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3821B1 -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motor vehicle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mot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3821B1
KR100303821B1 KR1019930007484A KR930007484A KR100303821B1 KR 100303821 B1 KR100303821 B1 KR 100303821B1 KR 1019930007484 A KR1019930007484 A KR 1019930007484A KR 930007484 A KR930007484 A KR 930007484A KR 100303821 B1 KR100303821 B1 KR 100303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air
passage
duct
evapo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74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태영
Original Assignee
신영주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주,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영주
Priority to KR1019930007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382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3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3821B1/en

Links

Abstract

PURPOSE: An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motor vehicle is provided to achieve improved cooling/heating efficiency for passenger compartment by controlling the air flowing through the air conditioning duct. CONSTITUTION: An air conditioning apparatus comprises a duct(70) including a first section(71) for introduction of air; a second section(72) communicated to the first section, and which has a first path(72a) and a second path(72b); a third section(73) communicated to the second section, and which passes the air passed through the first path and second path of the second section; a fourth section(74) communicated to the third section, and which has a third path(74a) and a fourth path(74b); and an open/shut unit(80) for controlling an air flow path in such a manner that the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section passes through the second path of the second section, the third section and the third path of the fourth section during heating operation, and controlling an air flow path in such a manner that the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section passes through the first path of the second section, the third section and the fourth path of the fourth section during heating operation. An auxiliary condenser(52) is arranged at the first path of the second section, and an evaporator(51) is arranged at the third path of the fourth section. A bypass unit(90) for partially bypassing the air passed through the evaporator is arranged in the rear side of the third path of the fourth section.

Description

자동차용 공기 조화장치Automotive Air Conditioning Units

제1도는 종래 자동차용 공기 조화장치를 도시한 개략도.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automotive air conditioner.

제2도는 종래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의 다른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conventional automotive air conditioner.

제3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공기조화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3 and 4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a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5도는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를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를 도시한 개략도.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51 : 증발기 52 : 보조 응축기51: evaporator 52: auxiliary condenser

53 : 압축기 54 : 주 응축기53: Compressor 54: Main Condenser

55 : 제1연결관 57 : 제2연결관55: first connector 57: second connector

58 : 3웨이 밸브 59 : 제3연결관58: three-way valve 59: third connector

70,100 : 덕트 70, 101 : 제1구간70,100: Duct 70, 101: Section 1

72, 102 : 제2구간 73 : 제3구간72, 102: Second section 73: Third section

74 : 제4구간 80, 110 : 개폐수단74: fourth section 80, 110: opening and closing means

90, 120 : 바이패스 수단90, 120: bypass means

본 발명은 자동차용 공기 조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히이트 펌프(heat pump)의 원리를 이용한 전기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conditioner for an electric vehicle using the principle of a heat pump.

지구 온실화 현상에 의거한 환경문제가 세계적인 관심사로 대두됨에 따라 세계 각국의 자동차 업체와 자동차 관련기관에서는 공해발생의 주범으로 지목받고 있는 가솔린 자동차를 대신할 수 있는 무공해 자동차 즉, 전기자동차, 수소자동차, 태양전지를 이용한 자동차등의 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와 더불어 자동차 및 가정용 에어콘 업체 역시 대체 냉매를 이용한 공기조화 장치의 개발에 전력을 다하고 있다.As the environmental problem based on the global greenhouse effect has become a global concern, automobile companies and automobile related organizations around the world can replace gasoline cars, which are considered as the main causes of pollution, namely electric cars and hydrogen cars. In addition, the company is devoted to the development of automobiles using solar cells, and in addition to these trends, automobile and household air conditioners are also making efforts to develop air conditioners using alternative refrigerants.

이러한 무공해 자동차 중에서 가장 개발이 앞서고 있는 것이 전기 자동차이며 이 전기 자동차에 적용되는 공기조화 장치는 현재 가솔린 엔진 차량과 같이 엔진 냉각수에 의한 가열원을 얻을 수 없기 때문에 현재 사용되고 있는 냉동 사이클과 별도의 히이터를 구비하여 사용하거나 히트 펌프의 원리를 이용한 것을 사용하고 있다.Of these pollution-free vehicles, electric vehicles are the most advanced, and the air conditioners applied to these electric vehicles are not able to obtain a heating source by engine coolant like gasoline engine vehicles. Equipped with or using the principle of the heat pump.

제1도에는 이러한 냉방장치중 히트 펌프의 원리를 이용한 공기조화장치의 일예를 나타내 보였다.1 shows an example of an air conditioner using the principle of a heat pump in such a cooling device.

이것은 덕트(11) 내외부에 실내 열교환기(12)와 실외 열교환기(13)가 각각 설치되고, 이 실내외 열교환기(12)(13)는 열교환 매체가 흐르는 제1연결관(15)에 의해 폐회로를 구성하게 되고 이 제1연결관(15)에는 압축기(27)가 설치되는데, 이는 실내외 열교환기(12)(13)에 흐르는 열교환 냉매의 흐름의 방향을 절환할 수 있는 4웨이 밸브(18)와 제2연결관(19)에 의해 연결설치 된다. 그리고 상기 공조 덕트(11)내의 실내 열교환기(12)의 후부에는 별도의 전열 히이터(14)가 더 구비된다. 미설명 부호(20)은 도어이다.The indoor heat exchanger 12 and the outdoor heat exchanger 13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side and outside the duct 11, and the indoor and outdoor heat exchanger 12 and 13 are closed by a first connecting pipe 15 through which a heat exchange medium flows. The first connection pipe 15 is provided with a compressor 27, which is a four-way valve 18 that can switch the flow direction of the heat exchange refrigerant flowing in the indoor and outdoor heat exchanger (12) (13) And is installed by the second connecting pipe (19). In addition, a separate heat transfer heater 14 is further provided at a rear portion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12 in the air conditioning duct 11. Reference numeral 20 is a door.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공기조화장치는 냉방시에 실내 열교환기(12)가 증발기 역할을 하고 실외 열교환기(13)는 방열기 역할을 하며, 난방시에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12)가 방열기 역할을 하고 실외 열교환기(13)가 증발기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상기 4웨이 밸브(18)로서 열교환 매체의 순환 방향으로 절환하여 냉난방 운전을 행하게 된다.In the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indoor heat exchanger 12 serves as an evaporator during cooling and the outdoor heat exchanger 13 serves as a radiator, and the indoor heat exchanger 12 serves as a radiator during heating. The four-way valve 18 is switched to the circulation direction of the heat exchange medium to perform the cooling and heating operation so that the heat exchanger 13 may serve as an evaporator.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공기조화장치는 실내 열교환기가 냉각 또는 가열의 어느 한 쪽밖에 행하지 않기 때문에 수냉식 엔진 탑재차량의 공기조화장치와 같이 냉방시에 유리창의 김서림 방지를 행하는 경우 실내 열교환기(12)에서 냉각된 공기를 별도로 설치된 전열 히이터(14)을 이용하여 재가열하여야 하므로 냉난방에 따른 소비 전력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in the indoor heat exchanger 12 when the indoor heat exchanger performs only one of cooling or heating, when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of the water-cooled engine-mounted vehicle performs anti-fog of the glass window during cooling. Since the air must be reheated by using the heat transfer heater 14 separately install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power consumption increases due to heating and cooling.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제2도에 나타내 보인 바와같이 덕트(21)의 내부에 적어도 두개의 공기 통로를 형성하는 격벽(22)이 마련되고, 이 격벽(22)에 의해 분리 형성된 통로의 전면에는 각 통로로 공기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도어(23)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격벽(22)에 의해 분리된 일측의 통로에는 보조 응축기(26)가 설치되고, 덕트(21)의 유입구측에는 증발기(25)가 설치된다. 이 증발기(25)와 보조 응축기(26)는 압축기(27)와 제1연결관(28)에 의해 연결되어 폐회로를 구성하게 되고, 상기 압축기(27)와 보조 응축기(26) 사이의 제1연결관(28)에는 실외측에 위치되는 주 응축기(29)가 설치되며 이 주 응축기(29)의 입구측과 출구측을 연결하는 제1연결관(28)은 입구측의 제1연결관(28)에 설치된 3웨이 밸브(31)와 제2연결관(32)에 의해 연결된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s shown in FIG. 2, a partition wall 22 is formed in the duct 21 to form at least two air passages, and a passage formed separately by the partition wall 22 is provided. The front of the door 23 is installed to selectively control the flow of air to each passage. An auxiliary condenser 26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passage separated by the partition wall 22, and an evaporator 25 is installed at an inlet side of the duct 21. The evaporator 25 and the auxiliary condenser 26 are connected by the compressor 27 and the first connecting pipe 28 to form a closed circuit, and the first connection between the compressor 27 and the auxiliary condenser 26 is performed. The pipe 28 is provided with a main condenser 29 located on the outdoor side, and the first connection pipe 28 connecting the inlet side and the outlet side of the main condenser 29 has a first connection tube 28 on the inlet side. It is connected by the three-way valve 31 and the second connecting pipe (32) installed in the).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자동차용 공기 조화장치는 냉방운전시, 밴트 모드(vent mode)이면 상기 도어(23)가 회동되어 보조 응측기(26)가 설치된 통로를 차단하게 되고 상기 압축기(27)와 연결된 주 응축기(29)와 증발기(25)로 열교환 매체가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공조 덕트를 흐르는 공기는 증발기(25)를 통과하면서 냉각되어 자동차의 실내로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난방운전시에는 3웨이 밸브(31)가 닫힘으로써 별도의 폐회로를 구성하여 압축기(27)에 의해 펌핑되는 열교환 매체가 보조 응축기(26)와 증발기(25)을 통하여 흐르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23)를 조작하여 보조 응축기(26)가 설치된 통로가 열리도록 한다. 이와같이 하면 상기 공조 덕트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증발기(25)에 의해 일차적으로 냉각된 후 보조 응축기(26)에 의해 가열되어 자동차의 실내로 공급되게 된다. 이때에 상기 증발기(25)에서 흡수하는 열량은 보조 응축기(26)에 의해 방열되는 열량보다 적다. 즉, 상기 보조 응축기(26)를 통과하는 열교환매체는 증발기로(25)로 부터 흡수한 열량과 압축기(27)의 압축일량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보조 응축기(26)로 부터의 방열량이 많아 자동차의 실내를 난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conventional automotive air condition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main mode connected to the compressor 27 to block the passage in which the auxiliary 23 is rotated when the door 23 is rotated when the vent mode is in the vent mode. The heat exchange medium passes through the condenser 29 and the evaporator 25. Therefore, the air flowing through the air conditioning duct is cooled while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25 is supplied 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In the heating operation, the three-way valve 31 is closed to form a separate closed circuit so that the heat exchange medium pumped by the compressor 27 flows through the auxiliary condenser 26 and the evaporator 25. Then, the door 23 is operated to open a passage in which the auxiliary condenser 26 is installed. In this way, the air flowing into the air conditioning duct is primarily cooled by the evaporator 25 and then heated by the auxiliary condenser 26 to be supplied 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t this time, the amount of heat absorbed by the evaporator 25 is less than the amount of heat radiated by the auxiliary condenser 26. That is, since the heat exchange medium passing through the auxiliary condenser 26 includes the amount of heat absorbed from the evaporator 25 and the compression work of the compressor 27, the amount of heat dissipation from the auxiliary condenser 26 is large. Will be able to heat.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는 난방모드시 외부로 부터 공조 덕트(21)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증발기(25)에서 냉각되고 보조 응축기(26)에 의해 가열된후 덕트를 통하여 자동차의 실내로 공급되게 되므로 만족할 만한 난방성능을 얻을 수 없으며, 자동차 내부의 온도를 소정의 온도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자동차의 실내 공기를 순환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for automobiles is the air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air conditioning duct 21 from the outside in the heating mode is cooled in the evaporator 25 and heated by the auxiliary condenser 26 and then through the car through the duct Since it is supplied to the interior of the room can not obtain a satisfactory heating performance, there was a problem that must circulate the indoor air of the car to maintain the temperature inside the car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공조 덕트 내부로 흐르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여 자동차 실내의 냉난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공기 조화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air conditioner that can improve the air-conditioning efficiency of the vehicle interior by controlling the flow of air flowing into the air conditioning duc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기를 일방향으로 유통시키는 덕트와, 상기 덕트내에 위치되는 증발기와 보조 응축기, 상기 증발기 및 보조 응축기와 공조 회로를 구성하는 압축기 및 주응축기, 상기 공조 회로상에 마련되어 냉매의 유통을 제어하여 냉매의 유통이 상기 보조 응축기와 상기 주응축기에 대해 선택적으로 이루어 지도록 결정하는 밸브를 구비하는 자동차용 공기 조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공기가 인입되는 제1구간; 제1구간에 연속하며, 독립된 2개의 나란한 제1통로와 제2통로를 가지는 제2구간; 상기 제2구간에 연속되며, 제2구간의 제1통로와 제2통로를 통과한 공기가 공히 통과되는 제3구간; 상기 제3구간에 연속되며, 독립된 2개의 제3통로와 제4통로를 가지는 제4구간;을 갖추며, 또한, 상기 덕트에는, 냉방시 상기 제1구간으로 인입된 공기가 상기 제2구간의 제2통로-제3구간-제3통로를 잇는 유통경로로 유통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난방시에는, 상기 제1구간으로 인입된 공기가 상기 제2구간의 제1통로와 - 제3구간 - 제4통로를 잇는 유통경로를 유통될 수 있도록 공기의 유통경로를 제어하는 구간별 통로 선택적 개폐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보조응축기는 공기 인입측이 제1구간에 연속된 상기 제2구간의 제1통로상에, 그리고 상기 증발기는 공기 배출이 이루어지는 제4구간의 상기 제3통로상에 마련되며, 상기 제3통로의 후측에는 난방시 증발기를 통과한 일부의 공기를 바이패스 시키는 바이패스 수단이 마련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uct for distributing air in one direction, a compressor and a main condenser constituting an air conditioning circuit with an evaporator and an auxiliary condenser, an evaporator and an auxiliary condenser located in the duct, and an air conditioning circuit.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having a valve for controlling a flow of a coolant to determine a flow of a coolant selectively to the auxiliary condenser and the main condenser, the duct comprising: a first section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A second section continuous to the first section and having two independent first and second parallel passages; A third section continuous to the second section and through which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passage and the second passage of the second section pass; A fourth section that is continuous to the third section and has two independent third and fourth passages; and further, in the duct,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section when cooling the first section; In addition, the air flows into the first section and the first passage of the second section and the third section. Section-specific passage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controlling the distribution path of the air is provided so that the distribution path connecting the fourth passage is provided, the auxiliary condenser has a first in the second section in which the air inlet side is continuous in the first section On the passage and the evaporator is provided on the third passage of the fourth section through which the air is discharged, and on the rear side of the third passage is provided with bypass means for bypassing some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during heating. It is characterized by that.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공기를 일방향으로 유통시키는 덕트와, 상기 덕트내에 위치되는 증발기와 보조 응축기, 상기 증발기 및 보조 응축기와 냉매 회로를 구성하는 압축기 및 주응축기, 상기 냉매 회로상에 마련되어 냉매의 유통을 제어하여 냉매의 유통이 상기 보조 응축기와 상기 주응축기에 대해 선택적으로 이루어 지도록 결정하는 밸브를 구비하는 자동차용 공기 조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공기가 인입되며 단일 통로로 형성된 제1구간; 제1구간에 연속하며 독립된 2개의 제1통로와 제2통로를 가지는 제2구간;을 구비하며, 상기 덕트에는, 냉방시, 상기 제1구간으로 인입된 공기가 상기 제2구간의 제1통로로 유통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난방시에는, 상기 제1구간으로 인입된 공기가 상기 제2구간의 제2통로의 유통경로로 유통될 수 있도록 공기의 유동경로를 제어하는 구간별 통로 선택적 개폐수단이 마련되며, 상기 응축기는 공기 인입측인 상기 제1구간 상에 그리고 상기 증발기는 공기 배출이 이루어 지는 제2구간의 제1통로상에 설치되며, 상기 제2통로의 후측에는 난방시 증발기를 통과한 일부의 공기를 바이패스 시키는 바이패스 수단이 마련된 것이다.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uct for circulating air in one direction, an evaporator and an auxiliary condenser located in the duct, a compressor and a main condenser constituting the refrigerant circuit and the evaporator and an auxiliary condenser, and a refrigerant provided on the refrigerant circuit. 1. An air conditioner for an automobile having a valve for controlling flow to determine a flow of refrigerant to be selectively made to the auxiliary condenser and the main condenser, wherein the duct is a first section formed of a single passage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 And a second section having two independent first passages and a second passage continuous to the first section, wherein the duct includes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section during cooling, when the air flows into the first section. In addition, the passage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each section for controlling the flow path of air so that the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section can be distributed to the distribution route of the second passage of the second section. Means are provided, the condenser is installed on the first section of the air inlet side and the evaporator is installed on the first passage of the second section where air is discharged, and on the rear side of the second passage the evaporator on heating Bypass means for bypassing some of the air that has passed is provid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공기 조화장치는 제3도에 나타내 보인 바와같이 열교환 매체가 흐르는 공조회로(50)와, 이 회로의 증발기와 보조 응축기가 설치된 덕트(70)로 대별된다.As shown in FIG. 3, the automotiv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oughly divided into an air conditioning circuit 50 through which a heat exchange medium flows, and a duct 70 provided with an evaporator and an auxiliary condenser of the circuit.

상기 공조회로(50)는 상기 덕트(70)의 내부에 증발기(51)와 보조 응축기(52)가 설치되고 상기 증발기(51)의 출구와 보조 응축기(52)의 입구는 압축기(53)와 주 응축기(54)가 연결설치된 제1연결관(55)에 의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51)의 입구측과 보조 응축기(52)의 출구는 첵크 밸브(56)가 설치된 제2연결관(57)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압축기(53)의 출구측에 연결된 제1연결관(55)에는 3웨이 밸브(58)가 설치되고 이 3웨이 밸브(58)는 주 응축기(54) 출구측의 제1연결관(55)과 제3연결관(59)에 의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 응축기(52)의 열교환 매체 입구와 인접되는 제1연결관(55)에는 이를 따라 흐르는 열교환 매체를 선택적으로 보조 응축기(52) 또는 제2연결관(57) 측으로 흐르도록 절환시키는 절환 밸브(60)가 설치된다. 이때에 절환밸브(60)는 3웨이 밸브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In the air conditioning circuit 50, an evaporator 51 and an auxiliary condenser 52 are installed in the duct 70, and an outlet of the evaporator 51 and an inlet of the auxiliary condenser 52 are connected to the compressor 53 and the main. The condenser 54 is connected by the first connecting pipe 55 is installed. In addition, an inlet side of the evaporator 51 and an outlet of the auxiliary condenser 52 are connected by a second connecting tube 57 provided with a shank valve 56 and a first connection connected to the outlet side of the compressor 53. The pipe 55 is provided with a three-way valve 58, which is connected by a first connecting pipe 55 and a third connecting pipe 59 on the outlet side of the main condenser 54. The first connecting pipe 55 adjacent to the heat exchange medium inlet of the auxiliary condenser 52 switches the heat exchange medium flowing therethrough to selectively flow to the auxiliary condenser 52 or the second connection pipe 57. 60 is installed.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witching valve 60 uses a three-way valve.

그리고 상기 증발기(51)와 보조 응축기(52)가 설치되는 덕트(70)는 제3도에 나타내 보인 바와같이 공기가 유입되는 제1구간(71)이 형성되고 이 제1구간(71)과 연속되며 독립된 두개의 제1,2통로(72a)(72b)가 마련된 제2구간(7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구간(72)와 연속되며 상기 제1,2통로(72a)(72b)를 통과한 공기가 공히 통과하는 제3구간(73)이 형성되고 상기 제3구간(73)에 연속되며 서로 나란한 독립된 두개의 제3,4통로(74a)(74b)가 마련된 제4구간(74)이 마련된다. 여기에서 상기 공조회로(50)의 보조 응축기(52)는 제2구간(72)의 제1통로(72a)에 설치되고 상기 증발기(51)은 제4구간(74)의 제1통로(74a)에 설치된다. 그리고 각 통로의 전후단에는 제1구간(71)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각 통로로 선택적으로 흐르게 할 수 있는 개폐수단(80)이 마련되고 상기 제3통로(74a)의 후단에는 냉방시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의 일부를 바이패스 시키는 바이패스 수단(90)이 마련된다.In addition, the duct 70 in which the evaporator 51 and the auxiliary condenser 52 are installed has a first section 71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as shown in FIG. 3, and continues with the first section 71. The second section 72 is provided with two independent first and second passages 72a and 72b. And a third section 73 which is continuous with the second section 72 and through which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passages 72a and 72b passes through is formed and is continuous with the third section 73. A fourth section 74 in which two independent third and fourth passages 74a and 74b are arranged next to each other is provided. Here, the auxiliary condenser 52 of the air conditioning circuit 50 is installed in the first passage 72a of the second section 72 and the evaporator 51 is the first passage 74a of the fourth section 74. Is installed on. In addition, opening and closing means 80 are provided at front and rear ends of each passage to allow the air flowing into the first section 71 to selectively flow into the respective passages, and a rear end of the third passage 74a passes through the evaporator during cooling. Bypass means 90 is provided for bypassing a portion of the air.

상기 각 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수단(80)은 상기 제2구간(72)의 전후 출구측에는 제1,2도어(81)(82)가 설치되어 제1,2통로(72a)(72b)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4구간(74)에 마련된 제3,4통로(74a)(74b)의 입구측에는 이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3도어(83)이 설치되어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80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passages is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doors 81 and 82 at the front and rear exit sides of the second section 72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passages 72a and 72b are provided. It can b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and the third door (83)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it is provided on the inlet side of the third and fourth passages (74a, 74b) provided in the fourth section (74).

상기 바이패스 수단(90)은 냉방시 상기 제3통로(74a)를 통과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제3통로(74a)의 후단에 바이패스 통로(91)이 형성되고 이의 입구에는 바이패스 통로(9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4도어(92)가 설치되어 된 것이다.The bypass means 90 is for cooling the air passing through the third passage (74a) to the outside when the cooling, the bypass passage 91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third passage (74a) and the The inlet is provided with a fourth door 92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bypass passage 91.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그 공조회로는 상술한 바와같은 실시예에서 기술한 것과 동일하나 덕트(100)는 제5도에 나타내보인 바와같이 송풍기에 의해 자동차의 내부 또는 외기가 유입되며 단일의 통로로 이루어진 제1구간(101)이 마련되고 이 제1구간(101)과 연속되며 독립된 두개의 제1,2통로(102a)(102b)가 상호 나란하게 형성된 제2구간(102)이 마련되며, 제1,2통로(102a)(102b)의 입구측으로 공기가 선택적으로 흐를 수 있도록 개폐하는 개폐수단(110)으로는 제1,2통로(102a)(102b)의 입구측에 제1도어(111)가 마련된다. 여기에서 상기 공조회로를 구성하는 증발기(51)는 제1통로(101a)에 설치되고 보조 응축기(52)는 제1구간(101)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통로(102a)의 후측에는 냉방시에 증발기(51)를 통과한 공기를 바이패스 시키는 바이패스 수단(120)이 설치되는데, 이 바이패스 수단(120)은 제1통로(102a)의 후단부에 바이패스 통로(121)가 형성되고 이의 입구측에는 이를 개폐하는 도어(122)가 설치된다.In another embodiment of a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conditioning circuit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ut the duct 100 is formed by the blower as shown in FIG. The first section 101 formed of a single passage is provided inside or outside air, and the first and second passages 102a and 102b which are continuous and independent of the first section 101 are form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The second section 102 is provided,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11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air to selectively flow to the inlet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passages 102a and 102b is the first and second passages 102a and 102b. The first door 111 is provided at the entrance side of the. Here, the evaporator 51 constituting the air conditioning circuit is installed in the first passage 101a and the auxiliary condenser 52 is installed in the first section 101. In addition, a bypass means 120 is installed at the rear side of the first passage 102a to bypass the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51 at the time of cooling, and the bypass means 120 includes the first passage 102a. The bypass passage 121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door 122 and a door 122 is installed at the inlet side thereof.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automotiv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자동차 실내를 냉방하기 위한 냉방 운전시에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덕트(70)의 내부에 설치된 제1도어(81)를 조작하여 덕트(70)의 제1구간(71)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제2통로(72b)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제2,3도어(82)(83)를 조작하여 각각 제4통로(74b)의 입구와 제1통로(72a)의 출구가 닫히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공조회로의 3웨이 밸브(58)와 절환밸브(60)를 조작하여 압축기(53)로 부터 압축된 열교환 매체가 제1화살표(200)로써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보조 응축기(52)를 통과하지 않고 제1연결관(55)과 제2연결관(57) 및 증발기(51)를 따라 흐를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증발기(51)에서 열을 흡수하여 주 응축기(54)에서 열을 방출하도록 한다. 따라서 공조 덕트(70)의 제1구간(71)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제2통로(72b)를 통하여 제3구간(73)으로 유입되게 되고 이 공기는 제4구간(74)의 제3통로(74a)에 설치된 상기 증발기(51)를 통과하면서 냉각되어 자동차의 실내로 공급되게 된다.First, during the cooling operation for cooling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s shown in FIG. 3, the first door 81 installed in the duct 70 is operated to flow into the first section 71 of the duct 70. To allow the air to be introduced into the second passage 72b and to operate the second and third doors 82 and 83 to close the inlet of the fourth passage 74b and the outlet of the first passage 72a, respectively. do. In this state, by operating the 3-way valve 58 and the switching valve 60 of the air conditioning circuit, the heat exchange medium compressed from the compressor 53 passes through the auxiliary condenser 52 as shown by the first arrow 200. Instead of allowing heat to flow along the first connecting pipe 55, the second connecting pipe 57, and the evaporator 51, the heat is absorbed by the evaporator 51 to release heat from the main condenser 54. Therefore, the air flowing into the first section 71 of the air conditioning duct 70 is introduced into the third section 73 through the second passage 72b and the air passes through the third passage (4) of the fourth section 74. Cooled while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51 installed in 74a) is supplied 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그리고 자동차의 실내를 따뜻하게 하기 위한 난방운전시에는 제4도에 나타내 보인 바와같이 상기 덕트(70) 내부의 제1도어(81)가 조작되어 제2통로(72b)의 입구가 닫히고 제1통로(72a)의 입구가 열리며 제3도어(83)가 조작되어 제3통로(74a)의 일부가 닫히고 제4통로(74b)가 열린다. 그리고 제2도어(82)가 조작되어 제2통로(72b)의 출구가 닫히고 제1통로(72a)의 출구가 열리며 상기 바이패스 통로(91)의 입구에 설치된 제4도어(92)에 의해 바이패스 통로(91)가 열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조회로의 3웨이 밸브(58)와 절환 밸브(60)가 조작되어 압축기(53)으로 부터 토출된 열교환 매체가 주 응축기(54)를 통과하지 않고 제3연결관(59)과 절환 밸브(60)를 통하여 보조 응축기(52)로 유입되게 된다.(제2화살표(300)에 의한 냉매 흐름방향 표시 참조)In the heating operation for warming the interior of the automobile, as shown in FIG. 4, the first door 81 inside the duct 70 is operated to close the entrance of the second passage 72b and to close the first passage ( The entrance of 72a is opened and the third door 83 is operated to close a part of the third passage 74a and open the fourth passage 74b. The second door 82 is operated to close the outlet of the second passage 72b, open the outlet of the first passage 72a, and be provided by the fourth door 92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bypass passage 91. Bypass passage 91 is opened. Then, the three-way valve 58 and the switching valve 60 of the air conditioning circuit are operated so that the heat exchange medium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53 does not pass through the main condenser 54 and the third connecting pipe 59 and the switching valve. It is introduced into the auxiliary condenser 52 through the 60 (see the indication of the refrigerant flow direction by the second arrow 300).

이와 같이 하면 보조 응축기(52)에서 주 방열이 일어나게 되므로 상기 덕트(70)의 제1구간(71)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1통로(72a)를 통과하면서 이에 설치된 보조 응축기(52)에 의해 가열된 후 제3구간(73)과 제4구간(74)의 제4통로(74b)를 통하여 자동차의 실내로 공급되게 된다. 이때에 상기 제3통로(74a)의 입구에 설치된 제3도어(83)는 완전히 닫지 않고, 상기 제3통로(74a)의 일부만 닫기 때문에 보조 응축기(52)를 통과한 가열 공기의 일부가 상기 증발기(51)를 통과함에 따라 증발기의 내부의 열교환매체가 주위의 열을 흡수하게 되고,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는 냉각된후 바이패스 통로(92)를 통하여 취출되게 됨으로써 연속적인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되고 나아가서는 자동차의 실내을 난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this case, since the main heat dissipation occurs in the auxiliary condenser 52, the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section 71 of the duct 70 passes through the first passage 72a and is installed by the auxiliary condenser 52. After the heating, it is supplied 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through the fourth passage 74b of the third section 73 and the fourth section 74. At this time, since the third door 83 installed at the inlet of the third passage 74a is not completely closed, but only a part of the third passage 74a is closed, a part of the heating air passing through the auxiliary condenser 52 is passed through the evaporator. As it passes through (51), the heat exchange medium inside the evaporator absorbs the surrounding heat, and the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is cooled and then blown out through the bypass passage (92), thereby achieving continuous heat exchange. Will be able to heat the interior of the car.

그리고 제5도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는 상술한 바와같이 공조회로(50)가 작동되며 제1구간(101)에 보조 응축기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난방 모드시 보조 응축기로 부터의 열교환 효율을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the air conditioning circuit 50 is operat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auxiliary condenser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section 101.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can be further improved.

이와같이 본 발명 히이트 펌프의 원리를 이용한 전기 자동차용 공기 조화장치는 공조 덕트의 내부를 냉방시 공기의 흐름통로와 냉방시 흐름 통로를 분리하여 종래에 문제시 되었던 난방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ir conditioner for an electric vehicle using the principle of the heat pump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heating efficiency, which has been a problem in the past, by separating the air flow passage and the air flow passage during cooling the air conditioner duct. .

Claims (4)

공기를 일방향으로 유통시키는 덕트와, 상기 덕트내에 위치되는 증발기와 보조 응축기, 상기 증발기 및 보조 응축기와 냉매 회로를 구성하는 압축기 및 주응축기, 상기 냉매 회로상에 마련되어 냉매의 유통을 제어하여 냉매의 유통이 상기 보조 응축기와 상기 주응축기에 대해 선택적으로 이루어 지도록 결정하는 밸브를 구비하는 자동차용 공기 조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덕트(70);는 공기가 인입되는 제1구간(71); 제1구간(71)에 연속하며, 독립된 2개의 나란한 제1통로(72a)와 제2통로(72b)를 가지는 제2구간(72), 상기 제2구간(72)에 연속되며, 제2구간(72)의 제1통로(72a)와 제2통로(72b)를 통과한 공기가 공히 통과되는 제3구간(73), 상기 제3구간(73)에 연속되며, 독립된 2개의 제3통로(74a)와 제4통로(74b)를 가지는 제4구간(74)을 구비하여 또한, 상기 덕트(70)에는, 냉방시, 상기 제1구간(71)으로 인입된 공기가 상기 제2구간(72)의 제2통로-제3구간-제3통로를 잇는 유통경로로 유통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난방시에는, 상기 제1구간(71)으로 인입된 공기가 상기 제2구간(72)의 제1통로와 - 제3구간 - 제4통로를 연결하는 유통경로를 유통될 수 있도록 공기의 유통경로를 제어하는 구간별 통로 선택적 개폐수단(80)이 마련되고, 상기 보조응축기는 공기 인입측이 제1구간(71)에 연속된 상기 제2구간(72)의 제1통로상(72a)에, 그리고 상기 증발기(51)는 공기 배출이 이루어지는 제4구간(74)의 상기 제3통로(74a)상에 마련되며, 상기 제3통로(74a)의 후측에는 난방시 증발기를 통과한 일부의 공기를 바이패스 시키는 바이패스 수단(90)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A duct for circulating air in one direction, an evaporator and an auxiliary condenser located in the duct, a compressor and a main condenser constituting the refrigerant circuit and an evaporator and an auxiliary condenser, and a refrigerant provided on the refrigerant circuit to control the circulation of the refrigerant. In the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having a valve for determining to be made selectively with respect to the auxiliary condenser and the main condenser, The duct (70); The first section of the air is introduced; A second section 72 that is continuous to the first section 71 and has two independent first and second parallel passages 72a and 72b, and is continuous to the second section 72, and the second section 72 Two independent passages (3) connected to the third section (73) and the third section (73) through which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passage (72a) and the second passage (72b) of (72) pass through each other; A fourth section 74 having 74a and a fourth passage 74b is provided, and in the duct 70,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section 71 is cooled in the duct 70. In addition, the air flowing into the first section 71 may be supplied to the distribution section connecting the second passage, the third segment, and the third passage. Sectional selective opening and closing means 80 for controlling the distribution path of the air is provided so that the distribution path connecting the first passage and the third section to the fourth passage is provided, and the auxiliary condenser has an air inlet side. The second continuous to the first section 71; On the first passageway 72a of the section 72 and the evaporator 51 is provided on the third passageway 74a of the fourth section 74 where air is discharged, and the third passageway 74a. The rear side of the) is provided with a bypass means for bypassing a portion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during heating 90 for a vehicle air conditio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70)의 후단부에 설치된 바이패스 수단(90)이 냉풍을 바이패스 시키는 바이패스 통로(91)와, 이의 입구를 개폐하는 제4도어(92)를 더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The bypass means (90) provided in the rear end of the duct (70) further comprises a bypass passage (91) for bypassing cold air and a fourth door (92)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thereof. Automotiv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공기를 일방향으로 유통시키는 덕트와, 상기 덕트내에 위치되는 증발기와 보조 응축기, 상기 증발기 및 보조 응축기와 냉매 회로를 구성하는 압축기 및 주응축기, 상기 냉매 회로상에 마련되어 냉매의 유통을 제어하여 냉매의 유통이 상기 보조 응축기와 상기 주응축기에 대해 선택적으로 이루어 지도록 결정하는 밸브를 구비하는 자동차용 공기 조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덕트(100);는 공기가 인입되며 단일 통로로 형성된 제1구간(101); 제1구간(101)에 연속하며 독립된 2개의 제1통로(102a)와 제2통로(102b)를 가지는 제2구간(102);을 구비하며, 상기 덕트(100)에는, 냉방시, 상기 제1구간(101)으로 인입된 공기가 상기 제2구간(102)의 제1통로(102a)로 유통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난방시에는, 상기 제1구간(101)으로 인입된 공기가 상기 제2구간(102)의 제2통로의 유통경로로 유통될 수 있도록 공기의 유통경로를 제어하는 구간별 통로 선택적 개폐수단(110)이 마련되며, 상기 보조 응축기(52)는 공기 인입측인 상기 제1구간(101) 상에 그리고 상기 증발기(51)는 공기 배출이 이루어 지는 제2구간(102)의 제1통로(102a)상에 설치되며, 상기 제1통로(102a)의 후측에는 난방시 증발기(51)를 통과한 일부의 공기를 바이패스 시키는 바이패스 수단(120)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기 조화장치.A duct for circulating air in one direction, an evaporator and an auxiliary condenser located in the duct, a compressor and a main condenser constituting the refrigerant circuit and an evaporator and an auxiliary condenser, and a refrigerant provided on the refrigerant circuit to control the circulation of the refrigerant.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having a valve configured to selectively be made to the auxiliary condenser and the main condenser, wherein the duct 100 comprises: a first section 101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and formed as a single passage; And a second section (102) having two first passages (102a) and a second passage (102b) that are continuous and independent of the first section (101). The duct (100) is provided with the The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section 101 can be distributed to the first passageway 102a of the second section 102 and, when heated, the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section 101 is Sectional passage selective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controlling the distribution path of the air is provided to be distributed in the distribution path of the second passage of the second section 102, the auxiliary condenser 52 is the air inlet side On the first section 101 and the evaporator 51 is installed on the first passageway 102a of the second section 102 where air is discharged, and on the rear side of the first passageway 102a during heating. The air conditioner for automobiles, characterized in that the bypass means 120 for bypassing some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5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100)의 후단부에 설치된 바이패스 수단(120)이 냉풍을 바이패스 시키는 바이패스 통로(121)와, 이의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122)를 더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bypass means 120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duct 100 is further provided with a bypass passage 121 for bypassing the cold wind, and a door 122 for opening and closing its entrance Automotive air conditio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KR1019930007484A 1993-04-30 1993-04-30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motor vehicle KR1003038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7484A KR100303821B1 (en) 1993-04-30 1993-04-30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mot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7484A KR100303821B1 (en) 1993-04-30 1993-04-30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motor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03821B1 true KR100303821B1 (en) 2001-11-30

Family

ID=37529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7484A KR100303821B1 (en) 1993-04-30 1993-04-30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mot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3821B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31905B2 (en) Air conditioning device for vehicle
US6748757B2 (en) Air conditioner for automobile
EP0356716B2 (en) Automotive air conditioning system
US5284025A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n electrically-powered motor vehicle
KR20160087001A (en) Heat pump system for vehicle
WO2014156585A1 (en) Air-conditioning device for vehicle
JP3233771B2 (en) Vehicle air conditioner
WO2013105201A1 (en) Vehicle air conditioner
JPH05104942A (en) Automotive air conditioner
JP3563094B2 (en) Vehicle air conditioner
WO2013105203A1 (en) Vehicle air-conditioning device
KR20160133028A (en) Heat pump system for vehicle
JP3354378B2 (en) Air conditioner
JPH05155245A (en) Automotive air-conditioner
US11117447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TWI779591B (en)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KR100303821B1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motor vehicle
JP2955899B2 (en) Automotive air conditioners
JPH06206439A (en) Heat pump type air-conditioning device for vehicle
JP3275321B2 (en) Automotive air conditioners
CN112543855A (en) Combination valve and vehicle air conditioner using same
CN217672056U (en) Heat pump air conditioning system for fuel cell vehicle
KR102513033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with dual HVAC heat exchanger for vehicle
KR20240039913A (en) Hvac system of an electric bus
KR20230164506A (en) Electric vehicle heat pump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