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3706B1 - 신호 대 잡음비를 이용한 적응형 복호기 - Google Patents

신호 대 잡음비를 이용한 적응형 복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3706B1
KR100323706B1 KR1019990067352A KR19990067352A KR100323706B1 KR 100323706 B1 KR100323706 B1 KR 100323706B1 KR 1019990067352 A KR1019990067352 A KR 1019990067352A KR 19990067352 A KR19990067352 A KR 19990067352A KR 100323706 B1 KR100323706 B1 KR 100323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decoder
unit
ber
sn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7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9821A (ko
Inventor
이원철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67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3706B1/ko
Publication of KR20010059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9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3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37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5/03012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operating in the time domain
    • H04L25/03019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operating in the time domain adaptive, i.e. capable of adjustment during data recep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03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i.e. code words containing more digits than the source words
    • H03M13/05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i.e. code words containing more digits than the source words using block codes, i.e. a predetermined number of check bits joined to a predetermined number of information bits
    • H03M13/11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i.e. code words containing more digits than the source words using block codes, i.e. a predetermined number of check bits joined to a predetermined number of information bits using multiple parity bits
    • H03M13/1102Codes on graphs and decoding on graphs, e.g. low-density parity check [LDPC] codes
    • H03M13/1105Decoding
    • H03M13/1111Soft-decision decoding, e.g. by means of message passing or belief propagation algorith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5/03178Arrangements involving sequence estimation techniques
    • H04L25/03248Arrangements for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other apparatus
    • H04L25/03286Arrangements for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other apparatus with channel-decoding circui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1/00Algorithms used for the adjustment of time-domain equalizers
    • H04L2201/06Algorithms used for the adjustment of time-domain equalizers using the output of a maximum likelihood decoder (Viterbi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등화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의 신호 대 잡음비(SNR)의 값에 따라 최대 비트 에러 카운트(MBEC)의 값을 적응적으로(adaptive) 변화시켜 수신되는 데이터가 높은 SNR을 가지더라도 쉽게 대처 할 수 있는 적응형 복호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등화기에서 출력된 데이터를 다수의 비트로 연판정 하는 연판정 디매퍼부와, 상기 연판정 디매퍼부에서 출력된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복호화 데이터를 출력하고 동시에 BER을 계산하는 복호부와, 상기 복호부에서 계산된 BER을 피드백(feedback)으로 입력하여 상기 복호부에 동기를 맞추는 중계기로 사용하는 판정 로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복호기에서의 출력데이터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신호 대 잡음비를 이용한 적응형 복호기{Adaptitve decoder using signal-to-noise ratio}
본 발명은 디지털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등화기(equalizer)에서 계산된 신호 대 잡음비(Signal-to-Noise Ratio : SNR)를 이용하여 복호화를 행하는 적응형 복호기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통신은 전송하려는 디지털 데이터를 소정의 전송방식에 따라 변조하여 채널을 통하여 송신하고, 송신단에서 실시한 변조방법의 역과정을 이용하여 외부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복조하여 본래의 데이터를 추출하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이 때, 전송하려는 채널에서 발생된 잡음이나, 기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하여 데이터가 왜곡되어 수신단에 수신 될 수 있으며, 이렇게 왜곡되어 수신된 데이터가 수신단에서 복조되면, 송신단에서 송신되었던 원래의 데이터가 올바르게 추출되지 않고, 때로 전혀 다른 데이터로 복조될 수 있다.
즉, 송신단이 1 또는 0 의 데이터 스트림을 소정의 채널을 통해 송신하면,수신단은 채널의 잡음에 따른 송신된 데이터의 변형여부를 판단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디지털 통신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판단방법은 송신단에서 송신된 데이터의 비트값을 일정한 임계치(threshold value)를 기준으로 결정하는 경판정(hard decision)방법과, 송신단에서 전송된 데이터의 비트값을 0 과 1 에 근접한 정도를 여러 비트로 나타내는 연판정(soft decision)방법이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경판정과 연판정을 도시한 실시예로서, 제 2 레벨로 판단하는 경판정 방법과, 수신된 신호와 임계치와의 거리차이를 제 8 레벨로 표현하는 3 비트 연판정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송신단에서 전송하려는 데이터의 비트값이 1 또는 0 의 값을 가지는 경우를 실시예로 하여 경판정과 연판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비트값이 1 인 데이터는 +1 로 송신되고 비트값이 0 인 데이터는 -1 로 송신되며 채널이 가우시안(Gaussian) 채널이라 가정한다.
그러면, 수신단에서 수신된 신호 Z(T)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분포를 가지게 된다.
도 1에서 p(z|s1)은 송신단에서 s1, 즉 +1 을 송신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고, p(z|s2)는 송신단에서 s2, 즉 -1 을 송신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수신단이 경판정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를 보면 처음 송신단에서 송신된 신호를 판단하는 임계값을 두 신호의 평균값, 즉 0 으로 정의한다.
따라서, 경판정 방법에 의해 신호를 판단하는 수신단은 수신된 신호 z(T)가 0 보다 크면 송신단에서 송신된 신호를 +1 로 판단하고, 수신된 신호 z(T)가 0 보다 작으면 송신단에서 송신된 신호를 -1 로 판단한다.
그리고 연판정 방법에 의해 신호를 판단하는 수신단은 수신된 신호와 임계값의 대소관계로 판정하는 것이 아니라 수신신호의 평균값과 임계값의 차이를 양자화(quantization)하여 수신신호와 +1 또는, -1 과의 근접정도를 세분화하여 표현한다. 그래서, 그 근접정도에 따라 원래의 신호를 판단하는 것이다.
상술한 연판정 방법은 가우시안(Gaussian) 채널의 경우, 경판정 방법에 비하여 신호 대 잡음비(Signal-to-Noise Ratio : SNR) 측면에서 대략 2 데시벨(dB) 정도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디지털 통신 수신단은 송신단의 신호를 판정하는 방법으로 경판정보다는 연판정 방법을 주로 사용하며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부분은 주로 수신단의 디매퍼(demapper)에서 수행한다.
또한, 디지털 데이터를 채널을 통해 전송할 경우 발생하는 오류를 정정하기 위하여 주로 사용하는 방법중의 하나로 채널부호화(channel coding) 방법이 있다.
이러한 채널부호화 방법은 블록코드(block code)와 콘볼루션 코드(convolution code) 등의 2 가지 코드를 이용하는데, 이 중 콘볼루션 코드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콘볼루션 코드는 기본 코드 비율(mother code rate)이 1/2인 코드레이트를 갖는다.
일반적인 (n, k) 코드의 콘볼루션 부호기(convolution encoder)는 m 개의 메모리와 k 개의 입력부, 그리고 n 개의 출력부를 갖는 선형적인 시퀀설 회로(linear sequential circuit)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n = 2 이고, k = 1 인 (2, 1)로 비율이 1/2 콘볼루션 코드가 사용된다.
도 2 는 콘볼루션 코드에서 m = 3 인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를 보면 상기 m은 구속장(constraint length)을 나타내며 이는 한 개의 입력 비트가 영향을 미치는 출력 시퀀스의 길이로서, 이러한 코드의 출력은 현재의 출력 U1, U2, 그리고 현재의 입력 m과, 과거의 m 개 입력에 의해 결정되며 위쪽 가지(upper branch)(2)의 다항식은 g1(x) = 1 + x 으로, 아래쪽 가지(lower brance)(1)의 다항식은 g2(x) = 1 +으로 대응하여 부호화 된다.
이러한 기본 코드비율인 1/2의 부호화기는 입력되는 데이터 양만큼의 패리티(parity)가 붙어서 최종적으로 2 배의 데이터가 생성되어 전달되기 때문에 오류정정 능력(error correction capability)은 우수하지만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비율 측면에서는 좋지 못한 단점을 가진다.
그러기에 정정능력은 기본 코드 비율인 1/2보다는 떨어지더라도 더 많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다른 코드 비율을 사용하기도 하는데, 주로 2/3, 3/4, 5/6, 7/8 등의 코드 비율이 사용된다.
도 3 은 일반적인 복호기(decoder)의 블록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을 보면 등화기(미도시)에서 출력된 데이터를 다수의 비트로 연판정 하는 연판정 디매퍼부(10)와, 상기 연판정 디매퍼부(10)에서 출력된 데이터에더미(dummy) 데이터를 삽입하여 기본 코드 비율이 1/2가 되게 상기 출력 데이터를 변형하는 디펑처 모듈부(21)와, 상기 디펑처 모듈부(21)에서 비율이 1/2로 변형된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비터비 복호기(22)와, 상기 비터비 복호기(22)에서 복호화된 데이터의 BER(Bit Error Count)을 계산하기 위해 해당되는 콘볼루션얼 코드로 부호화하는 콘볼루션 부호기(23)와, 상기 콘볼루션 부호기(23)에서 부호화된 출력과 디펑처 모듈부(21)에서 디펑처링된 출력을 비교하는 비교기(25)와, 상기 비교기(25)에서의 두 출력값을 비교하기 위해 상기 디펑처 모듈부(21)에서 디펑처링된 데이터를 지연시키는 데이터 지연부(24)와, 상기 비교기(25)에서 비교한 데이터 중 에러 비트의 개수를 카운트하여 BER을 계산하는 비트 에러 카운터부(27)와, 상기 비트 에러 카운터부(27)에서 카운트하는 데이터의 길이를 결정하는 데이터 비트 카운터부(26)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복호기의 동작을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등화기(미도시)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는 디매퍼(demapper)에서 연판정(soft decision)이 행해져서 복호부(20)로 입력된다.
그러면 복호부(20)에서는 우선 코드비율에 따라서 디펑처 모듈부(depuncture module)(21)에서 디펑처링(depuncturing)을 행하여 기본 코드 비율이 1/2인 데이터로 변환시킨다.
이후 이 변환된 데이터는 비율이 1/2인 비터비 복호기(22)에 입력되어 복호화된다.
그리고 수신되는 데이터의 BER(Bit Error Rate)를 계산하기 위하여 송신단에서 행한 콘볼루션얼 부호를 다시 콘볼루션 부호기(23)를 통해 부호화하고, 상기 부호화한 데이터와 상기 디펑처링 모듈부(21)에서 출력된 부호화되기 전의 데이터를 서로 비교하여 BER을 계산한다.
이때 사용된 코드 비율은 앞에서 언급하였듯이 여러 가지가 사용이 될 수 있는데 수신단에서의 복호화는 비트 단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처음에 복호화를 시작하는 데이터의 동기가 제대로 맞지 않으면 그 복호화된 데이터는 많은 에러가 발생된다.
그리고 상기 계산된 BER의 값이 크면 다시 복호부(20)의 디펑처 모듈부(depuncture module)(21)에서부터 다시 시작하여 동기를 맞추어 복호화하여야 한다.
도 4 는 코드 비율이 1/2일 경우의 최대 비트 에러 카운트(count)의 설정에 따른 최저 동기와 최고 동기의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로서, 도 4 와 같이 최저 동기와 최고 동기의 곡선이 서로 다른 각도로 나타나게 되며, 또한 사용한 코드 비율에 따라서도 다른 각도로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도 4 에 직선으로 표시한 MBEC와 같이 최대 비트 에러 카운트의 값이 최저 동기와 최고 동기의 곡선 사이에 오도록 최대 비트 에러 카운트(MBEC) 값을 올바르게 선정하여 주어야 한다.
만약 이 MBEC 값이 최저 동기와 최고 동기 밖의 값으로 선정되면 복호화기의 출력 데이터는 복호화를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여 많은 오류가 발생 할 것이다.
도 5 는 코드 비율이 5/6인 경우의 SNR에 따른 최저 입력과 최고 동기의 그래프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에는 도 5에서 보듯이 에러 비율을 어느 하나의 값으로 고정시켜 놓으면 최저 동기와 최고 동기 사이의 범위를 항상 만족시킬 수가 없게 된다.
따라서, 이런 경우에는 높은 SNR일 경우의 최저 동기와 최고 동기의 곡선사이의 값(예를 들면 0.06)을 임의로 선택한다.
그러나 이상에서 설명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적응형 복호기의 연판정 방법은 수신되는 데이터가 높은 신호 대 잡음비(SNR)를 가질 경우에 MBEC 값이 최저 동기와 최고 동기의 범위에서 벗어나기 때문에 많은 오류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등화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의 SNR의 값에 따라 MBEC의 값을 적응적으로(adaptive) 변화시켜 수신되는 데이터가 높은 SNR을 가지더라도 쉽게 대처 할 수 있는 적응형 복호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경판정과 연판정을 도시한 실시예
도 2 는 일반적인 콘볼루션 부호기를 나타낸 구성도
도 3 은 일반적인 복호기(decoder)의 블록도
도 4 는 일반적인 코드 비율이 1/2인 경우에 최대 비트 에러 카운트(count), 최저 동기, 그리고 최고 동기의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
도 5 는 일반적인 코드 비율이 5/6인 경우의 최저 동기와 최고 동기의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적응형 복호기를 나타낸 블록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판단 로직부를 나타낸 블록도
도 8 은 일반적인 펑처링 패턴의 실시예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연판정 디매퍼부 200 : 복호부
210 : 디펑처 모듈부 220 : 비터비 복호기
230 : 콘볼루션 복호기 240 : 데이터 지연부
250 : 비교기 260 : 데이터 비트 카운트
270 : 비트 에러 카운트 300 : 판정 로직부
310 : SNR 중계기 320 : BER 모니터
330 : 최대 데이터 비트 카운트(MDBC)
340 : 최대 비트 에러 카운트(MBEC)
400 : 내부 부호기 410 : 콘볼루션 부호기
420 : 펑처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신호 대 잡음비를 이용한 적응형 복호기의 특징은 등화기에서 출력된 데이터를 다수의 비트로 연판정 하는 연판정 디매퍼부와, 상기 연판정 디매퍼부에서 출력된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복호화 데이터를 출력하고 동시에 BER을 계산하는 복호부와, 상기 복호부에서 계산된 BER을 피드백(feedback)으로 입력하여 상기 복호부에 동기를 맞추는 중계기로 사용하는 판정 로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작용은 채널이 여러 가지 요건, 즉 다중경로 페이딩(fading) 이나 간섭(interference) 또는 도플러(doppler) 등에 의한 효과 등에 의해 수신기로 입력되는 데이터의 SNR을 이용하여 MBEC의 값을 적응적으로 설정함으로써, 복호기에서 소정의 동기범위사이에 에러 비율이 위치하여 외부 환경에 의한 영향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신호 대 잡음비(SNR)를 이용한 적응형 복호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적응형 복호기의 블록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을 보면 등화기(미도시)에서 출력된 데이터를 다수의 비트로 연판정 하는 연판정 디매퍼부(100)와, 상기 연판정 디매퍼부(100)에서 출력된 데이터에 더미(dummy) 데이터를 삽입하여 기본 코드 비율이 1/2가 되게 상기 출력 데이터를 변형하는 디펑처 모듈부(210)와, 상기 디펑처 모듈부(210)에서 비율이 1/2로 변형된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비터비 복호기(220)와, 상기 비터비 복호기(220)에서 복호화된 데이터의 BER(Bit Error Count)를 계산하기 위해 해당되는 콘볼루션얼 코드로 부호화하는 콘볼루션 부호기(230)와, 상기 콘볼루션 부호기(230)에서 부호화된 출력과 디펑처 모듈부(210)에서 디펑처링된 출력을 비교하는 비교기(250)와, 상기 비교기(250)에서의 두 출력값을 비교하기 위해 디펑처 모듈부에서 디펑처링된 데이터를 지연시키는 데이터 지연부(240)와, 상기 비교기(250)에서 비교한 데이터 중 에러 비트의 개수를 카운트하여 BER을 계산하는 비트 에러 카운터부(270)와, 상기 비트 에러 카운터부(270)에서 카운트하는 데이터의 길이를 결정하는 데이터 비트 카운터부(260)와, 상기 비트 에러 카운터부(270)에서 계산된 BER을 입력으로 상기 디펑처 모듈부(210)의 동기를 맞추는 중계기로 사용되는 판정 로직부(30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적응형 복호기의 동작을 보면 다음과 같다.
등화기(미도시)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는 우선 연판정 디매퍼부(soft decision demapper)(100)에서 3 비트나 4 비트로 연판정이 이루어져 다음에 이어지는 디펑처 모듈부(depuncture module)(210)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디펑처 모듈부(depuncture module)(210)에서는 입력되는 데이터에 더미(dummy) 데이터를 삽입(insertion)하여 기본 코드 비율이 1/2가 되게 데이터를 변형하여 다음 단에 이어지는 비율 1/2 비터비 복호기(220)로 데이터를 전달한다.
이때 상기 디펑처 모듈부(depuncture module)(210)에서의 데이터 삽입이 도 8 에 나타난 과정의 역으로 데이터를 삽입하여야 하는데, 이때 만약 한 비트라도 어긋나서 비트의 삽입이 이루어지면, 최종적인 BER은 상당히 큰 값의 오차가 생기게 된다.
따라서 이 디펑처 모듈부(depuncture module)(210)에서 시작점의 비트를 맞추는 동기 파트(part)가 우선 제대로 이루어져야 다음 단에 이어지는 코드 비율이 1/2인 비터비 복호기(220)의 동작도 제대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비율이 1/2인 비터비 복호기(220) 다음 단에 이어지는 블록은 앞에서 설명하였듯이 복호화된 데이터의 BER을 계산하기 위한 콘볼루션얼 부호기(230)에서 부호화된 데이터와 디펑처 모듈부(210)에서 디펑처링된 데이터를 비교하기 위한 비교기(250), 그리고 디펑처링(depuncturing)된 데이터의 복호화 지연만큼 데이터를 지연시키는 데이터 지연부(240)를 통해 BER이 계산된다.
여기서 계산된 BER 값은 다시 판정 로직부(300)에 피드백(feedback)되어 상기 디펑처 모듈부(depuncure module)(300)의 동기를 맞추는 매개 변수(parameter)로 사용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계산된 BER의 모니터링(monitoring)으로 디펑처 모듈부(depuncture module)(210)의 동기를 올바르게 조정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판정 로직부(300)에서는 비트 에러 카운터부(260)로부터의 BER 과, 등화기로부터의 SNR 값, 그리고 전송단에서 사용한 코드 비율의 값을 입력으로 사용된다.
그러면 복호부(200)는 등화기(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SNR의 값에 따라 MBEC의 값을 설정하여 비율이 1/2인 복호화를 수행한다.
이러한 과정은 단 한번의 설정으로 끝이 나는 것이 아니라 계속 입력되는 SNR의 값을 모니터링하여 수시로 MBEC의 값을 계속 갱신(up-date)하며 채널에 의해 생기는 왜곡을 최종적으로 복호부(200)에서 보상한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수신기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도 7 은 도 6의 판정 로직부의 기능을 좀더 자세히 나타내고 있다.
도 7을 보면 등화기(미도시)에서 출력되는 SNR와 코드 비율을 입력으로 MBEC 값을 설정하는 SNR 중계기(310)와, 상기 복호부(20)에서 계산되어 피드백된 BER과 상기 SNR 중계기(310)에서 설정된 MBEC 값을 입력으로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상기 복호부(20)로 동기신호를 출력하는 BER 모니터부(320)와, 상기 BER 계산을 위해 최대로 카운트할 데이터의 값이 설정되어 상기 SNR 중계기(310)를 제어하는 최대 데이터 비트 카운터부(330)와, 상기 SNR 중계기에서 설정된 MBEC 값을 유지하는 최대 비트 에러 카운터부(340)로 구성된다.
우선 BER을 계산하기 위해 최대로 카운트할 최대 데이터 비트 카운트(Max Data Bit Count : MDBC)값을 처음에 설정을 한다.
그리고 입력되는 SNR의 값과 코드 비율에 따라 적절한 MBEC의 값을 SNR 중계기(translator)에서 설정한다.
이때 MDBC(Max Data Bit Count)와 MBEC(Max Bit Error Count)의 값과 에러 비율의 관계는 이하 수학식 1로 정해진다.
따라서 입력되는 SNR의 값에 따라 도 4,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저 동기와 최고 동기의 범위에 에러 비율의 값이 오도록 MBEC의 값을 설정함으로써, 비율이 1/2인 복호기가 계속 동기 상태를 유지하면서 복호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더불어 BER 모니터부(320)에서는 최종적으로 디코딩된 데이터의 지속적인 BER 모니터링을 수행하여 디펑처 모듈부(depuncture module)의 디펑처링(depuncturing)이 제대로 이루어지게 한다.
이와 같이 채널 상에서 발생되는 여러 가지 영향인 다중경로 페이딩(fading) 이나, 간섭(interference) 또는 도플러(doppler) 등에 의한 효과 등으로 생길 수 있는 오류를 정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채널 복호부는 등화기(미도시)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SNR 값을 이용하여, 복호화시 설정해 주어야 하는 MBEC의 값을 어느 한 값으로 항상 고정시켜서 복호화하는 것이 아니라 SNR의 값에 따라서 적응할 수 있게 설정함으로써, 급변하는 채널(이동수신채널이나, 실내수신채널)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따라서, SNR의 값이 클 경우에는 MBEC의 값을 작은 값으로 설정하여 복호기에서의 MBEC의 값이 최저 동기와 최고 동기의 범위에 오게 하며, SNR이 작을 경우에는 큰 MBEC의 값을 설정하여 마찬가지로 복호기에서 그 값이 최저 동기와 최고 동기의 범위에 오도록 한다.
더구나 이러한 방법은 사용된 복호기의 코드 비율이 점점 증가할 경우에, 어느 하나의 일정한 값으로 MBEC의 값을 설정하면 SNR에 따른 최저 동기와 최고 동기의 범위를 만족시키기가 더욱 어려워지기 때문에 본 발명을 이용하면 복호기의 코드 비율 값이 증가하더라도 복호기가 적응적으로 MBEC 값이 설정되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복호기에서의 출력데이터의 성능이 향상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의 수신기에서 적용되는 기술로서,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QPSK(Quadrature phaseshift keying) 방식의 위성수신기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신호 대 잡음비를 이용한 적응형 복호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복호기의 코드 비율 값이 증가하더라도 복호기가 적응적으로 MBEC의 값이 설정되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복호기에서의 출력데이터의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상기 첫 번째에 따른 효과로 복호기의 최종출력의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 MBEC값의 효과적인 설정으로 복호기에서 초기에 좀더 빠르게 디펑처 모듈부(depuncture module)에서 데이터의 동기를 맞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유럽형 디지털 수신기 및 위성 방송수신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이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4)

  1. 등화기에서 출력된 데이터를 다수의 비트로 연판정 하는 연판정 디매퍼부와,
    상기 연판정 디매퍼부에서 출력된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복호화 데이터를 출력하고 동시에 BER을 계산하는 복호부와,
    상기 복호부에서 계산된 BER을 피드백(feedback)으로 입력하여 상기 복호부에 동기를 맞추는 중계기로 사용하는 판정 로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대 잡음비를 이용한 적응형 복호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부는
    상기 연판정 디매퍼부에서 출력된 데이터에 더미(dummy) 데이터를 삽입하여 코드 비율을 변형하는 디펑처 모듈부와,
    상기 디펑처 모듈부에서 변형된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비터비 복호기와,
    상기 비터비 복호기에서 복호화된 데이터의 BER(Bit Error Count)를 계산하기 위해 해당 콘볼루션얼 코드로 부호화하는 콘볼루션 부호기와,
    상기 콘볼루션 부호기에서 부호화된 출력과 디펑처 모듈부(210)에서 디펑처링된 출력을 서로 비교하는 비교기와,
    상기 비교기에서의 상기 두 출력값을 비교하기 위해 상기 디펑처 모듈부에서 디펑처링된 데이터를 지연시키는 데이터 지연부와,
    상기 비교기에서 비교한 데이터 중 에러 비트의 개수를 카운트하여 BER을 계산하는 비트 에러 카운터부와,
    상기 비트 에러 카운터부에서 카운트하는 데이터 길이를 결정하는 복호화된 데이터 비트 카운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대 잡음비를 이용한 적응형 복호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터비 복호기의 코드 비율이 1/2, 2/3, 5/6, 또는 7/8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대 잡음비를 이용한 적응형 복호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로직부는
    등화기에서 출력되는 SNR와 코드 비율을 입력으로 MBEC 값을 설정하는 SNR 중계기와,
    상기 복호부에서 계산되어 피드백된 BER과 상기 SNR 중계기에서 설정된 MBEC 값을 입력으로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을 수행하며 상기 복호부로 동기신호를 출력하는 BER 모니터부와,
    상기 BER 계산을 위해 최대로 카운트할 데이터의 값이 설정되어 상기 SNR 중계기를 제어하는 최대 데이터 비트 카운터부와,
    상기 SNR 중계기에서 설정된 MBEC 값을 유지하는 최대 비트 에러 카운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대 잡음비를 이용한 적응형 복호기.
KR1019990067352A 1999-12-30 1999-12-30 신호 대 잡음비를 이용한 적응형 복호기 KR100323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7352A KR100323706B1 (ko) 1999-12-30 1999-12-30 신호 대 잡음비를 이용한 적응형 복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7352A KR100323706B1 (ko) 1999-12-30 1999-12-30 신호 대 잡음비를 이용한 적응형 복호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9821A KR20010059821A (ko) 2001-07-06
KR100323706B1 true KR100323706B1 (ko) 2002-02-08

Family

ID=19634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7352A KR100323706B1 (ko) 1999-12-30 1999-12-30 신호 대 잡음비를 이용한 적응형 복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370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9821A (ko) 200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23489B2 (en) Generation of decision feedback equalizer data using trellis decoder traceback output in an ATSC HDTV receiver
KR100633032B1 (ko) 트렐리스 디코더로부터의 출력에 의한 영향을 받는 가변스텝 사이즈를 갖는 적응형 이퀄라이저
US7555080B2 (en) Digital broadcasting receiving system and equalizing method thereof
JP2007150535A (ja) デジタル復調装置、デジタル受信装置、デジタル復調装置の制御方法、デジタル復調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及び、この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EP1262027B1 (en) Method of differential coding and modulation
US6782046B1 (en) Decision-directed adaptation for coded modulation
EP119590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modulation
EP4187796A1 (en) Alignment detection by full and partial fec decoding
KR100323706B1 (ko) 신호 대 잡음비를 이용한 적응형 복호기
KR101100207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처리 방법
EP1248396A1 (en) Method and receiver for evaluating a radio link qualit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JPS612439A (ja) デイジタル信号伝送方式
KR100400056B1 (ko) 연판정 비터비 복호를 위한 고차변조 신호의 연판정 방법
JP3435393B2 (ja) 無線通信方法および無線通信装置
US6774821B2 (en) Frequency mapped coding for signal error correction
JP3201962B2 (ja) 可変データレート通信装置
US11665336B2 (en) Estimation method for signal quality indicator of 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standards
AU3697299A (en) Method for transmitting digital data via a transmission channel subject to perturbations occurring in bursts
KR100925445B1 (ko) 방송 송/수신기 및 방송 신호 처리 방법
KR100282347B1 (ko) 채널 상태 정보를 이용한 디코딩 장치 및 방법
KR20050053503A (ko) 복호 장치 및 수신 장치
JP2800855B2 (ja) ディジタル無線通信方式
KR19980044998A (ko) 이동통신 페이딩 채널에서의 디코딩 장치
Abou-El-Azm et al. Variable-rate punctured convolutional coding over fading mobile communication channels
JP2009200839A (ja) 送信装置、受信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