키기 위해, 유실된 데이터에 대한 재전송 요청 과정(S380)과 기 요청된 데이터가 재전송 되는 과정(S420) 동안에, 회선 데이터 처리 테스크(820)로부터 'Zero Fill' 처리를 수행하여 특정 데이터 패턴을 유실된 데이터만큼 회선 데이터 처리 모뎀(830)에 주기적으로 전송하도록 하였다.
이로써, G3 팩스 데이터를 모두 전송되었음을 알리는 'End Of Page' 가 회선 데이터 처리 모뎀(830)에 전달될 때까지 계속 팩스 호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요소 이외에도 효율적인 G3 팩스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한 또다른 측면은 이하에서 기술한다.
앞에서 언급된 RLP는 이동 단말기와 무선 기지국의 SVM(Selector & Vocoder Module)간에 설정된 프로토콜로써, RLP 프레임은 무선 환경의 트래픽 채널로만 보내지며, 'NAK(Negative Acknowledge)'을 수신하는 경우에 대해서만 G3 팩스 데이터에 대한 재전송을 하게 된다.
만약, 무선 구간을 통해 전송되던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함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가 'NAK'를 수신하여 PPP 프레임의 재전송을 수행하는 경우에, 정상적으로 상기 PPP 프레임을 전송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32byte의 각 프레임당 20ms가 되므로 다시 요구되는 PPP 프레임을 전송하기 까지는 60ms의 시간이 걸리게 되어 재전송에 따른 40ms의 시간 지연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재전송 동작에 계속되면 RTO(Retransmission Time Out)값을 계속 늘리게 되어 G3 팩스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많은 시간 지연이 생기게 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3회 이상 재전송 동작을 실시하지 않도록 상기 RTO 값을 고정하였다.
팩스 엔코딩 데이터 전송 도중, 공중망 상태에 따라 가상 데이터 회선 종단(DCE)으로부터 착신측으로의 전송속도가 떨어지게 되면, 그에 따라 개인용 컴퓨터의 팩스 전용 에뮬레이터는 이동 단말기로의 팩스 데이터 전송속도를 다운시키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팩스 전용 에뮬레이터의 파라미터를 가공하여 G3 팩스 데이터의 전송속도를 통신 채널 설정시의 값(보통 9600bps)으로 고정함으로써, 공중망 전송속도가 떨어지더라도 도 5에서의 가상 데이터 단말(DTE) 구간에서 만큼은 상기 고정된 전송속도(9600bps)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여, RLP 구간에서의 전송속도 반전에 대한 보상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세 번째 제안은, 개인용 컴퓨터의 팩스 전용 에뮬레이터가 이동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에 EOP(End Of Page)를 전송하게 되면, 이동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는 'OK' 응답을 보내게 된다. 여기서, EOP 전송후 'OK' 응답을 기다리는 시간은 유선의 경우 약 5초 정도가 되는데 상기 5초 안에 'OK' 응답이 오지 않으면, 상기 에뮬레이터에서는 세션 터미네이션(Session Termination)을 위한 명령을 전송하여 팩스 호를 해제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EOP 전송후 'OK' 응답을 기다리는 시간을 최소 30초이상으로 하여 EOP 전송후 시간 지연에 의해 'OK' 응답이 늦어짐에 따른 팩스 호가 해제되는 것을 보안하고자 하였다. 여기서 상기 대기 시간은 실험에 의해 100초 정도로 도출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G3 팩스 데이터 처리 방법에 따르면, CDMA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이동 통신 가입자로 하여금 G3 팩스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를 이용한 G3 팩스 데이터 처리 방법을 제공하였으며, G3 팩스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데이터가 유실되는 경우에도 G3 팩스 데이터 통신을 위한 팩스 호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앞으로 전개될 CDMA 이동 통신망에서 이동 통신 가입가와 공중망 가입자간의 G3 팩스 데이터 통신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Claims (6)

  1. 이동 단말기를 통한 G3 팩스 데이터 통신 요청에 따라 이동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가 회선 데이터 처리부의 유휴 자원을 확인하여 팩스 호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G3 팩스 호의 설정이 완료됨에 따라 상기 요청한 G3 팩스 데이터 통신이 가능함을 알리는 접속 메시지(Pre-Message)를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접속 메시지가 전달되면 특정 데이터 패턴을 데이터 회선 종단(DCE)에 게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단말기와 상기 이동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간에 G3 팩스 데이터가 송신도중 유실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유실된 G3 팩스 데이터의 재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G3 팩스를 기다리는 동안 상기 특정데이터 패턴을 주기적으로 데이터 회선 종단에게 송신하여 팩스 호를 계속 유지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G3 팩스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한 G3 팩스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달되었는지 확인하여 성공적인 경우에 패스 호를 해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PCS/DCN에서의 G3 팩스 데이터 처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G3 팩스 데이터 유실시 팩스 호를 계속 유지시키기위한 특정 데이터 패턴을 5초 동안에 2회 또는 3회 주기적으로 상기 데이터 회선 동단(DCE)에게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PCS/DCN에서의 G3 팩스 처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G3 팩스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이동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간에 존재하는 무선 환경의 불량으로 인해 발생된 오류 데이터에 대해 재전송을 실시하는 시간(Retransmission Time Out)을 고정시킴으로써, 계속되는 재전송으로 인한 시간 지연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PCS/DCN에서의 G3 팩스 데이터 처리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G3 팩스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이동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간에 송신되는 상기 G3 팩스 데이터에 대한 전송속도가 상기 공중망 전송 상태에 관계없이 초기 속도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PCS/DCN에서의 G3 팩스 데이터 처리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한 G3 팩스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달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에 연결되는 RODLSYDD 컴퓨터의 팩스 전용 에뮬레이터가 송신 G3 팩스 데이터의 끝을 알리는 'EOP'를 송신후, 상기 디동 데이터 통신 제어 장치로부터 G3 팩스 데이터에 대한 송신 완료 확인 메시지를 기다리는 대기 시간을 30초를 이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PCS/DCN에서의 G3 팩스 데이터 처리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G3 팩스 데이터 송신에 있어, 이를 위한 상기 이동 단말기에 연결되는 개인용 컴퓨터와 상기 회선 데이터 처리부내에 구비되는 회선 데이터 처리 테스크간의 G3 팩스 데이터 전송 흐름 제어에는, 상기 회선 데이터 처리부내에 구비되는 회선 데이터 처리 모뎀의 제어 메시지 'CTS set' 또는 'CTS set clear'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PCS/DCN에서의 G3 팩스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9980020854A 1998-06-05 1998-06-05 씨디엠에이피씨에스/디씨엔(cdmapcs/dcn)에서의지3(g3)팩스데이터처리방법 KR100323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0854A KR100323748B1 (ko) 1998-06-05 1998-06-05 씨디엠에이피씨에스/디씨엔(cdmapcs/dcn)에서의지3(g3)팩스데이터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0854A KR100323748B1 (ko) 1998-06-05 1998-06-05 씨디엠에이피씨에스/디씨엔(cdmapcs/dcn)에서의지3(g3)팩스데이터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913A KR20000000913A (ko) 2000-01-15
KR100323748B1 true KR100323748B1 (ko) 2002-04-17

Family

ID=19538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0854A KR100323748B1 (ko) 1998-06-05 1998-06-05 씨디엠에이피씨에스/디씨엔(cdmapcs/dcn)에서의지3(g3)팩스데이터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37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8381B1 (ko) * 1998-10-17 2006-06-16 서창전기통신 주식회사 디지털무선전화기를이용한데이터송수신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8921A (ko) * 1997-11-07 1999-06-05 서정욱 디지털이동통신망에서무선데이터통신연동장치의팩스착신호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8921A (ko) * 1997-11-07 1999-06-05 서정욱 디지털이동통신망에서무선데이터통신연동장치의팩스착신호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913A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29032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the transmission of data with different QoS attributes
US6571109B1 (en) Wireless local loop system enabling FAX service and method of performing FAX data service
US5369501A (en) Facsimile transmission in an RF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US7623508B2 (en) Bandwidth on demand for media services at stationary equipment unit
JP4298765B2 (ja) アナログファックス装置のためのデジタルネットワークインターフェイス
US20110019675A1 (en) Method and core network node for establishing a connection through a core network
KR100187823B1 (ko) Cdma 이동데이타통신 제어시스템
JPH10510687A (ja) データ伝送方法
US6160639A (en) Method and system for negotiating transmitting and receiving modes for transmitting facsimile data via a medium having a variable data transmission time
JP3907945B2 (ja) ゲートウェイ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通信システム
WO200102089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difying facsimile data transfer rates
US20010027104A1 (en) Method for data connections in a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100323748B1 (ko) 씨디엠에이피씨에스/디씨엔(cdmapcs/dcn)에서의지3(g3)팩스데이터처리방법
JP3099968B2 (ja) ローカル情報送信ループとして、電気通信システムに接続している電気通信サブシステムの電気通信チャンネルの変化、特にisdnシステムに接続している、dect専用rll/wllサブシステムの電気通信チャンネルの変化を制御する方法
JP3278169B2 (ja) ハイブリッド電気通信システム、特に「isdn←→dect専用rll/wll」システムで、異なるチャンネル容量を持つ電気通信チャンネルを割り当てるための方法
US612494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an originating facsimile machine from going on-hook prior to call completion due to setup delays
US20020126317A1 (en) Facsimile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KR20030011322A (ko) 아날로그 팩스 장치용 디지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KR100287803B1 (ko) 디지털이동통신망에서무선데이터통신연동장치의팩스착신호제어방법
KR19980025600A (ko) 웹(Web)기술을 이용한 기술적 여론 관리 장치에서 서비스 품질에 따른 데이터 처리 방법
JP3351161B2 (ja) 静止画伝送装置および通信方法
KR100287802B1 (ko) 디지털이동통신망에서무선데이터통신연동장치의팩스발신호제어방법
JPS59117357A (ja) デ−タ伝送装置
Recommendation Network-independent basic transport service for the telematic services
WO2000021276A1 (en) Data transfer within a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