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1623B1 - 세탁물 건조대 - Google Patents

세탁물 건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1623B1
KR100311623B1 KR1019990033099A KR19990033099A KR100311623B1 KR 100311623 B1 KR100311623 B1 KR 100311623B1 KR 1019990033099 A KR1019990033099 A KR 1019990033099A KR 19990033099 A KR19990033099 A KR 19990033099A KR 100311623 B1 KR100311623 B1 KR 100311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inge coupling
hook
hinge
coupl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3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8842A (ko
Inventor
박두영
Original Assignee
박두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두영 filed Critical 박두영
Priority to KR1019990033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1623B1/ko
Publication of KR19990078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8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1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16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12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6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comprising vertical members connected by horizontal 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물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주상으로 설치된 다수의 걸이부를 간단한 조작에 의해 펼쳐짐은 물론 접혀질 수 있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관성작용에 의해 상기 걸이부를 자동적으로 간편하게 접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그 구성은 상면 중앙에 결합공이 그 양측으로 삽입공이 형성되고 외측 플랜지 상면에는 다수의 지지편이 힌지결합된 상부케이스와; 상기 결합공에는 하측에 체결부가 형성된 고정구가 삽입체결되고 상기 고정구의 상면에는 스프링에 의해 일측으로 걸고리부가 형성된 집게부가 결합되는 현수부와; 상기 삽입공에는 하측에 반원형의 누름부가 형성되며 상측으로 파지손잡이가 콜릿결합되어 설치되는 각각의 작동구와; 상기 상부케이스의 플랜지와 상응되는 플랜지의 외측 하부에 상기 지지편과 대응되는 다수의 인입공이 형성되고 그 인입공의 내측에는 제 1힌지결합홈과 제 2힌지결합홈이 형성되며 내부 중앙으로 상기 누름부의 내주면과 내접되는 가이드봉이 형성된 하부케이스와; 상기 인입공에는 일단이 개방되어 밑면으로 받침편이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에는 힌지결합부와 경사면과 끝단이 절곡된 지지턱이 형성되는 걸림고리부가 형성된 걸이대와, 상기 걸이대의 개방부에 삽입되도록 일측에 힌지결합된 지지고리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힌지결합부가 형성된 지지대로 형성되는 걸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세탁물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세탁물 건조대{a drier of wash}
본 발명은 세탁물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주상으로 설치된 다수의 걸이부를 간단한 조작에 의해 펼쳐짐은 물론 접혀질 수 있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관성작용에 의해 상기 걸이부를 자동적으로 간편하게 접을 수 있도록 한 세탁물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물을 건조하기 위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는 빨래줄을 매달고 그 빨래줄에 세탁물을 널어서 건조시키는 통상적인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건조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빨래줄을 매달 수 있는 넓은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고, 시대적인 주택문화가 단독주택에서 아파트나 빌라 및 다가구 주택문화로전환되는 시점에서 상기한 방법은 적합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의해 근래에는 작은 공간에서 절첩되어 많은 세탁물을 건조시킬 수 있는 다양한 세탁물 건조대가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는 바, 그 일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설명한다.
도 7은 종래 세탁물 건조대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에 따른 절첩되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로, 중앙 상면에 결합공(112)이 외주면에는 다수의 삽입공(114)이 형성된 호형상의 지지부재(110)와; 상기 결합공(112)에는 상측에 걸고리(122)가 하측에는 콜릿결합되는 삽입부(124)가 형성된 지지대(120)와; 상기 삽입공(114)에는 끝단으로 지지고리(132)가 일체로 형성되고 일단이 삽입되어 힌지결합되는 걸이대(130)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세탁물 건조대(100)는 지지부재(110)의 결합공(112)에 설치된 지지대(120)의 걸고리(122)를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걸은 후, 삽입공(114)으로 일단이 힌지결합된 걸리대(130)를 일일이 편 다음 건조시키고자 하는 세탁물을 널어서 건조시켰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세탁물 건조대(100)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일일이 수작업에 의해 걸이대(130)를 접거나 또는 펼쳐야 하는 번거러움이 발생하였고, 세탁물이 건조된 상태에서도 그 건조물을 사용자가 일일이 걷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 종래의 세탁물 건조대(100)는 지지대(120)에 형성된 걸고리(122)에 의해 주로 천정부위에 설치된 봉형상의 설치대나 와이어로 설치된 설치대에는 원활하게 걸어서 사용할 수 있었으나, 많은 량의 세탁물이 아닌 적은 량의 세탁물을 건조시키고자 일측의 걸이대(130) 만을 펼쳐 수직면상의 벽면으로 설치하여 사용하기에는 곤란한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원주상으로 설치된 다수의 걸이부를 간단한 조작에 의해 펼쳐짐은 물론 접혀질 수 있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관성작용에 의해 상기 걸이부를 자동적으로 간편하게 접을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걸이부 전체가 접혀진 상태의 요부 단면
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측 걸이부만 펴지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 부분의 요부 확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걸이부 전체가 펼쳐진 상태의 요부 단면도.
도 6은 도 5에 따른 사시도.
도 7은 종래 세탁물 건조대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따른 절첩되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부케이스 12 : 결합공
12a : 삽입홈부 13 : 삽입공
14 : 지지편 14a : 걸림턱
20 : 현수부 22 : 체결부
22a : 고정리이브 25 : 고정구
26 : 걸고리부 26a : 패킹
28 : 집게부 30 : 작동구
32 : 누름부 34 : 파지손잡이
40 : 하부케이스 42 : 인입공
44 : 제 1힌지결합홈 45 : 제 2힌지결합홈
46 : 가이드봉 50 : 걸이부
51 : 받침편 52,57 : 힌지결합부
54 : 걸림고리부 54a : 경사면
54b : 지지턱 55 : 걸이대
56 : 지지고리 58 : 지지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통상적인 세탁물 건조대에 있어서, 상면 중앙에 결합공이 그 양측으로 삽입공이 형성되고 외측 플랜지 상면에는 다수의 지지편이 힌지결합된 상부케이스와; 상기 결합공에는 하측에 체결부가 형성된 고정구가 삽입체결되고 상기 고정구의 상면에는 스프링에 의해 일측으로 걸고리부가 형성된 집게부가 결합되는 현수부와; 상기 삽입공에는 하측에 반원형의 누름부가 형성되며 상측으로 파지손잡이가 콜릿결합되어 설치되는 각각의 작동구와; 상기 상부케이스의 플랜지와 상응되는 플랜지의 외측 하부에 상기 지지편과 대응되는 다수의 인입공이 형성되고 그 인입공의 내측에는 제 1힌지결합홈과 제 2힌지결합홈이 형성되며 내부 중앙으로 상기 누름부의 내주면과 내접되는 가이드봉이 형성된 하부케이스와; 상기 인입공에는 일단이 개방되어 밑면으로 받침편이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에는 힌지결합부와 경사면과 끝단이 절곡된 지지턱이 형성되는 걸림고리부가 형성된걸이대와, 상기 걸이대의 개방부에 삽입되도록 일측에 힌지결합된 지지고리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힌지결합부가 형성된 지지대로 형성되는 걸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편에는 힌지결합된 측에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힌지결합홈과 제 2힌지결합홈은 단차지게 형성되고, 제 1힌지결합홈의 직경은 제 2힌지결합홈의 직경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걸이대의 걸림고리부는 그 회전반경이 상기 누름부의 외주면에서 중심축 반지름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걸이부 전체가 접혀진 상태의 요부 단면도로, 상면 중앙에 양측으로 삽입홈부(12a)가 형성된 결합공(12)이, 그 양측에는 장공형태의 삽입공(13)이 형성되고 외측 플랜지의 상면에는 다수의 지지편(14)이 힌지결합된 상부케이스(10)와;
상기 결합공(12)에는 하측에 상기 삽입홈부(12a)에 대응되도록 고정리이브(22a)가 형성되어 삽입된 후 회전시켜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부(22)가 형성된 고정구(25)가 삽입체결되고, 상기 고정구(25)의 상면에는 스프링에 의해 일측으로 필요에 따라 미끄럼 방지를 위해 패킹(26a)이 끼워지는 걸고리부(26)가 형성된 집게부(28)가 끼워맞춤 결합되어 별도로 설치된 행거나 빨래줄 및 창문등에 매달거나 걸어서 설치할 수 있도록 형성된 현수부(20)와;
상기 삽입공(13)에는 하측에 반원형의 누름부(32)가 형성되며 상측으로 파지손잡이(34)가 콜릿결합되어 설치되는 각각의 작동구(30)와;
상기 상부케이스(10)의 플랜지와 상응되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고정스크류로 고정되며 그 외측 하부에 상기 지지편(14)과 대응되는 다수의 인입공(42)이 형성되고 그 인입공(42)의 내측에는 제 1힌지결합홈(44)과 제 2힌지결합홈(45)이 형성되며 내부 중앙으로 상기 누름부(32)의 내주면과 내접되는 가이드봉(46)이 형성된 하부케이스(40)와;
상기 인입공(42)에는 일단이 개방되어 밑면으로 받침편(52)이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제 1힌지결합홈(44)에 결합되는 힌지결합부(52)와 상기 작동구(30)의 누름부(32) 외주면으로 지지되게 경사면(54a)과 끝단이 절곡된 지지턱(54b)이 형성되는 걸림고리부(54)가 형성된 걸이대(55)와, 상기 걸이대(55)의 개방부에 삽입되도록 일측에 힌지결합된 지지고리(56)가 형성되어 상기 받침편(52)에 재치되며 타측에는 상기 제 2힌지결합홈(45)에 결합되는 힌지결합부(57)가 형성된 지지대(58)로 형성되는 걸이부(50)가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지지편(14)에는 힌지결합된 측에 걸림턱(14a)이 형성되어 그 상측 이상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걸이부(50)의 걸이대(55)가 펼쳐진 상태에서 그 상면으로 끝단이 지지되어 걸이대(55)에 걸려지는 세탁물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힌지결합홈(44)과 제 2힌지결합홈(45)은 단차(h)지게 형성되고, 제 1힌지결합홈(44)의 직경(R)은 제 2힌지결합홈(45)의 직경(r) 보다 크게 형성되어 걸이대(55)와 지지대(58)가 펼쳐진 상태에서 그 단차(h)와 직경(R)(r)에 의해 걸이대(55)를 지지대(58)가 원활하게 지지함은 물론 지지력을 크게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걸이대(55)의 걸림고리부(54)는 그 회전반경이 상기 누름부(32)의 외주면에서 중심축 반지름 보다 커 작동구(30)의 누름부(32) 외주면으로 용이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현수부(20)의 집게부(28) 상면에는 걸고리를 형성시켜 필요에 따라 아파트등지의 베란다에 설치된 건조대에 걸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지지대(58)의 일단 하부케이스(40)와 힌지결합된 부위의 하측에는 하부케이스(40)의 밑면과 직교되도록 지지고리를 형성시켜 걸이부(50)가 접혀진 상태에서 내측으로 더이상 접혀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과 작은 세탁물이나 별도의 물품등을 걸어 놓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측 걸이부만 펴지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 부분의 요부 확대단면도로, 상부케이스(10)의 삽입공(13)에 설치되어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작동구(30)를 누름에 따라 하측에 형성된 누름부(32)가 하부케이스(40)의 가이드봉(46) 상에서 하측으로 슬라이드됨과 동시에 하부케이스(40)의 인입공(42)을 삽입되어 있는 걸이대(55)의 걸림고리부(54)가 가압되어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걸이부(50)의 걸이대(55)와 지지대(58)에 형성된힌지결합부(52)(57)는 제 1힌지결합홈(44)과 제 2힌지결합홈(45)으로 힌지결합되어 있는 관계로, 그 힌지결합된 부분을 기점으로 일점쇄선과 같이 걸이대(55)와 지지대(58)가 상측으로 상승되어 펼쳐지게 되는 것이고, 상기 작동구(30)의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 누름부(32)의 외주면 측에 걸림고리부(54)가 지지되면서 걸이부(50)가 펼쳐지게 되는 것이다.
다시말해서, 상기 걸림고리부(54)가 누름부(32)의 외주면으로 지지될 수 있는 것은 힌지결합된 부분 이외의 걸이대(55)와 지지대(58)의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내려가는 힘에 의해 걸림고리부(54)가 누름부(32)의 외주면에 맞닿아 지지되면서 즉, 걸림고리부(54)의 회전반경(R1) 누름부(32)의 외주면 중심축의 직경(R2)보다 큰 이유로 인해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 걸쳐져 지지되므로 펼쳐진 후 지지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케이스(10)에 형성된 지지편(14)은 상기 걸이대(55)가 펼쳐지면서 그 상면으로 일단이 맞닿게 되면서 힌지결합된 측으로 형성된 걸림턱(14a)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고, 상기 지지대(58)의 일단으로 힌지결합된 지지고리(56) 또한 걸이대(55)와 지지대(58)가 펴지면서 힌지결합부(52)(57)의 직경(R)(r)과 단차(h)가 서로 다른 이유로 인해 지지대(58)의 지지고리(56) 측이 걸이대(55)의 내측으로 인입되면서 지지고리(56)가 회전되어 그 일단이 걸이대(55)의 상면으로 지지되는 것이다.
또, 이렇게 일측의 걸이부(50)만 펴진 상태에서는 현수부(20)의 집게부(28)에 형성된 걸고리부(26)를 이용하여 수직면상의 창문등으로 걸어 놓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걸고리부(26)에 끼워진 패킹(26a)에 의해 책상등의 상면으로 재치하여도 미끄러지지 않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걸이부 전체가 펼쳐진 상태의 요부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에 따른 사시도로, 상기한 도 4의 상태에서 반대측의 걸이부(50)를 전술한 바와 같이 작동구(30)를 눌러 작동시킴으로써, 상기한 동일한 작용에 의해 걸이부(50) 전체가 펼쳐져 지지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렇게 걸이부(50) 전체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현수부(20)의 집게부(28)를 이용하여 메달아 놓을 수 있는 지지행거나 빨래줄등으로 현수시켜 놓고 펼쳐진 걸이대(55)에 세탁물을 걸쳐서 건조시킨다. 이때 세탁물을 걸이대(55)에 걸 때 양단으로 설치된 지지편(14) 또는 지지고리(56)를 이용하여 지지시켜 놓게 되면 걸려진 세탁물이 쉽게 이탈되지 않은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걸이부(50)에 걸쳐져 건조가 완료된 세탁물을 걷고자 할 경우에는 도 5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일측의 작동구(30)를 상측으로 상승시키게 되면 그 강압적인 물리적 작용에 의해 누름부(32)의 외주면으로 지지되어 있던 걸림고리부(54)가 해제되면서 펼쳐져 지지되었던 걸이부(50)가 도 2에와 같이 하측으로 하강되면서 걸려 있던 세탁물이 이탈되어지 것이다.
이때, 걸이대(55)의 양단으로 지지되었던 지지편(14)과 지지고리(56) 또한 상기 걸이부(50)가 해제되면서 같이 해제되어 세탁물이 더욱 원활하게 이탈되어 진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작동구(30)를 사용하지 않고관성작용에 의해 걸이부(50)를 해제시킬 수 있는 점, 다시말해서 누름부(32)의 외주면에 지지되어 있는 걸림고리부(54)의 회전반경이 누름부(32)의 외주면 직경 보다 큰 상태이므로 사용자가 현수부(20)를 파지한 상태에서 순간적으로 상측 방향으로 상승시키게 되면 세탁물이 걸려 있는 걸이부(50)가 상측으로 상승하게 되고 이때 걸림고리부(54)는 힌지결합된 부위를 기점으로 하측으로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걸림고리부(54)가 누름부(32)의 하측으로 위치하게 되고 걸림고리부(54)에 의해 지지되었던 누름부(32)가 해제됨과 동시에 걸림고리부(54)가 누름부(32)의 밑면을 상측으로 상승시킴으로써, 자동으로 작동구(30)가 해제되어 걸이부(50)가 도 2에서와 같이 하강하게 되어 세탁물이 걸이부(50)에서 이탈되어 지는 것이다.
이로써 간편한 관성작용에 의해 걸이부(50)를 해제시킬 수 있어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조건을 갖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원주상으로 설치된 다수의 걸이부를 간단한 조작에 의해 펼쳐짐은 물론 접혀질 수 있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일부측 걸이부만을 펼쳐 수직면상의 벽면등에도 설치가 용이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걸이부를 펼쳐져 지지된 상태에서 간단한 관성작용에 의해 걸이부 전체를 간편하게 해제시켜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Claims (4)

  1. 통상적인 세탁물 건조대에 있어서, 상면 중앙에 결합공(12)이 그 양측으로 삽입공(13)이 형성되고 외측 플랜지 상면에는 다수의 지지편(14)이 힌지결합된 상부케이스(10)와; 상기 결합공(12)에는 하측에 체결부(22)가 형성된 고정구(25)가 삽입체결되고 상기 고정구(25)의 상면에는 스프링에 의해 일측으로 걸고리부(26)가 형성된 집게부(28)가 결합되는 현수부(20)와; 상기 삽입공(13)에는 하측에 반원형의 누름부(32)가 형성되며 상측으로 파지손잡이(34)가 콜릿결합되어 설치되는 각각의 작동구(30)와; 상기 상부케이스(10)의 플랜지와 상응되는 플랜지의 외측 하부에 상기 지지편(14)과 대응되는 다수의 인입공(42)이 형성되고 그 인입공(42)의 내측에는 제 1힌지결합홈(44)과 제 2힌지결합홈(45)이 형성되며 내부 중앙으로 상기 누름부(32)의 내주면과 내접되는 가이드봉(46)이 형성된 하부케이스(40)와; 상기 인입공(42)에는 일단이 개방되어 밑면으로 받침편(51)이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에는 힌지결합부(52)와 경사면(54a)과 끝단이 절곡된 지지턱(54b)이 형성되는 걸림고리부(54)가 형성된 걸이대(55)와, 상기 걸이대(55)의 개방부에 삽입되도록 일측에 힌지결합된 지지고리(56)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힌지결합부(57)가 형성된 지지대(58)로 형성되는 걸이부(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14)에는 힌지결합된 측에 걸림턱(14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힌지결합홈(44)과 제 2힌지결합홈(45)은 단차(h)지게 형성되고, 제 1힌지결합홈(44)의 직경(R)은 제 2힌지결합홈(45)의 직경(r)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대(55)의 걸림고리부(54)는 그 회전반경(R1)이 상기 누름부(32)의 외주면에서 중심축 반지름(R2)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대.
KR1019990033099A 1999-08-12 1999-08-12 세탁물 건조대 KR100311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3099A KR100311623B1 (ko) 1999-08-12 1999-08-12 세탁물 건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3099A KR100311623B1 (ko) 1999-08-12 1999-08-12 세탁물 건조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8842A KR19990078842A (ko) 1999-11-05
KR100311623B1 true KR100311623B1 (ko) 2001-10-18

Family

ID=37531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3099A KR100311623B1 (ko) 1999-08-12 1999-08-12 세탁물 건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16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265Y1 (ko) 2011-10-14 2012-02-15 최종용 빨래 건조대
AU2007229331B2 (en) * 2006-10-16 2012-11-01 Cyclone Tools Pty Ltd A cross assembly for a folding clothes lin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7084B1 (ko) * 2004-04-23 2006-03-31 김삼수 폴대형 세탁물건조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7229331B2 (en) * 2006-10-16 2012-11-01 Cyclone Tools Pty Ltd A cross assembly for a folding clothes line
KR200458265Y1 (ko) 2011-10-14 2012-02-15 최종용 빨래 건조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8842A (ko) 199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1623B1 (ko) 세탁물 건조대
KR101701821B1 (ko) 보조 빨래 건조대
KR20180107543A (ko) 수납이 간편한 휴대용 건조대
KR101756927B1 (ko) 미니 빨래걸이
KR200354714Y1 (ko) 세탁물 건조걸이
JP2001009199A (ja) 物干し具
KR100665699B1 (ko) 세탁물 건조대
JP3165325B2 (ja) 物干し装置
JP2006280872A (ja) 物干し具
KR200332561Y1 (ko) 세탁물 건조대용 걸이대 고정구
JP6402291B2 (ja) 物干し具
JP2017080369A (ja) 物干し装置
JP2003038896A (ja) 物干し装置
KR20160076742A (ko) 빨래건조대용 착탈식 보조행거
CN220631832U (zh) 一种便携式可折叠晾衣架
JP2001113095A (ja) 洗濯物干し具
JP7349722B2 (ja) 物干し器具
KR20040003101A (ko) 빨래건조대
JPH0354711Y2 (ko)
KR950003198Y1 (ko) 이중 절첩식 빨래 건조대
KR200176598Y1 (ko) 세탁물용 건조대
KR101964258B1 (ko) 회전식 빨래 건조대
JP3000503U (ja) 物干しハンガー
KR880000297Y1 (ko) 세탁물 건조대
KR200165548Y1 (ko) 바구니가 결합된 빨래 건조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