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8130B1 - 적산표시부가 경사진 복갑 습식 수도미터 - Google Patents

적산표시부가 경사진 복갑 습식 수도미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8130B1
KR100318130B1 KR1019990015987A KR19990015987A KR100318130B1 KR 100318130 B1 KR100318130 B1 KR 100318130B1 KR 1019990015987 A KR1019990015987 A KR 1019990015987A KR 19990015987 A KR19990015987 A KR 19990015987A KR 100318130 B1 KR100318130 B1 KR 100318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eter
flow rate
display unit
impell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5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4732A (ko
Inventor
최봉철
Original Assignee
김상철
금호미터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철, 금호미터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상철
Priority to KR1019990015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8130B1/ko
Publication of KR19990064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4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8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81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7Integration to give total flow, e.g. using mechanically-operated integrating mechanis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72Arrangement of flow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 G01F1/06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using rotating vanes with tangential admiss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6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량에 따른 임펠러(Impeller)의 회전을 계수하여 그 통과유량을 측정하는 임펠러형(익차식) 수도미터에 관한 것으로서, 적산표시부를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하고, 적산표시부를 회전자유롭도록 한 복갑 습식 수도미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복갑 습식 수도미터는 수도미터 본체와, 상부 커버와, 상부 케이싱(상부 내갑) 및 하부 케이싱(하부 내갑)과, 임펠러와, 유체의 통과유량을 적산하는 적산표시부로 이루어진다. 특히, 적산표시부를 본체에 나사결합되는 체결구에 의해 패킹을 개재하여 장착되고 하면과 상면이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엘보형태로 벤딩된 몸체부와, 몸체부의 하면에 일체로 결합되는 통과유량 눈금표시부와, 몸체부의 상면에 나사결합되는 상부 커버에 의해 패킹을 개재하여 장착되는 통과유량 카운터부로 구성하여 적산표시부를 수도미터 본체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한다. 또한, 적산표시부를 수도미터 본체 및 체결구에 대해 회전 자유롭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여 수도미터 통과유량을 측면방향에서도 확인하기 용이하도록 하고, 수도미터의 좌우 구분을 없애 수도미터의 설치자유도를 높인다.

Description

적산표시부가 경사진 복갑 습식 수도미터{MULTI-JET WET TYPE WATER METER}
본 발명은 일반주택 또는 아파트단지 등의 송수도관을 통하여 공급되는 수도물의 계측에 사용되는 수도미터(Water meter)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량에 따른 임펠러(Impeller)의 회전을 계수하여 그 통과유량을 측정하는 임펠러형(익차식) 수도미터에 관한 것이다.
수도미터는 크게 물을 일정량씩 담아서 측정하는 실측식과, 유체의 속도 또는 임펠러의 회전속도에 따라 실제의 유량을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추측식으로 분류된다. 상기 추측식 수도미터중에서 임펠러형 수도미터는 단갑식과 복갑식으로 세분되고, 더 나아가 측정되는 유수가 적산표시부의 눈금판까지 유입되는 습식 수도미터와, 유수가 적산표시부의 눈금판까지 유입되지 않는 건식 수도미터로 분류된다.
상기한 형태의 종래의 임펠러형 습식 수도미터에 대한 분해사시도와 단면도를 도 5 및 도 6에 도시하였다. 이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종래의 임펠러형 습식 수도미터는 급수라인에 연결되는 유체유입구(120)와 유체유출구(140)가 일체로 형성된 수도미터 본체(100)와, 상기 수도미터 본체(1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커버(200)와, 수도미터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상부 케이싱(상부 내갑)(300) 및 하부 케이싱(하부 내갑)(400)과,상기 상부 및 하부 케이싱(300,4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임펠러(500)와, 상기 임펠러(500)의 회전에 따른 계기용 기어(650)들의 회전에 의해 유체의 통과유량을 적산하는 적산표시부(600)로 구성된다.
하부 케이싱(400)의 측벽 하부에는 다수의 유체유입노즐(420)이 형성되고, 상기 유체유입노즐(420)의 상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체유출노즐(440)이 형성되며, 하부 케이싱(400)의 내측 중앙부에는 지지축(460)이 설치된다. 또한, 다수의 블레이드(Blade)(520)를 갖는 임펠러(500)의 중앙에는 상측으로 연장되는 임펠러축(540)이 관통설치되고, 임펠러축(540)의 하단부에는 상기 지지축(460)이 삽입되는 중공부(560)가 형성되며, 임펠러축(540)의 상단부에는 적산표시부(600)의 기어들(650)를 구동하는 구동기어(580)와 임펠러축(540)의 선단 중앙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선단 지지핀(590)이 형성된다.
한편, 상부 케이싱(300)의 하면 중앙에는 임펠러축(540)이 관통되는 통공(320)이 형성되고, 상부 케이싱(300)의 상측에는 다수의 기어들(650)을 구비하는 적산표시부(600)가 배치되며, 적산표시부(600)의 하부면 중심에는 상기 임펠러축(540)의 선단 지지핀(590)이 삽입되는 지지홈(620)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 및 하부 케이싱(300,400)과 임펠러(500)의 결합시 임펠러축(540)은 상부 케이싱의 통공(320)을 통해 유체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약간의 틈새를 두고 상측으로 돌출되고, 임펠러축(540)의 구동기어(580)와 적산표시부(600)의 기어들(650) 중의 하나는 서로 맞물리게 된다.
유량계측시 수도미터 본체(100)에 형성된 유체유입구(120)를 통해 유입된 유체는 하부 케이싱(400)의 유체유입노즐(420)를 통해 하부 케이싱(400) 내측으로 유입되면서 임펠러(500)를 회전시킨 후 하부 케이싱(400)의 유체유출노즐(440)과 본체의 유체유출구(140)를 통해 유출된다. 이 과정에서 임펠러(500)가 회전하게 되어 임펠러축(540)의 구동기어(580)와 맞물린 적산표시부(600)의 기어들(650)이 회전하게 되고, 이 기어들(650)의 회전을 계수하여 수도미터를 통과하는 유량을 적산 및 표시하게 된다.
상기 임펠러축(540)의 구동기어(580)와 맞물려 회전하는 적산표시부(600)의 기어들(650)에는 각각 수도미터를 통해 물이 통과하고 있음을 표시하는 별모양의 팔랑개비(640)와, 서로 중간기어들을 매개로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0.1L 단위, 1L 단위, 10L 단위 및 100L 단위로 각각 수도미터 통과유량을 표시하는 회전눈금(660)들과, 100L 단위로 회전하는 기어와의 사이에 중간기어를 매개로 연동하면서 ㎥ 단위(1000L 단위)의 숫자로 수도미터 통과유량을 적산 및 계수하는 카운터부(680)가 각각 동일 평면 내지 평행한 평면으로 배치되어 연결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임펠러형 습식 수도미터는 적산표시부가 위쪽을 향하고 있어 통과유량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항상 위쪽에서 아래로 볼 수 있도록 수도미터를 설치해야 되지만, 통과유량을 측면에서 확인하지 않으면 안되게끔 관로가 배설된 경우에는 적산표시부를 확인할 수 있을 정도로 수도미터를 일정각도 기울여서 설치해야 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임펠러축은 물론 서로 연동하는 기어들에 편중된 하중이 작용하게 되어 수도미터 통과유량을 정확하게 적산 및 계수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거나, 또는 기어축에 무리하게 가해지게 되는 하중에 의해 기어가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유체유입구와 유체유출구의 좌우 배치에 관한 구분이 명확하기 때문에 설치시에 유체의 유입방향과 유출방향에 맞게 일방향으로만 설치해야 하는 등 설치자유도가 크게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적산표시부를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하므로써 측면방향에서도 통과유량의 확인이 용이하도록 한 습식 수도미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적산표시부를 수도미터 본체에 대해 회전자유롭게 설치하므로써 유체유입구와 유체유출구의 좌우 배치에 관한 구분을 없애 설치자유도를 높인 습식 수도미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복갑 습식 수도미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복갑 습식 수도미터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복갑 습식 수도미터의 적산표시부의 기어연결을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복갑 습식 수도미터의 평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복갑 습식 수도미터의 측면도.도 5b는 본 발명의 복갑 습식 수도미터의 정면도.
도 6는 종래의 습식 수도미터의 분해사시도.
도 7는 종래의 습식 수도미터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수도미터 본체 20 : 상부 커버
30, 40 : 상부 및 하부 케이싱(상부 및 하부 내갑)
50 : 임펠러 60 : 적산표시부 70 : 체결구
61 : 몸체부 65a : 제1 기어부 65b : 제2 기어부
66 : 통과유량 눈금표시부 68 : 통과유량 카운터부
본 발명은 유체유입구와 유체유출구가 일체로 형성된 수도미터 본체와, 상기 수도미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커버와, 수도미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상부 케이싱(상부 내갑) 및 하부 케이싱(하부 내갑)과, 상부 및 하부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는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의 회전에 따른 계기용 기어들의 회전에 의해 유체의 통과유량을 적산하는 적산표시부로 구성된 복갑 습식 수도미터에 있어서, 적산표시부를 상기 수도미터 본체에 나사결합되는 체결구에 의해 패킹을 개재하여 장착되고 하면과 상면이 20~5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엘보형태로 벤딩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면에 고정수단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는 통과유량 눈금표시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나사결합되는 상부 커버에 의해 패킹을 개재하여 장착되는 통과유량 카운터부로 구성하여 적산표시부를 경사지게 형성한 것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나사결합된 상기 수도미터 본체와 체결구의 사이에 장착되는 상기 적산표시부를 수도미터 본체 및 체결구에 대해 회전 자유롭도록 하므로써 유체유입구와 유체유출구의 구분에 따른 좌우 구분을 없애 수도미터의 설치자유도를 보다 더 높인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부와 통과유량 눈금표시부 사이의 고정수단으로서 접착제나 또는 나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는 본 발명의 복갑 습식 수도미터의 분해사시도와, 수도미터의 각 구성부품의 결합관계를 분해사시도보다 더욱 상세하게 나타낸 종단면도와, 수도미터의 적산표시부의 기어연결을 나타내는 평단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복갑 습식 수도미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복갑 습식 수도미터가 급수라인과 연결되는 유체유입구(12)와 유체유출구(14)가 형성된 수도미터 본체(10)와, 상기 수도미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상부 케이싱(상부 내갑)(30) 및 하부 케이싱(하부 내갑)(40)과, 상부 및 하부 케이싱(30,40)내에 설치되어 유체의 흐름에 의해 회전하는 임펠러(50)와, 상기 임펠러(50)의 임펠러축(54)에 형성된 구동기어(58)와 맞물려 임펠러(5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기어부에 연동하여 수도미터를 통과하는 유체의 통과유량을 적산 및 표시하는 적산표시부(60)로 이루어짐은 종래의 수도미터와 동일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복갑 습식 수도미터의 적산표시부(60)는 수도미터 본체(10)와 나사결합하는 체결구(70)에 의해 수도미터 본체(10)의 상부에 패킹(18)을 개재하여 장착되고 하면과 상면이 20~5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엘보형태로 벤딩된 몸체부(61)와, 상기 몸체부(61)의 하면 내측에 일체로 결합되는 통과유량 눈금표시부(66)와, 상기 몸체부(61)의 상부와 나사결합되는 상부 커버(20)에 의해 몸체부(61)의 상면에 패킹(69)을 개재하여 장착되는 통과유량 카운터부(68)를 구비한다.
종래에는 회전눈금들과 통과유량 카운터부가 서로 동일 평면 또는 평행한 평면상에 배치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통과유량 눈금표시부(66)와 통과유량 카운터부(68)가 소정 각도 경사진 평면상에 배치되어 있고, 이러한 구조에 알맞게 종래와는 다른 기어연결이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몸체부(61)는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엘보형태로 벤딩하여 라운딩 형성하므로 그 상면에 통과유량 카운터부(68)를 장착했을 때 전체적으로는 적산표시부(60)의 통과유량 카운터부(68)가 수평면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진 형태를 이룬다.
그리고, 상기 통과유량 눈금표시부(66)는 임펠러축(54)의 구동기어(58)와 맞물려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1 기어부(65a)와, 상기 제1 기어부(65a)의 기어들 중의 일부 기어들의 축 상단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별모양의 팔랑개비(66a) 및 회전눈금(66b)들을 구비하여 수도미터를 통해 물이 흐르고 있음을 표시하는 동시에, 0.1L 단위, 1L 단위, 10L 단위 및 100L 단위의 아날로그방식으로 수도미터 통과유량을 적산 및 표시한다.
또한, 상기 통과유량 카운터부(68)는 숫자표시판을 작동시키는 작동기어(64)를 구비하고 있고, 이 작동기어(64)는 제2 기어부(65b)와 맞물려 연동 회전한다. 상기 제2 기어부(65b)는 기다란 축의 하단에 제1 기어부(65a)의 마지막 기어, 즉 100L 단위의 회전눈금을 작동시키는 기어와 맞물리는 평기어를 구비하고, 기다란 축의 상단에 통과유량 카운터부(68)의 작동기어(64)와 맞물리는 워엄기어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제2 기어부(65b)가 상하로 기다란 형태를 갖기 때문에 통과유량 카운터부(68)가 통과유량 눈금표시부(66)와 일정 거리 상하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어도 기어연결의 어려움 없이 통과유량 카운터부(68)를 작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통과유량 카운터부(68)는 ㎥ 단위(1000L 단위)의 숫자로, 즉 디지탈방식으로 수도미터 통과유량을 카운팅하여 적산 및 표시한다.
한편, 통과유량 눈금표시부(64)와 통과유량 카운터부(68)로 구성된 적산표시부(60)는 수도미터 본체(10)와 체결구(70)에 대해 회전자유로운데, 이를 도 2를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적산표시부(60)를 서로 나사결합되는 수도미터 본체(10)와 체결구(7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여 수도미터 본체(10)의 상부에 장착한다. 이때, 적산표시부(60)의 몸체부(61)와 수도미터 본체(10) 사이에는 패킹(18)을 개재하므로써 적산표시부(60)와 수도미터 본체(10)의 체결부분을 수밀상태로 유지시키면서 적산표시부(60)와 수도미터 본체(10)가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서로 접하는 적산표시부 몸체부(61)와 체결구(70)도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하고, 적산표시부 몸체부(61)의 내측면에 적산표시부(60)의 통과유량 눈금표시부(66)를 고정수단에 의해 일체로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으로는 접착제 또는 나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적산표시부 몸체부(61)를 수도미터 본체(10)와 체결구(7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면 적산표시부(60)의 통과유량 눈금표시부(66)와 통과유량 카운터부(68)도 몸체부(61)와 일체로 함께 회전하므로 기어연결에 어떠한 변화도 발생하지 않으며, 적산표시부의 회전에 관계없이 수도미터 통과유량을 적산 및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수도미터 본체(10)와 적산표시부 몸체부(61)의 사이에는 패킹(18)을 배치하고, 적산표시부 몸체부(61)와 통과유량 카운터부(68)의 사이에 패킹(69)을 각각 배치하므로써 수도미터 본체(10)에 대한 적산표시부(60)의 상대적 회전에 관계없이 수도미터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가 수도미터 외부로 누설될 가능성을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산표시부(60)가 서로 나사결합되는 수도미터 본체(10)와 체결구(70)에 대해 수밀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자유로우므로 수도미터 본체(10)에 형성되는 유체유입구(12)와 유체유출구(14)에 의해 구분되는 수도미터의 좌우 구분이 불필요해진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수도미터를 뚜껑을 제거한 상태에서 상방에서 아래로 내려다 본 상태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5a 및 도 5b는 수도미터를 측면 및 정면방향에서 바라 본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정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적산표시부를 관찰자가 보는 방향에 맞추어 수도미터 본체에 대해 회전시킬 수 있음을 나타낸다.
수도미터의 설치상태에 따라 수도미터를 상방에서 아래로 내려다 보면서 확인해야 하는 경우에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통과유량 눈금표시부(66a,66b)와 통과유량 카운터부(68)를 확인하므로써 통과유량을 파악할 수 있고, 수도미터를 측면 방향에서 바라보면서 확인해야 하는 경우에는 통과유량 카운터부(68)만을 확인하므로써도 충분히 통과유량을 파악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수도미터 본체에 대해 적산표시부를 경사진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하게 되면 사람이 수도미터 통과유량을 측면에서 보면서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배관의 형태에 따라 종래와 같이 수도미터를 일정 각도 틀어서 경사지게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임펠러축이나 기어축 및 기어이빨에 편중된 하중이 작용하지 않게 되어 손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대폭 줄어 드는 동시에, 통과유량을 정확하게 적산 및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적산표시부가 수도미터 본체에 대해 누수의 염려없이 회전 자유롭게 되면 유체유입구와 유체유출구의 형성에 따라 수도미터의 좌우 구분을 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유체유입구를 유체유출구로, 유체유출구를 유체유입구로 방향을 바꿔 수도미터를 설치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수도미터의 설치 자유도가 대폭 높아지게 된다.

Claims (3)

  1. 유체유입구와 유체유출구가 형성된 수도미터 본체와, 상기 수도미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커버와, 수도미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상부 케이싱(상부 내갑) 및 하부 케이싱(하부 내갑)과, 상기 상부 및 하부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는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의 회전에 따른 계기용 기어들의 회전에 의해 유체의 통과유량을 적산하는 적산표시부로 구성된 수도미터에 있어서, 상기 적산표시부를, 수도미터 본체에 나사결합되는 체결구에 의해 패킹을 개재하여 장착되고 하면과 상면이 20~5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엘보형태로 벤딩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면에 고정수단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는 통과유량 눈금표시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나사결합되는 상부 커버에 의해 패킹을 개재하여 장착되는 통과유량 카운터부로 구성하여 측면을 향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산표시부가 경사진 복갑 습식 수도미터.
  2. 제 1항에 있어서, 서로 나사결합되는 상기 수도미터 본체와 체결구에 의해 장착되는 상기 적산표시부를 수도미터 본체 및 체결구에 대해 회전 자유롭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산표시부가 경사진 복갑 습식 수도미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와 통과유량 눈금표시부 사이의 상기 고정수단은 접착제 또는 나사임을 특징으로 하는 적산표시부가 경사진 복갑 습식 수도미터.
KR1019990015987A 1999-05-04 1999-05-04 적산표시부가 경사진 복갑 습식 수도미터 KR100318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5987A KR100318130B1 (ko) 1999-05-04 1999-05-04 적산표시부가 경사진 복갑 습식 수도미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5987A KR100318130B1 (ko) 1999-05-04 1999-05-04 적산표시부가 경사진 복갑 습식 수도미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4732A KR19990064732A (ko) 1999-08-05
KR100318130B1 true KR100318130B1 (ko) 2001-12-22

Family

ID=54776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5987A KR100318130B1 (ko) 1999-05-04 1999-05-04 적산표시부가 경사진 복갑 습식 수도미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813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4732A (ko) 1999-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46007B2 (ja) サイクロンタービンフローメータ
KR100318130B1 (ko) 적산표시부가 경사진 복갑 습식 수도미터
KR200173886Y1 (ko) 적산표시부가 경사진 복갑 습식 수도미터
KR100306214B1 (ko) 유량 측정장치
EP0212000B1 (en) Flow meter
JP3188823B2 (ja) 浄水器のフィルターカートリッジ
PT2087322E (pt) Contador volumétrico para fluidos em circulação, com acoplamento selectivo entre o dispositivo de contagem e a unidade aritmética
KR19990064731A (ko) 카운터부 표시창을 측면에 형성한 복합 습식 수도미터
CN212007372U (zh) 一种自动纠错的无线水表
US7472609B1 (en) Fluid meter
CN201144692Y (zh) 煤层气井井口质量流量计
CN210570867U (zh) 水表
CN210108457U (zh) 一种防起雾垂直螺翼式液封表
US2018361A (en) Fluid meter
CN2499802Y (zh) 全塑料新型水表
CN209230692U (zh) 一种高精度机械水表
KR200173841Y1 (ko) 유량 측정장치
KR100383227B1 (ko) 정수기의 필터교환시기 표시장치
CN219996242U (zh) 一种电子计量水表
CN214180125U (zh) 出水嘴及净水设备
CN214748205U (zh) 一种适用于油田用的刮板流量计
KR200364972Y1 (ko) 유량검출용 계량기
CN219913456U (zh) 一种燃气热水器
JP5188518B2 (ja) 流量計
KR19980057464U (ko) 수도 계량기의 오차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