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4785B1 - 드릴 - Google Patents

드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4785B1
KR100304785B1 KR1019990035068A KR19990035068A KR100304785B1 KR 100304785 B1 KR100304785 B1 KR 100304785B1 KR 1019990035068 A KR1019990035068 A KR 1019990035068A KR 19990035068 A KR19990035068 A KR 19990035068A KR 100304785 B1 KR100304785 B1 KR 100304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p
screw
drill
shaft
shaf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5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3869A (ko
Inventor
박질도
Original Assignee
박질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질도 filed Critical 박질도
Priority to KR1019990035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4785B1/ko
Publication of KR19990083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3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4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47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GACCESSORY MACHINES OR APPARATUS FOR WORKING WOOD OR SIMILAR MATERIALS; TOOLS FOR WORKING WOOD OR SIMILAR MATERIALS; SAFETY DEVICES FOR WOOD WORKING MACHINES OR TOOLS
    • B27G15/00Boring or turning tools; Augers
    • B27G15/02Drills for undercutting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40/00Details of connections of tools or workpieces
    • B23B2240/16Welded connec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Drilling Tools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구나 표고버섯재배용 원목 등의 각종 구조물이나 공작물을 제작할 때 이에 구멍을 뚫는 드릴기의 드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드릴은 이의 몸체가 단일재질로 되어 있고 이의 사용시 마모되는 부분은 드릴몸체의 선단부 좌우측에 형성된 1차절삭날과 2차절삭날이 뚫는 일을 담당하기 때문에 이 부분이 마모되면 전체를 폐기해야 하므로 재료의 허실이 있었고 이점을 개선할 목적으로 드릴몸체의 스크류부 선단에 좌우측에 절결부를 형성하여 이에 1차절삭날과 2차절삭날을 초경금속으로 별도로 성형하여 용접한 것이 제안된 바 있으나 이 경우는 중심잡기가 내무 힘들어 드릴몸체가 고속회전시는 떨림 현상이 생겨 정교한 구멍을 뚫을 수 없을 뿐만 아닐 회전압력을 용접부가 집중하여 받게되므로 용접부가 쉬히 파손되는 결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한 것으로 이의 발명요지는 드릴몸체의 스크류부 선단을 절단하여 이의 중심부에 축공(2')을 뚫고 이에 선단에 중심나사부(3')와 그 후방 좌우축에 1차 및 2차 절삭날(3')(3'')이 형성된 초경금속으로 된 팁(3)의 축봉(4)이 끼움되어 정확한 중심이 유지된 상태에서 용접부(5)에 의해 일체로 용접되게 하므로서 이를 사용하게 되면 중심이 정확하므로 고속회전시 떨리는 현상이 없어 정밀한 구멍을 뚫을 수 있고 또한 스크류부의 외주에 4각통체 형상의 케이싱을 설치하여 이 선단 끼움부에 선단에 끌날이 형성된 팁의 걸림턱을 끼움 걸림시키면 통상의 각 구멍을 뚫는 끌로 사용하되 끌날이 마모되는 팁만을 교체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드릴{DRILL}
본 발명은 가구나 표고버석재배용 원목등의 각종 공작물에 구멍을 뚫는데 사용되는 드릴기의 드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드릴기의 드릴은 드릴 몸체가 단일재질로 되어 있어 이를 사용할 때는 드릴 몸체의 스크류 선단부에 형성된 1차 절삭날과 2차절삭날이 가장 많은 일을 하면서 쉬히 마모되고 이와 같이 마모되면 나머지 부분도 함께 폐기 해야하므로 재질의 허실이 많았던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스크류부의 선단과 중심 나사부의 후방에 좌우축에 절결부를 형성하여 이에 초경금속으로 된 1차 및 2차 절삭날을 대접 용접한 것이 재안된 바 있으나 이는 용접시 중심잡기가 매우 힘드는 폐단과 사용과정 중 심한 압력을 받으면 이의 압력이 날개부분에 해당되는 1,2차 절삭날에 집중적으로 받게되므로 이 압력에 의해 용접부가 쉬히 파손되는 결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한 것으로 이의 발명요지는 드릴몸체의 스크류부 선단을 절단한 절단부에 축공을 형성하여 선단에 중심 나사부와 1차 및 2차 절단날이 형성된 팁의 축봉이 끼움되어 용접되므로서 정확한 중심이 될 수 있게 하고 또한 스크류부의 외주에 케이싱을 설치하여 이의 선단에 형성된 끼움부의 선단에 끌날이 형성된 팁의 걸림턱이 끼움 걸림되게 한 것이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사시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
제 3 도는 본 발명이 단면도제 4 도는 본 발명의 별도 실시예의 사시도제 5 도는 제 4 도의 분리사시도제 6 도는 제 1 도의 별도 실시예의 분리사시도제 7 도는 제 6 도의 단면도
*도면의 중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몸체 1'-스크류부 1'-걸림홈 2-절단부
2'-축공 2a-축붕 3-팁 3'-중심나사부
3'-1차 절삭날 3''-2차 절삭날 4-축봉 4a-축공5-용접부 101-몸체 101'-스크류부 102-절삭부103-케이싱 104-팁 104'-끌날 105'-걸림턱
이를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드릴몸체(1)의 스크류부(1') 선단을 절단한 절단부(2)에 축공(2')을 형성하여 이에 선단에 중심 나사부(3')와 1차 및 2차 절삭날(3')(3'')이 있는 초경금속으로 된 팁(3)의 축봉(4)이 끼움되어 정확한 중심이 유지된 상태에서 고주파 용접에 의한 용접부(5)가 형성된 것이다.그리고 제 4 도 내지 제 5 도는 본 발명의 별도실시예로서 몸체(101)에 형성된 스크류(10')의 선단에는 절삭부(102)가 형성되고 스크류부(101')의 외주면에는 몸체(1)와 연결된 케이싱(103)을 형성하여 이의 선단부에 형성된 끼움부(103')에는 선단에 끝날(104')이 있는 팁(104)의 걸림턱(105)이 끼움걸림 된 것이다. 그리고 제6도 내지 제7도는 제1도의 별도실시예도로서 스크류부(1') 선단 절단부(2)에 축공(2') 대신으로 축붕(2a)을 형성하고, 팁(3)의 축붕(4) 대신으로 축공(4a)을 형성하여 전기한 축붕(2a)을 축공(4a)에 끼움하여 정확한 중심을 유지한 상태에서 고주파 용접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각종 구조물이나 공작물을 제작할때 이에 구멍을 뚫는 드릴로 사용하는 것인 바 이를 사용하게 되면 드릴몸체(1)의 절단부(2)에 형성된 축공(2')에 또는 축붕(2a)에 팁(3)의 축봉(4) 또는 축공(4a)이 끼움되어 정확한 중심이 잡힌 상태에서 용접부(5)에 의해 고정되어 있어 회전중심이 정확하여 로링현상이 없을 뿐만 아니라 심한 회전 압력을 받아도 용접부(5)가 파손되는 폐단이 생기지 않게 되며 또한 팁(3)은 초경금속으로 되어 있어 천공 작업성이 양호할 뿐만 아니라 이의 수명을 현저히 연장시켜 준다.
그리고 절단부(2)에 회전 방향으로 걸림되는 단턱을 형성하고 이에 대합되는 팁(3)에도 걸림턱을 형성하여 용접하게 되면 비교적 높은 회전압에도 용접부(5)가 용이하게 견딜수 있게 된다.그리고 제 4 도에 예시한 바와 같이 몸체(101)의 스크류부(101') 외주에 위치되게 한 4각통 형상의 케이싱(103)의 하단부에 끼움부(103')를 형성하여 이에 끝날(104)이 있는 팁(104)의 걸림턱(105)을 끼움하게 되면 4각 홈파기가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정밀한 목공을 할 수 있고 끝날(104')이 마모되면 팁(104)만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드릴몸체(1)의 절단부(2)에 형성된 축공(2') 또는 축붕(2a)에 팁(3)의 축봉(4) 또는 축공(4a)이 끼움되어 정밀한 중심이 유지된 상태에서 고주파 용접으로 용접된 용접부(5)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조립 및 천공 작업성이 양호할 뿐만 아니라 드릴 몸체(101)의 스크류(101') 주위에 4각통 형상의 케이싱(103)을 형성하여 이의 선단에 형성된 끼움부에 선단에 끝날(104')이 있는 팁(104)의 걸림턱(105)이 끼움 걸림되게 하면 정밀한끌구멍을 형성할 수 있고 사용과정 끝날(104')이 마모되면 끝날(104')만의 교체가 가능케 하였기 때문에 산업적으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2)

  1. 드릴몸체(1)의 스크류부(1') 선단 절단부(2)에 축공(2') 또는 축붕(2a)을 형성하여 이에 중심나사부(3')와 1차 및 2차 절삭날(3')(3'')이 형성된 초경금속으로 된 팁(3)의 축봉(4) 또는 축공(4a)이 끼움되어 용접부(5)에 의해 일체로 용접되어짐을 특징으로 한 드릴.
  2. 드릴몸체(101)의 스크류(101') 선단에는 절삭부(102)가 형성되고 이의 외주에는 드릴 몸체(101)와 연결된 4각통체 형상의 케이싱(103)을 형성하여 이의 선단부에 형성된 끼움부(103')에는 선단에 끝날(104')이 있는 팁(104)의 후단에 형성된 걸림턱(105)이 끼움 걸림되게 한 드릴.
KR1019990035068A 1999-08-18 1999-08-18 드릴 KR100304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5068A KR100304785B1 (ko) 1999-08-18 1999-08-18 드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5068A KR100304785B1 (ko) 1999-08-18 1999-08-18 드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3869A KR19990083869A (ko) 1999-12-06
KR100304785B1 true KR100304785B1 (ko) 2001-09-24

Family

ID=37529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5068A KR100304785B1 (ko) 1999-08-18 1999-08-18 드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47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92462A1 (en) * 2018-11-02 2020-05-07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Aug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92462A1 (en) * 2018-11-02 2020-05-07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Aug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3869A (ko) 1999-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57362A (ko) 칩 제거용 공구
ATE407758T1 (de) Schneidwerkzeug für schnellwechselfutter
DK0878261T3 (da) Boreværktøj
CA2181754A1 (en) Masonry drill bit
JPH0657364B2 (ja) 皿穴穿孔工具
JPH0747244B2 (ja) コアドリル
CA2714711C (en) Wood boring bit
KR101276401B1 (ko) 엔드 밀링 커터
US4167363A (en) Counterbore cutting tool
US4580934A (en) Hole sizing tool
KR100304785B1 (ko) 드릴
US4793756A (en) Tapping screw
KR880005988A (ko) 공작물 가공용 회전공구
JPH11285906A (ja) 中ぐりバイト
JP2001138120A (ja) コアドリル
JPH01131512U (ko)
JPH0290006U (ko)
CA2313749A1 (en) Flexible shaft drill bit with removable cutting head
CN208148090U (zh) 一种取木塞刀
SU837603A1 (ru) Полое сверло дл упруго-эластич-НОгО МАТЕРиАлА
JP4357657B2 (ja) 孔開け工具の製造方法
JPS5914557Y2 (ja) 掘削用ビツト
TWM595560U (zh) 刀具結構改良
KR200237539Y1 (ko) 구멍면취(面取)드릴
JPH10146709A (ja) 二段穿孔用皿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