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2476B1 - 장기이식환자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장기이식환자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2476B1
KR100312476B1 KR1019980047938A KR19980047938A KR100312476B1 KR 100312476 B1 KR100312476 B1 KR 100312476B1 KR 1019980047938 A KR1019980047938 A KR 1019980047938A KR 19980047938 A KR19980047938 A KR 19980047938A KR 100312476 B1 KR100312476 B1 KR 100312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ms
data table
patient
trans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7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7576A (ko
Inventor
명 수 김
Original Assignee
폴리폴랑
한국 노바티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폴리폴랑, 한국 노바티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폴리폴랑
Priority to KR1019980047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2476B1/ko
Publication of KR19990037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7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2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24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발명은 장기이식 분야에 있어서 이식후의 환자관리, 자료분석 및 특정 의약에 대한 4 상 연구 (phase 4 study) 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수작업 대신 컴퓨터를 이용하여 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한 데이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발명에 따른 데이터구조는 5 가지 주요 구성부분 즉, 테이블, 질의, 폼, 보고서 및 매크로로 구성되어 있다. 테이블은 실제의 자료가 입력되는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있는 것을 말하고, 질의는 테이블의 자료를 일정한 형식에 의하여 선택, 변환 및 구분하여 자료의 폼, 보고서에 사용하게끔 하는 것이며, 폼은 자료의 입력, 회면출력 및 화면변환을 시행하고, 보고서는 입력된 자료를 인쇄물 형식으로 프린터출력하는 형식을 결정하며, 매크로는 본발명에서 행해지는 자료의 변환, 폼 형식의 지정, 보고서 형식의 지정 및 메뉴바의 설정 등 모든 기능키에 대한 형식을 지정한다.

Description

장기이식 환자관리 시스템{Transplant Patient Management System}
장기이식 (transplantation) 특히 신장이식에 있어서, 이식신 (graft kidney) 의 생착 성공여부는 면역 즉 거부반응을 얼마만큼 극복할 수 있는가의 문제가 된다. 그러나, 면역을 너무 억제하면 염증이 생길 위험성이 커지고, 너무 적게 억제하면 거부반응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아진다. 결국 충분한 임상 경험 또는 학술적 연구 결과에 입각하여 면역억제제의 용량을 세심하게 가감조절하여 억제의 정도를 조절하고 이를 통해 감염증도, 거부반응도 모두 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1980 년대에 등장한 시클로스포린은 세균 등에 대한 신체 저항력은 그리 약화시키지 않으면서 이식한 장기에 대한 면역반응을 억제할 수 있는 면역억제제로써 상기 의약의 등장으로 장기이식 분야는 비약적인 발전을 이룩할 수 있었다. 그러나, 시클로스포린의 그러한 놀라운 효과에도 불구하고 그 치료범위 (therapeutic window) 가 협소하다는 특징 때문에 면역억제제의 적정량을 산출하기란 대단히 어려운 작업이다. 음식물 섭취, 담즙 흐름 또는 일일 리듬 등 여러가지 변수에 영향을 받을 뿐만 아니라 환자 개개인별 (intra - patient) 변화도 및 환자 상호간 (inter - patient) 변화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이러한 복잡 다양한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결정해야하기 때문이다.
한국 노바티스사 (Novatis 社) 에서 발행한 "프로토콜 앤드 매뉴얼, 산디문 뉴오랄, 포스트 마케팅 서베일런스 (Protocol & Manual, Sandimmun Neoral, Post Marketing Surveillance)" 에 따르면, 당사에서 제조, 판매하는 산디문 뉴오랄 (Sandimmun Neoral) 은 장기이식후 거부반응 예방, 골수이식후 거부반응 및 GVHD 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하여 개발된 의약임을 알 수 있고, 상기 의약은 임상 결과 종래의 면역역제제에 비해 복용량 및 흡수량의 관계에서 개선된 선형성의 관계 즉, 환자 개개인별 및 환자 상호간의 변화 요소에 영향을 덜 받는 관계를 보여줌으로써 의약의 효능에 대한 예상도를 높여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식후의 환자관리, 의학적 연구를 위한 자료수집 및 특정 의약의 4 상 연구 (Phase 4 Study) 에 대한 필요성은 계속적으로 강조되어 왔다.
본발명은 이상 논의한 바와 같이, 장기이식의 경우는 다른 의료분야와는 달리 거부반응, 합병증 등과 관련하여 이식신의 생존 여부에 대한평생에 걸친 추적 - 조사 (follow-up) 가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환자 관리를 종래에는 프로토콜에 의한 수작업에 의존하였다. 관심의 대상이 되는 환자 그룹을 소아 (0-16세), 노인 (55세 이상), 당뇨병 환자, 과민성 환자로 나누어서 이식 시기를 기준으로 -1, 0, 3, 6, 9, 12, 18, 24, 30, 36, 42, 48, 54, 60 번째 되는 달에 데이터를 케이스 보고서 카드에 기록하는 식으로 행해진 것이다. 이때에 기본 데이터는 장기이식수여자에 대하여 환자 이름, 성별, 나이, 체중, 다른 질병을 앓고 있을 때는 그 병명, 복용하는 약 및 의료기록에 관한 것이고, 장기이식 정보에 대해서는 이식날짜, 신장이식횟수, 이식형태 및 반응의 경과에 관한 것이며, 공여자에 대해서는 HLA 적합성, 공여자 나이 및 소오스 (생체/ 사체) 등이 된다. 여기에 더하여 면역억제제 복용과 관련하여 거부반응 합병증 등 여러가지 데이터가 선택적으로 첨삭된다. 이러한 어렵고 복잡한 작업을 본발명에서는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기본자료와 선택자료를 분리하여 각각의 자료가 해당하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음은 물론 데이터베이스 간에 연결관계를 설정하여 필요한 연산을 수행하고 환자관리를 위해서 또는 연구목적의 자료를 선택적으로 화면출력 또는 보고서 출력 가능하게 한 것이다. 그 결과 데이터를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본발명의 첫째 목적은 환자관리를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 정형화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이다. 또다른 목적은 수집된데이터를 기초로 의학적 연구를 위한 것으로써, 특히 이식후 시기적 의미를 갖는 데이터 즉 임계적 특성을 보이는 데이터를 수집하여 장기이식에 관한 표준적인 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발명은 의약에 있어서의 PMS (Post Marketing Surveillance) 즉, 4 상 연구를 위한 체계적인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전체적인 자료의 흐름을 나타내는 블럭 다이아그램이다.
도 2 는 테이블 간의 연결을 도시한다.
우선 본발명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의 기본적 구조에 대해서 살펴보면, 5 가지 주요 구성부분 즉, 테이블, 질의, 폼, 보고서 및 매크로로 구성되어 있다. 도 1 에서는 각 구성부분 간의 데이터의 전체적 흐름을 도시하고 있다. 그에 따르면, 입력자료는 화면폼의 일정형식을 통해 테이블에 저장되고 질의, 매크로를 통하여 화면출력 또는 필요한 연산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각각의 구조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테이블 (Table) 은 실제의 자료가 입력되는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는 부분이고, 질의 (Query) 는 테이블의 자료를 일정한 형식에 의하여 선택, 변환 및 구분하여 자료의 폼, 보고서에 사용하기 위한 부분이며, 폼 (Form) 은 자료의 입력, 화면출력 및 화면변환을 실행하는 부분이고, 보고서 (Report) 는 입력된 자료를 인쇄물 형식으로 프린터출력하는 형식을 결정하는 부분이며, 매크로 (Macro) 는 PMS 내부에서 행해지는 (1) 자료의 변환, (2) 폼 형식의 지정, (3) 보고서 형식의 지정 및 (4) 메뉴바의 설정 등의 모든 기능키에대한 형식을 지정하는 부분이다.
본발명에 따른 환자관리 또는 자료수집에 필요한 데이터는 그 데이터가 속하는 테이블에 저장된다. 예를 들면 환자 개개인의 신상에 관한 데이터는 Kid 테이블에 해당하고 환자의 이식후 추적조사에 관한 데이터는 Wt_kw 테이블에 해당하게 되는 것이다. 동일한 환자에 대하여 2 개 이상의 테이블에 데이터를 입력해야 하는 경우 (예를 들면, 환자 ID 를 Kid 테이블과 Wt_kw 테이블에 입력하게 될 경우) 에는 동일한 작업을 2 번 이상 하게 되는 번거로움을 피하기 위하여 테이블 간에 연결 (이에 관해서는 아래에 상세하게 설명함) 을 설정하여 한번의 작업으로 가능하게 하였다. 본발명에 따른 테이블의 종류는 아래 표 1 과 같다.
No. 테이블 이름 설 명
1 Kid 환자 (수여자) 기본자료
2 Donor 공여자 기본자료
3 Wt_kw 수여자 추적조사 (F/W) 자료
4 Infection 이식후 감염 자료
5 Complication 이식후 합병증 자료
6 Cancer 이식후 암 자료
7 Oktable 항림프구항체 사용경력에 관한 자료
8 Renalbx 이식신 생검자료
9 Retransplant 재이식 자료
10 Totalrej 거부반응 자료
11 Neoral_96_lab Neoral PMS study 자료 (1년 연구)
12 Neoral_97_lab Neoral PMS study 자료 (2-5년 연구)
13 Neoral_ADR Neoral PMS study 자료 (ADR)
14 Neoral_medi Neoral PMS study 자료 (의학적 질병)
15 Neoral_rejection Neoral PMS study 자료 (거부반응)
상기 표 1 에서 테이블 번호 1 내지 3 은 이식환자 관리를 위한 기본자료를 구성하고, 테이블 번호 4 내지 10 은 이식환자 관리를 위한 선택 자료를 구성한다. 테이블 번호 11 및 12 는 PMS 연구를 위한기본자료를 구성하고, 테이블 번호 13 및 15 는 PMS 연구를 위한 선택자료를 구성한다. 각 테이블 간의 연결관계 (link) 는 나중에 설명한다.
이러한 테이블은 데이터 모두를 분류하여 포함할 수 있도록 적당한 수의 필드로 구성된다. 테이블 안의 필드에서는 각각의 용도에 맞게 데이터 형식이나 길이를 설정할 수 있고 테이블 안의 데이터를 식별, 관리하기 위해 기본값을 설정할 수 있다. 본발명에서는 기본값을 이식번호에 해당하는 Txno 로 설정한다. 본발명에 따르면, PMS 의 모든 입력자료는 입력형식에 관계없이 테이블에 저장된다. 이러한 입력자료는 화면에서는 여러가지 형태로 입력할 수 있으나 (입력형식에 관해서는 폼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함) 실제입력되는 자료값은 테이블 내에서 이미 지정되어 있는 입력형태로 입력된다. 테이블의 필드 (자료) 는 다음과 같은 사항이 지정되어 있다.
(1) 필드 이름
(2) 필드 타입 (종류) : Text/ Number/ Date/ Logical
(3) 필드 크기
(4) 필드 설명 : 필드의 의미
(5) 필드 형식 : 입력되는 필드값의 형식
(6) 기타 - 입력 마스크, 기본값, 정렬형식 지정
각 테이블의 구조는 아래 표 2 와 같다. 좀 더 상세한 테이블의 구조 즉 필드 이름, 필드 타입, 필드 크기, 필드 설명 및 코드 이름에 대해서는 본명세서에 첨부하는 부록 1 에 명기하고 있다. 부록 1 에 따르면, 어떤 필드의 경우는 코드 이름에 숫자가 부여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각 숫자는 임의로 정해진 것이 아니라 의학적으로 볼 때 임계적 특징을 갖는 요소를 중심으로 정해진 것이다.
No. 테이블 이름 필드 수 인덱스 중복가능성
1 Kid 94 Txno(오름차순) 아니오
2 Donor 46 아니오
3 Wt_kw 101 아니오
4 Infection 13
5 Complication 22 아니오
6 Cancer 15
7 Oktable 28
8 Renalbx 36 아니오
9 Retransplant 27 아니오
10 Totalrej 32 아니오
11 Neoral_96_lab 167 아니오
12 Neoral_97_lab 253 아니오
13 Neoral_ADR 12
14 Neoral_medi 11
15 Neoral_rejection 10
도 2 는 테이블 간의 자료의 연결을 도시하고 있다. 각 테이블 간의 자료의 연결은 같은 함수 즉 Txno (이식번호) 로 상호연결되어 있다. 이식환자관리를 위한 기본자료는 Kid 테이블, Donor 테이블 및 Wt_kid 테이블로 구성되어 있으며 나머지 테이블은 선택자료로 필요한 경우 연결하여 사용하게 구성되어 있다. PMS 를 위한 자료는Neoral_96_lab 테이블과 Neoral_97_lab 테이블을 기본자료로 하여 나머지 3 개의 테이블을 선택자료로 활용하였다. 본명세서에서는 각 테이블 간의 연결관계를 설명하는 것으로 만족하고 테이블 내의 구체적인 필드별로 관계를 설명하는 것은 생략하기로 한다.
폼과 보고서는 테이블 내의 자료를 화면출력하거나 프린터 출력하는 형식을 지정하는 방법을 말한다.
PMS 의 폼과 보고서는 크게 6 개의 블록으로 구성되어 PMS 내의 자료를 다양한 형태로 화면 및 프린터 출력을 하게 해 준다. 각 블럭에서 담당하는 작업의 내용은 아래 표 3 과 같다.
입력하는 형식은 각 폼마다 필드의 구조에 따라서 입력하기 쉬운 형식으로 구성되고 그 종류는 다음과 같다.
(1) 단순직접입력 : 단순입력창에 의하여 자료를 직접 타이핑하여 입력하는 형식으로 Text 로 구성되어 있는 필드 입력창은 이렇게 구성되어 있다.
(2) 콤보입력창 : 필드에 입력되는 값은 Number 임에도 화면에서는 Text 로 표시된 문항을 선택하여 입력하는 형식이다. 예를 들어 성별의 경우 Sex 필드의 값은 1 과 2 로 표시하게 되어 있으나 입력창에는 Male : Female 로 표시되어 Male 을 선택하면 값이 "1" 로, female 을 선택하면 "2" 로 입력되게 하는 형식의 입력창이다.
(3) 자동입력창 : 이미 입력된 자료로 산술적인 계산이 가능한 경우
폼 이름(버튼 캡션) 소스 테이블 설명
Survival_correction(환자 개개인별 자료) Kid*Wt_Kidney*Donor*ComplicationallRenalbxInfectionCancerRetransplantTotalrejOktable 이식환자의 자료를 입력하는 블럭(1) 공동자료*입력과(2) 선택자료 입력으로 구분되어 있다.
Listforname_total(간단한 환자명단출력) 입력된 자료중 일부자료만 선택하여 화면/ 프린트 출력하는 블럭
Listforstudy(연구 목적 출력) 입력된 자료중 연구목적을 위한 일부자료의 화면/ 프린터 출력하는 블럭
업데이트(업데이트 및 변경) (1) 입력된 자료중 계산이 필요한 값의 변경(2) 입력된 자료의 다른 형식의 데이터 베이스로의 변환(3) 입력된 자료의 백업
Statmain(통계자료) 입력된 자료를 이용한 통계학적인 처리 및 처리된 결과의 출력
Neoral_main_neo(Neoral PMS Study) Neoral_96_Lab*Neoral_97_Lab*Neoral_mediNeoral_ADRNeoral_rejection Sandimun Neoral PMS study 를 위한 자료입력(1) 공동자료*입력과(2) 선택자료 입력으로 구분되어 있다.
자동으로 입력되게 되어 있는 입력창이다. 예를 들어 환자의 나이의 경우, 생년월일이 입력되는 경우 나이는 자동으로 입력되게 된다.
화면출력되는 자료는 자료의 배치와 연관성을 고려하여 배치하였으며 제한된 화면을 최대한 사용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형식을 사용하였다.
(1) 일반폼 : 서브폼이나 목록 박스를 제외한 한 화면에서 계속 출력되는 자료
(2) 서브폼 : 같은 소스 테이블을 사용하는 경우, 전체 화면의 변경없이 일정한 공간 내에서 같은 환자의 여러가지 자료가 변경되어 출력된다. 이 경우 서브폼 내로 출력되는 화면의 내용은 옵션 그룹 내에서 지정된다.
(3) 리스트 박스 : 화면 내의 일정 구역에 자료의 내용이 화면출력되게 한다. 리스트 박스 내에 출력되는 내용의 형식은 옵션 그룹 내에서 지정된다.
(4) 폼변경 : 다른 소스 테이블을 사용하여 같은 환자의 자료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전체 화면이 변경되면서 다른 입력창이 화면출력되게 된다. 이런 경우 화면과 화면 사이의 자료의 일정한 키필드 값으로 서로 연결되게 되는데 본 PMS 에서는 Txno 를 키필드로 사용하였다. 다른 폼으로의 변경은 명령버튼으로 이루어진다.
이제부터는 폼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폼인 Survival correction (새로운 환자 입력 : 환자 개개인별 자료) 은 PMS 자료를 입력하는 환자관리상 필요한 모든 정보와 PMS study 를 위한 모든 자료를 등록하기 위한 것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표 4 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두번째 폼구조는 Listforname_Total (간단한 환자명단 출력) 이다. 상기 폼구조는 PMS 내의 자료중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자료를 선별적으로 출력하는 블록으로 개발자가 임의로 지정한 경우와 사용자가 임의로 저정할 수 있는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아래 표 5 에 상세하게 그 내용을 설명한다.
세번째 폼구조는 Listforstudy (연구 명단 미리보기 및 인쇄) 이고 PMS 자료중 개발자가 특수연구목적으로 작성한 연구군의 명단을 출력하기 위한 블럭이다. 이러한 폼구조에 대해서는 아래의 표 6 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네번재 폼구조는 Update (업데이트 및 자료변경) 로써, PMS 의 자료는 PMS 안에서 이루어지는 통계처리를 위하여 특정 자료는 수시로 그 수치를 시간에 맞게 수정하도록 프로그램된다. 이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간단한 통계처리를 위하여 필요하다.
PMS 의 자료는 여러가지 통계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다른 형식의 파일로 변환이 가능하며 자료만의 저장을 위하여 별도의 디스켓 내에 작업 내용을 저장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다. 이에 관한 상세한 내용은 아래의 표 7 에 소개하고 있다.
타입 버튼 캡션 폼 이름 소스 테이블 설명/ 필드 No
일반 - - Kid 일반자료
서브폼 Fig 버튼 Study
Cx Cx 합병증 관련자료
Liver Hepa 간기능검사 관련자료
Renal Bx Biopsy 이식신 생검 관련자료
HLA Hla 공수여자 면역학 검사자료
Medicallillness Organdis 이식후 발생한 내과질환 자료
Rejection Earlyrejection 이식후 발생한 거부반응 자료
Pre-Tx/Op Rejection_history 이식전 상태 및 수술방법에 관한 자료
Address Address 환자의 주소록
폼 변경 Neoral study Neoral_main Neoral_96_labNeoral_97_labNeoral_mediNeoral_ADRNeoral_rejection Sandimmun Neoral PMS study 자료
Follow-up Long_term F_U Wt_kid 이식후 추적조사 자료
Edit complication Complication_intake Complicationall 각 항목별 상세 정보로 서브폼에서 각각 파생되어 화면출력하게끔 되어 있다.테이블 간은 공통 Txno 로 연결 (link) 되어 있다.선택 입력가능한 부분이다.
Graft Biopsy Graftbx Renalbx
Donor Record Donor Donor
Infection Infectionintake Infectionall
Malignancy Cancerintake Cancer
Re-Tx Intake_retx Retransplant
Editrejection record History_rejection Totalrej
OKT3/ALG OKT3New Oktable
타입 버튼 캡션 출처.질의 보고서 설명
옵션미리보기 및인쇄 버튼 CadavericReTxPediatricHepatitis BHepatitis CD.M.Post-Tx Tbc.MalignancyOKT3/ALGTriple ISDeliveryGraft BxGFPt.Death L_CadaverL_RetransL_PediL_HBVL_HCVL_DML_Tb.L_MaliL_OKT3L_TripleL_DeliL_renbxL_GFL_Mort ListCadaverListRetransListPediListHBVListHCVListDMListTb.ListMaliListOKT3ListTripleListDeliListrenbxListGFListMort
다섯번째의 폼구조는 Statmain (통계처리) 로써, PMS 내에서의 통계처리는 기본적인 산술평균, 빈도, 백분율의 범주 내에서 통계처리하도록 되어 있으며, 통계결과는 화면출력과 동시에 프린터 출력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각 통계처리를 위하여 여러가지 테이블과 질의 자료를 활용하며 화면출력은 폼형식을, 프린터 출력은 보고서 형식을 사용한다. 아래의 표 8 에 상세하게 기재한다.
여섯번째 폼구조는 Neoral_main (장기적 효과에 대한 Sandimmun Neoral 연구) 에 관한 것이다. 이것은 Neoral PMS Study 를 위한 블럭으로 4
(이식신 생존기간 업데이트)
(업데이트 버튼) Stat.macro = stat.query (현재 이식신이 기능하고 있는 경우)+ stat2.query (현재 이식신이 소실된 경우)+ stat3.query (현재 환자가 사망한 경우)
(자료의 변환)
(엑셀로 변환) Transferexcel.macro(Neoral PMS 데이터로 변환) Transferexcel_neoral.macro
(자료보관하기)
(하드 디스크 백-업) Transferdbf.macro
(플로피 디스크 백-업)Macro Transfer_disk1 Transfer_disk2 Transfer_disk3 Transfer_disk4name (디스크 A) (디스크 B) (디스크 C) (디스크 D)────────────────────────────────── Saved Kid.table Donor.table Neoral_96_Lab Neoral_97_Lab table Infection.table Neoral_medi Complicationall.table Neoral_ADR Cancer.table Neoral_rejection Oktable.tableRenalbx.tableRetransplant.tableTotalrej.tableWt_kid.table
개의 테이블로 구성되어 있다. 4 개의 테이블은 Txno 로 같은 환자의 자료임을 서로 연결 (link)하고 있다. 아래의 표 9 에 상세하게 소개하고 있다.
옵션 버튼 (모든 경우) (CsA 그룹) (소아)
Age/Sex Recipient Statagerecp*Statprintagerecp** StatagerecpCsAStatprintagerecpCsA StatpedageStatprintpedage
Age/Sex Donor StatagedonorStatprintagedonor StatagedonorCsAStatprintagedonorCsA -
Donor Relation StatdonorStatprintdonor StatdonorCsAStatprintdonorCsA StatpeddonorStatprintpeddonor
Mortality GF StatmortalityStatprintmortality StatmortalityCsAStatprintmortalityCsA StatmortalityPedStatprintmortalityPed
GF StatgfchangeStatprintgfchange StatgfchangeCsAStatprintgfchangeCsA -
Mortality StatmortchangeStatprintmortchange StatmortchangrCsAStatprintmortchangeCsA -
Early rejection StatrejectStatprintreject StatrejectCsAStatprintrejectCsA StatrejectPedStatprintrejectPed
Annual incidence StatyearStatprinttear - -
*: Subform name**: Report name
타입 버튼 캡션 폼 이름 소스 테이블 설명/필드번호
일반 - - Neoral_96_Lab*Neoral_mediNeoral_ADRNeoral_rejeation Sandimmun Neoral PMS 연구 자료
서브폼 Fig Button
Pre Neoral_previous Pre-study 자료
Start Neoral_start_date Study 시작시점의 자료
3 Mo. Neoral_3Mo 3 개월 자료
6 Mo. Neoral_6Mo 6 개월 자료
9 Mo Neoral_9Mo 9 개월 자료
1 Yr Neoral_1Y 1 년 자료
폼변경 2 Yrs Neoral_2y Neoral_97_Lab*Neoral_mediNeoral_ADRNeoral_rejection 2 년 자료
3 Yrs Neoral_3y 3 년 자료
4 Yrs Neoral_4y 4 년 자료
5 Yrs Neoral_5y 5 년 자료
*필수자료
장기이식 환자관리를 위해서는 다른 의료분야와는 달리 이식후 환자에 대하여 평생에 걸친 추적조사가 필요하다. 그러한 추적 조사는 세심하게 면역억제제의 적정량을 결정하고 환자 내부의 면역체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필요한 것으로써, 이경우 환자 개개인별 및 환자 상호간의 변화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거부반응, 합병증 등 고려해야할 요소가 복잡 다양하기 때문에 그러한 자료를 전체적으로 수집하여 분석하여야 하는 사전작업이 중요하다. 본발명의 장기이식 환자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이러한 환자관리, 자료분석 및 특정의약에 대한 4 상 연구를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정정) 장기이식환자 관리, 자료분석 및 PMS(Post Marketing Surveillance) 연구를 위하여 테이블, 질의부, 폼, 보고서 및 매크로를 포함하는 데이터 구조를 포함하는 장기이식환자 관리 시스템으로써, 상기 테이블은 실제의 자료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는 부분이고, 상기 질의부는 테이블의 자료를 일정한 형식에 의하여 선택, 변환 및 구분하여 자료의 폼, 보고서에 사용하기 위한 부분이며, 상기 폼은 자료의 입력, 화면출력 및 화면변환을 실행하는 부분이고, 보고서는 입력된 자료를 인쇄물 형식으로 프린터출력하는 형식을 결정하는 부분이며, 매크로는 상기 시스템 내부에서 행해지는 자료의 변환, 폼 형식의 지정, 보고서 형식의 지정 및 메뉴바의 설정 등의 모든 기능키에 대한 형식을 지정하는 부분인 장기이식환자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구조는 이식환자관리용 데이터베이스 및 PMS 연구용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이식환자관리용 데이터베이스는,
    이식환자 기본자료 테이블, 장기이식후 이식환자 추적조사 자료 테이블, 및 장기 공여자 기본자료 테이블을 포함하는 기본 테이블; 및
    이식후 감염자료 테이블, 이식후 합병증 자료 테이블, 이식후 암 자료 테이블, 항림프구항체 사용경력에 관한 자료 테이블, 이식신 생검자료 테이블, 재이식 자료 테이블, 및 거부반응 자료 테이블을 포함하는 제1 선택 테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PMS 연구용 데이터베이스는,
    1년차 PMS 연구자료 테이블, 및 2년차 이후 PMS 연구자료 테이블을 포함하는기본 테이블; 및
    약 부작용 PMS 자료 테이블, 의학적 질병 PMS 자료 테이블, 및 거부반응 PMS 자료 테이블을 포함하는 제2 선택 테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이식환자 기본자료 테이블은, 장기이식후 이식환자 추적조사 자료 테이블, 장기 공여자 기본자료 테이블, 제1 선택 테이블, 및 1년차 PMS 연구자료 테이블과 상호 연결되고, 상기 1년차 PMS 연구자료 테이블은, 2년차 이후 PMS 연구자료 테이블 및 제2 선택 테이블과 상호 연결되고, 상기 2년차 이후 PMS 연구자료 테이블은 제2 선택 테이블과 상호 연결되어 자료를 공유하며,
    상기 폼은, 환자별 자료 폼, 환자 명단폼, 연구 대상 명단 폼, 업데이트 및 자료변경 폼, 통계처리폼, 및 PMS 연구용 폼을 포함하며,
    상기 업데이트 및 자료변경 폼은 통계처리를 위한 특정 자료의 수치를 시간에 따라서 수시로 수정하도록 프로그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이식환자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19980047938A 1998-11-10 1998-11-10 장기이식환자관리시스템 KR100312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7938A KR100312476B1 (ko) 1998-11-10 1998-11-10 장기이식환자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7938A KR100312476B1 (ko) 1998-11-10 1998-11-10 장기이식환자관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576A KR19990037576A (ko) 1999-05-25
KR100312476B1 true KR100312476B1 (ko) 2001-12-12

Family

ID=37531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7938A KR100312476B1 (ko) 1998-11-10 1998-11-10 장기이식환자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24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73023A1 (en) * 2010-01-12 2011-07-14 Gryphes Inc.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Organ Transplant Transpo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576A (ko) 1999-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ee et al. Fatality from three common surgical conditions in teaching and non-teaching hospitals
Cote et al. Progress in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atized Nomenclature of Medicine (SNOMED)
Böttiger et al. Drug-induced blood dyscrasias in Sweden
US5993387A (en) Computer-based mixed-use registry of placental and umbilical cord stem cells
Tsay Library journal use and citation half‐life in medical science
KR100312476B1 (ko) 장기이식환자관리시스템
CN103003820A (zh) 鉴定和选择至少一个用于移植的脐带血单元
Choi et al. Common data model-based analysis of selective leukoreduction protocol compliance at three hospitals
Kvaček The role of types in palaeobotanical nomenclature
Liu et al. Constructing a Comprehensive Clinical Database Integrating Patients' Data from Intensive Care Units and General Wards
Kolata Liver Transplants Endorsed: An NIH consensus panel recommends more transplants but does not say who will pay
Fu et al. Toward a public domain UMLS patient database
Marsh et al. Changing to A4 folders and updating records in a" busy" general practice.
Black Data for management: the Körner Report.
Doll Hospital records in the computer age
Ruth et al. An integrated family-oriented problem-oriented medical record
Lustman SUMER: A database concept for clinical research and patient data-management
Watts et al. Computer method for deriving hospital inpatient morbidity statistics based on the person as the unit.
Gul et al. PATTERN OF ANEMIA IN DIABETIC PATIENTS PRESENTING TO PRIVATE SECTORS TERTIARY CARE HOSPITALS IN PESHAWAR
Sibley et al. Data management for clinical research
Powell Medical Uses of Lasers
Calne Theory and Practice of Transplantation
Holdsworth Surgical audit using dBaseII
Goodsite et al. A computer program to record technical data in leukapheresis and plateletpheresis procedures
Peters Veterinary clinical data: an epidemiologic research resour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