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9715B1 - 구연산회로를활성화시켜알코홀독성과숙취를예방하는기능을가지는조성물 - Google Patents

구연산회로를활성화시켜알코홀독성과숙취를예방하는기능을가지는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9715B1
KR100309715B1 KR1019980012179A KR19980012179A KR100309715B1 KR 100309715 B1 KR100309715 B1 KR 100309715B1 KR 1019980012179 A KR1019980012179 A KR 1019980012179A KR 19980012179 A KR19980012179 A KR 19980012179A KR 100309715 B1 KR100309715 B1 KR 100309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tamin
alcohol
methionine
composition
drin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2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9540A (ko
Inventor
이명희
Original Assignee
이명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희 filed Critical 이명희
Priority to KR1019980012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9715B1/ko
Publication of KR19990079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9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9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97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15Pyridoxine, i.e. Vitamin B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7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and the carboxyl groups being attached to the same acyclic carbon chain, e.g. gamma-aminobutyric acid [GABA], beta-alanine, epsilon-aminocaproic acid or pantothenic acid
    • A61K31/198Alpha-amino acids, e.g. alanine or edetic acid [ED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61K31/525Isoalloxazines, e.g. riboflavins, vitamin B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연산회로를 활성화시켜 알코홀독성과 숙취를 예방하는 기능을 가지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0.1mg 내지 5000mg의 비타민B2, 0.1mg내지 5000mg의 비타민B6, 1㎍내지 10mg의 엽산, 1mg내지 50g의 메티오닌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음주전이나 후에 섭취하게 되면 에타놀분해과정에서 생성되는 엔 에이디 에이치(NADH)가 구연산회로중간생성물질로부터 비필수아미노산과, 생리활성아민, 단백질 및 핵산과 조혈물질의 생합성과정에서 소모되므로 구연산 회로를 활성화시켜 아세트알데하이드의 축적을 방지하므로 과음 후에 나타나는 숙취증상을 예방하고 알코흘독성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할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구연산회로를 활성화시켜 알코올독성과 숙취를 예방하는 기능을 가지는 조성물
제1도는 에탄올독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2도는 구연산회로에서 NADH에 의하여 저해되는 효소부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3도는 구연산회로 중간생성물로부터 생리활성물질이 생합성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4도는 엽산, 비타민 B12, 메티오닌과 베타인이 관련된 메틸기전이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의 알코올대사능력을 영양생리적 측면에서 정상화시킴으로 알코올독성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함과 동시에 음주 후에 나타나는 숙취를 예방하는 기능을 가지는 영양소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약간의 음주는 건강증진에 도움이 되고 사회생활의 윤활유 역활을 하지만 과다한 음주로 인한 부작용은 개인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엄청난 손실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지금까지 수 많은 숙취제거제가 개발되어 상품화되어 왔다. 지금까지 개발된 숙취제거제는 약초등 천연물을 기초로 하는 제제와 영양소를 기초로 하는 제제가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그 작용원리도 서로 다르다. WO 94/27449에서 헤밀턴(Hanmilton)은 알코올의 과다섭취는 혈당의 저하를 유발하게 되고, 이러한 혈당저하를 막기 위하여 간에 저장된 글리코겐이 분해되어 혈당으로 방출되는 과정에서 간세포가 혹사당하는 것이 음주로 인한 간경화의 원인이 된다고 하였다. 따라서 헤밀턴은 섭취 즉시 혈당상승을 유발하기에 충분한 량의 모노하이드레이트덱스트로스 혹은 포도당을 주성분으로 하며 여기에 음주로 인하여 배설이 증가되는 비타민C, 마그네슘, 칼륨과 포도당의 혈액내 유입을 촉진하는 작용을 하는 아연 그리고 마그네슘의 작용을 상승시키는 기능을 가지는 비타민 토를 첨가한 제제를 섭취하는 것이 숙취예방효과가 있다고 기술하고 있다. 한편 푸(Phu)는 U.S. Pat. No. 5,547,671에 알코올이 간에서 아세트알데하이드를 거쳐 아세테이트로 분해되는 과정에서 과잉의 NADH가 생성되고, NADH에 의하여 지방생합성이 증가하는 것이 음주로 인한 간경화의 원인이 된다고 기술하고 있다. 따라서 푸는 알코올이 위에서 머무는 시간을 증가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알코올이 아세트알데히드로 분해되는 속도와 아세트알데하이드가 아세테이트로 분해되는 속도를 1:1로 유지하도록 하면 상대적으로 많은 량의 에탄올이 위에서 이산화탄소와 물로 대사되므로 그 만큼 체네로 흡수되는 알코올 즉 간에서 분해되는 알코올량이 감소하게 되므로 숙취를 예방할 수 있다고 한다. 푸는 위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위점막을 도포하여 알코올흡수속도를 느리게 하는 목적으로 코추뿌리(Kodzu root)에서 추출한 전분과 알코올분해효소(알코올데하이드로게나게, 알데하이드데하이드로게나제)의 활성을 억제하는 기능을 가진 다이드진(Daidzin)과 다이드제인(Daidzein)을 함유하는 약초인 고추봉우리(Kodzu blossom) 추출물, 에너지를 신속하게 공급하도록 해주는 인삼추출물, 구토를 완화시키는 생강추출물 등을 함유하는 제제를 음주전이나 후에 섭취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이외에도 EPO 234 464 Al에서는 활성형 비타민 토과 L-시스테인, L-아스코르 빈산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Au-A-30308/88에서는 티아민과 비타민 C의 배합비율이 약 1-4인 조성물이 숙취제거효과가 있다고 기술하고 있으며, U,5. Pat 4,496,548에서는 염산티아민, 아스코르빈산, 시스테인과 에스페리딘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숙취 제거효과가 있다고 기술하고 있다. 한편 U,5. Pat. No. 5,296,241에서는 아세트아미노펜, 카페인과 제산제를 함유하는 제제를 음주 후에 섭취하므로써 숙취증상을 치료할 수 있다고 하였고, WO 95/04529에서 핀닌(Finnin)은 숙취예방, 완화 혹은 치료의 목적으로 L-메티오닌과 L-알라닌을 1:2 내지 2:1의 비율로 함유하는 제제를 음주전과 후에 여러차례로 나누어 섭취하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지금까지 수 많은 종류의 숙취제거제가 개발되었으나 대부분 부분적인 효능이 인정되고 있을 뿐 아직까지 확실하게 효능을 인정받고 있는 숙취제거제는 없는 실정이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과다한 음주는 일시적으로 두통, 근육통, 구토, 갈증, 위거북 등의 숙취증상을 유발하며 만성적으로는 지방간과 간경변 및 간암과 빈혈을 일으킬 수 있다. 숙취는 에탄올분해산물인 아세테이트가 구연산회로에서 처리되지 못하게 됨에 따라 알코올이 아세트알데하이드형태로 체내에 축적되어 일어나는 증상으로 보통 음주후 4-8시간에 나타난다. 제1도는 알코올독성이 일어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알코올대사과정은 에탄올이 알코올 데하더드로게나제(alchol dehydrogenase; ADH)에 의하여 아세트알데하이드(acetaldehyde)로 전환되는 첫 단계와 아세트알데하이드가 알데하이드 데하이드로게나아제(aldehyde dehydrogenase; ALDH)에 의하여 아세테이트로 전환되는 둘째 단계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정상적인 생리적 상태하에서는 알데하이드 데하드로게나제의 활성이 알코올 데하이드로게나아제의 활성보다 높기 때문에 에탄올이 아세트알데하이드를 거쳐 즉시 아세테이트로 전환되어 구연산회로로 유입되므로 아세트알데하이드의 축적이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나 에탄올섭취량이 많아지면 에탄올이 아세트알데하이드를 거쳐 아세테이트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NAD+가 NADH로 환원됨에 따라 세포내의 NADH/NND+비율이 증가하게 된다. 제2도에서는 NADH에 의하여 활성이 저해되는 구연산회로의 부위를 표시하고 있다. 알코올대사과정에서 생성된 과량의 NABH는 제2도에 표시된 효소의 활성을 저해하므로 구연산 회로의 저해를 유발하게 되고, 결과로 아세트알데하이드가 아세테이트로 전환되지 못하게 됨에 따라 독성을 가지는 아세트알데하이드가 세포내에 축적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제1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NADH는 지방산의 산화를 억제하여 지방간과 고지혈증을 유발하고, 한편으로는 피루브산을 젖산으로 전환시키므로 저혈당을 일으키며 뇨산생성증가로 통풍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구연산회로는 세포가 필요로 하는 생체에너지(ATP)를 공급하는 기능외에도 여러 가지 생리활성물질의 생합성에 필요한 전구물질을 공급하는 중요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제3도에서는 구연산회로의 중간생성물인 알파-케토글루타레이트(α-Ketoglutarate)와 숙시닐-코엔자임에이(Succinyl-CoA) 그리고 옥살로아세테이트(Oxaloacetata)로부터 아미노산, 퓨린, 피리미딘, 포르피린, 햄 등의 단백질과 핵산 및 조혈물질의 전구체가 생합성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NADH는 구연산회로중간물질을 출발물질로 하여 아미노산, 생리활성아민, 단백질, 핵산 및 조혈물질이 생합성되는 과정에서 필요한 환원력을 공급하므로 이 과정에서 NABH가 다시 NAD+로 산화되게 된다.
그러나, 음주로 인한 특정한 영양소의 결핍으로 인하여 구연산회로 중간생성물로부터 생리활성물질의 생합성이 저해되면 NADH의 소비가 일어나지 않게 되고, 결과로 세포내에서 NADN/NAD+가 증가하게 된다. 즉 에탄올대사과정에서 생성되는 NADH에 의하여 세포내 NADH/NAD+가 증가되어 아세트알데하이드가 축적되는 것이 알코올독성의 원인이므로 알코올분해로 생성되는 NADH가 구연산회로 중간생성물질로부터 아미노산, 생리활성아민, 단백질, 핵산 및 조혈물질의 생합성과정에서 필요한 에너지 공급원으로 이용되는 것을 촉진시켜주면 세포내 NADH/NAD+가 증가하지 않게 되고, 결과로 구연산회로가 저해되지 않으면 아세트알데하이드의 축적을 예방할 수 있을 것 이 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비타민 B20.1mg 내지 5000mg, 비타민 B60.1mg 내지 5000mg, 엽산 1㎍ 내지 10mg과 메티오닌 1mg 내지 50g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과 그외 다른 목적, 그리고 특징과 작용은 하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하게 드러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0.1mg 내지 5000mg의 비타민 B2, 0.1mg 내지 5000mg의 비타민 B6, 1㎍ 내지 10mg의 엽산과 1mg 내지 50g의 메티오닌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하루에 1mg내지 200mg의 비타민 B2, 1mg내지 200mg의 비타민 B6, 10㎍ 내지 500㎍의 엽산, 10mg내지 10g 메티오닌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음주전이나 후 혹은 음주중에 섭취하거나, 음주전후로 나누어 섭취하면 숙취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숙취예방기능을 발휘하기 위하여는 이들 중 선택된 2가지 이상을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비타민 B2, 비타민B6,엽산과 메티오닌의 혼합중량비를 0.005~0.01 : 0.02~0.04: 0.002~0.004: 1~2로 하여 4가지 성분을 동시에 투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비타민 B2, 비타민 B6, 염산과 메티오닌은 체내에서 이들의 활성을 갖는 것이면 화학적 형태에 무관하게 사용할 수 있다 메티오닌은 D-형과 L-형의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관하며 메틸기 공급원으로 메티오닌 대신에 베타인을 첨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조성물의 효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잦은 음주로 결핍이 일어날 수 있는 비타민 B1, 비타민 B12, 나이아신, 비타민 C와 아연, 마그네슘, 칼륨, 크롬, 셀레늄 등의 무기영양소 그리고 각종 필수아미노산 및 비 필수아미노산을 본 발명의 조성물에 첨가하여 투여할 수 있다 이외에도 음주로 인하여 증가되는 지질과산화를 억제하기 위하여 다양한 항산화제를 첨가할 수도 있으며, 콜린, 카르니틴, 이노시톨 등의 항지질축적인자와 기타 다른 성분을 첨가할 수도 있다 위에서 열거한 영양성분 이외에도 제제의 작용성과 기호성 및 보존성을 증진시키는 목적의 첨가물들을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숙취를 예방, 제거 혹은 완화시키는 목적으로 투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만성음주자가 평상시에 섭취하게 되면 음주로 인한 간손상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음주전이나 음주중 혹은 음주후에 투여할 수 있으며, 음주가 잦은 사람은 평소에 섭취하면 더욱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형태의 제제로 만들어 구강으로 투여하거나 혈관내로 주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정제나 캡슬로 만들어 섭취하거나 과립, 사탕, 젤리, 음료형태 혹은 다른 식품이나 약품에 첨가하여 섭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조성 물 각 성분의 작용특성을 상세히 설명하겠다.
[비타민 B6와 비타민 B2]
에탄올분해로 생성되는 아세트알데하이드는 세포내 여러 가지 단백질들과 쉬프염기(schiff's base)를 형성하여 광범위한 세포독성을 나타내며 여러 가지 효소를 불활성화시키기도 한다. 특히 단백질과 아미노산대사를 촉매하는 효소들은 피리독살포스페이트(pyridoxal phoshphate: PLP 생리활성형 비타민 도)가 효소단백질에 쉬프염기결합을 하고 있다. 따라서, 세포내에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가 높아지면 이들 효소의 PLP결합 부위에 PLP 대신에 아세트알데하이드가 우선적으로 결합하게 되므로, 효소를 불활성화시킨다. 한편 효소에 결합하지 못한 PLP는 탈인산화과정을 거쳐 즉시 분해되어 버리므로 과다한 음주는 비타민 토의 결핍을 유발할 수 있다.
비타민 B6결핍은 단백질생합성과 아미노산대사를 저해하고 가바(GABA), 세포토닌 등 신경전달물질의 대사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구연산회로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음주전 후에 비타민B6를 섭취하게 되면 단백질 분해효소의 활성화로 구연산회로중간생성물질로부터 단백질, 아미노산, 혀산 및 조혈성분의 생합성이 활성화되고, 이 과정에서 NADH가 소모되므로 아세트알데하이드의 축적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비타민 B2는 구연산회로에 관여하는 수많은 산화환원효소의 보결분자단으로 에너지대사에 반드시 필요한 영양소이다. 알코올의 섭취는 비타민 B2의 흡수를 저해하고 배설을 촉진하므로 과다한 음주나 잦은 음주는 비타민 B2의 결핍을 유발할 수 있다. 이외에도 비타민 묘를 생리적 활성형태인 PLP로 전환시키는 효소는 비타민턴 의존효소이므로 비타민 틴의 결핍은 간접적으로 비타민 B6결핍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비타민 도가 상기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하여는 반드시 비타민 B2를 같이 섭취하여야 한다.
[염산과 메티오닌]
구연산회로에서 생성된 아미노산은 비타민B6조효소가 관여하는 아미노기전 이과정(transaininatlon)을 거쳐서 대사되거나 혹은 염산과 메티오닌 및 비타민 B12가 관여하는 단일탄소전이(one carbon transfer)과정을 거쳐서 핵산 및 조혈물질의 생합성에 필요한 메틸기를 공급하게 된다. 음주를 하게 되면 음식물에 함유된 염산이 장정 막에서 체내로 흡수될 수 있는 형태로 전환되지 못하게 됨에 따라 흡수율이 크게 저하될 뿐만 아니라 신장에서 엽산의 재흡수가 일어나지 않아 염산결핍을 초래하게 된다. 만성음주자의 28-80%가 염산결핍상태라고 보고되어 있다.
제4도에서는 메티오닌, 엽산, 비타민 B12, 콜린 및 베타인이 관여하는 메틸기 전이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에탄올대사과정에서 세포내 NADN/NAD+가 증가하면 엽산이 N5-메틸하이드로폴레이트(N5-methylhydrofolate)형태로 간세포내에 축적된다. 또한, 염산이 결핍되면 비타민 B12로부터 메틸코발라민의 생성이 억제된다. N5-메틸 하이드로폴레이트와 메틸코발라민은 호모시스테인이 N5-메틸하이드로폴레이트로부터 메틸기를 전이받아 메티오닌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필수인자이므로 이들의 결핍은 메티오닌 결핍상태를 유발하게 된다.
한편 음주 후 염산과 메티오닌과 같은 메틸기공여물질이 결핍되면 S-아데노실메티오닌(S-adenosyl methionine)의 저하를 유발하고, S-아데노실메티오닌의 저하는 핵산 및 조혈물질의 생합성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에탄올아민과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phosphatidyl ethanolamine)이 쓰아데노실메티오닌으로부터 메틸기를 전이받아 생성되는 콜린과 포스파티딜콜린(phoshphatidyl choline)의 생합성도 저해된다. 특히 포스파티딜올린은 지방을 운반하는 지단백의 구성성분으로 생합성이 저해되면 중성지방이 축적되어 지방간을 유발할 수 있다. 즉 만성음주자에게서 메티오닌과 엽산의 결핍은 빈혈, 조직내 핵산 및 아미노산농도의 변화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지방간과 간경화 및 간암을 유발하는 원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따라서 엽산과 메티오닌의 적절한 공급은 구연산회로 중간생성물로부터 핵산 및 조혈성분의 생합성을 촉진시키며, 이 과정에서 NADH의 소모가 일어나므로 구연산회로를 활성화 시켜 음주 후 에탄올이 아세트알데하이드로 축적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인체내에서 는 콜린으로부터 생성되는 베타인의 메틸기가 호모시스테인으로 전이되어 메티오닌이 생합성될 수 있으므로 메티오닌 대신에 베타인을 투여하여도 상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사람에게서는 콜린을 베타인으로 전환시키는 콜린 옥시다제(chopin oxidase)의 활성이 낮기 때문에 콜린을 메틸기 공급원으로 투여하는 것은 별 의미가 없다.
위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징은 구연산회로 중간생성물로부터 단백질, 아미노산, 핵산과 조혈물질이 생합성되는 과정에서 반드시 필요한 영양소이면서 음주로 인하여 결핍이 유발될 수 있는 영양소들을 복합적으로 투여함으로써 에탄올분해과정에서 생성되는 NADN/NAD+가 이들의 생합성 대사과정에서 효과적으로 소모되도록 하여 세포내 NADH/NAD+의 증가를 억제하고, 구연산회로의 활성화를 유도하여 아세트알데하이드의 축적을 예방하는 기능을 가지는 영양소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 알코올대사과정에서 생성되는 NADH의 소비를 촉진하므로써 피루브산이 젖산으로 전환되는 대신에 당신생과정을 거쳐 혈당으로 전환됨에따라 저혈당을 예방하고 동시에 뇨산생성을 억제하여 통풍을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잦은 음주로 결핍되기 쉬운 영양소들을 투여하므로써 간을 보호함과 동시에 신진대사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본 발명의 조성물이 에탄올대사과정에서 반드시 필요한 영양소들이며 독성이 없다는 것이 규명된 물질들이므로 안전하게 투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조성물의 실시예와 본 발명조성물을 투여하였을 때 알콜대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실험예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1]
본 실험은 비타민 B2, 비타민 B6, 염산과 메티오닌의 투여가 흰쥐의 알코올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평균체중이 110±10g인 스프라그-도울리종 흰쥐 수컷 30마리에게 3주일 동안 기본식이(AIN-77)를 자유급식하였으며, 오전 10시에서 12시 사이에는 3% 알코올수용액을 식수로 공급하고 그리고 나머지 시간에는 물을 자유롭게 마시게 하였다. 3주일 후 실험동물은 5마리씩 6개의 군으로 나누어 실험군의 동물에게는 표 1의 제제 2㎖씩을 각각 경관투여하고, 대조군의 동물에게는 동량의 증류수를 투여하였다. 숙취예방조성물투여 30분 후에 체중 1kg당 3g의 에탄올을 복강주사하였으며, 알코올 투여 4시간 후에 혈액을 채취하여 혈중아세트알데하이드농도를 측정하였다. 아세트알데하이드는 혈액의 단백질을 제거한 후 베링어 만하임 분석시약 키트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표 1]
위 표 1의 결과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비타민 B2와 비타민 B6) 혹은 엽산과 메티오닌)을 투여한 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혈중아세트알데하이드가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비타민 B2+비타민 B6+엽산), (비타민 B2+비타민 B6+메티오닌), (비타민 B2+엽산+메티오닌) 혹은 (비타민 B6+엽산+메티오닌) 투여군에서 혈중아세트알데하이드농도의 저하가 더욱 강화되었다. 한편, (비타민 B2+비타민 B6+엽산+메티오닌)을 투여하였을 때 혈중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가 대조군의 47% 수준으로 가장 낮았다.
[실험예 2]
본 실험에서는 본 발명의 숙취예방조성물투여가 흰쥐의 알콜대사 및 아세트알데하이드축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평균체중이 약 200±10g인 스프라그-도울리종 숫쥐를 각각 5마리씩 대조군과 실험군으로 나눈 다음 채혈하고, 실험군의 동물에게는 숙취제거조성물(비타민 B23mg%, 비타민 B620mg%, 엽산 1mg%. 메티오닌 500mg%)을 증류수에 녹인 액체 2㎖ 경관투여하였다. 대조군의 동물에게는 동량의 증류수를 같은 방법으로 투여하였다. 숙취예방조성물투여 30분 후에 30% 에탄올수용액 2㎖씩을 실험군 대조군의 동물에게 각각 경구 투여하였다. 에탄올 투여 후 0.5, 1, 6시간 후에 채혈하고 혈중알코올과 아세트알데하이드농도를 베링어 만하임 분석시약키트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표 2]
[표 3]
위 표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혈중알코올농도는 알코올투여 후 1시간에 가장 높았으며, 숙취예방조성물투여군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모든 시간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이는 숙취예방조성물의 투여로 알코올대사가 촉진되었음을 의미한다. 한편, 표 3에서는 알코올투여 후 0.5시간이 경과된 후에는 숙취 예방조성 물을 투여한 군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혈중아세트알데하이드농도가 약간 낮았으나, 1hr(p<0.05)과 6hr(p<0.01)이 경과된 시점에서는 유의적으로 낮았음을 보여준다. 위의 두 결과는 숙취예방조성물의 투여로 알코올대사가 촉진될 뿐만 아니라 구연산회로의 활성화로 아세트알데하이드의 축적이 유의적으로 저하되었음을 보여준다.
[실험예 3]
본 실험은 숙취예방조성물투여가 음주 다음날 숙취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성인남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25세에서 45세의 자원자 27명에게 주량에 따라 22% 알코올을 함유하는 소주 한병에서 한병 반(알코올함량 22%, 360㎖-540㎖)을 4시간에 걸쳐 마시도록 하고, 그 다음 날 아침에 숙취증세를 조사하였다. 첫 번째 실험을 하고, 이 주일이 경과된 후에 다시 동일한 사람들에게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음주전 30분과 음주후 30분에 각각 4캡슬씩 섭취하도록 하였으며 개인주량에 따라 소주 한병에서 한병반을 4시간에 걸쳐 마시게 한 후 다음날 아침에 숙취증상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숙취예방조성물은 비타민 B25mg, 비타민 B620mg, 엽산 1mg 및 메티오닌 1000mg을 8개의 캡슐에 나누어 담아 준비하였다.
[표 4]
표 4의 결과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숙취 예방조성 물을 음주전과 후에 섭취하였을 때 96%가 숙취증상이 개선되었다고 하였으며, 이중 80%는 확실한 차이를 느꼈다고 평가하고 있다.
[실험예 4]
건강한 성인 남자 3명(A, B, C)에게 체중 1kg당 2g의 에탄올을 원하는 술로(알코올도수 22%인 소주 혹은 43%인 위스키) 두시간에 걸쳐 마시게 하고, 1, 4, 8시간 경과 후에 혈액을 채취하여 혈중아세트알데하이드농도를 측정하였다. 2주일후에 다시 동일한 사람들에게 실험예 3의 숙취 예방조성 물을 동일한 방법으로 음주전과 후 30분에 투여하고 술을 마시게 하였다. 음주량은 첫 번째와 같이 체중 1kg당 2g의 에탄올을 두시간에 걸쳐 마시게 하였으며, 음주 후 1, 4, 8 시간 후에 혈중아세트알데하이드농도를 측정하였다.
[표 5]
위 표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음주전 후에 섭취하게 되면 섭취하지 않고 음주를 하는 경우에 비하여 음주후 경과시간과 사람에 따라서 혈중아세트알데하이드농도가 30%에서 70%까지 저하됨을 알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을 나타내지만, 본 발명이 이들 예에 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비타민 B25mg, 비타민 B620mg, 엽산 1mg 및 메티오닌 1000mg을 부형제와 함께 정제, 캡슐 혹은 과립으로 만들어 복용한다.
[실시예 2]
비타민 B25mg, 비타민 B620mg, 엽산 1mg, 메티오닌 1000mg, 비타민 B15mg, 나이아신 10mg, 비타민 B1210㎍, 비타민C 100ms, 아연 40mg 및 마그네슘 100mg을 부형제와 함께 정제, 캡슐 혹은 과립으로 만들어 복용한다.
[실시예 3]
비타민 B25mg, 비타민 B620mg, 엽산 1mg, 메티오닌 1000mg, 비타민 B15m9, 나이아신 10mg, 비타민 B1210㎍, 비오틴 100㎍, 비타민C 100ms, 아연 40mg, 마그네슘 100mg, 아스파르트산 250mg, 아스파라긴산 250mg 및 카르니틴 500mg을 부형제와 함께 정제, 캡슐 혹은 과립으로 만들어 복용한다.
[실시예 4]
비타민 B25m9, 비타민 B620mg, 엽산 1mg, 메티오닌 1000mg, 비타민 B15mg, 나이아신 10mg, 비타민 B1210㎍, 비오틴 100㎍, 판토텐산 50mg, 비타민 C 100mg, 칼슘 300mg, 마그네슘 100mg, 아연 40mg, 아스파르트산 250mg, 아스파라긴산 250mg 및 카르니틴 500mg을 부형제와 함께 정제, 캡슐 혹은 과립으로 만들어 복용한다.
[실시예 5]
비타민 B25mg, 비타민 B620mg, 엽산 1mg, 메티오닌 1000mg, 비타민 B15mg, 나이아신 10mg, 비타민 B1210㎍, 비오틴 100㎍, 판토텐산 50mg, 비타민 C 100mg, 비타민 A 3000IU, 비타민 D 10㎍, 비타민 E 20mg, 아연 40mg, 마그네슘 100mg, 철분 10mg, 셀레늄 200㎍, 아스파르트산 250mg, 아스파라긴산 250mg 및 카르니틴 500mg을 부형제와 함께 정제, 캡슐 혹은 과립으로 만들어 복용한다.
[실시예 6]
비타민 B25mg, 비타민 B620mg, 엽산 1mg, 메티오닌 1000mg, 비타민 B15mg, 나이아신 10mg, 비타민 B1210㎍, 비타민C 100mg, 아연 40mg, 마그네슘 100mg, 아스파르트산 250mg, 아스파라긴산 250mg, 구연산 5g, 과당 5g, 과즙 10띤 및 정제수 78㎖를 함유하는 음료형태로 섭취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서는 구연산회로 중간생성물로부터 단백질, 아미노산, 핵산과 조혈물질이 생합성되는 과정에서 반드시 필요한 영양소이면서 음주로 인하여 결핍이 일어날 수 있는 영양소들을 음주전이나 후 혹은 음주중에 투여하게 되면 알코올대사가 촉진되며 음주 후 아세트알데하이드의 축적으로 인한 숙취증상을 예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조성물의 투여로 구연산회로가 활성화되면 피루브산이 혈당으로 전환되므로 저혈당이 예방되고, 뇨산생성이 억제되어 통풍이 예방할 수 있으므로 음주로 인한 알코올독성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할 수 있다.

Claims (3)

  1. 0.1mg 내지 5000mg의 비타민B2, 0.1mg 내지 5000mg의 비타민 B6, 1㎍ 내지 100mg의 엽산 및 1mg내지 50g의 메티오닌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 독성 및 숙취예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0.1mg 내지 200mg의 비타민B2, 1,Omg 내지 200mg의 비타민 B6, 10㎍ 내지 500㎍의 엽산과 10mg내지 10g의 메티오닌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비타민B2, 비타민B6, 엽산 및 메티오닌의 혼합중량비가 0.005~0.01: 0.02~0.04. 0.002~0.004: 1~2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19980012179A 1998-04-07 1998-04-07 구연산회로를활성화시켜알코홀독성과숙취를예방하는기능을가지는조성물 KR100309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2179A KR100309715B1 (ko) 1998-04-07 1998-04-07 구연산회로를활성화시켜알코홀독성과숙취를예방하는기능을가지는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2179A KR100309715B1 (ko) 1998-04-07 1998-04-07 구연산회로를활성화시켜알코홀독성과숙취를예방하는기능을가지는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9540A KR19990079540A (ko) 1999-11-05
KR100309715B1 true KR100309715B1 (ko) 2001-12-28

Family

ID=37530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2179A KR100309715B1 (ko) 1998-04-07 1998-04-07 구연산회로를활성화시켜알코홀독성과숙취를예방하는기능을가지는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971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27449A1 (en) * 1993-05-26 1994-12-08 Donald Sinclair Hamilton Monohydrate dextrose or glucose composition
WO1995004529A1 (en) * 1993-08-10 1995-02-16 Musashi Pty. Ltd.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hangover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27449A1 (en) * 1993-05-26 1994-12-08 Donald Sinclair Hamilton Monohydrate dextrose or glucose composition
WO1995004529A1 (en) * 1993-08-10 1995-02-16 Musashi Pty. Ltd.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hangov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9540A (ko) 199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9007B2 (en) Weight loss composition
EP1087779B1 (en) Compositions for increasing energy in vivo
US9433590B2 (en) Materials and methods for improving alcohol metabolism and alleviating the effects of hangovers
US20050276839A1 (en) Appetite satiation and hydration beverage
EP0983726B1 (en) Amino acid-trehalose composition
US6936283B2 (en) Composition for stimulation of specific metallo-enzymes
US10357529B2 (en) Natural formulation for treating hangover
EP1757289A1 (en) Composition for acceleration of alcohol metabolism or recuperation from fatigue through gluconeogenesis
US20070196518A1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Mitigating a Negative Effect of Alcohol Consumption
US20050013884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heart disease
KR20040014540A (ko) 성욕을 증진시키는 방법 및 조성물
KR100661132B1 (ko) 숙취 해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MXPA06001706A (es) Jarabe multivitaminico para ninos o adultos jovenes.
KR20120010680A (ko) 타우린, l-카르니틴, 비타민C, 비타민 B군 및 캬라멜 색소, 세피아 색소에서 선택된 색소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조성물
KR100309715B1 (ko) 구연산회로를활성화시켜알코홀독성과숙취를예방하는기능을가지는조성물
US20010039264A1 (en) Amino acid-trehalose composition
BE1026122B1 (fr) Composition pour prévenir ou réduire les effets d&#39;une intoxication alcoolique
US20150202181A1 (en) Method of and compounds for the reduction of alcoholic hangover
US20230270711A1 (en) Improved Anti-Hangover Composition, Its Preparation and Uses
JP2005041853A (ja) 特定の金属酵素を刺激する組成物
KR20120119686A (ko) L-아르기닌, 비타민c, 비타민 b군, 비타민a, 비타민e 및 요오드화칼륨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조성물
RU2146529C1 (ru) Набор антиалкогольных средств
JP2006328079A (ja) 特定の金属酵素を刺激する組成物
US20020006911A1 (en) Formulation and method for treating skeletal muscle degeneration caused by malnutrition and disease
US20240058411A1 (en) Composition for treating and/or preventing a hango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