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9443B1 - 구명복 - Google Patents

구명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9443B1
KR100319443B1 KR1019990045986A KR19990045986A KR100319443B1 KR 100319443 B1 KR100319443 B1 KR 100319443B1 KR 1019990045986 A KR1019990045986 A KR 1019990045986A KR 19990045986 A KR19990045986 A KR 19990045986A KR 100319443 B1 KR100319443 B1 KR 100319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e
life jacket
belt
suit
j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5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0440A (ko
Inventor
이명열
Original Assignee
이명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열 filed Critical 이명열
Priority to KR1019990045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9443B1/ko
Publication of KR20000000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0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9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94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1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overing the torso, e.g. harnesses
    • B63C9/115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overing the torso, e.g. harnesses using solid buoya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20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signalling means, e.g. ligh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난사고시 또는 선박상의 작업 등에 사용될 수 있는 구명복(救命服)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조끼식 구명복(1) 및 목걸이식 구명복(2)에 있어서 내피(3)와 외피(4) 사이에, 두께가 1.0mm이하이고 비중이 0.16이하인 저밀도 폴리에틸렌 폼 시트(LDPE FORMED SHEET)(13)가 여러겹 겹쳐져 형성되는 부력재(5)와; 상기 구명복(1, 2) 앞부분(18, 19)에 위치하는, 벨트(12)의 양쪽 끝부분을 잡아당겨 고정되는 릴리스 버클(release buckle)(9)을 가지는 1차고정수단(6)을 포함하는 구명복에 의해, 부력성이 뛰어나면서도 착용자의 활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유연하고 또한 신속하게 착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구명복{life jacket}
본 발명은 선박상의 작업 또는 해난사고시 구조용 등에 사용되는 구명복(救命服)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명복은 선박의 조난 또는 비행기 사고 등에서 해면 부유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조끼식 구명복이나 목에 착용하여 잡아매는 목걸이식 구명복이 있으며, 재질은 외피 및 내피가 구명천 또는 고무로 되어 있으며, 부력재로 코르크, 케이폭(kapok) 등이 삽입되어 사용되거나 간단하게 가스를 팽창시켜 사용된다.
구명복은 차가운 바다에 의한 온도변화에 대하여 수축, 파손, 팽창, 녹거나 기계적 물성치가 저하되지 않아야 하고, 또한 부력에 관해서도 초기 부력과 장기간 해수에 잠겨 있은 후의 부력의 차이가 크지 않아야 한다. 그리고 구명복이 딱딱하지 않아 해난사고자의 수영이나 기타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아야 하며, 헬리콥터 등의 구조에 있어도 구명복으로 견인할 수 있도록 견고하여야 한다.
그러나, 도 4에 도시되듯이 종래에는 대략 10mm의 두꺼운 폴리에틸렌 폼이 3∼4겹 겹쳐져 내피(3)와 외피(4) 사이에 삽입되어 부력재(5)로 사용되어, 구명복 착용자의 수영이나 기타 움직임을 방해하고, 비중이 크며, 개방된 셀(open cell) 구조를 가지는 폴리에틸렌 폼이 사용되기도 하여 부력 및 방한성이 나쁘고 특히 장기간 해수에 잠겨 있는 경우에 개방된 셀에 해수가 침투되어 부력의 감소가 심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구명복의 고정수단(6)이 단순히 벨트이어서, 양끝을 잡아매어야 하거나, 버클(24)을 사용하더라도 한방향으로 잡아당겨 고정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해난사고와 같이 긴급한 상황에서 한방향으로 힘을 과도히 주어 구명복이 한쪽으로 치우쳐, 착용자의 활동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력이 크면서도 한편 유연한 구명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착용이 간편하며 신속하게 착용할 수 있는 구명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헬리콥터 등으로 구조가 용이한 구성을 가지며, 착용자에서 이탈되지 않는 구명복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조끼식 구명복 사시도,
도 2는 실시예 1, 2의 릴리스 버클에 의한 1차고정수단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목걸이식 구명복 사시도,
도 4는 종래의 조끼식 및 목걸이식 구명복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조끼식 구명복, 2...목걸이식 구명복,
3...내피, 4...외피,
5...부력재, 6...1차고정수단,
7...2차고정수단, 8...3차고정수단,
9...릴리스 버클, 10...암 버클,
11...수 버클, 12...벨트,
13...저밀도 폴리에틸렌 폼 시트,
14...저밀도 폴리에틸렌 폼 후판,
15...역반사체, 16...목받침,
17...허리부, 18...좌측 앞부분,
19...우측 앞부분, 20...뒷부분,
21...견인고리, 22...벨트걸이,
23...스톱퍼, 24...버클.
이러한 목적은 구명복의 내피와 외피 사이에, 두께가 1.0mm이하이고 비중이 0.16이하인 저밀도 폴리에틸렌 폼 시트(LDPE FORMED SHEET)가 여러겹 겹쳐져 형성되는 부력재에 의해 해결된다. 특히, 조끼식 구명복에 있어서는 상기 구명복 앞부분에 위치하는, 벨트의 양쪽 끝부분을 잡아당겨 고정되는 릴리스 버클(release buckle)을 가지는 1차고정수단과, 상기 구명복 상단 좌우에 각각 위치하는 한 쌍의 견인고리에 의해 상기한 목적이 달성될 수 있으며, 목걸이식 구명복에 있어서는 상기 구명복 앞부분에 위치하는, 벨트의 양쪽 끝부분을 잡아당겨 고정되는 릴리스 버클(release buckle)을 가지는 1차고정수단과 상기 구명복 하단에 구명복 착용자의 다리사이로 통과하여 체결되는 3차고정수단에 의해 상기한 목적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1인 조끼식 구명복을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되듯이, 조끼식 구명복(1)은 내피(3), 외피(4), 부력재(5) 및 1차, 2차, 3차고정수단(6,7,8) 등으로 이루어진다.
내피(3)와 외피(4)는 바람직하게는 나일론 소재로 제조되고 코팅처리되어 방수, 방염성이 뛰어나게 된다. 구명복의 허리부(17)에는 그 폭이 넓게 되어, 다양한 체형의 사람이 착용하더라도 착용이 쉽고, 착용후에 움직임이 제약받지 않는다.
부력재(5)는 구명복 앞부분(18,19), 뒷부분(20)의 상부, 목받침(16)으로 3부분에 걸쳐 설치된다. 구명복 앞부분(18, 19)과 뒷부분(20)에 위치하는 부력재(5)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폼 시트(LDPE FORMED SHEET)(13)가 여러겹 겹쳐져 형성된다.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 폼 시트(13)는, 바람직하게는 비중이 0.9인 폴리에틸렌을 주원료로 하여 발포제를 첨가하고 발포하여 이형제 및 계면활성제를 혼합하고 용융, 경화, 진공압축, 가열, 냉각, 발포, 경화, 다시 발포하여 진공시켜 제조된다.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 폼 시트(13)는 구형의 완전 독립 밀폐된 셀(individual closed cell)구조를 가지는 고발포제로써, 겉보기 비중이 0.15∼0.16정도로 현존하는 고체물체중에 최고의 부력을 가지며, 장기간에 걸쳐 해수 등에 잠겨 있더라도 부력의 저하가 거의 없다.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 폼 시트(13)는 바람직하게는 0.5~1.0mm얇은 시트로 제조되고 바람직하게는 0.5mm인 경우는 20겹, 1.0mm인 경우는 10겹정도로 겹쳐 내피(3) 위에 놓고, 그 위에 망사 또는 부직포를 놓고 함께 봉제하여, 한쪽으로 쏠리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봉제된 저밀도 폴리에틸렌 폼 시트(13)과 외피(4) 사이에 두께가 바람직하게는 5mm정도인 저밀도 폴리에틸렌 폼 후판(14)이 삽입되어, 부력재(5)로 사용되면서 구명복(1)의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부력재(5)에 의해, 부력이 크면서도, 유연하여 착용자의 활동이 방해받지 않는다.
구명복 목받침(16)에 위치하는 부력재(5)는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 폼 후판(14)이 여러개 중첩되어 착용자의 목둘레를 둘러싸게 설치되어, 착용자가 의식을 잃더라도 머리부분이 해수에 잠기지 않도록 보호한다.
도 1, 2에 도시되듯이, 구명복 앞부분(18, 19)의 상부, 하부에는 1차, 2차고정수단(6, 7)이 장착되어 있다. 1차고정수단(6)은 허리부분을 둘러싸는 벨트(12)와 릴리스 버클(9)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벨트(12)는 구명복(1)의 등부분에서 외피(4)에 봉제되고, 좌측, 우측 앞부분(18, 19) 각각 위치하는 벨트걸이(22)에 1차로 통과되고 암수 버클(10, 11)의 끝부분을 통과한 후 2차로 벨트걸이(22)를 통과되며, 벨트(12)의 최종 양끝부분에는 벨트걸이(22)에서 빠지지 않도록 스톱퍼(23)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벨트(12)와 릴리스 버클(9)에 의해, 먼저 릴리스 버클(9)의 암수버클(10, 11)이 체결된 후, 벨트(12)의 양쪽 끝부분을 잡아 당겨 고정하게 된다. 이 때문에, 구명복(1)이 한쪽으로 치우쳐 착용자의 활동을 방해하지 않고 신속하게 착용할 수 있다. 상기 2차고정수단(7)은 벨트(12)가 좌우 앞부분(18, 19)에 각각 봉제되고, 암수 버클(10, 11)이 각각 설치되어, 먼저 릴리스 버클(9)의 암수버클(10, 11)이 체결된 후, 벨트(12)의 양쪽 끝부분을 잡아 당겨 고정하게 된다.
3차고정수단(8)은, 구명복(1) 좌측 앞부분(18)의 하부 끝부분에 벨트(12)의 끝부분이 봉제되고 다른 끝부분은 암 버클(10)과 결합되어 있고, 또다른 벨트(12)의 끝부분이 구명복(1) 뒷부분(20)의 하부 끝부분에 봉제되고 다른 끝부분은 수 버클(11)과 결합되어 있어, 착용자의 다리사이로 벨트(12)가 통과되어 암수 버클(10, 11)로 고정하게 된다.
한쌍의 견인고리(21)가 구명복(1)의 좌측, 우측 앞부분(18, 19)의 상부에 설치되어, 헬리콥터의 구조 등에 용이하게 견인할 수 있는 고리가 제공된다.
미설명된 15번은 역반사체로써, 해난사고자의 위치를 파악하기 용이하게 하고, 구명복(1)이 작업복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역반사체(15)가 몸통 전둘레를 따라 설치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2인 목걸이식 구명복를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되듯이, 목걸이식 구명복(2)은 목도리처럼 목에 걸쳐 착용자 몸 앞부분에 위치하는 구명복이다. 실시예 1인 조끼식 구명복(1)과 같이 부력재(5)로 저밀도 폴리에틸렌 폼 시트(13)가 여러겹 겹쳐져 설치되어, 부력이 크며, 장기간에 걸쳐 해수 등에 잠겨 있더라도 부력의 저하가 거의 없다. 또한, 유연하여 착용자의 활동이 방해받지 않는다. 또는 부력재(5)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폼 시트(13)가 여러겹 겹친 층의 좌우로 저밀도 폴리에틸렌 폼 후판(14)을 각각 설치한 후, 예를 들어 스카치 테이프로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 폼 시트(13)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 폼 후판(14)을 결합시키어, 내피(3)와 외피(4) 사이에 삽입되는 구성일 수도 있다.
1차고정수단(6)이 실시예 1인 조끼식 구명복(1)과 같은 구성으로 설치되나, 다만 목걸이식 구명복(2)은 뒷부분(20)이 없으므로 벨트(12)가 등부분에 봉제되지 않고 자유로운 상태로 설치되고, 좌측 앞부분(19)의 일부분에 상기 벨트(12)가 봉제·고정되어, 먼저 릴리스 버클(9)의 암수버클(10, 11)이 체결된 후, 벨트(12)의 양쪽 끝부분을 잡아 당겨 고정하게 된다. 이 때문에, 구명복(2)이 한쪽으로 치우쳐 착용자의 활동을 방해하는 일이 없고 또한 신속하게 착용할 수 있다.
3차고정수단(8)은, 구명복(2) 좌측 앞부분(18)의 하부 끝부분에 벨트(12)의 끝부분이 봉제되고 다른 끝부분은 암 버클(10)과 결합되어 있고, 또다른 벨트(12)의 끝부분이 구명복(2) 우측 앞부분(19)의 하부 끝부분에 벨트(12)의 끝부분이 봉제되고 다른 끝부분은 수 버클(11)과 결합되어 있어, 착용자의 다리사이로 벨트(12)가 통과되어 버클(24)로 고정하게 되어, 목걸이식 구명복(2)인 경우에도 해수로 점프하는 등의 긴급상황에서도 상기 구명복(2)이 이탈되지 않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구명복에 대한 주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명복의 부력재로 두께가 1.0mm이하이고 비중이 0.16이하인 저밀도 폴리에틸렌 폼 시트를 여러겹 겹쳐 사용함으로써, 부력성이 뛰어나면서도 유연하여착용자의 활동이 방해받지 않는다.
둘째, 벨트의 양쪽 끝부분을 잡아당겨 고정되는 릴리스 버클에 의해, 신속하게 착용할 수 있고, 또한 구명복이 한쪽으로 쏠리어 착용자의 활동이 방해받는 것이 없다.
세째, 목걸이식 구명복에 있어서는 3차고정수단이 장착됨으로써, 구명복을 착용하고 해수에 점프하는 등의 돌발적 상황에서도 벗겨지지 않고 착용자를 보호하게 된다.

Claims (3)

  1. 내피(3)와 외피(4) 사이에, 두께가 1.0mm이하이고 비중이 0.16이하인 저밀도 폴리에틸렌 폼 시트(LDPE FORMED SHEET)(13)가 여러겹 겹쳐져 형성되는 부력재(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명복이 조끼식 구명복(1)이고; 상기 구명복(1) 앞부분(18, 19)에 위치하는, 벨트(12)의 양쪽 끝부분을 잡아당겨 고정되는 릴리스 버클(release buckle)(9)을 가지는 1차고정수단(6)과; 상기 구명복(1) 상단 좌우에 각각 위치하는 한 쌍의 견인고리(21)가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복.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명복이 목걸이식 구명복(2)이고; 상기 구명복(2) 앞부분(18, 19)에 위치하는, 벨트(12)의 양쪽 끝부분을 잡아당겨 고정되는 릴리스 버클(release buckle)(6)을 가지는 1차고정수단(6)과; 상기 구명복(2) 하단에 구명복 착용자의 다리사이로 통과하여 체결되는 3차고정수단(8)이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복.
KR1019990045986A 1999-10-22 1999-10-22 구명복 KR100319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5986A KR100319443B1 (ko) 1999-10-22 1999-10-22 구명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5986A KR100319443B1 (ko) 1999-10-22 1999-10-22 구명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440A KR20000000440A (ko) 2000-01-15
KR100319443B1 true KR100319443B1 (ko) 2002-01-05

Family

ID=19616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5986A KR100319443B1 (ko) 1999-10-22 1999-10-22 구명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944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125B1 (ko) * 2005-11-04 2007-12-07 김고명 구명복
KR102188597B1 (ko) * 2020-05-08 2020-12-08 마문현 헬기구조용 로프 연결웨빙이 부착된 구명조끼
KR20210092494A (ko) * 2020-01-16 2021-07-26 (주)우성아이비 구명조끼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5095B1 (ko) * 2002-10-14 2005-06-13 조성숙 저밀도박판폴리스틸렌을 내피원단 소재로 이용한선박용고부력구명동의 제작방법
KR20090002973U (ko) * 2007-09-20 2009-03-25 신종우 구명조끼
KR20090010670U (ko) * 2008-04-16 2009-10-21 손미향 부력복의 벨트구조
KR20230084347A (ko) 2021-12-03 2023-06-13 주식회사 에이치에스하이테크 3d 프린팅 방법 및 3d 구조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125B1 (ko) * 2005-11-04 2007-12-07 김고명 구명복
KR20210092494A (ko) * 2020-01-16 2021-07-26 (주)우성아이비 구명조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03047B1 (ko) * 2020-01-16 2021-09-16 (주)우성아이비 구명조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88597B1 (ko) * 2020-05-08 2020-12-08 마문현 헬기구조용 로프 연결웨빙이 부착된 구명조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440A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58082B1 (en) Combined ballast and signalling device for a personal flotation device
US6666622B1 (en) Personal flotation device with eccentric fixed and mobile ballast and buoyant members
US6530725B1 (en) Water safety and survival system
US20040157514A1 (en) Variably configured inflatable personal flotation device also serving as an emergency distress marker
US4645465A (en) Scuba gear with combined flotation and transport device
WO2008083077A1 (en) Personal flotation device
WO2019114626A1 (en) One-size-fits-all personal flotation device
KR100319443B1 (ko) 구명복
US6089936A (en) Personal floatation device
US10286986B2 (en) Bouyant inflatable device
US20170043850A1 (en) Life Jacket Attachment
CN207389500U (zh) 一种多功能救生衣
US10549827B2 (en) Life vest
US5823839A (en) Personal flotation device having elastic armhole periphery
USRE42238E1 (en) Combined ballast and signalling device for a personal flotation device
KR101848462B1 (ko) 낚시용 구명조끼
US20030194277A1 (en) No-lock pneumatic coupler
CN212195837U (zh) 一种可以弹开的救生衣
KR20080001017U (ko) 구명부력로프를 구비한 방수복
CN220096603U (zh) 一种可海上个人定位的救生衣
KR200489540Y1 (ko) 구명 조끼
KR102188597B1 (ko) 헬기구조용 로프 연결웨빙이 부착된 구명조끼
KR200283592Y1 (ko) 구명조끼
CN215043576U (zh) 一种船用救生衣
KR102586346B1 (ko) 부력조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