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6159B1 -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 제어기에서 비동기전송모드 전송구간의영구가상접속 설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 제어기에서 비동기전송모드 전송구간의영구가상접속 설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6159B1
KR100306159B1 KR1019990026664A KR19990026664A KR100306159B1 KR 100306159 B1 KR100306159 B1 KR 100306159B1 KR 1019990026664 A KR1019990026664 A KR 1019990026664A KR 19990026664 A KR19990026664 A KR 19990026664A KR 100306159 B1 KR100306159 B1 KR 100306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permanent virtual
cell
setting
boar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6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8718A (ko
Inventor
이계원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26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6159B1/ko
Publication of KR20010008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8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6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61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2Access point controll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03Access techniques
    • H04L2012/5604Medium of transmission, e.g. fibre, cable, radio
    • H04L2012/5607Radi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14User Network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29Admission control
    • H04L2012/5631Resource management and allocation
    • H04L2012/5632Bandwidth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38Services, e.g. multimedia, GOS, QOS
    • H04L2012/5646Cell characteristics, e.g. loss, delay, jitter, sequence integrity
    • H04L2012/5652Cell construction, e.g. including header, packetisation, depacketisation, assembly, reassembly
    • H04L2012/5653Cell construction, e.g. including header, packetisation, depacketisation, assembly, reassembly using the ATM adaptation layer [A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 제어기에서 비동기전송모드 전송구간의 영구가상접속 설정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 제어기를 이루는 보드들을 부팅할 때 보드 사이의 프로세서간 통신 채널을 설정하기 위하여 초기 정보들을 영구가상접속 매니저에게 알리는 프로세서간 통신 접속 설정부와, 비동기전송모드 스위치 패브릭 내에서 비동기전송모드 셀의 라우팅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는 테이블을 구동하기 위한 라우팅 테이블 드라이버와, 접속 테이블의 접속 아이디별로 접속을 관리하며 프로세서간 통신 접속을 설정하고자 하는 입출력 보드들 사이의 경로를 설정한 후, 관련 기능들을 상기 라우팅 테이블 드라이버에 통보하는 접속 처리부와, 운용자가 입력한 영구가상접속 관련 명령어를 분석하여 프로세서간 통신 메시지로 만든 후 영구가상접속 매니져에게 이를 알리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와, 영구가상접속 메니저가 시스템 프로세서간 통신 접속을 설정하거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접속 설정/해제를 할 때 상기 접속처리부를 통하여 채널별 트래픽 변수값을 받고 이를 세팅하는 AAL5/UPC구동부와, 영구가상접속 채널을 만들고 관리하고 해제하는데 관련되는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는 영구가상접속 메니저와, 루트 태스크에 의해 생성되며, 영구가상접속 관련 태스크를 생성시키며 영구가상접속 관련 변수를 초기화하는 영구가상접속 초기화부와, 영구가상접속 설정시 상기 접속처리부로 접속 테이블에 글로벌 접속 인식자를 할당하고 해당 트래픽 변수에 따라 접속 설정 과정을 가질 것을 명령하는 영구가상접속 메니저와, 기지국제어기의 전송구간의 발신측과 착신측 사이의 각 보드와 보드를 연결하는 영구가상접속 상태를 관리하는 자원관리부와, 스위치 입출력 보드의 라우팅 요구에 따라서 접속 마다 셀 스위치 구조 내의 라우트를 결정하는 블록으로서 스위치를 통하여 프로세서간 통신 접속을 설정하고자 하는 입출력 보드 사이의 경로를 설정하는 셀 라우트 서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 제어기에서 비동기전송모드 전송구간의 영구가상접속 설정 장치 및 방법{PERMANENT VIRTUAL CONNECTION ESTABLISH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BASE STATION CONTROLLER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기지국(Base station Transceiver System: 이하 BTS라 함.)과 교환국(Mobile Switching Center: 이하 MSC라 함.) 사이에 위치하는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 : 이하 BSC라 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동기전송모드(Asynchronous Transfer Mode: 이하 ATM이라 함.) 전송구간의 영구가상접속(Permanent Virtual Connection: 이하 PVC라 함.) 접속 설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BSC는 이동단말기의 위치 등록 서비스 액세스(access), 호(call) 및 실시간 통화(real time traffic) 처리, 핸드오프(handoff) 처리, 교환기 정합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PCS나 셀룰러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률은 9.6∼14.4Kbps 정도에 불과하므로 영상을 포함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나 고속 데이터 서비스의 제공이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PCS나 셀룰러 시스템은 많은 제한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로 말미암아 현재 구축되고 있는 PCS 시스템과 구분되는 차세대 이동통신 서비스의 개념이 등장하게 되었다. ATM 기술 기반하에 차세대 이동통신망 서비스를 전송하는 IMT-2000 ATM 기술의 장점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차세대 이동 통신망 서비스에 대해 대역 할당과 서비스 유형에 따른 트래픽 선택에 있어 유연성 제공이 가능하며 버스트 데이터 및 멀티미디어 트래픽에 효율적으로 다중화시킬 수 있다.
IMT-2000 시스템이 기존의 서비스와 차별화됨에 있어서 가장 주목받는 것이 고속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와 멀티미디어 서비스이다. 특히 고속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는 무선 인터넷, 파일 전송, 전자우편(e-mail) 등의 서비스로 대표되는 데이터 서비스를 다수의 이용자가 제한된 무선 채널을 이용하여 고속으로 받기 위하여 필수적이다. IMT-2000 BSC 시스템에서 ATM의 사용은 고속의 데이터 전송, 높은 대역폭의 지원으로 기존의 셀룰러나 이동통신망이 지원하는 음성 위주의 서비스 뿐만 아니라 데이터나 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정보의 전송도 가능하게 한다. ATM기술을 BSC시스템에 사용하므로써 대역할당과 서비스 유형에 따른 트래픽 선택에 있어서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QOS)를 갖는 ATM 접속을 설정할 수 있으며, BSC시스템의 기본 구조는는 ATM스위치를 이용함으로써 빠르게 셀 내부로 스위칭(inter-cell switching)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 제어기에서 비동기전송모드 영구가상접속 설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IMT-2000에 적용 가능한 제3세대 CDMA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IMT-2000 시스템에서 BSC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ATM 가입자 보드의 ATM 접속 부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ATM PVC를 설정 및 해제하는 데 필요한 PVC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접속 테이블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점대점 PVC 설정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점대다 PVC 설정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는 많은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IMT-2000에 적용 가능한 제3세대 CDMA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BSC(410)는 MSC(100)와 BTS(500) 사이에서 호 처리 및 자원 관리를 담당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BSC(410)는 보코더, 호 제어 모듈, 핸드오프/선택 처리 모듈, SS.7 인터페이스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BSC(410)는 자체 ATM스위치(405)를 통하여 BTS(500)와 다른 BSC를 서로 연결시키는 용도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BSC(410)는 BSC시스템 내부의 여러 처리기들을 상호 연결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BSM(Base Station Manager)(300)은 GAN(Global ATM Network)(200)과, 상기 GAN(200)에 직접 연결된 BSC들, BTS들 그리고 망을 관리하는 망관리국(Network Management Station: 이하 NMS라 함.)이다.
BTS(500)는 CDMA 무선(air)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이동단말기를 접속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BTS(500)는 안테나, RF, IF, GPS, 채널 카드 요소들(channel card element) 등으로 구성된다.
GAN(200)은 12개의 BSC 상호간의 데이터 전송시 이를 연결하는 상위 ATM 스위치로 이루어져 있고, BSC 사이의 소프트-핸드오프 경로(path)와 BSM의 관리 (management) 경로를 제공한다.
도 2는 IMT-2000 시스템에서 BSC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ATP, BMP, TCB 등의 블록은 BSC가 하나의 ATM 스위치라 보면 가입자보드로 동작한다.
도 3은 ATM 가입자 보드의 ATM 접속 부분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PM(Physical Media) 부계층(sublayer)은 각 프로세서 엘리먼트(element)에서 필요한 입출력 데이터의 양에 따라 다르다. BTS와 BCS의 E1ATM 사이(ⓓ구간)에는 2Mbps, GAN과 STM1ATM 사이(ⓑ구간)와 GAN과 BSM(ⓐ구간)에는 155Mbps의 속도를 갖갖는 물리적인 접속들이 가능하며 전송에 사용되는 물리매체 그 자체에 관한 기능으로 이를테면 광섬유, 발광소자, 광커넥터에 관련된 기능을 수행한다.
TC(Transmission Convergence)는 전송 프레임을 구성하여 셀을 삽입하거나 추출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도 2의 E1-ATM보드와 STM1ATM 보드에 구현된다.
ATM과 AAL(ATM Adaptation Layer) 계층 기능들은 모든 가입자 보드와 BTS에 구현되어야 하는데 ATM 계층은 HEC를 제외한 ATM 셀 헤더(cell header)의 모든 구간에 관련된 처리 기능을 가지며, VPI/VCI와 관련된 ATM 연결제어, 기타 PT와 CLP에 관련된 처리 기능을 수행한다.
AAL 계층은 ATM 계층과 고위 사용자 서비스 계층의 중간 계층으로서, 주된 기능은 ATM계층이 제공하는 서비스와 사용자가 요구하는 서비스의 차이를 해소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AAL은 사용자 서비스 정보와 ATM 셀 포멧을 정합시키고, 전송 오류의 처리, 손실 또는 삽입된 셀의 처리, 오류 셀의 처리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AAL계층은 상위 계층의 서비스 정보를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으로 만들어주거나 그 역의 기능을 수행하는 CS(Convergence Sublayer) 부분과,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절단하여 ATM셀의 사용자 구간을 형성하거나 그 역의 기능을 수행하는SAR(Segmentation And Reassembly)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BSC 시스템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트래픽은 ATM IPC 채널을 사용하여 전달하는데, 도 2를 참조하면 BTS와 BSC의 E1ATM 사이(ⓓ구간)와 GAN과 STM1ATM 사이(ⓑ구간)에는 가상(virtual) 채널이 설정되어야 사용자 트래픽 및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가상채널은 SVC(Switched Virtual Channel) PVC(Permanent Virtual Channel)로 구별된다. 상기 SVC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접속을 설정 혹은 해제할 수 있으므로 전송대역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반면 두 노드상의 채널 설정시간이 다소 걸리는 단점이 있다. 상기 PVC는 사용자 요구에 따라 장시간 및 영구적으로 채널을 한번 설정하여 이를 사용하므로 접속 연결, 해제 설정시간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전송대역을 고정시키므로 원할한 채널 관리가 어렵다. 그러므로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채널 설정 시간이 10∼15msec 이내에 이루어져야만 정상적인 사용자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나 도 2의 BTS와 BSC의 E1ATM 사이(ⓓ구간)과 GAN과 STM1ATM 사이(ⓑ구간)를 SVC 처리하면 설정시간이 이를 초과하며 많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ATM을 사용하는 전송구간에서는 PVC를 IPC채널로 설정하여 사용자 트래픽 및 제어정보를 전달하기로 하며, ATM 스위치 구조(fabric)와 각 입출력 보드의 도 2의 ⓒ구간도 내부 IPC를 사용한다. 가입자 보드는 시스템 구동시 ATM, AAL 관련 기능을 초기화한 후이며, 이미 결정된 IPC 채널 절차에 따라 보드들 사이의 PVC를 결정한다.
도 4는 ATM PVC를 설정 및 해제하는 데 필요한 PVC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IPC 접속 형성(IPC connection configuration) 기능은 BSC 시스템을 구성하는 보드들을 부팅(booting)할 때 보드 사이의 IPC 채널을 설정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초기 정보를 PVC 매니저에게 알린다.
- PVC 형태: 점 대 점(point to point) 혹은 점 대 다중점(point to multipoint)
- 소스 사용자 정보: 스위치 포트(port) 번호, VPI/VCI 번호
- 목적지 사용자 정보: 스위치 포트 번호, VPI/VCI 번호
- 소스 대 목적지(source to destination) 트래픽 파라미터
: 트래픽 설정 요구 대역폭, QOS 형태 정보
- 목적지 대 소스 트래픽 파라미터
: 트래픽 설정 요구 대역폭, QOS 형태 정보
- 스위치 패브릭내의 접속 경로에 대한 태그(tag)값
- 멀티캐스팅(multicasting) 설정시 멀티캐스트 그룹값, 입력 VP/VC값, 멀티캐스트 그룹에 추가되는 VP/VC 리스트
라우팅 테이블 드라이버는 ATM 스위치 패브릭 내에서 ATM 셀의 라우팅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는 테이블을 갖고 있는데, 접속 처리부(connection processor)는 셀 라우트 서버부를 통하여 IPC 접속을 설정하고자 하는 입출력 보드들(BMP, ATP, MMX 등) 사이의 경로를 설정한 후 다음과 같은 기능을 라우팅 테이블 드라이버에통보한다.
- 서비스 클래스별로 우선 순위를 나누어 이를 처리한다.
- 스위치 패브릭 내의 접속 경로에 대한 태그값
- 주어진 목적지 포트에 해당되는 셀 MUX 태그값
- 설정된 VP/VC별 입력 및 출력 VP/VC값
- 멀티캐스팅 설정시 멀티캐스트 그룹값, 입력 VP/VC값, 멀티캐스트 그룹에 추가되는 VP/VC
- 멀티캐스트 접속 해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운용자가 입력한 PVC관련 명령어를 분석하여 IPC메시지로 구성한 후 PVC매니져에게 이를 알리는 역할을 한다. IPC 메시지를 전송하는 운용자 입력 명령어 처리를 수행하고, 입력한 명령어에 대한 출력 메시지 및 시스템 출력 메시지를 운용자 콘솔(console)에 출력되도록 하는 처리를 수행하는 블록으로 PVC 접속을 설정하는 각 보드에 실장된다. 다음과 같이 PVC 관련 명령어에 대하여 ATM 관련 드라이버 및 운영부(management part)에 알려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린다.
- 보드별 PVC 접속 설정 상태
- PVC PTP 접속 설정/해제
- PVC 접속 테스트
- PVC 접속 정보
- PVC 접속 우선순위
AAL5/UPC(Usage Parameter Control)구동부는 PVC메니저가 시스템 IPC 접속을 설정하거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접속 설정/해제를 할 때 접속처리부를 통하여 채널별 트래픽 변(수(traffic parameter)값을 받고 이를 세팅한다.
PVC메니저는 PVC채널을 만들고 관리하고 해제하는데 관련되는 일련의 과정을 수행한다. PVC초기화부는 루트 태스크(root task)에 의해 생성되며, PVC메니저, 접접속처리부 등 PVC 관련 태스크를 생성시키며 PVC 관련 변수를 초기화한다. 또한 IPC 접속 배치(configuration)부의 정보를 이용하여 BSC의 각 보드의 PVC IPC 접속 설정 과정을 수행한다.
접속처리부는 VP/VC 접속 레벨에서 PVC채널의 설정/해제를 담당한다. PVC 메니저부는 PVC접속 설정시 상기 접속처리부로 접속 테이블에 '글로벌 접속 인식자' (global connection identifier)를 할당하고 해당 트래픽 변수에 따라 접속 설정 과정을 가질 것을 명령한다. 상기 접속처리부는 접속 테이블의 접속 ID별로 접속을 관리하며 PTMP 접속일 경우에는 멀티캐스트 그룹 ID를 접속 추가 및 삭제를 한다, 또한 AAL5, UPC구동부에서 접속 관련 설정값을 보내며 셀 라우트 서버부와는 해당 접속의 셀 라우트 경로를 찾아서 이를 RT 구동부에 알린다. 도 5는 상기 접속 테이블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자원 관리(resource management)부는 BSC의 전송 구간의 발신측과 착신측 사이의 각 보드와 보드를 연결하는 PVC접속의 상태를 관리한다. 각 접속마다 채널 요소(element)별로 현재 점유 대역, 유효 대역 관리를 한다. 이동 호 설정을 요구하는 과정에서 BSC가 접속 요구를 수용할 것인지, 거절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일련의 과정을 자원 관리부가 VP/VC별로 관리하는 자원관리 테이블을 참조하여 처리하며 이는 ATP의 효율적인 트래픽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셀 라우트 서버(cell route server)는 스위치 입출력 보드의 라우팅 요구에 따라서 접속 마다 셀 스위치 구조(fabric) 내의 라우트를 결정하는 블록으로서 스위치를 통하여 IPC접속을 설정하고자하는 도 2의 입출력 보드 사이의(BMP, ATP, MMX 등) 경로를 설정한다.
점대점(point-to-point) 연결일 경우 셀 라우트 서버는 쉽게 스위치 구조의 라우팅 경로를 찾을 수 있는 반면에 점대다(point-to-multipoint: multicast) 연결일 경우 셀 라우트 서버는 복잡한 스위칭 알고리즘을 통하여 이의 경로를 얻으며, 멀티캐스트 셀을 스위치 구조 안에서 포워드(forward) 혹은 레플러케이트 (replicate)할 경우에는 멀티캐스팅 그룹을 지정한 후 이를 스위치 88 칩에 기록하여야 한다.
도 6은 점대점 PVC 설정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 이다.
6a단계에서 PVC관리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서 운용자가 입력한 PVC 설정 명령어를 분석하여 PVC에 관련된 변수를 접속처리부로 전달한다.
6b단계에서 접속처리부는 설정하고자 하는 VP/VC 번호의 수용 가능 여부를자원 운영부를 통해서 확인한다. 만약 불가능하면 이를 6j단계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알린다.
6c단계에서 접속처리부는 설정하고자 하는 새로운 접속 인식자를 받아 접속 테이블에 해당 ATM셀을 송/수신할 ATM관련 구동부와 스위치 구조의 라우트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변수를 설정한다.
6d단계에서 접속처리부는 우선 상위 데이터를 ATM셀로 분해/조립하기 위하여 AAL구동부를 초기화하여야 하며 이미 설정되어 있는 다른 접속의 QOS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을 탐지하고 제거할 수 있는 UPC구동부에 해당 VP/VC 그리고 PCR/SCR, 우선순위(priority) 등의 값을 설정한다.
6e단계에서 접속처리부는 ATM 스위치 구조를 통하여 ATM 셀이 라우트 될 수 있도록 셀 라우트 서버에게 해당 VP/VC의 경로를 설정해줄 것을 요청한다.
6f단계에서 스위치 셀 라우트 서버는 스위치 구조의 노드간 링크의 현재 점유 대역, 유효 대역 관리를 하고 있는 셀 라우트 데이터 베이스를 통하여 가장 효율적인 라우트 태그 값을 받아 이를 접속처리부에게 보낸다. 만약 유효한 라우트 경로가 없으면 6j단계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이를 알린다.
6g단계에서 접속처리부는 라우트 태그값과 함께 출력 VP/VC값도 함께 RT구동부에 보내 VP/VC 스위칭이 가능하게 한다. 접속 설정이 완료되면 6h단계에서 PVC관리부는 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알린다. PVC관리부는 접속 설정 완료를 IPC 메시지를 통하여 데이터 전송을 요구한 태스크에 알려 데이터 송수신을 시작하게 한다.
도 7은 점대다 PVC 설정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 이다.
7a단계에서 PVC관리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서 운용자가 입력한 PVC 설정 명령어를 분석하여 PTMP PVC에 관련된 변수를 접속처리부로 전달한다.
7b단계에서 접속처리부는 설정하고자 하는 VP/VC 번호의 수용 가능 여부를 자원 운영부를 통해서 확인한다. 만약 불가능하면 이를 7m단계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알린다.
7c단계에서 접속처리부는 설정 요구 접속이 존재하는 PTMP접속에 추가하는 것인지 새로운 접속인지 구분하여야 한다. 추가 연결일 경우에는 이미 지정된 멀티캐스트 그룹 번호를 얻어 후술하는 7g단계를 수행한다.
7d단계에서 접속처리부는 새로운 PTMP 접속에 대하여 멀티캐스트 그룹 테이블을 참조하여 멀티캐스트 ID를 할당한다.
7e단계에서 접속처리부는 새로운 접속 인식자를 받아 접속 테이블에 해당 ATM셀을 송/수신할 ATM 관련 구동부와 스위치 구조의 라우트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변수를 설정한다. 접속 테이블은 새로운 접속이 PTP인지 PTMP인지 PTP/PTMP 항목을 통하여 구분 가능하다.
7f단계에서 접속처리부는 PTP 접속과 마찬가지로 해당 ATM 셀을 송/수신할 ATM 관련 구동부와 스위치 구조의 라우트 경로를 설정하는데 PTMP 접속이기 때문에 단방향에 대한 경로값을 설정한다.
7g단계에서 접속처리부는 ATM 스위치 구조를 통하여 ATM 셀이 멀티 포트로 효율적으로 라우트되며, 셀이 복제될 수 있도록 셀 라우트 서버에게 효율적인 트리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경로를 설정해줄 것을 요청한다.
7h단계에서 스위치 셀 라우트 서버는 스위치 구조의 노드간 링크의 현재 점유 대역, 유효 대역 관리를 하고 있는 셀 라우트 데이터 베이스를 통하여 가장 효율적인 라우트 태그 값을 받아 이를 접속처리부에게 보낸다. 만약 유효한 라우트 경로가 없으면 7m단계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이를 알린다.
7i단계에서 스위치 셀 라우트 서버는 각각의 단위 스위치 요소(element)의 멀티캐스트 그룹 테이블에 있는 멀티캐스트 번호에 목적지 포트의 값을 설정한다.
7j단계에서 접속처리부는 멀티캐스트 그룹값, 입력 VP/VC값, 멀티캐스팅 그룹에 추가되는 VP/VC 리스트 값도 함께 RT 테이블에 보내 ATM 셀이 상기 RT 테이블에서 복제할 수 있게 한다.
7k단계에서 PTMP 접속 설정이 완료되면 PVC관리부는 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알린다.
7l단계에서 접속처리부는 PVC 관리부는 PTMP 접속 설정 완료를 IPC 메시지를 통하여 데이터 전송을 요구한 태스크에 알려 데이터 송/수신을 시작하게 한다.
점대다 PVC 해제시는 도 4의 PVC관리부는 운용자로부터 PTMP PVC 해제 명령어를 받고 이를 도 4의 접속처리부에 알려 해당 접속 인식자를 삭제하고 이를 도 4의 자원관리부에도 알려 자원을 복귀시킨다. 또한 도 4의 접속처리부는 AAL구동부, UPC, RT구동부에게도 해당 VP/VC 접속을 삭제할 곳을 명령하여 셀라우트 데이터베이스부에도 스위치 구조의 설정된 경로의 점유대역도 해제할 것을 요청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ATM 기반 아래에 있는 BSC가 ATM 전송구간에서 PVC를 설정함에 있어서 효율화를 꾀할 수 있다.

Claims (3)

  1.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 제어기에서 비동기전송모드 전송구간의 영구가상접속 설정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 제어기를 이루는 보드들을 부팅할 때 보드 사이의 프로세서간 통신 채널을 설정하기 위하여 초기 정보들을 영구가상접속 매니저에게 알리는 프로세서간 통신 접속 설정부와,
    비동기전송모드 스위치 패브릭 내에서 비동기전송모드 셀의 라우팅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는 테이블을 구동하기 위한 라우팅 테이블 드라이버와,
    접속 테이블의 접속 아이디별로 접속을 관리하며, 프로세서간 통신 접속을 설정하고자 하는 입출력 보드들 사이의 경로를 설정한 후, 관련 기능들을 상기 라우팅 테이블 드라이버에 통보하는 접속 처리부와,
    운용자가 입력한 영구가상접속 관련 명령어를 분석하여 프로세서간 통신 메시지로 만든 후 영구가상접속 매니져에게 이를 알리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와,
    영구가상접속 메니저가 시스템 프로세서간 통신 접속을 설정하거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접속 설정/해제를 할 때 상기 접속처리부를 통하여 채널별 트래픽 변수값을 받고 이를 세팅하는 AAL5/UPC구동부와,
    영구가상접속 채널을 만들고 관리하고 해제하는데 관련되는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는 영구가상접속 메니저와,
    루트 태스크에 의해 생성되며, 영구가상접속 관련 태스크를 생성시키며 영구가상접속 관련 변수를 초기화하는 영구가상접속 초기화부와,
    영구가상접속 설정시 상기 접속처리부로 접속 테이블에 글로벌 접속 인식자를 할당하고 해당 트래픽 변수에 따라 접속 설정 과정을 가질 것을 명령하는 영구가상접속 메니저와,
    기지국제어기의 전송구간의 발신측과 착신측 사이의 각 보드와 보드를 연결하는 영구가상접속 상태를 관리하는 자원관리부와,
    스위치 입출력 보드의 라우팅 요구에 따라서 접속 마다 셀 스위치 구조 내의 라우트를 결정하는 블록으로서 스위치를 통하여 프로세서간 통신 접속을 설정하고자 하는 입출력 보드 사이의 경로를 설정하는 셀 라우트 서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 제어기에서 비동기전송모드 전송구간의 점대점 영구가상접속 설정 방법에 있어서,
    운용자가 입력한 영구가상접속 설정 명령어를 분석하는 제1과정과,
    설정하고자 하는 가상경로/가상채널 번호의 수용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제2과정과,
    새로운 접속 인식자를 받아 접속 테이블에 해당 비동기통신모드 셀을 송/수신할 구동부와 스위치 구조의 라우트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변수를 설정하는제3과정과,
    상위 데이터를 비동기전송모드 셀로 분해/조립하기 위하여 비동기통신모드 적응층 구동부를 초기화하고, 이미 설정된 다른 접속의 서비스 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을 탐지하고 제거하는 데 필요한 값들을 사용량 파라미터 제어 구동부에 설정하는 제4과정과,
    셀 라우트 서버에게 라우트 경로 설정을 요청하는 제5과정과,
    셀 라우트 서버가 유효한 라우트 경로를 설정하면 멀티캐스트 그룹 테이블의 목적지 포트값을 설정하고, 가상 경로 접속 설정 완료를 데이터 전송을 요구한 태스크에 알려 데이터 송/수신을 시작하게 하는 제6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 제어기에서 비동기전송모드 전송구간의 점대다 영구가상접속 설정 방법에 있어서,
    운용자가 입력한 영구가상접속 설정 명령어를 분석하는 제1과정과,
    설정하고자 하는 가상경로/가상채널 번호의 수용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제2과정과,
    설정 요구된 접속이 이미 존재하는 점대다 접속에 추가하는 것인지 새로운 접속인지 확인하여, 새로운 점대다 접속이면 멀티캐스트 그룹 테이블을 참조하여 멀티캐스트 아이디를 할당하는 제3과정과,
    새로운 접속 인식자를 받아 접속 테이블에 해당 비동기통신모드 셀을 송/수신할 구동부와 스위치 구조의 라우트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변수를 설정하는 제4과정과,
    상위 데이터를 비동기전송모드 셀로 분해/조립하기 위하여 비동기통신모드 적응층 구동부를 초기화하고, 이미 설정된 다른 접속의 서비스 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을 탐지하고 제거하는 데 필요한 값들을 사용량 파라미터 제어 구동부에 설정하는 제5과정과,
    상기 제3과정에서 추가 접속이면 이미 지정된 멀티캐스트 그룹 번호를 얻은 다음 혹은 상기 제5과정 수행후 셀 라우트 서버에게 라우트 경로 설정을 요청하는 제6과정과,
    셀 라우트 서버가 유효한 라우트 경로를 설정하면 멀티캐스트 그룹 테이블의 목적지 포트값을 설정하고, 가상 경로 접속 설정 완료를 데이터 전송을 요구한 태스크에 알려 데이터 송/수신을 시작하게 하는 제7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90026664A 1999-07-02 1999-07-02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 제어기에서 비동기전송모드 전송구간의영구가상접속 설정 장치 및 방법 KR100306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6664A KR100306159B1 (ko) 1999-07-02 1999-07-02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 제어기에서 비동기전송모드 전송구간의영구가상접속 설정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6664A KR100306159B1 (ko) 1999-07-02 1999-07-02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 제어기에서 비동기전송모드 전송구간의영구가상접속 설정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8718A KR20010008718A (ko) 2001-02-05
KR100306159B1 true KR100306159B1 (ko) 2001-11-01

Family

ID=19599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6664A KR100306159B1 (ko) 1999-07-02 1999-07-02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 제어기에서 비동기전송모드 전송구간의영구가상접속 설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615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5918B1 (ko) * 2001-02-22 2003-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동기전송모드 사설 망 노드 인터페이스의 관리 인터넷프로토콜 시스템
KR100456975B1 (ko) * 2001-11-15 2004-1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이티엠 망에서 피브이씨 연결을 위한 자원 할당 시스템 및 방법
KR100464024B1 (ko) * 2001-11-28 2005-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망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93054C (zh) * 2002-08-21 2008-06-0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弹性永久虚连接的系统和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5918B1 (ko) * 2001-02-22 2003-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동기전송모드 사설 망 노드 인터페이스의 관리 인터넷프로토콜 시스템
KR100456975B1 (ko) * 2001-11-15 2004-1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이티엠 망에서 피브이씨 연결을 위한 자원 할당 시스템 및 방법
KR100464024B1 (ko) * 2001-11-28 2005-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망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8718A (ko) 2001-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61516A2 (en) Plural communication connection setting method
Cheng et al. PCS mobility support over fixed ATM networks
JP3382224B2 (ja) ワイヤレステレコミュニケーション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接続の確立
US6577607B1 (en) Network structure for realizing part of a wireless ATM system and method for executing inter-switch handover in said network structure
US6643279B1 (en) Handoff control for point to multipoint connections in mobile ATM networks
CN1820471B (zh) 用于通信网络的自适应连接高速缓存
KR100306159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 제어기에서 비동기전송모드 전송구간의영구가상접속 설정 장치 및 방법
US7554906B2 (en) Method for managing connection resources
US748024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calable call-processing system
EP1421489B1 (en) Distribution of connection handling in a processor cluster
JP3394430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交換機
US6480492B1 (en) Establishing internal control paths in ATM node
KR100249503B1 (ko) 비동기전송모드 망에서의 멀티캐스트 연결 방법
KR100296032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에이-티-엠 점 대 다중점 연결 방법
KR100275506B1 (ko) 비동기전달모드 교환시스템에서 레이블 스위칭경로 설정을 위한 제어 메시지 처리 방법
US738335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 SPVC destination endpoint address change
KR100243671B1 (ko) 비동기 전달 모드 교환 시스템의 전용선 가상 연결 서비스 방법
KR100198095B1 (ko) 발신측 사용자-망 접속면에서 사용자-사용자 교환 가상 경로 연결의 제공방법
KR100265075B1 (ko) 논리적 백본 링크 구성 방법
US6888827B1 (en) Communications system with special channel
KR100262944B1 (ko) 망-망접면에서입중계호제어절차를이용한가상통로의제공방법
Kadelka et al. B-ISDN interconnection of a WATM demonstrator
KR100265856B1 (ko) 망-망접면에서출중계호제어절차를이용한가상통로의제공방법
KR100275503B1 (ko) 비동기전달모드 교환시스템에서 레이블 스위칭경로 해제를 위한 제어 메시지 처리 방법
KR19980049366A (ko) 출중계 중계선에서 사용자-사용자 교환 가상 경로 연결의 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