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1173B1 - 동영상데이타및음성데이타송수신장치 - Google Patents

동영상데이타및음성데이타송수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1173B1
KR100311173B1 KR1019980006096A KR19980006096A KR100311173B1 KR 100311173 B1 KR100311173 B1 KR 100311173B1 KR 1019980006096 A KR1019980006096 A KR 1019980006096A KR 19980006096 A KR19980006096 A KR 19980006096A KR 100311173 B1 KR100311173 B1 KR 100311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encoder
decoder
bit
audio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6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0930A (ko
Inventor
안영준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반도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80006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1173B1/ko
Publication of KR19990070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0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1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11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2Synchronization processes, e.g. processing of PCR [Program Clock 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Abstract

본 발명은 동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PTS값을 32비트로 줄이고, 인코딩 시점을 절대시간이 아닌 인코딩이 시작되는 시간을 기점으로 하는 상대시간으로 표현하여 1회 또는 2회의 전송작업을 통해 PTS값을 충분히 송신할 수 있는 동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 송수신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 송수신 장치는 제1 및 제2상대 타이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상대 타이머는 32비트 카운터를 구비하고, 인코더의 인코딩 개시 시점과 동시에 카운트를 시작하여 32비트로 구성되는 상대적 타이밍 정보를 발생시켜서 인코더에 제공한다. 제2상대 타이머는 32비트 카운터를 구비하고, 디코더의 디코딩 개시 시점과 동시에 카운트를 시작하여 32비트로 구성되는 상대적 타이밍 정보를 발생시키서 디코더에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 송수신 장치는 PTS값을 32비트로 줄이고, 인코딩 시점을 절대시간이 아닌 인코딩이 시작되는 시간을 기점으로 하는 상대시간으로 표현하여 1회 또는 2회의 전송작업을 통헤 PTS값을 충분히 송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데이터 전송시의 부하를 감소시키고, 또 데이터 전송에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단축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동영상 데이타 및 음성 데이타 송수신 장치
본 발명은 동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에 인코딩 시점의 데이터를 부여하여 이를 기준으로 디코딩 순서를 결정하도록 하는 동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 송수신 장치의 타이머에 관한 것이다.
동영상 압축기술인 엠펙(MPEG) 기술과 통신 시스템의 발달로 인하여 많은 양의 동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 전송수단을 통하여 전송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많은 양의 데이터를 빠른 시간안에 전송하기 위해서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측에서는 이를 압축하여 전송하고, 데이터를 수신하는 측에서는 압축된 데이터를 해제하여 재생한다. 데이터의 압축과정에는 인코딩 작업이 포함되며, 데이터의 압축을 해제하는 과정에는 디코딩 작업이 포함된다. 따라서 동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 송수신 장치는 적어도 하나씩의 인코디와 디코디를 포함한다.
도1(1)은 종래의 동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 송수신 장치를 인코더와 디코더를 중심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송신측의 인코더(1)는 동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인코딩(부호화)하여 출력한다. 인코더(1)는 시스템 타임 클럭(STC, System Time Clock)(2)을 가지고 있어서, 동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에 PTS(Presentation Time Stamp)값을 부여하는데, 이 PTS값은 데이터가 인코딩될때의 시간을 나타낸다. 수신측의 디코더(3)는 인코더(1)로부터 전송되는 인코딩된 동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디코딩(복호화)하여 재생한다. 디코더(3) 역시 인코더(1)와 마찬가지고 시스템 타임 클럭(4)을 가지고 있다. 디코더(3)가 가지고 있는 시스템 타임 클럭(4)은 인코더(1)가 가지고 있는 시스템 다임 클럭(2)과 동일한 시간을 표현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세팅신호(SET)를 주고받는다. 디코더(3)에서 데이터를 디코딩할때는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PTS를 기준으로 각각의 데이터 블록의 디코딩 순서를 결정한다. 따라서 이 PTS는 동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의 정확한 재생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요소이다.
도1(2)는 시스템 타임 클럭(STC)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시스템 타임 클럭은 9비트 분주기(5)와 33비트 카운터(6)로 구성된다. 9비트 분주기(5)에는 27MHz의 시스템 클럭이 입력되며, 90KHz의 분주된 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27MHz의 시스템 클럭을 9OKHz로 분주하는 것은 27MHz의 시스템 클럭이 엠펙2의 표준인데 반하여 엠펙1에서는 90KHz의 시스템 클럭을 표준으로 하기 때문에 엠펙1과 엠펙2의 호환을 위한 것이다.
9비트 분주기(5)에서 출력되는 90KHz의 클럭신호는 33비트 카운터(6)에 입력된다. 33비트 카운터(6)는 90KHz의 클럭신호를 33분주하여 약 26.5시간을 표현한다. 90KHz의 클럭신호를 33분주하면 233/9O0O0≒26.5시간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PTS값은 동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와 함께 전송된다.
그러나 33비트의 PTS값을 전송하기 위해서는 33비트 이상의 데이터 버스가 필요하다. 그러나 실제로는 대개의 시스템에시 16비트 또는 32비트의 데이터 버스를 사용한다. 따라서 16비트 데이터 버스를 이용하여 33비트의 PTS값을 전송한다면 모두 3회의 데이터 전송작업이 요구된다. 또한 32비트의 데이터 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2회의 데이터 전송작업이 요구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PTS값의 전송작업이 2회 내지 3회로 증가하는 것은 PTS값이 33비트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 송수신 장치는 PTS값을 32비트로 줄이고, 인코딩 시점을 절대시간이 아닌 인코딩이 시작되는 시간을 기점으로 하는 상대시간으로 표현하여 1회 또는 2회의 전송작업을 통해 PTS값을 충분히 송신할 수 있는 동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 송수신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 송수신 장치는 제1 및 제2상대 타이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상대 타이머는 32비트 카운터를 구비하고, 인코더의 인코딩 개시 시점과 동시에 카운트를 시작하여 32비트로 구성되는 상대적 타이밍 정보를 발생시켜서 인코더에 제공한다.
제2상대 타이머는 32비트 카운터를 구비하고, 디코더의 디코딩 개시 시점과 동시에 카운트를 시작하여 32비트로 구성되는 상대적 타이밍 정보를 발생시켜서 디코더에 제공한다.
도1은 종래의 동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 송수신 장치를 인코더와 디코더를 중심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 송수신 장치를 인코더와 디코더를 중심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3과 도4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버스의 크기에 따른 동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에 필요한 데이터 전송회수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1 : 인코더 2, 4, 12, 14 : 시스템 타임 클럭
3, 13 : 디코더 5, 15 : 9비트 분주기
6 : 33비트 카운터 16 : 32비트 카운터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1)은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 송수신 장치를 인코더와 디코더를 중심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송신측의 인코더(11)는 동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출력한다. 인코더(11)는 시스템 타임 클럭(12)을 가지고 있어시, 동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에 PTS값을 부여한다. 이 PTS값은 데이터가 인코딩될때의 시간을 나타낸다.
수신측의 디코더(13)는 인코더(11)로부터 전송되는 인코딩된 동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재생한다. 디코더(13) 역시 인코더(11)와 마찬가지고 시스템 타임 클럭(14)을 가지고 있다. 디코더(13)가 가지고 있는 시스템 타임 클럭(14)은 인코더(11)가 가지고 있는 시스템 타임 클럭(12)과 동일한 시간을 표현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세팅신호(SET)를 주고받는다. 디코더(13)에서 데이터를 디코딩할 때는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PTS를 기준으로 각각의 데이터 블록의 디코딩 순서를 결정한다.
도2(2)는 시스템 타임 클럭(STC)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시스템 타임 클럭은 9비트 분주기(15)와 32비트 카운터(16)로 구성된다. 9비트 분주기(15)에는 27MHz의 시스템 클럭이 입력되며, 90KHz의 분주된 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27MHz의 시스템 클럭을 90KHz로 분주하는 것은 27MHz의 시스템 클럭이 엠펙2의 표준인데 반하여 엠펙1에서는 90KHz의 시스템 클럭을 표준으로 하기 때문에 엠펙1과 엠펙2의 호환을 위한 것이다.
9비트 분주기(15)에서 출력되는 90KHz의 클럭신호는 32비트 카운터(16)에 입력된다. 32비트 카운터(16)는 90KHz의 클럭신호를 32분주하여 약 13.25시간을 표현한다. 90KHz의 클럭신호를 32분주하면 232/9O000≒13.25시간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PTS값은 동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와 함께 전송된다.
도3과 도4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버스의 크기에 따른 동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에 필요한 데이터 전송회수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3(1)과 도3(2)는 16비트 데이터 버스를 이용하여 각각 33비트와 32비트의 PTS값을 전송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3(1)은 16비트의 데이터 버스를 이용하여 기존의 33비트의 PTS값을 전송하는 것으로, 모두 3회의 데이터 전송작업이 요구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하여 도3(2)는 16비트 데이터 버스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32비트의 PTS값을 전송하는 것으로, 단지 2회의 데이터 전송작업만이 요구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도4(1)과 도4(2)는 32비트 데이터 버스를 이용하여 각각 33비트와 32비트의 PTS값을 전송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4(1)은 32비트의 데이터 버스를 이용하여 기존의 33비트의 PTS값을 전송하는 것으로, 모두 2회의 데이터 전송작업이 요구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하여 도4(2)는 32비트 데이터 버스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32비트의 PTS값을 전송하는 것으로, 단지 1회의 데이터 전송작업만이 요구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현실적으로 13시간 이상의 연속적인 인코딩 작업을 필요로 하는 영상물은 흔치 않기 때문에 32비트 카운터로 구성되는 본 발명의 PTS값으로도 대부분의 데이터에 충분한 PTS값을 부여할 수 있다. 만약 13.25시간 이상의 연속적인 인코딩 작업이 필요한 경우에는 13.25시간마다 새로운 PTS값을 작용하면 된다. 비록 전송시의 에러에 의헤 디코더에 전달되는 데이터의 순서가 바뀐다 하더라도 13.25시간 이상의 오차가 발생하는 것은 일어나기 힘든 현상이기 때문에 문제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면은, PTS값을 32비트로 줄이고, 인코딩 시점을 절대시간이 아닌 인코딩이 시작되는 시간을 기점으로 하는 상대시간으로 표헌하여 1회 또는 2회의 전송작업을 통해 PTS값을 충분히 송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데이터 전송시의 부하를 감소시키고, 또 데이터 전송에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단축시키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1)

  1. (2차정정) 동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송신하는 인코더로부터 송신되는 부호화된 동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디코딩 하는 디코더를 포함하는 동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 송수신 장치에 있어서, 시스템 클럭을 분주하여 제1주파수 신호를 발생시키는 9비트 분주기와, 상기 제1주파수 신호를 분주하여 32비트 타이밍 정보를 발생시키는 32비트 카운터를 구비하고, 상기 인코더의 인코딩 개시 시점과 동시에 카운트를 시작하여 32비트로 구성되는 상대적 타이밍 정보를 발생시켜서 상기 인코더에 제공하는 제1상대 타이머와; 시스템 클럭을 분주하여 제1주파수 신호를 발생시키는 9비트 분주기와, 상기 제1주파수 신호를 분주하여 32비트 타이밍 정보를 발생시키는 32비트 카운터를 구비하고, 상기 디코더의 디코딩 개시 시점과 동시에 카운트를 시작하여 32비트로 구싱되는 상대적 타이밍 정보를 발생시켜서 상기 디코더에 제공하는 제2상대 타이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동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 송수신 장치.
KR1019980006096A 1998-02-26 1998-02-26 동영상데이타및음성데이타송수신장치 KR100311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6096A KR100311173B1 (ko) 1998-02-26 1998-02-26 동영상데이타및음성데이타송수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6096A KR100311173B1 (ko) 1998-02-26 1998-02-26 동영상데이타및음성데이타송수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0930A KR19990070930A (ko) 1999-09-15
KR100311173B1 true KR100311173B1 (ko) 2001-12-17

Family

ID=37531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6096A KR100311173B1 (ko) 1998-02-26 1998-02-26 동영상데이타및음성데이타송수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11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31339B2 (en) 2001-11-14 2009-12-08 Panasonic Corporation Method for correcting clock frequency, receiving apparatus, reproducing apparatus, and progra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248112T3 (es) * 1999-08-27 2006-03-1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odificacion de audi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31339B2 (en) 2001-11-14 2009-12-08 Panasonic Corporation Method for correcting clock frequency, receiving apparatus, reproducing apparatus, and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0930A (ko) 1999-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83268B2 (ja) ディジタル・バーサタイル・ディスク装置および多チャネル再生装置間で非pcmビットストリームを符号化し、伝送し、復号化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5588029A (en) MPEG audio synchronization system using subframe skip and repeat
US5905768A (en) MPEG audio synchronization system using subframe skip and repeat
US6862045B2 (en) Moving image deco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moving image decoding and reproducing method, time control metho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ecoding and reproducing moving image and multimedia information receiving apparatus
KR100311173B1 (ko) 동영상데이타및음성데이타송수신장치
KR940025343A (ko) 실시간데이터전송장치와 수신장치
JP5035461B2 (ja) 音声信号伝送装置、音声信号受信装置及び音声信号伝送システム
KR0181082B1 (ko) 엠펙 시스템의 피티에스 부호화장치
US5889563A (en) Method and device for sychronizing visual information with audio information
KR100746076B1 (ko) 멀티미디어 신호의 시간정보 전송방법
JPH0795194A (ja) データ伝送装置及びデータ受信装置
JPH0775091A (ja) 画像情報通信法及びそれに用いる画像情報通信装置
JPH10262216A (ja) 光ディスク再生装置及び方法
JPS6345931A (ja) デジタル信号伝送方式
KR0181083B1 (ko) 엠펙 시스템의 피시알 부호화장치
KR19980036075A (ko) 시스템 부호화기에서의 피시알(pcr) 신호 발생 장치
KR20190066790A (ko) 미디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MXPA00005641A (en) Context life time management of a user interface in a digital tv broadcast
JPH03125553A (ja) 音楽画像情報の送信及び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