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1938B1 - 콘덴서뱅크 - Google Patents

콘덴서뱅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1938B1
KR100321938B1 KR1019980038086A KR19980038086A KR100321938B1 KR 100321938 B1 KR100321938 B1 KR 100321938B1 KR 1019980038086 A KR1019980038086 A KR 1019980038086A KR 19980038086 A KR19980038086 A KR 19980038086A KR 100321938 B1 KR100321938 B1 KR 100321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capacitor
neutral point
transformer
conden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8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4824A (ko
Inventor
토시오 소데
유타카 카시모토
Original Assignee
고지마 게이지
가부시끼가이샤 메이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9305118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146562A/ja
Priority claimed from JP9310246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150868A/ja
Application filed by 고지마 게이지, 가부시끼가이샤 메이덴샤 filed Critical 고지마 게이지
Publication of KR19990044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4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1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19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2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 H02J3/16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by adjustment of reactive pow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0Fixed transformers not covered by group H01F19/00
    • H01F30/02Auto-transfor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30Reactive power compen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gulation Of General Use Transformers (AREA)
  • Control Of Electrical Vari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덴서 뱅크(Condenser Bank)에 관한 것으로서, 공간을 줄여 경제성이 좋고 지진에 강하며, 콘덴서의 개폐를 용이하게 하는 콘덴서 뱅크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콘덴서 뱅크는 적어도 일차권선과 2차권선을 갖는 단권변압기(9. 900)에 대해, 콘덴서(14, 1700)를 직렬 리액터(Reactor) (12. 1600)과 함께 2차권선과 병렬 접속하여, 해당 콘덴서에 관한 전압이 계통선(100)에 있어서의 전압보다 낮게 함으로써, 경제성과 내진성, 콘덴서의 용이한 개폐의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콘덴서 뱅크
본 발명은 콘덴서 뱅크(Condenser Bank)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옥외형조상설비등에 있어서는, 대용량의 특별고압용의 콘덴서 뱅크가 사용되고 있다. 도1a, 도1b는 종래의 66∼77 KV 용의 콘덴서 뱅크의 평면도 및 정면도를 나타내고, l은 애자(2)상에 설치된 콘덴서이고,3, 4는 애자(5) 상에 설치된 콘덴서 및 직렬 리액터(Reactor)이며 6은 콘덴서(1, 3)의 잔류전하를 방전하는 방전 코일이고, 이들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2는 종래의 조상장치를 나타내며, 100은 66 KV의 계통선이고, 계통선(100)에는 단로기(200, 400) 및 차단기(300)를 통해 콘덴서(500) 및 직렬 리액터(Reactor)(600)로 이루어지는 콘덴서 뱅크가 접속되고, 더욱이 성형(Star)접속의 중성점 N이 접속되어 있다. 중성점 N과 접지사이에는 단상변압기(700)가 설치되어 있다. 콘덴서(500의) 용량은 예컨대 15 MVA이고, 그 정격전류 In은 132 A로 된다. 66 KV 이상의 계통선(100)에 접속되는 콘덴서(500)를 개폐하는 개폐 스위치는 존재하지 않고, 차단기(300)에 의해서 개폐하고 있어, 알맞은 차단기(300)를 선정해야만 한다. 또한, 콘덴서 뱅크는 11 KV까지는 수납 탱크를 대지에 접지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이것보다 높은 전압으로서는 이 수납 탱크를 애자에 의해 대지에서 띄워야 할 필요가 있으므로, 비용이 상승되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콘덴서 뱅크에서는, 도1a 및 도1b에서 콘덴서(1, 3)의 전압은 접속되는 계통선 전압에 의해 결정되고, 자유롭게 선택할 수 없다. 이것 때문에, 계통선 전압이 높게 되며, 콘덴서(1, 3)의 전압도 높게 되어, 콘덴서(1, 3)의 케이스(Case)를 접지하며, 콘덴서(1, 3)에 과대한 전압이 걸려 파괴될 위험이 있으므로, 애자(2, 5)에 의해 대지에서 전기적으로 뜨게 하고, 애자(2, 5)에 전압을 분담 시키도록 하고 있지만,대형에서 경제성이 나쁘고, 지진에도 약하다.
한편, 도2에 관한 종래의 콘덴서 뱅크의 개폐는 차단기(300)에 의해 행하여져서, 자주 개폐하는 것은 무리이다. 또한, 순간 개폐용에는 사이리스터(Thyristor)등을 사용한 전력변환기술을 쓰고 있고, 대단히 고가설비였다. 또, 일반적으로 개폐기의 진행 전류개폐능력은 지연 전류개폐능력보다 작고, 콘덴서용 개폐기의 선택을 어렵게 하고 있다. 더욱이, 콘덴서 뱅크를 투입하였을 때, 돌입전류에 의한 순간 전압강하가 전력변환설비에 악영향을 주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콘덴서 전압을 자유롭게 바꿀 수 있어, 콘덴서의 케이스를 대지에서 뜨게 할 필요가 없으므로, 공간이 작아 경제적이며, 지진에도 강한 콘덴서 뱅크을 얻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주된 목적을 달성하고, 또한, 콘덴서의 차단을 쉽게 함 과 동시에, 콘덴서 투입시의 돌입전류에 의한 순간 전압강하를 억제하는 콘덴서 뱅크을 얻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콘덴서 뱅크는, 그 일단이 계통선의 전압이 인가 가능하도록 상기 계통선에 접속된 일차권선과, 그 일단이 상기 일차권선에 접속된 2차권선과, 그 일단이 상기 일차권선의 타단에 접속된 직렬리액터(Reactor)와, 상기 2차권선에 대하여 병렬 접속되고 상기 직렬리액터(Reactor)를 통해 상기 일차권선의 타단에 접속된 콘덴서(커패시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주된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본 발명에 관한 콘덴서 뱅크에 있어서 상기 직렬 리액터(Reactor)는, 그 일단이 상기 일차권선의 타단에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콘덴서의 일단에 접속된 3차권선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콘덴서의 타단이 성형(Star)접속의 중성점을 통해 상기 2차권선의 타단에 접속되고, 상기 일차권선, 상기 2차권선 및 상기 3차권선은 코어에 감겨서 설치되고, 상기 코어를 갖는 단권 변압기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콘덴서 뱅크에 있어서 상기 직렬 리액터(Reactor)를 구성하는 상기 권선은, 상기 단권 변압기의 코어에 부가하여 리액터(Reactor) 코어에 감겨서 설치되고, 상기 단권 변압기의 코어에는, 제 3 고조파전압을 제거하기 위한 안정 권선이 감겨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콘덴서 뱅크에 있어서 상기 콘덴서는, 케이스에 수납되고, 상기 케이스는 대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콘덴서 뱅크에 있어서 상기 콘덴서는, 상기 계통선과 상기 일차권선의 일단 사이에 접속된 개폐기와, 그 일단이 상기 일차권선의 타단에 접속된 타단이 조정용 탭 및 중성점 스위치를 통해 성형접속 중성점에 접속된 3차권선을 가지고, 상기 일차권선, 상기 2차권선및 상기 3차권선은 모두 트랜스코어에 감겨서 설치되며, 상기 트랜스코어를 갖는 단권변압기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콘덴서 뱅크에 있어서 상기 2차권선의 타단에는, 제 1 의 중성점(N1)이 접속되고, 상기 콘덴서의 일단에는 상기 직렬 리액터(Reactor)의 타단이 접속되고, 상기 콘덴서의 타단에는 제2의 중성점(N2)가 접속되며, 상기 제 1 의 중성점(N1)과 제 2 의 중성점(N2)가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콘덴서 뱅크에 있어서 상기 3차권선은, 상기 단권변압기의 코어에 부가하여, 대략 l50%의 과전압에서도 포화하지 않는 리액터(Reactor)에 감겨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콘덴서 뱅크에 있어서 상기 콘덴서 뱅크에는, 상기 일차권선의 타단과 대지사이에 개재된 제 1 의 피뢰기(Arrester)와, 상기 조정 사이 탭과 상기 중성점 스위치와의 접속선과 대지사이에 설치된 제 2 의 피뢰기(Arrester)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a 및 도1b는 종래의 콘덴서 뱅크의 구성도이다.
도2는 종래의 콘덴서 뱅크로 되는 조상장치의 구성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관한 제1실시예의 콘덴서 뱅크의 구성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관한 제2실시예의 콘덴서 뱅크의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계통선 900 : 단권변압기
1100 : 일차권선 1200 : 2차권선
1300 : 3차권선 1400 : 개폐기
1700 : 콘덴서 1900 : 중성점 스위치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도3은 제1의 실시형태에 의한 콘덴서 뱅크의 구성을 나타내며, 7은 단권트랜스의 케이스를 나타내며, 케이스(7) 내에서는 트랜스코어(8)에 일차권선(9)및 2차권선(공용권축)(10)이 권회되고, 그 위에 트랜스코어(8)및 리액터(Reactor)코어(11)에는 3차권선(12)이 권회되어 있다. 1차권선(9)의 일단과 2차권선(10)의 일단은 접속됨과 동시에, 그 접속점에는 탭 T이 설정되어, 탭 T는 3차권선(l2)의 일단과 접속되고, 3차권선(12)의 타단은 케이스(13) 내에 설치된 콘덴서(14)와 접속되며, 케이스(13) 내에는 절연유가 충전되어 있다. 또한, 2차권선(10)의 타단은 단권트랜스의 중성점 N과 접속되고, 콘덴서(14)의 타단은 콘덴서(14)의 중성점 N과 접속되어 있다. 또, 도3은 단상성분을 나타내었지만, 실제로는 삼상성분이 성형(Star)접속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리액터(Reactor)코어(11)는 리액터(Reactor) 성분을 크게 하기 위해 마련해 놓는다. 여기서, 단권트랜스의 일차권선(9)의 타단에 입력되는 전압을 V1/√3으로 하면, 2차권선(10)의 유기 전압은 β2V1/√3, 3차권선(12)의 유기전압은 β3V1/√3으로 되어 (β2, β3<1), 콘덴서(14)에 인가되는 무부하전압은 (β2±β3)V1/
√3이 된다. β2±β3<1로 한다.
또한, 통상, 단권트랜스의 중성점 N은, 계통의 접지 시스템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접지하지 않는다. 이것 때문에, 제3고조파전압이 발생한다. 여기서, 여자전류정도의 용량의 안정권선(델타접속)(15)을 마련하여, 제3고조파전압을 흡수한다. 이 경우, 콘덴서(14)는 성형접속이나 델타접속이라도 좋다. 혹은, 3차권선(12)으로 구성되는 직렬 리액터(Reactor)의 용량을 콘덴서(14)의 용량의 예컨대 13%로 하고, 성형접속의 콘덴서(14)의 중성점N을 끌어 내어, 단권트랜스의 중성점 N과 접속하면, 이 직렬 리액터(Reactor)와 콘덴서(14)의 직렬 회로에서는 13 (%) × 3-100 (%)/3= 5.7% 늦은 임피던스가 되어, 이 늦은 임피던스가 여자전류중의 제3고조파를 제거한다.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콘덴서(14)의 인가전압은 (β2±β3) V1/√3이 되어, 계통전압 V1/√3을 어느정도 자유롭게 바꿀 수 있다. 이것 때문에, 콘덴서(14)에의 인가를 낮게 할 수가 있으며, 케이스(13)를 대지에 직접 설치할 수가 있어, 소형으로 경제성이 좋게 할 수가 있고, 지진에도 강하게 된다. 또한, 3차권선(l2)에 의해 직렬 리액터(Reactor)를 형성할 수가 있음과 동시에, 2차권선(10)에 의해 방전 코일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콘덴서 뱅크에 의하면, 단권트랜스에 의해 계통전압을 내려 콘덴서에 전압을 가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콘덴서의 케이스를 대지에 직접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공간을 절약하여 경제성을 높일 수 있고, 내진성이 강하게 된다. 또, 2차권선에 의해 방전 코일을 형성하고, 3차권선에 의해 직렬 리액터(Reactor)를 구성하기 때문에 역시 경제성을 높일 수 있다.
도4는 제2의 실시형태에 의한 콘덴서 뱅크의 구성을 나타내며, 800은 단권변압기(900)의 트랜스코어, 1000은 리액터(Reactor) 코어이고,트랜스코어(800)에는 일차권선(1100)및 2차권선(1200)이 권회되고, 트랜스코어(800)및 리액터(Reactor) 코어(1000)에는 3차권선(1300)이 권회되어 있다. 일차권선(1100)의 일단은 개폐기(1400)를 통해 계통선 (100)과 접속되고, 일차권선(1100)의 타단은 2차권선(1200)의 일단과 접속되어 있다. 2차권선(1200)의 타단은 성형접속의 중성점 N1과 접속되고, 중성점 N1은 정격전압이 V1/√3인 피뢰기(Arrester)(1500)를 통해 접지되어 있다. 또한, 1차권선(1100)의 일단에는 계통선(100)으로부터 개폐기(1400)를 통해 V1/√3의 전압이 입력된다. 다시, 일차권선(1100)의 타단에는 직렬 리액터(Reactor)(jγXc)(1600)와 콘덴서(-jXc)(1700)이 직렬로 접속되어, 콘덴서(17)는 성형접속의 중성점 N2와 접속되고, 중성점 N3은 중성점 N1과 접속되어 있다.
또, 1차권선(1100)의 타단에는 3차권선(1300)의 일단이 접속되고, 3차권선(1300)의 타단에는 조정용 탭 (1800) 및 중성점 스위치(부하개폐기)(1900)를 통해 성형접속의 중성점 N3이 접속되어 있다. 조정용 탭(1800)과 중성점 스위치(l900)의 사이에는 정격전압(β23)V1의 피뢰기(Arrester)(2000)의 일단이 접속되고, 피뢰기(Arrester)(2000)의 타단이 접지되어 있다. 또, 1차권선(1100)의 타단에는 정격전압β2V1의 피뢰기(Arrester)(2100)의 일단이 접속되고, 피뢰기(Arrester)(2100)의 타단은 접지되어 있다. 또, 일차권선(1100)∼3차권선(1300)의 권수를 n1∼n3로서,β2= n2/ (n1+ n2),β3= n3/ (n1+ n3)이며, β2≤ 0.5이다.
다음에, 상기구성의 각종의 값을 구한다. 우선, 중성점 스위치(1900)가 오프(Off) 시에는 3차권선(1300)은 회로에서 분리되어 버리고, 2차권선(1200)의 유기전압이 β2V1/√3이므로, 2차권선(1200)으로부터 콘덴서(1700)로 흐르는 전류 벡터 Ic는 (1)식으로 된다.
〈수식 1〉
벡터Ⅰc를 일차측에 환산하면 β2Ic가 되어, 벡터 Ic와 β2Ic는 방향이 반대가 되기 때문에, (2)식, (3)식을 얻을 수 있다.
〈수식 2〉
다음에, 중성점 스위치(1900)를 온(On)하면 3차권선(1300)도 회로에 접속되어, 이 때 2차권선(1200)으로부터 3차권선(1300)으로 흐르는 전류벡터 IL은 (4)식이 된다. jXs는 3차권선(1300)에 의해 형성되는 리액터(Reactor) 성분이다.
〈수식 3〉
벡터 IL을 일차측에 환산하면 (β23)IL로 되어, 일차전류는 β2IC+ (β23)IL로 되어, (5)식, (6)식에 표시된다.
〈수식 4〉
다시, (3)식으로부터 (5)식을 감산하면 (7)식이 되어, (7)식에 (4)식을 가하면 2차권선(1200)에 흐르는 전류가 되며, (8)식를 얻을 수 있다.
〈수식 5〉
여기서, 중성점 스위치(1900)가 온(On)될 때, 일차전류를 영으로 하기 위해서는 (6)식으로부터 (9)식이 얻어지며, 이 Xs를 (4)∼(8)식에 대입하면 (4)'∼(8)'식이 얻어진다.
〈수식6〉
다음에, 콘덴서(1700)의 용량을 Pc (삼상분)으로 하면, Pc는 (10)식에서 얻어지며, 1차권선(1100)및 2차권선(1200)의 용량은 (11)식에서 얻어지고, 3차권선(1300)의 용량은(12)식으로 얻어진다.
〈수식 7〉
또, 중성점 스위치(1900)를 흐르는 전류 IL은 (4), (4)'식으로 되어, 중성점 스위치(19OO)가 오프(Off) 시에 인가되는 전압은 (β23)V1이 된다. 따라서, 피뢰기(Arrester)(2000)의 정격전압도 (β23)V1으로 된다. 또, 벡터IL을 콘덴서(1700)의 정격전류 In을 써서 나타내면, (13)식이 된다.
〈수식 8〉
상기 구성의 콘덴서 뱅크에 있어서는 단권변압기(900)를 사용하고 있으며, 콘덴서(1700)의 정격전압을 작게 할 수가 있으므로, 콘덴서(1700)를 염가로 할 수 있다. 단권변압기(900)도 변압기로서는 염가인 것이다. 또한, 단권변압기(900)의 내부에서 누설되는 임피던스를 조정함에 의해, 예컨대, 트랜스코어(800)를 150%의 과전압에서도 포화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콘덴서(1700) 투입때의 돌입전류에 의한 순간 전압강하를 억제할 수가 있다.
더욱이, 단권변압기(900)의 중성점 N1을 접지하지 않으므로 여자전류중의 제3고조파전류는 중성점 N1에서 흘러 나올 수 없고, 2차측에 제3고조파전압을 유기한다. 여기서, 직렬 리액터(Reactor)(1600)에 의해 콘덴서(1700)의 임피던스의 13%를 확보하여, 콘덴서(1700)의 중성점 N2와 단권변압기(900)의 중성점 N1을 접지하지 않고 접속한다. 이에 따라, 제3고조파에 의한 콘덴서 임피던스는 j(l3%×3-100%÷3)= j5.67%가 되며, 콘덴서(1700)에는 지연전류가 흘러 일차측의 제3고조파 여자전류를 제거하고, 중성점 N1을 안정시켜, 제3고조파전압이 외부로 출력되지 않는다.
한편, 개폐기(1400)에 의한 개폐는, 콘덴서(1700)에 의한 진행전류를 제거하고, 전류의 지연도 진행도 없는 영의 상태로 하면 수행하기가 용이하다. 이 때문에 콘덴서(1700)와 병렬 리액터(Reactor)를 설치하면 좋지만, 리액터(Reactor)를 새롭게 설치하면 비용이 상승하게 된다. 여기서, 트랜스코어(800) 및 리액터(Reactor) 코어(1000)에 3차권선(1300)을 마련하여 리액터(Reactor) 성분을 조정함과 동시에, 2차권선(1200)및 3차권선(1300)의 유기전압을 V2, V3로, V2-V3>O 로 하여, 진행전류가 제거되도록 하였다. 3차권선(1300)의 리액터(Reactor) 성분 Xs가 (9)식의 값을 취하는 경우에는 일차전류를 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리액터(Reactor)코어(1000)를 설치함으로써 리액터(Reactor) 성분을 크게할 수 있다. 또한, 3차권선(1300)에 의한 리액터(Reactor)에 의해 진행전류를 반정도 제거되도록 하더라도, 콘덴서(1700)의 투입용량을 반으로 할 수 있으므로, 개폐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콘덴서(1700)의 개폐에 관해서 이지만, 이 경우는 3차권선(l300)이 연속정격에 의한 경우와 단시간 정격(5초정도)의 경우가 있다. 연속정격의 경우에는 중성점 스위치(1900)를 온(On)하여 상기와 같이 콘덴서(1700)의 용량을 영 또는 반으로 하고, 개폐기(1400)는 닫힌 상태가된다. 이 경우, 3차권선(1300)은 투입된 상태이며, 단권변압기(900)의 자기용량은 {(1-β2) + β3/2(β23)}Pc로 커지게 되어, 비용이 크게 늘어 나게 된다. 한편, 단시간정격의 경우에는, 개폐기(1400)를 오프(Off)하기 직전에 중성점스위치(1900)를 온(On)하여, 진행전류를 영 또는 반으로 한 후 개폐기(1400)를 오프(Off)한다. 따라서, 개폐기(1400)는 약간의 지연전류 또는 진행전류 또는 전류영을 개방하면 좋고, 소용량의 것으로 좋을 뿐만 아니라, 개폐수명을 각별히 향상 시킬 수 있다. 또, 3차권선(1300)은 단시간 투입될 뿐이므로, 등가용량이 대단히 작아져, 단권변압기(900)의 자기용량은 {(1-β2) + β3/20(β23)}Pc로 작아져, 비용절감이 가능해진다. 한편, 연속정격의 경우에는 개폐기(1400)는 유지 보수(Maintenance)시에만 필요해져, 운전시에는 개폐하지 않기 때문에 투입때의 돌입전류에 의한 순시전압강하는 생기지 않는다.
또한, 중성점 스위치(1900)는 3차권선(1300)의 중성점 N3측에 설치하고, 중성점 스위치(l900)의 절연을 위해서 정격전압을 내릴 수 있으므로, 그 개폐전류 IL은 β23라고 하면 지연전류이고, 중성점 스위치(1900)의 선택은 지극히 용이하여 진다. 또, 단시간정격으로 개폐기(1400)에 의해 개방하기 때문에, 중성점 스위치(1900)로서는 전류를 차단하지 않는다. 또, 조정용 탭(1800)은 미세조정 시에 쓰인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콘덴서 뱅크에 의하면, 단권변압기에 의해서 전압을 내리고 나서 콘덴서에 전압을 가하도록 하고 있어서, 콘덴서의 정격전압을 작게 할 수가 있고, 콘덴서를 염가로 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단권변압기도 저렴하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제2실시형태서 콘덴서 뱅크에 의하면, 단권변압기의 내부 누설 임피던스에 의해 콘덴서 투입시의 돌입전류에 의한 순시 전압강하를 억제할 수가 있으므로, 특히 3차권선을 연속정격으로 한 경우에는 개폐기를 개폐하지 않기 때문에, 돌입전류는 생기지 않는다. 더욱이, 중성점 스위치를 온(On)하여 3차권선을 투입함에 의해 콘덴서의 진행전류를 영 또는 반정도로 할 수 있어서, 콘덴서의 차단이 용이해지고, 개폐기를 소용량으로서 수명을 오래가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구나, 단시간정격의 경우에는 3차권선의 투입시간이 짧기때문에, 단권변압기의 등가용량이 작아져, 비용이 절약된다. 또한, 중성점 스위치는 3차권선의 중성점 측에 설치하였기 때문에, 그 정격전압 및 개폐전류는 작아지며, 더구나 개폐전류는 지연전류로 할 수 있으므로 중성점 스위치에 의한 개폐가 용이해져, 용량이 작은 부하개폐기에 의해 형성할 수가 있다.

Claims (6)

  1. 그 일단이 계통선의 전압이 인가 가능하도록 상기 계통선에 접속된 일차권선;
    그 일단이 상기 일차권선에 접속된 2차권선;
    그 일단이 상기 일차권선의 타단에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콘덴서의 일단에 접속된 3차 권선으로 이루어져, 상기 콘덴서의 타단이 중성점을 통해 상기 2차권선의 타단에 접속되고 상기 일차권선, 상기 2차권선 및 상기 3차권선을 트랜스 코어에 감겨서 설치되어, 상기 코어를 갖는 단권변압기로 구성된 직렬 리액터(reactor); 및
    상기 2차권선에 대하여 병렬 접속되고 상기 직렬 리액터를 통해 상기 일차권선의 타단에 접속된 콘덴서;
    가 구비되고, 상기 2차권선의 타단에는 제 1의 중성점(N1)이 접속되고, 상기 콘덴서의 일단에는 상기 직렬 리액터의 타단이 접속되며, 상기 콘덴서의 타단에는 제 2의 중성점(N2)이 접속되고, 상기 제 1의 중성점(N1)과 제 2의 중성점(N2)이 접속되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덴서 뱅크(bank).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 리액터를 구성하는 상기 권선은, 상기 단권변압기의 코어에 부가하여 리액터 코어에 감겨서 설치되고, 상기 단권변압기의 코어에는, 제 3고조파전압을 제거 하기 위한 안정권선이 감겨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콘덴서 뱅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콘덴서는, 케이스에 수납되고, 상기 케이스는 대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콘덴서 뱅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콘덴서는, 상기 계통선과 상기 일차권선의 일단과의 사이에 접속된 개폐기와, 그 일단이 상기 일차권선의 타단에 접속된 타단이 조정용 탭 및 중성점 스위치를 통해 성형접속 중성점에 접속된 3차권선을 가지고, 상기 일차권선, 상기 2차권선 및 상기 3차권선은 모두 트랜스코어에 감겨서 설치되어, 상기 트랜스 코어를 갖는 단권변압기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콘덴서 뱅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차권선은, 상기 단권변압기의 코어에 부가하여, 대략 150%의 과전압에서도 포화되지 않는 리액터에 감겨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콘덴서 뱅크.
  6. 제 3항, 제 4항 및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덴서 뱅크는, 상기 일차권선의 타단과 대지 사이에 개재되어 설치된 제 1의 피뢰기(arrester)와, 상기 조정 사이 탭과 상기 중성점 스위치와의 접속선과 대지 사이에 개재되어 설치된 제 2의 피뢰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콘덴서 뱅크.
KR1019980038086A 1997-11-07 1998-09-15 콘덴서뱅크 KR1003219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05118 1997-11-07
JP9305118A JPH11146562A (ja) 1997-11-07 1997-11-07 コンデンサバンク
JP9-310246 1997-11-12
JP9310246A JPH11150868A (ja) 1997-11-12 1997-11-12 コンデンサバン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4824A KR19990044824A (ko) 1999-06-25
KR100321938B1 true KR100321938B1 (ko) 2002-05-30

Family

ID=26564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8086A KR100321938B1 (ko) 1997-11-07 1998-09-15 콘덴서뱅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321938B1 (ko)
TW (1) TW40834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266B1 (ko) * 2010-04-02 2010-08-18 한명전기주식회사 시험설비용 콘덴서뱅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219B1 (ko) * 2006-08-29 2007-11-26 한일월드(주) 리액터식 변압기의 역률개선회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266B1 (ko) * 2010-04-02 2010-08-18 한명전기주식회사 시험설비용 콘덴서뱅크
WO2011122788A2 (ko) * 2010-04-02 2011-10-06 한명전기주식회사 시험설비용 콘덴서뱅크
WO2011122788A3 (ko) * 2010-04-02 2012-01-26 한명전기주식회사 시험설비용 콘덴서뱅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4824A (ko) 1999-06-25
TW408344B (en) 2000-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ikhail et al. Evaluation of switching concerns associated with 345 kV shunt capacitor applications
Bhargava et al. Effectiveness of pre-insertion inductors for mitigating remote overvoltages due to shunt capacitor energization
Sakamuri et al. Modeling and simulation of capacitor voltage transformer transients using PSCAD/EMTDC
US9953760B2 (en) Transformer arrangement for mitigating transient voltage oscillations
KR100321938B1 (ko) 콘덴서뱅크
Das Surges transferred through transformers
Kimbark Charts of three quantities associated with single-pole switching
Gopakumar et al. Shunt capacitor bank switching transients: A tutorial and case study
Lane et al. Switchgear Equipment for Tidd High-Voltage Test Lines
Lambert et al. Long line single-phase switching transients and their effect on station equipment
Abdallah et al. Ferroresonance phenomenon in power transformers-experimental assessment
Surges Switching surges: Part iv-control and reduction on ac transmission lines
Thallam et al. Design studies for the Mead-Phoenix 500 kV AC transmission project
McCann et al. Lightning protection for rotating machines
Kumar et al. Evaluation of controlled switching of transformer in the presence of large capacitive component
JPH11150868A (ja) コンデンサバンク
KR102199763B1 (ko) 주파수가 상이한 전동장비에 대응할 수 있는 공사현장 설치용 변압기
SU1140203A1 (ru) Установка емкостного отбора мощности от линии электропередачи переменного тока
Hackl et al. Switching overvoltages caused by shunt reactor switching and mitigation methods
JPH073838Y2 (ja) 巻線分割開閉器付コンドルファー始動変圧器
SU85581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граничени токов короткого замыкани и перенапр жений на высоковольтной подстанции
SU905939A1 (ru) Компенсационно-симметр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Alexander et al. EHV application of autotransformers
JPH056649Y2 (ko)
SU86442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граничени токов короткого замыкани и перенапр жений на высоковольтной подстанци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