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7144B1 - Cistern - Google Patents

Cister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7144B1
KR100317144B1 KR1019940029271A KR19940029271A KR100317144B1 KR 100317144 B1 KR100317144 B1 KR 100317144B1 KR 1019940029271 A KR1019940029271 A KR 1019940029271A KR 19940029271 A KR19940029271 A KR 19940029271A KR 100317144 B1 KR100317144 B1 KR 100317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bowl
support
pair
bracket
stru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92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50014499A (en
Inventor
피터로스던스탄
Original Assignee
지.제이.맥그래스
카로마인더스트리즈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제이.맥그래스, 카로마인더스트리즈리미티드 filed Critical 지.제이.맥그래스
Publication of KR950014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449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7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7144B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1Shape or selection of material for flushing cisterns
    • E03D1/012Details of shape of cisterns, e.g. for connecting to wall, for supporting or connecting flushing-device actuators
    • E03D1/0125Details of shape of cisterns, e.g. for connecting to wall, for supporting or connecting flushing-device actuators of built-in cister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상의 프레임벽의 한쌍의 인접한 지주들 사이에 설치될 수 있는 변기수조를 개시하고 있다. 변기수조의 정면에서 후면치수는 통상의 클래드재의 어느것으로도 감싸질 수 있는 지주의 정면에서 후면치수보다 작다. 각 지주에 1개의 지지 브래킷이 설치되고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지지 브래킷은 적정 위치에 변기수조를 지지시킨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toilet bowl that can be installed between a pair of adjacent struts of a conventional frame wall. The rear dimension at the front of the toilet bowl is smaller than the rear dimension at the front of the strut which can be wrapped with any of the conventional cladding materials. One support bracket is installed on each shore, and two support brackets facing each other support the toilet bowl in a proper position.

Description

변기수조 {Cistern}Toilet bowl {Cistern}

본 발명은 변기수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의 실제 수직 지주에 의해 이간되고 이에 고착된 정면 및 후면층으로 이루어진 프레임 벽내에 설치될 수 있는 변기수조 어셈블리 (assembly)에 관한 것이다.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bowl,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ilet bowl assembly that can be installed in a frame wall consisting of front and rear layers spaced apart and secured to a plurality of actual vertical struts.

욕실 또는 화장실의 벽면 또는 임시 간막이 뒤에 가려져 있는 변기수조에 대한 요구가 갈망되어 왔다.There has been a desire for toilet bowls in which a wall or temporary barrier behind a bathroom or toilet is hidden.

변기수조는 상당한 정면에서 후면 치수를 갖기때문에, 지금까지는 지주의 정면에서 후면치수 및, 벽의 정면과 후면의 내부사이의 간격이 단지 70mm인 표준 프레임 벽내에 이러한 변기수조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았다. 그 대신에, 그 목적을 위해 특별히 설치되고, 전형적으로 구조벽의 정면에서 짧은 거리로 간격을 두고, 프레임 벽의 후면이 구조벽에 접하여 보이지 않기 때문에 정면 클래드(cladd)층 만으로 제공된 임시벽내에 변기수조가 설치된다. 이러한 배열구조는 가려진 시스템(concealed system)이 지금까지는 예를 들어 목재 또는 금속 지주의 어느 하나에 고착된 플라스터 보드(plaster board)의 2층으로 형성된 통상의 내부 분할벽에 의해 형성되는 캐버티(cavity) 내에 위치될수 없기 때문에 욕실 설치비용에 실직적으로 추가된다.Since toilet bowls have substantial front to rear dimensions, it has not been possible to install such a toilet in a standard frame wall so far the rear dimension at the front of the post and the interior between the front and rear of the wall is only 70 mm. Instead, it is installed specially for that purpose, typically spaced a short distance from the front of the structural wall, and the toilet in a temporary wall provided only with a front clad layer, since the back of the frame wall is not visible in contact with the structural wall. A water tank is installed. This arrangement is a cavity in which a concealed system is formed by a conventional internal dividing wall so far formed of two layers of plaster boards, for example, fixed to either wood or metal struts. Because it can't be located in the bathroom, it adds to the bathroom installation cost.

본 발명의 목적은 이렇게 설치될 수 있는 변기수조 어셈블리를 제공하여 변기수조가 가려진 욕실의 설치비용을 저감시키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ilet bowl assembly that can be installed in this way to reduce the installation cost of the bathroom is covered toilet bowl.

본 발명의 제1 양상에 따라, 다수개의 실제 수직 지주에 의해 이간되고 이에 고착된 정면과 후면층으로 이루어진 프레임벽에 설치하기 위한 변기수조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변기수조 어셈블리가 인접한 한쌍의 지주사이에 설치하기 위해 적합되고, 각각 상기층들 사이의 정면에서 후면 간격을 결정하는 지주의 치수보다 작은 정면에서 후면의 최대치수를 갖고 상기 인접한 한쌍의 지주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좌측에서 우측의 최대치수를 갖는 변기수조 본체와 뚜껑으로 구성되되, 상기 변기수조 본체가 상기 본체의 베이스에 인접한 한쌍의 지지면을 가지며, 상기 변기수조 어셈블리가 상기 인접한 한쌍의 지주의 대향면중 한면에 고착되게 하는 설치면과 일단(하단)에 지지 플랜지를 각각 갖는 한쌍의 지지 브래킷 및, 상기 설치면과 지지 플랜지가 위치되는 한쌍의 이간된 모서리억제수단 (edge restraint means)으로 더 구성되되, 상기 모서리 억제 수단들 사이에 각 브래킷의 최대 외부 치수가 정면에서 후면의 지주치수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모서리 억제 수단들 사이의 내부치수가 상기 변기수조 본체와 뚜껑의 상기 변기수조 어셈블리가 제공되어 있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toilet bowl assembly for installation in a frame wall consisting of a front and a rear layer spaced apart and secured to a plurality of actual vertical struts, the toilet bowl assembly is disposed between a pair of adjacent struts. Suitable for installation, each having a maximum dimension of the rear to the front that is smaller than the dimension of the strut which determines the rear spacing at the front between the layers and a maximum dimension of the left to right smaller than the gap between the adjacent pair of struts Comprised of a toilet bowl body and a lid, wherein the toilet bowl body has a pair of support surfaces adjacent to the base of the body, the installation surface and one end so that the toilet bowl assembly is fixed to one of the opposing surfaces of the adjacent pair of struts A pair of support brackets each having a support flange at the bottom and the mounting surface and the support flange And a pair of spaced edge restraint means, wherein the maximum external dimension of each bracket between the edge restraint means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post dimension from the front to the back and between the edge restraint means. An internal dimension of the toilet bowl assembly of the toilet bowl body and the lid is provided.

바람직하게는, 각 지지 브래킷은 상기 변기수조 본체와 맞물리고 상기 지지 플랜지의 반대측에 래치수단을 포함한다.Preferably, each support bracket engages with the toilet bowl body and includes latching means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upport flange.

바람직하게는, 모서리억제수단은 그 베이스로서 상기 설치면을 갖더라도 실제 U자형의 대향측 벽들로 구성된다.Preferably, the corner restraining means consists of opposing side walls of the actual U-shape even though it has the mounting surface as its base.

바람직하게는, 각 브래킷의 타단(상단)에는 측벽이 연장되어 한쌍의 이간된 돌출부를 형성한다.Preferably, the other end (top) of each bracket extends to form a pair of spaced apart protrusions.

본 발명의 제2 양상에 따라, 다수개의 수직지주에 의해 이간되고 이에 고착된 정면 및 후면층으로 이루어진 프레임벽내에 변기수조를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지주를 설치하고나서, 상기 지주에 상기층들을 고착하기전에, (i) 한쌍의 인접한 지주사이에 한쌍의 지지브래킷을 설치하되, 각 브래킷은 상기 한쌍의 인접한 지주의 대향면 중 하나에 고착되는 설치면, 각 브래킷의 일단(하단)에 지지 플랜지, 및 상기 설치면과 지지 플랜지가 위치되는 한쌍의 이간된 모서리억제수단을 가지며, 상기 브래킷이 상기 지지 플랜지와 최하단에 서로 접하여 설치되며, (ii)변기수조 본체의 지지면이 상기 지지플랜지에 접할때까지 한쌍의 각 모서리억제수단사이에 형성된 공간내에 변기수조 본체와 뚜껑을 위로부터 활주시키고, (iii) 상기층의 하나 또는 모두를 상기 지주에 고착시키는 단계로 구성되는 변기수조 설치방법이 제공되어 있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installing a toilet bowl in a frame wall composed of a front and a rear layer spaced apart from and fixed to a plurality of vertical supports, wherein the support is installed, and then the layer is formed on the support. Before fixing them, (i) install a pair of support brackets between a pair of adjacent struts, each bracket being supported on one side of the bracket (installation surface), the mounting surface being fixed to one of the opposing surfaces of the pair of adjacent struts. A flange, and a pair of spaced edge inhibiting means in which the installation surface and the support flange are positioned, wherein the bracket is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support flange and the lowermost end, and (ii) the support surface of the toilet bowl body is mounted on the support flange. Slide the toilet bowl body and lid from above in the space formed between each pair of corner restraining means until contacted, and (iii) one or all of the layers above. A method toilet tank installation consisting of a step of fixing the holding group is provided.

바람직하게는 브래킷은 래치수단을 포함하고 변기수조 본체는 상기 (iii)단계이전에 래치수단과 각 브래킷의 지지 플랜지 사이에 클램프(clamp) 된다.Preferably the bracket comprises a latch means and the toilet bowl body is clamped between the latch means and the support flange of each bracket before step (iii).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제1도에서 알수있는 바와같이, 화장실팬(lavotory pan)1은 욕실 또는 화장실 3의 바닥 2상에 설치된다. 팬1의 후미상방에 설치된것은 L자형의 수세관 5에 의하여 팬에 연결되어 있는 가려진(또는 은폐된) 변기수조 4이다. 제1도에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같이, 팬1에는 통상형태의 하수구(도시되어 있지않음)에 팬1을 연결하는 S트랩(trap) 6또는 P트랩 7중 어느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As can be seen in FIG. 1, a lavotory pan 1 is installed on the floor 2 of the bathroom or toilet 3. Installed above the rear of fan 1 is a covered (or concealed) toilet 4 which is connected to the fan by an L-shaped tubule 5. As indicated by the dashed line in FIG. 1, the fan 1 may be provided with either an S trap 6 or a P trap 7 connecting the fan 1 to a conventional sewer (not shown).

변기수조 4를 설치하는 벽 10은 석고판, 타일(tile)로 덮힌 합판, 판금 또는 기타 통상의 클래드 표면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는 정면층 11과 후면층 12로 형성된다. 변기수조 4에 중앙위치이되, 상단위치에서 정면층 11상에 위치된 것은 액세스판(access plate) 13이다. 액세스판 13상에는 1개 이상의 수세버튼 14가 설치된다.The wall 10 on which the toilet bowl 4 is installed is formed of a front layer 11 and a rear layer 12, which can be formed from gypsum board, tiled plywood, sheet metal or other conventional clad surfaces. Centrally located in the basin 4 but located on the front floor 11 in the top position is an access plate 13. One or more flush buttons 14 are installed on the access plate 13.

정면층 11과 후면층 12의 내부사이의 간격은 벽 10이 실제 통상의 내벽이고 욕실3을 인접한 욕실 15와 분리하는데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단지 70mm이라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알수 있다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interior of the front layer 11 and the rear layer 12 is only 70 mm since the wall 10 is the actual inner wall and can be used to separate the bathroom 3 from the adjacent bathroom 15.

제2도-제8도에서 명백히 알수 있는 바와같이, 변기수조 4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으로 부터 2개의 성형편으로 성형되어 변기수조 본체 18과 변기수조 뚜껑 19를 갖는다. 뚜껑 19내에는 입구 22가 설치되어 있다.As can be seen clearly in FIGS. 2 to 8, the toilet bowl 4 is preferably molded from two pieces of plastic to have a toilet bowl body 18 and a toilet bowl lid 19. Inlet 22 is provided in lid 19.

변기수조 본체 18은 변기내로 향하는 "내부" 오버플로우(overflow)로서도 기능하는 중공의 수세출구 23으로 구비된다. 어느 응용 분야, 즉 부패탱크에 있어서는 외부 오버플로우가 필요로 하므로, 변기수조 본체는 또한 변기수조의 내부에 대략 수직으로 연장하는 오버플로우관(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연결되는 오버플로우 출구 24와 2개의 지지면 25를 갖는다. 오버플로우 출구 24는 지지면 25중 한면을 통하여 연장되고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오버플로우 출구 24를 우측 또는 좌측으로 위치조절하기 위해 제공될 수가 있다.The toilet bowl body 18 is provided with a hollow flush outlet 23 that also functions as an "internal" overflow into the toilet. In some applications, that is, in the case of a decay tank, an external overflow is required, so that the toilet bowl body also has two overflow outlets 24 and two connected to an overflow tube (not shown) that extends approximately perpendicular to the interior of the toilet bowl. Has a support surface 25. Overflow outlet 24 extends through one of the support surfaces 25 and may be provided to position the overflow outlet 24 to the right or left as shown in FIG.

제9도에서 알수 있는 바와같이, 2개의 동일한 지지 브래킷 30은 정면층 11과 후면층 12를 최종 고착하는 한쌍의 인접한 지주 31사이에 변기수조 4를 설치하는데 사용된다.As can be seen in FIG. 9, two identical support brackets 30 are used to install the toilet bowl 4 between a pair of adjacent struts 31 which finally secure the front layer 11 and the rear layer 12.

각 지지 브래킷 30은 이 지지 브래킷 30을 지주 31의 2개의 대향면에 못으로 고정하거나 다른 방법으로 고착하게 할 수 있는 2개의 개구 33을 갖는 실제 평평한 설치면 32를 갖는다. 더우기, 각 지지브래킷 30은 그 하단에 지지 플랜지(flange) 34를 갖는다. 각 지지플랜지 34는 지지면 25를 지지플랜지 34에 접할수 있는 오버플로우 출구 24를 수납하도록 형상된 만곡부(bight) 35를 갖는다.Each support bracket 30 has an actual flat mounting surface 32 with two openings 33 which can nail or otherwise secure the support bracket 30 to the two opposing surfaces of the strut 31. Furthermore, each support bracket 30 has a support flange 34 at the bottom thereof. Each support flange 34 has a bend 35 shaped to receive an overflow outlet 24 that can contact the support surface 25 with the support flange 34.

각 지지 브래킷 30은 설치면 32와 함께 대략 U자형 홈통(trough)을 형성하는 한쌍의 측벽 37를 갖는 대략 U자형의 외관을 갖는다.Each support bracket 30 has an approximately U-shaped appearance with a pair of side walls 37 that together with the installation surface 32 form an approximately U-shaped trough.

지지 브래킷 34의 상단에는 측벽 37이 한쌍의 돌기부(lug) 38을 형성하도록연장되어 있다.At the top of the support bracket 34, the side wall 37 is extended to form a pair of lugs 38.

설치면 32에서 눌러진 것은 해제가능한 스프링 래치 39이고, 이 자유단은 변기수조 4의 각 측벽의 상부 모서리에 위치된 요부 40과 맞물리게 할 수 있다.Pressed on the mounting surface 32 is a releasable spring latch 39, which can engage the recess 40 located at the upper edge of each side wall of the toilet bowl 4.

설치공정을 행하기 위하여, 벽 10의 지주를 세우고 정면층 11을 이 지주에 고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에, 수세관 5와 액세스판 13을 위해 정면층 11에 개구를 형성한다. 그 다음에, 후면으로 부터, 즉 인접한 욕실 15내에서 작용하는 위치에 고착된 바닥 2와 수세관 5에 팬1을 설치한다.In order to perform the installation process, it is preferable to erect the posts of the wall 10 and fix the front layer 11 to the posts. Next, an opening is formed in the front layer 11 for the water pipe 5 and the access plate 13. Then, fan 1 is installed on floor 2 and flush tube 5 which are fixed from the rear side, ie in the working position in adjacent bathroom 15.

다음에, 한쌍의 브래킷 30을 바닥 2위에 동일한 높이에 각각 지주 31에 못으로 고정하고, 변기수조 4를 돌기부 38과 측벽 37사이의 공간내에 위로부터 활주시킨다. 이러한 활주운동은 지지면 25가 변기수조 4의 측벽에 의해 설치면 32쪽으로 눌러져 요부 40과 맞물려 채워져서 그 위치에 변기수조 4를 견고히 고착하거나 고정시키는 스프링 래치 39의 시기를 정하는 지지플랜지 34에 접할때까지 계속된다. 입구 22, 수세출구 23 및 오버플로우 출구 24에 대하여 나머지 배관 연결을 완결한다. 그 다음에, 지주 31에 후면층 l2를 고착한다.Next, the pair of brackets 30 are nailed to the struts 31 at the same height on the bottom two, and the toilet bowl 4 is slid from above in the space between the protrusions 38 and the side walls 37. This sliding motion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upport flange 34, which is timed for the spring latch 39 to hold the support surface 25 pressed against the installation surface 32 by the side wall of the toilet bowl 4 and engaged with the recess 40 to firmly fix or fix the toilet bowl 4 in its position. Until it continues. Complete the remaining pipe connections to inlet 22, flush outlet 23 and overflow outlet 24. Then, the back layer l2 is fixed to the strut 31.

결과적으로, 변기수조 4의 수리는 예를들면 변기수조 기구의 입구 또는 수세밸브에서의 썩기쉬운 고무부품을 교체하기 위해 요구되고, 액세스판 13을 거쳐 뚜껑 19를 제거하여 변기수조 4의 내부에 접근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시된다 .As a result, the repair of the toilet bowl 4 is required, for example, to replace perishable rubber parts at the inlet of the toilet bowl mechanism or the flush valve, and the lid 19 is removed via the access plate 13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toilet bowl 4. It becomes clear that it can.

이상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만을 설명한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로 부터 벗어남이 없이 변경을 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하다 .The foregoing has described only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도는 화장실 팬,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한 변기수조, 및 변기수조를 내부에 설치하여 단면으로 도시한 프레임벽의 측면도.1 is a side view of a frame wall in which a toilet pan, a toilet bow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and a toilet bowl are installed inside and shown in cross section.

제2도는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변기수조 본체와 뚜껑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ilet bowl main body and a lid of a preferred embodiment.

제3도는 제2도의 변기수조의 평면도.3 is a plan view of the toilet bowl of FIG.

제4도는 제2도의 변기수조의 정면도.4 is a front view of the toilet bowl of FIG.

제5도는 제2도의 변기수조의 저면도.5 is a bottom view of the toilet bowl of FIG.

제6도는 제2도의 변기수조의 배면도.6 is a rear view of the toilet bowl of FIG.

제7도 및 제8도는 각각 제2도의 변기수조의 좌우측면도.7 and 8 are left and right side views of the toilet bowl of FIG.

제9도는 변기수조를 설치하는 지지 브래킷과 인접한 한쌍의 지주(stud)를 도시한 확대사시도.9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ir of studs adjacent to a support bracket for installing a toilet bowl.

Claims (10)

다수개의 실제 수직 지주에 의해 이간되고 이에 고착된 정면과 후면층으로 이루어진 프레임벽내에 설치하기 위한 변기수조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변기수조 어셈블리가 인접한 한쌍의 지주사이에 설치하기 위해 적합되고, 각각 상기 층들사이의 정면에서 후면간격을 결정하는 지주의 치수보다 작은 정면에서 후면의 최대치수를 갖고 상기 인접한 한쌍의 지주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좌측에서 우측의 최대치수를 갖는 변기수조 본체와 뚜껑으로 구성되되, 상기 변기수조 본체가 상기 본체의 베이스에 인접한 한쌍의 지지면을 가지며, 상기 변기수조 어셈블리가 상기 인접한 한쌍의 지주의 대향면중 한면에 고착되게 하는 설치면과 일단(하단)에 지지 플랜지를 각각 갖는 한쌍의 지지 브래킷 및, 상기 설치면과 지지플랜지가 위치되는 한쌍의 이간된 모서리억제수단으로 더 구성되되, 상기 모서리억제수단들 사이에 각 브래킷의 최대 외부치수가 정면에서 후면의 지주치수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모서리 억제수단들 사이의 내부치수가 상기 변기수조 본체와 뚜껑의 상기 정면에서 후면의 최대치수보다 큰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수조 어셈블리.A toilet bowl assembly for installation in a frame wall consisting of a front and a rear layer spaced apart and secured to a plurality of actual vertical struts, the potty assembly being adapted for installation between a pair of adjacent struts, each of the layers Comprised of a toilet bowl body and a lid having a maximum dimension of the rear to the rear in the front and smaller than the dimension of the struts to determine the rear gap in the front between and having a maximum dimension of the left to right small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adjacent pair of struts, The toilet bowl main body has a pair of support surfaces adjacent to the base of the main body, and a pair having a support flange at one end (lower end) and an installation surface for allowing the toilet bowl assembly to be fixed to one of opposite surfaces of the adjacent pair of struts. Support bracket and a pair of spaced apart spacers on which the mounting surface and the support flange are located The restraining means further comprises a maximum external dimension of each bracket between the corner restraining means less than or equal to the holding dimension of the rear from the front and the inner dimension between the corner restraining means of the toilet bowl body and the lid Toilet bowl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larger than the maximum size from the front to the rea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각 지지 브래킷이 상기 변기수조 본체와 맞물릴 수 있고 상기 지지 플랜지의 반대측에 있는 래치수단을 포함하는 변기수조 어셈블리.The toilet bowl assembly of claim 1, wherein each of the support brackets can engage the toilet bowl body and include latching means opposite the support flange.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래치수단이 상기 지지 브래킷의 재료로 부터 형성되는 변기수조 어셈블리.A toilet bowl assembly in which said latch means is formed from a material of said support bracket.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모서리억제수단이 그 베이스로서 상기 설치면을 갖는 실제 U자형 홈통의 대향측벽으로 구성되는 변기수조 어셈블리.The toilet bowl assembly comprising the opposite side wall of the actual U-shaped gutter having the installation surface as its base.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지지 브래킷의 타단에 상기 측벽이 한쌍의 이간된 돌기부를 형성하도록 연장되는 변기수조 어셈블리.Toilet bowl assembly extending to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bracket so that the side wall to form a pair of spaced protrusion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지지면이 상기 지지 브래킷을 상기 지주에 고착할때 실제 수평하고 상기 설치면이 실제 평평한 변기수조 어셈블리.A toilet bowl assembly in which said support surface is substantially horizontal and said installation surface is substantially flat when said support bracket is secured to said support. 다수개의 수직 지주에 의해 이간되고 이에 고착된 정면 및 후면층으로 이루어진 프레임벽 내에 변기수조를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주를 설치하고 나서, 상기 지주에 상기층들을 고착 하기전에, (i) 한쌍의 인접한 지주사이에 한쌍의 지지 브래킷을 설치하되, 각 브래킷은 상기 한쌍의 인접한 지주의 대향면중 하나에고착되는 설치면, 각 브래킷의 일단(하단)에 지지 플랜지, 및 상기 설치면과 지지 플랜지가 위치되는 한쌍의 이간된 모서리억제수단을 가지며, 상기 브래킷이 상기 지지 플랜지와 최하단에 서로 접하여 설치되며, (ii) 변기수조 본체의 지지면이 상기 지지 플랜지에 접할때까지 한쌍의 각 모서리억제수단 사이에 형성된 공간내에 변기수조 본체와 뚜껑을 위로부터 활주시키고, (iii) 상기층의 하나 또는 모두를 상기 지주에 고착시키는 단계로 구성되는 변기수조 설치방법.A method of installing a toilet bowl in a frame wall composed of front and rear layers separated and secured by a plurality of vertical struts, the method comprising: (i) a pair after the strut is installed and before the layers are fixed to the strut; A pair of support brackets are installed between adjacent struts, each bracket having an mounting surface fixed to one of the opposing surfaces of the pair of adjacent struts, a support flange at one end (lower end) of each bracket, and the mounting surface and a support flange It has a pair of spaced corner restraining means positioned, the bracket is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support flange and the lowermost end, (ii) between each pair of corner restraining means until the support surface of the toilet bowl body abuts the support flange The toilet bowl body and the lid are slid from above in a space formed in the chamber, and (iii) one or all of the layers are fixed to the post. To install the toilet water tank consisting of a step.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지지 브래킷의 각각이 상기 변기수조 본체와 상호 작동가능한 래치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변기수조 본체가 상기 (iii)단계 이전에 각 브래킷의 상기 지지 플랜지와 래치수단 사이에 클램프되는 변기수조 설치방법.And each of said support brackets comprises latching means interoperable with said toilet bowl body and said toilet bowl body is clamped between said support flange and latching means of each bracket prior to step (iii).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or 8, 상기 (iii)단계이전에 상기 변기수조에 배관연결을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변기수조 설치방법.Toilet bowl installation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ipe connection to the toilet bowl before the step (iii).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층들중 하나에 액세스 개구를 형성하여 액세스판으로 덮는 단계를 더 포참하는 변기수조 설치방법.And forming an access opening in one of said layers and covering it with an access plate.
KR1019940029271A 1993-11-10 1994-11-09 Cistern KR10031714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PM233393 1993-11-10
AUPM2333 1993-11-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4499A KR950014499A (en) 1995-06-16
KR100317144B1 true KR100317144B1 (en) 2002-02-19

Family

ID=3777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9271A KR100317144B1 (en) 1993-11-10 1994-11-09 Cistern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KR (1) KR100317144B1 (en)
CN (1) CN1076426C (en)
AU (1) AU673292B2 (en)
GB (1) GB2283767B (en)
HK (1) HK1007339A1 (en)
MY (1) MY111323A (en)
NZ (1) NZ264868A (en)
SG (1) SG45201A1 (en)
TW (1) TW287214B (en)
ZA (1) ZA948869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121322D0 (en) * 2001-09-03 2001-10-24 Dudley Thomas Ltd Cistern assembly and a cistern
DE10159448B4 (en) * 2001-12-04 2004-02-12 Minol International Gmbh & Co. Kg Device for installing concealed sanitary fittings
ITMI20020016U1 (en) * 2002-01-11 2003-07-11 Gia Srl UNIVERSAL PERFECTED BRACKET FOR THE ASSEMBLY OF SUSPENDED SANITARY WALLS ON THE WALLS
US6728976B1 (en) * 2003-01-20 2004-05-04 Kohler Co. Toilet tank attachment bracket with unitary spring arm
DE202005016946U1 (en) * 2005-03-08 2006-01-12 Viega Gmbh & Co. Kg Fixing system for sanitary elements and cistern
DE202006018572U1 (en) * 2006-12-06 2008-04-17 Viega Gmbh & Co. Kg Flush-mounted cistern with step-shaped box body
NL2004058C2 (en) * 2010-01-05 2011-07-06 Easy Sanitary Solutions B V SANITARY SPACE.
CN103215997B (en) * 2013-04-14 2015-09-02 深圳市轩斯宝实业有限公司 The bath panel construction of Hiden type water tank and Hiden type water tank
CN111655943B (en) * 2018-01-29 2022-03-29 吉博力国际股份公司 Attachment device for sanitary war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42708A (en) * 1970-12-30 1974-01-03 Fordham Pressings Ltd Cistern assembl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283767A (en) 1995-05-17
NZ264868A (en) 1996-08-27
AU7758894A (en) 1995-05-18
TW287214B (en) 1996-10-01
HK1007339A1 (en) 1999-04-09
CN1111313A (en) 1995-11-08
AU673292B2 (en) 1996-10-31
GB2283767B (en) 1996-12-04
SG45201A1 (en) 1998-01-16
ZA948869B (en) 1995-07-14
KR950014499A (en) 1995-06-16
MY111323A (en) 1999-10-30
CN1076426C (en) 2001-12-19
GB9422493D0 (en) 1995-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68615B2 (en) Mounting device for a sanitary body
KR100317144B1 (en) Cistern
US5319903A (en) Prefabricated modular closet unit
JP3232477B2 (en) Bathroom
JPH017792Y2 (en)
JPS6338304Y2 (en)
JP3589627B2 (en) Counter mounting structure
JP2606517B2 (en) Construction method of low tank cover for Western style toilet facilities
KR200219016Y1 (en) PARTITION IN PREfabricated Bathroom
JP3589628B2 (en) Counter mounting structure
JPH0617901Y2 (en) Sanitary ware installation structure
JPH0335764Y2 (en)
CN116685748A (en) Wall for laying bricks and tiles
JPH1113094A (en) Equipment unit for washstand, and assembling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H0211506Y2 (en)
JPH0220298Y2 (en)
JPS6025469Y2 (en) Inner wall mounting structure
JPH0443550Y2 (en)
JPH0366459B2 (en)
JPH0672449B2 (en) Installation construction method of sanitary ware
JPH0741805Y2 (en) Dry construction structure of bathroom wall
JPH0425885Y2 (en)
JPH0750526Y2 (en) Prefabricated ceiling structure
JPH0444695Y2 (en)
JPH0725401Y2 (en) Toilet room with pipe sp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