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7095B1 - 기록재생장치 - Google Patents

기록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7095B1
KR100317095B1 KR1019940006876A KR19940006876A KR100317095B1 KR 100317095 B1 KR100317095 B1 KR 100317095B1 KR 1019940006876 A KR1019940006876 A KR 1019940006876A KR 19940006876 A KR19940006876 A KR 19940006876A KR 100317095 B1 KR100317095 B1 KR 100317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recording
circuit
reproduction
error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6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4668A (ko
Inventor
우에다마모루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940024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4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7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70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02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06Pulse code modulation systems for audio signals
    • G11B20/1809Pulse code modulation systems for audio signals by interleav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79Direct read-after-write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5/926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by pulse code modulation
    • H04N5/9261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by pulse code modulation involving data reduction
    • H04N5/926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by pulse code modulation involving data reduction using transform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 H04N5/94Signal drop-out compensation
    • H04N5/945Signal drop-out compensation for signals recorded by pulse code mod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AREA)

Abstract

목적
기록 데이터를 소정 기록 재생 수단에 입력하여, 재생 데이터로서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기록 데이터를 상기 기록 재생수단의 처리 시간분 만큼 지연시켜 상기 재생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상기 재생 데이터의 착오를 검출하는 기록 재생 장치에서의 회로 구성을 훨씬 간략하게 한다.
구성
기록 데이터 및 재생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기록 보증을 할 때 기록 데이터에 대해 착오 검출 부호를 산출하고 그 착오 검출 부호와 재생 데이터로 얻어지는 착오 검출 부호를 소정의 비교 수단에 의해 비교하도록 함으로써, 기록계에서 비교수단에 전송하는 전송 정보량을 대폭 삭감할 수 있다. 따라서, 기록 데이터로 산출된 착오 검출 부호를 기록 재생 수단의 처리 시간분 만큼 지연시키는 지연 메모리 음량을 현격히 삭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록 재생 장치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기록 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비디오 데이터를 기록할 때 기록 착오를 검출하도록 이루어진 기록 재생 장치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것이다.
이 종류의 기록 재생으로서 제 5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DVTR)가 있다. 즉 제 5 도에서 도면부호 1은 전체로서 DVTR을 나타내며, 소정의 비디오 신호 발생부에서 입력된 입력 디지털 비디오 신호(S1)는 샤프링회로(2)에 입력된다. 샤프링 회로(2)는 디지털 비디오 신호(S1)로서 입력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1 필드마다 8열×4행의 DCT 블록으로 잘라내고 이 DCT 블록을 떨어진 위치에서 10 블록을 모아 샤플 데이터(S2)로서 이어지는 DCT 변환 회로(3)에 송출된다.
DCT 변환 회로(3)는 각 DCT 블록 데이터에 대하여 이산 코싸인 변환을 행하여 이를 DCT 데이터(S3)로 이어지는 양자화 회로(4)에 송출한다. 양자화 회로(4)는 가변장(가변길이) 부호화 회로(5)에서 피이드백되는 데이터 길이 정보에 따라 목표 압축률을 실현하기 위한 양자화 레벨을 조사하며 그 양자화 레벨에 따라 DCT 데이터(S3)를 양자화함으로써 그 정보량을 압축하고 이를 양자화 데이터(S4)로 이어지는 가변장 부호화 회로(5)에 송출한다.가변장 부호화 회로(5)는 양자화 데이터(S4)를 가변장 부호화하여 포맷에 정해진 블록 길이의 가변장 부호 데이터(S5)를 생성하고 이를 착오정정 외부호 회로(6) 및 지연 메모리(12)에 송출한다.
착오정정 외부호 회로(6)는 버스트 형태로 발생한 착오를 정정하기 위한 착오정정 외부호를 부가하고 다시 이어지는 착오정정 내부호 회로(7)에서 임의 착오를 정정하기 위한 착오정정 내부호, 동기 패턴 및, ID 부호 등을 부가하며 8(비트)병렬 데이터에서 8배의 클록 주파수 1(비트)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여 기록 회로(8)에 송출하여 기록 데이터(8)를 생성하고 이를 회전 트랜스(9)를 사이에 두어 회신드럼상의 기록 헤드(10)에 기록 전류를 통전하여 그 기록 데이터(S8)를 자기 테이프(11)에 기록한다.
여기에서 제 6 도에 나타내듯이 회전 드럼(28)은 한쌍의 기록 헤드(10)에 대해 각각 90도 떨어져서 한 쌍의 재생 헤드(15)가 설치되어 있다. 이 회전 드럼(28)을 화살표 a로 표시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입구 테이프 가이드(29A) 및 출구 테이프 가이드(29B)에 의해 가이드된 자기 테이프(11)를 화살표 b로 표시하는 방향으로 수행시킴으로써 회전 드럼(28)의 기록 헤드(10) 및 재생 헤드(15)가 배치된 둘레 측면에 대해 자기 테이프(11)를 미끄러져 움직이게 할 수 있다.
또한 재생계에 있어서는 자기 테이프(11)상에 기록된 기록 데이터(S8)를 즉시 재생 헤드(15)에서 재생함으로써 소위 기록동시 재생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재생 헤드(15)를 통해 얻어지는 재생 데이터(15)를 회전 트랜스(16) 및 재생등화기(17)를 끼워 PLL 회로(18)에 입력하여 클럭을 재생한 후 계속되는 동기(SYNC) 검출 회로(19)에서 클럭 동기 패턴을 재생하여 1(비트) 직렬 데이터를 1/8 배의 클럭 주파수 8(비트) 병렬 데이터로 복귀하고 이것을 이어서 내부호 정정 회로(20)에 송출한다.
내부호 정정 회로(20)는 내부호를 사용하여 임의 착오를 정정하고 다시 계속되는 외부호 정정 회로(21)에서 외부호를 사용한 버스트 착오에 대한 정정을 하며, 그 외부호 정정 회로(21)에서 출력되는 정정 데이터(S21)를 기록 보증 비교 회로(13) 및 가변장 복호 회로(22)에 송출한다.
가변장 복호 회로(22)는 정정 데이터(S21)에서 가변장 복호 데이터(S22)를 얻어 이를 역양자화 회로(23)에 송출함으로써 역양자화 처리를 하고 그 역양자화 데이터(S23)를 IDCT 회로(24)에 송출함에 따라 상술한 DCT 변환 회로(3)에서의 이산 코사인 변환에 대한 역변환 처리를 한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IDCT 데이터(S24)를 이어지는 디샤프링 회로(25)에 송출함으로써 DCT 블록화된 데이터를 주사순으로 배열하고 디샤프링 데이터(S25)로서 착오 보정 회로(26)에 송출함에 따라 착오정정 부호의 착오정정 한계 이상의 착오가 발생한 경우에는 그 착오 보정 회로(26)에서 그 착오를 보정하며 이에 따라 재생 디지털 비디오 신호(S26)를 얻는다.
여기서 제 7A 내지 7E 도는 DVTR(1)에서의 신호 처리 타임 차트를 나타내고 있다. 수직 동기 신호(Sv; 제 7A 도)에 동기하여 시점(t1)에서 1 필드마다 입력되는 입력 디지털 오디오 신호(S1)는 샤프링 회로(2), DCT 변환 회로(3), 양자화 회로(4), 가변장 부호화 회로(5), 착오정정 외부호 회로(6), 착오정정 내부호 회로(7) 및, 기록 회로(8)에서의 신호 처리 시간으로서 1+1/3 필드분의 지연기간(T1)만큼 지연한 시점(t2)에서 기록 데이터(S8; 제 7C도)로서 기록된다.
이에 대해 기록 동시 재생시에서 재생 신호(15)를 통해 얻어지는 재생 데이터(15)는 회전 드럼(28)에서 재생 헤드(15)가 기록 헤드(10)에 대해 90도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그 재생 데이터(S15)는 제 7D 도에 나타내듯이 기록데이터(S8)에서 1/6 필드분의 지연기간(T2)만큼 지연한 시점(t3)에서 재생 헤드(15)에서 출력된다.
또한, 착오 보정 회로(26)에서 출력되는 재생 디지털 비디오 신호(S26)는 재생계에서의 신호 처리 시간으로서 1+1/2 필드분의 지연기간(T3)만큼 재생 데이터(S15)의 출력 시점(t3)에서 지연한 시점(t4)에서 출력된다. 따라서 그 출력 비디오 신호(S26)는 입력 디지털 비디오 신호(S1)가 기록계에 입력된 시점(t1)에서 3 필드분의 지연기간(T4)만큼 지연하여 재생계에서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은 DVRT(1)에 있어서는 기록계 및 재생계에서 각각 신호 처리 회로에서의 신호 처리 시간분 만큼 데이터가 지연되어 전송된다. 따라서 가변장 부호화 회로(5)에서 지연 메모리(12)로 출력하는 가변장 부호 데이터(S5)는 기록계에서의 착오정정 외부호 회로(6)에서 재생계에서의 외부호 정정회로(21)까지의 신호 처리에 필요한 지연 시간분 만큼 상기 지연 메모리(12)에서 지연되어 기록 보증 비교 회로(13)에 송출된다.
따라서 상기 기록 보증 비교 회로(13)는 가변장 부호화 회로(4)에서 출력되는 가변장 부호 데이터(S5)를 상기 가변장 부호 데이터(S5)가 자기 테이프(11)에 대해 기록과 동시에 재생되어 외부호 정정회로(21)에서 출력되는 정정 데이터(S21)와 함께 입력함으로써 상기 기록 보증 비교 회로(13)는 이들 가변장 부호화 데이터(S5) 및 정정 데이터(S21)를 비교한다. 여기서 기록 재생계가 정상으로 동작하고 정정 데이터(S31)에서 착오정정 부호의 착오정정 한계 이상의 착오가 발생하고 있지 않으면 가변장 부호화 데이터(S5) 및 정정 데이터(S21)가 동일한 데이터가된다.
따라서 상기 기록 보증 비교 회로(13)는 가변장 부호화 데이터(S5) 및 정정데이터(S21)를 하나하나 차례로 비교함으로써 기록 재생계의 동작 상태를 검사하여 그 검사 결과에 이상이 생기지 않는 경우에 기록 동작을 수행시킨다고 하는 기록보증을 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구성의 DVTR(1)에 있어서는 지연 메모리(12)로서 수 필드분의 메모리 소자가 필요해지며 예컨대 3 필드분 메모리로서는 약 15(M 비트)의 대용량 메모리가 필요해진다.
또 이러한 대용량 메모리를 고속으로 써넣고 읽어내려고 하면 고속 메모리 소자를 다수 사용하게 되고 회로 소자수, 회로 기판 면적이 증대함과 동시에 고속동작을 하기 때문에 소비 전력이 증가하며 나아가서는 다수 소자를 다수 배선으로 결선하기 때문에 단선등 불량을 피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지연 메모리를 훨씬 소용량화할 수 있는 기록 재생 장치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서는 기록 데이터(S5)를 소정 기록 재생 수단(6, 7, 10, 11, 15, 20, 21)에 입력하여 재생 데이터(S21)로서 출력함과 동시에 기록 데이터(S5)를 기록 재생 수단(6, 7, 10, 11, 15, 20, 21)의 처리시간분 만큼 지연시켜 재생 데이터(S21)와 비교함으로써 재생 데이터(S21)의 착오를 검출하는 기록 재생 장치(30)에서 기록 데이터(S5)에 따라 착오 검출 부호(S31)를 산출하는 착오 검출 부호 산출 수단(일명, 검사 부호 회로(31))과 착오 검출 부호 산출 수단(검사 부호 회로)(31)에서 출력되는 착오 검출 부호(S31)를 기록 재생수단(6, 7, 10, 11, 15, 20, 21)의 처리 시간분 만큼 지연시키는 지연 메모리(32)와 지연 메모리(32)에서 출력되는 착오 검출 부호(S31) 및 재생 데이터(S21)에 따라 산출되는 착오 검출 부호를 비교하는 비교 수단(33)을 구비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기록 데이터(S5)가 소정의 입력 데이터(S1)를 가변장 부호화한 데이터로 되도록 한다.
착오 검출 부호 산출 수단(31)에서 정보량이 많은 기록 데이터(S5)를 정보량이 적은 정정 검출 부호(S31)로 치환하고 지연 메모리(32)에 입력하므로써 상기 지연 메모리(32)의 용량을 현저하게 작게 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따라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상술하겠다.
제 5 도와의 대응 부분에 동일한 부호를 붙여 나타내는 제 1 도에서 DVTR(30)은 기록계에서 가변장 부호화 회로(5)에서 출력되는 가변장 부호화 데이터(S5)를 검사 부호 회로(31)에 입력하고 DCT 블록 단위로 가변장 부호화된 상기 가변장 부호화 데이터(S5)를 가변장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 단위마다 8 (비트)의 CRCC(cyclic redundancy check code)로 변환하여 상기 CRCC(S31)를 지연 메모리(32)에 송출한다.
지연 메모히(32)는 기록계에서의 착오정정 외부호 회로(6)에서 재생계에서의 외부호 정정회로(21)까지의 신호 처리에 필요한 지연 시간분 만큼 CRCC 데이터 (S31)를 지연시켜 기록 보증 비교 회로(33)에 송출한다.
또한 기록 보증 비교 회로(33)는 재생계의 외부호 정정회로(21)에서 출력되는 정정 데이터(S21)를 입력하여 상기 정정 데이터(S21)를 데이터 블록 단위로 8 (비트) CRCC를 산출한다.
이리하여 상기 기록 보증 비교 회로(33)에서는 가변장 부호화 데이터(S5)에 따라 산출된 CRCC 데이터(S31) 및 상기 가변장 부호 데이터(S5)가 자기 테이프(11)에 대해 기록과 동시 재생되어 외부호 정정회로(21)에서 출력되는 정정 데이터(S21)에 따라 산출된 CRCC 데이터를 비교한다. 여기서 기록 재생계가 정상으로 동작하여, 정정 데이터(S21)에서 착오정정 부호의 착오정정 한계이상의 착오가 발생하고 있지 않으면, 가변장 부호화 데이터(S5)에서 산출된 CRCC 데이터(S31) 및 정정 데이터(S21)에서 산출된 CRCC 데이터는 동일한 데이터가 된다.
따라서 상기 기록 보증 비교 회로(33)는 상기 가변장 부호화 데이터(S5)에서 산출된 CRCC 데이터(S31) 및 정정 데이터(S21)에서 산출된 CRCC 데이터를 하나하나 차례로 비교함으로써 기록 재생계의 동작 상태를 검사하여 그 검사 결과에 이상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 기록 동작을 속행시킨다고 하는 기록 보증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도는 검사 부호 회로(31)의 구성을 나타내며 그 검사 부호 회로 (31)는 8 (비트)의 레지스터(31A 내지 31H) 및 배타적 논리화 게이트(31J, 31K, 31L 및 31M)로 구성되고 데이터 블록 단위로 얻어지는 가변장 부호 데이터(S5)를 배타적 논리화 게이트(31M)에 입력하며, 레지스터(31H)의 출력과의 배타적 논리화를 연산하여 그 연산 결과를 레지스터(31A), 배타적 논리화 게이트(31J, 31K 및 31L)에 각각 입력한다.
레지스터(31A)는 배타적 논리화 게이터(31M)의 출력을 소정 시간 지연시켜 레지스터(31B)에 송출하고 레지스터(31B)는 이를 다시 소정시간 지연시켜 배타적 논리화 게이트(31J)에 송출한다. 배타적 논리화 게이트(31J)는 레지스터(31B)의 출력 및 배타적 논리화 게이터(31M)의 출력의 배타적 논리화를 연산하여 그 연산 결과를 레지스터(31C)에 송출한다. 레지스터(31C)는 배타적 논리화 게이트(31J)의 출력을 소정시간 지연시켜 이를 배타적 논리화 게이트(31K)에 송출한다. 배타적 논리화 게이트(31K)는 레지스터(31C)의 출력 및 배타적 논리화 게이트(31M)의 출력의 배타적 논리화를 연산하여 그 연산 결과를 레지스터(31D)에 송출한다.
또한, 레지스터(31D)는 배타적 논리화 게이트(31K)의 출력을 소정시간 지연시켜 배타적 논리와 게이트(31L)에 송출한다. 배타적 논리화 게이트(31L)는 레지스터(31D)의 출력 및 배타적 논리화 게이트(31M)의 출력의 배티적 논리화를 연산하여 그 연산 결과를 레지스터(31E)에 송출한다. 레지스터(31E)는 배타적 논리화 게이트(31L)의 출력을 소정시간 지연시켜 이를 레지스터(31F)에 송출한다. 레지스터(31F)는 레지스터(31E)의 출력을 소정시간 지연시켜 레지스터(31G)에 송출한다. 레지스터(31G)는 레지스터(31F)의 출력을 소정시간 지연시켜 레지스터(31H)에 송출 한다. 레지스터 (31H)는 레지스터(31G)의 출력을 소정시간 연산하여 배타적 논리화 게이트(31M)에 송출한다.
그리하여 8(비트)의 레지스터(31A 내지 31H)에서 각각 출력 데이터(D1 내지 D8)를 얻음으로써 그 출력 데이터(D1 내지 D8)에 의해 각 데이터 블록마다 8 (비트) CRCC 데이터(S31)가 생성된다.
또한, 기록 보증 비교 회로(33)에 의해서 외부호 정정 회로(21)로부터 입력되는 정정 데이터(S21)에 따라서 CRCC 데이터의 산출 회로도 제 2 도에 도시하는 회로와 같은 구성으로 된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DVTR(30)은 가변장 부호화 회로(S4)에서 출력되는 데이터 블록 단위의 가변장 부호 데이터(S5)를 검사부호 회로(31)에서 8 (비트)의 CRCC 데이터(S31)로 치환함으로써 지연 메모리(32)는 각 데이터 블록 단위의 데이터에 대해 8 (비트)의 CRCC 데이터(S31)를 지연시킨다.
따라서 기록계에서의 착오정정 외부호 회로(6)에서 재생계에서 외부호 정정회로(21)까지의 신호 처리에 필요한 지연 시간으로서 수 필드분 걸리는 경우에서도, 검사 부호 회로(31)에서 정보량이 많은 가변장 부호 데이터(S5)를 정보량이 적은 CRCC 데이터(S31)로 옳겨 놓고 지연 메모리(32)에 입력함으로써 그 지연 메모리(32) 용량을 현격히 적게 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기록 데이터 및 재생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기록 보증을 할 때 기록계에서 재생계로 전송하는 데이터를 가변장 부호 데이터(S5)에서 CRCC 데이터(S31)로 치환함으로써 그 전송 정보량을 대폭 삭감할 수 있다. 따라서 지연 메모리(32)에서는 같은 기능을 유지한 채로 그 용량을 삭감할 수 있다.
또 검사 부호 회로(31)를 기록측 신호 처리 IC에 내장시킴과 동시에 지연 메모리(32) 및 기록 보증 비교 회로(33)를 재생측 신호 처리 IC에 내장시킴으로써 부품수를 대폭 삭감하여 기판 면적을 축소할 수 있다.
또한 기록 보증 비교 회로(33)에 CRCC 데이터(S31)를 송출한 경우 데이터 블록마다 8 (비트)의 데이터를 보내면 된다는 점에서 그 전송 선로를 한 개의 결선으로 하더라도, 충분히 저속으로 그 CRCC 데이터(S31)를 전송할 수 있고 전송 선로를 적게 한 만큼 단선 등의 불량이 발생할 우려를 현격히 저감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CRCC 데이터(S31)를 연산해서 기록 보증 비교 회로(33)에 송출하는 경우에 대해 기술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면 착오 정정 부호 또는 합 체크 등 요컨대 제 3 도 나타내듯이 정보 DATA에 검사어 PA를 부가하는 구성의 착오 검출 부호이면 된다.
또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검사 부호 회로(31)로서 제 2 도에 명시한 바와 같은 직렬 회로 구성의 CRCC 연산 회로를 사용한 경우에 관해 말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제 4 도 나타내듯이 8 (비트) 레지스터(41B 내지 41L) 및 수십개의 배타적 논리화 게이트로 이루어진 논리 게이트 회로(41A)로 구성된 병렬 회로 구성의 CRCC 연산 회로(41)를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블록마다 8(비트) CRCC 데이터(S31)를 생성할 경우에 대해 기술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검사 부호로서의 정보어 길이 및 검사어 길이는 회로 규모 등에 맞추어 여러 가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입력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DCT 변환, 양자화 및 가변장 부호화해서 기록하는 DVTR 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에 관해 기술했으나, 본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여러 가지 구성으로 된 기록 재생 장치에 널리 적용하여도 매우 적합한 것이다.
발명의 효과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기록 데이터를 소정 기록 재생 수단에 입력하여 재생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기록 데이터 및 재생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기록 보증을 할 때 기록 데이터에 대해 착오 검출 부호를 산출하고 그 착오 검출 부호화 재생 데이터에서 얻어지는 착오 검출 부호를 소정 비교수단에 의해 비교하도록 함으로써 기록계로부터 비교수단에 전송하는 전송 정보량을 대폭 삭감할 수 있다. 따라서 기록 데이터로 산출된 착오 검출 부호를 기록 재생 수단 처리 시간분 만큼 지연시키는 지연 메모리 용량을 현격히 삭감할 수 있다.
제 1도는 본 발명에 의한 기록 재생 장치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제 2도는 검사 부호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제 3도는 착오 검출 부호 블록의 구성을 나타내는 약선도.
제 4도는 검사 부호 회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제 5도는 종래의 기록 재생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제 6도는 회전 드럼의 구성을 나타내는 약선도.
제 7A도 내지 제 7E도는 기록 재생 장치의 신호 처리의 설명에 이용하게 하는 신호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30 : DVTR 5 : 가변장(가변길이) 부호화 회로
10 : 기록 헤드 11 : 자기 테이프
15 : 재생 헤드 31 : 검사 부호 회로(착오 검출 부호 수단)
32 : 지연 메모리 33 : 기록 보증 비교 회로

Claims (4)

  1. 입력 데이터가 입력되고, 이 입력 데이터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고,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하는 기록 재생 수단과,
    상기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착오 검출 부호를 산출하는 산출 수단과,
    상기 산출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입력 데이터의 착오 검출 부호가 입력되고, 상기 기록 재생 수단에서의 데이터 처리 시간분에 상당하는 시간만큼 상기입력 데이터의 착오 검출 부호를 지연시키는 지연 수단과;
    상기 기록 재생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재생 데이터에 기초해서 착오 검출 부호를 산출하고, 이 재생 데이터의 착오 검출 부호와 상기 지연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지연된 상기 입력 데이터의 상기 착오 검출 부호를 비교하는 수단을 갖는 기록 재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오 검출 부호는 상기 입력 데이터로부터 구해지는 상기 입력 데이터의 용장어(冗長語)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데이터는 블록 구성으로 이뤄지고,
    상기 산출 수단은, 상기 입력 데이터를 각 블록마다에 CRCC 변환하여, CRCC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데이터는 화상 데이터가 가변장 부호화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
KR1019940006876A 1993-04-02 1994-04-01 기록재생장치 KR1003170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100230 1993-04-02
JP5100230A JPH06290553A (ja) 1993-04-02 1993-04-02 記録再生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4668A KR940024668A (ko) 1994-11-18
KR100317095B1 true KR100317095B1 (ko) 2002-03-21

Family

ID=14268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6876A KR100317095B1 (ko) 1993-04-02 1994-04-01 기록재생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594599A (ko)
EP (1) EP0618577B1 (ko)
JP (1) JPH06290553A (ko)
KR (1) KR100317095B1 (ko)
CN (1) CN1059511C (ko)
DE (1) DE69427244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12644B1 (en) * 2000-05-23 2003-01-28 Quantum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ad-after-write verification with error tolerance
US20070180349A1 (en) * 2006-01-31 2007-08-02 Jacobsen Eric A Techniques for uequal error protection for layered protection applications
DE102010035361B4 (de) * 2010-08-25 2022-08-18 Arnold & Richter Cine Technik Gmbh & Co. Betriebs Kg Kamera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08283A (ja) * 1988-10-17 1990-04-20 Sony Corp 記録確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4010A (ja) * 1982-12-29 1984-07-18 Sony Corp Pcm信号の記録方法
JPS62177768A (ja) * 1986-01-31 1987-08-04 Sony Corp エラ−訂正装置
JPH038176A (ja) * 1989-06-06 1991-01-16 Hitachi Ltd デジタルデータ記録用ベリファイ方法および装置
JPH0461670A (ja) * 1990-06-28 1992-02-27 Canon Inc 再生装置
JP2766919B2 (ja) * 1991-06-07 1998-06-18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ィジタル信号記録再生装置、ディジタル信号記録装置、ディジタル信号再生装置
JP3109185B2 (ja) * 1991-11-12 2000-11-13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ジタルvt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08283A (ja) * 1988-10-17 1990-04-20 Sony Corp 記録確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427244D1 (de) 2001-06-28
CN1059511C (zh) 2000-12-13
KR940024668A (ko) 1994-11-18
DE69427244T2 (de) 2002-06-13
EP0618577A3 (en) 1996-08-07
US5594599A (en) 1997-01-14
EP0618577A2 (en) 1994-10-05
CN1099505A (zh) 1995-03-01
EP0618577B1 (en) 2001-05-23
JPH06290553A (ja) 1994-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318004C (en) Single track orthogonal error correction system
KR100250590B1 (ko) 인코딩/디코딩 회로 및 디지탈 비디오 시스템
US5060077A (en) Reproduction apparatus having means for initializing flag memories during slow motion and freeze reproduction
GB2284495A (en) Method and device for correcting error in digital data
KR19990071860A (ko) 재생장치,에러정정장치,및에러정정방법
KR940006118A (ko) 디지틀 vtr의 신호처리장치
EP0317197A2 (en)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method
US6128358A (en) Bit shift detecting circuit and synchronizing signal detecting circuit
KR0150954B1 (ko) 디지털 기록재생 장치의 에러 정정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그에 적합한 장치
KR100317095B1 (ko) 기록재생장치
US5633635A (en) Method of processing code for error checking and code processing circuit
KR930007938B1 (ko) 기록장치와 재생장치
EP0421732B1 (en) Information data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US611892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a video segment for a digital video cassette recorder
US7440503B2 (en) Decoding apparatus and decoding method in an order opposite to the encoding order
US6085348A (en) Error correction code encoder and decoder
KR20000076644A (ko) 의사 프로덕트 코드 엔코딩 및 디코딩 장치 및 방법
JP2738659B2 (ja) 符号化方法,符号化装置,及び復号化装置
JPH07176149A (ja) データ記録方法
US6539057B1 (en) Coding apparatus providing improved access to selected coded data
KR0148176B1 (ko) 디지탈재생시스템의 데이타처리방법 및 장치
JPH038176A (ja) デジタルデータ記録用ベリファイ方法および装置
KR100243182B1 (ko) 디지탈 데이타 기록/재생장치
JPH0644696A (ja) ディジタルビデオ信号の記録装置
JPH05207411A (ja) ディジタル信号ダビング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6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