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6132B1 - 단자 블록 - Google Patents

단자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6132B1
KR100306132B1 KR1019990009702A KR19990009702A KR100306132B1 KR 100306132 B1 KR100306132 B1 KR 100306132B1 KR 1019990009702 A KR1019990009702 A KR 1019990009702A KR 19990009702 A KR19990009702 A KR 19990009702A KR 100306132 B1 KR100306132 B1 KR 100306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holders
wire
input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9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2600A (ko
Inventor
오준환
Original Assignee
오준환
주식회사 금광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80039097A external-priority patent/KR19990007526A/ko
Application filed by 오준환, 주식회사 금광통신 filed Critical 오준환
Priority to KR1019990009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6132B1/ko
Publication of KR20000022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2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6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61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16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wires or cables connected to terminal b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465Identification means, e.g. labels, tags, mark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2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being plates having a single slot
    • H01R4/2425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 H01R4/2429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mounted in an insulating base
    • H01R4/2433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mounted in an insulating base one part of the base being movable to push the cable into the slot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자 블록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건물의 단자함에 설치되어 간선의 연결 및 간선과 가입자 선로를 연결하는 단자 블록에 관한 것으로, 단자 블록은 전선이 접지부의 홈에 끼워지면 외피가 벗겨지면서 전선의 심선이 접속되는 단자핀들을 갖는 단자 블록에 있어서: 동일한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입력/출력 접지부를 갖는 단자핀과; 내부 공간을 갖고 단자핀들이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단자핀의 입력/출력 접지부에 대응되는 부분에 장착홀들이 형성되는 몸체와; 각각의 장착홀에 설치되는 그리고 상하로 직선 이동되면서 전선을 상기 입력/출력 접지부에/로부터 접속/분리시키기 위한 다수의 홀더들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단자 블록{A TERMINAL BLOCK}
본 발명은 단자 블록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건물의 단자함에 설치되어 간선의 연결 및 간선과 가입자 선로를 연결하는 단자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화 단자 블록은 빌딩, 아파트 등의 건물 단자함에 설치된다. 이 단자 블록은 다수의 국선과 내선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 단자 블록에는 전선의 피복 제거 작업의 불편함을 개선한 단자핀이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2)의 상면에는 다수의 홀더(110)가 설치된다. 이 홀더(110)에는 다수의 단자핀들(120)이 설치된다. 상기 홀더(110)의 상단에는 상기 단자핀들(120)과 대응되는 부분에 홈(112)들이 형성된다. 전선(130)은 상기 홈(112)을 통해 상기 단자핀(120)의 접지홈(122)에 끼워진다. 상기 단자핀의 접지홈(122)에는 한쌍의 경사날면(124)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전선(130)이 끼워질 때, 전선의 피복이 상기 경사날면(124)에 의해 벗겨지게 된다. 즉, 전선(130)을 상기 접지홈(122)에 끼워 넣으면, 피복이 자동으로 벗겨지면서 전선(130)의 심선이 상기 단자핀(120)에 접속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단자 블록(100)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안고 있다.
종래에는 상기 전선(130)을 상기 홀더(110)의 홈(112)상에 올려놓은 후, 일자 드라이버(140) 등과 같은 끝이 날카로운 공구를 사용하여 상기 전선(130)을 상기 접지홈(122)에 억지로 밀어 넣어 접속시키는 방법이 사용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작업을 위해 공구를 소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공구 사용으로 인하여, 상기 홀더(110)의 상단부분이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한편, 단자핀(120)에서 상기 전선(130)을 분리시킬 때에는, 작업자가 전선을 직접 손으로잡아당겨 분리시켜야 하기 때문에, 그 작업이 매우 불편하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전선(130)을 상기 단자핀(120)의 접지홈(122)에 끼우거나 또는 상기 접지홈(122)에서 상기 전선(130)을 분리시키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했다. 그리고, 종래 단자블록에서는 회선들을 구분할 수 있는 구조가 없기 때문에 배선 작업시 작업자가 전선의 플러스측과 마이너스 측 선을 바꾸어서 단자 블록에 연결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경우 전화 통화는 가능하지만 데이터 송/수신이나 ISDN이 되지 않는 문제가 유발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전선을 상기 단자핀에 끼울 수 있는 그리고, 상기 단자핀에서 상기 전선을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그리고, 하나의 입력회선에 다수의 출력 회선을 연결할 수 있는 그리고 배선 작업이 용이한 새로운 형태의 단자 블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단자 블록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단자 블록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단자 블록의 홀더와 단자핀을 확대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단자 블록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단자 블록의 내부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단자 블록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단자 블록의 단자핀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단자핀이 사용되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단자 블록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단자 블록의 분리 사시도;
도 10a 및 도 10b는 도 9에 도시된 단자 블록의 단면도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단자 블록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및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단자 블록의 배선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단자 블록의 배선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a, 10b, 10c, 10d, 10e, 10f: 단자 블록
12 : 몸체 14 : 내부 공간
16 : 장착홀 18 : 고정홈
20, 20' : 단자핀 22, 22' : 지지부
24a, 24a' : 입력 접지부 24b, 24b' : 출력 접지부
26 : 홈 30 : 홀더
32 : 끼움홈 34 : 관통공
35 : 제 2 관통공 36 : 플랜지
38 : 손잡이턱 40 : 커버
60 : 격판 80 : 전선
80a : 입력측 전선 80b : 출력측 전선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단자 블록은 전선이 접지부의 홈에 끼워지면 외피가 벗겨지면서 전선의 심선이 접속되는 단자핀들을 갖는 단자 블록에 있어서: 동일한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입력/출력 접지부를 갖는 단자핀과; 내부 공간을 갖고 상기 단자핀들이 상기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단자핀의 입력/출력 접지부에 대응되는 부분에 장착홀들이 형성되는 몸체와; 각각의 상기 장착홀에 설치되는 그리고 상하로 직선 이동되면서 상기 전선을 상기 입력/출력 접지부에/로부터 접속/분리시키기 위한 다수의 홀더들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홀더는 일단에 상기 단자핀의 접지부가 끼워지는 끼움홈과; 상기 전선이 삽입되는 그리고 상기 전선이 상기 끼움홈에 끼워진 접지부의 홈위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끼움홈을 가로질러 형성되는 관통공과; 상기 홀더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장착홀에 장착된 홀더가 위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플랜지와; 상기 홀더의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홀더를 위로 올릴 때 사용되는 손잡이턱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단자핀은 양단을 갖는 지지부과; 상기 지지부의 일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국선이 끼워져 접속되는 홈이 형성된 입력 접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타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적어도 두개의 내선들이 각각 끼워져 접속되는 홈들이 형성된 출력 접지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홀더는 상기 관통공의 상단에 제 2 관통공을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홀더들은 각각 결속되는 전선들의 색들에 맞는 색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단자 블록은 1:1 방식의 단자핀들이 설치된 25P용 2 단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단에 설치되는 홀더들은 청색, 오렌지색, 녹색, 갈색, 회색의 순서대로 5번 반복되어 배열되며, 하단에 설치되는 홀더들은 백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단자 블록은 4개의 국선 각각에 6개의 내선들이 연결되는 1:6 방식의 단자핀들이 설치된 24P용 2단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 1 내지 제 4 국선의 플러스측 회선이 각각 결속되는 홀더들의 색은 청색, 오렌지색, 녹색, 갈색이고 마이너스측 회선이 각각 결속되는 홀더들의색은 백색이며, 상기 내선들이 결속되는 홀더들의 색은 상기 국선들이 각각 결속되는 홀더들의 색과 대응되는 색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단자 블록은 전선이 접지부의 홈에 끼워지면 외피가 벗겨지면서 전선의 심선이 접속되는 단자핀들을 갖는 단자 블록에 있어서: 동일선상에 서로 대응되는 입력/출력 접지부를 갖는 단자핀과; 일면이 개방된 내부 공간을 갖는 그리고 대응되는 면에 서로 대응되도록 장착홀들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개방된 일면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그리고 서로 대응되는 각각의 상기 장착홀에 상기 단자핀의 입력/출력 접지부가 위치되도록 상기 단자핀들이 놓여져 고정되는 플레이트와; 각각의 상기 장착홀에 설치되는 그리고 수평으로 직선 이동되면서 상기 전선을 상기 단자핀의 입력/출력 접지부에/로부터 접속/분리시키기 위한 다수의 홀더들 및;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상기 몸체의 개방된 일면을 덮는 커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면들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병기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단자 블록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단자 블록의 홀더와 단자핀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자 블록(10a)은 크게 몸체(12), 단자핀들(20), 홀더들(30) 그리고 커버(40)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2)는 내부 공간(14)과 다수의 장착홀들(16)을 갖으며, 몸체(12)의 저면은 개방되어 있다. 상기단자핀(20)은 퀵 클립 타입(quick clip type)으로 지지부(22)와, 입력 접지부(24a) 그리고 출력 접지부(24b)로 이루어진다. 상기 입/출력 접지부(24a,24b)에는 한쌍의 경사날면(26a)이 형성된 홈(26)이 형성되어 있어, 전선(80;일반적으로 UTP 케이블이 사용된다)이 상기 홈(26)에 끼워지면, 외피가 자동으로 벗겨지면서 전선(80)의 심선이 상기 입/출력 접지부(24a,24b)에 접속된다. 여기서, 입력측 전선이 접속되는 부분이 입력 접지부(24a)가 되며, 반대로 출력측 전선(내선)이 접속되는 부분이 출력 접지부(24b)가 된다. 한편, 상기 단자핀들(20)은 상기 몸체(12)의 내부 공간(14)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몸체(12)의 내부공간(14)에는 상기 단자핀들(20)의 지지부(22)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홈(18)들이 형성된다.(도 5참조) 그리고 상기 단자핀(20)의 입/출력 접지부(24a,24b)는 각각 서로 대응되는 장착홀(16)상에 위치된다. 한편, 상기 단자 블록(10a)은 스크류에 의해 단자함(미도시됨)에 고정 설치되도록, 몸체에는 나사홀(90)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홀더들(30)은 상기 장착홀들(16)상에 각각 장착되며, 외부의 조작에 의해 상하로 직선 이동되면서 전선(80)을 상기 입/출력 접지부(24a,24b)에/로부터 접속/분리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커버(40)는 상기 몸체(12)의 개방된 저면을 덮어주며, 상기 단자핀들(20)과 홀더들(30)이 상기 장착홀들(16)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도 5참조)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홀더(30)는 끼움홈(32), 관통공(34), 플랜지(36) 그리고 손잡이턱(38)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끼움홈(32)은 상기 홀더(30)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단자핀(20)의 입/출력 접지부(24a,24b)가 끼워진다. 상기 관통공(34)에는 상기 입/출력 접지부(24a,24b)에 접속시킬 전선(80)이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34)은 상기 전선(80)이 상기 끼움홈(32)에 끼워진 입/출력 접지부(24a,24b)의 홈(26)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끼움홈(32)을 가로질러 형성된다. 한편, 상기 플랜지(36)는 상기 홀더(30)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장착홀(16)에 장착된 홀더(30)가 위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턱(38)은 사용자가 홀더(30)를 손으로 잡아 위로 올릴 수 있도록 상기 홀더(30)의 상부에 형성된다. 한편, 도 4에서는 이와 같은 구성원들로 이루어진 단자 블록(10a)의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단자 블록의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2)의 양쪽 모서리 상단에 각각 형성된 장착홀들(16)에는 각각 홀더(30)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홀더들(30)의 끼움홈(32)에는 단자핀(20)의 입/출력 접지부(24a,24b)가 끼워진다. 상기 커버(40)는 상기 몸체(12)의 개방된 저면에 장착되며, 상기 홀더(30)의 하단과 단자핀(20)의 지지부(22)를 지지하게 된다.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단자 블록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먼저, 입력측 전선(80a)을 상기 관통공(34)에 끼울 수 있도록 상기 홀더(30)의 손잡이턱(38)을 잡고 위로 들어올린다. 이렇게 올려진 홀더(30)의 관통공(34)에는 입력측 전선(80a)이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홀더(30)를 위에서 누르면, 상기 홀더(30)가 아래로 내려가게 되고, 상기관통공(34)에 삽입되어 있는 입력측 전선(80a)도 같이 내려간다. 이때, 홀더(30)를 누르는 힘에 의해 상기 입력측 전선(80a)은 입력 접지부(24a)의 홈(26)에 끼워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입력측 전선(80a)은 외피가 한쌍의 경사날면(26a)에 의해 벗겨지면서 상기 입력 접지부(24a)에 간단히 접속된다.(도 6b 참조) 예컨대, 상기 단자핀(20)에 접속될 출력측 전선(80b)도 상술한 방법에 의해서 상기 출력 접지부(24b)에 간단히 접속된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그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단자핀 하나에는 입력측 전선(80a)과 출력측 전선(80b)이 상기 홀더들(30)에 의해 각각 접속되면서 연결작업이 완료된다. 그리고 상기 전선들(80a,80b)을 상기 단자핀(20)으로부터 분리시킬 때에는, 상기 홀더(30)를 위로 잡아당기면 상기 전선들(80a,80b)이 접지부(24a,24b)의 홈(26)에 간단히 빠지게 되면서 분리 작업이 완료된다.
도 7은 도 8에 도시된 단자 블록에 장착되는 단자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단자 블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단자핀(20')은 지지부(22'), 입력 접지부(24a') 그리고 출력 접지부(24b')를 갖는다. 상기 입력 접지부(24a')는 상기 지지부(22')의 일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끝단에는 하나의 입력측 전선이 접속되는 홈(26)이 형성된다. 상기 출력 접지부(24b')는 상기 지지부(22')의 타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4개의 출력측 전선들이 접속되는 4개의 홈들(28)이 형성된다. 예컨대, 상기 출력 접지부에는 5개, 6개, 7개, 8개의 홈들(28)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단자핀(20')은 하나의 입력 회선에 다수개의 출력회선들을 연결할 수 있는 멀티 접속이 가능한 구조적인 특징으로 갖는다.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단자 블록(10b)의 몸체(12')에는 상기 단자핀(20')의 입/출력 접지부(24a',24b')의 홈(26,28)들에 대응되도록 장착홀(16)이 형성된다. 즉, 상기 입력 접지부(24a')가 위치되는 몸체(12)의 우측 부분에는 하나의 장착홀이, 그리고 출력 접지부(24b')가 위치되는 몸체의 좌측 부분에는 4개의 장착홀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각 장착홀(16)에는 홀더(30)가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자핀이 2개 설치되었지만, 예컨대, 상기 단자 블록에는 필요한 만큼의 전선들을 연결할 수 있도록 적어도 4개 이상의 단자핀들이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단자 블록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도 9에 도시된 단자 블록의 단면도들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단자블록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단자 블록(10c)에는 제 1 단자핀들(20a)과 제 2 단자핀들(20b)이 몸체 내부 공간에 적층되어 설치되며, 그 사이에는 격판(60)이 설치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단자핀(20a)은 제 2 단자핀(20b)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12)는 상기 제 1 단자핀들(20a)과 제 2 단자핀들(20b)이 적층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2단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단자핀(20a)보다 작은 상기 제 2 단자핀(20b)은 상기 몸체(12)의 제 1 단(상단)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내부 공간(14)의 상부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제 2 단자핀들(20b)은 상기 내부공간(14)에 형성된 고정홈들(18)에 각각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몸체(12)의 제 1 단에는 제 2 단자핀들(20b)의 입/출력 접지부와 대응되는 부분에 장착홀들(16)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몸체(12)의 제 2 단(하단)에 해당되는 내부 공간(14)의 하부에는 상기 제 1 단자핀(20a)이 설치된다. 상기 몸체(12)의 제 2 단에는 상기 제 1 단자핀들(20a)의 입/출력 접지부와 대응되는 부분에 장착홀들(16)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 1 단자핀과 제 2 단자핀 사이에 설치되는 격판(60)은 상기 제 1 단자핀(20a)과 제 2 단자핀(20b) 상호간의 절연을 위한 것이며, 또한 상기 제 2 단자핀들(20b)과 그와 대응되는 홀더들(30)이 상기 장착홀(16)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격판(60)의 저면에는 상기 제 1 단자핀들이 위치되는 고정홈들(62)이 형성되어 있다. 예컨대, 상기 단자핀들(20a,20b)과 홀더들은 제 1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기에 본 실시예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12)의 개방된 저면에는 커버(40)가 장착된다. 상기 커버(40')는 상기 몸체의 개방된 저면을 덮어주며, 상기 제 1 단자핀들(20a)과 그와 대응되는 홀더들(30)이 상기 장착홀(16)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단자함(70)에 설치된 단자 블록(10c)에는 다수의 전선(80a,80b)들이 접속되어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단자 블록(10d)은 상단/하단 단자핀(20c,20d)들, 몸체(12a), 상단/하단 플레이트(64a,66b), 홀더(30a)들 그리고 커버(40a)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단/하단 단자핀(20c,20d)은 1:1 방식으로 입/출력 접지부(24a,24b)가 동일선상에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그 외는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단자핀(20)과 동일한 기능과 구성을 갖는다. 한편, 상기 상단/하단 단자핀(20c,20d)들은 상기 상단 플레이트(64a)와 하단 플레이트(66a)의 상면에 형성된 각각의 홈(64b,66b)들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렇게 단자핀(20c,20d)들이 장착된 상단 플레이트(64a)는 개방된 상기 몸체(12a)의 저면을 통해 몸체(12a)의 내부 공간(14a)에 설치된다. 상기 상단 단자핀(20c)의 입/출력 접지부(24a,24b)는 각각 서로 대응되는 장착홀(16a)상에 위치된다. 상기 하단 플레이트(66a)는 상기 상단 플레이트(64a)의 아래에 위치되도록 상기 몸체의 내부 공간(16a)에 설치된다. 상기 하단 단자핀(20d)의 입/출력 접지부(24a,24b)는 각각 서로 대응되는 장착홀(16a)상에 위치된다. 한편, 상기 홀더들(30a)은 상기 장착홀들(16a)에 각각 장착되며, 외부의 조작에 의해 수평으로 직선 이동되면서 전선을 상기 입/출력 접지부(24a,24b)에/로부터 접속/분리시킨다. 상기 커버(40a)는 상기 몸체(12a)의 개방된 저면을 덮어주며, 상기 하단 플레이트(66a)가 상기 내부 공간(14a)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상기 단자 블록(10d)은 스크류에 의해 단자함(미도시됨)에 고정 설치되도록, 몸체에는 나사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 4 실시예에 따른 상기 단자 블록(10d)은 전선(80)을 위에서 아래로 끼우고 홀더(30a)를 옆에서 누르는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자가 상기 홀더(30a)의 관통공(34)에 전선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단자 블록들(10a,10b,10c,10d)에는 작업자가 회선 구분을 빨리 인지하여 배선 작업을 정확하게 그리고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국제적인 케이블(예:UTP 케이블) 생산 규격에 맞추어 각각 결속되는 선들의 색들에 맞는 색을 갖는 홀더들이 설치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단자 블록의 배선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단자 블록(10e)은 1:1 방식의 단자핀들이 설치된 25P용 2단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단자 블록(10e)의 입력측에는 25P용 UTP 케이블(84)이 연결되고, 출력측에는 4P용 케이블들(82-1~6)이 연결된다. 즉, 상기 단자 블록(10e)은 25회선을 입력 받고, 그 25회선은 4회선씩 상기 4P용 케이블들을 통해 출력되는 것이다. 예컨대, 상기 25P용 UTP 케이블(84)은 청색, 오렌지색, 녹색, 갈색, 회색의 플러스측 선들과 이와 짝을 이루는 백색, 적색, 흑색, 노란색, 보라색의 마이너스측 선들을 갖으며, 이 플러스측 선들과 마이너스측 선들은 각각 서로 짝이 되는 상대방 색의 띠를 두르고 있다. 그리고 상기 4P용 케이블(82)은 청색, 오렌지색, 녹색, 갈색의 플러스측 선들과 이와 짝을 이루는 각 플러스측 색의 띠를 두른 백색의 마이너스측 선들을 갖는다.
본 발명은 작업자가 상기 케이블들의 선들을 단자 블록에 연결할 때, 플러스측과 마이너스측 그리고 회선을 혼동하지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본 실시예의 단자 블록(10e)에 설치된 홀더들은 각각 연결되는 선들의 색상에 대응되는 색상을 갖는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4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단자 블록(10e)의 입력측은 상단에 청색, 오렌지색, 녹색, 갈색, 회색의 홀더들이 그 순서대로 5번 반복되어 배열되고, 하단에는 백색, 적색, 흑색, 노란색, 보라색의 홀더들이 각각 5번씩 반복되어 배열된다. 예컨대, 상기 상단의 홀더들(30-1a~25a)에는 25P용 UTP 케이블의 플러스측 선들(84-1a~25a)이 연결되고 상기 상단 홀더들과 대응되는 하단 홀더들(30-1b~25b)에는 그에 대응되는 마이너스측 선들(84-1b~25b)이 연결된다. 다시, 도 14를 참조하면, 1번 청색 홀더(30-1a)에는 백색 띠를 두른 청색 선(84-1a)이, 그 아래의 1번 백색 홀더(30-1b)에는 청색 띠를 두른 백색 선(84-1b)이 결속된다. 그리고 1번 오렌지색 홀더(30-2a)에 백색 띠를 두른 오렌지색 선(84-2a)이, 그 하단 2번 백색 홀더(30-2b)에는 오렌지색 띠를 두른 백색 선(84-2b)이 결속된다. 마찬가지로 1번 녹색 홀더(30-3a)에는 백색 띠를 두른 녹색 선(84-3a)이, 그 하단 3번 백색 홀더(30-3b)에는 녹색 띠를 두른 백색 선(84-3b)이, 1번 갈색 홀더(30-4a)에는 백색 띠를 두른 갈색 선(84-4a)이, 그 하단 4번 백색 홀더(30-4b)에는 갈색 띠를 두른 백색 선(84-4b)이, 1번 회색 홀더(30-5a)에는 백색 띠를 두른 회색 선(84-5a)이, 그 하단 5번 백색 홀더(30-5b)에는 회색 띠를 두른 백색 선(84-5b)이 결속된다. 마찬가지로 2번 청색 홀더(30-6a)에 적색 띠를 두른 청색 선(84-6a)이, 그 하단 1번 적색 홀더(30-6b)에는 청색 띠를 두른 적색 선(84-6b)이 결속된다. 동일한 방법으로 3번 청색 홀더(30-11a)에는 흑색 띠를 두른 청색 선(84-11a), 그 하단 1번 흑색 홀더(30-11b)에는 청색 띠를 두른 흑색 선(84-11b), 3번 오렌지색 홀더(30-12a)에는 흑색 띠를 두른 오렌지 선(84-12a), 그 하단 2번 흑색 홀더(30-12b)에는 오렌지색 띠를 두른 흑색 선(84-12b)이 결속되는 것이다. 나머지 홀더들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25P용 UTP 케이블의 선들이 결속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단자 블록(10e)의 출력측은 상단에 청색, 오렌지색, 녹색, 갈색의 홀더들(30-a,c,e,g)이 그 순서대로 6번 반복되어 배열되고, 하단에는 백색의 홀더들(30-b,d,f,h)이 배열된다. 한편, 상단과 하단의 25번째 홀더는 공란으로 회색의 색상을 갖는다. 예컨대, 상기 상단의 홀더들(30-a,c,e,g)에는 상기 4P용 케이블(82)의 플러스측 선들이 연결되고 상기 하단 홀더들에는 마이너스측 선들이 연결된다. 도 14를 참조하면서 1번 4P용 케이블(82-1)의 연결을 살펴보면, 1번 청색 홀더(30-a)에는 청색 선(82-1a)이, 그 아래의 1번 백색 홀더(30-b)에는 청색 띠를 두른 백색 선(82-1b)이 결속된다. 그리고 1번 오렌지색 홀더(30-c)에는 오렌지색 선(82-1c)이, 그 하단 2번 백색 홀더(30-d)에는 오렌지색 띠를 두른 백색 선(82-1d)이 결속된다. 마찬가지로 1번 녹색 홀더(30-e)에는 녹색 선(82-1e)이, 그 하단 3번 백색 홀더(30-f)에는 녹색 띠를 두른 백색 선(82-1f)이, 1번 갈색 홀더(30-g)에는 갈색 선(82-1g)이, 그 하단 4번 백색 홀더(30-h)에는 갈색 띠를 두른 백색 선(82-1h)이 결속된다. 예컨대, 나머지 홀더들에도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순서대로 나머지 4P용 케이블들(82-2~6)의 선들이 결속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각각의 상기 홀더들에는 자신의 색에 맞는 색을 갖는 케이블의 선들이 각각 결속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1:1 방식의 단자핀들이 설치된 25P용 2단 구조로 이루어진 단자 블록(10e)은 고층 아파트 및 빌딩 등에 설치되는 층간 단자 블록용으로 주로 사용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단자 블록의 배선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단자 블록(10f)은 4개의 국선(86-1~4) 각각에 내선들이 6개씩 연결되는 1:6 방식의 단자핀들이 설치된 24P용 2단 구조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1 국선 내지 4 국선의 플러스측(86-1a~4a)은 각각 청색, 오렌지색, 녹색, 갈색 선으로 이루어지며, 그 플러스측 선들과 짝을 이루는 마이너스측(86-1b~4b)은 각 플러스측 색의 띠를 두른 백색 선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UTP 케이블의 선들을 단자 블록(10f) 각각의 홀더들에 보다 용이하게 연결하기 위해서 상기 단자 블록에 설치된 홀더들은 각각 연결되는 선들의 색들에 맞는 색을 갖는다.
도 15를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단자 블록(10f)의 국선측에는 상기 국선들(86-1~4) 각각에 대응되는 청색, 백색, 오렌지색, 백색, 녹색, 백색 갈색, 백색의 색상을 갖는 홀더들(30-a,b,c,d,e,f,g,h)이 순서대로 설치된다. 그리고, 각 국선과 연결되는 내선들(88)이 결속되는 내선측 홀더들은 상기 국선들이 각각 결속되는 국선측 홀더들의 색과 동일한 색을 갖는다. 상기 내선의 플러스측과 마이너스측 선이 연결되는 홀더는 동일선상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단자 블록(10f)의 내선측 상단에는 청색, 오렌지색, 녹색, 갈색의 홀더들(30-a,c,e,g)이 각각 6개씩 배열된다. 그리고 그 하단에는 백색의 홀더들(30-b,d,f,h)이 설치된다. 상기 1번 국선(86-1)에 대응되는 1~6번 내선(88-1~6)의 플러스측 선이 결속되는 상단 홀더들(30-a)은 청색이고, 2번, 3번, 4번 국선이 연결되는 7~12번 내선(88-1~12), 13~18번 내선(88-13~18), 19~24번 내선(88-19~24)의 플러스측 선들이 결속되는 상단 홀더들은 상기 국선의 플러스측 홀더들과 대응되는오렌지색, 녹색, 갈색이며, 제 1 내지 24 내선의 마이너스측 선이 결속되는 홀더들은 백색으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상기 홀더들에는 그 색에 맞는 색을 갖는 내선들이 각각 결속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각 회선의 색상과 플러스, 마이너스측 선의 색상에 맞추어 홀더들에 색상을 부여함으로서, 국선과 내선을 단자 블록에 연결할 때, 회선 및 플러스측 선과 마이너스측이 뒤바뀌는 경우를 예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 따른 단자 블록(10f)은 하나의 국선에 다수의 내선들을 연결할 수 있는 멀티 접속이 가능한 단자핀이 설치된다. 이러한 단자 블록은 작업자가 그 내부의 단자 핀 구조를 알 수 없기 때문에 각 단자핀에 대응되는 홀더에 색을 부여하여 작업자가 홀더들의 색을 보고 쉽게 회선을 구분하여 연결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예컨대, 1:4 방식의 단자핀들이 설치된 단자 블록의 경우 내선측 홀더들은 상단에 청색, 오렌지색, 녹색, 갈색의 홀더들이 각각 4개씩 배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1:6 또는 1:4 방식의 단자핀들이 설치된 단자블록은 주로 세대 단자블록용으로 주로 사용된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자 블록들(10a,10b,10c,10e,10f)에 설치되는 홀더들은 도 12에 도시된 홀더(30a)와 같이 관통공(34)의 상단에 제 2 관통공(35)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관통공(35)은 전선 접속 후 그 단자핀에 전선의 접속이 잘되었는가를 대조 테스터기(tester)(미도시됨)로 검사하기 위하여 필요한 구조이다. 이처럼 제 2 관통공(35)이 형성된 홀더들(30a)이 장착된 단자 블록에서는 전선 접속 후 제 2 관통공(35)을 통해 상기 접지부에 대조 테스터기로 그 전선의 접속 여부를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2단으로 형성된 단자 블록을 일예로 설명하였지만, 단자 블록은 3단, 4단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단에는 다수의 장착홀들과 상기 장착홀과 세트를 이루는 단자핀, 홀더가 설치될 수 있다는 것을 유념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단자 블록은 4단 * 25열(여기서 열은 장착홀의 개수를 뜻하며, 이는 접속될 수 있는 전선의 개수를 의미한다)의 50회선용, 6단 * 25열의 75회선용, 그리고 8단 * 25열의 100회선용 등의 다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적용하면, 첫째, 홀더를 누르면 전선이 단자핀에 접속되고, 분리 작업도 홀더를 잡아당기면 전선이 단자핀에서 간단히 분리되므로, 그 조작이 간편하고, 작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별도로 공구가 필요없기 때문에 매우 편리하며, 작업자의 작업능력에 상관없이 균일한 접속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하나의 입력 회선에 다수의 출력 회선을 연결할 수 있는 멀티 접속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의 단자 블록은 종래의 단자 블록에 비해 그 크기가 월등히 작으면서도 많은 회선을 연결할 수 있으며, 종래의 단자 블록에 비해 조립이 매우 간단하다. 다섯째, 전선을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끼우고 홀더를 옆에서 누르는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자가 홀더의 관통공에 전선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여섯째, 전선 접속 후 대조 테스터기로 제 2 관통공을 통해 그 전선의 접속 여부를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일곱째, 홀더들이 각각 결속되는 선들의 색들에 맞는 색을 가지므로서 작업자가 회선 구분을 빨리 인지하여 그 배선 작업을 정확하게 그리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전선이 접지부의 홈에 끼워지면 외피가 벗겨지면서 전선의 심선이 접속되는 단자핀들을 갖는 단자 블록에 있어서:
    동일한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입력/출력 접지부를 갖는 단자핀과;
    내부 공간을 갖고 상기 단자핀들이 상기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단자핀의 입력/출력 접지부에 대응되는 부분에 장착홀들이 형성되는 몸체와;
    각각의 상기 장착홀에 설치되는 그리고 상하로 직선 이동되면서 상기 전선을 상기 입력/출력 접지부에/로부터 접속/분리시키기 위한 다수의 홀더들을 포함하되,
    상기 홀더는 일단에 상기 단자핀의 접지부가 끼워지는 끼움홈과, 상기 전선이 삽입되는 그리고 상기 전선이 상기 기움홈에 끼워진 접지부의 홈위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끼움홈을 가로질러 형성되는 관통공과, 상기 홀더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장착홀에 장착된 홀더가 위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플랜지와, 상기 홀더의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홀더를 위로 올릴 때 사용되는 손잡이 턱을 구비하고,
    상기 단자핀은 양단을 갖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국선이 끼워져 접속되는 홈이 형성된 입력 접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타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적어도 두개의 내선들이 각각 끼워져 접속되는 홈들이 형성된 출력 접지부를 구비하여,
    하나의 국선에 적어도 두개의 내선을 연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블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관통공의 상단에 제 2 관통공을 더 포함하여, 전선 접속 후 상기 제 2 관통공을 통해 상기 접지부에 대조 테스터기로 그 전선의 접속 여부를 검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블록.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들은 각각 결속되는 전선들의 색들에 맞는 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블록.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블록은 1:1 방식의 단자핀들이 설치된 25P용 2 단 구조로 이루어지되;
    입력측 상단에는 청색, 오렌지색, 녹색, 갈색, 회색의 홀더들이 순서대로 5번 반복되어 배열되고, 입력측 하단에는 백색, 적색, 흑색, 노란색, 보라색의 홀더들이 각각 5번씩 반복되어 배열되며, 출력측 상단에는 청색, 오렌지색, 녹색, 갈색의 홀더들이 순서대로 6번 반복되어 배열되고, 출력측 하단에는 백색 홀더들이 배열되는 것이 특징으로 하는 단자 블록.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블록은 4개의 국선 각각에 6개의 내선들이 연결되는 1:6 방식의 단자핀들이 설치된 24P용 2단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 1 내지 제 4 국선의 플러스측 회선이 각각 결속되는 홀더들의 색은 청색, 오렌지색, 녹색, 갈색이고 마이너스측 회선이 각각 결속되는 홀더들의 색은 백색이며, 상기 내선들이 결속되는 홀더들의 색은 상기 국선들이 각각 결속되는 홀더들의 색과 대응되는 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블록.
  6. 전선이 접지부의 홈에 끼워지면 외피가 벗겨지면서 전선의 심선이 접속되는 단자핀들을 갖는 단자 블록에 있어서:
    동일선상에 서로 대응되는 입력/출력 접지부를 갖는 단자핀과;
    일면이 개방된 내부 공간을 갖는 그리고 대응되는 면에 서로 대응되도록 장착홀들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개방된 일면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그리고 서로 대응되는 각각의 상기 장착홀에 상기 단자핀의 입력/출력 접지부가 위치되도록 상기 단자핀들이 놓여져 고정되는 플레이트와;
    각각의 상기 장착홀에 설치되는 그리고 수평으로 직선 이동되면서 상기 전선을 상기 단자핀의 입력/출력 접지부에/로부터 접속/분리시키기 위한 다수의 홀더들및;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상기 몸체의 개방된 일면을 덮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블록.
KR1019990009702A 1998-09-21 1999-03-22 단자 블록 KR100306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9702A KR100306132B1 (ko) 1998-09-21 1999-03-22 단자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9097 1998-09-21
KR1019980039097A KR19990007526A (ko) 1998-09-21 1998-09-21 단자 블록
KR1019990009702A KR100306132B1 (ko) 1998-09-21 1999-03-22 단자 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2600A KR20000022600A (ko) 2000-04-25
KR100306132B1 true KR100306132B1 (ko) 2001-09-26

Family

ID=26634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9702A KR100306132B1 (ko) 1998-09-21 1999-03-22 단자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61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9138B1 (ko) * 2004-03-31 2006-08-31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전선 분기용 단자대
KR101394865B1 (ko) * 2013-11-25 2014-05-13 조석현 엘리베이터 승강로 케이블 분기 연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00282B2 (ja) * 2003-08-08 2008-06-11 住友電装株式会社 音叉状端子のスリット幅検査部を備えた電気接続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9138B1 (ko) * 2004-03-31 2006-08-31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전선 분기용 단자대
KR101394865B1 (ko) * 2013-11-25 2014-05-13 조석현 엘리베이터 승강로 케이블 분기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2600A (ko) 2000-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82363B1 (en) Insulation piercing connector
US4225205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terminating a flat conductor cable
US5366388A (en) Wiring distribution system and devices for building wiring
US4362905A (en) Universal adapters for modular plug telephones
US7306492B2 (en) Telecommunications jack assembly
US20040229517A1 (en) Modular jack with wire management
CN100470931C (zh) 压力接合连接器
EP0345988A2 (en) Connecting block construction
US4998343A (en) Electrical wiring method and apparatus
EP1627448B1 (en) Back-end variation control cap for use with a jack module
WO2010131912A2 (ko) 인쇄회로기판 표면 실장용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복층식 회로기판 연결 구조
US5925850A (en) Electrical outlet, switch and junction boxs
US5649829A (en) Low profile distribution adapter for use with twisted pair cables
KR100306132B1 (ko) 단자 블록
CN100561804C (zh) 电信号连接器
US4753610A (en) Connectorized terminal block
CN216086058U (zh) 一种计算机网络机房用布线装置
JPS58126681A (ja) 電気的コネクタモジユ−ル
KR19990007526A (ko) 단자 블록
US6877218B2 (en) Hand tool for applying electrical connectors
CN212257963U (zh) 可适用多种规格端子压接的线束端子压接机构
US2005005929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ing electronic cables to plugs and wall jacks
KR102588073B1 (ko) 아나로그 전원단자 분리 착탈구조를 갖는 커넥터
KR20000019177U (ko) 단자블록
CN213546713U (zh) 一种高频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