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3251B1 - 페이징 장치를 이용한 노선정보 표시시스템 - Google Patents

페이징 장치를 이용한 노선정보 표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3251B1
KR100323251B1 KR1019980054656A KR19980054656A KR100323251B1 KR 100323251 B1 KR100323251 B1 KR 100323251B1 KR 1019980054656 A KR1019980054656 A KR 1019980054656A KR 19980054656 A KR19980054656 A KR 19980054656A KR 100323251 B1 KR100323251 B1 KR 100323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isplay
route
public network
pag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4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9338A (ko
Inventor
김영대
Original Assignee
이철호
도원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철호, 도원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철호
Priority to KR1019980054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3251B1/ko
Publication of KR20000039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9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3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32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06Q50/4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개시된 페이징 장치를 이용한 노선정보 표시시스템은 공중망 페이징 장치와 GUI(Graphic User Interface) 프로그램을 연계 구성하여 현장에 직접 가지 않고, 무선호출망을 이용하여 변경된 노선 또는 이용차량에 대한 정보를 신속하게 표시해 주는 페이징 장치를 이용한 노선정보 표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컴퓨터 사용자로 하여금 각 정류소 또는 역의 입체적 가시 운영을 위한 그래픽 프로그램과, 노선이나 차량정보 또는 광고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 프로그램이 내장된 GUI 정보장치와; GUI 정보장치와 각 정보를 송수신하며, 공중망 페이징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무선호출망을 구비하여 다수 개의 페이저를 호출하고,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송신하는 공중망 페이징 장치와; 공중망 페이징 장치로부터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수신하여, 노선정보 또는 광고정보를 표시하는 다수 개의 표시수단을 갖는 무선호출 표시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변경된 노선 또는 이용차량에 대한 정보를 신속하게 표시해 주므로써 관리의 편리성과 시간적 및 인력활용의 효율 극대화를 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고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광고 유치를 통하여 소모성이 아닌 생산적인 시스템을 구축할 수가 있고, 노선 정보의 자동화 표시가 가능하며 개인적인 실수나 애러 발생요소를 제거함으로써 승객에게 신뢰감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페이징 장치를 이용한 노선정보 표시시스템
본 발명은 페이징 장치를 이용한 노선정보 표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버스 정류소, 지하철역 또는 기차역에 설치된 노선정보 표시판에 공중망 페이징 장치(Paging System)와 GUI(Graphic User Interface) 프로그램을 연계 구성하여 현장에 직접 가지 않고, 무선호출망을 이용하여 변경된 노선 또는 이용차량에 대한 정보를 신속하게 표시해 주는 페이징 장치를 이용한 노선정보 표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시내/시외 버스 정류소나 지하철역 또는 기차역에는 노선정보를 표시하는 표시판은 있으나, 노선 변경이나 이용 차량에 대한 정보의 변경시에는 직원이 일일이 찾아 다니며 수작업으로 차량 정보를 변경하고 업 데이터(Up-Date)하여 승객에게 대민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버스 사업자 간의 협의나 교통국, 교통안전 관리공단 등의 정부단체 등에 의해 교통 운임비, 노선변경 및 조정, 주행시간, 교통정보등을 변경하거나 수정할 때에는 지역 안내판이나 전국 안내 표시판을 교체 또는 수정해야 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그러나, 직원이 이 넓은 지역을 직접 다니면서 노선을 변경하고 정보를 변경하는 데에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직원 인건비가 많이 들어 가게 되며, 한번에 많은 일을 무리하게 하면 개인적으로 실수가 많이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승객에게 신뢰감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버스 정류소, 지하철역 또는 기차역에 설치된 노선정보 표시판에 공중망 페이징 장치와 GUI 프로그램을 연계 구성하여 현장에 직접 가지 않고, 무선호출망을 이용하여 변경된 노선 또는 이용차량에 대한 정보를 신속하게 표시해 주므로써, 정보의 정체성을 해소할 수 있고 관리의 편리성과 시간적 및 인력활용의 효율 극대화를 기할 수 있는 페이징 장치를 이용한 노선정보 표시시스템을 제공받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노선정보 제공의 한계를 넘어, 무선 호출망을 이용하여 광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어서 광고 유치시 투자금액을 회수할 수 있도록 하여 운용의 융통성도 얻을 수 있는 페이징 장치를 이용한 노선정보 표시시스템을 제공받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페이징 장치를 이용한 노선정보 표시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무선호출 표시장치의 표시수단의 신호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GUI 정보장치 200 : 공중망 페이징 장치
300 : 무선호출 표시장치 310 : 제 1 표시수단
320 : 제 2 표시수단 311,321 : 몸체부
312,322 : 광고 표시부 313,323 : 노선 표시부
310a : RF 수신부 310b : 주파수변환부
310c : 복조부 310d : 신호처리부
310e : 제어부 310f : 정보표시단
310f1: 제 1 표시부 310f2: 제 2 표시부
310fN: 제 N 표시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페이징 장치를 이용한 노선정보 표시시스템은 컴퓨터 사용자로 하여금 각 정류소 또는 역의 입체적 가시 운영을 위한 그래픽 프로그램과, 노선이나 차량정보 또는 광고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 프로그램이 내장된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장치와; GUI 정보장치와 각 정보를 송수신하며, 공중망 페이징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무선호출망을 구비하여 다수 개의 페이저를 호출하고,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송신하는 공중망 페이징 장치와; 공중망 페이징 장치로부터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수신하여, 노선정보 또는 광고정보를 표시하는 다수 개의 표시수단을 갖는 무선호출 표시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무선호출은 이동통신 방식의 일종으로 무선호출 수신기인 삐삐(페이저:Pager,Beeper)를 휴대하고 있는 특정의 사람(가입자)에게 신호음, 숫자, 문자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무선단말기는 이동 중인 사람을 호출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초기의 무선호출은 호출음만 발생시켰으나 더욱 발전하여 전화번호와 같은 숫자표시 위주에서 문자서비스로 급격히 전환되고 있으며 문자서비스를 이용하여 뉴스, 날씨, 증권, 스포츠 경기 등과 같은 생활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음성사서함을 이용하여 긴급한 연락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스템 측면에서 보면 고속전송과 다양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있으며, 양방향 무선무선단말기의 등장으로 인하여 삐삐를 가지고 있는 사람의 위치를 알 수 있는 방식도 도입되고 있다.
이동 통신기기의 종류중에서 무선단말기(삐삐)는 다른 이동통신 시스템보다 상대적으로 간단한 시스템, 저렴한 사용료인데 비해서 월등히 우수한 수신율을 가지고 있고, 다른 일을 하면서도 방해받지 않고 호출을 받을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무엇보다도 큰 장점은 삐삐(페이저:Pager,Beeper)가 소형이고, 다른 이동통신 수단보다 서비스 요금이 저렴하다는 것이다.
최근에는 POCSAG(Post Office Code Standardization Advisory Group) 무선호출 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일반적인 전송속도는 1200bps(초당 1200 비트)이므로 이러한 전송속도로는 문자전송 및 데이터 전송과 같은 많은 데이터량을 전송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가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고속 무선호출 방식이 제안되고 있으며, 이것은 고속전송, 오류정정의 성능강화, 배터리 사용시간 연장 및 시스템 확장성등을 강화한 무선호출 방식이다.
예를 들면, 모토로라가 개발한 플렉스(FLEX:Flexible), 유럽 통신기준 제정기관에서 개발한 어미스(ERMES:European Radio MEssage System) 또는 필립사에서 개발한 에이폭(APOC:Advanced Paging Operators Code)이란 신호방식이 있다.
상기 고속 무선호출의 특징은 최대 6400bps의 고속전송, GPS를 이용한 동시전송, 배터리 사용시간 증가, 인터리빙(Interleaving)을 이용한 다중 반사파 대처능력 강화로 오류발생률 최소화, 4-레벨 변조방식의 전송효율 극대화 및 시스템 확장이 용이한 여러 장점을 갖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페이징 장치를 이용한 노선정보 표시시스템의 구성 및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페이징 장치를 이용한 노선정보 표시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이징 장치를 이용한 노선정보 표시시스템은 컴퓨터 사용자로 하여금 각 정류소 또는 역의 입체적 가시 운영(Visual Management)을 위한 그래픽 프로그램과, 노선이나 차량정보 또는 광고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 프로그램이 내장된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장치(100)와; 상기 GUI 정보장치(100)와 각 정보를 송수신하며, 공중망 페이징(Paging)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무선호출망을 구비하여 다수 개의 페이저(Pager)를 호출하고, 숫자 및 문자 정보를 공중무선망으로 송신하는 공중망 페이징 장치(POCSAG 또는 FLEX 페이징 방식)(200)와; 상기 공중망 페이징 장치(200)로부터 송신한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수신하여 노선정보 또는 광고정보를 표시하는 다수 개의 표시수단을 갖는 무선호출 표시장치(300)으로 구성된다.
상기 무선호출 표시장치(300)은 상기 공중망 페이징 장치(200)로부터 노선정보 또는 업체에 대한 광고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해 주는 표시장치로서, 표시 방식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다수 개의 제 1, 제 2 표시수단(310,320)은 외부의 온도 및 기후 변화에 견디고 몸체를 형성하는 몸체부(311,321)와, 몸체부(311,321) 내부에 형성되어 디스플레이되는 표시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도면에는 미도시)와, 상기 공중망 페이징 장치(200)로부터 문자 및 숫자 정보를 수신하여 업체 광고나 교통안전에 관한 안내 광고를 표시하는 광고 표시부(312,322)와, 상기 공중망 페이징 장치(200)로부터 문자 및 숫자 정보를 수신하여 시내/시외 정류소나 역의 노선정보를 표시하는 노선 표시부(313,323)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다수 개의 제 1, 제 2 표시수단(310,320)은 각각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중망 페이징 장치(200)로부터 문자 및 숫자 정보를 수신하여 각 장치별로 신호를 처리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무선호출 표시장치(300)의 표시수단의 신호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표시수단은 상기 공중망 페이징 장치(200)로부터 송신한 문자 및 숫자 정보를 수신하는 RF(Radio Frequency) 수신부(310a)와, RF 수신부(310a)로부터 입력된 RF 신호를 중간주파수 대역으로 변환시키는 주파수변환부(310b)와, 주파수변환부(310b)에 의해 중간주파수 대역으로 변환된 신호를 복조시키는 복조부(310c)와, 복조부(310c)에 의해 복조된 신호를 신호처리 및 데이터화하는 신호처리부(310d)와, 신호처리부(310d)로부터 출력된 정보를 고객에게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정보를 제어하는 제어부(310e)와, 제어부(310e)로부터 출력된 정보를 승객에게 정보를 보여줄 수 있도록 표시판에 디스플레이시키는 다수 개의 표시부를 갖는 정보표시단(310f)으로 구성된다.
상기 다수 개의 표시부를 갖는 정보표시단(310f)은 액정표시판(LCD) 또는 발광 다이오드(LED) 등의 여러 방식의 장치로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며, 표시 내용의 특징에 따라 다수 개의 표시부(310f1, 310f2, … 310fN)를 가질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업체 광고나 교통안전에 관한 안내 광고를 표시할 수도 있고, 시내/시외 정류소나 역의 노선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고, 현재 시간, 날씨, 주행시간 또는 운임료 등의 기타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다수 개의 표시부를 갖는 정보표시단(310f)은 시내 또는 시외에, 지역 또는 전국에 똑같은 문자 및 숫자를 동시에 각각 표시수단(310,320)에 표시할 수도 있고, 각각 다른 문자 및 숫자를 각각 표시수단(310,320)에 표시할 수도 있고, 일부분 그룹별로 문자 및 숫자를 각각 표시수단(310,320)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하는 본 발명에 의한 페이징 장치를 이용한 노선정보 표시시스템은 페이징 장치를 이용하여 변경된 노선 또는 이용차량에 대한 정보를 신속하게 표시해 주므로써, 관리의 편리성과 시간적 및 인력활용의 효율 극대화를 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고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광고 유치를 통하여 소모성이 아닌 생산적인 시스템을 구축할 수가 있고, 노선 정보의 자동화 표시가 가능하고 개인적인 실수나 애러 발생요소를 제거함으로써 승객에게 신뢰감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컴퓨터 사용자로 하여금 각 정류소 또는 역의 입체적 가시 운영을 위한 그래픽 프로그램과, 노선이나 차량정보 또는 광고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 프로그램이 내장된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장치;
    상기 GUI 정보장치와 각 정보를 송수신하며, 공중망 페이징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무선호출장치를 구비하여 다수 개의 페이저를 호출하고,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송신하는 공중망 페이징 장치; 및
    상기 공중망 페이징 장치로부터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수신하여, 노선정보 또는 광고정보를 표시하는 다수 개의 표시수단을 갖는 무선호출 표시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징 장치를 이용한 노선정보 표시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호출 표시장치의 각 표시수단은;
    외부의 온도 및 기후 변화에 견디고 몸체를 형성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 내부에 형성되고, 디스플레이되는 표시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공중망 페이징 장치로부터 업체 광고나 교통안전에 관한 안내 광고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광고 표시부;
    상기 공중망 페이징 장치로부터 시내/시외 정류소나 역의 노선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노선 표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징 장치를 이용한 노선정보 표시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호출 표시장치의 각 표시수단은;
    상기 공중망 페이징 장치로부터 송신한 문자 및 숫자 정보를 수신하는 RF 수신부;
    상기 RF 수신부로부터 입력된 RF 신호를 중간주파수 대역으로 변환시키는 주파수변환부;
    상기 주파수 변환부에 의해 중간주파수 대역으로 변환된 신호를 복조시키는 복조부;
    상기 복조부에 의해 복조된 신호를 신호처리 및 데이터화하는 신호처리부;
    상기 신호처리부로부터 출력된 정보를 고객에게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정보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정보를 승객에게 정보를 보여줄 수 있도록 표시판에 디스플레이시키는 다수 개의 표시부를 갖는 정보표시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징 장치를 이용한 노선정보 표시시스템.
KR1019980054656A 1998-12-12 1998-12-12 페이징 장치를 이용한 노선정보 표시시스템 KR100323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4656A KR100323251B1 (ko) 1998-12-12 1998-12-12 페이징 장치를 이용한 노선정보 표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4656A KR100323251B1 (ko) 1998-12-12 1998-12-12 페이징 장치를 이용한 노선정보 표시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9338A KR20000039338A (ko) 2000-07-05
KR100323251B1 true KR100323251B1 (ko) 2002-03-08

Family

ID=19562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4656A KR100323251B1 (ko) 1998-12-12 1998-12-12 페이징 장치를 이용한 노선정보 표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32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14562A (zh) * 2016-07-26 2016-11-16 广州地铁设计研究院有限公司 地铁线网路况信息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9338A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240C (zh) 接入通信系统的显示板信号源
KR100214087B1 (ko) 정보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JP3351534B2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メッセージ表示方法及び装置
US6091961A (en) System for broadcasting messages from a mobile radio terminal
SE9702124D0 (s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ellular radio communication systems
RU2308770C2 (ru) Информационная система на автомобилях такси
JPH1146164A (ja) 移動物体呼び出しシステム
CN202720776U (zh) 车辆位置服务管理系统
AU4858699A (en) Mobile telephon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geographic area to a subscriber
GB2201865A (en) Mobile radio telephone system
CN203838884U (zh) 一种短距离公交站交互与信息发布系统
EP1770651A1 (en) Computerised system for ordering taxi services and f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a taxicab
KR100323251B1 (ko) 페이징 장치를 이용한 노선정보 표시시스템
CN103716473A (zh) 车载导航通信系统及方法
CN202949415U (zh) 生产线无线呼叫联动装置
KR100237443B1 (ko) 디지털 셀룰라 무선 복합 단말기 및 그 단말기에서의 지역시각 표시방법
KR100480344B1 (ko) 디에스알에씨 시스템을 이용한 대중교통 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KR19990019264A (ko) 개인휴대통신 (pcs 및 cellular)을 이용한 자동위치확인 및 정보전달시스템
CN113140102B (zh) 一种公共交通的线路优化系统及方法
SE0002290D0 (sv)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reducing signalling traffic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CN1043116C (zh) 双向文字移动通讯系统及通讯方法
RU2158967C2 (ru) Система для передачи информации
KR20030029335A (ko) 주파수공용통신과 차량정보단말기를 이용한 음성 및데이터통신 겸용 차량관제시스템과 차량관제방법
RU2133508C1 (ru) Информационная система
JPH11306496A (ja) 位置情報通知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