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5341B1 - 파이프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파이프의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5341B1
KR100315341B1 KR1019990004484A KR19990004484A KR100315341B1 KR 100315341 B1 KR100315341 B1 KR 100315341B1 KR 1019990004484 A KR1019990004484 A KR 1019990004484A KR 19990004484 A KR19990004484 A KR 19990004484A KR 100315341 B1 KR100315341 B1 KR 100315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ring
cap
connecting pipe
pressure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4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7879A (ko
Inventor
원종선
Original Assignee
원종선
주식회사 미진비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종선, 주식회사 미진비앤피 filed Critical 원종선
Priority to KR1019990004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5341B1/ko
Publication of KR19990037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7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5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53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16L19/0206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the collar not being integral with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16L19/021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using specially adapted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16L19/0237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attachments, e.g. reduction units, T-pieces, bend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결관과 파이프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품수를 줄일 수 있으며, 결합후에 분해하여도 파이프의 재사용이 가능한 새로운 구성의 연결관과 파이프의 연결구조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파이프(30)가 삽입되는 삽입부(9)가 단부에 형성된 연결관(1)과, 상기 삽입부(9)에 삽입되는 조임부재(32) 및 오링(7)과, 상기 연결관(1)의 단부에 나사결합되며 그 중앙부에는 삽입공(8)이 형성된 캡(2)과, 상기 삽입공(8)을 통해 상기 연결관(1)에 삽입결합되는 파이프(2)를 포함하여 파이프(30)를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삽입부(9)의 내주면에는 내향경사면(11)이 형성되고, 상기 캡(2)을 잠금에 따라 상기 조임부재(32)는 후방으로 밀려서 상기 내향경사면(11)에 의해 내향으로 압축되어 그 내측면이 상기 파이프(30)의 외주면에 밀착결합됨으로써 상기 파이프(30)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관과 파이프의 연결구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파이프의 연결구조 {Connecting construction of pipe}
본 발명은 연결관과 파이프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품수를 줄일 수 있으며, 결합후에 분해하여도 재사용이 가능한 새로운 구성의 연결관과 파이프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부에 삽입부(9)가 형성되며 그 단부에 나사결합되는 캡(2)이 구비되는 연결관(1)과 파이프(3)를 연결할 때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1)의 삽입부(9)내에 단부가 다수개의 편으로 파절되어 내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된 파절링(5)과, 상기 파절링(5)을 가압하는 가압링(6)과 오링(7)을 이 순서대로 또는 역순으로 삽입하여 캡(2)을 느슨하게 닫은 다음, 파이프(3)를 캡(2)의 삽입공(8)을 통해 연결관(1)의 삽입부(9)에 끼우고 캡(2)을 완전히 닫는다. 이와 같이 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2)이 가압링(6)을 가압하게 되고 이 가압링(6)에 의해 파절링(5)이 가압되어 파절링(5)의 파절된 경사단부(10)가 파이프(3)의 외주면을 소정량 파고 들어가게 됨으로써 파이프(3)가 빠지지 않고 연결관(2)에 연결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하여 연결관(1)과 파이프(3)를 연결하는 구조는 일단 연결관(1)과 파이프(3)를 연결하고 나서 필요에 따라 다시 연결관(1)과 파이프를 분해하여하는 경우에는 파절링(5)이 파이프(3)에서 쉽게 분해되지 않아 파이프(3)와 파절링(5)을 재사용하기가 곤란하였다. 또한, 파절링(5)은 파절된 경사단부가파이프(3)의 외주면을 점상으로 조이기 때문에 파이프(3)가 비정형으로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파이프의 단부에 금속재로 된 슬리브(4)를 필수적으로 형성하여야 하였다. 그리고 상기 파절링(5)은 그 내경이 유동성있게 변화될 수 있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파이프(3)외경의 오차를 수용할 수 있는 범위가 극히 제한적이다. 즉, 파이프(3)의 외경이 파절링(5)의 내경보다 큰 경우에는 파이프(3)를 파절링(5)의 내경부로 원만히 삽입할 수 없었으며 파이프(3)의 외경이 파절링(5)의 내경보다 소정량이상 작은 경우에는 파절링(5)의 경사단부(10)가 파이프(3)를 효과적으로 잡아주기 못하였다.
이상 같이 종래의 파이프연결구조는 한번 조립후에는 파이프(3)와 파절링(5)을 재사용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파이프의 단부에 금속재의 슬리브를 형성하여야 하고 파이프외경의 오차를 수용할 수 있는 범위가 극히 제한적이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연결관과 파이프의 연결구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연결관과 파이프의 연결해제후에도 파이프의 재사용이 가능하며, 파이프의 단부에 금속슬리브를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구성이 간단하여 경제적인 연결관과 파이프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파이프의 연결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파이프의 연결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4, 5는 상기 실시예의 결합상태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결합상태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연결관 2. 캡
7. 오링 8. 삽입공
30. 파이프 32. 조임부재
34. 가압링 35. 내향경사부
본 발명에 따르면, 파이프(30)가 삽입되는 삽입부(9)가 단부에 형성된 연결관(1)과, 상기 삽입부(9)에 삽입되며 띠형상의 부재를 반경방향 내측을 향해 경사지도록 하여 코일 형상으로 감아서 형성한 조임부재(32) 및 오링(7)과, 상기 삽입부(9)의 내부에 설치되고 그 선단부에 내측으로 갈수록 중심을 향하는 내향경사면(35)이 형성된 가압링(34)과, 상기 연결관(1)의 단부에 나사결합되며 그 중앙부에는 삽입공(8)이 형성된 캡(2)과, 상기 삽입공(8)을 통해 상기 연결관(1)에 삽입결합되는 파이프(30)를 포함하여 파이프(30)를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캡(2)을 잠금에 따라 상기 조임부재(32)가 후방으로 밀려서 상기 가압링(34)의내향경사면(35)에 의해 내향으로 압축되어 그 내측면이 상기 파이프(30)의 외주면에 밀착결합됨으로써 상기 파이프(30)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관과 파이프의 연결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내향경사부(11)는 별도로 구성된 가압링(34)의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9)에는 오링(7)과 가압링(34)과 조임부재(32)의 순서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관과 파이프의 연결구조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그 결합단면도이다.
상기 연결관(1)은 파이프(30)가 삽입되는 삽입부(9)가 단부에 형성된 것으로, 그 단부에는 파이프가 삽입되는 삽입공(8)이 형성된 캡(2)이 나사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연결관(1)의 삽입부(9)에는 오링(7)과 가압링(34)과 조임부재(32)를 순차적으로 삽입하거나 가압링(34), 조임부재(34), 오링(7)의 순서대로 삽입한다. 상기 가압링(34)의 전면에는 내향경사부(35)가 형성되며, 상기 조임부재(32)는 금속의 띠부재를 그 내측면이 중심을 향하도록 나선상으로 2∼3회 감아서 코일스프링 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연결관(1)의 삽입부(9)에 오링(7), 가압링(34), 조임부재(32)를 삽입한 후, 상기 캡(2)을 연결관(1)에 느슨하게 체결한다. 그런 다음 상기 파이프(30)를 상기 캡(2)의 삽입공(9)을 통해 연결관(1)에 끼우고 캡(2)을 완전히 체결한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캡(2)에 의해 조임부재(32)가 압축되면서 후방으로 밀리면서 상기 가압링(34)의 내향경사부(35)에 의해 내향으로 압축되어 그 내측면이 상기 파이프(30)의 외주면에 밀착결합됨으로써 상기 파이프(30)를 고정하는 것이다.이때, 상기 조임부재(32)은 띠부재의 넓은 면적이 일측으로 경사지도록 하여 코일형상으로 감아서 형성하게 되면, 조임부재(32)가 탄성변형되면서 파이프(30)에 가압 밀착되어 더욱 견고하게 밀착력을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캡(2)이 다소 풀리더라도 조임부재(32)가 파이프(30)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파이프(30)가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 더불어, 캡(2)의 삽입공(8) 내주면에도 조임부재(32)를 효과적으로 압착할 수 있도록 내향경사지게 테이퍼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압링(24) 연결관(1)의 삽입부(9) 내주면에 일체로 형성한다. 즉, 삽입부(9)의 내주면에 내향경사부(11)를 형성한 것으므로 별도의 가압링(34)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며, 따라서 부품수를 줄일 수 있어서 경제적이다. 이와 같이 삽입부(9)의 내주면에 내향경사부(11)를 형성한 경우에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9)의 내향경사부(11) 전면으로 조임부재(32)와 오링(7)을 순차적으로 삽입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연결관(1)에 파이프(30)를연결한 후, 필요에 따라 연결관(1)에서 파이프(30)를 분해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 캡(2)을 소정량 오픈시키면 상기 조임부재(32)가 자체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느슨해지면서 파이프와의 결합이 느슨해지기 때문에 파이프(30)를 용이하게 연결관(1)에서 탈거할 수 있고, 파이프(30)를 재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임부재(32)는 파이프(30)의 외주면을 선상으로 휘감아서 잡아주기 때문에 종래의 파절링(5)을 사용한 경우와 같이 파이프(30)가 비정형으로 변형될 우려가 없다. 따라서 파이프의 단부에 금속슬리브(4)를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부품수가 줄일 수 있어서 경제적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조임부재(32)는 종래의 파절링(5)과는 달리 그 내경에 유동성이 있기 때문에 파이프(30)의 외경오차를 수용할 수 있는 범위가 크다. 따라서 파이프(30)외경의 오차에 따른 하자를 완전히 해결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파이프(30)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부텐, 폴리프로필렌 등으로 된 플라스틱파이프나 연질인 동파이프와 같은 금속파이프도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부품수를 줄일 수 있으며, 결합후에 분해하여도 재사용이 가능한 새로운 구성의 연결관과 파이프의 연결구조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파이프에 결합된 후에는 그 결합을 해제하기가 곤란하였던 종래의 파절링(5) 대신에 탄성복원력이 있는 조임부재(32)를 사용함으로써 연결관(1)과 파이프(30)의 결합과 해제가 자유로우며, 조임부재(32)와 파이프(30)를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서 경제적이다. 또한, 종래의 파이프연결구조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요구되었던 금속슬리브(4)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부품수를 줄일 수 있고 파이프외경의 오차를 극복하여 범용성있게 사용할 있어서 효과적이다.

Claims (1)

  1. 파이프(30)가 삽입되는 삽입부(9)가 단부에 형성된 연결관(1)과, 상기 삽입부(9)에 삽입되며 띠형상의 부재를 반경방향 내측을 향해 경사지도록 하여 코일 형상으로 감아서 형성한 조임부재(32) 및 오링(7)과, 상기 삽입부(9)의 내부에 설치되고 그 선단부에 내측으로 갈수록 중심을 향하는 내향경사면(35)이 형성된 가압링(34)과, 상기 연결관(1)의 단부에 나사결합되며 그 중앙부에는 삽입공(8)이 형성된 캡(2)과, 상기 삽입공(8)을 통해 상기 연결관(1)에 삽입결합되는 파이프(2)를 포함하여 파이프(30)를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캡(2)을 잠금에 따라 상기 조임부재(32)가 후방으로 밀려서 상기 가압링(34)의 내향경사면(35)에 의해 내향으로 압축되어 그 내측면이 상기 파이프(30)의 외주면에 밀착결합됨으로써 상기 파이프(30)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관과 파이프의 연결구조.
KR1019990004484A 1999-02-09 1999-02-09 파이프의 연결구조 KR100315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4484A KR100315341B1 (ko) 1999-02-09 1999-02-09 파이프의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4484A KR100315341B1 (ko) 1999-02-09 1999-02-09 파이프의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879A KR19990037879A (ko) 1999-05-25
KR100315341B1 true KR100315341B1 (ko) 2001-11-26

Family

ID=37531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4484A KR100315341B1 (ko) 1999-02-09 1999-02-09 파이프의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53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5853B1 (ko) * 2013-11-28 2015-08-20 현대제철 주식회사 부원료 투입지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18383A (en) * 2022-05-06 2023-11-08 Harnett Tyronne Adapt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6911U (ko) * 1991-02-27 1992-09-17 김성환 합성수지관 연결 접속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6911U (ko) * 1991-02-27 1992-09-17 김성환 합성수지관 연결 접속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5853B1 (ko) * 2013-11-28 2015-08-20 현대제철 주식회사 부원료 투입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879A (ko) 1999-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75591A (en) Coupling bodies
US4471978A (en) Push-pull connecting system for pressure lines, brake-system lines in particular
CA1073497A (en) Quick connect coupling
JP3077817B2 (ja) 樹脂管の外周面係合用継手
US8235751B2 (en) Coaxial cable port locking terminator and method of use thereof
US5398980A (en) Mechanical pipe joint
US6908123B2 (en) Bayonet quick coupler
GB2236567A (en) A hose coupling
KR20080014954A (ko) 호스 접속용 커넥터
KR960006181B1 (ko) 가는 관 접속용 커넥터
KR100575516B1 (ko) 파이프 연결구
KR100315341B1 (ko) 파이프의 연결구조
US20100181758A1 (en) Connector
KR200162382Y1 (ko) 모니터의 비데오 pcb 어셈블리 결착장치
MX9604319A (es) Tambor desechable.
EP0638752A1 (en) Pipe connector
KR200142430Y1 (ko) 호오스의 연결장치
GB2137713A (en) Rock anchor bolt assembly
KR200142429Y1 (ko) 호오스의 연결장치
KR200211925Y1 (ko) 호스 연결장치
JP3017148B2 (ja) アンテナ保持装置、およびアンテナ保持方法
JP4550844B2 (ja) 電力ケーブルの導体接続構造
KR20010036281A (ko) 호스 연결장치
JP2003222276A (ja) 管の継手構造
JP2000146045A (ja) 管接合用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