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8683B1 - 메모리전화기의데이타입력방식 - Google Patents

메모리전화기의데이타입력방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8683B1
KR100308683B1 KR1019940029210A KR19940029210A KR100308683B1 KR 100308683 B1 KR100308683 B1 KR 100308683B1 KR 1019940029210 A KR1019940029210 A KR 1019940029210A KR 19940029210 A KR19940029210 A KR 19940029210A KR 100308683 B1 KR100308683 B1 KR 100308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code
data
input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9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0207A (ko
Inventor
곽정국
Original Assignee
곽정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정국 filed Critical 곽정국
Priority to KR1019940029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8683B1/ko
Publication of KR960020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0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8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86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methods for entering alphabetical characters, e.g. multi-tap or dictionary disambig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모리 전화기의 데이타 입력 방식에 관한 것으로 대용량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성명이나 상호명, 전화번호 데이타를 검색하여 자동 다이얼링하고, 데이타를 수정 및 삭제하는 등의 데이타 관리를 함에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타에 즉시적으로 접근(Immediate Access)할 수 있고, 키 코드로 데이타에 접근하더라도 코드 북(Code Book)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상징적인 코드 입력이 아닌 사용자가 일상 생활에서 사용하는 자연어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으며, 성명이나 상호명 등을 키보드(Keyboard)에서 철자를 모두 타이핑(Typing)해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데이타를 입력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전화번호, 성명이나 상호명 데이타에 키 코드를 부여하여 데이타 레코드(Record)들의 키 코드를 비교하고 필요한 레코드를 검색하도록 함으로써 데이타에 즉시적인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였고, 키 코드 입력은 통상의 숫자만 표기 되어 있는 전화기 번호판부에 한글 자음을 병기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한글 자음을 기준으로 하여 사용자가 일상생활에서 쓰고 있는 자연어의 초성, 즉 "건창시스템"은 "ㄱ ㅊ ㅅ ㅅ ㅌ", "피아노학원"은 "ㅍ ㅇ ㄴ ㅎ ㅇ"과 같이 입력함으로써 이에 대응된 코드의 일 실시예로서 전자는 "19772", 후자는 "68258"으로 입력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전화를 걸고자 하는 상대방에 대한 기억 및 연상을 용이하게 하고, 코드 북등을 비치할 필요가 없도록 하였으며, 성명이나 상호명 등은 터치 판넬에 가해지는 펜의 궤적 이미지 데이타로 입력되도록 함으로써 키보드 자판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라 하더라도 누구나 쉽고 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Description

메모리 전화기의 데이타 입력 방식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화기 회로부 20 : 송.수화기 세트
30 : 라인 인터페이스부 40 : 전화 라인
50 : 번호판부 60 : 펜
70 : 터치 판넬부 80 : 터치 판넬 제어부
90 : 제어키부 100 : 중앙처리장치
110 : 메모리부 120 : 디스플레이 제어부
130 : 디스플레이부 131 : 번호판부 데이타 버스
132 : 전화기 콘트롤 버스 133 : 메모리 데이타 버스
134 : 제어키 데이타 버스 135 : 터치 판넬 데이타 버스
136 : 터치 판넬 제어부 데이타 버스
137 : 디스플레이 제어부 데이타 버스
138 : 디스플레이 데이타 버스 139 : 송신 음성 신호
140 : 수신 음성 신호 141 : 수화기 음성 신호
142 : 송화기 음성 신호 143 : 훅크 검출 신호
144 : 전화라인 팁 145 : 전화라인 링
146 : 다이얼링 신호 147 : 키 코드 및 전화번호 데이타
148 : 펜압 149 : 터치 판넬 제어 신호
150 : 펜 위치 데이타 151 : 펜 궤적 이미지 데이타
152 : 제어키 데이타 153 : 메모리 콘트롤 신호
154 :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 155 : 비디오 신호
본 발명은 숫자와 한글 자음이 병기된 번호판부, 성명이나 상호 등을 이미지(Image) 데이타로 입력할 수 있는 터치 판넬(Touch Pannel)부, 대용량의 메모리, 디스플레이부, 제어키부를 구비한 메모리 전화기에 있어서 메모리 전화기의 데이타 입력 방식에 관한 것으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성명이나 전화번호 데이타를 리드(Read)하여 다이얼링하거나 검색, 수정, 삭제하기에 용이하도록 데이타 입력시 데이타에 키 코드(Key Code)를 부여하고, 키 코드 입력은 숫자와 한글 자음이 병기된 번호판부에서 한글의 자음을 기준으로 하여 한글의 초성 자음으로 알기 쉽고 편리하게 입력함으로써 저장되어 있는 데이타에 순차적인 지연없이 즉시적으로 접근(Immediate Access)할 수 있도록 하고, 성명이나 상호명 등은 터치 판넬상의 펜촉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상응한 궤적 이미지(Image) 데이타로 입력되게 함으로써 번거로운 타이핑(Typing)을 할 필요가 없어 문자 입력을 위한 키보드(Keyboard) 자판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라 하더라도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데이타 입력 방식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메모리 전화기는 대용량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성명 및 전화번호를 첫번째 등록 데이타부터 순차적(Sequential)으로 디스플레이 시키면서 검색하거나, 또는 알파벳(Alphabet) 순으로 검색해야 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전화번호를 찾기위해서는 많은 수고가 따랐으며, 메모리가 대용량일수록 그리고 저장된 데이타의 양이 많아질 수록 검색에는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이 수반되며, 디스플레이 되는 수 많은 데이타 가운데서 원하는 데이타를 찾는 것은 별도의 전화번호 기록철에서 해당되는 전화번호를 찾아 통상적인 방식대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는 것보다 더 번거로울 수 있었으며, 성명이나 상호명 등의 철자를 모두 입력하여 해당되는 전화번호를 검색하는 방법은 키보드(Keyboard) 자판에 능숙한 사용자라 하더라도 사용하기에 번거로워 불편하였다.
또한 성명이나 상호등을 영문으로 표시하도록 되어 있는 종래의 일부 제품들은 한글로 된 성명이나 상호 등을 영문으로 입력할 수 밖에 없으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성명 및 상호로써 전화번호를 자동 다이얼링 하기 위해서는 최초 입력한 영문철자대로 정확히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르며, 알파벳(Alphabet) 순으로 정렬(Sort)하여 검색하는 것도 데이타량이 많아 질 수록 실제 사용상에 있어서는 대단히 불편하다. 종래의 단축 다이얼링 전화기에 있어서도 십수개의 전화번호만을 이용할 수 밖에 없음은 물론 성명이나 전화번호를 기록한 별도의 전화번호 기록철을 필요로 하는 불편함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숫자와 한글 자음이 병기된 번호판부, 성명이나 상호명 등을 이미지 데이타로 입력할 수 있는 터치 판넬부, 대용량의 메모리부, 디스플레이부, 제어키부를 구비한 메모리 전화기에 있어서 성명 및 상호명이나 전화번호 데이타에 순차적인 지연없이 즉시적으로 접근(Immediate Access)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데이타 검색 시간을 대폭 단축 할 수 있는 데이타 입력 방식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데이타 입력시 키 코드 입력은 숫자 번호판부에 한글 자음을 병기한 번호판부에서 한글 자음을 기준으로 하여 입력되게 함으로써 즉, 사용자가 기억하고있는 상대방 성명 또는 상호명의 초성 또는 종성만의 입력으로 이에 상응한 키 코드가 입력되게 하여 별도의 코드 북(Code Book)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성명이나 상호명 등은 터치 판넬상의 펜촉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의한 궤적 이미지(Image)로 입력되게 함으로써 번거로운 타이핑(Typing)을 할 필요가 없음은 물론 키보드(Keyboard) 자판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라 하더라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데이타 입력 방식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모든 도면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것이며,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도로서, 음성 통화를 위한 상기 송.수신 음성 신호(139,140)와 송.수화기 음성 신호(141,142)의 처리를 하고 훅크(Hook) 상태를 검출하여 훅크 검출 신호(143)를 출력하는 통상의 전화기 회로부(10)와, 상기 전화기 회로부(10)로 부터 입력되는 수화기 음성 신호(142)를 음성으로 변환하고, 음성을 송화기 음성 신호(141)로 변환하여 상기 전화기 회로부(10)로 출력하는 송.수화기 세트(20)와, 상기 전화기 회로부(10)에 접속되고, 상기 전화라인(40)의 전화라인 팁(144)과 전화라인 링(145)에 접속되어 상기 전화기 회로부(10)의 수화기 음성 신호(142)와 송화기 음성 신호(141)를 인터페이싱하는 라인 인터페이스부(30)와, 공중전화 통신망과 상기 전화라인 팁(144)와 전화라인 링(145)으로접속되는 전화라인(40)을 구비하고, 본 발명에 따라 전화기 키 배열을 갖는 숫자와 한글 자음이 병기된 다수의 키를 구비하여 키 조작에 따라 상기 번호판부 데이타 버스(131)로 부터 다이얼링 신호(146)와 키 코드 및 전화번호 데이타(147)를 출력하는 번호판부(50)와, 상대방의 성명이나 상호명 등을 입력하기 위한 상기 펜(60)에 의해 상기 터치 판넬부(70)에가해 지는 펜압(148)과 상기 터치 판넬 제어신호(149)에 의해 발생한 펜 위치 데이타(150)를 상기 터치 판넬 데이타 버스(135)를 통해 검출하여 상기 터치 판넬 제어부 데이타 버스(136)를 통해 펜 궤적 이미지 데이타(151)로 출력하는 터치 판넬 제어부(80)와, 다수의 제어키를 구비하여 키 조작에 따라 작업 수행지시를 위한 제어키 데이타(152)를 상기 제어키 데이타 버스(134)로 출력하는 제어키부(90)와, 상기 전화기 회로부(10)의 상기 전화기 콘트롤 버스(132)를 통해 접속되고, 상기 번호판부(50)의 번호판부 데이타 버스(131)를 통해 접속되고, 상기 터치 판넬 제어부(80)의 터치 판넬 제어부 데이타 버스(136)를 통해 접속되고, 상기 메모리부(110)의 상기 메모리 데이타 버스(133)를 통해 접속되고, 상기 제어키부(90)의 제어키 데이타 버스(134)를 통해 접속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120)의 디스플레이제어부 데이타 버스(137)을 통해 접속되며, 본 발명에 따라 각부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고 소정의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중앙처리장치(100)와, 대용량의 메모리 영역을 가지며 상기 번호판부(50)로 부터 입력되는 키 코드 및 전화번호 데이타(147)와 상기 번호판부(50에서 입력된 전화번호를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하기 위한 문자 폰트(Font)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터치 판넬 제어부(80)로 부터 입력되는 성명이나 상호명 등의 이미지 데이타(151)와 상기 번호판부(50)로 부터 입력되는 키 코드와 전화번호 데이타(147)를 메모리 콘트롤 신호(153)에 따라 메모리 데이타 버스(133)을 통해 저장 및 출력하는 메모리부(110)와, 상기 중앙처리 장치(100)로 부터 디스플레이 제어부 데이타 버스(137)를 통해 입력되는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154)에 의해 디스플레이 데이타 버스(138)를 통해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120)와,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120)의 디스플레이 데이타 버스(138)을 통해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155)를 디스플레이 시키는 통상의 CRT또는 LCD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부(130)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키부(90)는 본 발명의 기능 제어를 위한 "A", "B", "C", "D", "E"의 5개의 키들로 이루어 진다. "A"는 메모리 기능키, "B"는 데이타 입력키, "C"는 완료키, "D"는 이전 검색키, "E"는 다음 검색키이다.
제 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숫자와 한글 자음이 병기된 제 1도의 번호판부(50) 구성도의 일 실시예로서, 숫자와 병기된 한글 자음의 조합은 달리 할 수 있다.
제 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제 1도의 메모리부(110)에 저장되는 키 코드, 전화번호, 성명 및 상호명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데이타 포맷(Format)으로서, 키 코드는 데이타의 즉시적인 검색을 위한 상위 기본키 코드(Primary Key Code)와 같은 코드를 갖는 데이타를 구분하기 위하여 순차적으로 하나씩 증가되는 하위 순차 코드(Sequence Code)와의 조합으로써 이루어 지며, 데이타 일 실시예는 기본키 코드를 상위 5자리, 순차코드를 하위 2자리로 하여 키 코드를 총 7자리로 정의하였을 경우로서, 상위 기본키 코드 항목의 "171"은 성명을 나타내는 이미지 항목의 "곽정국"의 초성 집합체인 "ㄱ ㅈ ㄱ"에 대응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 1도의 숫자와 한글 자음이 병기된 번호판부(50) 상에서 한글 자음을 기준으로 타이핑(Typing)하였을 때 즉, 사용자가 성명 "곽정국"에서 "곽"의 초성인 "ㄱ"을 타이핑하였을 때는" 1", "정"의 "ㅈ"을 타이핑하였을 때는 "7", "국"의 "ㄱ"을 타이핑하였을 때는 "1"이 기본키 코드의 상위 3자리로 입력되어 "171"이된 것이며, 하위 "00"은 기본키 코드 항목을 5자리로 정의하였을 경우 3자리로 입력된 데이타의 하위 2자리를 "0"으로 채워 5자리로 한 것이다.
또한 순차 코드 2자리는 "김정국"이라는 성명을 가진 데이타의 경우 기본키 코드가 "곽정국"의 기본키 코드와 같기 때문에 이들을 구분하기 위하여 키 코드 하위 2자리를 순차 코드로 정의 하여 상기 제 1도의 제어키부(90)의 "D"키인 "이전 검색키"와 "E"키인 "다음 검색키"를 사용하여 데이타에 접근(Access)하도록 하였다.
제 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데이타 입력 방식의 흐름도로서, 상기 제 1도에 의해 실행되며, 훅크 오프 여부를 검사하는 훅크 오프 검사 단계(a1)와, 제 1도의 상기 제어키부(90)의 "A"키 입력 여부를 조사하여 키 코드, 전화번호, 성명이나 상호명 이미지 데이타를 관리하기 위한 메모리 기능 시작 단계(a2)와, 상기 제어키부(90)의 기능 제어를 위한 제어키가 "B"키 입력인가를 검사하는 데이타 입력 검사 단계(a3)와, 상기 데이타 입력 검사 단계(a3)에서 "B"키 입력이면 신규 데이타 입력을 위한 데이타 입력 준비 단계(a4)와, 상기 메모리부(11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타에 즉시적으로 접근(Immediate Access)하기 위한 키 코드 중 상위 기본키 코드를 입력하기 위한 기본키 코드 입력 단계(a5)와, 제어키부(90)의 제어키 입력이 "C"키 인가를 검사하여 "C"키 이면 기본키 코드 입력을 완료(a6)하고 그렇지 않으면 기본키 코드 입력 단계(a5)로 루핑하고, 입력된 기본키 코드의 자릿수가 상기 중앙처리장치(100)에서 수행되는 프로그램에 정의되어 있는 기본키 코드 자릿수와 같은 지를 검사하는 자릿수 검사 단계(a7)와, 상기 자릿수 검사 단계(a7)에서 기본키 코드로 정의된 자릿수보다 적게 입력되면 빈 자릿수를 상기 중앙처리장치(100)의 소정의 프로그램에 정의된 특정치로 채워 자릿수가 같게 하고, 정의된 자릿수 보다 크게 입력되면 후입 코드로 부터 잘라서 보정하는 자릿수 보정 단계(a8)와, 상기 자릿수 보정 단계(a8)에서 보정된 기본키 코드 또는 입력된 기본키 코드와 같은 코드가 상기 제 1도의 메모리부(11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타 중에 존재하는지 또는 신규 코드인지를 검사하는 신규 코드 검사 단계(a9)와, 상기 신규 코드 검사 단계(a9)에서 신규 코드이면 키 코드의 하위 순차 코드를 상기 중앙처리장치(100)에서 수행되는 프로그램에 정의되어 있는 초기치로 부여하고(a10), 상기 신규 코드 검사 단계(a9)에서 상기 메모리부(110)에 저장되어 있는 기존의 데이타가 있을 경우 같은 기본키 코드를 갖는 데이타의 수보다 하나 증가된 순차 코드를 부여하는 순차 코드 부여 단계(a11)와, 상기 제1도의 번호판부(50)로 부터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키 데이타를 입력 받는 전화번호 입력 단계(a12)와, 상기 전화번호 입력 단계(a12)에서 입력된 전화번호를 상기 제1도의 디스플레이부(130)로 디스플레이하는 전화번호 디스플레이 단계(a13)와, 상기 제어키부(90)의 제어키 입력이 "C"키 인가를 감사(a14)하며 "C"키 입력이 아니면 상기 전화번호 입력 단계(a12)로 루핑하고 "C"키 입력이면 상기 제1도의 팬(60), 터치 판넬부(70), 터치 판넬 제어부(80)로 부터 성명이나 상호명을 나타내는 펜 궤적 이미지 데이타(151)를 입력 받는 이미지 입력 단계(a15)와, 상기 이미지 입력 단계(a15)에서 입력된 이미지 데이타를 상기 제1도의 디스플레이부(130)로 디스플레이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단계(a16)와, 상기 제어키부(90)의 제어키 입력이 "C"키 인가를 검사(a17)하여"C"키 입력이 아니면 상기 이미지 입력 단계(a15)로 루핑하고 "C"키 이면 상기 메모리부(110)에 키 코드, 전화번호, 이미지 데이타를 저장하는 메모리 저장 단계(a18)로 이루어 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예를 제 1도, 제 2도, 제 3도, 제 4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훅크 오프 검사 단계(a1)에서 훅크 오프(Off)이면 사용자가 전화기 송수화기를 들은 상태로서 메모리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메모리부(11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타를 검색하여 상대방에게 자동 다이얼링하거나 또는 상기 번호판부(50)로 부터 전화번호를 직접 입력하여 상대방을 호출하여 통화할 수 있는 상태이며, 훅크 온(On)이고 상기 제어키부(90)로 부터 "A"키 입력이 있으면 상기 번호판부(50)내의 다이얼회로를 차단하고 상기 메모리부(11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타를 검색, 수정, 삭제하는 등의 메모리 관리를 위한 준비가 완료된 상태이며, 상기 제어키부(90)로 부터 "B"키 입력이 있으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타를 입력하기 위한 데이타 입력 준비(a4)를 하게 된다.
데이타는 상기 메모리부(110)에 저장되어 있고 데이타에 즉시적으로 접근(Immediate Access)할 수 있도록 키 코드를 부여 받으며, 성명이나 상호명 등은 키보드로 입력하는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펜(60)에 의해 터치 판넬부(70)에 가해지는 펜압(148)에 상응한 펜 궤적 이미지 데이타(151)로 입력되게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쉽고 편하게 데이타를 입력하게 하고 데이타 검색 시간을 대폭 단축시켜 주며,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알기 위해 별도의 전화번호 기록철을 필요로 하거나 또는 성명이나 상호명의 철자를 모두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였다.
즉, 통화하고자 하는 상대방의 성명이 "곽건창"이라고 할때 상기 기본키 코드 입력 단계(a5)에서 사용자는 숫자와 한글 자음이 병기된 상기 번호판부(50)에서 한글 자음을 기준으로 하여 "곽"의 초성 "ㄱ", "건"의 초성 "ㄱ", "창"의 초성 "ㅊ"에 해당하는 "ㄱ ㄱ ㅊ" 키를 입력하는 것 만으로 이에 상응한 "1 1 9"의 키 코드 입력을 완료(a6)하게 되며, 추후 상기 메모리부(11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타에 즉시적으로 접근(Access)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기본키 코드 입력 단계(a5)에서 입력된 기본키 코드는 본 발명에 따른 각부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상기 중앙처리장치(100)가 수행하는 소정의 프로그램에 정의되어 있는 기본키 코드의 자릿수와 입력되는 코드의 자릿수가 같은가를 검사(a7)하여 프로그램에 정의되어 있는 기본키 코드의 자릿수보다 적을때는 빈 자릿수에 상기 중앙처리장치(100)에서 수행되는 소정의 프로그램에 정의되어 있는 특정치를 채워 같게 보정(a8)하고, 클 경우에는 후입 코드로 부터 잘라서 보정하고, 같을때는 신규코드 검사 단계(a9)로 분기하고, 보정된 코드 또는 입력된 코드를 갖는 데이타가 상기 메모리부(110)에 존재하는지를 검사(a9)하여 존재하지 않으면 키 코드의 하위 순차 코드를 초기치로 부여(a10)하고, 존재하면 상기 메모리부(11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타의 수량보다 하나 증가한 순차코드를 부여(a11)한다.
상기 키 코드 입력이 완료(a5 - a11)되면, 상기 제 1도의 번호판부(50)에 한글 자음과 병기된 숫자를 기준으로 전화번호를 입력(a12)하고, 입력된 전화번호 데이타(147)에 대응되는 문자 폰트를 상기 메모리부(110)로 부터 리드(Read)하여 상기 제 1도의 디스플레이부(130)로 비디오 신호(155)를 출력하여 디스플레이(a13) 하며, 상기 제어키부(90)의 "C"키 입력 여부를 검사(a14)하여 "C"키 입력이 아니면 상기 전화번호 입력 단계(a12)로 루핑하고, "C"키 입력이면 상기 전화번호 입력을 완료(a12 - 114)하여, 상기 제 1도의 터치 판넬부(70)에 가해 지는 펜압(148)에 의한 펜 궤적에 상응한 이미지 데이타(151)로서 성명이나 상호명을 입력(a15)하고, 입력된 이미지를 상기 제 1도의 디스플레이부(130)로 비디오 신호(155)를 출력하여 디스플레이(a16)하며, 상기 제어키부(90)의 "C"키 입력 여부를 검사(a17)하여 "C"키 입력이 아니면 이미지 입력 단계(a15)로 루핑하고, "C"키 입력이면 상기와 같이 키 코드, 전화번호, 성명이나 상호명을 나타내는 이미지 데이타의 입력이 완료(a5 - a16)되어 상기 제 1 도의 메모리부(110)에 메모리 데이타 버스(133)를 통해 메모리 콘트롤 신호(153)에 따라 저장하여 본 발명의 데이타 입력 과정을 완료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메모리 전화기의 데이타 입력 방식에 국한되는 것으로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타를 검색, 수정, 삭제하는 방식은 본 발명에서 제외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메모리 전화기에 있어서 메모리에 저장될 데이타에 키 코드를 부여함으로써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타의 검색 및 다이얼링시 데이타에 즉시적으로 접근(Immediate Access)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데이타 검색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키 코드는 숫자와 한글 자음이 병기된 번호판부의 한글 자음을 기준으로 입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데이타의 검색, 수정, 삭제할때 숫자와 같은 상징적인 코드를 번호판부에서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쓰이는 자연어 그대로를 사용하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추후 전화 통화 필요시 상대방에 대한 연상 및 기억이 용이하고 코드 북(Code Book)을 비치할 필요가 없도록 하였으며, 각 음소의 초성 또는 종성만의 입력과 성명이나 상호명을 터치 판넬(Touch Pannel)에 의한 이미지(Image)로 입력받음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키보드(Keyboard)상에서 철자대로 타이핑(Typing)하는 것으로 부터 해방시킴으로써 키보드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라 하더라도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1)

  1. 메모리 전화기의 데이타 입력 방식에 있어서, 훅크 오프이고 "A" 키 입력이 있으면 번호판부내의 다이얼 회로를 차단하고 메모리 관리를 위한 준비를 하고, 이후 "B"키 입력이 있으면 데이타 입력을 준비하고, 숫자와 한글 자음이 병기된 번호판부에서 한글 자음을 기준으로 기본키 코드가 입력(a5)되면 입력된 코드의 자릿수와 중앙처리 장치의 소정의 프로그램에 정의되어 있는 기본키 코드의 자릿수를 비교(a7)하여 기본 키 코드의 자릿수가 적으면 상기 중앙처리장치(100)에서 수행되는 소정의 프로그램에 정의되어 있는 특정치로 빈 자릿수를 채워 같게(a8)하고, 크면 후입 코드 부터 잘라서 같게 하고, 같으면 신규 코드 검사 단계(a9)로 분기하며, 입력된 코드 또는 보정된 코드를 기본키 코드로 갖는 데이타가 메모리부에 존재하는지를 검사(a9)하여 존재하지 않으면 키 코드의 하위 순차코드를 상기 중앙처리장치(100)에서 수행되는 소정의 프로그램에 정의되어 있는 초기치로 부여(a10)하고, 존재하면 저장되어 있는 데이타의 수 보다 하나 증가된 순차 코드를 부여(a11)하며, 전화번호는 숫자와 한글 자음이 병기된 번호판부(50)에서 숫자를 기준으로 입력하여 디스플레이(a12 - a14)하고, 성명이나 상호명 등은 터치 판넬부에 가해 지는 펜압(148)에 의한 펜 궤적에 상응한 이미지 데이타(151)로서 입력되어 디스플레이 (a15 - a17) 되며, 상기 키 코드, 전화번호, 이미지 데이타가 메모리부에 저장(a18)됨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전화기의 데이타 입력방식.
KR1019940029210A 1994-11-09 1994-11-09 메모리전화기의데이타입력방식 KR100308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9210A KR100308683B1 (ko) 1994-11-09 1994-11-09 메모리전화기의데이타입력방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9210A KR100308683B1 (ko) 1994-11-09 1994-11-09 메모리전화기의데이타입력방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0207A KR960020207A (ko) 1996-06-17
KR100308683B1 true KR100308683B1 (ko) 2001-12-01

Family

ID=37530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9210A KR100308683B1 (ko) 1994-11-09 1994-11-09 메모리전화기의데이타입력방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86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9087A (ko) * 1997-02-26 1998-10-26 구자홍 전화기의 단축 다이얼 검색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0671B1 (ko) * 1998-07-22 2001-07-12 윤종용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저장 및 표시 방법
KR100426896B1 (ko) * 2001-06-05 2004-04-13 주식회사 메트로정보통신 이동통신단말 문자검색방법 및 이에 연계된 다른 전화번호바로걸기방법
KR20030002983A (ko) * 2001-07-03 2003-01-09 주식회사 사이퍼스 단어의 초성을 이용한 단어 검색이 가능한 통신단말기와이를 적용한 단어검색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9087A (ko) * 1997-02-26 1998-10-26 구자홍 전화기의 단축 다이얼 검색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0207A (ko) 199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50017B2 (en) Phone dialer with advanced search feature and associated method of searching a directory
US7149550B2 (en)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ext editor application with a word completion feature
US20080109432A1 (en)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redictive Test Editor Application
CN1855954B (zh) 在移动通信终端电话簿中搜索目录条目的方法和装置
US20100146441A1 (en) Search based user interface
US20050266838A1 (en) Method for performing functions using telephone number searched for in mobile terminal
EP1727024A1 (en) Automatic language selection for text input in messaging context
JP2005539432A (ja) 字母選択を用いて電話番号をダイヤルするための装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プロダクト
US8060839B2 (en) Character input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US6252948B1 (en) Telephone note-taking device
US20080020736A1 (en)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integration search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070282834A1 (en) Database search method and apparatus utilizing variable number of search boxes
CN101052061B (zh) 移动终端的电话记录的搜索方法
KR100308683B1 (ko) 메모리전화기의데이타입력방식
CN112866469A (zh) 通话内容的记录方法及装置
CN102780802A (zh) 一种快速拨号的方法及终端
WO2006125660A2 (en) Automatic language selection for text input in messaging context
KR20040008304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다이얼링 방법
KR10058182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 번호 검색 방법
JPH10247988A (ja) 通信機能付き情報処理装置
CN1268010A (zh) 移动电话机中用户信息的管理方法
KR100833278B1 (ko) 이동 통신 장치 및 조작 방법
JPH11341139A (ja) 通信端末装置
US20020183047A1 (en) Sensible information inquiry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phones
KR100247041B1 (ko) 전화번호의 특정 자릿수 탐색에 의한 다이얼링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