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6643B1 - 디스플레이장치의전원제어회로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의전원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6643B1
KR100306643B1 KR1019980024206A KR19980024206A KR100306643B1 KR 100306643 B1 KR100306643 B1 KR 100306643B1 KR 1019980024206 A KR1019980024206 A KR 1019980024206A KR 19980024206 A KR19980024206 A KR 19980024206A KR 100306643 B1 KR100306643 B1 KR 100306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ower
input
display device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4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3101A (ko
Inventor
강호웅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24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6643B1/ko
Publication of KR20000003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3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6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66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Power Source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개시된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제어회로는 별도의 스위치없이 컴퓨터 본체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장치의 사용 유,무에 따라 전원부의 구동여부를 결정하고,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 온/오프에 관계없이 신호 케이블이 빠진 경우 안내 화면을 표시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PC 본체와 연결된 신호 케이블을 통해 수평 또는 수직 동기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전원기동용 신호출력부는 이를 인지하여 전원기동용 신호를 출력하고, 스위칭 제어부는 전원기동용 신호를 입력받아 스위칭 구동신호를 출력하고, 스위칭 회로부가 이 스위칭 구동신호에 따라 절환됨에 따라 정류부에 의해 정류된 전원이 기동저항을 통해 변압기 구동부로 입력되어 스위칭 변압기가 구동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사용자가 평상시 디스플레이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 별도의 전원 스위치를 사용할 필요없이 PC의 전원을 오프하기만 하여도 디스플레이장치가 자동으로 꺼지고 또한, 디스플레이장치를 사용하기 위해 별도의 전원 스위치를 켜지 않아도 PC 전원만 켜더라도 자동으로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이 켜지지도록 하여 향상된 절전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제어회로{power control circuit of display system}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스위치없이 컴퓨터 본체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장치의 사용 유,무에 따라 전원부의 구동여부를 결정하고,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 온/오프에 관계없이 신호 케이블이 빠진 경우 안내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원절약시스템(DPMS; Display Power Management System)이란 컴퓨터 시스템의 사용상태에 대응하여 컴퓨터 주변장치인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을 관리함으로써 전원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한 기능으로, 미 합중국 VESA(Video Electronics Standard Association)에서 제안하고 있다.
VESA 제안에 따르면, 컴퓨터는 컴퓨터 시스템의 사용상태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전원 관리 상태를 실현하기 위하여 수평 동기 신호와 수직 동기 신호를 디스플레이장치에 선택적으로 공급하거나 차단하고, 디스플레이장치에서는 컴퓨터로 부터 수평 동기 신호와 수직 동기 신호가 입력되는 상태에 대응하는 전원관리상태를 수행한다.
이때의 전원 관리 상태는 정상상태(On State), 스탠바이 상태(Stand-by state), 서스펜드 상태(Suspend state), 파워오프 상태(Power Off State)로 구분되고 있다. 여기서, 정상상태(On State)는 수평 동기 신호와 수직 동기 신호의 펄스출력이 모두 나타나고, 스탠바이 상태(Stand-by state)는 수직 동기 신호의 펄스출력만이 나타난다. 또한, 서스펜드 상태(Suspend state)는 수평 동기 신호의 펄스 출력만이 나타나고, 파워오프 상태(Power Off State)는 수평 동기 신호와 수직 동기 신호의 펄스 출력이 모두 나타나지 않는다.
이러한 전원관리상태는 컴퓨터 시스템이 사용되지 않는 시간의 지속적인 경과에 대응하여 순차적으로 정상상태(On State)모드 → 스탠바이 상태(Stand-by state)모드 → 서스펜드 상태(Suspend state)모드 → 파워오프 상태(Power Off State)모드로 전환하며, 이때의 소비전력은 정상상태일 경우 80W 정도가 되고, 스탠바이 상태일 경우 65W 이하가 되며, 서스펜드상태일 경우 25W 이하가 되고, 파워 오프일 경우 5W 이하가 되도록 디스플레이장치 제품의 규격을 정해놓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노멀(Normal)모드, 서스펜드(Suspend)모드 및 오프(Off)모드의 세가지 상태모드로 분류하고, 소비전력은 노멀(Normal) 모드일 경우 100W 정도로 하고, 서스펜드(Suspend) 모드일 경우 15W 이하로 하며, 오프(Off) 모드일 경우 5W 이하가 되도록 정하기도 한다. 이와 더불어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라서는, 각 모드의 지속적인 유지시간 등을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직접 설정해줄 수도 있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절전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절전회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AC 전원의 입력 여부를 수동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기구적 스위치(10)와, 기구적 스위치(10)가 턴온됨에 따라 입력되는 AC 전원을 정류하고,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정류부(20)와, 초기 전원 입력시 기동저항(Rs)을 통해 입력되는 정류된 DC 전원에 의해 구동되고, 초기 전원이 입력되고 난 후 3차측 권선(N3)에 의해 발생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스위칭 작용을 하는 변압기 구동부(30)와, 변압기 구동부(30)의 스위칭 작용에 의해 구동되어 1차측 권선(N1)으로 입력되는 정류된 전원에 따라 2차측, 3차측 권선(N2)(N3)수에 비례하는 다수의 직류전압이 발생, 출력되도록 하는 스위칭 변압기(40)와, PC 본체로부터 입력되는 수평동기신호(Hsync)와 수직동기신호(Vsync)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서스펜드모드 제어신호 또는 오프모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컴퓨터(50)와, 스위칭 변압기(40)에 구비된 하나의 2차측 권선(N2)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마이크로 컴퓨터(50)로부터 입력되는 오프모드 제어신호에 따라 턴오프되어 후단으로 출력되던 DC 전압이 차단되도록 하는 제 1 스위칭부(60)와, 스위칭 변압기(40)에 구비된 다른 하나의 2차측 권선(N2)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마이크로 컴퓨터(50)로부터 입력되는 서스펜드모드 제어신호에 따라 턴오프되어 후단으로 출력되던 DC 전압이 차단되도록 하는 제 2 스위칭부(70)로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는 입력되는 AC전원이 정류부(10)의 브리지 다이오드(BD)에서 정류된 후, 평활용 콘덴서(C1)에서 직류전원으로 변환되어 스위칭 변압기(TRANS, 40)의 1차측 권선에 가해진다.
한편, 평활용 콘덴서(C1)에서 변환된 직류전원은 기동저항(Rs)을 통해 변압기 구동부(30)를 동작시키는데, 이 변압기 구동부(30)는 스위칭 변압기(40)의 2차측, 3차측으로 교류형태의 에너지가 유기될 수 있도록 스위칭작용을 시작하게 된다.
즉, 변압기 구동부(30)가 스위칭작용을 시작하게 되면, 스위칭 변압기(40)의 1차측 권선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2차측 및 3차측 권선(N2)(N3)으로 교류형태의 에너지가 유기되게 되며, 2차측 권선(N2)으로 유기된 에너지는 다시 다이오드(D1)(D2)(D3)와 평활용 콘덴서(C2)(C3)(C4)를 거쳐 스위칭 변압기(40)의 1차측 및 2차측의 각 권선비에 따른 DC 전원(VOUT1)(VOUT2)(VOUTN)으로 각각 변환되어 출력되게 된다.
그리고 스위칭 변압기(40)의 3차측으로 유기된 에너지는 다이오드(D4)와 평활용 콘덴서(C5)를 거쳐 소정의 DC 전압으로 변환된 후 변압기 구동부(30)에 가해짐으로써 변압기 구동부(30)의 구동전원으로 작용한다.
즉, 변압기 구동부(30)는 소정의 주파수 및 듀티를 가지는 펄스폭변조 파형을 출력함으로써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를 구동시켜 소정값의 DC 전원이 출력되도록 해주는 부분으로, 최초 기동전원은 상술한 기동저항(Rs)을 통해 공급받게 되며 기동후에는 초기 기동전원을 끊고 3차측에 유기된 전압을 구동전원으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마이크로 컴퓨터(50)는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의 2차측 권선(N2)을 통해 출력되는 직류전원 중 하나(VOUT1)를 구동전원으로 인가받아 동작되며, PC 본체로부터 입력되는 수평 동기신호(Hsync) 및 수직 동기신호(Vsync)에 맞춰 음극선관 디스플레이장치를 동작시켜 준다.
그러나, 만약 PC 본체에서 입력되는 수평 동기신호(Hsync) 또는 수직 동기신호(Vsync)가 없다면 마이크로 컴퓨터(50)는 출력측에 구비된 제 1 스위칭 회로부(60)가 턴오프되도록 하여 서스펜드모드를 구현하고, PC 본체에서 수평 동기신호(Hsync) 및 수직 동기신호(Vsync)가 모두 입력되지 않는다면 마이크로 컴퓨터(50)는 제 2 스위칭 회로부(60)가 턴오프되도록 함으로써 오프모드를 구현하게 되어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절전모드를 구현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것과 같은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절전모드를 수행하는 회로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해 기구적인 스위치를 사용하므로써 재료비가 비싸지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을 온/오프할 때마다 스위치를 눌러야 하므로 번거로움이 있으며, 절전모드에서는 절전모드 판별 및 전원부 스위칭 구동을 위해 마이크로 컴퓨터와 같은 별도의 장치에 항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2차측 전원이 완전 오프되어서는 안되므로 절전모드에서 절전효과가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별도의 스위치없이 컴퓨터 본체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장치의 사용 유, 무에 따라 전원부의 구동여부를 결정하고,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 온/오프에 관계없이 신호 케이블이 빠진 경우 안내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제어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절전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절전회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절전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전원제어회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10 : 정류부 120 : 변압기 구동부
130 : 스위칭 변압기 140 : 마이크로 컴퓨터
150 : 전원기동용 신호출력부 160 : 스위칭 제어부
170 : 제 3 스위칭 회로부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PC 본체와 연결된 신호 케이블을 통해 수평 또는 수직 동기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동기신호 검출부는 이를 인지하여 전원기동용 신호를 출력하고, 스위칭 제어부는 전원기동용 신호를 입력받아 스위칭 구동신호를 출력하고, 스위칭 회로부가 이 스위칭 구동신호에 따라 절환됨에 따라 정류부에 의해 정류된 전원이 기동저항을 통해 변압기 구동부로 입력되어 스위칭 변압기가 구동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절전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전원제어회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AC 전원을 정류하고,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정류부(110)와, 초기 전원 입력시 기동저항(Rs)을 통해 입력되는 정류된 DC 전원에 의해 구동되고, 초기 전원이 입력되고 난 후 3차측 권선에 의해 발생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스위칭 작용을 하는 변압기 구동부(120)와, 변압기 구동부(120)의 스위칭 작용에 의해 구동되어 1차측으로 입력되는 정류된 전원에 따라 2차측, 3차측 권선수에 비례하는 다수의 DC 전압이 발생, 출력되도록 하는 스위칭 변압기(130)와, PC 본체로부터 입력되는 수평, 수직동기신호를 감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서스펜드 모드 및 오프 모드를 구현하며, 부가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가 켜진 상태에서는 오프단자로부터 항상 하이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며, 디스플레이장치가 꺼진 상태에서는 오프단자에서 로우레벨신호를 출력하고,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연결케이블에 구성된 접지단자(earth in pc)를 감시하여 상기 케이블이 컴퓨터(140) 본체와 빠진 경우 이에 대한 OSD 메시지를 디스플레이장치 상에 출력하는 마이크로 컴퓨터(140)와, 디스플레이 장치가 켜져 있는 상태에서는 동작하지 않다가 디스플레이장치가 꺼져 있는 경우 PC 본체로부터 입력되는 수평 또는 수직 동기신호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지속적으로 검출하여, 수평 또는 수직 동기 신호가 입력되면 전원기동용 신호를 출력하는 전원기동용 신호출력부(150)와, 신호출력부(150)의 다음단에 구성되어 디스플레이장치가 꺼져 있는 상태에서 전원기동용 신호출력부(150)로부터 하이 레벨의 전원 기동용신호가 입력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를 PC와 연결하는 케이블이 빠졌을 경우에 스위칭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칭 제어부(160)와, 스위칭 제어부(160) 다음단에 구성되어 스위칭 제어부(160)로부터 입력되는 스위칭 구동신로에 따라 정류된 전원 또는 스위칭 변압기(130)에 전압이 인가되도록 변압기 구동부(120)를 구동시키는 제3 스위칭 회로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술한 각 구성요소 및 본원 발명에 따르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제어 회로의 동작과정을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전술한 전원기동용 신호출력부(150)는 디스플레이장치가 꺼져 있는 상태에서 PC 본체로부터 수평동기신호가 입력되고, 마이크로 컴퓨터(140)의 오프단자로부터 로우레벨의 전원오프신호가 입력되면 동기 신호에 대응하는 교류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게이트(151)와, PC 본체로부터 수직동기신호가 입력되고, 마이크로 컴퓨터(140)의 오프단자로부터 로우레벨의 전원오프신호가 입력되면 동기 신호에 대응하는 교류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게이트(153)와, 제 1, 제 2 게이트(151)(153)로부터 입력되는 동기신호에 대한 펄스 신호에 의해 PC 본체로부터 수평, 수직동기신호가 입력됨을 판단하고, 이에 따라 동기신호에 대응하는 교류신호를 출력하는 동기신호 검출부(155)로 구성된다. 상술한 제1 게이트와 제2 게이트(151)(153)는 같이 직류성분을 필터링하고 동기 신호에 의하여 디스플레이의 전원이 켜진후에는 입력되는 동기신호를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술한 전원기동용 신호출력부(150)는 디스플레이장치가 켜져 있는 상태에서는 마이크로 컴퓨터(140)의 오프단자에서 항상 하이레벨 신호가 출력되어 상기 제1 및 제2 게이트(151)(152)가 항상 오프 상태가 되어 동작을 하지 않게 된다.
상술한 스위칭 제어부(160)는 상술한 전원 기동용 신호 출력부(150) 다음단에 위치하며, 그 내부에 상기 전원 기동용 신호 출력부(150)에 구성된 동기 검출부(155)로부터 오는 신호와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40)의 오프 단자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논리합 연산처리하며 그 내부에서 스위칭 변압기(130)의 1차측과 2차측을 분리하도록 구성되는 제3 게이트(161), 그리고 제3 게이트(161)의 다음단에 제3 게이트(161)와 교류신호의 유무에 의하여 충방전 경로를 형성하며, 교류신호가 흐르는 경우 최종 출력단에서 로우레벨 신호를 출력하고 교류신호가 없는 경우 최종 출력단에서 하이레벨 신호를 출력하는 제2 트랜스퍼(165)와 디스플레이장치와 PC의 연결케이블의 접지단자 그리고 마이크로 컴퓨터(140)의 셀프라스트 단자에 연결구성되어 디스플레이장치 연결케이블의 접지단자 측에서 교류신호에 의해 교류신호의 경로가 형성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와 PC사이의 케이블이 빠져있는지를 검출하고, 상기 케이블이 빠져 있는 경우 PC접지측(earth in pc)에 의한 교류경로가 형성되지 않아 로우레벨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1 트랜스퍼(163), 그리고 상기 제2 트랜스퍼(165)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는 반전시키고 상기 제1 트랜스퍼(163)의 신호를 그대로 입력받아 논리합 연산하여 결과를 출력하는 제4 게이트(16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4 게이트는 제1 트랜스퍼(163)와 제2 트랜스퍼(165)중 어느 하나의 트랜스퍼에 교류전류가 흐를수 있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함이며, 제2 트랜스퍼(125)로부터 입력단자에 반전단자가 구성된 것은 제1트랜스퍼(163)와 제2 트랜스퍼(165)에 구성된 트랜지스터의 숫자가 다름에 의해 서로 동일한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반대의 결과를 출력한다는 것을 의미하도록 구성된것이다.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디스플레이장치가 켜져있거나, 디스플레이장치와 PC를 연결하는 케이블이 빠져 있는 경우에 제 9트랜지스터(T9)가 오프상태가 된다. 상기 제9 트랜지스터(T9)가 오프되면 스위칭제어부(170)에 구성된 제 10 트랜지스터(T10)가 턴온되고 제9 캐패시터(C39)가 충전되어 제11트랜지스터(T11)가 턴온됨으로써 변압기구동부(120)를 기동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즉 상술한 스위칭 제어부(160)는 수직 또는 수평 동기신호가 있는 경우, 또는 PC본체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신호용 연결케이블이 빠져 있는 경우에만 제3 스위칭회로부(170)를 턴온시키고, 상기 수직및 수평 동기신호가 없는 경우에만 제3스위칭 회로부(170)를 턴오프시킴으로써 변압기구동부(120)를 스위칭하여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게 된다.
도2의 미설명 도면부호 180은 제 4 스위칭 회로부로써 마이크로 컴퓨터(140)로부터 입력되는 서스펜드모드를 구현하기 위한 제어신호에 따라 턴오프되어 디스플레이장치가 서스펜드모드로 전환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의 전체동작 과정 즉,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이 턴오프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장치의 기동 및 전원이 턴온된 상태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중지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이 턴오프된 상태에서의 디스플레이장치가 기동하거나 PC본체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결케이블이 빠진 경우에 OSD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동되려면 두가지 신호중 하나의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이다. 하나의 신호는 PC본체로 부터 입력되는 수평 또는 수직동기신호이고, 또 다른 신호는 PC본테와 연결된 신호 케이블이 빠졌을 경우 접지단자가 오픈되어 제1트랜스퍼에 교류전류가 흐르지 못하는 경우이다.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이 턴오프된 상태에서 PC 본체로부터 입력되는 수평, 수직동기신호는 전원기동용 신호출력부(150)로 입력된다. 입력된 교류신호로서의 수평 또는 수직신호들이 입력되면 제3 스위칭 회로부(170)가 변압기구동부(120)로 전원이 입력되도록 스위칭되어 디스플레이 장치가 턴온된다.
다음으로 PC본체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결케이블이 빠져 있는 경우에 마이크로 컴퓨터에 연결구성된 제3 스위칭회로부(170)가 온되어 모니터에 전원이 인가되고 마이크로 컴퓨터에 구성된 OSD메시지가 출력되게 된다.
다음으로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의 구동 중지에 대해 설명하면,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이 턴온된 상태에서 마이크로 컴퓨터(140)가 동작하게 되면 전원기동용 신호출력부(150)는 마이크로 컴퓨터(140)에서 출력된 하이레벨의 신호를 입력받게 되어 제1 및 제2 게이트(151,153)에 전압이 인가되어 턴오프됨으로써 제1게이트와 제2게이트가 그동작을 하지 않게 된다.
마이크로 컴퓨터(140)가 디스플레이장치의 구동을 중지하기 위해 로우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는 일정시간 이상 수평, 수직동기신호가 PC 본체로부터 입력되지 않고 있는 경우로써, 이와 같은 경우에 마이크로 컴퓨터(140)는 오프(off)단자를 통해 로우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또한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가 입력되지 않음으로서 제3게이트(161)에서 로우레벨 신호를 출력하여 제 3스위칭회로부(170)가 오프됨으로써 변압기 구동부(120)로 전원이 입력되지 않게 되어 디스플레이 장치가 오프되게 된다.
상술한 것과 같이 마이크로 컴퓨터(140)가 PC 본체로부터 수평, 수직동기신호가 일정시간 이상 동안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스탠바이모드 또는 서스펜드모드의 동작상태에서 정류부(110)의 출력 전원이 변압기 구동부(120)로 입력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신호 케이블의 연결상태 불량으로 제 3 스위칭 회로부(170)가 구동되어 변압기 구동부(120)가 구동된 경우 다시 신호 케이블이 연결되면 마이크로 컴퓨터(140)는 PC 본체로부터 입력되는 수평, 수직동기신호의 유무를 판별한 뒤 만약 입력되는 수평, 수직동기신호가 없는 경우 스위칭 제어부(160)로 전원 구동 중지신호를 출력하여 다시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이 턴오프되도록 한다.
이때 PC 본체로부터 입력되는 동기신호가 하이레벨의 신호로서 동기신호의 중지상태에 있을 때 스위칭 회로부가 구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직류성분을 필터링하는 캐패시터(C1)(C2)를 이용하여 제 1, 제 2 게이트(151)(153)를 구성하였다.
상기 제1, 제2 게이트(151,153)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기 신호에 의해 턴 온되는 경우, 전원 기동용 신호출력부(150)로 입력되는 동기신호를 차단하여 수직 및 수평 동기 신호의 일그러짐을 막도록 구성된다.
상기 동기 신호의 일그러짐 방지를 위한 동작과정은 다음과 같다.
디스플레이 장치가 꺼져있는 상태에서 전원이 턴온되면 마이콤의 오프(off)단자에서 하이레벨 신호가 출력되고, 상기 마이콤의 하이레벨 신호에 의하여 상기 입력되던 동기 신호가 차단되어 동기 신호가 전원 기동용 신호 출력부(150)로부터 다음단으로 입력되는 것을 방지하고 마이콤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로 입력되는 동기신호의 일그러짐을 방지할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사용자가 평상시 디스플레이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 별도의 전원 스위치를 사용할 필요없이 PC의 전원을 오프하기만 하여도 디스플레이장치가 자동으로 꺼지고 또한, 디스플레이장치를 사용하기 위해 별도의 전원 스위치를 켜지 않아도 PC 전원만 켜더라도 자동으로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이 켜지므로 디스플레이장치를 온/오프하기 위한 번거로움을 없애는 한편 PC와 신호 케이블의 연결상태까지도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장치의 오프모드 상태는 전원 오프상태와 동일하므로 절전효과가 탁월하다는 효과를 제공하는데 있다.

Claims (3)

  1.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AC 전원을 정류하고,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정류부;
    초기 전원 입력시 기동저항을 통해 입력되는 DC 전원에 의해 구동되고, 초기 전원이 입력되고 난 후 3차측 권선에 의해 발생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스위칭 작용을 하는 변압기 구동부;
    상기 변압기 구동부의 스위칭 작용에 의해 구동되어 1차측으로 입력되는 정류된 전원에 따라 2차측, 3차측 권선수에 비례하는 다수의 DC 전압이 발생, 출력되도록 하는 스위칭 변압기;
    PC 본체로부터 전원이 입력되는 경우 하이레벨 전원오프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PC본체로부터 입력되는 수평과 수직동기신호가 소정시간동안 입력되지 않는 경우 로우 레벨 전원오프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PC 본체로부터 상기 수평, 수직동기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하이레벨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PC본체와 연결된 신호케이블이 빠졌을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접지단자에 인가되는 전압을 감지하여 OSD메시지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컴퓨터;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로부터 전원오프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PC 본체로부터 입력되는 수평 또는 수직동기신호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지속적으로 검출하며, PC본체로부터 수평동기신호가 이력되고, 마이크로 컴퓨터로부터 로우레벨의 전원오프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또는 상기 PC본체로부터 수직동기신호가 입력되고, 마이크로 컴퓨터로부터 로우레벨의 전원오프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중 어느 하나의 경우에 전원기동용 신호를 출력하는 전원기동용 신호출력부;
    상기 전원기동용 신호출력부로부터 전원기동용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또는 상기 PC본체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는 신호케이블이 빠졌을 경우중 어느 한 경우에 스위칭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칭 제어부;및
    상기 스위칭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스위칭 구동신호에 따라 정류된 전원 또는 스위칭 변압기로부터 피드백되는 전원 중 어느 하나의 전원이 선택적으로 출력되도록 절환되는 스위칭회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기동용 신호출력부는;
    PC 본체로부터 수평동기신호가 입력되고, 마이크로 컴퓨터로부터 로우레벨의 전원오프신호가 입력되면 수평동기 신호에 대응하는 교류신호를 출력하는 제1 게이트;
    PC 본체로부터 수직동기신호가 입력되고, 마이크로 컴퓨터로부터 로우레벨의 전원오프신호가 입력되면 수직동기 신호와 동일한 교류신로를 출력하는 제 2 게이트; 및
    상기 제 1, 제 2 게이트로부터 입력되는 교류신호에 의해 PC 본체로부터 수평, 수직동기신호가 입력됨을 판단하고, 이에 대해 상기 수평 또는 수직 동기신호에 대응하는 교류신호를 출력하는 동기신호 검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제어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동기신호 검출부에서 하이레벨의 신호가 입력되고, 마이크로 컴퓨터에서 로우레벨의 전원오프신호가 입력되면 하이레벨의 신호를 제 2 트랜스퍼를 통해 출력하는 제 3 게이트;
    PC 본체와 연결된 신호 케이블이 빠졌을 경우 상기 전원접지의 오픈을 감지하여 그에 대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트랜스퍼; 및
    상기 제 1 트랜스퍼 접지단자의 오픈을 감지한 신호가 입력되거나 또는 상기 제2트랜스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교류신호일 경우 중 어느 한 경우에 제 3스위칭부를 구동하기 위한 하이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는 제4 게이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제어회로.
KR1019980024206A 1998-06-25 1998-06-25 디스플레이장치의전원제어회로 KR100306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4206A KR100306643B1 (ko) 1998-06-25 1998-06-25 디스플레이장치의전원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4206A KR100306643B1 (ko) 1998-06-25 1998-06-25 디스플레이장치의전원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3101A KR20000003101A (ko) 2000-01-15
KR100306643B1 true KR100306643B1 (ko) 2001-11-30

Family

ID=19540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4206A KR100306643B1 (ko) 1998-06-25 1998-06-25 디스플레이장치의전원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66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9216A (ko) * 2002-08-27 2004-03-05 이미지퀘스트(주) 디스플레이 전원 장치
KR100509479B1 (ko) * 2002-10-31 2005-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Pc 전원 인식을 통한 모니터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509480B1 (ko) * 2002-11-05 2005-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222754B1 (ko) * 2006-01-17 2013-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런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3101A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1529B1 (ko)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 디바이스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공급 제어 회로
US8421277B2 (en) Switched mode power supply for an electronic device with auxiliary power for powering an evaluation unit during an energy-saving state
KR950005216B1 (ko) 컴퓨터 주변장치의 전원절약장치
US7050049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5870086A (en) Power sav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thereof
US629760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aving electric power in a display system
US5616988A (en) High energy-saving circuit for a display apparatus
US6115033A (en) Video display device and a power saving method therefor
JP3471683B2 (ja) モニタの節電回路及び節電方法
US20060139966A1 (en) TFT display with low loss construction of power supply
KR100306643B1 (ko) 디스플레이장치의전원제어회로
US7095633B2 (en) Power supply system of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90127682A (ko) 구동 전압 발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1773489B1 (ko)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9980015197A (ko) 모니터의 자동전원 제어회로(Automatic power control circuit for use with a monitor)
JP2004343708A (ja) マイクロプロセッサと減磁回路と通常モード及び低電力モードを有するスイッチモード電源とを包含する装置及び表示ユニット
KR100271277B1 (ko)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절전장치
KR100710259B1 (ko) 영상기기의 전원 관리 방법 및 그 영상기기
KR100248289B1 (ko) 초절전형 모니터의 전원회로
KR100208990B1 (ko) 절전형 모니터의 순간 제어 장치
US8144265B2 (en) Liquid crystal television receiv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9980036001A (ko) Crt편향신호제어장치
KR100279150B1 (ko) Dpm모드시전력절감장치
JPH099174A (ja) スイッチング型の電源装置
KR100208993B1 (ko) 절전형 모니터의 순간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