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2589B1 - Beam Scanning Device Employing Deflection Disc_ - Google Patents

Beam Scanning Device Employing Deflection Disc_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2589B1
KR100322589B1 KR1019980048650A KR19980048650A KR100322589B1 KR 100322589 B1 KR100322589 B1 KR 100322589B1 KR 1019980048650 A KR1019980048650 A KR 1019980048650A KR 19980048650 A KR19980048650 A KR 19980048650A KR 100322589 B1 KR100322589 B1 KR 100322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deflection
light source
image area
diffra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86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00032247A (en
Inventor
엄윤섭
안승덕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48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2589B1/en
Publication of KR20000032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224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2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2589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02B26/12Scanning systems using multifaceted mirrors
    • G02B26/123Multibeam scanners, e.g. using multiple light sources or beam split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02B26/12Scanning systems using multifaceted mirrors
    • G02B26/129Systems in which the scanning light beam is repeatedly reflected from the polygonal mirr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4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4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 combination of scanning and modulation of light

Abstract

광원(110); 상기 광원 상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반경방향 바깥쪽에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빔을 회절 편향시키기 위해 형성된 화상 영역 패턴(PI)과, 상기 화상 영역 패턴의 반경 방향 안쪽에 형성된 에지 감지 패턴(PE)을 가진 편향디스크(111); 상기 편향디스크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되어 상기 화상 영역 패턴에 의해 회절되지 않은 0차빔을 상기 편향디스크로 재반사시켜 투과시키는 제1 반사미러(113); 및 상기 제1 반사미러에 의해 반사되어 편향디스크를 투과한 상기 0차빔을 상기 에지 감지 패턴으로 반사시켜 회절되도록 하는 제2 반사미러(1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주사장치가 개시된다.Light source 110; The image area pattern P I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light source, and is formed to diffractively deflect the beam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in a radially outer direction, and the edge detection pattern P form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image area pattern. A deflection disc 111 with E ); A first reflection mirror (113) disposed above the deflection disk, for reflecting the 0th order beam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and not diffracted by the image area pattern onto the deflection disk for transmission; And a second reflecting mirror 114 reflecting the zeroth order beam reflected by the first reflecting mirror and passing through the deflection disk to the edge sensing pattern so as to be diffracted.

Description

편향디스크를 채용한 빔 주사장치Beam scanning device employing deflection disc

본 발명은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등에 채용되어 사용되는 빔 주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회절 편향디스크를 채용하여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빔을 회절시키는 빔 주사장치에 있어서 감광벨트 에지감지용 빔을 별도로 주사하도록 구성된 빔 주사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am scanning apparatus employed in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he lik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eam scanning apparatus employing a diffractive deflection disk to diffract a beam emitted from a light source. A beam scanning device configured to scan separately.

일반적으로, 빔 주사장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채용되어 감광벨트와 같은 감광매체에 예컨대,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 등과 같은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빔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최근 멀티 광 주사장치 개발의 일환으로서 종래 회전다면경을 사용하여 빔을 주사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회전하는 편향디스크를 채용하여 광원으로부터 나온 빔을 회절 편향시키는 빔 주사장치가 개발되고 있는데 그 개략적인 구성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In general, a beam scanning apparatus is employed in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to form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by scanning a beam emitted from a light source such as a laser scanning unit to a photosensitive medium such as a photosensitive belt. Recently, as a part of the development of a multi-optical scanning device, a beam scanning device for diffractively deflecting a beam from a light source has been developed by employing a rotating deflection disk away from the conventional method of scanning a beam using a rotating multi-facet mirror. 1 is shown.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빔 주사장치는 광원(10) 및 상기 광원(10) 상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편향디스크(11)를 포함한다. 상기 편향디스크(11)는 구동모터(12)에 결합되어 고속으로 회전하며, 그 표면에는 상기 광원(10)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회절시키기 위한 홀로그램 패턴이 형성된 복수개의 섹터가 형성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beam scanning apparatus includes a light source 10 and a deflection disc 11 rotatably installed on the light source 10. The deflection disc 11 is coupled to the drive motor 12 to rotate at high speed, and a plurality of sectors having a hologram pattern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deflection disc 11 to diffract light incident from the light source 10 is formed.

상기 광원(10)으로부터 출사된 광은 회전하는 편향디스크(11)를 통과하면서 상기 홀로그램 패턴에 의해 회절된다. 이때, 도 2를 참조하면, 홀로그램 패턴(11a)은 편향디스크(11)의 회전각에 따라 서로 다른 회절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편향디스크(11)가 회전함에 따라서 동일한 광원(10)에서 나온 빔은 각기 다른 각도로 회절되어 결국 하나의 주사선을 그리게 된다. 상기 편향디스크(11)에 의해 회절된 빔은 이어서 복수개의 반사미러(13,14)에 의해 반사되어 그 경로가 변경된다.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0 is diffracted by the hologram pattern while passing through the rotating deflection disk 11. In this case, referring to FIG. 2, since the hologram pattern 11a is formed to have different diffraction angles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deflection disk 11, the hologram pattern 11a is released from the same light source 10 as the deflection disk 11 rotates. The beams are diffracted at different angles and eventually draw one scan line. The beam diffracted by the deflection disc 11 is then reflected by a plurality of reflecting mirrors 13 and 14 and its path is changed.

경로가 변경된 빔은 다시 빔 보정수단을 거치는데, 통상적으로 상기 빔 보정수단으로는 광을 집속 반사시키는 집속미러(15)와 상기 광을 회절 투과시켜 미도시된 감광벨트와 같은 감광매체로 향하도록 하는 홀로그램 소자(16)가 채용된다. 대안으로서, 이러한 빔 보정수단은 빔의 초점위치 및 주사폭을 보정하는 에프-세타 렌즈(미도시)로 대체될 수 있다. 이러한 에프-세타 렌즈는 상기 편향 디스크(11)의 회전에 따라 주주사방향으로 주사되는 빔의 수차를 보정하고, 빔을 정형화시킨다.The beam whose path is changed is again subjected to beam correcting means. The beam correcting means includes a focusing mirror 15 for focusing and reflecting light and diffracting and transmitting the light to a photosensitive medium such as a photosensitive belt not shown. The hologram element 16 is adopted. As an alternative, such beam correction means can be replaced with an F-theta lens (not shown) which corrects the focal position and the scan width of the beam. The F-theta lens corrects aberration of the beam scanned in the main scanning direc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eflection disk 11 and shapes the beam.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광원(10)으로부터 출사된 빔은 감광벨트 상에서 주주사방향 즉, 감광벨트의 주행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주사선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The beam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0 by the above operation can form a scanning line on the photosensitive belt in a main scanning direction, that i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photosensitive belt.

상기 편향디스크(11)의 작동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 위해 도 3 및 도 4를 참조한다. 광원(도 1의 10)으로부터 출사된 광은 편향디스크(11)의 하면으로 입사되어 홀로그램 패턴(11a)에 의해 회절된다. 상기 편향디스크(11)가 회전하면서 다양한 형태의 홀로그램 패턴(11a)에 의해 광이 회절되어 전술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주사선을 형성한다.Reference is made to FIGS. 3 and 4 to look at the operation of the deflection disc 11 in more detail.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0 in FIG. 1 is incident on the lower surface of the deflection disk 11 and diffracted by the hologram pattern 11a. As the deflection disc 11 rotates, light is diffracted by various types of hologram patterns 11a to form scanning lines as shown in FIG.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사선은 감광매체인 감광벨트(20)에 주주사방향(S) 즉, 감광벨트(20)의 주행방향(T)에 직각인 방향으로 주사되어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그런데, 상기 감광벨트(20)는 실제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화상영역(I)과 화상이 형성되지 않는 비화상영역(N)으로 나누어지며, 상기 비화상영역(N)의 끝단인 감광벨트(20)의 에지에는 에지 감지 센서(21)가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the scanning line is scanned in the main scanning direction S, that is,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veling direction T of the photosensitive belt 20, to the photosensitive belt 20, which is a photosensitive medium, to form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 However, the photosensitive belt 20 is divided into an image region I in which an actual electrostatic latent image is formed and a non-image region N in which no image is formed, and a photosensitive belt 20 that is an end of the non-image region N. The edge detection sensor 21 is provided in the edge of ().

상기 편향디스크(11)가 회전하면서 주사는 감광벨트(20)상의 주사시작점(IP)에서 시작되며, 상기 편향디스크(11)의 한 섹터에 해당하는 일 주사선이 주사된 뒤, 그 다음 섹터에 해당하는 또 다른 주사선도 상기 주사시작점(IP)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반복적인 주사가 이루어지는 동안 상기 감광벨트(20)도 주행방향(T)으로 진행하므로 2차원적인 정전잠상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각 주사선의 시작점(IP)을 동일지점으로 일치시키기 위해, 상기 주사선이 감광벨트(20)의 에지부까지 주사되어 에지 감지 센서(21)를 감지함으로써 그 다음 주사시작점을 시차적으로 조절하게 된다. 실제로, 상기 감광벨트(20)는 평행한 상태로 진행하지 않으며 에지부의 굴곡 등이 있을 수 있어 각 주사시작점이 서로 상이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조절기능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As the deflection disc 11 rotates, scanning starts at the scanning start point IP on the photosensitive belt 20, and after one scan line corresponding to one sector of the deflection disc 11 is scanned, it corresponds to the next sector. Another scan line must also start from the scan start point (IP). During the repetitive scanning, the photosensitive belt 20 also proceeds in the driving direction T, thereby forming a two-dimensional electrostatic latent image. Here, in order to coincide the starting point (IP) of each scan line with the same point, the scan line is scanned to the edge of the photosensitive belt 20 to detect the edge detection sensor 21 to adjust the next scanning start point in time Done. In practice, the photosensitive belt 20 does not proceed in a parallel state, and there may be curvature of an edge part, and thus, each adjustment start point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상기 감광벨트(20)의 화상영역(I) 및 비화상영역(N)에 대한 주사는 상기 편향디스크(11)에 형성된 홀로그램 패턴(11a)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즉 상기 홀로그램 패턴(11a)은 상기 화상영역(I)에 대응하는 화상 영역 패턴(I')과 비화상영역(N)에 대응하는 비화상 영역 패턴(N')으로 구성된다.Scanning of the photosensitive belt 20 into the image region I and the non-image region N is performed by the hologram pattern 11a formed on the deflection disc 11, that is, the hologram pattern 11a is It consists of an image region pattern I 'corresponding to the image region I and a non-image region pattern N' corresponding to the non-image region N. FIG.

따라서, 상기 광원(10)으로부터 출사되어 집속된 광이 상기 홀로그램 패턴(11a)의 화상 영역 패턴(I')에 의해 회절될 때에 빔은 상기 감광벨트(20)의 화상영역(I)을 따라 주사된다. 이어서, 빔이 화상 영역 패턴(I')을 지나 비화상 영역 패턴(N')에 의해 회절될 경우에는 빔은 감광벨트(20)의 비화상영역(N)을 따라 주사되다가 에지 감지 센서(21)에 의해 검출됨으로서 감광벨트(20)의 에지부가 감지된다.Therefore, when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0 and focused is diffracted by the image region pattern I 'of the hologram pattern 11a, the beam is scanned along the image region I of the photosensitive belt 20. do. Subsequently, when the beam is diffracted by the non-image region pattern N 'past the image region pattern I', the beam is scanned along the non-image region N of the photosensitive belt 20 and then the edge detection sensor 21 The edge portion of the photosensitive belt 20 is sensed by the detection by.

상기와 같은 동작을 위해, 실제로 편향디스크(11)의 홀로그램 패턴(11a)에는 화상신호와 무관하게 빔을 감광벨트(20)의 에지 끝단으로 이동시켜기 위해 비화상 영역 패턴(N')이 추가적으로 마련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비화상 영역 패턴(N')은 결국 전체 홀로그램 패턴의 길이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In order to perform the above operation, a non-image region pattern N 'is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hologram pattern 11a of the deflection disk 11 to move the beam to the edge end of the photosensitive belt 20 irrespective of the image signal. Should be. Such a non-image area pattern N 'becomes a factor that eventually increases the length of the entire hologram pattern.

상기 편향디스크(11)는 고속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상당한 원심력을 받으며 따라서 그 크기를 줄일 필요가 있다. 더욱이 이러한 반경의 감소는 편향디스크(11)의 회전속도를 더욱 높이는데도 필수적이다. 그러나, 이렇게 편향디스크(11)의 반경을 감소시키게 되면 회절패턴을 형성시키기 어렵게 되므로 무작정 편향디스크의 크기를 줄이는데는 한계가 따른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면서 편향디스크(11)의 크기를 줄이는 방안으로서 상기 비화상 영역 패턴(N')을 줄이는 방안이 본 발명자에 의해 검토되었다. 다시 말해, 감광벨트(20)에 대한 주사선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상기 비화상 영역 패턴(N')을 줄일 필요가 있다.Since the deflection disc 11 rotates at a high speed, it receives a considerable centrifugal force an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duce its size. Moreover, such a decrease in radius is also essential for further increas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eflection disc 11. However, if the radius of the deflection disc 11 is reduced in this way, it is difficult to form a diffraction pattern, and thus there is a limit in reducing the size of the deflection disc. In order to reduce the size of the deflection disc 11 while overcoming such a problem, a method of reducing the non-image area pattern N 'has been examined by the present inventors.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non-image area pattern N 'without affecting the scanning line for the photosensitive belt 2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편향디스크의 홀로그램 패턴 상에서 비화상 영역 패턴을 화상 영역 패턴과는 별도로 마련함으로써 홀로그램 패턴의 전체 길이를 종래에 비해 줄일 수 있도록 개선된 빔 주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has improved beam scanning apparatus to reduce the total length of the hologram pattern as compared to the prior art by providing a non-image area pattern on the hologram pattern of the deflection disk separately from the image area pattern. The purpose is to provid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비화상 영역 패턴을 화상 영역 패턴과 별도로 마련함으로써 종래에 상기 비화상 영역 패턴을 형성하는데 필요했던 부분에 해당되는 만큼 편향디스크의 크기, 즉 반경을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the non-image area pattern separately from the image area pattern, the size of the deflection disk, that is, the radius, can be reduced as much as the portion required to form the non-image area pattern.

도 1은 편향디스크를 채용한 종래의 빔 주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beam scanning apparatus employing a deflection disk.

도 2는 도 1의 편향디스크와 광원을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FIG.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deflection disk and the light source of FIG. 1. FIG.

도 3는 도 1의 편향디스크를 나타낸 평면도.3 is a plan view of the deflection disk of FIG. 1;

도 4는 감광벨트 상에 주사되는 빔의 주사선을 나타내는 평면도.4 is a plan view showing a scanning line of a beam scanned on the photosensitive belt;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편향디스크를 채용한 빔 주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eam scanning apparatus employing a deflection di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편향디스크의 홀로그램 패턴을 나타낸 평면도.FIG. 6 is a plan view showing a hologram pattern of the deflection disk shown in FIG. 5; FIG.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main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10,110...광원 11,111...편향디스크10,110 ... light source 11,111 ... deflection disc

12,112...구동모타 20...감광벨트12,112 Driving motor 20 ... Photosensitive belt

21...에지 감지 센서 113,114...제1 및 제2반사미러21.Edge detection sensor 113,114 ... First and second reflection mirrors

I...화상영역 N...비화상영역I ... Image area N ... Non-image area

IP...주사시작점 S...주주사방향IP ... Scan starting point S ...

PI...화상영역패턴 PIE...에지감지패턴P I ... Image area pattern P IE ... Edge detection patter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회절편향 빔 주사장치는, 광원; 상기 광원 상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반경방향 바깥쪽에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빔을 회절 편향시키기 위해 형성된 화상 영역 패턴과, 상기 화상 영역 패턴의 반경 방향 안쪽에 형성된 에지 감지 패턴을 가진 편향디스크; 상기 편향디스크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되어 상기 화상 영역 패턴에 의해 회절되지 않은 0차빔을 상기 편향디스크로 재반사시켜 투과시키는 제1 반사미러; 및 상기 제1 반사미러에 의해 반사되어 편향디스크를 투과한 상기 0차빔을 상기 에지 감지 패턴으로 반사시켜 회절되도록 하는 제2 반사미러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diffraction deflection beam scan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light source; A deflection disc rotatably mounted on the light source, the deflection disc having an image area pattern formed radially outward to diffract the beam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and an edge sensing pattern formed radially inward of the image area pattern; A first reflection mirror disposed above the deflection disk and configured to reflect the zero-order beam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and not diffracted by the image area pattern onto the deflection disk for transmission; And a second reflecting mirror reflecting the zeroth order beam reflected by the first reflecting mirror and passing through the deflection disk to the edge sensing pattern to be diffrac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편향디스크를 채용한 빔 주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beam scanning apparatus employing a deflection di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편향디스크를 채용한 빔 주사장치의 개략적 구성을 보여준다.5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beam scanning apparatus employing a deflection di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빔 주사장치는 빔을 주사하는 광원(110)과 상기 빔을 회절 편향시키는 홀로그램 패턴이 형성된 편향디스크(111)를 포함한다. 상기 편향디스크(111)는 구동모타(112)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고속으로 회전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beam scan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 source 110 for scanning a beam and a deflection disk 111 having a hologram pattern for diffracting and deflecting the beam. The deflection disk 111 is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drive motor 112 is rotated at a high speed.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편향디스크(111)에는 두 가지 기능의 패턴의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된다. 즉, 편향디스크(111)의 홀로그램 패턴은 화상신호에 따라 감광벨트(도 4의 20 참조)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기 위해 빔을 주사시키는 화상 영역 패턴(PI)과 상기 화상 영역 패턴(PI)보다 반경 방향으로 안쪽에 부분적으로 마련된 에지 감지 패턴(PE)으로 구성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flection disc 111 is formed independently of each of the two function patterns. That is, the hologram pattern of the deflection disc 111 is an image region pattern P I for scanning a beam to form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on a photosensitive belt (see 20 in FIG. 4) according to an image signal and the image region pattern P I. It is composed of an edge detection pattern (P E ) provided in part in the radial direction than).

상기 화상 영역 패턴(PI)은 편향디스크(111)의 반경방향 외곽부에 형성되며, 하나의 주사선을 각각 구성하는 섹터에 형성된다. 상기 에지 감지 패턴(PE)은 상기 화상 영역 패턴(PI)보다는 작은 영역에 형성되는데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감광벨트(20)의 에지를 지시하기 위한 에지 감지 센서(도 4의 21)에 감지되는 정도로만 주사되면 된다.The image area pattern (P I) is formed on the radially outside of the deflection disc (111) portion, it is formed in the sector constituting one scan line, respectively. The edge detection pattern P E is formed in an area smaller than the image area pattern P I , which is detected by an edge detection sensor 21 of FIG. 4 to indicate an edge of the photosensitive belt 20, as will be described later. You only need to inject as much as you want.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편향디스크(111)의 상부에는 상기 광원(110)으로부터 출사된 빔 중에서 편향디스크(111)의 화상 영역 홀로그램 패턴(PI)에 의해 회절되지 않고 통과된 0차빔(B0)을 반사시키는 제1반사미러(113)가 설치된다. 상기 제1 반사미러(113)는 상기 0차빔(B0)을 상기 편향디스크(111)로 되반사시켜 통과시킨다.Referring again to Figure 5, the upper portion of the deflection disc 111 is passed through without being diffracted by the image area the holographic pattern (P I) of the deflection disc 111 in the outgoing beam from the light source 110 0 chabim ( A first reflecting mirror 113 reflecting B0) is provided. The first reflection mirror 113 reflects the zeroth order beam B0 back to the deflection disk 111 and passes therethrough.

또한, 상기 편향디스크(111)의 하부에는 상기 제1 반사미러(113)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편향디스크(111)를 투과한 광을 상기 에지 감지 패턴(PE) 영역으로 반사시키는 제2 반사미러(114)가 배치된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115는 상기 광원(110)으로부터 나온 빔을 편향디스크(111)의 홀로그램 패턴으로 집속시키기 위한 렌즈를 가리킨다.In addition, a second reflection mirror, which is reflected by the first reflection mirror 113 and reflects the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deflection disk 111 to the edge sensing pattern P E, is disposed below the deflection disk 111. 114 is disposed. In the drawing, reference numeral 115 denotes a lens for focusing the beam from the light source 110 in the hologram pattern of the deflection disk 111.

이상과 같은 구조를 지닌 본 발명에 따른 빔 주사장치에 대한 동작을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An operation of the beam scan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struct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최초 광원(110)으로부터 출사된 빔은 집속렌즈(115)에 의해 편향디스크(111)의 화상 영역 패턴(PI)으로 집속된다. 따라서, 상기 빔은 그 대부분이 화상 영역 홀로그램 패턴(PI)에 의해 회절되어 회절빔(B1)으로 출사된다. 상기 회절빔(B1)은 미도시된 반사부재들을 경유하여 감광벨트(20) 상의 최초 주사시작점(IP)에 맺히게 된다.The emitted beam from the first light source 110 is focused to the image area pattern (P I) of the deflection disc 111 by the focusing lens 115. Thus, the beam most of which is diffracted by the holographic pattern in the image area (P I) and emitted as diffracted beams (B1). The diffraction beam B1 is formed at the initial scanning start point IP on the photosensitive belt 20 via reflective members not shown.

한편, 상기 광원(110)으로부터 나온 빔의 일부는 화상 영역 패턴(PI)에 의해 회절되지 않은 채 직진하여 0차빔(B0)으로 출사된다. 이러한 0차빔(B0)은 편향디스크(111) 상부에 설치된 제1 반사미러(113)에 의해 반사되어 그 경로가 변환된 뒤 상기 편향디스크(111)로 향한다. 상기 편향디스크(111)를 투과한 0차빔(B0)은 편향디스크(111) 하부에 설치된 제2 반사미러(114)에서 반사되어 상기 에지 감지 패턴(PE)이 형성된 영역으로 진행한다.On the other hand, part of the beam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10) to go straight without being diffracted by the image area pattern (P I) to be emitted chabim 0 (B0). The zeroth order beam B0 is reflected by the first reflection mirror 113 installed on the deflection disc 111 and its path is converted to the deflection disc 111. The zeroth order beam B0 passing through the deflection disk 111 is reflected by the second reflection mirror 114 installed below the deflection disk 111 and proceeds to an area in which the edge detection pattern P E is formed.

이와 동시에 상기 편향디스크(111)가 회전하면서 상기 회절빔(B1)은 도 6의 라인(L1) 선상을 따라 회절되고, 상기 0차빔(B0)은 라인(L2) 선상에 맺히게 된다. 그런데, 상기 에지 감지 패턴(PE)은 편향디스크(111) 상에 상기 화상 영역 패턴(PI) 보다 작은 면적으로 부분적으로 형성되므로, 처음에는 0차빔(B0)이 에지 감지 패턴(PE)에 집속되지 못해 회절되지 않고 그냥 투과 직진된다. 따라서, 0차빔(B0)이 라인(L2)을 따라 집속되면서 에지 감지 패턴(PE)에 도달하기 전까지는 감광벨트(20) 상에 주사되지 못한다.At the same time, as the deflection disc 111 rotates, the diffraction beam B1 is diffracted along the line L1 of FIG. 6, and the zeroth order beam B0 is formed on the line L2. However, since the edge detection pattern P E is partially formed on the deflection disc 111 with an area smaller than the image area pattern P I , the zero order beam B0 is initially formed by the edge detection pattern P E. Because it is not focused on, it is not diffracted and is just transmitted straight. Therefore, the zeroth order beam B0 is focused along the line L2 and cannot be scanned on the photosensitive belt 20 until it reaches the edge sensing pattern P E.

상기 편향디스크(111)가 계속 회전하면, 화상신호에 따라 상기 광원(110)으로부터 출사되어 화상 영역 패턴(PI)에 의해 회절된 빔은 도 4의 감광벨트(20) 상에서 주주사방향(S)으로 주사선을 형성하게 된다.When the deflection disc 111 continues to rotate, according to an image signal is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10, the image area pattern in the main scanning direction (S) on the beam is the photosensitive belt 20 in Fig. 4 diffracted by the (P I) This forms a scanning line.

이러한 동작중에, 편향디스크(111)가 더욱 회전하여 반사미러(113,114)에 의해 반사된 0차빔(B0)이 에지 감지 패턴(PE)에 맺히면 0차빔도 회절되어 상기 감광벨트(20)로 진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0차빔(B0)이 회절되는 편향디스크(111)와 감광벨트(20) 사이에는 빔의 반사경로를 변환하는 임의의 부재들이 채용될 수 있다.During this operation, when the deflection disk 111 is further rotated and the 0th order beam B0 reflected by the reflecting mirrors 113 and 114 forms an edge sensing pattern P E , the 0th order beam is also diffracted to the photosensitive belt 20. Will proceed. Here, any member for converting the reflection path of the beam may be employed between the deflection disk 111 and the photosensitive belt 20 where the zeroth order beam B0 is diffracted.

상기 회절된 0차빔(B0)은 감광벨트(20) 상의 에지 감지 센서(21) 부근에 주사되어 에지 감지 센서(21)에 의해 검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에지 감지 패턴(PE)은 상기 0차빔(B0)이 회절되어 상기 감광벨트(20) 상에서 에지 감지 센서(21)의 전방에서부터 후방으로 주사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지 감지 센서(21)에 의한 0차빔(B0)의 감지는 상기 회절빔(B1)이 감광벨트(20)의 화상영역(I)을 주사하는 동안에 이루어진다. 따라서, 에지 감지 센서(21)에 의한 0차빔(B0)의 감지가 이루어진 후 상기 회절빔(B1)의 화상영역(I) 주사가 모두 끝나면 소정 펄스 타임을 계산하여 다음 주사선이 시작점(IP)에서 시작될 수 있도록 조절한다.The diffracted zeroth order beam B0 is scanned near the edge detection sensor 21 on the photosensitive belt 20 and detected by the edge detection sensor 21. Preferably, the edge detection pattern P E is formed such that the zeroth order beam B0 is diffracted and scanned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edge detection sensor 21 on the photosensitive belt 20. The detection of the zeroth order beam B0 by the edge detection sensor 21 takes place while the diffraction beam B1 scans the image region I of the photosensitive belt 20. Therefore, after the detection of the zeroth order beam B0 by the edge detection sensor 21 is completed, when the scanning of the image area I of the diffraction beam B1 is completed, a predetermined pulse time is calculated to calculate the next scan line at the starting point IP. Adjust to get started.

본 발명에 따르면, 편향디스크(111)의 전체 원주 영역은 화상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주빔을 회절시키는 홀로그램 패턴을 형성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동시에, 그러한 화상영역 홀로그램 패턴의 반경방향 안쪽에 별도로 감광벨트의 에지를 검출하기 위한 에지 감지 패턴을 마련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화상 영역 패턴과 비화상 영역 패턴 즉, 에지 감지 패턴을 연속적으로 마련하지 않아도 되므로 편향디스크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편향디스크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편향디스크의 안정된 회전을 확보하는데도 기여한다. 또한, 화상 영역 패턴을 상대적으로 여유있게 형성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한 양질의 패턴을 형성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ntire circumferential region of the deflection disc 111 can be used to form a hologram pattern that diffracts the main beam to form an image region. At the same time, an edge sensing pattern for separately detecting the edge of the photosensitive belt was provided inside the radial direction of such an image area hologram pattern. Therefore, since the conventional image area pattern and the non-image area pattern, that is, the edge detection pattern do not have to be provided continuously, the size of the deflection disk can be reduced. This effect not only provides a foundation for increas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eflection disk but also contributes to securing a stable rotation of the deflection disk. In addition, since the image area pattern can be relatively relaxed, more accurate quality patterns can be formed.

Claims (4)

광원(110);Light source 110; 상기 광원 상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반경방향 바깥쪽에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빔을 회절 편향시키기 위해 형성된 화상 영역 패턴(PI)과, 상기 화상 영역 패턴의 반경 방향 안쪽에 형성된 에지 감지 패턴(PE)을 가진 편향디스크(111);The image area pattern P I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light source, and is formed to diffractively deflect the beam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in a radially outer direction, and the edge detection pattern P form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image area pattern. A deflection disc 111 with E ); 상기 편향디스크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되어 상기 화상 영역 패턴에 의해 회절되지 않은 0차빔을 상기 편향디스크로 재반사시켜 투과시키는 제1 반사미러(113); 및A first reflection mirror (113) disposed above the deflection disk, for reflecting the 0th order beam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and not diffracted by the image area pattern onto the deflection disk for transmission; And 상기 제1 반사미러에 의해 반사되어 편향디스크를 투과한 상기 0차빔을 상기 에지 감지 패턴으로 반사시켜 회절되도록 하는 제2 반사미러(1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주사장치.And a second reflecting mirror (114) reflecting the zeroth order beam reflected by the first reflecting mirror and passing through the deflection disk into the edge sensing pattern so as to be diffrac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 감지 패턴은 상기 화상 영역 패턴보다 적은 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주사장치.The beam scanning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edge sensing pattern is formed to have a smaller area than the image area patter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디스크의 화상 영역 패턴에서 회절된 빔이 감광벨트의 화상영역을 주사하는 동안, 상기 에지 감지 패턴에 의해 회절된 0차빔이 에지 감지 센서를 주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주사장치.The beam of claim 1, wherein the zero-order beam diffracted by the edge detection pattern scans an edge detection sensor while the beam diffracted in the image area pattern of the deflection disc scans the image area of the photosensitive belt. Injec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으로부터 나온 빔을 편향디스크로 집속시키는 집속렌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절편향 빔 주사장치.The diffractive deflection beam scann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ocusing lens for focusing the beam from the light source onto a deflection disk.
KR1019980048650A 1998-11-13 1998-11-13 Beam Scanning Device Employing Deflection Disc_ KR1003225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8650A KR100322589B1 (en) 1998-11-13 1998-11-13 Beam Scanning Device Employing Deflection Disc_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8650A KR100322589B1 (en) 1998-11-13 1998-11-13 Beam Scanning Device Employing Deflection Disc_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2247A KR20000032247A (en) 2000-06-05
KR100322589B1 true KR100322589B1 (en) 2002-05-09

Family

ID=19558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8650A KR100322589B1 (en) 1998-11-13 1998-11-13 Beam Scanning Device Employing Deflection Disc_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2589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2247A (en) 2000-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79490B2 (en) Optical scanning device
JP2830670B2 (en) Optical scanning device
KR100322589B1 (en) Beam Scanning Device Employing Deflection Disc_
JP2952237B2 (en) Beam scanning device
KR100349940B1 (en) Apparatus for scanning with a rotatable hologram disc
JP3242238B2 (en) Recording device
JPH09211366A (en) Optical scanner
US5245442A (en) Multi-functional laser printer
JPH03131817A (en) Light beam scanning optical device
JP4238967B2 (en) Optical scanning device
JP2947952B2 (en) Electrophotographic equipment
JP3521303B2 (en) Optical scanning device
KR20000032244A (en) Optical scann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optical source
JP2721386B2 (en) Scanning optical device
JPH06324280A (en) Hologram scanning optical system
KR20000032245A (en) Optical scanning apparatus capable of compensating bow of scan line
JPH0915517A (en) Laser scanning optical device
JPS628015Y2 (en)
US20010032926A1 (en) Optical scanning device capable of detecting commencement of scan
JP2571593B2 (en) Light beam scanning device
JP3267664B2 (en) Optical scanning device
JP3492902B2 (en) Scanning optical device
JP3092155B2 (en) Optical scanning optical system
KR20000032246A (en) Optical scanning apparatus
JP2000241727A (en) Optical scan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