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3832B1 - 칼라브라운관의컨버전스장치_ - Google Patents

칼라브라운관의컨버전스장치_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3832B1
KR100303832B1 KR1019980059113A KR19980059113A KR100303832B1 KR 100303832 B1 KR100303832 B1 KR 100303832B1 KR 1019980059113 A KR1019980059113 A KR 1019980059113A KR 19980059113 A KR19980059113 A KR 19980059113A KR 100303832 B1 KR100303832 B1 KR 100303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convergence device
shield plate
shield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9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4255A (ko
Inventor
방종호
김태영
Original Assignee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홍상민
주식회사 이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홍상민, 주식회사 이앤텍 filed Critical 김순택
Priority to KR1019980059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3832B1/ko
Publication of KR19990024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4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3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38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01J29/867Means associated with the outside of the vessel for shielding, e.g. magnetic shields

Landscapes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칼라브라운관에 사용되는 신규한 구성의 컨버전스장치를 개시한다.
지자계등 외부자계에 의한 영향의 차폐를 위해 칼라 브라운관의 펀넬 부분에는 인너시일드를 사용하고 있으나, 실제적인 컨버전스 조정이 이뤄지는 컨버전스장치에 대한 차폐는 종래 적절히 이뤄지지 못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컨버전스장치의 각 페어를 구성하는 마그네트링의 외측에 시일드판을 배치하고, 이에 의한 조정범위의 제한을 해소하기 위해 L자형의 핸들 또는 절개홈, 그리고 양자를 조합 구성함으로써 자계등 외부자계가 차폐된 상태에서 자유로운 컨버전스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차폐에 따라 조정상태의 변화가 없어 안정된 화질을 유지할 수 있게 하였다.

Description

칼라브라운관의 컨버전스장치
본 발명은 칼라브라운관의 컨버전스(convergence)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지자계(地磁界) 차폐구조를 가지는 컨버전스장치에 관한 것이다.
칼라화상을 구현하는 칼라브라운관은 단일한 빔으로 R, G, B 각 형광체를 교호적으로 발광시키는 어퍼츄어(aperture)형과, 세 독립적인 전자총이 트리오(trio)형태로 배열된 트리오형, 그리고 세 전자총이 횡으로 배열된 인라인(in-line)형으로 구별될 수 있다.
이중에서 모니터등 공업용 칼라브라운관으로는 주로 트리오형과 어퍼츄어형이, 칼라 TV등 민생용으로는 주로 인라인형이 사용되고 있다.
인라인형 칼라 브라운관은 전자총 어셍블리가 횡(橫)으로 나란히 배열된 세전자총을 형성하게 되는 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전자총(10)에서 발사된 전자빔(20)은 래스터(raster) 상태에서 섀도우마스크(shadow mask;30)를 통해 형광면(40)상의 한 점(실제로는 한 화소 내의 대응 형광체상의 위치, 즉 한 화소내의 세 형광점이 됨)에 컨버전스되어야 한다.
여기서 전자빔(20)은 수평 및 수직 편향수단(50)에 의해 형광면(40)상의 각 위치를 주사(scan)하게 되는데, 이러한 주사시 각 위치에서 세 전자빔(20)은 역시 한 점에 컨버전스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칼라브라운관에는 스태틱(static) 및 다이나믹(dynamic) 컨버전스 수단이 구비되는데, 스태틱 컨버전스수단은 2극, 4극 및 6극의 세 페어(pair;P2, P4, P6; 이하 필요시 P로 총칭함)로 구성되어 일반적으로 CPM(Convergence Purity Magnet)으로 불리는 컨버전스장치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컨버전스장치의 각 페어(P2, P4, P6)는 부분적으로 착자(着磁)되어 N 및 S의 두 종류의 극(極)들을 구성하는 두 마그네트 링(magnet ring)으로 구성된다.
먼저 제2(a)도에 도시된 2극페어(P2)는 퓨리티 마그네트(purity magnet)으로 불리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N극과 S극간의 자속(磁束)에 의해 R, G, B 세 빔을 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한편 제2(b)도에 도시된 4극 페어(P4)는 외측의 R, B 두 빔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제2(c)도의 6극 페어(P6)는 외측의 R, B 두 빔을 동일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며, 4극 페어(P4)와 6극 페어(P6)를 함께 컨버전스 마그네트로 호칭하고 있다.
여기서 컨버전스장치는 칼라브라운관의 제조과정에서의 오차에 의해 R, G, B세 전자빔이 정확히 정렬되지 못한 것을 조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각 페어(P2, P4, P6)가 한쌍의 마그네트링으로 구성되는 이유는 그 사이의 상대각을 조절함으로써 브라운관별로 서로 다른 제조오차에 대해 빔 이동량을 조절하여 컨버전스를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그런데 칼라브라운관에서는 흑백브라운관에서는 발생되지 않는 지자계에 의한 문제가 발생된다. 일반적으로 지자계는 미약한 강도이므로 전자빔의 이동에 미세한 편이를 발생시키는 바, 흑백브라운관의 경우는 전체적으로 화면이 미소한 양만큼 편이되는 것뿐이므로 실용상 전혀 문제를 야기하지 않지만 칼라브라운관의 경우에는 전자빔의 랜딩(landing) 위치가 대응 형광체로부터 편이되므로 색순도(color purity)와 화면휘도의 저하 등 화질을 열화(劣化)시키는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칼라브라운관의 제조지와 사용지가 동일한 경우 조정시와 사용시 전자빔은 동일한 양만큼 편이되므로 전혀 문제가 없으나,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지와 사용지간의 위도차가 있는 경우 지자계에 의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제3도에서, 지자계는 북반구에서 북극(N; 실제로는 자(磁)북극이나 편의상 진(眞) 북극과 동일한 것으로 가정함)을 향하게 되는데 그 강도, 즉 자력(M1, M2)은 위도(θ 1, θ 2)의 증가에 따라 점차 강해지며 그 방향(X1, X2)은 적도(위도 0°)에서 45° 이며 역시 위도(θ 1, θ 2)의 증가에 따라 그 1/2의 비율로 증가하게 된다.
예를 들어 위도 θ 1의 위치에서 칼라브라운관을 제조하는 경우, 자력(M1)의 수평 및 수직분력인 수평자력(H1) 및 수직자력(V1)은 방향(X1)에 대한 사인 및 코사인 값이 되는 바, 그 사용위치가 이보다 고위도인 위도 θ 2의 경우 수평자력(H2)은 증가하고 수직자력(V2)은 감소하게 된다.
여기서 전자빔은 플레밍법칙에 의해 자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므로 수직자력차(V2-V1)는 전자빔을 수평방향으로 편이시키고, 수평자력차(H2-H1)는 수직방향의 편이를 일으키게 된다.
형광면의 형광체 배열이 수직방향의 스트라이프(stripe)형태인 인라인형 칼라브라운관의 경우는 수직방향의 편이는 거의 문제가 되지 않으므로 수평방향의 편이를 야기시키는 수직자력차(V2-V1)가 주된 문제가 되지만, 형광체가 도트(dot)형으로 배열되는 트리오형이나 어퍼츄어형의 경우는 양방향의 자력차가 모두 문제되고 있다. 한편 인라인형 칼라 브라운관이라고 하더라도 금속제 가구 등 대형의 자성체가 인접하거나 브라운관의 방향을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수평방향의 외부자계의 영향이 발생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지자계 등 외부자계의 문제는 전자빔의 편향경로, 즉 브라운관의 펀넬(funnel) 부분을 투자성(透磁性) 재질의 인너시일드(inner shield)로 둘러쌈으로써 1차적으로 감소시키고 있으나, 실제적인 컨버전스 조정이 이뤄지는 컨버전스장치는 브라운관 외부의 네크(neck)에 설치되므로 이를 차폐할 적절한 수단이 없었다. 즉 컨버전스 조정이 이뤄지고 난 뒤 이를 시일드 등으로 둘러싸게 되면 조정상태가 변화되므로, 미리 시일드로 컨버전스장치를 둘러싼 상태로 조정이 이뤄져야 하는 바, 이러한 요구조건을 만족시킬 적절한 구조가 없었던 것이다.
그런데 최근 일본 히다치사는 제4(a)도 및 제4(b)도와 같이 시일드를 내장한 소위 지자계 차폐구조의 컨버전스장치를 출하하였다.
이 구조는 컨버전스장치를 브라운관의 네크(N)에 장착하기 위한 홀더(H)의 좌우에 제한된 폭의 시일드판(S)을 각각 삽입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지자계 차폐구조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먼저 시일드판(S)의 폭이 지나치게 좁은 경우에는 제5(a)도와 같이 지자계(Me)가 시일드판(S)을 타고 넘어 전자빔(R, G, B)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시일드판(S)의 차폐효과가 없게 된다.
한편 각 페어(P2, P4, P6)를 구성하는 링(R)은 복수의 자극을 형성해 주기 위해 그 내측을 부분적으로 착자(着磁)하여 구성하고 각 페어(P2, P4, P6)의 두 링(R)을 상대회전시킴으로써 자속(磁束)을 변화시키게 되는데, 링(R)의 회전시 이 착자부(X)의 전방에 시일드판(S)이 위치하게 되면 착자부(X)로부터의 조정자계(Mc)가 시일드판(S)에 차단되어 전자빔(R, G, B)의 조정이 불가능하게 된다. 즉 종래구성에 있어서는 시일드판(S)이 컨버전스 조정 가능범위를 크게 제한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차폐구조는 실제적으로는 더욱 큰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형광면이 스트라이프 형태인 인라인형 칼라 브라운관은 전자빔(R, G, B)을 수평방향으로 편이시키는 수직자계가 주로 문제를 야기하는데, 이러한 구조는 수직자계를 전혀 차폐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만일 순직자계까지 차폐하도록 특히 제5(c)도와 같이 상하 및 좌우에 시일드판(S)을 각각 설치하는 경우, 컨버전스의 조정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게 될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종래구조는 실제적으로는 지자계의 차폐역할은 전혀 할 수 없으며, 다만 자성체의 근접이나 브라운관의 방향전환 등에 의한 편이를 감소시키는 정도의 기능 외에는 수행할 수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컨버전스 조정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지자계의 효과적인 차단이 가능한 컨버전스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인라인형 칼라브라운관의 구성을 보이는 개략적인 단면도.
제2(a)도 내지 제2(c)도는 컨버전스장치의 각 페어의 기능을 보이는 개략도.
제3도는 지자계의 영향을 보이기 위한 지구의 부분단면도.
제4(a)도 및 제4(b)도는 종래의 지자계 차폐구조를 가지는 컨버전스장치의 정면도 및 단면도.
제5(a)도 및 제5(c)도는 제4도의 종래 구조의 문제점을 보이는 링의 정면도들.
제6(a)도 및 제6(b)도는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외부차폐구조의 원리와 문제점을 보이는 링의 정면도들.
제7(a)도 내지 제7(e)도는 본 발명에 의한 링의 여러 가지 구성에 대한 정면도들.
제8도는 본 발명에 의해 구성된 컨버전스장치의 단면도.
제9도는 제8도의 장치에 사용되는 스페이서의 구성을 보이는 정면도.
제10(a)도 내지 제10(c)도는 제8도의 컨버전스장치에 조합 사용될 2극, 4극, 6극 페어의 구성을 예시한 링의 정면도들.
제11(a)도 내지 제11(c)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컨버전스 장치의 단면도들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P2, P4, P6 : 2극, 4극, 6극 페어(pair) R : (마그네트) 링
X : 착자부(着磁部) S : 시일드(shield)판
S1 : (링외측의) 시일드판 S2 : (절개홈(3)내의) 시일드판
1 : (L자형의) 핸들 2 : 수납홈
3 : 절개홈 A : 스페이서(spacer)
5 : 관통홈 6 : 돌출탭(tab)
7,8,9 : (펀넬 자계 차단용) 차단편(遮斷片)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컨버전스장치는 지자계를 차폐하는 시일드판이 링의 착자부 외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시일드판은 외부로부터 지자계의 변화를 효율적으로 차단하게 되며, 컨버전스를 조정하는 착자부는 이 시일드판의 내측에 위치하므로 외부 지자계의 영향이 차단된 상태에서 자유롭게 컨버전스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제조지와 위도차이가 큰 사용지에서도 제조시의 컨버전조정상태가 변화되지 않는 고화질의 칼라브라운관을 구현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과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제6(a)도에서, 본 발명에 의한 컨버전스장치의 각 페어(제1도의 P2, P4, P6)를 구성하는 링(R)은 페라이트등의 자성체로 된 고리형의 몸체에 부분적인 착자부(X)를 형성하여 복수의 자극을 형성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 특징에 따라 지자계를 차폐하는 두 시일드판(S)은 착자부(X)의 외측에 구비된다. 이에 따라 외부의 지자계의 침입은 이 시일드판(S)에 의해 차단되고, 전자빔(R, G, B)의 컨버전스를 조정하는 착자부(X)는 이 시일드판(S)의 내측에 위치하므로 외부 지자계의 영향이 완전히 차단된 상태에서 컨버전스 조정이 자유롭게 이뤄질 수 있게 하며, 사용시 외부 지자계의 영향을 차단하여 조정된 컨버전스의 변화를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시일드판(S)은 또한 칼라브라운관이 다른 자성체에 인접하여 사용되는 경우에도 이에 의한 컨버전스의 편이를 차단하여 조정된 상태로의 균일한 고화질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링(R)의 외측에 시일드판(S)을 단순 설치하는 경우에는 제6(b)도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즉, 컨버전스의 조정은 이러한 링(R)을 2개 겹쳐 각 페어(P2, P4, P6)를 구성하고, 두 링(R)을 상대회전시켜 자극, 즉 착자부(X)간의 간격조절로 자속을 변화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링(R)에는 조정을 위한 핸들(handle;D)이 부착될 수밖에 없는 바, 링(R)의 외부로 돌출한 핸들(D)이 링(R) 외부의 시일드판(S)과 간섭하게 되므로 제6(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불능범위(02)가 발생되고, 이에 따라 조정가능범위(01)가 제한될 수밖에 없게 된다.
이러한 문제는 링(R)의 회전에 핸들(D) 대신 톱니를 구비하여 기계적으로 회전시키면 간섭문제는 해결할 수 있으나, 컨버전스 조정 자체가 작업자의 시감(視感)등 감각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기계적인 링(R)의 회전은 컨버전스 조정작업을 매우 번잡하게 하는 문제를 야기한다.
이와 같은 문제의 해결을 위해 링(R)은 제7도의 각 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제7(a)도의 구성은 핸들(1)을 L자형으로 형성함으로써 링(R)의 외주와 핸들(1)의 내측단간에 시일드판(S)이 진입될 수 있는 수납홈(2)을 형성한 구성이다. 여기서 핸들(1)은 링(R)의 일측에 구비되거나,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핸들(1)이 링(R) 외측의 시일드판(S)에 근접하게 되면, 이 시일드판(S)이 수납홈(2)으로 진입하게 되므로 핸들(1)이 시일드판(S)과 간섭하지 않게 되어 조정가능범위(01)가 180°, 즉 전 범위의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제7(b)도의 구성은 링(R)의 몸체에 그 원주를 따라 절개홈(3)을 형성하여 링(R)의 회전시 시일드판(S)이 이 절개홈(3)내에 위치함으로써 링(R)의 회전을 간섭하지 않도록 된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링(R)이 절개홈(3)을 경계로 하여 내측링(R1)과 외측링(R2)으로 구획되는 바, 네크(N; 제7도에는 도시안됨)내의 전자빔에 자력을 미치는 것은 링(R)의 내측이므로 복수의 자극을 형성하는 착자부(X)는 내측링(R1)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는 절개홈(3)의 범위가 조정가능범위(01)를 결정하게 되는 바, 내외측링(R1, R2)의 연결을 위해서는 일측 또는 양측에 브리지(bridge;4)를 형성할 수밖에 없으므로 조정가능범위(01)는 시일드판(S)의 폭만큼 감소될 수밖에 없게 된다(이 경우 브리지(4)가 일측에 구성되면 절개홈(3)은 연속된 한 원호형태로 형성되고, 브리지(4)가 양측에 구성되면 절개홈(3)은 각 시일드판(S)에 대해 분리된 2개의 원호형태로 형성된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두 시일드판(S)은 상하 또는 좌우에 한 쌍으로 대응하게 배열되어 있는 바, 전술한 바와 같이 인라인형의 경우에는 수직지자계의 차폐를 위해 상하로 한쌍, 그리고 트리오형이나 어퍼츄어형의 경우에는 상하 및 좌우에 각각 한쌍의 시일드판(S)이 배열되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이들 시일드판(S)은 각각 두 링(R)을 구비하여 적어도 2극, 4극, 6극의 세 페어(P2, P4, P6)로 구성되는 컨버전스장치의 각 링(R)의 조정을 위한 자유로운 회전을 보장해야 하므로 제7(b)도의 실시예와 같은 조정가능범위(01)의 제한은 컨버전스장치의 구성에 많은 제약을 초래한다.
이에 따라 제7(c)도 내지 제7(e)도의 실시예는 한 쌍의 시일드판(S;S1, S2)의 링(R) 중심에 대한 거리를 서로 다르게 하여, 한 시일드판(51)은 링(R)의 외측에 이에 대향하는 다른 시일드판(52)은 링(R)의 몸체 내부에 형성된 절개홈(3)내에 위치하도록 구성하였다.
먼저 제7(c)도의 구성은 도면 좌측의 시일드판(51)은 링(R) 외측에 배열되어 L자형 핸들(1)의 수납홈(2)에 의해 간섭이 방지된다. 한편 우측치 시일드판(52)은 링(R)에 형성된 절개홈(3)내에 수납되는 바, 이 절개홈(3)의 범위는 180° 에 시일드판(52)의 폭을 더한 범위 이상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된 시일드판(S)에 대해 복수 페어(P2, P4, P6)의 링(R)을 회전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하며, 조정가능범위(01)를 전범위로 확장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제7(d)도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제7(c)도와 동일한 구성이지만 절개홈(3)의 범위를 가능한 한 크게 확장하였다. 그 이유는 제7(a)도나 제7(c)도의 구성이 링(R)의 전범위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지만, 핸들(1) 또는 절개홈(3)의 단부가 시일드판(S)에 접촉하면 더 이상의 회전이 불가능하므로 그 이상의 조정이 필요하면 링(R)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제7(d)도의 실시예와 같이 절개홈(3)의 범위를 넓게 하는 경우, 위와 같이 조정의 단부에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야 하는 경우가 크게 감소될 수 있다.
한편 제7(d)도의 실시예에는 별도의 핸들(1)을 도시하지 않은 바, 이는 제 6(b)도의 설명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톱니등 기계적 수단에 의한 링(R)의 회전도 가능함을 보이기 위한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이 한쌍의 시일드판(S;S1, S2)을 서로 다른 중심거리에 의해 비대칭으로 배열하는 경우에는, 한쌍의 시일드판(S;S1, S2)만으로 링(R)의 전주(全周)를 감싸 수직 및 수평자계를 동시에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즉 제7(e)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절개홈(3)내의 시일드판(52)과 링(R) 외부의 시일드판(51)은 각각 서로 다른 반경의 반원의 원호로 연장된다.
이에 따라 링(R)내의 전자빔(R, G, B)은 모든 방향으로부터의 외부자계로부터 완전히 차단된 상태가 되므로, 지자계뿐 아니라 자성체의 인접경우에도 편이가 없게 되어 사용위도나 환경에 무관하게 제조시의 조정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7(e)도의 실시예에도 L자형의 핸들(1) 설치는 가능하나 이 경우 외측 시일드판(51)의 범위가 넓어 핸들(1)의 길이가 상당히 길어질 수밖에 없게 되므로, 바람직하기로 제7(e)도의 실시예는 톱니 등에 의한 기계적방법으로 회전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8도 내지 제10도에는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구성을 조합하여 실제 컨버전스장치를 구성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8도에서 컨버전스장치는 칼라브라운관의 네크(도시안됨)에 장착되는 절연재질의 홀더(holder;H)상에 구성되는데 이 홀더(H)는 네크(제8도에는 도시안됨)에 씌워지며 그 외주에 각 페어(P2, P4, P6)가 지지되는 원통형의 슬리이브(sleeve;L)가 구비되는데, 이 슬리이브(L)는 그 단부에 플랜지(flange;F)가 형성되어 각 페어 (P2, P4, P6)를 구성하는 링(R)들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부(L1)와, 이들 링(R)을 조정상태로 고정하기 위해 로커(locker;K)가 나사결합되며 네크(N)에 대한 고정을 위해 밴드(도시안됨)로 죄어지는 고정부(L2)를 구비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니켈과 철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투자성(透磁性) 금속재질로 구성되는 두 시일드판(S;S1, S2)은 바람직하기로 슬리이브(L)의 고정부(L2)에 결합되고, 지지부(L1)의 후방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뒤, 다시 전방을 향해 절곡 연장됨으로써 크랭크(crank) 형태로 2차 절곡된 형태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시일드판(S;S1, S2)은 바람직하기로 제7(c)도 내지 제7(e)도의 비대칭 구조를 가지므로 도면 좌측의 시일드판(S1)은 각 페어(P2, P4, P6)의 링(R) 외측으로 연장되며, 도면 우측의 시일드판(S2)은 링(R) 몸체에 형성된 절개홈(3)을 통해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한편 각 페어(P2, P4, P6)간에는 상호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소정의 간격이 필요한 바, 이를 위해 각 페어(P2, P4, P6)간에는 소정두께의 스페이서(spacer;A)가 삽입된다.
바람직하기로 스페이서(A)는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일드판(S;S1, S2)이 관통할 관통홈(5)이 구비되어야 하는 바, 비대칭구조를 사용하면 도면 우측의 관통홈(5)은 몸체내에 위치하게 되나 좌측의 관통홈(5)을 돌출탭(tab)(6)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각 페어(P2, P4, P6)의 링(R)과 스페이서(A)는 플랜지(F) 반대측인 홀더(H)의 후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삽입되어야 하는 바, 시일드판(S)을 홀더(H)에 일체로 결합 형성하는 경우에는 플랜지(F)를 나사결합 등으로 분리가능하게 구성하여 이 플랜지(F)가 로커(K) 역할을 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로커가 펀넬 쪽에 위치하게 되어 그 고정시 조정이 완료된 페어(P2, P4, P4)들을 건드릴 염려가 있으므로 링(R)과 스페이서(A)를 먼저 결합한 뒤 시일드판(S)을 사후적으로 삽입 결합하는 등의 구조적 고려가 필요할 것이다.
제10(a)도 내지 제10(c)도에는 이와 같은 제8도의 컨버전스장치를 조합 구성하는 세페어(P2, P4, P6)의 링(R)의 구성을 예시하고 있는바, 예를 들어 2극페어(P2)를 구성하는 링(R)은 (A)와 같이 L자형 핸들(1)과 절개홈(3)을 구비한 구성(제7(c)도와 동일함)으로 하고, 4극페어(P4)를 구성하는 링(R)은 (B)와 같이 일측에만 절개홈(3)을 가지는 구성(제7(b)도와 동일함), 그리고 6극페어(P6)를 구성하는 링(R)은 제7(c)도와 같이 L자형 핸들(1)을 가지며 두 시일드판(S1, S2)이 모두 링(R) 외측에 배열되는 구성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페어(P2, P4, P6)에 대해 서로 다른 구성의 링(R)을 사용하는 이유는, 각 페어(P2, P4, P6)의 자극수가 서로 다르며 본 발명의 절개홈(3)등의 형성이 각 자극을 형성하는 착자부(X)의 자속분포에 영향을 미치게 되기 때문이다. 즉 각 페어(P2, P4, P6)를 구성할 링(R)의 구조의 선택은 주로 형성될 착자부(X)의 위치 및 강도와 절개홈(3)등의 크기 및 위치관계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예를들어 제10(c)도의 6극페어(P6)에는 6개의 착자부(X)가 형성되어야 하므로, 이 경우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절개홈(3)이 형성되지 않는 구성이 각 착자부(X)가 균일한 자속분포를 가지게 하는데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제11도에 도시된 구성은 이와 같은 본 발명 구조에 더하여 펀넬 측으로 부터 침투되는 자계를 함께 차폐하기 위한 부가적 차폐구조, 즉 펀넬 자계 차단부를 가지는 실시예들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침투자계는 지자계 등의 외부자계로 부터 전자빔의 편향경로인 펀넬을 차폐하기 위해 인너 시일드로 둘러쌈에 따라 발생하는 유도자계이다. 즉 지자계등 외부자계는 투자성 재질인 인너 시일드를 투과하지 못하여 그 둘레에 새로운 자계를 형성하게 되는 바, 이와 같이 형성된 유도자계가 펀넬 직후방의 네크상에 위치한 컨버전스 장치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이다.
먼저 제11(a)도의 구성은 크랭크 형태로 절곡된 시일드판(S; S1, S2)을 내측으로 절곡하여 차단편(7)을 형성한 펀넬 자계 차단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A)의 구성은 조립상 다소의 문제가 있는 바, (B)의 구성은 펀넬 자계 차단부로서 L자형의 단면을 가지는 차단편(8)을 홀더(H)의 전단부에 삽입하여 구성하였다. 이 차단편(8)은 투자성 재질의 금속띠를 절곡하여 흘더 전단부의 상하 및/또는 좌우에 삽입 구성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원형의 플랜지에 한 원통형 보스부가 돌출하는 한 피이스(piece)의 부속품으로 구성할 수 있다.
(C)의 구성은 후자의 구성을 더욱 간략화한 것으로 단순한 링 형태로 차단편(9)을 구성하여 이를 각 페어(P2, P4, P6)의 최전단에 삽입하여 펀넬 자계를 차단하도록 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는 홀더(H)의 살두께 만큼의 공간이 차단되지 않으나 이는 실용상 무시할 정도이며, 차단편(9)의 제작과 컨버전스장치의 조립이 극히 간편한 장점이 있다.
한편 이들 실시예의 설명에서 본 발명을 주로 인라인형 칼라브라운관에서의 수직자계의 차폐, 즉 한쌍의 시일드판(S)만을 좌우에 가지는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수평자계의 차폐나 트리오 및 어퍼츄어형 칼라브라운관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즉 제7(e)도의 실시예는 이들에 그대로 사용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들도 동일한 구성을 상하 좌우 두쌍으로 배열하면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컨버전스 조정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컨버전스장치를 지자계등 외부자계로부터 차폐하여, 사용위치나 환경에 무관하게 칼라브라운관 제조시의 컨버전스 특성을 유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칼라브라운관의 화질의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칼라 브라운관의 네크 상의 펀넬 직후방에 구비되는 홀더 상에 설치되며, 각각 복수의 자극을 가지는 마그네트링으로 된 페어들을 구비하는 칼라브라운관의 컨버 전스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페어의 링의 자극 외측에 외부자계를 차폐하는 시일드판이 적어도 한쌍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브라운관의 컨버전스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드판이 상기 링의 상하 또는 좌우중의 적어도 어느 양측에 대향하는 한쌍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브라운관의 컨버전스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을 회전시키는 핸들이 상기 시일드판의 적어도 일부를 수납하는 수납홈을 형성하도록 L자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브라운관의 컨버전스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L자형의 핸들이 상기 링의 양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브라운관의 컨버전스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의 몸체에 상기 시일드판이 관통되는 절개홈이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링이 내측링과 외측링으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브라운관의 컨버전스장치.
  6. 제1항 또는 제5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이 상기 내측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브라운관의 컨버전스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시일드판이 각각 상기 링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서로 달라 비대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브라운관의 컨버전스장치.
  8. 제5항 또는 제7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시일드판중 한 시일드판은 상기 링의 외측에 위치하고, 나머지 한 시일드판은 상기 링에 형성된 상기 절개홈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브라운관의 컨버전스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링의 외측에 위치하는 시일드판의 적어도 일부를 수납하는 수납홈을 형성하는 L자형의 핸들이 상기 링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브라운관의 컨버전스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두 시일드판이 각각 반경이 서로 다른 반원형의 원호로 연장되어, 상기 링의 둘레를 차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브라운관의 컨버전스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드판이 크랭크 형태로 2차 절곡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브라운관의 컨버전스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페어의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가 구비되고, 상기 스페이서에 상기 시일드판이 관통 지지되는 관통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브라운관의 컨버전스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시일드판중 한 시일드판은 상기 링의 외측에 위치하고, 나머지 한 시일드판은 상기 링에 형성된 상기 절개홈 내에 위치하며, 상기 외측 시일드판을 지지하는 상기 스페이서의 관통홈은 돌출탭상에 형성되고, 상기 절개홈 내의 시일드판을 지지하는 관통홈은 상기 스페이서의 몸체 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브라운관의 컨버전스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전방에 상기 외부자계에 의해 상기 펀넬 측에 발생되는 유도자계의 침투를 방지하는 차단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브라운관의 컨버전스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드판은 니젤과 철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브라운관의 컨버어전스장치.
KR1019980059113A 1998-12-28 1998-12-28 칼라브라운관의컨버전스장치_ KR100303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9113A KR100303832B1 (ko) 1998-12-28 1998-12-28 칼라브라운관의컨버전스장치_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9113A KR100303832B1 (ko) 1998-12-28 1998-12-28 칼라브라운관의컨버전스장치_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255A KR19990024255A (ko) 1999-03-25
KR100303832B1 true KR100303832B1 (ko) 2001-11-30

Family

ID=37529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9113A KR100303832B1 (ko) 1998-12-28 1998-12-28 칼라브라운관의컨버전스장치_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383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556A (ja) * 1996-07-11 1998-01-27 Nec Home Electron Ltd コンバーゼンス調整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556A (ja) * 1996-07-11 1998-01-27 Nec Home Electron Ltd コンバーゼンス調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255A (ko) 199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99761A (en) Colour picture tubes containing an in-line type electron gun assemblies
KR100303832B1 (ko) 칼라브라운관의컨버전스장치_
JP3638311B2 (ja) カラー受像管
KR20010027425A (ko) 칼라브라운관의 컨버전스장치
US5157302A (en) Color picture tube device with static convergence adjuster
US6060824A (en) Color cathode ray tube with specific placement of magnetic plate
KR100303928B1 (ko) 칼라브라운관의컨버전스장치
EP1503397B1 (en) Color picture tube apparatus
US6268689B1 (en) Convergence assembly including a correction ring for a color cathode ray tube
KR100413446B1 (ko) 칼라수상관
KR100389544B1 (ko) 음극선관용 마그네트 결합체
KR100324480B1 (ko) 칼라브라운관의 컨버전스장치
KR100573095B1 (ko) R/b마그네트 조립체와 이를 구비한 칼라 음극선관
JP3984605B2 (ja) カラー受像管装置
KR19980042445A (ko) 빔컨버젼스를 향상시킨 칼라음극선관
KR800000934B1 (ko) 칼러 수상관
KR100346413B1 (ko) 칼라브라운관의 컨버전스장치
KR20040009232A (ko) 칼라 음극선관의 빔 얼라인먼트 장치
KR19990012682A (ko) 지자계 차폐수단을 구비하는 음극선관
KR19990064459A (ko) 인라인형 칼라브라운관의 빔로테이션 조정 마그네트
JPH06139954A (ja) カラーブラウン管装置
KR20010027424A (ko) 칼라브라운관의 컨버전스장치
JP2000057965A (ja) カラー受像管装置
KR20000041356A (ko) 음극선관용 마그네트 결합체
JPH0676757A (ja) コンバージェン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