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2670B1 - 조립식 다목적 가구 - Google Patents

조립식 다목적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2670B1
KR100302670B1 KR1019990019315A KR19990019315A KR100302670B1 KR 100302670 B1 KR100302670 B1 KR 100302670B1 KR 1019990019315 A KR1019990019315 A KR 1019990019315A KR 19990019315 A KR19990019315 A KR 19990019315A KR 100302670 B1 KR100302670 B1 KR 100302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prefabricated
support
slide
bas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9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5018A (ko
Inventor
박우희
Original Assignee
박우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우희 filed Critical 박우희
Priority to KR1019990019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2670B1/ko
Publication of KR20000075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5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2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26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2Paving elements vertically interloc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4Puzzle-lik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다목적 가구에 관한 것으로, 선반,바구니,서랍 및 옷걸이등의 복합적인 기능을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사용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조립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조립/분해는 물론 운반/보관이 매우 편리한 조립식 다목적 가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정 간격을 두고 세로로 설치되는 한쌍의 지주부재; 상기 지주부재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선반부재; 상기 선반부재를 상기 지주부재에 결합하는 선반 결합수단; 상기 지주부재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며,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서랍; 상기 서랍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서랍 슬라이드 이동수단; 및 상기 지주부재 하측에 설치되어 받침 역할을 하는 받침부재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조립식 다목적 가구{FURNITURE HAVING A MULTIPLE-PURPOSE FOR FABRICATED TYPE}
본 발명은 조립식 다목적 가구에 관한 것으로, 복합적인 기능을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사용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조립식 다목적 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용으로 사용되는 가구로는 옷을 수납할 수 있는 장농과, 물건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선반과, 옷을 걸 수 있는 옷걸이등이 있으며 이들은 별도의 제품으로 제작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종래에는 옷수납 기능과, 선반기능과, 옷걸이 기능을 갖는 다용도 기능을 복합적으로 갖는 가구가 없었기 때문에 소비자는 각각의 가구를 별도로 구입할 수 밖에 없었으며 그로 인하여 구입비용이 과다하게 지출되어 소비자에게 경제적 부담이 주어질 수도 있었으며, 또한 실내의 공간이 너무 많이 차지되어 공간활용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선반,바구니,서랍 및 옷걸이등의 복합적인 기능을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사용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운반/보관이 매우 용이한 조립식 다목적 가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 특징이 있다. 즉, 소정 간격을 두고 세로로 설치되는 한쌍의 지주부재; 상기 지주부재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선반부재; 상기 선반부재를 상기 지주부재에 결합하는 선반 결합수단; 상기 지주부재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며,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서랍; 상기 서랍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서랍 슬라이드 이동수단; 및 상기 지주부재 하측에 설치되어 받침 역할을 하는 받침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지주부재와 선반부재는 각각 사각 형상으로 일체 형성되며 그 최외곽에 위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내측에 설치되는 철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지주부재는, 상/하로 위치되며 내측에는 고정턱이 형성되는 상/하 프레임; 상기 상/하 프레임의 좌/우측에 위치되며 내측에는 고정턱이 형성되는 좌/우 프레임; 상기 상/하 프레임과 좌/우 프레임을 연결하는 'ㄱ' 자 연결구 및 상기 프레임의 고정턱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판재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지주부재의 상측 프레임에는 상기 지주부재를 천장에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 브라켓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지주부재의 외측면에는 소형 선반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더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소형 선반부재는, 상기 지주부재의 외측면에 걸림 유지되는 걸고리편; 상기 걸고리편에 볼트 결합되는 삼각형상의 지지편 및 상기 지지편 상측면에 고정되는 판재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고정 브라켓은, 그 측면 형상이 'U'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가운데에는 상기 지주부재의 프레임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그 양측에는 상기 천정에 볼트 고정되는 볼트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지주부재의 내측에는 소정의 무늬를 갖는 천을 설치하되, 상기 천은 천 고정구에 의해서 상기 지주부재 끝단에 고정되는 특징이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지주부재의 외측면 하부에는, 상기 지주부재에 착탈가능하게 화장대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화장대는, 수평으로 위치되는 수평부재; 상기 수평부재에 볼트 결합되어 상기 수평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하측에 설치되는 받침부재 및 상기 수평부재와 지지부재를 결합하는 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지주부재의 외측면 하부에는,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바구니 및 상기 바구니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바구니 슬라이드 이동수단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바구니 슬라이드 이동수단은, 상기 지주부재의 내측면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걸고리편; 상기 서랍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걸고리편에 볼트 결합되며, 그 상면에는 슬라이드 장홈이 형성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의 하방에 위치되며, 상기 바구니의 외측면 하단을 받쳐 주는 역할을 하는 받침레일; 상기 슬라이드 장홈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서랍부재의 양측에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되는 슬라이드봉 및 상기 가이드레일의 중간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서랍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시 상기 서랍의 이동을 제한하여 상기 서랍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톱퍼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바구니 걸고리편은 그 외측면의 상단에 상기 철망에 걸림되는 걸림홈을 갖는 ' ∩ ' 자 형상의 걸림부가 형성되고 하단에 상기 철망에 억지끼움될 수 있도록 ' ⊃ ' 자 형상의 억지끼움홈을 갖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그 내측면의 상/하단에 유동 방지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레일과 받침레일의 외측면에는 각각 상기 유동 방지홈에 삽입되는 유동 방지돌기가 형성되는 특징이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지주부재의 외측면 상부에는, 옷걸이를 걸 수 있도록 제 1연결봉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 1연결봉과 연결될 수 있도록 다른 지주부재의 측면 중간에는 제 2연결봉이 설치되며, 상기 제 1연결봉부재와 제 2연결봉부재 사이에는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조임부재가 설치되는 특징이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제 1및 제 2연결봉의 끝단에는 환형 걸고리편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환형 걸고리편은 그 상측에 걸림부가 형성되고, 중간에 상기 연결봉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특징이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제 1,제2 연결봉은 2단으로 이루어져 일측이 타측 내부로 중첩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특징이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지주부재의 하측에 볼트 결합될 수 있도록 그 상측에는 볼트공이 형성되고 하측에는 높이 조절용 링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특징이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서랍 슬라이드 이동수단은, 상기 지주부재의 내측면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걸고리편; 상기 서랍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걸고리편에 볼트 결합되며, 그 상면에는 슬라이드 장홈이 형성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슬라이드 장홈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서랍부재의 양측에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되는 슬라이드봉으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걸고리편의 중간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결합위치가 조절되도록 볼트장공이 세로로 대향되어 형성되는 특징이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지주부재의 측면에는 옷걸이 부재가 더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옷걸이 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측면에 근접되어 설치되며, 2단으로 이루어져 상하 길이 조절되는 수직봉; 상기 수직봉과 상기 지지부재를 수평으로 연결하며, 2단으로 이루어져 좌우 길이 조절되는 제 1횡봉; 상기 수직봉 중간에 설치되는 제 2횡봉 및 상기 수직봉 하측에 설치되는 바구니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선반 결합수단은, 상기 지주부재의 내측면에 걸림유지될 수 있도록 상측에 걸이부를 갖는 걸고리편; 상기 선반의 테두리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선반을 받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상기 걸고리편에 볼트 결합되는 받침편으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다목적 가구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주부재와 고정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선반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구니 슬라이드 이동수단 및 바구니 걸고리편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봉 및 환형 걸고리편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옷걸이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반 결합수단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서랍 슬라이드 이동수단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받침부재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천 고정구를 보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랍 슬라이드 이동수단을 설명하기위해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주부재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다목적 가구 110,310:지주부재
111:프레임 112:철망
113:고정 브라켓 113a:삽입홈
113b:볼트공 114:볼트
120:선반(부재) 130:선반 결합수단
132:걸고리편 132a:걸이부
132b:유동 방지홈 134a:유동방지홈
134:받침편 135:볼트
140:서랍 160:받침부재
162:볼트공 164:볼트조절용 링
170:소형 선반 l72:걸고리편
173:볼트 174:지지편
176:판재 180:화장대
182:수평부재 184:지지부재
186:받침부재 188:볼트/너트
190:바구니 슬라이드 이동수단
191:바구니 192:걸고리편
192a:걸림홈 192b:걸림부
192c:억지끼움홈 192d:돌기부
192e:유동방지홈 192f:유동방지돌기
193:가이드레일 193a:슬라이드 장공
194:받침레일 194a:유동방지 돌기
195:슬라이드봉 196:스톱퍼
197:볼트 210:제 1연결봉
212:환형 걸고리편 212b:걸림부
212c:삽입홈 220:제 2연결봉
230:조임부재 231:수직봉
232:제 1횡봉 233:제 2횡봉
234:소형 바구니 240:서랍 이동수단
242:걸고리편 244:가이드레일
245:볼트 244a:슬라이드장공
246:슬라이드봉 247:볼트장공
311:상/하 프레임 311a:고정턱
312:좌/우 프레임 312a:고정턱
313:연결구 314:판재
320:천 330:천 고정구
410:가이드레일 412:가이드홈
414:걸고리 416:롤러
420:이동대 424:롤러
500:도어 610:지지부재
612:상측부재 614:하측 부재
616:돌기 618:볼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다목적 가구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다목적 가구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주부재와 고정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선반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구니 슬라이드 이동수단 및 바구니 걸고리편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봉 및 환형 걸고리편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옷걸이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반 결합수단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서랍 슬라이드 이동수단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받침부재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여기에서 동일 형상으로 복수개로 이루어진 구성요소에는 편의상 그 일측에만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목적 가구(100)는 크게 한쌍의 지주부재(110)와 선반부재(120)와 선반 결합수단(130)과 서랍(140)과 서랍 슬라이드 이동수단(미도시)과 받침부재(160)와 바구니(191)와 바구니 슬라이드 이동수단(미도시)로 이루어져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부재(110)는 상호 소정 간격을 두고 세로로 설치되어 있으며, 사각형상으로 일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최외곽에는 프레임(111)이 형성되어 있고 프레임(111)의 내측에는 철망(112)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111)은 2단으로 형성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지주부재(110)의 상측 프레임(111)에는 상기 지주부재(110)를 천장에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 브라켓(113)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 브라켓(1l3)은, 그 측면 형상이 'U'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가운데에는 상기 지주부재(110)의 프레임(111)이 삽입되는 삽입홈(113a)이 형성되어 있고 그 양측에는 천정에 볼트(114) 고정되는 볼트공(113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주부재(110)의 외측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형 선반부재(17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바, 상기 소형 선반부재(170)는, 상기 지주부재(110)의 외측면에 걸림 유지되는 걸고리편(172); 상기 걸고리편(172)에 볼트(173)결합되는 삼각형의 지지편(174) 및 상기 지지편(174) 상측면에 고정되는 판재(176)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지주부재(110)의 외측면 하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부재(110)에 착탈 가능하게 화장대(180)가 구비되는 바, 화장대(180)는, 수평으로 위치되는 수평부재(182); 상기 수평부재(182)에 볼트 결합되어 상기 수평부재(182)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84); 상기 지지부재(110)의 하측에 설치되는 받침부재(186) 및 상기 수평부재(182)와 지지부재(110)를 결합하는 체결수단(188)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전술한 지주부재(110)의 외측면 하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바구니(191:도 1에 도시됨) 및 상기 바구니(191)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바구니 슬라이드 이동수단(190)이 구비되는 바, 전술한 바구니 슬라이드 이동수단(190)은, 상기 지주부재(110)의 내측면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걸고리편(192); 상기 바구니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걸고리편(192)에 볼트(197) 결합되며, 그 상면에는 슬라이드 장홈(193a)이 형성되는 가이드레일(193); 상기 가이드레일(193)의 하방에 위치되며, 상기 바구니(191)의 외측면 하단을 받쳐주는 역할을 하는 받침레일(194); 상기 슬라이드 장홈(193a)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바구니의 양측에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되는 슬라이드봉(195:도 1에 도시); 및 상기 가이드레일(193)의 중간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구니의 슬라이드 이동시 상기 바구니의 이동을 제한하여 상기 바구니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톱퍼(196)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걸고리편(192)은 그 외측면의 상단에 상기 철망(112)에 걸림되는 걸림홈(192a)을 갖는 ' ∩ ' 자 형상의 걸림부(192b)가 형성되고 하단에 상기 철망(112)에 억지끼움될 수 있도록 ' ⊃ ' 자 형상의 억지끼움홈(192c)을 갖는 돌기부(192d)가 형성되어 있고, 그 내측면의 상/하단에 유동 방지홈(192e)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레일(193)과 받침레일(194)의 외측면에는 각각 상기 유동방지홈(192e)에 삽입되는 유동 방지돌기(192f)(194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주부재(110)의 외측면 상부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옷걸이를 걸 수 있도록 제 1연결봉(210)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 1연결봉(210)과 연결될 수 있도록 다른 지주부재(110':도 1에 도시)의 측면 중간에는 제 2연결봉(220:도 1에 도시)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1연결봉(210)과 제 2연결봉 사이에는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조임부재(230:도 1에 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1및 제 2연결봉(210)(220)의 끝단에는 환형 걸고리편(212)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환형 걸고리편(212)은 그 상측에 걸림부(212b)가 형성되어 있고, 중간에 상기 연결봉(210)(220)이 삽입되는 삽입홈(212c)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제2 연결봉(210)(220)은 2단으로 이루어져 일측이 타측 내부로 중첩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전술한 제 1및 제 2연결봉(210)(220)은 철망(112)을 관통하여 연장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지주부재(110)의 측면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옷걸이 부재(2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옷걸이 부재(230)는, 상기 지지부재(110)의 측면에 근접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2단으로 이루어져 상하로 길이 조절되는 수직봉(231); 상기 수직봉(231)과 상기 지지부재(110)를 수평으로 연결하며, 2단으로 이루어져 좌우 길이 조절되는 제 1횡봉(232)(232'); 상기 수직봉(231) 중간에 설치되는 제 2횡봉(233) 및 상기 수직봉(231) 사이의 하측에 설치되는 소형 바구니(23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선반부재(1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부재(110)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지주부재(110)와 동일하게 프레임과 철망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선반 결합수단(130)은 상기 선반부재(120)를 지주부재(110)에 결합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걸고리편(132)과 받침편(134)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걸고리편(132)은 상기 지주부재(110)의 내측면에 걸림유지될 수 있도록 상측에 걸이부(132a)를 갖고 있으며, 받침편(134)은 선반(120)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선반(120)을 상방으로 받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걸고리편(132)에 볼트(135) 결합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132b와 134a는 모두 선반(120)의 철망, 보다 정확하게는 철망중 한가닥이 삽입되는 유동방지홈을 보인 것이다.
서랍(14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부재(110,110':도 1에 도시)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며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으로, 그 내부에는 물건을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서랍 슬라이드 이동수단(240)은 상기 서랍(140)을 전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것으로, 걸고리편(242)과 가이드레일(244)과 슬라이드봉(246)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술한 걸고리편(242)은 상기 지주부재(110)의 내측면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으며, 가이드레일(244)은 서랍(14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걸고리편(242)에 볼트(245) 결합되며, 그 상면에는 슬라이드 장홈(244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봉(246)은 상기 슬라이드 장홈(244a)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서랍(140)의 양측에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되어 있다.
전술한 받침부재(16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부재(110) 하측에설치되어 받침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지주부재(110)의 하측에 볼트(161) 결합될 수 있도록 그 상측에는 볼트공(162)이 형성되어 있고 하측에는 높이 조절용링(164)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조립식 다목적 가구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구니(91)는 그 높이가 임의로 조절될 뿐만 아니라 전후로 이동될 수 있다. 바구니(191)의 슬라이드 이동상태를 살펴보면, 우선 바구니(191)의 일측에 형성된 슬라이드봉(195)이 가이드레일(193)의 슬라이드장홈(193a)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바구니(191)를 전후로 잡아 당기면 슬라이드봉(195)이 슬라이드 장홈(193a)을 따라 슬라이드됨에 따라 바구니(191)가 전후로 이동되는 것이다. 이때, 받침레일(194)은 바구니(191)의 하단을 받쳐주어 바구니(191)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도 1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부재(120)의 높이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지지부재(110)의 철망(112)으로 부터 걸이부(132a)와 유동방지홈(132b)의 걸림을 해제한 후 걸고리편(132)의 걸이부(132a)를 소정위치로 위치시킨 후 지주부재(110)의 철망(112)에 걸이부(l32a)를 다시 걸어서 선반부재(120)의 위치를 사용자 임의대로 조절하면 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랍(140)도 선반(120)과 마찬가지로 그 높이가 임의로 조절될 뿐만 아니라 전후로 이동될 수 있다. 서랍(140)의 슬라이드 이동상태를 살펴보면, 우선 서랍(120)의 양측에 형성된 슬라이드봉(246)이가이드레일(244)의 슬라이드 장홈(244a)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서랍(140)을 전후로 잡아 당기면 슬라이드봉(246)이 슬라이드 장홈(244a)을 따라 슬라이드됨에 따라 선반(120)이 전후로 이동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그 구성부품을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분해 및 조립이 언제나 가능하고 그 높이가 임의로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부재(110)는, 상/하로 위치되며 내측에는 고정턱(311a)이 형성되는 상/하 프레임(311); 상기 상/하 프레임(311)의 좌/우측에 위치되며 내측에는 고정턱(312a)이 형성되는 좌/우 프레임(312); 상기 상/하 프레임(311)과 좌/우 프레임(312)을 연결하는 'ㄱ' 자 연결구(313) 및 상기 프레임(311)(312)의 고정턱(311a)(312a)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판재(31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천 고정구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주부재(310)의 내측에는 소정의 무늬 또는 그림이 그려진 천(320)을 설치하되, 상기 천(320)은 천 고정구(330)에 의해서 상기 지주부재(310) 끝단에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천(320)은 전체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랍 슬라이드 이동수단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측면 구성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홈(412)을 갖는 가이드레일(410)에 대응하여 서랍(140)에 고정되는 이동대(420)가 구비되어있는 바, 가이드레일(410)은 도 1에 도시된 지주부재(110)의 철망(112)내측에 걸고리(414)에 의해서 고정 되어 있으며, 가이드레일(410) 전방측에는 롤러(416)가 설치되어 있다. 이동대(420)는 서랍(140)의 양측에 고정되어 있으며 이동대(420)의 전방에는 롤러(424)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롤러(424)가 가이드레일(410)의 가이드홈(412)내를 구름 회전함에 따라 서랍(140)의 슬라이드 이동이 화살표 방향으로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롤러(416)는 서랍(l4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뿐만 아니라 이동대(420)가 가이드레일(410)의 가이드홈(412)으로부터 임의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부재(110)과 지주부재(110')의 사이에 여닫이형 도어(500)를 설치함으로써 도어(500) 후방에 형성된 공간을 수납공간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주부재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부재(610)는 상측부재(612)와 하측부재(614)로 이루어지며, 돌기(616)를 홈(미도시)에 삽입하여 볼트(618)로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지주부재(610)를 2단으로 성형하는 이유는 실내의 높이에 따라서 가구를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있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지주부재(100)와 지주부재(100') 사이에 스크린 도어를 갖는 롤스크린(도시하지 않음)을 대향 설치하여 수납공간을 필요로 할 경우에는 스크린도어를 선택적으로 인출하여 지주부재(100)와 지주부재(100') 사이의 공간을 활용하고 수납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을 경우에는 스크린도어를 권취시켜 바구니, 옷걸이등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선반,바구니,서랍 및 옷걸이등의 복합적인 기능을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사용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운반 및 보관이 매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복합적인 기능을 갖기 때문에 하나의 가구로 여러가구의 기능을 보완할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에게 경제적인 부담을 덜어 줄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6)

  1. 소정 간격을 두고 세로로 설치되는 한쌍의 지주부재(110);
    상기 지주부재(110)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선반부재(120);
    상기 선반부재(120)를 상기 지주부재(110)에 결합하는 선반 결합수단(130);
    상기 지주부재(110)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며,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서랍(140);
    상기 서랍(140)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서랍 슬라이드 이동수단(240); 및
    상기 지주부재(110) 하측에 설치되어 받침역할을 하는 받침부재(16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조립식 다목적 가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재(110)와 선반부재(120)는 각각
    사각 형상으로 일체 형성되며 그 최외곽에 위치되는 프레임(111); 및
    상기 프레임(111) 내측에 설치되는 철망(11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다목적 가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재는,
    상/하로 위치되며 내측에는 고정턱(311a)이 형성되는 상/하 프레임(311);
    상기 상/하 프레임(311)의 좌/우측에 위치되며 내측에는 고정턱(312a)이 형성되는 좌/우 프레임(312);
    상기 상/하 프레임(311)과 좌/우 프레임(312)을 연결하는 'ㄱ' 자 연결구(313); 및
    상기 프레임(311)(312)의 고정턱(311a)(312a)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판재(31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다목적 가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재(110)에는 상기 지주부재(110)를 천정에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 브라켓(113)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다목적 가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재(110)의 외측면에는 소형 선반부재(170)가 착탈 가능하게 더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다목적 가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 선반부재(170)는 상기 지지부재(110)의 외측면에 걸림 유지되는 걸고리편(172);
    상기 걸고리편(172)에 볼트(173) 결합되는 삼각형상의 지지편(174); 및
    상기 지지편(174) 상측면에 고정되는 판재(17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다목적 가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113)은 그 측면 형상이 'U'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가운데에는 상기 지주부재(110)의 프레임(111)이 삽입되는삽입홈(113a)이 형성되고 그 양측에는 천정에 볼트(114) 고정되는 볼트공(113b)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다목적 가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재(110)의 외측에는 천(320)을 설치하되, 상기 천(320)은 천 고정구(330)에 의해서 상기 지주부재(110) 끝단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다목적 가구.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재(110)의 외측면 하부에는,
    상기 지주부재(110)에 착탈 가능하게 화장대(18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다목적 가구.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대(180)는,
    수평으로 위치되는 수평부재(182);
    상기 수평부재(182)에 볼트 결합되어 상기 수평부재(182)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84);
    상기 지지부재(184)의 하측에 설치되는 받침부재(186); 및
    상기 수평부재(182)와 지지부재(184)를 결합하는 체결수단(188)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다목적 가구.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재(110)의 외측면 하부에는,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바구니(191) 및
    상기 바구니(191)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바구니 슬라이드 이동수단(190)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다목적 가구.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바구니 슬라이드 이동수단(190)은,
    상기 지주부재(110)의 내측면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걸고리편(192 );
    상기 서랍(14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걸고리편(192)에 볼트 결합되며, 그 상면에는 슬라이드 장홈(193a)이 형성되는 가이드레일(193);
    상기 가이드레일(193)의 하방에 위치되며, 상기 바구니(191)의 외측면 하단을 받쳐주는 역할을 하는 받침레일(194);
    상기 슬라이드 장홈(193a)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바구니(191)의 양측에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되는 슬라이드봉(195); 및
    상기 가이드레일(193)의 중간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바구니(191)의 슬라이드 이동시 상기 바구니(191)의 이동을 제한하여 상기 바구니(191)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톱퍼(19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다목적 가구.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걸고리편(192)은 그 외측면의 상단에 상기 철망(112)에 걸림되는 걸림홈(192a)을 갖는 ' ∩ ' 자 형상의 걸림부(192b)가 형성되고 하단에 상기 철망(112)에 억지끼움될 수 있도록 ' ⊃ ' 자 형상의 억지끼움홈(192c)을 갖는 돌기부(192d)가 형성되고, 그 내측면의 상/하단에 유동방지홈(192e)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레일(193)과 받침레일(194)의 외측면에는 각각 상기 유동방지홈(192e)에 삽입되는 유동 방지돌기(192f)(194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장치.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바구니 슬라이드 이동수단(190)은,
    상기 지주부재(110)에 고정되는 걸고리(414);
    상기 걸고리(414)에 고정되며 가이드홈(412)을 갖는 가이드레일(410); 및
    상기 가이드레일(410)의 가이드홈(412)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서랍(140)에 고정되는 이동대(4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다목적 가구.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재(110)의 외측면 상부에는,
    옷걸이를 걸 수 있도록 제 1연결봉(210)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연결봉(210)과 연결될 수 있도록 다른 지주부재(110')의 측면 중간에는 제 2연결봉(220)이 설치되며, 상기 제 1연결봉(210)과 제 2연결봉(220) 사이에는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조임부재(230)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다목적 가구.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및 제 2연결봉(210)(220)의 끝단에는 환형 걸고리편(212)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환형 걸고리편(212)은 그 상측에 걸림부(212b)가 형성되고, 중간에 상기 연결봉(210)이 삽입되는 삽입홈(212c)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다목적 가구.
  17. 제 15항 또는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제2 연결봉(210)(220)은 2단으로 이루어져 일측이 타측 내부로 중첩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다목적 가구.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160)는,
    상기 지주부재(110)의 하측에 볼트 결합될 수 있도록 그 상측에는 볼트공(162)이 형성되고 하측에는 높이 조절용 링(164)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다목적 가구.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재(110)는 2단으로 높이 조절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다목적 가구.
  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 슬라이드 이동수단(240)은,
    상기 지주부재(110)의 내측면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걸고리편(242);
    상기 서랍(14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걸고리편(242)에 볼트(245) 결합되며, 그 상면에는 슬라이드 장홈(244a)이 형성되는 가이드레일(244); 및
    상기 슬라이드 장홈(244a)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서랍(140)의 양측에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되는 슬라이드봉(246)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다목적 가구.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걸고리편(242)의 중간에는 상기 가이드레일(244)의 결합위치가 조절되도록 볼트장공(247)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다목적 가구.
  2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재(110)의 전방에는 도어(500)가 더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다목적 가구.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500)는 여닫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다목적 가구.
  2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재(110)의 측면에는 높이 조절되는 옷걸이 부재(230)가 더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다목적 가구.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옷걸이 부재(230)는,
    상기 지지부재(110)의 측면에 근접되어 설치되며, 2단으로 이루어져 상하 길이 조절되는 수직봉(231);
    상기 수직봉(231)과 상기 지지부재(110)를 수평으로 연결하며, 2단으로 이루어져 좌우 길이 조절되는 제 1횡봉(232);
    상기 수직봉(231) 사이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 2횡봉(233); 및
    상기 수직봉(231) 하측에 설치되는 소형 바구니(234)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다목적 가구.
  2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 결합수단(130)은,
    상기 지주부재(110)의 내측면에 걸림유지될 수 있도록 상측에 걸이부(132a)를 갖는 걸고리편(132);
    상기 선반(120)의 프레임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선반(120)을 받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상기 걸고리편(132)에 볼트(135) 결합되는 받침편(13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다목적 가구.
KR1019990019315A 1999-05-24 1999-05-24 조립식 다목적 가구 KR100302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9315A KR100302670B1 (ko) 1999-05-24 1999-05-24 조립식 다목적 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9315A KR100302670B1 (ko) 1999-05-24 1999-05-24 조립식 다목적 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5018A KR20000075018A (ko) 2000-12-15
KR100302670B1 true KR100302670B1 (ko) 2001-09-26

Family

ID=19588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9315A KR100302670B1 (ko) 1999-05-24 1999-05-24 조립식 다목적 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26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2984B1 (ko) * 2013-05-10 2015-04-20 주식회사 희원 도어용 행거
KR20180001734A (ko) * 2016-06-28 2018-01-05 김기형 모서리가 프레임에 의해 커버되는 가구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032Y1 (ko) * 2018-12-31 2019-11-04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목욕 서비스 제공자용 이동형 목욕보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2984B1 (ko) * 2013-05-10 2015-04-20 주식회사 희원 도어용 행거
KR20180001734A (ko) * 2016-06-28 2018-01-05 김기형 모서리가 프레임에 의해 커버되는 가구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5018A (ko) 200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22415A (en) Portable wardrobe frame
US9364102B2 (en) Support systems and components for same
EP2218355B1 (en) Vertical structure for column cabinets
KR100302670B1 (ko) 조립식 다목적 가구
JPH049524B2 (ko)
KR200458234Y1 (ko) 슬라이드 출몰식 바지걸이
KR20180003606U (ko) 확장 가능한 주방용 선반
KR102189775B1 (ko) 드레스룸용 포스트
KR200467112Y1 (ko) 세탁물 건조대
KR20100008123U (ko) 벽면 부착형 행거
KR200244469Y1 (ko) 시스템가구용 선반조절장치
KR102211976B1 (ko) 조립식 선반의 회동식 행거장치
KR102128351B1 (ko) 식기선반
KR20210113844A (ko) 다용도 선반
CN219020789U (zh) 一种玄关衣帽架
KR200464816Y1 (ko) 다양한 형태로 설치가 가능한 선반 거치대
JP3091239U (ja) 組立式多機能物品収納キャビネット
JPS6135075Y2 (ko)
KR100290585B1 (ko) 대형 그림을 갖는 붙박이장용 칸막이
KR200219485Y1 (ko) 슬라이드 출몰식 바지걸이
CN2500217Y (zh) 多功能滑轨窗帘杆组
KR200476051Y1 (ko) 옷걸이가 구비되는 의자
KR20180003131U (ko) 조립식 스탠드형 옷걸이대
KR101254021B1 (ko) 거울이 구비된 간이 옷걸이
EP1256291A2 (en) Bracket for furniture elements and the li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