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9234B1 - 핫 스탬핑 포일 - Google Patents

핫 스탬핑 포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9234B1
KR100319234B1 KR1019970081639A KR19970081639A KR100319234B1 KR 100319234 B1 KR100319234 B1 KR 100319234B1 KR 1019970081639 A KR1019970081639 A KR 1019970081639A KR 19970081639 A KR19970081639 A KR 19970081639A KR 100319234 B1 KR100319234 B1 KR 100319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resin
parts
layer
stamping f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81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1380A (ko
Inventor
이화술
나용훈
이상국
Original Assignee
토마스 더블유. 버크맨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마스 더블유. 버크맨,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토마스 더블유. 버크맨
Priority to KR1019970081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9234B1/ko
Publication of KR19990061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1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9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9234B1/ko

Links

Landscapes

  • Duplication Or Mark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열성, 내마모성, 내알콜성을 포함한 내약품성 및 광택이 우수한 핫 스탬핑 포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폴리에스테르 기재, 왁스 이형층, 착색층, 금속층, 및 접착층이 순서대로 적층된 핫 스탬핑 포일에 있어서, 상기 착색층이 이소시아네이트 수지, 이소시아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70 내지 120 중량부의 니트로셀룰로스 수지 및 170 내지 220 중량부의 아크릴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핫 스탬핑 포일
본 발명은 내열성, 내마모성, 내알콜성을 포함한 내약품성 및 광택이 우수한 핫 스탬핑 포일에 관한 것이다.
스탬핑 포일은 플라스틱 성형품, 전자제품, 가죽, 목제품 및 종이 제품 등과 같은 각종 기재에 금속성 색상 패턴 또는 문자를 스탬핑하여 화려한 외관을 부여하고 그들의 상업적 가치를 증대시키는데 사용되며, 보통 폴리에스테르 기재 필름과 그위에 차례로 이형층, 착색층(보호층), 광반사층(금속층) 및 접착층이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스탬핑 포일은 스탬핑되는 기재에 따라 다양한 물성이 요구되는데, 주로 플라스틱 기재위에 스탬핑되고 있는데 이 과정은 고온에서 이루어지므로 스탬핑 포일에는 내열성이 요구되며 특히 스탬핑 포일이 전자 제품의 표면 또는 화장품 케이스 등에 사용될 경우 광택 뿐 아니라 내마모성과 내약품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열성, 내마모성, 내알콜성을 포함한 내약품성 및 광택이 우수한 핫 스탬핑 포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폴리에스테르 기재, 왁스 이형층, 착색층, 금속층, 및 접착층이 순서대로 적층된 핫 스탬핑 포일에 있어서, 상기 착색층이 이소시아네이트 수지, 이소시아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70 내지 120 중량부의 니트로셀룰로스 수지 및 170 내지 220 중량부의 아크릴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 스탬핑 포일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핫 스탬핑 포일의 착색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이소시아네이트와 니트로셀룰로스을 경화반응시켜 우레탄 결합을 형성시킨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수지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삼량체(TDI trimer type)로 이소시아네이트기의 함량이 7.5 내지 8.5%이다.
상기 니트로셀룰로스 수지는 질소함량이 10.7 내지 11.5%으로, 니트로셀룰로스 수지에 포함된 하이드록실기가 이소시아네이트와 경화반응을 일으키며 내열성을 증가시킨다. 니트로셀룰로스 수지는 이소시아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70 내지 120 중량부로 사용될 수 있는데, 니트로셀룰로스 수지의 사용량이 70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내열성이 부족하고 사용량이 120 중량부 초과인 경우에는 상온에서 진행되는 이소시아네이트 수지와 니트로셀룰로스 수지간의 경화반응으로 인해 착색층 조성물 혼합액의 사용가능시간(Pot-life)이 짧아진다.
상기 아크릴 수지로는 100 내지 110℃의 유리전이온도(Tg)와 5 내지 7만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지며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의 함량이 80% 이상인 공중합체인 것으로써, 투명해서 스탬핑 포일의 광택을 유지하고 내마모성과 내열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아크릴 수지는 이소시아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70 내지 220 중량부로 사용될 수 있는데, 아크릴 수지의 사용량이 170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내마모성과 내알콜성이 저하되고 220 중량부 초과인 경우에는 내마모성과 내알콜성은 증가되지만 내열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핫 스탬핑 포일은 상기 착색층 조성물을 미리 왁스 이형층이 도포된 폴리에스테르 기재 필름상에 통상의 방법에 의해 1.5 내지 2.0g/㎡의 양으로 코팅한 후 150 내지 190 ℃에서 5초 내지 20초 동안 열처리함으로써 기재 상에 착색층을 형성시킨 다음, 이 착색층 위에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금속층을 증착시키고 그 위에 접착층을 형성시켜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내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스탬핑 포일의 물성은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1) 박리 수준(이형 정도)
완성된 포일에 셀로판테이프를 1㎝ 폭으로 붙힌 후 떼어낼 때 걸리는 힘의 수준을 1 내지 10 단계로 나누어 평가하였다. 이때 박리가 전혀 안되는 경우는 1 단계이고 매우 약한 힘으로 박리되는 경우는 10 단계이다. 일반적으로 약한 힘으로 박리되는 경우에 사용이 편리하다.
2) 내열성
스탬핑시 전사표면이 소광되는 전사온도를 측정하였다.
3) 내마모성
플라스틱 기재위에 스탬핑 포일을 전사한 후, 표면위에 지우개가 장착된 러빙 시험기(rubbing tester; Clockermeter, James H. Heal & Co. Ltd.)를 왕복시켜 표면이 벗겨지고 금속 증착층이 나타날 때까지의 왕복횟수를 측정하였다.
4) 내알콜성
플라스틱 기재위에 스탬핑 포일을 전사한 후, 표면위를 에탄올이 묻혀진 거즈로 문지르면서 착색층을 벗겨지고 금속 증착층이 나타날 때까지의 마찰 회수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과 2
에스테르 왁스 OP(Hoechst사 제품) 500g을 톨루엔과 메틸에틸케톤의 혼합용제(혼합비 2:1) 200kg에 녹인 이형층 조성물을 폴리에스테르 기재필름위에 그라비아 롤을 이용하여 코팅한 후 120℃에서 5 초간 건조시켰다. 이형층위에 하기 표 1의 조성에 따른 착색층 조성물을 1.7 g/㎡의 양으로 코팅하고 170℃에서 10초간 건조시킨 후 알루미늄을 증착시키고 그위에 아크릴과 비닐 수지의 혼합 접착액(혼합비 6:4)을 1.2 g/㎡의 양으로 코팅하여 스탬핑 포일을 제조하였다.
조 성(kg)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비교예 1 비교예 2
이소시아네이트 TR501) 5.41 5.00 4.76 5.88 5.41 5.13 4.76 5.71 5.88
니트로셀룰로스 수지NC L 1/82) 5.41 5.00 4.76 4.12 3.78 3.59 5.71 2.86 5.88
아크릴 수지 Acryloid A113) 9.19 10.00 10.47 10.00 10.81 11.28 9.52 11.43 8.24
톨루엔 16 16 16 16 16 16 16 16 16
메틸에틸케톤 47 47 47 47 47 47 47 47 47
시클로헥사논 16 16 16 16 16 16 16 16 16
염료 오렌지 G(Orange G)4) 1 1 1 1 1 1 1 1 1
1)애경화학 제품2)미원유화 제품3)롬 앤 하스(Rhom & Hass)사 제품4)시바가이기(Ciba Geigy)사 제품
스탬핑 포일의 박리수준, 내열성, 내마모성 및 내알콜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비교예 1 비교예 2
박리 수준 7 8 9 7 8 9 8 8 8
내열성(℃) 180 170 160 170 160 150 180 140 180
내마모성(회) 82 93 98 48 60 68 102 55 32
내알콜성(회) 76 85 91 43 57 65 88 51 27
표 2에서 보듯이, 실시예 1 내지 7의 스탬핑 포일은 박리수준, 내열성, 내마모성 및 내알콜성 등의 물성이 매우 양호한데 비해 비교예 1(이소시아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중량부의 니트로셀룰로스 수지를 포함)의 스탬핑 포일은 내열성이 낮고 비교예 2(이소시아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60 중량부의 아크릴 수지를 포함)의 스탬핑 포일은 내마모성과 내알콜성이 저조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핫 스탬핑 포일은 이형성, 내열성, 내마모성, 내알콜성을 포함한 내약품성 및 광택이 우수하다.

Claims (4)

  1. 폴리에스테르 기재, 왁스 이형층, 착색층, 금속층, 및 접착층이 순서대로 적층된 핫 스탬핑 포일에 있어서, 상기 착색층이 이소시아네이트 수지, 이소시아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70 내지 120 중량부의 니트로셀룰로스 수지 및 170 내지 220 중량부의 아크릴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 스탬핑 포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수지가 이소시아네이트기 함량이 7.5 내지 8.5%이고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삼량체(TDI trimer type)인 핫 스탬핑 포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니트로셀룰로스가 0.7 내지 11.5%의 질소함량을 갖는 것인 핫 스탬핑 포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수지가 100 내지 110℃의 유리전이온도(Tg)를 갖는 것인 핫 스탬핑 포일.
KR1019970081639A 1997-12-31 1997-12-31 핫 스탬핑 포일 KR100319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1639A KR100319234B1 (ko) 1997-12-31 1997-12-31 핫 스탬핑 포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1639A KR100319234B1 (ko) 1997-12-31 1997-12-31 핫 스탬핑 포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1380A KR19990061380A (ko) 1999-07-26
KR100319234B1 true KR100319234B1 (ko) 2002-02-19

Family

ID=66181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81639A KR100319234B1 (ko) 1997-12-31 1997-12-31 핫 스탬핑 포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923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1380A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62967A2 (en) Method for producing a bright metallized foil or board
KR20010075500A (ko) 전사재, 표면 보호 시트, 및 이들을 사용함에 의한성형품의 제조방법
KR100282701B1 (ko) 금속판 등의 비흡수성 표면에 사용되는 그라비아 전사자와 이를 이용한 전사방법
US6759099B2 (en) Decoration method using thermochromic ink
US5262242A (en) Colored films for use in vacuum forming
KR100319234B1 (ko) 핫 스탬핑 포일
JP2619269B2 (ja) 転写シート
KR19990061381A (ko) 핫 스탬핑 포일
KR19990061389A (ko) 핫 스탬핑 포일
KR100259117B1 (ko) 스탬핑 호일
KR19990024749A (ko) 핫 스탬핑 포일
KR100259202B1 (ko) 핫스탬핑포일
JPH03285000A (ja) 転写シート
KR101083969B1 (ko) 스탬핑 호일
KR100258728B1 (ko) 스탬핑 호일
KR100258729B1 (ko) 스탬핑 호일
KR19990024748A (ko) 핫 스탬핑 포일
KR100206421B1 (ko) 착색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착색층을 갖는 스탱핑 호일
KR100259119B1 (ko) 핫 스탬핑 포일
KR100206419B1 (ko) 착색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착색층을 갖는 스탬핑 호일
KR100259123B1 (ko) 핫스탬핑포일
KR100206420B1 (ko) 착색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착색층을 갖는 스탬핑 호일
KR100259203B1 (ko) 핫스탬핑포일
KR20040020096A (ko) 표면 물성이 우수한 장식 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319233B1 (ko) 스탬핑 호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